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321B1 - 중합성 조성물, 당해 조성물을 사용한 유기 유리의 제조 방법 및 유기 유리 - Google Patents

중합성 조성물, 당해 조성물을 사용한 유기 유리의 제조 방법 및 유기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321B1
KR102107321B1 KR1020187007437A KR20187007437A KR102107321B1 KR 102107321 B1 KR102107321 B1 KR 102107321B1 KR 1020187007437 A KR1020187007437 A KR 1020187007437A KR 20187007437 A KR20187007437 A KR 20187007437A KR 102107321 B1 KR102107321 B1 KR 102107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group
mixture
groups
oligom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7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1181A (ko
Inventor
다츠야 오가와
안드레아 베키오네
로베르토 포레스티에리
피오렌조 렌지
빌렘 보스
Original Assignee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1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3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8/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 C08F18/24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8/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 C08F218/14Esters of polycarboxylic acids
    • C08F218/16Esters of polycarboxylic acids with alcohols containing three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4Polymerisation in the presence of compounding ingredients, e.g. plasticisers, dyestuffs, fi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38Heating or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8/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 C08F18/14Esters of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41Optical brightening agents, organic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one oxygen atom in the ring
    • C08K5/1545Six-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also oxygen in the ring
    • C08K5/357Six-membered 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2Pola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2Photochromic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Eyeglasse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Polymerization Catalyst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A) 하기 일반식 (1)로 표현되는, 2 이상의 알릴옥시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B) 퍼옥시케탈계 라디칼 중합 개시제, 퍼옥시모노카르보네이트계 라디칼 중합 개시제 및 퍼옥시에스테르계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중합 개시제와, (C) 나프토피란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중합성 조성물, 당해 조성물을 사용한 유기 유리의 제조 방법 및 유기 유리
본 발명은 포토크로믹 작용이 우수한 포토크로믹 경화체의 제조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중합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포토크로미즘이란, 어느 화합물에 태양광 혹은 수은등의 광과 같은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을 조사하면 빠르게 색이 바뀌고, 광의 조사를 멈추고 암소에 두면 원래의 색으로 되돌아가는 가역 작용이며, 다양한 용도에 응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안경 렌즈의 분야에 있어서도 포토크로미즘이 응용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성질을 갖는 각종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첨가한 중합성 단량체를 경화시킴으로써 포토크로믹성을 갖는 플라스틱 렌즈가 얻어지고 있다.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는, 이러한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풀기미드 화합물, 스피로옥사진 화합물, 크로멘 화합물 등이 발견되고 있다.
또한 포토크로믹 안경이란, 태양광과 같은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이 조사되는 옥외에서는 렌즈가 빠르게 착색되어 선글라스로서 기능하고, 그러한 광의 조사가 없는 옥내에 있어서는 퇴색되어 투명한 통상의 안경으로서 기능하는 안경이며, 최근에 그 수요는 증대되고 있다.
포토크로믹 안경 렌즈에 관해서는, 경량성이나 안전성의 관점에서 특히 플라스틱제의 것이 선호되고 있으며, 이러한 플라스틱 렌즈에 대한 포토크로믹성의 부여는 일반적으로 유기계의 포토크로믹 화합물과 복합화됨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복합화 방법으로서는, 포토크로믹성을 갖지 않는 렌즈의 표면에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함침시키는 방법(이하, 함침법이라고 한다), 혹은 단량체에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용해시켜, 그것을 중합시킴으로써 직접 포토크로믹 렌즈를 얻는 방법(이하, 혼련법이라고 한다)이 알려져 있다. 이들 함침법의 기술(특허문헌 1 내지 3 참조) 및 혼련법의 기술(특허문헌 4 내지 5 참조)은,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739243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5973093호 명세서 국제 공개 제95/10790호 팸플릿 일본 특허 공개 (평)5-30639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8-32053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7-293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915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78052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09/146509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0/20770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2/149599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2/162725호 팸플릿
이들 포토크로믹 화합물 및 그들을 포함하는 포토크로믹성을 갖는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우수한 포토크로믹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들 포토크로믹 복합체를 각종 용도, 특히 포토크로믹 안경 렌즈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양호한 포토크로믹 작용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간편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포토크로믹 안경 렌즈로서, 기계적 또는 광학적 물성이 우수할 것이 요구된다.
상기 함침법에서 예시한, 포토크로믹 플라스틱을 안경 용도에 사용하는 경우, 기재를 별도로 제작하고, 얻어진 기재에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함침시키기 때문에, 제조법이 번잡할 뿐만 아니라, 함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재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내릴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기재의 유연성이 매우 높아져, 그 결과, 기재의 경도의 저하, 내열성의 저하가 일어나고, 광학 변형이 많이 존재하거나 하는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상기 혼련법에서 예시한 특허문헌 4 및 5에서는, 고반응성의 디(메트)아크릴레이트계의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중합의 제어가 어렵고, 35℃ 이하의 온도에서 엄밀한 온도 관리를 할 수 있는 중합 오븐을 사용해야만 변형 없는 포토크로믹 안경 렌즈를 제작할 수 있어, 성형성에 특수한 설비를 필요로 하는 점과, 특수한 아크릴레이트계의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저렴하게 제조할 수 없다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안경 렌즈의 범용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굴절률 1.50의 경화체가 얻어지는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이하, 통칭인 'CR-39'라고 약칭하는 경우도 있다)를 라디칼 중합성 단량체로서 사용하여, 혼련법으로 포토크로믹 안경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해당 단량체가, 저반응성이기 때문에, 산화 작용이 높은,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이하, 통칭 'IPP'라고 약칭하는 경우도 있다)를 포토크로믹 화합물과 공존시켜 중합시킨 경우, IPP가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산화시키기 때문에, 충분한 포토크로믹 특성을 나타내는 포토크로믹 안경 렌즈를 얻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특정한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중합성 단량체와 혼합하고 중합을 행하여, 포토크로믹 안경 렌즈로 대표되는 포토크로믹 경화체를, 혼련법으로 저렴하며 또한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중합성 조성물에 대하여 예의 연구를 행했다. 그 결과, 안경 렌즈 용도로, 저굴절률 시장의 범용이며 저렴한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및/또는 그의 올리고머 및 중굴절률 시장의 범용이며 저렴한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는 디알릴프탈레이트 및/또는 그의 올리고머와 특정한 포토크로믹 색소, 또한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포토크로믹 중합성 조성물이, 엄밀한 온도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설비로 수율 높게 포토크로믹 경화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얻어지는 포토크로믹 경화체의 포토크로믹 특성이 종래의 것에 비하여 우수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낼 수 있다.
[1] (A) 하기 일반식 (1)로 표현되는, 2 이상의 알릴옥시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B) 퍼옥시케탈계 라디칼 중합 개시제, 퍼옥시모노카르보네이트계 라디칼 중합 개시제 및 퍼옥시에스테르계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중합 개시제와,
(C) 나프토피란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
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
Figure 112018025847515-pct00001
(식 중 n은 2 내지 6의 정수이다.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복수 존재하는 R1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X는, 산소 원자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3 내지 12의 선상 또는 분지쇄상의 지방족 폴리올로부터 유도되는 2 내지 6가의 유기기 a, 산소 원자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5 내지 16의 환상 지방족 폴리올로부터 유도되는 2 내지 6가의 유기기 b 또는 탄소 원자수 6 내지 12의 방향족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2 내지 6가의 유기기 c이며, 유기기 a 또는 유기기 b는, 이들이 구비하는 수산기 유래의 에테르기를 통하여 알릴옥시카르보닐기와 결합하여 알릴카르보네이트기를 형성한다).
[2] 2 이상의 알릴옥시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A)는, 하기 일반식 (2)로 표현되는 알릴카르보네이트 중합성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 또는 하기 일반식 (3) 또는 (4)로 표현되는 알릴에스테르 중합성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 또는 하기 일반식 (5)로 표현되는 알릴에스테르기 및 알릴카르보네이트기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 및 그들의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1]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
Figure 112018025847515-pct00002
(식 (2)에 있어서, X는 선상 또는 분지된 C3 내지 C12의 지방족 폴리올로부터 유도되는 2 내지 6가의 기 또는 C5 내지 C16의 환상 지방족 폴리올로부터 유도되는 2 내지 6가의 기를 나타내고, n은 2 내지 6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03
Figure 112018025847515-pct00004
(식 (4)에 있어서, X는 선상 또는 분지된 C2 내지 C8의 지방족 디올로부터 유도되는 2가의 기, 또는 수산기를 3 내지 6개 갖는 선상 또는 분지된 C3 내지 C10의 지방족 폴리올로부터 유도되는 3 내지 6가의 기를 나타내고, n은 2 내지 6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05
(식 (5)에 있어서, X는 선상 또는 분지된 C2 내지 C8의 지방족 디올로부터 유도되는 2가의 기, 또는 수산기를 3 내지 6개 갖는 선상 또는 분지된 C3 내지 C10의 지방족 폴리올로부터 유도되는 3 내지 6가의 기를 나타내고, m 및 n은 0 내지 6의 정수를 나타내며 또한 m과 n의 총합은 2 내지 6의 정수이다).
