KR101863815B1 - 치아 미백시스템 - Google Patents

치아 미백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815B1
KR101863815B1 KR1020170028836A KR20170028836A KR101863815B1 KR 101863815 B1 KR101863815 B1 KR 101863815B1 KR 1020170028836 A KR1020170028836 A KR 1020170028836A KR 20170028836 A KR20170028836 A KR 20170028836A KR 101863815 B1 KR101863815 B1 KR 101863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itening
tooth whitening
tooth
extrac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한
Original Assignee
(주)코코스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코스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코코스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70028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8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61C19/066Bleaching devices; Whitening agent applicators for teeth, e.g. trays or st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Dentist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미백을 위해 사용되는 치아 미백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치아 미백시스템을 위해 사용자가 마우스피스를 물고 있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사용자의 타액에 대한 신속,간편한 제거 구성을 통해 미백효과가 저감되거나 또는 장치의 위생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치아 미백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염증 또는 구강에 기 발생한 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함염증 기능과, 치아 즉, 구강 내에 도포 또는 부착되는 치아 미백제를 통해 구강 내 구취를 예방할 수 있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항구취 기능을 함유하는 치아 미백제를 이용하는 치아 미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아 미백시스템{A Tooth Whitening System}
본 발명은 치아 미백을 위해 사용되는 치아 미백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치아 미백시스템을 위해 사용자가 마우스피스를 물고 있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사용자의 타액에 대한 신속,간편한 제거 구성을 통해 미백효과가 저감되거나 또는 장치의 위생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치아 미백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염증 또는 구강에 기 발생한 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함염증 기능과, 치아 즉, 구강 내에 도포 또는 부착되는 치아 미백제를 통해 구강 내 구취를 예방할 수 있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항구취 기능을 함유하는 치아 미백제를 이용하는 치아 미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일반인들의 심미적 욕구와 외모에 대한 기대치가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그 결과 치과 치료분야에서도 치아 미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치과 치료의 추세가 기능 중심의 치료에서 최근에는 심미 중심의 치료로 변해가고 있다.
치아의 심미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 중에서 치아의 색상은 가장 민감하고 중요한 요소로서, 누런 치아 또는 변색된 치아는 심미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심
리적인 문제도 유발할 수 있는바, 치아 미백이란 미백 성분의 약리작용을 이용하여 색소로 인해 착색되거나 변색된 법랑질을 원래의 색조로 회복시켜주는 치료과정을 말한다. 치아 미백에 있어서, 특히 내인성 착색의 경우는 착색 물질이 물리적 방법만으로는 제거되기 어렵기 때문에 물리적 방법 외에 치아 표면으로 치과용 미백제를 침투시켜 착색물질을 제거하는 화학적 방법이 함께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치아 미백은 과산화수소 또는 이의 전구체인 카바마이드 퍼옥사이드(carbamide peroxide) 등을 사용하여 실시되는데, 과산화수소는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을 생성하고, 이러한 자유 라디칼은 화학적으로 불안정하여 전자 친화성을 갖기 때문에 다른 유기 분자와 결합하여 화학적 안정성을 얻음과 동시에 계속해서 자유 라디칼을 생성함으로써 미백이 진행된다.
