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182B1 -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 - Google Patents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182B1
KR102132182B1 KR1020200018505A KR20200018505A KR102132182B1 KR 102132182 B1 KR102132182 B1 KR 102132182B1 KR 1020200018505 A KR1020200018505 A KR 1020200018505A KR 20200018505 A KR20200018505 A KR 20200018505A KR 102132182 B1 KR102132182 B1 KR 102132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toothbrush
head
tub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은미
이현주
전수진
Original Assignee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8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58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metered dosag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1/00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 A46B11/001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 A46B11/002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 A46B11/0024Brushes with reservoir or other means for applying substances, e.g. paints, pastes, water with integral reservoirs pressurised at moment of use manually or by powered means with a permanently displaceable pressurising member that remain in position unless actuated, e.g. lead-screw or ratchet mechanisms, toothpaste tube twisting or 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은 사용자의 구강에 삽입되어 치아를 칫솔 헤드; 사용자가 양치시, 손잡이에 해당하며, 상기 칫솔 헤드에 치약을 공급하는 칫솔 몸체; 및 상기 칫솔 몸체에서 상기 칫솔 헤드로 공급되는 치약의 양을 복수의 단계로 조절하는 치약공급 제어부;를 포함하여 칫솔의 손잡이 부분 내부로 치약을 형성하여 눌렀을 때 나오는 적정량의 치약으로 양치질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칫솔과 치약을 따로 챙기지 않아도 되는 간편한 효과가 있고, 유아들에게 일일이 치약을 짜주는 수고스러움을 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TOOTHBRUSH CAPABLE OF SUPPLYING SELF TOOTHPASTE}
본 발명은 자체 치약 공급이 가능한 칫솔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칫솔 손잡이 부분에 내부로 치약튜브를 삽입하여 칫솔모와 반대단에 있는 제어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치약튜브의 치약이 칫솔모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양치질은 일상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기본 생활습관이라고 말할 수 있다.
특히 긍정적이고 올바르게 자리 잡힐 수 있도록 성장하는 유아들에게 양치질은 더욱 중요한 생활습관이다.
밥 먹는 속도가 각각 다른 아이들은 자신의 식사가 끝나면 양치질을 하기 위해 교사에게 오는데, 교사 입장에서는 많은 아이들이 시간차를 두고 도움요청을 해옴으로 인해 교사들이 점심 식사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가정에서도 아이들이 식사 후 양치질을 할 때 치약을 짜달라며 부모에게 요청하는 경우가 흔하게 발생하는데 매번 이런 요청을 하는 것이 상당한 번거로울 수 있다.
종래에도 유사한 제품이 있지만, 아이들이 잡고 사용하기에는 칫솔이 너무커 양치질을 제대로 할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버튼 누르는 부분이 공기주입식이기 때문에 치약 주입 및 용량 조절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고, 칫솔 몸통에 치약을 주입해야하기 때문에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불빛 센서가 치아를 인식한 후 충전된 치약이 자동으로 나오기 때문에 치약의 양을 조절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48162
상술한 실정과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우해 본 발명은 칫솔 손잡이 부분에 내부로 치약튜브를 삽입하여 칫솔모와 반대단에 형성된 제어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치약튜브의 치약이 칫솔모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은 사용자의 구강에 삽입되어 치아를 칫솔 헤드; 사용자가 양치시, 손잡이에 해당하며, 상기 칫솔 헤드에 치약을 공급하는 칫솔 몸체; 및 상기 칫솔 몸체에서 상기 칫솔 헤드로 공급되는 치약의 양을 복수의 단계로 조절하는 치약공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의 치약공급 제어부는 상기 치약튜브에서 상기 치약배출 구멍으로 공급되는 치약의 양을 조절하는 치약양 조절부; 및 상기 치약양 조절부에서 조절된 양의 치약이 최종적으로 상기 치약배출 구멍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버튼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의 버튼부는 사용자의 눌림이 이루어지는 헤드; 말단부분에서 외측으로 형성된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드와 연결되어 해당 헤드를 누르는 힘을 전달받아 상기 치약튜브에 압력이 가하는 누름바; 상기 누름바의 중공된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치약튜브 누름을 돕는 연장 누름바; 상기 누름바의 중공된 부분 안쪽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 누름바를 상기 치약튜브가 위치한 방향으로 