[3] 중합 개시제 (B)가, 하기 일반식 (6)으로 표현되는 10시간 반감기 온도가 80℃ 이상인 퍼옥시케탈계 중합 개시제, 하기 일반식 (7)로 표현되는 10시간 반감기 온도가 80℃ 이상인 퍼옥시모노카르보네이트계 중합 개시제 및 하기 일반식 (8)로 표현되는 10시간 반감기 온도가 65℃ 이상인 퍼옥시에스테르계 중합 개시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1] 또는 [2]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
Figure 112018025847515-pct00006
(식 (6)에 있어서, R3은 제3급 알킬기이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로부터 선택되는 알킬기이며, 상기한 알킬기는 말단에 알킬에스테르기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R1과 R2는 그들이 결합하고 있는 탄소 원자와 일체가 되어 시클로알킬렌기를 형성할 수 있고, 해당 시클로알킬렌기는 1 내지 3개의 알킬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07
(식 (7)에 있어서, R1은 C3 내지 C6의 제3급 알킬기이며, R2는 선상 또는 분지된 C3 내지 C8의 알킬기이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08
(식 (8)에 있어서, R1은 C3 내지 C6의 제3급 알킬기이며, R2는 선상 또는 분지된 C3 내지 C9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이다).
[4] 포토크로믹 화합물 (C)가 하기 일반식 (9) 또는 하기 일반식 (10)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1] 내지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
Figure 112018025847515-pct00009
(식 (9) 또는 식 (10) 중 PC와 PC'은 일반식 (11) 내지 (14)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를 나타낸다. PC와 PC'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10
(식 (11) 내지 (14) 중 R1 내지 R18은, 수소, 할로겐 원자, 카르복실기, 아세틸기, 포르밀기, 치환되어도 되는 C1 내지 C20의 지방족기, 치환되어도 되는 C3 내지 C20의 지환족기, 또는 치환되어도 되는 C6 내지 C20의 방향족 유기기를 나타내고, 각각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이들 지방족기, 지환족기 또는 방향족 유기기는, 산소 원자, 질소 원자를 포함해도 된다. 일반식 (11) 내지 (14)로 표현되는 화합물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기는, 2가의 유기기인 L 또는 L'과 결합한다)
식 (9) 또는 식 (10) 중 L과 L'은, 옥시에틸렌쇄, 옥시프로필렌쇄, (티오) 에스테르기, (티오)아미드기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식 (9) 또는 식 (10) 중 Chain은, 폴리실록산쇄, 폴리옥시알킬렌쇄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1가 또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5] 상기 알릴카르보네이트 중합성 화합물이,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2-메틸-2-에틸-1,3-프로판디올,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1,4-디메틸올시클로헥산 및 4,8-비스(히드록시메틸)-[5.2.1.02, 6]트리시클로데칸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디올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트리올의 트리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펜타에리트리톨, 디글리세롤 및 디트리메틸올프로판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테트라올의 테트라(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디펜타에리트리톨의 헥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상기 디올, 상기 트리올, 상기 테트라올 및 상기 디펜타에리트리톨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2종류의 화합물의 혼합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2]에 기재된 조성물.
[6] 상기 알릴카르보네이트 중합성 화합물이,
(i) 디에틸렌글리콜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ⅱ) 디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의 혼합물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ⅲ) 디에틸렌글리콜과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의 혼합물의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ⅳ) 디에틸렌글리콜과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혼합물의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v) 디에틸렌글리콜과 펜타에리트리톨의 혼합물의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vi) 디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과 펜타에리트리톨의 혼합물의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및
(vⅱ) 디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과 펜타에리트리톨의 혼합물의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과,
디에틸렌글리콜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혼합물,
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2]에 기재된 조성물.
[7] 상기 알릴에스테르 중합성 화합물이,
디알릴이소프탈레이트 또는 디알릴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디알릴오르토프탈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디알릴프탈레이트 단량체,
상기 디알릴프탈레이트 단량체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2-메틸-2-에틸-1,3-프로판디올,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1,4-디메틸올시클로헥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디올의 혼합물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디알릴에스테르 단량체 및 그의 올리고머,
상기 디알릴프탈레이트 단량체와,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글리세롤, 디트리메틸올프로판, 디펜타에리트리톨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폴리올의 혼합물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알릴에스테르 단량체 및 그의 올리고머 및
C1 내지 C3의 알킬기를 갖는 디알킬이소프탈레이트, 디알킬테레프탈레이트, 디알킬오르토프탈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디알킬프탈레이트와, 알릴알코올과, 디알릴카르보네이트와, 상기 디올 또는 상기 폴리올의 혼합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알릴카르보네이트기를 포함하는 알릴에스테르 단량체 및 그의 올리고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2]에 기재된 조성물.
[8] 상기 알릴에스테르 중합성 화합물이,
(i) 디알릴테레프탈레이트와, 해당 디알릴테레프탈레이트에 대하여 30중량%의 디에틸렌글리콜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ⅱ) 디알릴테레프탈레이트와 프로필렌글리콜의 혼합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얻어진 알릴에스테르 화합물,
(ⅲ) (ⅱ)의 알릴에스테르 화합물과, 해당 알릴에스테르 화합물에 대하여 20중량%의 디에틸렌글리콜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ⅳ)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알릴알코올과 디알릴카르보네이트와 디에틸렌글리콜의 혼합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얻어진, 알릴에스테르 화합물, 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알릴에스테르기 및 알릴카르보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혼합물 및
(v) (ⅳ)에서 얻어진 상기 혼합물과, 해당 혼합물에 대하여 10중량%의 디에틸렌글리콜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2]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
[9] 2 이상의 알릴옥시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상기 화합물 (A)가,
[7]에 기재된 상기 알릴에스테르 중합성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 [5]에 기재된 상기 알릴카르보네이트 중합성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인 [2]에 기재된 조성물.
[10] 성분 (A)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한 성분 (B)를 0.3 내지 5.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하는, [1] 내지 [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11] 성분 (A)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한 성분 (C)를 0.01 내지 0.5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하는, [1] 내지 [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조성물.
[12] [1] 내지 [11]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을 라디칼 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포토크로믹 성능을 구비하는 유기 유리의 제조 방법.
[13] 상기 공정은, [1] 내지 [11]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을 주형(鑄型)에 주입하고, 이것을 50 내지 120℃의 범위 내의 온도에서 1 내지 100시간 중합하는 주형(注型) 중합 공정을 포함하는, [12]에 기재된 방법.
[14] [1] 내지 [11]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 경화한 유기 유리.
[15] [14]에 기재된 유기 유리로 이루어지는 렌즈.
[16] 편광 필름과,
상기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형성된, [14]에 기재된 유기 유리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을 구비하는 편광 렌즈.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디올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이란, 디올의 2개의 수산기가 알릴카르보네이트기로 치환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디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의 혼합물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이란,
(1) 디에틸렌글리콜의 2개의 수산기가 알릴카르보네이트기로 치환된 구조를 갖는 화합물,
(2) 네오펜틸글리콜의 2개의 수산기가 알릴카르보네이트기로 치환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디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의 혼합물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의 올리고머」란, 상기 화합물 (1)의 올리고머, 상기 화합물 (2)의 올리고머, 및 상기 화합물 (1) 및 상기 화합물 (2)의 올리고머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경화체는 포토크로믹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성형성이 우수하고, 엄밀한 온도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설비로 수율 높게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기계적, 색상 등의 광학적 물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하여 얻어지는 경화체는 포토크로믹성을 갖는 유기 유리로서 유용하며, 예를 들어 포토크로믹 안경 렌즈 등의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A) 2 이상의 알릴옥시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B) 퍼옥시케탈계 라디칼 중합 개시제, 퍼옥시모노카르보네이트계 라디칼 중합 개시제 및 퍼옥시에스테르계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중합 개시제와, (C) 나프토피란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한다.
[2 이상의 알릴옥시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A)]
본 발명에 있어서의, 2 이상의 알릴옥시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A)는 이하의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11
식 중 n은 2 내지 6의 정수이다.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복수 존재하는 R1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X는, 산소 원자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3 내지 12의 선상 또는 분지쇄상의 지방족 폴리올 a1로부터 유도되는 2 내지 6가의 유기기 a, 산소 원자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5 내지 16의 환상 지방족 폴리올 b1로부터 유도되는 2 내지 6가의 유기기 b 또는 탄소 원자수 6 내지 12의 방향족 화합물 c1로부터 유도되는 2 내지 6가의 유기기 c이며, 유기기 a 또는 유기기 b는, 수산기 유래의 에테르기를 통하여 알릴옥시카르보닐기와 결합하여 알릴카르보네이트기를 형성한다.
이들 폴리올은, 통상은 분자 중에 2 내지 6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의 히드록실기를 포함할 수 있다.
지방족 폴리올 a1로서는,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2-메틸-2-에틸-1,3-프로판디올,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등을 들 수 있다.
환상 지방족 폴리올 b1로서는, 1,4-디메틸올시클로헥산, 4,8-비스(히드록시메틸)-[5.2.1.02,6]트리시클로데칸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화합물 c1로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나프탈렌 등을 들 수 있다.
2 이상의 알릴옥시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A)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알릴카르보네이트 중합성 화합물, 알릴에스테르 중합성 화합물, 알릴카르보네이트기와 알릴에스테르기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을 들 수 있다.
2 이상의 알릴옥시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그의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2 이상의 알릴옥시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실온에서는 액체 생성물이며, 25℃에서 측정한 점도는 10 내지 1000cSt이며, 그의 올리고머 함량은 광범위하게 변화할 수 있고, 예를 들어 0 내지 약 80중량%이다.