(선행기술문헌)
등록특허 제10-0765062호(2007.10.01.등록) "안정성을 개선시킨 고형의 치아미백제"
다만,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문헌)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치아 미백제는 단순히 미백 본연의 기능에만 치중하고 있고, 이러한 미백 과정에서 나타나는 염증 유발 특히, 과산화수소의 작용에 의한 염증 유발을 방지하는 것에는 크게 주목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구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역시 항염증인바, 치아 미백에 있어서도 염증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초기 염증에 효과가 있는 항염증 기능 역시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또한, 치아의 심미성에 있어 또 하나의 중요한 요소가 바로 냄새 제거 즉, 구취예방인바, 치아 미백과정에서 이러한 구취예방 기능이 더해진다면 복합적인 치아의 심미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치아 미백을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의 경우, 단순히 미백제가 도포된 치아에 LED와 같은 광을 조사하여 광 활성을 통해 미백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을 추구하고 있는데, 이러한 치아 미백시스템을 위해 사용자가 마우스피스를 물고 있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사용자의 타액에 의해 미백효과가 저감되거나 또는 장치의 위생에 저해되는 결과가 발생될 수 있는바, 이러한 문제에 대해 간편하면서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하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 미백시스템을 위해 사용자가 마우스피스를 물고 있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사용자의 타액에 대한 신속,간편한 제거 구성을 통해 미백효과가 저감되거나 또는 장치의 위생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치아 미백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아 미백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염증 또는 구강에 기 발생한 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함염증 기능을 함유하는 치아 미백제를 이용하는 치아 미백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치아 즉, 구강 내에 도포 또는 부착되는 치아 미백제를 통해 구강 내 구취를 예방할 수 있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항구취 기능을 함유하는 치아 미백제를 이용하는 치아 미백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치아 미백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시스템은, 치아에 도포되는 미백제와; 치아에 밀착되며, 발광부를 포함하여 미백제가 도포된 치아에 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마우스피스부와; 상기 마우스피스부에 공기를 공급하고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마우스피스부와 공기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미백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부는, 사용시 사용자의 타액이 별도로 관리되도록 하는 타액분리관리부와, 상기 공기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미백제가 도포된 치아를 향해 발산되게 되는 제1유로와, 상기 공기공급부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타액분리관리부에 공급되게 하는 제2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미백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백제는, 황칠 추출물과; 백수오 추출물과; 녹차, 진피, 어성초 중 하나 이상을 추출하여 이루어지는 항균 복합 추출물과; 과산화물, 하이포아염소산염, 과산화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미백 조성물과; 미백활성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미백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백제는, 미백 조성물 100중량부, 황칠 추출물 5~7 중량부, 백수오 추출물 5~7 중량부, 미백활성화 조성물 3~7 중량부, 항균 복합 추출물 1~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미백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백제는, 홍삼 발효 추출물 5~7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치아 미백시스템을 위해 사용자가 마우스피스를 물고 있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되는 사용자의 타액에 대한 신속,간편한 제거 구성을 통해 미백효과가 저감되거나 또는 장치의 위생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치아 미백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염증 또는 구강에 기 발생한 염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함염증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은, 치아 즉, 구강 내에 도포 또는 부착되는 치아 미백제를 통해 구강 내 구취를 예방할 수 있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항구취 