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334B1 -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334B1
KR102108334B1 KR1020180119567A KR20180119567A KR102108334B1 KR 102108334 B1 KR102108334 B1 KR 102108334B1 KR 1020180119567 A KR1020180119567 A KR 1020180119567A KR 20180119567 A KR20180119567 A KR 20180119567A KR 102108334 B1 KR102108334 B1 KR 102108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supporter
holder
emergency
railwa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0322A (ko
Inventor
박경환
Original Assignee
박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환 filed Critical 박경환
Priority to KR1020180119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334B1/ko
Publication of KR20200040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3/00Construction of steps for railway vehicles
    • B61D23/02Folding steps for railway vehicles, e.g. hand or mechanically actu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32Accessories, e.g. brakes on ladders
    • E06C5/36Safety devices against slipping or falling of ladders; Safety devices against overloading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32Accessories, e.g. brakes on ladders
    • E06C5/44Other accessories on ladders, e.g. acoustical signalling devices, dismountable switc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8Devices for preventing persons from falling
    • E06C7/181Additional gripping devices, e.g.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42Ladder feet; Suppor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철도차량의 비상상황 발생 시 차량의 정지 상태에서 각 객실 내 수납함에 보관된 비상사다리를 출입문에 간편하게 설치한 후 승객들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차량 밖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한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는, 일정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측판이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측판 사이에 다수 개의 발판이 일정 간격으로 수평 설치되어 형성된 사다리 본체와; 상기 사다리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 형태로 인출되며, 그 상단 후측에는 철도차량 사이드 출입문의 문틀에 단속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홀더와; 상기 사다리 본체의 측판 하단으로부터 각각 선택적으로 인출되면서 지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서포터 및; 일정 길이의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사다리 본체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EMERGENCY LADDER FOR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철도차량의 운행 중 비상정차 발생 시 해당 차량의 객실 내 수납 보관된 비상사다리를 출입문에 간편하게 설치한 후 신속하고 안전하게 승객들이 차량으로부터 하차할 수 있도록 한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선로 위를 주행하면서 다수의 승객 등을 실어 나르는 대규모 대중교통수단이다.
상기 철도차량에는 승객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당 차량의 고장이나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 시, 차량의 정차 상태에서 승객을 차량 밖으로 신속히 대피시키기 위한 비상탈출장치가 구비된다.
종래의 철도차량용 비상탈출장치의 일예로, 철도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되는 비상구 측에 비상탈출장치가 설치되어 적용되고 있는데, 이는 비상상황 발생에 따른 철도차량 전방 및 후방의 비상구 개방 시, 비상탈출용 램프가 철도차량 밖의 지면을 향해 펼쳐지면서 승객에게 비상탈출을 위한 이동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철도차량용 비상탈출 램프는 철도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된 비상구 측에 각각 구비됨에 따라, 비상상황 발생 시 모든 승객이 해당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구비된 비상구 측으로 이동하여야만 하므로, 승객의 탈출에 많이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특히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경우에는 해당 철도차량으로부터의 비상탈출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1019호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03277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철도차량의 비상상황 발생 시 차량의 정지 상태에서 각 객실 내 수납함에 보관된 비상사다리를 사이드 출입문에 간편하게 설치한 후 승객들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차량 밖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한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는, 일정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측판이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측판 사이에 다수 개의 발판이 일정 간격으로 수평 설치되어 형성된 사다리 본체와; 상기 사다리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 형태로 인출되며, 그 상단 후측에는 철도차량 사이드 출입문의 문틀에 단속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홀더와; 