누르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내측 스프링; 상기 케이스 내주면과 상기 누름바 외부면에 개재된 외측 스프링; 및 상기 케이스 내주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의 버튼부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는 상기 헤드를 누름에 따라 상기 케이스 내주면으로 형성된 절개라인을 따라 이동한 후, 상기 케이스 내주면과 상기 누름바 외주면 사이에 개재된 상기 외측 스프링의 비틀림 탄성력에 의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걸림턱에 걸림에 따라 눌렀던 버튼부가 눌림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은 칫솔의 손잡이 부분 내부로 치약을 형성하여 눌렀을 때 나오는 적정량의 치약으로 양치질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칫솔과 치약을 따로 챙기지 않아도 되는 간편한 효과가 있고, 유아들에게 일일이 치약을 짜주는 수고스러움을 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장치 공급이 가능한 칫솔은 유아들의 칫솔에 치약을 짜주는 수고를 덜어주어 교사들 생활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의 분리 가능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의 몸체와 복수의 칫솔 헤드가 교체 가능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에 치약배출 구멍이 형성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의 치약 공급양 조절과 내부 치약튜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의 버튼부 누름 높이 조절이 가능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의 버튼부 누름 높이 조절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 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
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은 칫솔 헤드(100), 칫솔 몸체(200), 및 치약공급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솔 헤드(100)는 상기 칫솔 모체(200)와 분리 가능하다.
무엇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치솔 몸체(200)에 복수의 칫솔 헤드(100)가 세트로 구비되어, 칫솔모가 닳는 등 필요에 따라 교체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 헤드(100)는 칫솔 튜브관(110), 치약배출 구멍(120), 및 칫솔모(130)를 포함한다.
상기 칫솔 튜브관(110)은 칫솔 몸체(200)에서 공급되는 치약이 상기 치약배출 구멍으로 공급한다.
상기 치약배출 구멍(120)은 사용자의 입속에 들어가는 상기 칫솔 헤드(100) 말단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칫솔 몸체(200)에서 상기 칫솔 튜브관(110)을 통해 공급되는 치약을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복수개가 형성되어있다.
상기 칫솔모(130)는 사용자의 치아와 직접 접촉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칫솔 헤드(100) 말단부위에 형성된 치약배출 구멍(120) 주변으로 복수개가 기립형성되어, 상기 치약배출 구멍(120)을 통해 공급되는 치약을 치아에 고루 분산시키면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칫솔 몸체(2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양치질을 하는 부분으로 케이스(210)와 치약튜브(22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10)는 원통형 구조로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치약튜브(220)는 중공된 형상의 상기 케이스(210) 내부에 삽입되어 전단의 상기 칫솔 튜브관(110)과 연결되어 상기 치약배출 구멍(120)으로 치약을 공급하고, 다 사용되는 경우 교체가 가능하다.
상기 치약공급 제어부(300)는 치약양 조절부(310) 및 버튼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치약양 조절부(31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칫솔 헤드(100)와 반대되는 칫솔 끝단에 눈금 링이 형성되어, 해당 눈금 링을 돌려 용량설정 창에 연령에 맞게 양치시 사용되는 치약 용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320)는 상기 치약양 조절부(310)에서 조절된 양의 치약이 최종적으로 상기 치약배출 구멍(12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구성이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3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치약튜브(220)의 분리 교체가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약양 조절부(310)를 회전함에 따라 눈금 링을 3세, 4세, 5세로 조절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눈금 링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버튼부(320)의 누름 높이(h)가 조절되며 사용 연령에 비례하여 해당 누름 높이(h)가 높아진다.
이때, 상기 눈금 링은 회전하는 상기 치약양 조절부(210) 안쪽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치약양 조절부(210) 주변의 케이스에 형성되어, 고정된 상태의 눈금 링을 기준으로 치약양 조절부(210)만 회전하여 특정 눈금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부(3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21), 누름바(322), 연장 누름바(323), 내측 스프링(324), 외측 스프링(325), 걸림턱(326)을 포함한다.
상기 헤드(321)는 하부가 넓고 상부가 좁은 하광상협 구조로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누름이 가해지는 구성이다. 상기 누름바(322)는 상기 헤드(321)의 하부로 연장 형성된 구성으로 상기 헤드(321)를 누르는 힘을 전달받아 상기 치약튜브(220)에 압력이 가해지도록 한다.