(알릴카르보네이트 중합성 화합물)
알릴카르보네이트 중합성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2)로 표현할 수 있고, 또한 그의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올리고머는 제조 공정에서 생성된 알릴카르보네이트와 폴리올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카르보네이트기를 통하여 2분자 이상의 폴리올이 연결된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이다.
이 알릴카르보네이트 중합성 화합물은, 3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상 또는 분지쇄상의 지방족 폴리올의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이다. 분자 중에 5 내지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환상 지방족 폴리올의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도 이 목적에 적합하다. 이들 폴리올은, 통상은 분자 중에 2 내지 6개,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의 히드록실기를 가질 수 있다. 혼합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즉 2종류 이상의 폴리올에서 유래하고, 각각의 폴리올의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의 기계적 혼합에 의해 얻을 수 있는 것, 또는 폴리올의 혼합물과 디알릴카르보네이트로부터 출발하여 화학 반응에 의해 직접 얻을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이들 모든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은 단량체 또는 단량체와 올리고머의 혼합물의 형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알릴카르보네이트 중합성 화합물은 실온에서는 액체 생성물이며, 25℃에서 측정한 점도는 10 내지 1000cSt이며, 그의 올리고머 함량은 광범위하게 변화할 수 있고, 예를 들어 0 내지 약 80중량%이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12
식 (2)에 있어서, X는 선상 또는 분지된 C3 내지 C12의 지방족 폴리올로부터 유도되는 2 내지 6가의 기 또는 C5 내지 C16의 환상 지방족 폴리올로부터 유도되는 2 내지 6가의 기를 나타내고, n은 2 내지 6의 정수를 나타낸다.
일반식 (2)의 X를 구성하는 폴리올은, 구체예로서는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2-메틸-2-에틸-1,3-프로판디올,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1,4-디메틸올시클로헥산, 4,8-비스(히드록시메틸)-[5.2.1.02, 6]트리시클로데칸,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글리세롤, 디트리메틸올프로판, 디펜타에리트리톨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의 예는, 예를 들어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2-메틸-2-에틸-1,3-프로판디올,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1,4-디메틸올시클로헥산 및 4,8-비스(히드록시메틸)-[5.2.1.02, 6]트리시클로데칸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디올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트리올의 트리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펜타에리트리톨, 디글리세롤 및 디트리메틸올프로판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테트라올의 테트라(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디펜타에리트리톨의 헥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상기 디올, 상기 트리올, 상기 테트라올 및 상기 디펜타에리트리톨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2종류의 화합물의 혼합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2종류의 디올의 혼합물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란, 예를 들어 디올이 디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인 경우, 이하의 단량체 성분과 올리고머 성분의 혼합물로서 얻어진다.
단량체 성분
(1)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2) 네오펜틸글리콜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올리고머 성분
(3) 디에틸렌글리콜 유래의 탄화수소(및 에테르)만을 포함하는 올리고머
(4) 네오펜틸글리콜 유래의 탄화수소만을 포함하는 올리고머
(5) 디에틸렌글리콜 유래의 탄화수소(및 에테르)와 네오펜틸글리콜 유래의 탄화수소 양쪽을 동일 분자 내에 포함하는 복합적인 올리고머
하기의 것은,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알릴카르보네이트 중합성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이다.
(i)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는 식 (I)로 정의할 수 있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13
또한,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의 올리고머는 식 (Ⅱ)로 정의할 수 있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14
식 중 n은 2 이상이다.
화합물 (I)은, 예를 들어 「화학 기술의 백과사전」, Kirk-Othmer, Ⅲ판, 제2권, 111 내지 112페이지에 기재된 바와 같이, 디에틸렌글리콜비스(클로로포르메이트)를 알릴알코올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식 (I))와 그의 올리고머(식 (Ⅱ))의 혼합물은, 예를 들어 유럽 특허 제35,304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염기성 촉매의 존재 하에서 조작하여, 디알릴카르보네이트와 디에틸렌글리콜의 에스테르 교환에 의해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들 혼합물은 통상은 올리고머를 약 80중량%까지 포함한다.
(ⅱ) 디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의 혼합물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이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은, 디에틸렌글리콜을 디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의 혼합물로 치환한 것 이외는, 상기한 점 (i)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와 동일하다.
(ⅲ) 디에틸렌글리콜과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의 혼합물의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이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4,812,545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에틸렌글리콜과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의 혼합물의 디알릴카르보네이트의 에스테르 교환에 의해 얻을 수 있다.
(ⅳ) 디에틸렌글리콜과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혼합물의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이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은,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를 트리메틸올프로판으로 치환한 것 이외는, 상기한 점 (ⅲ)의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와 동일하다.
(v) 디에틸렌글리콜과 펜타에리트리톨의 혼합물의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이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은,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를 펜타에리트리톨로 치환한 것 이외는, 상기한 점 (ⅲ)의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과 동일하다.
(vi) 디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과 펜타에리트리톨의 혼합물의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이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은, 디에틸렌글리콜을 디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의 2종의 디올로 치환한 것 이외는, 상기한 점 (v)의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와 동일하다.
(vⅱ) 디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과 펜타에리트리톨의 혼합물의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과,
디에틸렌글리콜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혼합물
(알릴에스테르 중합성 화합물)
상기 알릴에스테르 중합성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3)으로 표현되는 디알릴프탈레이트; 하기 일반식 (4)로 표현되는, 디알릴프탈레이트와 폴리올의 혼합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알릴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하기 일반식 (5)로 표현되는 알릴에스테르기 및 알릴카르보네이트기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 및 그들의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일반식 (5)로 표현되는 중합성 화합물은, 디알킬프탈레이트와 알릴알코올과 디알릴카르보네이트와 폴리올의 혼합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알릴에스테르 화합물, 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알릴에스테르기 및 알릴카르보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 (3) 내지 (5)의 화합물은 위치 이성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15
일반식 (3)으로 표현되는 디알릴프탈레이트는, 디알릴이소프탈레이트, 디알릴테레프탈레이트 및 디알릴오르토프탈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16
식 (4)에 있어서, X는 선상 또는 분지된 C2 내지 C8의 지방족 디올로부터 유도되는 2가의 기, 또는 수산기를 3 내지 6개 갖는 선상 또는 분지된 C3 내지 C10의 지방족 폴리올로부터 유도되는 3 내지 6가의 기를 나타내고, n은 2 내지 6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17
식 (5)에 있어서, X는 선상 또는 분지된 C2 내지 C8의 지방족 디올로부터 유도되는 2가의 기, 또는 수산기를 3 내지 6개 갖는 선상 또는 분지된 C3 내지 C10의 지방족 폴리올로부터 유도되는 3 내지 6가의 기를 나타내고, m 및 n은 0 내지 6의 정수를 나타내며 또한 m과 n의 총합은 2 내지 6의 정수이다.
사용되는 디알릴프탈레이트는, 구체예로서는 디알릴이소프탈레이트, 디알릴테레프탈레이트, 디알릴오르토프탈레이트이며,
디알킬프탈레이트는 C1 내지 3의 알킬기를 갖는 프탈산디에스테르이고, 구체예로서는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디메틸오르토프탈레이트, 디에틸이소프탈레이트, 디에틸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오르토프탈레이트, 디프로필이소프탈레이트, 디프로필테레프탈레이트, 디프로필오르토프탈레이트이다.
또한 식 (4) 및 식 (5)의 X를 구성하는 폴리올은, 구체예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2-메틸-2-에틸-1,3-프로판디올,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1,4-디메틸올시클로헥산인 디올 및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인 트리올 및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글리세롤, 디트리메틸올프로판, 디펜타에리트리톨인 폴리올이다.
상기 식 (4) 및 식 (5)의 화합물은 그의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식 (4)에 있어서의 올리고머는 제조 공정에서 생성된 알릴에스테르 화합물과 폴리올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다. 식 (5)에 있어서의 올리고머는 제조 공정에서 생성된 알릴에스테르 화합물 또는 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이 폴리올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알릴에스테르 중합성 화합물은, 예를 들어 디알릴이소프탈레이트, 디알릴테레프탈레이트 및 디알릴오르토프탈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디알릴프탈레이트 단량체,
상기한 디알릴프탈레이트 단량체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2-메틸-2-에틸-1,3-프로판디올,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1,4-디메틸올시클로헥산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디올의 혼합물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디알릴에스테르 단량체 및 그의 올리고머,
상기한 디알릴프탈레이트와,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인 트리올,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글리세롤, 디트리메틸올프로판, 디펜타에리트리톨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폴리올의 혼합물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알릴에스테르 단량체 및 그의 올리고머,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디메틸오르토프탈레이트, 디에틸이소프탈레이트, 디에틸테레프탈레이트, 디에틸오르토프탈레이트, 디프로필이소프탈레이트, 디프로필테레프탈레이트, 디프로필오르토프탈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C1 내지 C3 디알킬프탈레이트와, 알릴알코올과, 디알릴카르보네이트와, 전술한 디올 또는 폴리올의 혼합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알릴에스테르 화합물, 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알릴카르보네이트기와 알릴에스테르기를 갖는 화합물 및 그들의 올리고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한다.