상기 사다리 본체의 측판 하단으로부터 각각 선택적으로 인출되면서 지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서포터 및; 일정 길이의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사다리 본체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부는 그 상단이 일정 각도로 절곡된 봉형상의 몸체를 갖으며, 상기 몸체 중앙 및 하단 측에는 각각 회전바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각 회전바의 타단은 상기 사다리 본체의 외측면 상측 및 중앙 부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사다리 본체로부터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부가 접혀진 상태에서, 그 몸체의 상단 및 하단과 대응되는 상기 측판의 상단 및 하단 일정 지점에는 몸체가 안착 고정되는 "∪" 형상의 손잡이 안착부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손잡이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손잡이부의 회전바와 대응되는 상기 측판의 상단 및 중앙 일정 지점에는 일측에 경사돌기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손잡이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각 회전바의 일정 지점에는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의 일측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프레임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의 경사돌기에 단속되는 봉형상의 이동부재가 가압스프링 내장된 하우징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포터는 사각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그 후면에 톱니형태의 고정부 단속턱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서포터의 고정부 단속턱과 대응되는 측판 내부에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상단에 가압부가 돌출 형성되고 하단에 서포터 고정부가 돌출 형성된 서포터 고정부재가 회전축 및 스프링을 매개로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포터가 인출되는 상기 사다리 본체의 측판 하단 내부에는 상기 고정부 단속턱의 하단이 맞닿으면서 서포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서포터 이탈방지부재가 대응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홀더 양측에는 한 쌍의 서포터를 각각 인출시키기 위한 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는 측판에 길이방향을 따라 내장되는 연결봉과 철심과 확장부 및 레버용 스프링과 연계되어 구성되며, 상기 측판 내부의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는 "┳"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에 스프링이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확장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며 하단에 서포터 걸림부가 형성된 서포터 조작부재가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서포터의 상단에는 상기 서포터 조작부재의 서포터 걸림부가 단속되는 걸림바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사각파이프 형태를 갖는 홀더의 양측 내부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는 홀더의 인출 시 상기 측판의 상단에 지지되면서 임의적인 인입이 방지되도록 하는 바(bar) 형상의 홀더 고정부재가 회전축 및 홀더 고정부재 스프링을 매개로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홀더가 인출되는 상기 사다리 본체의 측판 상단 내부 및 상기 홀더의 후측 외면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는 상기 홀더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홀더 이탈방지부재가 대응되게 구비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구조를 통해 그 부피를 최소화시킨 상태로 철도차량의 수납함 내에 비상사다리를 수납 보관한 상태에서, 해당 철도차량의 비상상황 발생 시 수납함에 보관된 비상사다리를 철도차량의 각 객차내 구비된 사이드 출입문에 간편하게 설치한 후 승객들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차량 밖으로 탈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때,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는 다수 개의 발판이 제공되는 사다리 본체의 상단 및 하단으로 홀더 및 서포터를 간편하게 인출시켜 철도차량의 출입문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한 쌍의 서포터는 지면의 높낮이에 따라 그 인출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가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비상사다리를 설치한 후 승객이 철도차량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가 접혀진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가 펼쳐진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및 일측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가 펼쳐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일측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가 철도차량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가 접혀진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가 펼쳐진 상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및 일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는, 철도차량의 비상상황 발생 시 차량의 정지 상태에서 각 객실 내 수납함에 그 부피가 최소화된 상태로 보관된 비상사다리를 펼쳐 출입문에 간편하게 설치한 후, 승객들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차량 밖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는, 일정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측판(12)이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측판(12) 사이에 