특히, 상기 누름바(322)는 상기 연장 누름바(323)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준공되어 있다.
상기 연장 누름바(323)는 준공된 상기 누름바(322) 내부로 수용되어 길이가 늘어나면서 사용됨에 따라 줄어드는 치약튜브(220)를 누르게 된다.
상기 내측 스프링(324)는 상기 누름바(322)의 중공된 부분 안쪽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 누름바(323)를 상기 치약튜브(220)가 위치한 방향으로 누르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외측 스프링(325)은 일단이 고정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누름바(322)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누름바(322)는 말단부분에서 외측으로 걸림돌기(322b)가 형성되어 좌측에 확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10) 내주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걸림턱(326)에 걸려 있다.
상기 케이스(210)의 내주면으로 상기 걸림돌기(322b)와 대응되는 위치에 절개라인(326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322b)는 상기 헤드(321)를 누름에 따라 상기 절개라인(326a)을 따라 이동한 후, 상기 케이스(210) 내주면과 상기 누름바(322) 외주면 사이에 개재된 상기 외측 스프링(325)의 비틀림 탄성력에 의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걸림턱(326)에 걸림에 따라 눌렀던 버튼부(320)가 눌림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의 사용자는 다음 사용을 위해 상기 헤드(321)를 상기 외측 스프링(325)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려 상기 걸림돌기(322b)가 상기 걸림턱(326)에서 해제되어 상기 절개라인(326a)으로 빠져나와 상기 헤드(321)를 재눌림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한 다음 재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라인(326a)으로 빠져나온 상기 걸림돌기(322b)는 상기 절개라인(326a)을 따라 상방으로 설정된 누름높이(h)만큼 상기 외측 스프링(325)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210)의 외주면은 제1 나사선(211)이 형성되어 상기 치약양 조절부(3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대응되게 형성된 제 2나사선(311)과 치합하여 상기 누름 높이(h)를 조절한다.
즉, 상기 치약양 조절부(310)는 상기 회전하여 상부로 올라감에 따라 상기 누름 높이(h)이 낮추고, 반대로 회전하여 하부로 내려감에 따라 상기 누름 높이(h)를 높이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칫솔 헤드
110 : 칫솔 튜브관
120 : 치약배출 구멍
130 : 칫솔모
200 : 칫솔 몸체
210 : 케이스
211 : 제1 나사선
220 : 치약튜브
300 : 치약공급 제어부
310 : 치약양 조절부
311 : 제2 나사선
321 : 헤드
322 : 누름바
323 : 연장 누름바
324 : 내측 스프링
325 : 외측 스프링
326 : 걸림턱

Claims (8)

  1. 사용자의 구강에 삽입되어 치아를 닦는 칫솔 헤드(100);
    사용자가 양치시, 손잡이에 해당하며, 상기 칫솔 헤드(100)에 치약을 공급하는 칫솔 몸체(200); 및
    상기 칫솔 몸체(200)에서 상기 칫솔 헤드(100)로 공급되는 치약의 양을 복수의 단계로 조절하는 치약공급 제어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칫솔 헤드(100)는
    상기 칫솔 몸체(200)에서 공급되는 치약이 이동하는 칫솔 튜브관(110);
    상기 칫솔 튜브관(110)을 통해 공급된 치약을 배출하는 치약배출 구멍(120); 및
    상기 치약배출 구멍(120) 주변으로 복수개가 기립형성되어, 상기 치약배출 구멍(120)을 통해 공급되는 치약을 치아에 고루 분산시키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칫솔모(130);를 포함하고,
    상기 칫솔 몸체(200)는
    상기 칫솔 헤드(100)와 결합ㆍ분리되며 내부가 중공된 형상을 갖는 케이스(210); 및
    상기 케이스(210) 내부에 수용된, 전단의 상기 칫솔 튜브관(110)과 연결되어 상기 치약배출 구멍(120)으로 치약을 공급하는 치약튜브(220);를 포함하며
    상기 치약공급 제어부(300)는
    상기 치약튜브에서 상기 치약배출 구멍(120)으로 공급되는 치약의 양을 조절하는 치약양 조절부(310); 및
    상기 치약양 조절부(310)에서 조절된 양의 치약이 최종적으로 상기 치약배출 구멍(12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하는 버튼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320)는
    사용자의 눌림이 이루어지는 헤드(321);
    말단부분에서 외측으로 형성된 걸림돌기(322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드(321)와 연결되어 해당 헤드(321)를 누르는 힘을 전달받아 상기 치약튜브(220)에 압력이 가하는 누름바(322);
    상기 누름바(322)의 중공된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치약튜브(220) 누름을 돕는 연장 누름바(323);
    상기 누름바(322)의 중공된 부분 안쪽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 누름바(323)를 상기 치약튜브(220)가 위치한 방향으로 누르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내측 스프링(324);
