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032B1 - 유아의 성장에 따른 헤드교체형 칫솔 - Google Patents

유아의 성장에 따른 헤드교체형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032B1
KR102351032B1 KR1020210044112A KR20210044112A KR102351032B1 KR 102351032 B1 KR102351032 B1 KR 102351032B1 KR 1020210044112 A KR1020210044112 A KR 1020210044112A KR 20210044112 A KR20210044112 A KR 20210044112A KR 102351032 B1 KR102351032 B1 KR 102351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disposed
hall sensor
toothpaste
open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리
Original Assignee
김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리 filed Critical 김미리
Priority to KR1020210044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032B1/ko
Priority to KR1020220003402A priority patent/KR1024984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24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permanently displaceable pressurising member that remain in position unless actuated, e.g. lead-screw or ratchet mechanisms, toothpaste tube twisting or 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55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reciprocating piston or plunger acting as the pressuri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38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 A46B15/004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with light signa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쥘 수 있는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측에 바디공간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와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헤드; 및 상기 바디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에 치약을 제공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유아의 성장에 따른 헤드교체형 칫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아의 성장에 따라 다공성 재질이 배치된 제 1 헤드, 씹을 수 있는 제 2 헤드 또는 칫솔모가 형성된 제 3 헤드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유아의 성장에 따른 헤드교체형 칫솔{Head replacement type toothbrush according to infant's growth}
본 발명은 유아의 성장에 따른 헤드교체형 칫솔에 관한 것이다.
칫솔은 치아를 세척하여 잇몸질환과 충치질환의 주원인 물질인 음식물 찌꺼기와 플라그 및 유해한 박테리아를 제거해 주는 도구이다.
칫솔에 식모되어 있는 칫솔모와 변형이 가능한 튜브체 내에 저장되어 필요한 만큼 짜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불소와 연마제 등과 같은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치약을 이용하여 음식을 먹은 후 치아 사이에 남아있는 찌꺼기를 제거함은 물론 치아 및 잇몸 상에 형성된 각종 불순물을 제거하여 치아 및 잇몸을 건강하게 하며 입안을 개운하게 한다.
이러한 칫솔은 칫솔대 선단의 헤드 부재에 칫솔모가 식모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으로는 손잡이부 및 목부가 상기 헤드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어 손잡이부를 손으로 파지하는 것에 의해 치아 세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칫솔모들은 나일론 등을 소재로 하여 가늘고 길게 일정한 구획을 이루며, 헤드 부재의 상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식모되어 있다.
따라서, 칫솔의 손잡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칫솔모에 일정량의 치약을 짜서 묻힌 후, 치아와 칫솔모들을 접촉시킨 상태에서 손잡이에 적당한 힘을 가해 칫솔을 상·하 및 좌·우로 움직여 칫솔모가 치아와 마찰을 일으키게 함으로써 치아의 표면에 낀 플라그 및 음식물 찌꺼기를 닦아내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칫솔의 사용자가 보통의 유아 또는 어린이들인 경우, 양치하는 것을 싫어하므로, 이들의 호기심을 유발하여 양치 습관을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대부분의 칫솔은 손잡이에 단순히 여러 가지 장식이 구성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이 장식이 구성된 칫솔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금방 싫증을 느끼게 되어 양치 습관을 유도의 기능이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590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76455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4156호
본 발명은 유아의 성장에 따른 헤드교체형 칫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양치 시 유아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헤드교체형 칫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헤드의 회전에 따라 치약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헤드교체형 칫솔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쥘 수 있는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측에 바디공간이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와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헤드; 및 상기 바디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에 치약을 제공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유아의 성장에 따른 헤드교체형 칫솔을 제공한다.