다수 개의 발판(14)이 일정 간격으로 수평 설치되어 형성된 사다리 본체(10)가 구비되며, 상기 사다리 본체(10)의 상단 및 하단으로는 각각 특정 구조의 홀더(20) 및 서포터(40)가 선택적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사다리 본체(10)의 일측에는 절첩 가능한 구조로 손잡이부(8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사다리 본체(1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측판(12)은 상기 홀더(20) 및 서포터(40)의 인입을 위해 소정 공간부를 갖는 일정 길이의 사각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20)는 대략 "┏┓"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사다리 본체(10)의 상단을 통해 인출되도록 이루어지며, 그 상단의 후측에는 해당 철도차량(100)의 사이드 출입문(200) 문틀에 안정적으로 단속 고정되도록 고정홈(22)이 대략 "┓" 형태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홀더(20)에서 수직상태를 이루는 한 쌍의 부재는 대략 사각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의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는 해당 홀더(20)의 인출 시 상기 측판(12)의 상단에 지지되면서 임의적인 인입이 방지되도록 하는 홀더 고정부재(30)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홀더 고정부재(30)는 대략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회전축(34)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에는 홀더고정부(32)가 구비되어 홀더 고정부재용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그 하단 부분이 홀더(2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사다리 본체(10)의 측판(12) 상단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홀더(20)가 인출되는 상기 사다리 본체(10)의 측판(12) 상단 내부 및 상기 홀더(20)의 후측 외면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는 상호 대응되는 구조로 홀더 이탈방지부재(18,22)가 형성되어, 상기 홀더(20)의 인출 시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포터(40)는 상기 사다리 본체(10)의 측판(12) 하단으로부터 각각 지면의 높이에 맞춰 일정 길이만큼 인출되면서 바닥부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서포터(40)는 상기 홀더(20)의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레버(60) 조작에 의한 서포터 조작부재(70)의 작동을 통해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되면서 인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서포터(40)의 자동 인출을 위해 상기 홀더(20)에 구비된 한 쌍의 레버(60)가 각 서포터(40)와 연계되는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레버(60)에 일정 길이의 연결봉(61)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봉(61)의 하단에는 일정 길이의 철심(62)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철심(62)의 상단 측에는 레버용 스프링(64)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철심(62)의 하단에는 대략 봉형상을 갖는 확장부(6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봉(61)과 철심(62), 레버용 스프링(64) 및 확장부(63)는 각 측판(12)에 길이방향을 따라 내장 설치된다.
또한, 상기 측판(12) 내부의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는 그 형상이 대략 "┳" 형상을 갖는 서포터 조작부재(70)가 회전축(77)을 매개로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공되는데, 상기 서포터 조작부재(70)의 일단은 스프링 연결부(72)로 제공되어 서포터 조작부재용 스프링(78)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상기 레버(80)와 연계된 확장부(63)가 단속되도록 확장부 걸림부(74)가 형성되며, 그 하단에는 서포터 걸림부(76)가 대략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 상기 서포터 조작부재(70)의 서포터 걸림부(76)에 해당 서포터(40)가 선택적으로 단속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각 서포터(40)의 상단에는 걸림바(44)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측판(12) 내부로 선택적으로 인입 및 인출되는 각 서포터(40)는 대략 사각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며, 그 후면에는 대략 톱니형태로 이루어진 고정부 단속턱(42)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 상기 서포터(40)의 고정부 단속턱(42)과 대응되도록 각 측판(12)의 내부에는 대략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상단에 가압부(54)가 측판(12) 외부로 돌출 형성되고 그 하단에 상기 고정부 단속턱(42)에 맞물리도록 서포터 고정부(52)가 돌출 형성된 서포터 고정부재(50)가 회전축(56) 및 서포터 고정부재용 스프링(58)을 매개로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서포터(40)가 인출되는 각 측판(12)의 하단 내부에는 상기 고정부 단속턱(42)의 하단이 맞닿으면서 서포터(40)의 이탈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서포터 이탈방지부재(19)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사다리 본체(10)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손잡이부(80)는 선택적으로 절첩 가능한 구조로 제공된다.
상기 손잡이부(80)는 그 상단이 일정 각도로 절곡된 봉형상의 손잡이 몸체(82)가 구비되고, 상기 봉형상의 손잡이 몸체(82) 중앙 및 하단 측에는 각각 회전바(84)의 일단이 제 1힌지(86)를 통해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바(84)의 타단은 상기 사다리 본체(10)의 측판(12) 상측 및 중앙 부분에 제 2힌지(88)를 통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80)가 접혀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 몸체(82)의 상단 및 하단과 대응되는 상기 측판(12)의 상단 및 하단 일정 지점에는 대략 "∪" 형상을 갖는 손잡이 안착부(16)가 설치되어 제공된다.