기능을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마우스피스부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상세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미백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미백시스템은, 치아에 도포되는 미백제(10, 도면에서는 미도시)와; 치아에 밀착되며, 발광부(310)를 포함하여 미백제(10)가 도포된 치아에 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마우스피스부(30)와; 상기 마우스피스부(30)에 공기를 공급하고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기공급부(50)와; 상기 마우스피스부(30)와 공기공급부(50)를 제어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 치아에 미백제(10)를 도포하고, 미백제(10)의 활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치아에 밀착시킨 마우스피스부(30)를 통해 광을 조사하고 또한 공기공급부(50)를 통해 공기(산소)를 제공하여, 미백 효율을 증대시키는 미백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앞서 종래기술에 대한 검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치아 미백제들에서는 치아 미백 과정에서 나타나는 염증 유발 특히, 과산화수소의 작용에 의한 염증 유발을 방지하는 것에는 크게 주목하지 않고 있었고, 더욱이 치아의 심미성에 있어 또 하나의 중요한 요소인 냄새 제거 즉, 구취예방을 치아 미백 과정에서도 실현하는 치아 미백을 통한 복합적인 치아의 심미성 향상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되지 않은 상태인바, 본 발명에서는 천연물질을 활용하여 항염증 기능 및 항구취 기능을 포함하는 치아 미백제를 사용하여 복합적인 치아의 심미성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미백시스템에 사용되는 상기 미백제(10)는, 특히 본 발명 특유의 황칠 추출물과; 백수오 추출물을; 미백제에 포함시켜 항균, 항구취 효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추가적으로 녹차, 진피, 어성초 중 하나 이상을 추출하여 이루어지는 항균 복합 추출물과; 과산화물, 하이포아염소산염, 과산화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미백 조성물; 및 미백활성화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시스템에 사용되는 상기 미백제에 함유되는 황칠(Dendropanax morbifera H. Lev.)은, 두릅나무과에 속한 상록 활엽수로, 황칠의 항균 작용은 이미 수많은 논문을 통해 그 효능이 입증되고 있다. 즉, 황칠은 각종 병원균 또는 부패에 관여하는 균들에 대한 항균, 항미생물 활성이 있다고 발표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논문으로는 '클로로퀴논 감수성 원충을 통한 황칠로부터 항원충성분, Phytother Res. 2009 Apr 15, 정일민 외', '황칠나무 자원 이용 기술의 개선 및 활용 방안의 다양화 2차년도, 과학기술처, p158', '전남 보건환경연구원의 연구결과 인용보도, 조선일보, 2009.4.10.' 등이 있다. 그 외에도 황칠은 항암 효과, 신경 안정, 면역력 증진 등의 효능이 있다고 다수의 논문에 소개되고 있으며 특히, 경조직(뼈와 치아) 재생에도 효과가 있어 치주질환 등의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관련 논문: '한국 특산품 황칠의 생리활성 연구, 백운봉, p37,42~43', 관련 특허: '경조직 재생 및 증식 효과를 가지는 황칠 추출물, 황칠 분획물 및 이들을 함유한 약학 조성물'). 황칠 추출물은 황칠의 수액 또는 잎에서 추출되는 성분으로, 특히, 카리오피렌올Ⅱ는 항바이러스, 항균작용을, 감마 카디넨은 항균작용을, 베타 쿠베벤, Z-3 헤센 1-01, 알파 카디넨 등은 냄새 제거, 방향작용을 하는 성분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황칠 추출물은 황칠의 수액 또는 잎에서 추출하는 성분 중 상기 카리오피렌올Ⅱ, 감마 카디넨, 베타 쿠베벤, Z-3 헤센 1-01, 알파 카디넨 등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아 미백제에 함유되는 백수오(Cynanchum wilfordii)은, 다년생 초본의 덩굴성식물로 줄기와 잎을 자르면 백색 유액이 나오는 것으로, 백수오의 항균 작용 역시 다양하게 입증되고 있다(관련 특허: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백수오 추출물의 성분으로, 특히 시난디온 A(cynandione A), 폴릭시프레그난(polyoxypregnane), 배당체 등의 성분이 항균, 항암, 미백, 골다공증 예방, 등의 작용을 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백수오 추출물은 백수오의 몸통, 뿌리 등에서 추출하는 성분 중 상기 시난디온 A, 폴릭시프레그난, 배당체 등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미백시스템에 사용되는 상기 미백제는. 기존 미백제에 포함되지 않은 본 발명 특유의 황칠 추출물과 백수오 추출물과 같은 천연물질을 활용하여 미백 본연의 기능 외에 본 발명 특유의 구강내 항염 및 항구취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미백제(조성물)를 제공하게 된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의 미백시스템에 사용되는 상기 미백제에서는 추가적인 항균 복합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치아 미백제에 함유되는 항균 복합 추출물은 녹차, 진피, 어성초 중 하나 이상을 추출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녹차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 화합물인 카테킨은 미백, 피부진정 등에 효과가 있음은 물론 특히, 구강 구취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진피는 