상기 알릴에스테르 중합성 화합물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i) 디알릴테레프탈레이트와, 해당 디알릴테레프탈레이트에 대하여 30중량%의 디에틸렌글리콜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ⅱ) 디알릴테레프탈레이트와 프로필렌글리콜의 혼합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얻어진 알릴에스테르 화합물,
(ⅲ) (ⅱ)의 알릴에스테르 화합물과, 해당 알릴에스테르 화합물에 대하여 20중량%의 디에틸렌글리콜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ⅳ)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알릴알코올과 디알릴카르보네이트와 디에틸렌글리콜의 혼합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얻어진, 알릴에스테르 화합물, 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알릴에스테르기 및 알릴카르보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혼합물 및
(v) (ⅳ)에서 얻어진 상기 혼합물과, 해당 혼합물에 대하여 10중량%의 디에틸렌글리콜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의 것은,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알릴에스테르 중합성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이다.
(i)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알릴알코올, 디알릴카르보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의 혼합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알릴에스테르 화합물, 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알릴에스테르기 및 알릴카르보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혼합물
상기한 알릴에스테르 화합물은, 식 (Ⅲ) 내지 (V)로 정의할 수 있고, 식 (Ⅲ)의 디알릴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각각이 폴리올과 에스테르 교환 반응함으로써 얻어지는 올리고머를 포함한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18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2 이상의 알릴옥시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상기 화합물 (A)는, 본 발명의 효과의 관점에서, 상기 알릴에스테르 중합성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 상기 알릴카르보네이트 중합성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로 할 수 있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 (B)]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라디칼 중합 개시제 (B)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라디칼 중합 개시제 (B)로서는, 하기 일반식 (6)으로 표현되는 (a) 10시간 반감기 온도가 80℃ 이상인 퍼옥시케탈계 라디칼 중합 개시제 및/또는 하기 일반식 (7)로 표현되는 (b) 10시간 반감기 온도가 80℃ 이상인 퍼옥시모노카르보네이트계 라디칼 중합 개시제 및/또는 하기 일반식 (8)로 표현되는 (c) 10시간 반감기 온도가 65℃ 이상인 퍼옥시에스테르계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사용한다. 해당 특정한 분해 온도의 개시제를 사용함으로써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열화시키지 않고, 포토크로믹 특성이 우수한 포토크로믹 경화체를 부여할 수 있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19
(식 (6)에 있어서, R3은 제3급 알킬기이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로부터 선택되는 알킬기이며, 상기한 알킬기는 예를 들어 쇄의 말단에 알킬에스테르기와 같은 비간섭성의 관능기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R1과 R2는 그들이 결합하고 있는 탄소 원자와 일체가 되어 시클로알킬렌기를 형성할 수 있고, 해당 시클로알킬렌기는 1 내지 3개의 알킬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20
(식 (7)에 있어서, R1은 C3 내지 C6의 제3급 알킬기이며, R2는 선상 또는 분지된 C3 내지 C8의 알킬기이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21
(식 (8)에 있어서, R1은 C3 내지 C6의 제3급 알킬기이며, R2는 선상 또는 분지된 C3 내지 C9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이다).
(a)의 퍼옥시케탈계 라디칼 개시제{() 안은 10시간 반감기 온도를 나타낸다}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83℃), 1,1-비스(t-헥실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90℃),
2,2-비스(t-부틸퍼옥시)부탄(107℃)
n-부틸-4,4-비스(t-부틸퍼옥시)발레레이트(109℃)
에틸-3,3-비스(t-부틸퍼옥시)발레레이트(114℃)
1,1-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91℃)
1,1-비스(t-부틸퍼옥시)-2-메틸시클로헥산(83℃)
1,1-비스(t-아밀퍼옥시)시클로헥산(93℃)
1,1-비스(t-헥실퍼옥시)시클로헥산(87℃)
1,1-비스(t-헥실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87℃)
2,2-비스[4,4-(디-t-부틸퍼옥시)시클로헥실]프로판(95℃)
등을 들 수 있다.
(b)의 퍼옥시모노카르보네이트계 라디칼 개시제{() 안은 10시간 반감기 온도를 나타낸다}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OO-(t-부틸)-O-이소프로필모노퍼옥시카르보네이트(99℃)
OO-(t-아밀)-O-이소프로필모노퍼옥시카르보네이트(96℃)
OO-(t-부틸)-O-(2-에틸헥실)모노퍼옥시카르보네이트(99℃)
OO-(t-아밀)-O-(2-에틸헥실)모노퍼옥시카르보네이트(99℃)
등을 들 수 있다.
(c)의 퍼옥시에스테르계 라디칼 개시제{() 안은 10시간 반감기 온도를 나타낸다}를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72℃)
t-부틸퍼옥시이소부틸레이트(82℃)
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97℃)
t-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102℃)
t-부틸퍼옥시이소노나에이트(102℃)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104℃)
t-아밀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75℃)
t-아밀퍼옥시노르말옥토에이트(96℃)
t-아밀퍼옥시아세테이트(100℃)
t-아밀퍼옥시이소노나에이트(96℃)
t-아밀퍼옥시벤조에이트(100℃)
t-헥실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70℃)
t-헥실퍼옥시벤조에이트(99℃)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65℃)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해당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중합 조건이나 개시제의 종류, 상기한 단량체의 조성에 따라 상이하여, 일률적으로 한정할 수 없지만, 상기 알릴옥시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A) 100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중량부이고, 또한 2종 이상의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시킬 때, 중합 조건 중 특히 온도는 얻어지는 포토크로믹 경화체의 성상에 영향을 준다. 이 온도 조건은,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종류와 양이나 단량체의 종류에 따라 영향을 받으므로 일률적으로 한정은 할 수 없지만, 일반적으로 비교적 저온에서 중합을 개시하고, 천천히 온도를 올려 가, 중합 종료 시에 고온 하에 경화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중합 시간도 온도와 동일하게 각종 요인에 따라 상이하므로, 미리 이들 조건에 따른 최적의 시간을 결정하는 것이 적합한데, 일반적으로 12 내지 24시간에 중합이 완결되도록 조건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은, 35℃ 이하의 엄밀한 제어는 필요없고, 60℃ 이상부터 개시하는 패턴이어도 경화가 가능하고, 성형이 용이하기 때문에, 수율이 높다.
[포토크로믹 화합물 (C)]
이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포토크로믹 화합물 (C)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포토크로믹 화합물 (C)는, 포토크로믹 작용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전혀 제한없이 채용할 수 있고, 나프토피란 화합물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9) 또는 하기 일반식 (10)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22
PC와 PC'은 일반식 (11) 내지 (14)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를 나타낸다. PC와 PC'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23
식 (11) 내지 (14) 중 R1 내지 R18은, 수소, 할로겐 원자, 카르복실기, 아세틸기, 포르밀기, 치환되어도 되는 C1 내지 C20의 지방족기, 치환되어도 되는 C3 내지 C20의 지환족기, 또는 치환되어도 되는 C6 내지 C20의 방향족 유기기를 나타내고, 각각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이들 지방족기, 지환족기 또는 방향족 유기기는, 산소 원자, 질소 원자를 포함해도 된다. 일반식 (11) 내지 (14)로 표현되는 화합물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기는 2가의 유기기인 L 또는 L'과 결합한다.
치환되어도 되는 C1 내지 C20의 지방족기로서는,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킬기,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콕시기,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2 내지 C10 알케닐기, C1 내지 C10 히드록시알킬기, C1 내지 C10 히드록시알콕시기, C1 내지 C10 알콕시기로 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C1 내지 C10 알콕시기로 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 C1 내지 C5 할로알킬기, C1 내지 C5 디할로알킬기, C1 내지 C5 트리할로알킬기, C1 내지 C10 알킬아미노기, C1 내지 C10 아미노알킬기,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20 알콕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되어도 되는 C3 내지 C20의 지환족기로서, C3 내지 C20의 시클로알킬기, C6 내지 C20의 비시클로알킬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되어도 되는 C6 내지 C20의 방향족 유기기로서는, 페닐기, C7 내지 C16 알콕시페닐기, 아릴아미노기, 디아릴아미노기, 아릴 C1 내지 C5 알킬아미노기, 환상 아미노기, 아릴카르보닐기, 아로일기 등을 들 수 있다.
R1과 R2로서,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킬기,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콕시기, C1 내지 C10 히드록시알콕시기, C1 내지 C10 알콕시기로 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 C1 내지 C5 할로알킬기, C1 내지 C5 디할로알킬기, C1 내지 C5 트리할로알킬기, C1 내지 C5 알킬아미노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1 내지 C20의 지방족기;
페닐기, C7 내지 C16 알콕시페닐기, C1 내지 C5 디알킬아미노기, 아릴아미노기, 디아릴아미노기, 아릴 C1 내지 C5 알킬아미노기, 환상 아미노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6 내지 C20의 방향족 유기기; 등을 들 수 있다. R1과 R2는, 각각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R3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카르복실기; 아세틸기;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킬기,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2 내지 C10 알케닐기,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콕시기, C1 내지 C10 히드록시알킬기, C1 내지 C10 알콕시기로 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C1 내지 C10 아미노알킬기,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20 알콕시카르보닐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1 내지 C20의 지방족기;
C3 내지 C20의 시클로알킬기, C6 내지 C20의 비시클로알킬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3 내지 C20의 지환족기;
아릴카르보닐기, 포르밀기, 아로일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6 내지 C20의 방향족 유기기; 등을 들 수 있다.