또, 상기 손잡이부(80)가 펼쳐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부(80)의 회전바(84)와 대응되는 상기 측판(12)의 상단 및 중앙 일정 지점에는 일측에 경사돌기(90a)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손잡이 고정부재(90)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각 회전바(84)의 일정 지점에는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90)의 일측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대략 사각틀 형상을 갖는 고정프레임(92)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92)과 인접한 지점에는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90)의 경사돌기(90a)에 단속되도록 대략 봉형상을 갖는 이동부재(94)가 상.하 이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제공된다.
상기 이동부재(94)는 대략 관형상의 하우징(96) 내에 그 상단 및 하단이 방출된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96) 내에 구비된 가압스프링(98)을 매개로 하측을 향한 외력을 인가받으면서 그 하단이 상기 경사돌기(90a)에 가이드된 후 단속되도록 구성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는 철도차량(100)의 출입문(200)과 인접한 내부에 구비된 수납함(300)에 수납 보관된 상태로 해당 철도차량(100)의 운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철도차량(100)의 운행 중,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승객의 대피가 필요한 경우, 승무원이나 승객 등은 상기 비상사다리를 수납함(300)으로부터 꺼낸 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철도차량(100)의 사이드 출입문(200) 측으로 이동시켜 사용하게 된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의 비상사다리에서, 상기 사다리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부(80)를 제 1 및 제 2힌지(86,88)를 매개로 회전시켜 상기 손잡이부(80)가 사다리 본체(10)의 일측에 펼쳐져 고정되면서 승객에게 가이드 역할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도 5b 참조).
이때, 상기 손잡이부(80)는 상기 측판(12)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 고정부재(90)에 상기 손잡이부(90)에 구비된 고정프레임(92) 및 이동부재(94)가 단속되면서 외력에 의한 임의적인 유동이 방지되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사다리 본체(10)의 일측에 손잡이부(8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다리 본체(10) 상단에 구비된 홀더(20)를 잡아당겨 일정 길이만큼 인출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홀더(20)의 인출 시에는 상기 사다리 본체(10)의 측판(12) 상단 내부 및 상기 홀더(20)의 후측 외면에 형성된 홀더 이탈방지부재(18,22)가 상호 맞닿으면서 홀더(20)의 임의적인 이탈이 방지되며, 또한 상기 홀더(20)에 내장된 홀더 고정부재(30)의 홀더고정부(32)가 홀더 고정부재용 스프링(36)의 작용에 의해 홀더(20) 외부로 돌출되면서 사다리 본체(10)의 측판(12) 상단에 지지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홀더(20)가 외력에 의해 임의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사다리 본체(10)로부터 홀더(20)의 인출이 완료되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20)에 구비된 고정홈(22)을 매개로 상기 비상사다리를 해당 철도차량(100)의 사이드 출입문(200) 문틀에 고정시킨다.
그 후,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다리 본체(10)의 하단에 구비된 한 쌍의 서포터(40)가 인출되도록 동작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홀더(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레버(60)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레버(60)와 연결봉(61) 및 철심(62)을 매개로 연계된 확장부(63)가 상기 서포터 조작부재(70)의 확장부 걸림부(74)를 상승시키게 되며, 이에 상기 서포터 걸림부(76)의 연동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단속된 각 서포터(40)의 걸림바(44)가 해제되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에, 상기 사다리 본체(10)의 각 측판(12)에 내장된 한 쌍의 서포터(40)는 자중에 의해 그 하단이 지면에 닿을 때까지 인출되게 되며, 인출된 후에는 상기 서포터 고정부재(50)의 서포터 고정부(52)가 각 서포터(40)의 고정부 단속턱(42) 일정 지점에 외력을 인가하여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의 설치가 완료됨에 따라, 해당 철도차량(100)에 탑승한 승객 및 승무원 등은 상기 사다리 본체(10)에 구비된 다수 개의 발판(14)을 순차적으로 밟고 내려오면서, 안전하게 해당 철도차량(100) 외부로 탈출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철도차량(100) 출입문(200) 측에 설치된 상기 비상사다리를 복귀시키는데 있어서는, 상기 한 쌍의 서포터(40)를 지지하는 서포터 고정부재(50)에 외력을 인가하여 그 지지력이 해제되도록 한 후 서포터(40)를 사다리 본체(10)의 측판(12) 내로 인입시키는 한편, 상기 홀더(20)를 지지하는 홀더 고정부재(30)에 외력을 인가하여 지지력이 해제되도록 한 후 홀더(20)를 사다리 본체(10)의 측판(12) 내로 인입시킴에 따라, 상기 비상사다리의 부피가 다시 최소화된 상태가 되면서 수관함(300) 내에 보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는 것이다.