운향과의 귤(Citrus unshiu markovich) 또는 동속 근연식물의 과피를 말하는데, 혈관 확장 성분이 있고 항궤양, 이뇨작용이 탈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관의 침투성을 줄이고 혈관에 저항력을 주어 혈관의 파열을 방지하는 비타민P 효력이 있는 플로보노이드 화합물인 헤스페라딘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는 염증을 제거하는 소염작용이 탈월하며 특히, 쿠에르치트린 성분은 독소를 제거하고 모세혈관을 확장시키는 청혈작용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항균 복합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녹차, 진피, 어성초 성분 모두가 함유된 경우에 효능이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시스템에 사용되는 상기 미백제에 함유되는 미백 조성물은 과산화물, 하이포아염소산염, 과산화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미백 조성물은 치아 표면에 존재하는 착색 성분들과 반응하여 착색 성분을 제거하게 되는데, 상기 과산화물은 과산화수소, 과산화칼륨, 과산화나트륨, 카바마이드 퍼옥사이드, 소듐 피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포아염소산염은 하이포아염소산 나트륨, 하이포아염소산 칼륨, 하이포아염소산 바륨, 하이포아염소산 칼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산화산은 과산화아세트산, 과산화일인산, 과산화이인산, 과산화일황산, 과산화이황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시스템에 사용되는 상기 미백제에 함유되는 미백활성화 조성물은 광원 또는 열원 등에 의해 상기 미백 조성물의 속도와 효율을 증대시키는 활성화 수단으로, 구체적으로 금속 이온과 이들의 킬레이트화 착화합물 및 과산 전구물질(글리세릴 트리아세테이트와 같은 과산화수소의 존재하에 과산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게 될 발광부(310)의 광에너지 조사에 의해 미백제에 함유된 상기 미백활성화 조성물이 활성화되면서 상기 미백 조성물의 미백반응이 촉진되어 미백 치료시간의 단축 및 미백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아 미백제는 상기 성분들을 포함함에 있어서, 미백 조성물 100중량부, 황칠 추출물 5~7 중량부, 백수오 추출물 5~7 중량부, 미백활성화 조성물 3~7 중량부, 항균 복합 추출물 1~3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치아 미백 기능을 구현하는 기본적인 미백 조성물과 함께 본 발명이 제시하고자 하는 항균, 항염증, 항구취 기능을 미백제에 포함시키는 황칠 추출물, 백수오 추출물, 항균 복합 추출물을 혼합시킨 새로운 기능성 미백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백제의 제조 방법은, 먼저 녹차, 진피, 어성초 성분을 함유하는 항균 복합 추출물을 준비하고 이에 상기 황칠 추출물과 백수오 추출물, 미백 조성물을 바인더와 함께 혼합하여 필요시 첨가제(금속 성분 등), 정제수 등을 첨가하여 제조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미백시스템에 사용되는 상기 미백제에, 추가적으로 홍삼 발효 추출물 5~7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홍삼 발효 추출물에 있어 홍삼의 사포닌은 부신에서 카테콜아민의 분비를 촉진하고 지질의 과산화과정을 저해함으로써 항산화활성을 지니고 이는 다시 라디컬 형성을 저해하여 다양한 효능을 발휘하게 된다. 상기 홍삼 발효 추출물은 인삼을 정제수에 담가 예열한 다음 다시 수십시간 동안 가열하여 홍삼 추출액을 얻은 후 이를 발효시켜 최종적으로 얻게 되는 추출물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추가적인 성분을 통해 상기 미백제를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항염 기능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우스피스부(30)는 치아에 밀착되며, 발광부(310)를 포함하여 미백제(10)가 도포된 치아에 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마우스피스부(30)는 사용시 사용자의 타액이 별도로 관리되도록 하는 타액분리관리부(320)와, 후술할 공기공급부(5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미백제가 도포된 치아를 향해 발산되게 되는 제1유로(330)와, 상기 공기공급부(5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타액분리관리부(320)에 공급되게 하는 제2유로(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310)는 상기 미백제(10)의 활성화를 위해 광에너지를 전달(조사)하는 구성으로, 치아 미백을 위해 가장 적절한 파장대인 400~500nm의 엘이디(LED) 광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부(310)의 엘이디 광원부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가 위치하게 되는 마우스피스부(30)에서 치아의 정면 또는/및 후면과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액분리관리부(320)는 사용자가 상기 마우스피스부(30)에 치아를 삽입하여 마우스피스부(30)를 문 상태에서 사용중 사용자의 타액이 마우스피스부(30)에 고여 방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타액이 별도로 타액분리관리부(320)로 흘러들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타액분리관리부(320)를 향해서는 후술할 공기공급부(5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유입되어 타액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공기를 타액분리관리부(320)를 향해 유도하는 제2유로(340)가 타액분리관리부(320)를 향해 연결되게 된다.