R4로서,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카르복실기; 아세틸기; 포르밀기;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킬기,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2 내지 C10 알케닐기,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콕시기, C1 내지 C10 히드록시알킬기, C1 내지 C10 알콕시기로 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C1 내지 C10 아미노알킬기,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20 알콕시카르보닐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1 내지 C20의 지방족기;
C3 내지 C20의 시클로알킬기, C6 내지 C20의 비시클로알킬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3 내지 C20의 지환족기;
아릴카르보닐기, 아로일기, 페닐기, C7 내지 C16 알콕시페닐기, C1 내지 C10 디알콕시페닐기, C1 내지 C10 알킬페닐기, C1 내지 C10 디알킬페닐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6 내지 C20의 방향족 유기기; 등을 들 수 있다.
R3과 R4는 서로 결합해도 된다. R3과 R4가 서로 결합하여 환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일반식 (15) 또는 (16)을 들 수 있다. 점선 부분이 R3이 결합하고 있는 탄소 원자와 R4가 결합하고 있는 탄소 원자 사이의 결합을 나타낸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24
R5, R6, R7, R8, R9, R10, R14, R15, R16은, R1, R2와 동일한 관능기를 나타낸다. 복수 존재하는 R5 내지 R7은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R11로서,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20 알킬기, C1 내지 C5 할로알킬기, C1 내지 C5 디할로알킬기, C1 내지 C5 트리할로알킬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1 내지 C20의 지방족기;
C3 내지 C20의 시클로알킬기, C6 내지 C20의 비시클로알킬기, C1 내지 C5 알킬기로 치환된 C3 내지 C20의 시클로알킬기, C1 내지 C5 알킬기로 치환된 C6 내지 C20의 비시클로알킬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3 내지 C20의 지환족기;
C1 내지 C5 알킬기로 치환된 아릴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6 내지 C20의 방향족 유기기; 등을 들 수 있다.
R12와 R13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C1 내지 C10 알킬기, C1 내지 C5 알킬알콕시카르보닐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1 내지 C20의 지방족기; C5 내지 C7의 시클로알킬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3 내지 C20의 지환족기; 등을 나타낸다.
R17과 R18로서,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킬기, C1 내지 C10 히드록시알킬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1 내지 C20의 지방족기; C5 내지 C7의 시클로알킬기 등의, 치환되어도 되는 C3 내지 C20의 지환족기; 등을 나타낸다.
일반식 (9) 또는 (10)의 L과 L'은, 옥시에틸렌쇄, 옥시프로필렌쇄, (티오) 에스테르기, (티오)아미드기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L과 L'은, 일반식 (17) 내지 (23)으로 표현된다. L과 L'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25
식 (17) 내지 (23) 중
Y는 산소, 황을 나타낸다.
R19는 수소,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킬기를 나타낸다.
R20은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킬기를 나타낸다.
p는 0 내지 15의 정수를 나타내고, r은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
Q는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킬렌기, C1 내지 C10 알케닐렌기, 1,2-, 1,3-, 1,4-위치의 치환 아릴기로부터 유도되는 2가의 기, 치환 헤테로아릴기로부터 유도되는 2가의 기 등을 나타낸다.
*1, *2는 결합손을 나타내고, *1은 「Chain」으로 표현되는 1가 또는 2가의 유기기와 결합하고, *2는 PC 또는 PC'으로 표현되는 1가의 유기기와 결합한다.
일반식 (9) 또는 (10)의 「Chain」은, 폴리실록산쇄, 폴리옥시알킬렌쇄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1가 또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폴리실록산쇄로서는, 폴리디메틸실록산쇄, 폴리메틸페닐실록산쇄, 폴리메틸히드로실록산쇄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옥시알킬렌쇄로서는, 폴리옥시에틸렌쇄, 폴리옥시프로필렌쇄, 폴리옥시헥사메틸렌쇄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Chain」은, 포토크로믹 화합물이 일반식 (9)인 경우는, 일반식 (24) 또는 (25)의 1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26
「Chain」은, 포토크로믹 화합물이 일반식 (10)인 경우, 일반식 (26) 또는 (27)의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27
식 (24) 내지 (27) 중
R21은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킬기를 나타낸다.
R22는 직쇄 혹은 분지쇄상의 C1 내지 C10 알킬기를 나타낸다.
R23은 수소, 메틸기, 에틸기를 나타낸다.
n은 4 내지 75의 정수를 나타내고, m은 1 내지 50의 정수를 나타낸다.
q는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낸다.
*3, *4는 결합손을 나타내고, *3은 L로 표현되는 2가의 유기기와 결합하고, *4는 L'으로 표현되는 2가의 유기기와 결합한다.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은, WO2009/146509 공보, WO2010/20770 공보, WO2012/149599 공보, WO2012/162725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로서는, Vivimed사의 Reversacol Humber Blue(폴리디메틸실록산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11)), Reversacol Calder Blue(폴리디메틸실록산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11)), Reversacol Trent Blue(폴리디메틸실록산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11)), Reversacol Pennine Green(폴리디메틸실록산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11)), Reversacol Heath Green(폴리옥시알킬렌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11)), Reversacol Chilli Red(폴리디메틸실록산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11)), Reversacol Wembley Grey(폴리옥시알킬렌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11)), Reversacol Cayenne Red(폴리옥시알킬렌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11))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소정의 중합 개시제 (B)와 소정의 포토크로믹 화합물 (C)와의 조합에 의하면, 중합 개시제 (B)에 의한 포토크로믹 화합물 (C)의 분해가 억제된다. 그로 인해, 중합 개시제 (B)와 포토크로믹 화합물 (C)를 중합성 조성물 중에 공존시킬 수 있고, 혼련법으로 저렴하며 또한 간편한 방법으로, 포토크로믹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색상이 우수한 경화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성분 (C)의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배합비는, 너무 많을 때에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응집이 일어나, 내구성이 급격하게 저하된다. 이로 인해, 2 이상의 알릴옥시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A) 100중량부에 대하여, 포토크로믹 화합물 (C)는, 통상 0.001 내지 5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되고, 이 범위에 있어서 가장 양호한 포토크로믹 성능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에는, 이형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착색 방지제, 대전 방지제, 형광 염료, 염료, 안료, 향료 등의 각종 안정제,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자외선 흡수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말론산에스테르계 자외선 흡수제, 옥사닐리드계 자외선 흡수제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자외선 흡수제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자외선에 의한 발색을 저해한다. 자외선 흡수제의 종류에 따라 흡수하는 자외선 영역이 상이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한정은 할 수 없지만, 통상은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량이 0.001 내지 5중량부, 나아가 0.01 내지 1중량부의 범위인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로부터 경화체를 얻는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적이지 않고, 공지된 라디칼 중합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중합 방법을 예시하면, 점착 테이프 또는 엘라스토머 개스킷 또는 스페이서로 유지되고 있는 몰드 사이에,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혼합한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하고, 공기로 내에서 산화시킨 후, 제거하는 주형 중합이 채용된다.
또한, 상기한 방법으로 얻어지는 포토크로믹 경화체는, 그 용도에 따라 이하와 같은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즉, 분산 염료 등의 염료를 사용하는 염색, 실란 커플링제나 규소, 지르코늄, 안티몬, 알루미늄, 주석, 텅스텐 등의 졸을 주성분으로 하는 하드 코팅제나, SiO2, TiO2, ZrO2 등의 금속 산화물의 박막의 증착이나 유기 고분자의 박막의 도포에 의한 반사 방지 처리, 대전 방지 처리 등의 가공 및 2차 처리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 경화한 포토크로믹 경화체(유기 유리)는, 상기한 (A)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 라디칼 중합 개시제 및 (C) 포토크로믹 화합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해짐과 함께, 우수한 포토크로믹 특성을 발휘하면서, 20℃, 589.3㎚의 파장에 있어서의 굴절률을 1.49 내지 1.57의 범위로 할 수 있어, 각종 광학 재료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렌즈나 편광 렌즈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렌즈]
본 실시 형태의 유기 유리로 이루어지는 렌즈는 필요에 따라, 편면 또는 양면에 코팅층을 입혀 사용해도 된다. 안경 렌즈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렌즈는, 상술한 중합성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렌즈 기재와 코팅층으로 이루어진다.
코팅층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프라이머층, 하드 코팅층, 반사 방지층, 방담 코팅층, 방오염층, 발수층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코팅층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복수의 코팅층을 다층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양면에 코팅층을 입히는 경우, 각각의 면에 동일한 코팅층을 입혀도, 상이한 코팅층을 입혀도 된다.
이들 코팅층은 각각 적외선으로부터 눈을 지킬 목적으로 적외선 흡수제, 렌즈의 내후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광 안정제나 산화 방지제, 포토크로믹 화합물, 렌즈의 패션성을 높일 목적으로 염료나 안료, 대전 방지제, 기타, 렌즈의 성능을 높이기 위한 공지된 첨가제를 병용해도 된다.
도포에 의한 코팅을 행하는 층에 관해서는 도포성의 개선을 목적으로 한 각종 레벨링제를 사용해도 된다.
프라이머층은 통상, 후술하는 하드 코팅층과 렌즈 사이에 형성된다. 프라이머층은, 그 위에 형성하는 하드 코팅층과 렌즈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코팅층이며, 경우에 따라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프라이머층에는 얻어진 렌즈에 대한 밀착성이 높은 것이면 어떠한 소재라도 사용할 수 있지만, 통상,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멜라닌계 수지, 폴리비닐아세탈을 주성분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등이 사용된다. 프라이머 조성물은 조성물의 점도를 조정할 목적으로 렌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적당한 용제를 사용해도 된다. 물론, 무용제로 사용해도 된다.