10: 사다리 본체, 12: 측판, 14: 발판,
16: 손잡이 안착부, 18,22: 홀더 이탈방지부재, 19: 서포터 이탈방지부재,
20: 홀더, 22: 고정홈, 30: 홀더 고정부재,
32: 홀더 고정부, 40: 서포터, 42: 고정부 단속턱,
44: 걸림바, 50: 서포터 고정부재, 52: 서포터 고정부,
54: 가압부, 60: 레버, 61: 연결봉,
62: 철심, 63: 확장부, 64: 레버용 스프링,
70: 서포터 조작부재, 72: 스프링 결합부, 74: 확장부 걸림부,
76: 서포터 걸림부, 80: 손잡이부, 82: 손잡이 몸체,
84: 회전바, 86: 제 1힌지, 88: 제 2힌지,
90: 손잡이 고정부재, 90a: 경사돌기, 92: 고정프레임,
94: 이동부재, 96: 하우징, 98: 가압스프링,
100: 철도차량, 200: 출입문, 300: 수납함.

Claims (9)

  1. 일정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측판이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측판 사이에 다수 개의 발판이 일정 간격으로 수평 설치되어 형성된 사다리 본체와;
    상기 사다리 본체의 상단으로부터 "┏┓" 형태로 인출되며, 그 상단 후측에는 철도차량 사이드 출입문의 문틀에 단속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홀더와;
    상기 사다리 본체의 측판 하단으로부터 각각 선택적으로 인출되면서 지면에 지지되는 한 쌍의 서포터 및;
    일정 길이의 봉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사다리 본체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홀더 양측에는 한 쌍의 서포터를 각각 인출시키기 위한 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는 측판에 길이방향을 따라 내장되는 연결봉과 철심과 확장부 및 레버용 스프링과 연계되어 구성되며,
    상기 측판 내부의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는 "┳"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에 스프링이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확장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며 하단에 서포터 걸림부가 형성된 서포터 조작부재가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각 서포터의 상단에는 상기 서포터 조작부재의 서포터 걸림부가 단속되는 걸림바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그 상단이 일정 각도로 절곡된 봉형상의 몸체를 갖으며, 상기 몸체 중앙 및 하단 측에는 각각 회전바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상기 각 회전바의 타단은 상기 사다리 본체의 외측면 상측 및 중앙 부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사다리 본체로부터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접혀진 상태에서, 그 몸체의 상단 및 하단과 대응되는 상기 측판의 상단 및 하단 일정 지점에는 몸체가 안착 고정되는 "∪" 형상의 손잡이 안착부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손잡이부의 회전바와 대응되는 상기 측판의 상단 및 중앙 일정 지점에는 일측에 경사돌기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손잡이 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각 회전바의 일정 지점에는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의 일측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프레임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손잡이 고정부재의 경사돌기에 단속되는 봉형상의 이동부재가 가압스프링 내장된 하우징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사각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그 후면에 톱니형태의 고정부 단속턱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서포터의 고정부 단속턱과 대응되는 측판 내부에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상단에 가압부가 돌출 형성되고 하단에 서포터 고정부가 돌출 형성된 서포터 고정부재가 회전축 및 스프링을 매개로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가 인출되는 상기 사다리 본체의 측판 하단 내부에는 상기 고정부 단속턱의 하단이 맞닿으면서 서포터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서포터 이탈방지부재가 대응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사각파이프 형태를 갖는 홀더의 양측 내부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는 홀더의 인출 시 상기 측판의 상단에 지지되면서 임의적인 인입이 방지되도록 하는 바(bar) 형상의 홀더 고정부재가 회전축 및 홀더 고정부재 스프링을 매개로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가 인출되는 상기 사다리 본체의 측판 상단 내부 및 상기 홀더의 후측 외면 일정 높이를 갖는 지점에는 상기 