상기 제1유로(3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공기공급부(5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마우스피스부(30)에 위치하는 미백제가 도포된 치아를 향해 발산될 수 있도록, 공기를 마우스피스부(30)에서 치아의 정면 또는/및 후면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발산되도록 유도하는 유도로이다.
상기 제2유로(3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공기공급부(50)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타액분리관리부(320)로 공급되어 타액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공기를 타액분리관리부(320)를 향해 유도하는 유도로이다.
상기 공기공급부(50)는 상기 마우스피스부(30)에 공기를 공급하고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공기공급부(5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산소)가 상기 제1유로(330)를 통해 치아에 도포된 미백제에 닿게 되면 산화(광촉매 반응)을 촉진시켜 미백 효능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공기공급부(5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타액분리관리부(320)의 타액을 건조시키게 된다. 상기 공기공급부(50)에는 공기의 원활한 공급을 위한 별도의 동력원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마우스피스부(30)와 공기공급부(50)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상기 공기공급부(50)의 온/오프 또는/및 상기 마우스피스부(30) 발광부(310)의 온/오프 등을 제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미백제를 이용한 미백 실험을 토대로 본 발명이 갖는 항염(항균), 항구취 기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실시예 1
미백 조성물 100중량부, 황칠 추출물 6 중량부, 백수오 추출물 6 중량부, 미백활성화 조성물 5 중량부, 항균 복합 추출물 2 중량부에 바인더를 혼합하여 치아 미백제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한 미백 실험
-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 홍삼 발효 추출물 6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시켜 치아 미백제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한 미백 실험
- 비교예 1
과산화수소 100중량부, 폴리아크릴산 150중량부 및 정제수 1,000중량부를 혼합하여 치아 미백제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한 미백 실험
-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에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33중량부를 추가로 포함시켜 치아 미백제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한 미백 실험
(비교예 1 및 2는 일반적으로 널리 통용되는 치아 미백제의 제조기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미백제임)
<실험 1> 치은염 억제 실험
본 실험은 동일 환경하에서 피검자 10명을 대상으로, 실험전 구강검사를 실시하고 실시예 1부터 비교예 2까지의 치아 미백제를 각각의 치아에 사용한 후 1개월 후 구강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방법은 단일 맹검법으로, 한 개 치아당 치은을 협면과 설면으로 구획하여 지수의 평균값을 산출하였으며, 치은염은 로에와 실니스의 평점 기준에 따라 0점부터 3점까지 평가하여 치아별 치은염 지수를 구한 뒤 평균성적으로 지수를 산출하였고, 그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이 나타났다.
구분 실험전 1개월 후
실시예 1 0.5 0.35
실시예 2 0.5 0.34
비교예 1 0.5 0.49
비교예 2 0.5 0.48
상기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기존의 치아 미백제(비교예 1 및 2)의 경우 미백제와 항염 효과는 거의 무관한 반면에, 실시예 1 및 2는 약 30%에서 32%의 감소율을 보여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미백제 사용으로 미백은 물론 항염(염증 치료)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실험 2> 구취제거 만족도 실험
본 실험은 동일 환경하에서 피검자 1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부터 비교예 2까지의 치아 미백제를 각각 일주일간 사용한 후 각각의 치아 미백제에 대한 구취제거 만족도를 조사하여 0(매우 나쁨)~10(매우 만족)으로 구분하여 평균결과값을 산출하였고, 그 결과는 아래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구분 입냄새 제거
실시예 1 9 7
실시예 2 9 6
비교예 1 2 4
비교예 2 3 4
상기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기존의 치아 미백제(비교예 1 및 2)의 경우 미백제와 구취제거 효과는 거의 무관한 반면에, 실시예 1 및 2는 사용자가 매우 만족하는 수준의 구취 제거 효과를 나타냈고, 향에 있어서도 상대적으로 비교예들에 비해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미백제 사용으로 미백은 물론 구취제거(입냄새 제거)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미도시): 미백제 30: 마우스피스부
310: 발광부 320: 타액분리관리부
330: 제1유로 340: 제2유로
50: 공기공급부 70: 제어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치아에 도포되는 미백제와;
    치아에 밀착되며, 발광부를 포함하여 미백제가 도포된 치아에 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마우스피스부와;
    상기 마우스피스부에 공기를 공급하고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기공급부와;
    상기 마우스피스부와 공기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미백제는,
    황칠 추출물과; 백수오 추출물과; 녹차, 진피, 어성초 중 하나 이상을 추출하여 이루어지는 항균 복합 추출물과; 과산화물, 하이포아염소산염, 과산화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미백 조성물과; 미백활성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백제는,
    미백 조성물 100중량부, 황칠 추출물 5~7 중량부, 백수오 추출물 5~7 중량부, 미백활성화 조성물 3~7 중량부, 항균 복합 추출물 1~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백제는,
    홍삼 발효 추출물 5~7 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미백시스템.