프라이머층은 도포법, 건식법의 어느 방법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도포법을 사용하는 경우, 프라이머 조성물을, 스핀 코팅, 딥 코팅 등 공지된 도포 방법으로 렌즈에 도포한 후, 고화함으로써 프라이머층이 형성된다. 건식법으로 행하는 경우는, CVD법이나 진공 증착법 등의 공지된 건식법으로 형성된다.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때에, 밀착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 렌즈의 표면은, 알칼리 처리, 플라스마 처리, 자외선 처리 등의 전처리를 행해 두어도 된다.
하드 코팅층은, 렌즈 표면에 내찰상성, 내마모성, 내습성, 내온수성, 내열성, 내후성 등 기능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코팅층이다.
하드 코팅층은, 일반적으로는 경화성을 갖는 유기 규소 화합물과 Si, Al, Sn, Sb, Ta, Ce, La, Fe, Zn, W, Zr, In 및 Ti의 원소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원소의 산화물 미립자의 1종 이상 및/또는 이들 원소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원소의 복합 산화물로 구성되는 미립자의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하드 코팅 조성물이 사용된다.
하드 코팅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 아민류, 아미노산류, 금속 아세틸아세토네이트 착체, 유기산 금속염, 과염소산류, 과염소산류의 염, 산류, 금속 염화물 및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 중 적어도 어느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팅 조성물에는 렌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적당한 용제를 사용해도 되고, 무용제로 사용해도 된다.
하드 코팅층은, 통상, 하드 코팅 조성물을 스핀 코팅, 딥 코팅 등 공지된 도포 방법으로 도포한 후, 경화하여 형성된다. 경화 방법으로서는, 열 경화, 자외선이나 가시광선 등의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경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간섭 줄무늬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하여, 하드 코팅층의 굴절률은, 렌즈와의 굴절률의 차가 ±0.1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 방지층은, 통상 필요에 따라 상기 하드 코팅층 위에 형성된다. 반사 방지층에는 무기계 및 유기계가 있고, 무기계의 경우, SiO2, TiO2 등의 무기 산화물을 사용하여,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 이온 빔 어시스트법, CVD법 등의 건식법에 의해 형성된다. 유기계의 경우, 유기 규소 화합물과, 내부 공동을 갖는 실리카계 미립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습식에 의해 형성된다.
반사 방지층은 단층 및 다층이 있고, 단층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하드 코팅층의 굴절률보다도 굴절률이 적어도 0.1 이상 낮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효과적으로 반사 방지 기능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다층막 반사 방지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경우, 저굴절률막과 고굴절률막을 교대로 적층한다. 이 경우도 저굴절률막과 고굴절률막의 굴절률차는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굴절률막으로서는 ZnO, TiO2, CeO2, Sb2O5, SnO2, ZrO2, Ta2O5 등의 막이 있고, 저굴절률막으로서는 SiO2막 등을 들 수 있다.
반사 방지층 위에는, 필요에 따라 방담층, 방오염층, 발수층을 형성시켜도 된다. 방담층, 방오염층, 발수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반사 방지 기능에 악영향을 초래하는 것이 아니면, 그 처리 방법, 처리 재료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방담 처리 방법, 방오염 처리 방법, 발수 처리 방법,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담 처리 방법, 방오염 처리 방법으로는, 표면을 계면 활성제로 덮는 방법, 표면에 친수성의 막을 부가하여 흡수성으로 하는 방법, 표면을 미세한 요철로 덮어 흡수성을 높이는 방법, 광 촉매 활성을 이용하여 흡수성으로 하는 방법, 초발수성 처리를 실시하여 수적의 부착을 방지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발수 처리 방법에서는, 불소 함유 실란 화합물 등을 증착이나 스퍼터에 의해 발수 처리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나, 불소 함유 실란 화합물을 용매에 용해한 뒤, 코팅하여 발수 처리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편광 렌즈]
본 실시 형태의 편광 렌즈는, 편광 필름과, 상기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형성된, 유기 유리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편광 필름은 열 가소성 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 열 가소성 수지로서는, 열 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열 가소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열 가소성 폴리올레핀, 열 가소성 폴리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내수성, 내열성 및 성형 가공성의 관점에서, 열 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열 가소성 폴리카르보네이트가 바람직하고, 열 가소성 폴리에스테르가 보다 바람직하다.
열 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내수성, 내열성 및 성형 가공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으로서, 구체적으로는 2색성 염료 함유 열 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편광 필름, 요오드 함유 폴리비닐알코올 편광 필름, 2색성 염료 함유 폴리비닐알코올 편광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편광 필름은 건조, 안정화를 위하여 가열 처리를 실시한 후 사용해도 된다.
또한, 편광 필름은, 아크릴계 수지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프라이머 코팅 처리, 약품 처리(가스 또는 알칼리 등의 약액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스마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 전자선 조사 처리, 조면화 처리, 화염 처리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전처리를 행한 후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전처리 중에서도 프라이머 코팅 처리, 약품 처리,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스마 처리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편광 렌즈는, 이러한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 위에, 본 실시 형태의 중합성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어지는 유기 유리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을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플라스틱 편광 렌즈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주형 중합법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플라스틱 편광 렌즈의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편광 필름을 몰드로부터 이격한 상태에서 렌즈 주형(注型)용 주형(鑄型) 내에 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편광 필름과 상기 몰드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중합성 조성물을 주입하는 공정과,
상기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 경화하여, 상기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기재층을 적층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주형용 주형은, 개스킷으로 유지된 2개의 대략 원반상의 유리제 몰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렌즈 주형용 주형의 공간 내에, 편광 필름을, 필름면이 대향하는 프론트측의 몰드 내면과 평행해지도록 설치한다. 편광 필름과 몰드 사이에는 공극부가 형성된다. 또한, 편광 필름은 미리 부형되어 있어도 된다.
중합성 조성물의 중합 조건은, 중합성 조성물의 조성, 촉매의 종류와 사용량, 몰드의 형상 등에 따라 조건이 상이한데, 5 내지 140℃의 온도에서 1 내지 50시간에 걸쳐 행하여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5 내지 130℃의 온도 범위에서 유지 또는 서서히 승온하여, 1 내지 25시간에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에 의해 경화된 적층체를 주형으로부터 이형하여, 본 실시 형태의 편광 렌즈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중합·이형 후의 적층체는, 필요에 따라, 어닐 등의 가열 처리를 행해도 된다. 처리 온도는, 본 발명의 효과의 관점에서, 90 내지 150℃ 사이에서 행하여지지만, 110 내지 130℃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15 내지 125℃에서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처리 시간은, 본 발명의 효과의 관점에서, 1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시간의 범위이다.
또한, 얻어진 기재층의 표면에는 렌즈와 동일한 상기 코팅층을 형성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예시하며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6
표 1의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6에 나타낸, (A)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C) 포토크로믹 화합물, 그 밖의 첨가제 성분을 70℃에서 충분히 혼합했다. 이 혼합액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B)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고, 균일화될 때까지 실온에서 혼합했다. 이들 배합 비율은 표 1에 나타냈다.
이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한 혼합액을, 2매의 원반상의 유리판의 외주를 점착 테이프로 감은 형에 주입하여, 주형 중합을 행했다. 중합은 공기로를 사용하여, 서서히 온도를 올려 가 중합했다. 중합 종료 후, 주형을 공기로로부터 제거하고, 방랭 후, 경화체를 주형의 유리형으로부터 제거했다.
얻어진 포토크로믹 경화체의 수지 황색도, 포토크로믹 특성을 이하의 방법으로 시험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2) 수지 황색도(YI)
얻어진 포토크로믹 경화체(두께 2㎜)를 코니카 미놀타사제의 분광 측색계 CM-5로 YI를 측정했다.
(3) 포토크로믹 특성
발색 후의 550㎚에 있어서의 광선 투과율: 오쓰카 덴시사제 MC-2563 크세논 램프(180W) 광원 장치(조도 50000lx)를 사용하여, 온도 23℃에서, 얻어진 포토크로믹 경화체(두께 2㎜)를 5분간 발색시켰을 때의 분광을 MCPD-7700 투과 측정 시스템으로 측정했다.
발색 전 투과율, 발색 후 투과율, 발색 전후의 투과율 변화량에 따라 포토크로믹 성능을 평가했다.
포토크로믹 화합물에 의해 발색 시의 최대 흡수 파장(λmax)이 상이하기 때문에, λmax에서의 투과율에 따라 포토크로믹 성능을 평가했다.
발색 후의 투과율이 낮을수록 발색 시의 차광성이 높으며, 또한 발색 전후의 투과율 변화량이 클수록 발색 전후의 농도차가 높고, 포토크로믹 성능이 높음을 나타낸다.
(4) 아타고사제 아베 굴절률계로, 589.3㎚의 파장의 20℃에 있어서의 경화체의 굴절률을 측정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7, 비교예 1 내지 6의 모든 경화체가 굴절률 1.500±0.002이며, 실시예 8 및 9의 경화체가 굴절률 1.550±0.002였다.