상기 카트리지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에 치약이 저장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단에 토출구가 배치된 스트로; 상기 하우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다이어프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는, 상기 토출구를 감싸게 배치된 다공성재질을 포함하는 제 1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츄잉토출구가 형성되고, 유아가 씹을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 츄잉바디를 포함하는 제 2 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카트리지에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카트리지에 저장된 치약을 상기 헤드로 유동시키는 압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유아의 성장에 따라 다공성 재질이 배치된 제 1 헤드, 씹을 수 있는 제 2 헤드 또는 칫솔모가 형성된 제 3 헤드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제 2 헤드에 씹을 수 있는 츄잉바디가 배치되고, 츄잉바디를 통해 치약이 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유아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헤드의 수평방향 회전을 감지하고, 이를 바디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헤드로 토출되는 치약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버튼 주변에 표시되는 조명색을 통해 치약이 통과되는 개구면이 어느 정도 열렸는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버튼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푸셔의 이동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치약의 토출량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아의 성장에 따른 헤드교체형 칫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트리지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바디 및 제 3 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헤드의 하단 및 스트로 상단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베이스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헤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아의 성장에 따른 헤드교체형 칫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트리지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바디 및 제 3 헤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헤드의 하단 및 스트로 상단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베이스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헤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헤드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의 성장에 따른 헤드교체형 칫솔은 사용자가 쥘 수 있는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측에 바디공간(101)이 형성된 바디(100)와, 상기 바디(100)와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헤드(300)와, 상기 바디공간(101)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300)에 치약을 제공하는 카트리지(200)를 포함한다.
상기 카트리지(200)의 내부에는 치약이 저장된다.
상기 카트리지(200)는 교체형으로 제작되고, 상기 바디(100)의 내부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카트리지(200)는 상기 바디(100)에 배치된 압축장치(400)의 작동에 의해 저장된 치약을 상기 헤드(300)로 토출시킨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카트리지(200)는 사용자의 조작력을 통해 상기 헤드(300)에 치약을 토출할 수도 있다.
상기 카트리지(200)는 내부에 저장공간(211)이 형성된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에 결합된 스트로(220, straw)와, 상기 하우징(21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다이어프램(23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내부에 상기 저장공간(211)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공간(211)도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스트로(22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치약이 이동될 수 있는 통로(221)가 형성된다. 상기 통로(221)는 상기 스트로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10)의 상단에 튜브토출구(212)가 형성된다. 상기 스트로(220)는 상기 튜브토출구(212)와 연통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스트로(220)의 일단(222) 및 타단(224)은 각각 개구되고, 상기 통로(221)와 연통된다. 상기 통로(221)의 일측에 상기 일단(222)이 배치되고, 타측에 상기 타단(224)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일단(222)이 상기 튜브토출구(212)에 연결되고, 타단(224)이 상기 헤드(300)에 삽입된다.
상기 스트로(220)의 길이(L1)는 상기 하우징(210)의 길이(H1)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로(220)의 폭(W1, 스트로의 외경)은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트로(220)의 폭(W1)은 일단(222) 및 타단(224)이 같을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스트로(220) 타단(224)의 폭이 일단(222)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타단(224)은 상기 헤드(300)의 토출구(30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의 하측면(216)은 개구될 수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230)이 상기 하측면(216)을 폐쇄시키고, 상기 압축장치(400)에 의해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튜브토출구(212)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의 중간부(215)는 상기 상부(214) 및 하측면(216)를 연결한다. 상기 하우징(210)의 중간부(215)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부(215)의 폭을 W2(중간부의 외경)라 정의하고, 상기 중간부(215)의 폭(W2)이 스트로(220)의 폭(W1) 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바디(100)는 상측에 상측개구면(102)이 형성되고, 하측에 하측개구면(104)이 형성되며, 내부에 형성된 바디공간(101)이 상기 상측개구면(102) 및 하측개구면(104)과 각각 연통된다.
상기 바디공간(101)의 상측에 상기 상측개구면(102)이 배치되고, 상기 바디공간(101)의 하측에 상기 하측개구면(104)이 배치된다.
상기 상측개구면(102)에 상기 헤드(300)가 탈착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바디(100)는 상기 바디공간(101) 및 상측개구면(102)을 연결하는 채널(103)이 형성된다. 상기 채널(103)에 상기 스트로(22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채널(103)은 상기 상측개구면(102) 및 바디공간(101)을 연결시킨다.