KR1020170028836A 2017-03-07 2017-03-07 치아 미백시스템 KR101863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836A KR101863815B1 (ko) 2017-03-07 2017-03-07 치아 미백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836A KR101863815B1 (ko) 2017-03-07 2017-03-07 치아 미백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815B1 true KR101863815B1 (ko) 2018-06-04

Family

ID=62628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836A KR101863815B1 (ko) 2017-03-07 2017-03-07 치아 미백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8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527B1 (ko) * 2019-10-17 2020-09-03 웰스메디텍 주식회사 마우스피스형 광 조사장치
KR20220164904A (ko) * 2021-06-07 2022-12-14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코골이 방지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308B1 (ko) * 2012-12-03 2014-04-18 음준영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40088726A (ko) * 2013-01-03 2014-07-11 권영길 연질 캡슐용 구강청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55098A (ko) * 2013-08-12 2016-05-17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치과 시술용 장치
KR20170019893A (ko) * 2015-08-13 2017-02-22 주식회사 아이마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니오좀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308B1 (ko) * 2012-12-03 2014-04-18 음준영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40088726A (ko) * 2013-01-03 2014-07-11 권영길 연질 캡슐용 구강청정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55098A (ko) * 2013-08-12 2016-05-17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치과 시술용 장치
KR20170019893A (ko) * 2015-08-13 2017-02-22 주식회사 아이마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니오좀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527B1 (ko) * 2019-10-17 2020-09-03 웰스메디텍 주식회사 마우스피스형 광 조사장치
KR20220164904A (ko) * 2021-06-07 2022-12-14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코골이 방지기구
KR102483879B1 (ko) 2021-06-07 2023-01-03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코골이 방지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34252A1 (ko) 한방추출물과 프로폴리스가 첨가된 치약
ES2390282T3 (es) Composiciones de orégano para cuidado oral y sus métodos de uso
US6811769B2 (en) Oral composition, method of making the oral composition and oral hygiene method in japanese and chinese herbal remedy
CN108042466A (zh) 一种抗炎杀菌、预防和治疗龋病的口腔护理组合物
JP5137457B2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KR101863815B1 (ko) 치아 미백시스템
KR20180089003A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4196947A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зубная паста
US6531115B1 (en) Analgesic and refreshing herbal composition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KR20130059780A (ko) 천년초 분말과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965794A (zh) 雪莲净白护肤化妆品组合物
Subbiah et al. Herbals and green synthesized nanoparticles in dentistry
WO2016010284A1 (ko) 울금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09184936A (ja) 歯茎用組成物
CN105055205A (zh) 一种药物牙膏及其制备方法
WO2017068546A1 (en) Composition for oral hygiene
CN107158120A (zh) 口腔消炎喷剂、制备方法及应用
RU2334522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ий эликсир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KR101838126B1 (ko) 치아 미백제
CN101310705B (zh) 祛斑美白化妆品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8434174A (zh) 一种用于辅助龋齿治疗及预防龋齿的口腔喷剂及其制备方法
KR102381899B1 (ko) 구강청결제
WO2006049367A1 (en)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essential oil
KR102030419B1 (ko) 그라비올라를 포함하는 백발 예방 및 흑모유발 촉진용 조성물
KR20170085703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내 항염 및 구취 제거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