(사용 원료)
중합성 화합물
·RAV 7MC(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및 펜타에리트리톨의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 ACOMON사제)
·RAV 7AT(디에틸렌글리콜 및 펜타에리트리톨의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 ACOMON사제)
·RAV 7NG(디에틸렌글리콜 및 펜타에리트리톨의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 ACOMON사제)
·RAV 755T(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알릴알코올, 디알릴카르보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의 에스테르 교환에 의해 얻어지는 알릴에스테르 화합물, 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알릴에스테르기 및 알릴카르보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혼합물, ACOMON사제)
라디칼 중합 개시제
·LUPEROX TAEC(OO-(t-아밀)-O-(2-에틸헥실)모노퍼옥시카르보네이트, 아르케마사제)
·PERHEXA HC(1,1-비스(t-헥실퍼옥시)시클로헥산, 니치유사제)
·LUPEROX 570(t-아밀퍼옥시이소노나에이트, 아르케마 요시토미사제)
·TRIGONOX ADC-NS30(이소프로필이소부틸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및 디이소부틸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를 합계 30중량부 포함하는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용액, 아크조노벨사제)
포토크로믹 화합물
·Reversacol Heath Green(폴리옥시알킬렌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11))
·Reversacol Wembley Grey(폴리옥시알킬렌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11))
·Reversacol Pennine Green(폴리디메틸실록산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11))
·Reversacol Humber Blue(폴리디메틸실록산쇄, 나프토피란계 발색단(일반식 11))
(실시예 1)
시판되고 있는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의 RAV 7NG(ACOMON사제) 99.1중량부에 대하여, 포토크로믹 화합물 Reversacol Heath Green(제품명, Vivimed사제) 0.035중량부, Reversacol Wembley Grey(제품명, Vivimed사제) 0.065중량부,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제품명, SEESORB 101, 시프로 가세이사제) 0.15중량부를 70℃에서 용해시켜, 실온으로 냉각 후에 경화제로서 LUPEROX TAEC(제품명, 아르케마사제) 0.9중량부를 첨가하고, 2매의 원반상의 유리판의 외주를 점착 테이프로 감은 형에 주입하여, 실온부터 110℃까지 점차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24시간 중합했다. 그 후, 성형체를 이형하고, 120℃로 1시간 가열하여 후중합하여, 2㎜의 두께의 평판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의 YI는 4.1이고 담황색이었다. λmax에서의 발색 후 투과율은 29.6%, 발색 전후의 투과율 변화량은 58.4%였다.
(실시예 2)
시판되고 있는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의 RAV 7NG(ACOMON사제) 99.1중량부에 대하여, 포토크로믹 화합물 Reversacol Heath Green(제품명, Vivimed사제) 0.035중량부, Reversacol Wembley Grey(제품명, Vivimed사제) 0.065중량부,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제품명: SEESORB 101, 시프로 가세이사제) 0.15중량부, 1,4-비스[(2,6-디에틸-4-메틸페닐)아미노]-9,10-안트라퀴논(제품명: Macrolex Blue RR, 랑세스사제) 2.5ppm, 1,4-디아미노-2,3-페녹시-9,10-안트라퀴논(제품명: Solvaperm Red Violet R, 클라리안트사제) 2.5ppm을 70℃에서 용해시켜, 실온으로 냉각 후에 경화제로서 LUPEROX TAEC(제품명, 아르케마사제) 0.9중량부를 첨가하고, 2매의 원반상의 유리판의 외주를 점착 테이프로 감은 형에 주입하여, 실온부터 110℃까지 점차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24시간 중합했다. 그 후, 성형체를 이형하고, 120℃로 1시간 가열하여 후중합하여, 2㎜의 두께의 평판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의 YI는 1.7이고 중성색이었다. λmax에서의 발색 후 투과율은 29.3%, 발색 전후의 투과율 변화량은 57.4%였다.
(실시예 3)
시판되고 있는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의 RAV 7NG(ACOMON사제) 98.8중량부에 대하여, 포토크로믹 화합물 Reversacol Heath Green(제품명, Vivimed사제) 0.035중량부, Reversacol Wembley Grey(제품명, Vivimed사제) 0.065중량부,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제품명: SEESORB 101, 시프로 가세이사제) 0.15중량부를 70℃에서 용해시켜, 실온으로 냉각 후에 경화제로서 PERHEXA HC(제품명, 니치유사제) 1.2중량부를 첨가하고, 2매의 원반상의 유리판의 외주를 점착 테이프로 감은 형에 주입하여, 실온부터 100℃까지 점차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24시간 중합했다. 그 후, 성형체를 이형하고, 110℃로 1시간 가열하여 후중합하여, 2㎜의 두께의 평판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의 YI는 4.8이고 담황색이었다. λmax에서의 발색 후 투과율은 30.1%, 발색 전후의 투과율 변화량은 56.7%였다.
(실시예 4)
시판되고 있는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의 RAV 7NG(ACOMON사제) 98.8중량부에 대하여, 포토크로믹 화합물 Reversacol Heath Green(제품명, Vivimed사제) 0.03중량부, Reversacol Wembley Grey(제품명, Vivimed사제) 0.06중량부를 70℃에서 용해시켜, 실온으로 냉각 후에 경화제로서 LUPEROX 570(제품명, 아르케마 요시토미사제) 1.2중량부를 첨가하고, 2매의 원반상의 유리판의 외주를 점착 테이프로 감은 형에 주입하여, 실온부터 110℃까지 점차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24시간 중합했다. 그 후, 성형체를 이형하고, 120℃로 1시간 가열하여 후중합하여, 2㎜의 두께의 평판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의 YI는 3.8이고 담황색이었다. λmax에서의 발색 후 투과율은 27.8%, 발색 전후의 투과율 변화량은 59.6%였다.
(실시예 5)
시판되고 있는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의 RAV 7AT(ACOMON사제) 69.4중량부와 시판되고 있는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의 RAV 7MC(ACOMON사제) 29.7중량부의 혼합물에 대하여, 포토크로믹 화합물 Reversacol Heath Green(제품명, Vivimed사제) 0.03중량부, Reversacol Wembley Grey(제품명, Vivimed사제) 0.06중량부,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제품명: SEESORB 101, 시프로 가세이사제) 0.2중량부를 70℃에서 용해시켜, 실온으로 냉각 후에 경화제로서 LUPEROX TAEC(제품명, 아르케마사제) 0.9중량부를 첨가하고, 2매의 원반상의 유리판의 외주를 점착 테이프로 감은 형에 주입하여, 실온부터 120℃까지 점차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24시간 중합했다. 그 후, 성형체를 이형하고, 120℃로 1시간 가열하여 후중합하여, 2㎜의 두께의 평판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의 YI는 4.0이고 담황색이었다. λmax에서의 발색 후 투과율은 33.7%, 발색 전후의 투과율 변화량은 53.2%였다.
(실시예 6)
시판되고 있는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의 RAV 7MC(ACOMON사제) 99.2중량부에 대하여, 포토크로믹 화합물 Reversacol Pennine Green(제품명, Vivimed사제) 0.046중량부를 70℃에서 용해시켜, 실온으로 냉각 후에 경화제로서 LUPEROX TAEC(제품명, 아르케마사제) 0.8중량부를 첨가하고, 2매의 원반상의 유리판의 외주를 점착 테이프로 감은 형에 주입하여, 실온부터 120℃까지 점차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24시간 중합했다. 그 후, 성형체를 이형하고, 120℃로 1시간 가열하여 후중합하여, 2㎜의 두께의 평판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의 YI는 3.7이고 담황색이었다. λmax에서의 발색 후 투과율은 45.4%, 발색 전후의 투과율 변화량은 44.1%였다.
(실시예 7)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Reversacol Pennine Green(제품명, Vivimed사제) 대신에 Reversacol Humber Blue(제품명, Vivimed사제)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2㎜의 두께의 평판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의 YI는 2.6이고 담황색이었다. λmax에서의 발색 후 투과율은 66.3%, 발색 전후의 투과율 변화량은 24.5%였다.
(실시예 8)
시판되고 있는 폴리(알릴에스테르) 및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의 혼합물의 RAV 755T(ACOMON사제) 99.2중량부에 대하여, 포토크로믹 화합물 Reversacol Pennine Green(제품명, Vivimed사제) 0.046중량부를 70℃에서 용해시켜, 실온으로 냉각 후에 경화제로서 LUPEROX TAEC(제품명, 아르케마사제) 0.8중량부를 첨가하고, 2매의 원반상의 유리판의 외주를 점착 테이프로 감은 형에 주입하여, 실온부터 120℃까지 점차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24시간 중합했다. 그 후, 성형체를 이형하고, 120℃로 1시간 가열하여 후중합하여, 2㎜의 두께의 평판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의 YI는 2.8이고 담황색이었다. λmax에서의 발색 후 투과율은 35.5%, 발색 전후의 투과율 변화량은 52.4%였다.
(실시예 9)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Reversacol Pennine Green(제품명, Vivimed사제) 대신에 Reversacol Humber Blue(제품명, Vivimed사제)를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하여 2㎜의 두께의 평판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의 YI는 3.2이고 담황색이었다. λmax에서의 발색 후 투과율은 63.0%, 발색 전후의 투과율 변화량은 26.4%였다.