상기 스트로(220)의 용이한 삽입을 위해, 상기 채널(103)이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300)의 하단(302)이 상기 상측개구면(102)을 관통하여 상기 채널(103)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헤드(300) 및 스트로(220)가 상기 채널(220) 안에서 서로 밀착될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상측개구면(102) 및 채널(220)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측개구면(102)에 삽입되는 헤드(300)의 하단(302)도 평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상측개구면(102)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하단(302)은 일부만 개방되고, 나머지는 폐쇄된 형태이다. 상기 하단(302)에서 개방된 부분을 하단개구면(303)이라 하고, 폐쇄된 부분을 하단폐쇄면(304)이라 정의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하단개구면(303)은 방향성을 갖는 특정 도형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단개구면(303)은 반원 형상이다.
상기 하단개구면(303)에 대응되도록 상기 스트로(220)의 타단(224)에도 반원 형상의 타단개구면(224a)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폐쇄면(304)에 대응되는 타단폐쇄면(224b)이 형성된다.
상측에 상기 하단개구면(303)이 배치되고, 하측에 타단개구면(224a)이 배치된다. 상기 하단개구면(303) 및 타단개구면(224a)이 일치될 경우, 면적에 대응되는 치약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헤드(300)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하단개구면(303) 및 타단개구면(224a)이 불일치하거나 상기 하단폐쇄면(304)이 상기 타단개구면(224a)을 점유할 경우 치약의 유동량이 저감될 수 있다.
헤드(300)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하단폐쇄면(304)이 및 타단개구면(224a)과 일치할 경우, 치약이 헤드(300)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령이 어린 유아의 경우, 치약에 포함된 불소의 양이 유아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칫솔은 헤드(300)를 회전시켜 치약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유아의 연령 및 체중에 따라 치약의 토출량을 미세 조절할 수 있으며, 유아의 성장함에 따라 치약의 토출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도록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칫솔은 상기 헤드(300)의 수평방향 회전을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헤드(300)의 회전량을 램프(160)를 통해 직관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헤드(300)에 회전인식부재(305)가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300)의 하단(302)에 상기 회전인식부재(305)가 배치된다.
상기 바디(100)에 상기 회전인식부재(305)의 회전각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105)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인식부재(305)는 영구자석이 사용되고, 상기 감지수단(105)은 상기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홀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감지수단(105)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홀센서(105a), 제 2 홀센서(105b) 및 제 3 홀센서(105c)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인식부재(305) 및 제 1 홀센서(105a)가 일치될 경우, 헤드(300)가 정면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회전인식부재(305) 및 제 1 홀센서(105a)가 일치될 경우, 하단개구면(303) 및 타단개구면(224a)가 일치된다.
상기 회전인식부재(305) 및 제 1 홀센서(105a)가 일치될 경우, 바디(100)의 정면에 배치된 버튼(150) 주변의 램프(160)가 발광되고, 이를 통해 상기 헤드(300)의 회전각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회전인식부재(305)가 제 2 홀센서(105b) 또는 제 3 홀센서(105c)와 일치될 경우, 헤드(300)가 정면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회전인식부재(305)가 제 2 홀센서(105b) 또는 제 3 홀센서(105c)와 일치될 경우, 하단개구면(303) 및 타단개구면(224a)이 일부만 오버랩되어 치약이 유동량이 저감될 수 있다.
상기 회전인식부재(305)가 제 2 홀센서(105b) 또는 제 3 홀센서(105c)와 일치될 경우, 상기 램프(160)가 오프되거나 오프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헤드(300)의 회전각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헤드(300)의 회전각에 따라 상기 램프(160)의 색을 변경하여 헤드(300)의 회전각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인식부재(305) 및 제 1 홀센서(105a)가 일치될 경우, 백색으로 램프(160)를 발광시키고, 상기 회전인식부재(305)가 제 2 홀센서(105b)와 일치될 경우, 청색으로 상기 램프(160)를 발광시키며, 상기 회전인식부재(305)가 제 3 홀센서(105c)와 일치될 경우, 적색으로 상기 램프(160)를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인식부재(305)가 어느 홀센서와도 일치되지 않을 경우, 상기 램프(160)를 오프시켜 타단개구면(224a)이 폐쇄된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상기 바디(100)의 상기 하측개구면(104)을 커버하는 베이스(1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바디(100)와 분리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베이스(110)는 지면에 안착되어 칫솔 전체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칫솔이 직립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바디(100)와 나사결합될 수 있고, 상기 하측개구면(104)을 폐쇄시킨다.