홀더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홀더 이탈방지부재가 대응되게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KR1020180119567A 2018-10-08 2018-10-08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KR102108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567A KR102108334B1 (ko) 2018-10-08 2018-10-08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567A KR102108334B1 (ko) 2018-10-08 2018-10-08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322A KR20200040322A (ko) 2020-04-20
KR102108334B1 true KR102108334B1 (ko) 2020-05-08

Family

ID=70467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567A KR102108334B1 (ko) 2018-10-08 2018-10-08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3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916B1 (ko) * 2020-05-29 2020-09-02 이승준 핸드 캐리어용 계단 이동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6481A (ja) * 1998-12-22 2000-07-04 Matsuoka Kenki Kk 梯子用手摺
JP2006328855A (ja) * 2005-05-27 2006-12-07 Mamoru Haneda 補助脚構造及び係止構造を備えた梯子
JP2006348630A (ja) * 2005-06-17 2006-12-28 Wei-Hao Chang 梯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815B1 (ko) 2010-05-28 2012-11-07 극동정공(주) 비상용 램프
KR101915974B1 (ko) * 2017-02-16 2018-11-12 주식회사 디유이엔지 전동차용 비상 사다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6481A (ja) * 1998-12-22 2000-07-04 Matsuoka Kenki Kk 梯子用手摺
JP2006328855A (ja) * 2005-05-27 2006-12-07 Mamoru Haneda 補助脚構造及び係止構造を備えた梯子
JP2006348630A (ja) * 2005-06-17 2006-12-28 Wei-Hao Chang 梯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322A (ko) 202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76808B1 (en) Door and ramp evacuation unit for passenger transport vehicles
KR102108334B1 (ko) 철도차량용 비상사다리
KR101306104B1 (ko) 전동차용 접이식 휠체어 램프
JP5237930B2 (ja) 軌条車両に備えられる避難装置及びその避難装置の軌条車両への固定方法
KR20120095190A (ko) 철도차량용 원터치 비상탈출 장치
KR101309769B1 (ko) 철도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KR20200071308A (ko) 휴대가 용이한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
KR101349937B1 (ko) 도로 터널 화재 조기진압 및 인명구조장치
JP5995985B2 (ja) 機械式乗用リフト
KR100814684B1 (ko) 수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RU270789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амостоятельной эвакуации пассажиров с ограниченными возможностями из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вагонов
CN112429035A (zh) 地铁隧道应急疏散平台
US2592924A (en) Berth operating means for railway sleeping cars
JP4249557B2 (ja) 列車用車椅子渡り板
KR20050014332A (ko) 전철의 안전발판 시스템
JP6468251B2 (ja) 避難用梯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避難システム
KR100622395B1 (ko) 자기부상열차 선로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구조물
RU26414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арийного выхода из вагона метро
JP2018070068A (ja) 鉄道車両用非常脱出装置
KR100785593B1 (ko) 자기부상열차용 비상탈출 사다리
JP2014202038A (ja) 車両用非常梯子
KR101328001B1 (ko) 철도차량의 비상도어 록킹장치
KR20110101613A (ko) 철도차량의 비상도어용 핸드레일
AU2020307853B2 (en) Elevator system having a cabin skirt supportable on guide rails
AU739625B2 (en) Door and ramp evacuation unit for passenger transport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