    상기 케이스(210) 내주면과 상기 누름바(322) 외부면에 개재된 외측 스프링(325); 및
    상기 케이스(210) 내주면에 단차지게 형성된 걸림턱(326);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322b)는
    상기 헤드(321)를 누름에 따라 상기 케이스(210) 내주면으로 형성된 절개라인(326a)을 따라 이동한 후, 상기 케이스(210) 내주면과 상기 누름바(322) 외주면 사이에 개재된 상기 외측 스프링(325)의 비틀림 탄성력에 의해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상기 걸림턱(326)에 걸림에 따라 눌렀던 버튼부(320)가 눌림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스프링(325)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헤드(321)를 돌려 상기 걸림돌기(322b)가 상기 걸림턱(326)에서 해제되어 상기 절개라인(326a)으로 빠져나와 상기 헤드(321)를 재눌림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양 조절부(310)는
    내주면에 제 2나사선(311)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210) 외주면으로 형성된 제1 나사선(211)과 치합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헤드(321)의 누름 높이(h)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
KR1020200018505A 2020-02-14 2020-02-14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 KR102132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505A KR102132182B1 (ko) 2020-02-14 2020-02-14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505A KR102132182B1 (ko) 2020-02-14 2020-02-14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182B1 true KR102132182B1 (ko) 2020-08-05

Family

ID=7204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505A KR102132182B1 (ko) 2020-02-14 2020-02-14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1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970B1 (ko) * 2020-12-14 2021-12-01 이노그랜주식회사 칫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6485A (ko) * 1998-01-22 1998-12-05 유시면 치약 내장형 치솔
CN106213777A (zh) * 2016-08-31 2016-12-14 樊凌风 按动式内置牙膏的牙刷
KR20160148162A (ko) 2015-06-16 2016-12-26 김도경 일체형 치약칫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6485A (ko) * 1998-01-22 1998-12-05 유시면 치약 내장형 치솔
KR20160148162A (ko) 2015-06-16 2016-12-26 김도경 일체형 치약칫솔
CN106213777A (zh) * 2016-08-31 2016-12-14 樊凌风 按动式内置牙膏的牙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970B1 (ko) * 2020-12-14 2021-12-01 이노그랜주식회사 칫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06726A (en) Rubber toothbrush
US4033007A (en) Toothbrush
US2443461A (en) Teeth cleaning and polishing applicator
EP3153130B1 (en) Portable interdental toothbrush
JP2006055668A (ja) 物質を毛、特に睫毛又は眉毛に塗布する器具
KR102132182B1 (ko) 치약 자체 공급이 가능한 칫솔
KR102119588B1 (ko) 잇몸 마사지구를 구비한 전동칫솔
CA1075415A (en) Toothbrush having adjustable bristle head
US4370773A (en) Toothbrush
US4411623A (en) Device for applying toothpaste
US9814301B2 (en) Portable interdental toothbrush
JP2005334104A (ja) マウスピース状のブラシ台の湾曲度を可変とする噛む歯ブラシ
US3081783A (en) Sectional fountain type toothbrush
US20190216214A1 (en) Toothbrush with pick utensil
KR20200085199A (ko) 실리콘 미세모 교체 형 진동칫솔
KR200473611Y1 (ko) 플라그를 알려주는 칫솔
KR200377277Y1 (ko) 칫솔
RU206243U1 (ru) Изделие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KR102351032B1 (ko) 유아의 성장에 따른 헤드교체형 칫솔
CN206166159U (zh) 一种内藏齿间刷的牙刷
US20050058501A1 (en) Disposable toothpaste dispensing toothbrush
CN208987906U (zh) 一种带有软磨粒子去烟渍牙刷
US1518342A (en) Fountain toothbrush
CN211703785U (zh) 一种u型手动牙刷
RU44470U1 (ru) Зубная щет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