상기 베이스(110)의 외주면에 나사산(111)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100)의 내주면 하측에는 상기 베이스(110) 나사산(111)에 대응되는 나사산(112)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10)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나사산(111)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10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단(113)이 형성된다. 상기 단(113)이 상기 바디(100)에 지지되어 상기 베이스(110)의 나사결합 시, 상기 베이스(11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상기 단(113)은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오목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측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에 상기 압축장치(4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장치(400)는 상기 베이스(110)에 조립되어 일체화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110)의 분리 시 함께 바디(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압축장치(400)가 상기 베이스(110)에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카트리지(200)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카트리지(200)를 교체할 때, 상기 베이스(110)를 바디(100)에서 분리하는 과정을 통해 상기 카트리지(200)가 삽입되는 바디공간(101)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압축장치(400)는 배터리(410)와, 상기 배터리(410)에 의해 작동되는 플런저(420)와, 상기 플런저(420)의 끝단에 배치되고, 상기 플런저(4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200)의 다이어프램(230)을 밀어 이동시키는 푸셔(430)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장치(400)는 상기 버튼(150)에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따라 온/오프 될 수 있다. 상기 버튼(150)이 눌려질 경우, 상기 푸셔(430)가 최소 이동단위로 이동된다.
사용자는 상기 버튼(150)이 눌리는 횟수에 따라 상기 푸셔(430)를 이동시킴으로서 치약의 토출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압축장치(400)는 플런저(420)를 통해 상기 푸셔(430)를 이동시키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모터 및 기어조합을 통해 상기 푸셔(430)를 바디(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무방하다.
상기 푸셔(430)는 상기 다이어프램(23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플런저(420)의 작동에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카트리지(200)에 저장된 치약을 상기 스트로(22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카트리지(200)에 저장된 치약은 이동된 다이어프램(230)의 이동길이에 비례하여 타단(224)에서 토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장치(400)는 상기 배터리(410) 및 플런저(420)를 감싸는 압축하우징(4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푸셔(430)는 상기 압축하우징(450)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410)를 충전하는 단자는 상기 베이스(110)의 하측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헤드(300)는 제 1 헤드(310), 제 2 헤드(320) 및 제 3 헤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헤드(310)는 치아가 나지 않은 유아의 잇몸 또는 입안을 양치할 수 있도록 다공성 재질인 스폰지(311)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 2 헤드(320)는 유치가 나거나 나기 시작하는 유아의 치아 및 잇몸을 양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헤드(320)는 유아가 씹을 수 있는 츄잉바디(321, chewing memb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츄잉바디(321)는 유아에게 무해한 실리콘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헤드(330)는 칫솔모(331)가 식재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헤드(300)는, 하단(302)에 하단개구면(303) 및 하단폐쇄면(304)이 형성된 헤드바디(350)와, 상기 헤드바디(350)의 상단(301) 측에 형성된 토출구(306)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헤드(310)의 스폰지(311)는 상기 토출구(306)을 감싸게 배치된다. 상기 토출구(306)에서 토출된 치약이 상기 스폰지(311)를 적실 수 있고, 적셔진 치약을 통해 유아의 양치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 2 헤드(320)의 츄잉바디(321)는 상기 토출구(306)를 감싸게 배치된다. 상기 토출구(306)에서 토출된 치약이 상기 츄잉바디(321) 사이로 토출되고, 치아가 성장하는 유아가 츄잉바디(321)를 씹는 저작동작을 통해 양치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츄잉바디(321)는 탄성이 있는 말랑말랑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유아의 저작관련 근육 형성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츄잉바디(321)는 상기 상단(301)이 삽입되는 중심부(322)와, 상기 중심부(322)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306)의 치약이 토출되는 츄잉토출구(323)와, 상기 중심부(322)에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24)와, 상기 중심부(322) 및 연장부(324)에서 돌출된 다수개의 돌기부(325)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324)는 상기 중심부(322)의 일측단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연장부(324a)와, 상기 중심부(322)의 타측단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연장부(324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장부(324a) 및 제 2 연장부(324b)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마주보게 배치된 상기 제 1 연장부(324a) 및 제 2 연장부(324b)에 다수개의 상기 돌기부(32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츄잉토출구(323)는 제 1 연장부(324a) 및 제 2 연장부(324b) 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 3 헤드(330)의 칫솔모(331) 사이에 상기 토출구(306)가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306)에서 토출된 치약이 칫솔모(331) 사이로 토출되기 때문에, 간편하게 양치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바디 110 : 베이스
200 : 카트리지 210 : 하우징
220 : 스트로 230 : 다이어프램
300 : 헤드 310 : 제 1 헤드
320 : 제 2 헤드 330 : 제 3 헤드

Claims (5)

  1. 사용자가 쥘 수 있는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내측에 바디공간(101)이 형성된 바디(100);
    상기 바디(100)와 탈착가능하게 조립되고, 치약이 토출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헤드;
    상기 바디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에 치약을 제공하는 카트리지(200);
    상기 바디(100)에 배치되고, 상기 카트리지(200)에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카트리지에 저장된 치약을 상기 헤드로 유동시키는 압축장치(400);
    상기 헤드에 배치되는 회전인식부재(305); 및
    상기 바디(100)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인식부재(305)의 회전각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105);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200)는, 내부에 저장공간(211)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211)에 치약이 충진되는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에 결합되고, 일단(222)이 상기 하우징(210)의 저장공간(211)과 연통되고, 타단(224)이 상기 헤드에 삽입되는 스트로(220); 상기 하우징(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다이어프램(230);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10)의 폭(W2)이 상기 스트로(220)의 폭(W1) 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압축장치(400)는,
    상기 바디(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410); 상기 배터리(410)에 의해 작동되는 플런저(420); 상기 플런저(420)의 끝단에 배치되고, 상기 플런저(42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230)을 상기 스트로(220)의 일단(222) 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푸셔(430);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의 하단(302) 일부에 형성되고, 치약이 이동되는 하단개구면(303);
    상기 헤드의 하단(302) 나머지에 형성되는 하단폐쇄면(304);
    상기 하단개구면(303)에 대응되도록 상기 스트로(220)의 타단(224)에 형성되고, 치약이 이동되는 타단개구면(224a);
    상기 스트로(220)의 타단(224)에 형성된 타단폐쇄면(224b);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인식부재(305)는 상기 하단폐쇄면(304)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수단(105)이 상기 타단폐쇄면(224b)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인식부재(305)의 회전각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수단(105)은, 제 1 홀센서(105a), 제 2 홀센서(105b) 및 제 3 홀센서(105c)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인식부재(305) 및 제 1 홀센서(105a)가 일치될 경우, 상기 하단개구면(303) 및 타단개구면(224a)이 연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바디(100)에 배치된 버튼(150) 주변의 램프(160)가 발광되며,
    상기 회전인식부재(305)가 상기 제 2 홀센서(105b) 또는 제 3 홀센서(105c)와 일치될 경우, 상기 회전인식부재(305) 및 제 1 홀센서(105a)가 일치될 때 발광되는 색과 다른 색으로 상기 램프(160)를 발광시키고,
    상기 회전인식부재(305)가 상기 제 1 홀센서(105a), 제 2 홀센서(105b) 및 제 3 홀센서(105c)와 일치되지 않을 경우, 상기 램프(160)를 오프시키는 유아의 성장에 따른 헤드교체형 칫솔.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토출구를 감싸게 배치된 다공성재질을 포함하는 제 1 헤드를 포함하는 유아의 성장에 따른 헤드교체형 칫솔.
  4. 삭제
  5. 삭제
KR1020210044112A 2021-04-05 2021-04-05 유아의 성장에 따른 헤드교체형 칫솔 KR102351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112A KR102351032B1 (ko) 2021-04-05 2021-04-05 유아의 성장에 따른 헤드교체형 칫솔
KR1020220003402A KR102498491B1 (ko) 2021-04-05 2022-01-10 치약 일체형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112A KR102351032B1 (ko) 2021-04-05 2021-04-05 유아의 성장에 따른 헤드교체형 칫솔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402A Division KR102498491B1 (ko) 2021-04-05 2022-01-10 치약 일체형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032B1 true KR102351032B1 (ko) 2022-01-13

Family

ID=793421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112A KR102351032B1 (ko) 2021-04-05 2021-04-05 유아의 성장에 따른 헤드교체형 칫솔
KR1020220003402A KR102498491B1 (ko) 2021-04-05 2022-01-10 치약 일체형 칫솔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402A KR102498491B1 (ko) 2021-04-05 2022-01-10 치약 일체형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5103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3044A (ko) * 1997-08-19 2001-03-26 베레스크 바이오시스템즈 리미티드 브러쉬
KR200405909Y1 (ko) 2005-10-31 2006-01-11 서지혜 치약 튜브를 결합한 칫솔
KR20080064191A (ko) * 2005-11-29 2008-07-08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분배형 칫솔
KR20100053288A (ko) * 2008-11-12 2010-05-20 고영수 씹는 칫솔
KR20130004156U (ko) 2011-12-28 2013-07-08 이중민 유아ㆍ어린이용 칫솔
KR20190117975A (ko) * 2018-04-09 2019-10-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
KR20200015018A (ko) * 2018-08-02 2020-02-12 송준실 탄성다공간체를 갖는 치아세면도구
KR102176455B1 (ko) 2020-02-04 2020-11-09 김은진 기능성 칫솔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3044A (ko) * 1997-08-19 2001-03-26 베레스크 바이오시스템즈 리미티드 브러쉬
KR200405909Y1 (ko) 2005-10-31 2006-01-11 서지혜 치약 튜브를 결합한 칫솔
KR20080064191A (ko) * 2005-11-29 2008-07-08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분배형 칫솔
KR20100053288A (ko) * 2008-11-12 2010-05-20 고영수 씹는 칫솔
KR20130004156U (ko) 2011-12-28 2013-07-08 이중민 유아ㆍ어린이용 칫솔
KR20190117975A (ko) * 2018-04-09 2019-10-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어린이용 기능성 칫솔
KR20200015018A (ko) * 2018-08-02 2020-02-12 송준실 탄성다공간체를 갖는 치아세면도구
KR102176455B1 (ko) 2020-02-04 2020-11-09 김은진 기능성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331A (ko) 2022-10-12
KR102498491B1 (ko) 2023-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1934B2 (en) Toothbrush
AU638776B2 (en) Pressurized medicant applicator
US9259079B2 (en) Oral care implement
US9861459B2 (en) Toothbrush and method for proper brushing of teeth and gums in the direction of gum growth optionally with an attached camera
US4033007A (en) Toothbrush
US7748072B2 (en) Toothbrush
US20130091645A1 (en) Electric Toothbrush
US20070131241A1 (en) Toothbrush with illumination system
KR20090116796A (ko) 사용자 상호작용식 디스플레이를 갖는 구강 관리 기구
US7901153B1 (en) Disposable toothbrush apparatus
US6453499B1 (en) Toothbrush
US4106152A (en) Toothbrush
US4370773A (en) Toothbrush
KR102351032B1 (ko) 유아의 성장에 따른 헤드교체형 칫솔
CN106031553A (zh) 用于结合有牙线的牙刷的结构化配置
WO2019236192A1 (en) Tooth brush assembly
EP0252710A1 (en) Teeth cleaning device
JP2007325806A (ja) 口腔内衛生装置
KR200455594Y1 (ko) 잇몸마사지용 칫솔
KR20200020091A (ko) 칫솔 교체시기 알림 장치가 구비된 케이스
KR102132182B1 (ko)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
KR200476545Y1 (ko) 치간칫솔
KR101543550B1 (ko) 칫솔용 커버
KR200382580Y1 (ko) 유아용 칫솔
KR102678417B1 (ko) 양치 학습 기능을 갖는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