(비교예 1)
시판되고 있는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의 RAV 7MC(ACOMON사제) 90중량부에 대하여, 포토크로믹 화합물 Reversacol Pennine Green(제품명, Vivimed사제) 0.046중량부를 70℃에서 용해시켜, 실온으로 냉각 후에 경화제로서 TRIGONOX ADC-NS30(제품명, 아크조노벨사제) 10중량부를 첨가하고, 2매의 원반상의 유리판의 외주를 점착 테이프로 감은 형에 주입하여, 실온부터 80℃까지 점차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20시간 중합했다. 그 후, 성형체를 이형하고, 110℃로 2시간 가열하여 후중합하여, 2㎜의 두께의 평판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의 YI는 13.7이고 짙은 황색이었다. λmax에서의 발색 후 투과율은 77.4%, 발색 전후의 투과율 변화량은 1.0%였다.
(비교예 2)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Reversacol Pennine Green(제품명, Vivimed사제) 대신에 Reversacol Humber Blue(제품명, Vivimed사제)를 사용한 것 이외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2㎜의 두께의 평판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의 YI는 7.6이고 황색이었다. λmax에서의 발색 후 투과율은 87.6%, 발색 전후의 투과율 변화량은 3.7%였다.
(비교예 3)
시판되고 있는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의 RAV 7MC(ACOMON사제) 99.2중량부에 대하여, 포토크로믹 화합물 CR49(코닝사제) 0.046중량부를 70℃에서 용해시켜, 실온으로 냉각 후에 경화제로서 LUPEROX TAEC(제품명, 아르케마사제) 0.8중량부를 첨가하고, 2매의 원반상의 유리판의 외주를 점착 테이프로 감은 형에 주입하여, 실온부터 110℃까지 점차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24시간 중합했다. 그 후, 성형체를 이형하고, 120℃로 1시간 가열하여 후중합하여, 2㎜의 두께의 평판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의 YI는 36.3이고 황갈색이었다. λmax에서의 발색 후 투과율은 62.7%, 발색 전후의 투과율 변화량은 22.5%였다.
(비교예 4)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CR49(코닝사제) 대신에 CR59(코닝사제)를 사용한 것 이외는, 비교예 3과 동일하게 하여 2㎜의 두께의 평판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의 YI는 16.6이고 짙은 황색이었다. λmax에서의 발색 후 투과율은 29.3%, 발색 전후의 투과율 변화량은 47.2%였다.
(비교예 5)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CR49(코닝사제) 대신에 CR173(코닝사제)을 사용한 것 이외는, 비교예 3과 동일하게 하여 2㎜의 두께의 평판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의 YI는 8.1이고 황색이었다. λmax에서의 발색 후 투과율은 74.9%, 발색 전후의 투과율 변화량은 16.9%였다.
(비교예 6)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CR49(코닝사제) 대신에 CR209(코닝사제)를 사용한 것 이외는, 비교예 3과 동일하게 하여 2㎜의 두께의 평판을 얻었다. 얻어진 수지의 YI는 10.4이고 황색이었다. λmax에서의 발색 후 투과율은 52.0%, 발색 전후의 투과율 변화량은 22.9%였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28
Figure 112018025847515-pct00029
또한, 편광 렌즈에 있어서도, 동일한 결과가 얻어질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출원은, 2015년 9월 16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특원 제2015-183493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 및 2015년 12월 9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특원 제2015-240356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된 전부를 여기에 원용한다.

Claims (16)

  1. (A) 하기 일반식 (1)로 표현되는, 2 이상의 알릴옥시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B) 하기 일반식 (6)으로 표현되는 10시간 반감기 온도가 80℃ 이상인 퍼옥시케탈계 중합 개시제, 하기 일반식 (7)로 표현되는 10시간 반감기 온도가 80℃ 이상인 퍼옥시모노카르보네이트계 중합 개시제 및 하기 일반식 (8)로 표현되는 10시간 반감기 온도가 65℃ 이상인 퍼옥시에스테르계 중합 개시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중합 개시제와,
    (C) 하기 일반식 (9) 또는 하기 일반식 (10)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포토크로믹 화합물,
    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
    Figure 112019057159348-pct00041

    (식 중 n은 2 내지 6의 정수이다.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복수 존재하는 R1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X는, 산소 원자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3 내지 12의 선상 또는 분지쇄상의 지방족 폴리올로부터 유도되는 2 내지 6가의 유기기 a, 산소 원자를 갖고 있어도 되는 탄소 원자수 5 내지 16의 환상 지방족 폴리올로부터 유도되는 2 내지 6가의 유기기 b 또는 탄소 원자수 6 내지 12의 방향족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2 내지 6가의 유기기 c이며, 유기기 a 또는 유기기 b는, 이들이 구비하는 수산기 유래의 에테르기를 통하여 알릴옥시카르보닐기와 결합하여 알릴카르보네이트기를 형성한다)
    Figure 112019057159348-pct00042

    (식 (6)에 있어서, R3은 제3급 알킬기이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로부터 선택되는 알킬기이며, 상기한 알킬기는 말단에 알킬에스테르기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R1과 R2는 그들이 결합하고 있는 탄소 원자와 일체가 되어 시클로알킬렌기를 형성할 수 있고, 해당 시클로알킬렌기는 1 내지 3개의 알킬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된다)
    Figure 112019057159348-pct00043

    (식 (7)에 있어서, R1은 C3 내지 C6의 제3급 알킬기이며, R2는 선상 또는 분지된 C3 내지 C8의 알킬기이다)
    Figure 112019057159348-pct00044

    (식 (8)에 있어서, R1은 C3 내지 C6의 제3급 알킬기이며, R2는 선상 또는 분지된 C3 내지 C9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이다)
    Figure 112019057159348-pct00045

    (식 (9) 또는 식 (10) 중 PC와 PC'은 일반식 (11) 내지 (14)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1가의 기를 나타낸다. PC와 PC'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Figure 112019057159348-pct00046

    (식 (11) 내지 (14) 중 R1 내지 R18은, 수소, 할로겐 원자, 카르복실기, 아세틸기, 포르밀기, 치환되어도 되는 C1 내지 C20의 지방족기, 치환되어도 되는 C3 내지 C20의 지환족기, 또는 치환되어도 되는 C6 내지 C20의 방향족 유기기를 나타내고, 각각 동일해도 상이해도 된다. 이들 지방족기, 지환족기 또는 방향족 유기기는, 산소 원자, 질소 원자를 포함해도 된다. 일반식 (11) 내지 (14)로 표현되는 화합물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기는, 2가의 유기기인 L 또는 L'과 결합한다)
    식 (9) 또는 식 (10) 중 L과 L'은, 옥시에틸렌쇄, 옥시프로필렌쇄, (티오) 에스테르기, (티오)아미드기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식 (9) 또는 식 (10) 중 Chain은, 폴리실록산쇄, 폴리옥시알킬렌쇄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1가 또는 2가의 유기기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2 이상의 알릴옥시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A)는, 하기 일반식 (2)로 표현되는 알릴카르보네이트 중합성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 또는 하기 일반식 (3) 또는 (4)로 표현되는 알릴에스테르 중합성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 또는 하기 일반식 (5)로 표현되는 알릴에스테르기 및 알릴카르보네이트기 중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중합성 화합물 및 그들의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
    Figure 112018025847515-pct00031

    (식 (2)에 있어서, X는 선상 또는 분지된 C3 내지 C12의 지방족 폴리올로부터 유도되는 2 내지 6가의 기 또는 C5 내지 C16의 환상 지방족 폴리올로부터 유도되는 2 내지 6가의 기를 나타내고, n은 2 내지 6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32

    Figure 112018025847515-pct00033

    (식 (4)에 있어서, X는 선상 또는 분지된 C2 내지 C8의 지방족 디올로부터 유도되는 2가의 기, 또는 수산기를 3 내지 6개 갖는 선상 또는 분지된 C3 내지 C10의 지방족 폴리올로부터 유도되는 3 내지 6가의 기를 나타내고, n은 2 내지 6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18025847515-pct00034

    (식 (5)에 있어서, X는 선상 또는 분지된 C2 내지 C8의 지방족 디올로부터 유도되는 2가의 기, 또는 수산기를 3 내지 6개 갖는 선상 또는 분지된 C3 내지 C10의 지방족 폴리올로부터 유도되는 3 내지 6가의 기를 나타내고, m 및 n은 0 내지 6의 정수를 나타내며 또한 m과 n의 총합은 2 내지 6의 정수이다).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릴카르보네이트 중합성 화합물이,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2-메틸-2-에틸-1,3-프로판디올,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1,4-디메틸올시클로헥산 및 4,8-비스(히드록시메틸)-[5.2.1.02, 6]트리시클로데칸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디올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트리올의 트리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펜타에리트리톨, 디글리세롤 및 디트리메틸올프로판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테트라올의 테트라(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디펜타에리트리톨의 헥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상기 디올, 상기 트리올, 상기 테트라올 및 상기 디펜타에리트리톨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2종류의 화합물의 혼합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릴카르보네이트 중합성 화합물이,
    (i) 디에틸렌글리콜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ⅱ) 디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의 혼합물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ⅲ) 디에틸렌글리콜과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의 혼합물의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ⅳ) 디에틸렌글리콜과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혼합물의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v) 디에틸렌글리콜과 펜타에리트리톨의 혼합물의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vi) 디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과 펜타에리트리톨의 혼합물의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및
    (vⅱ) 디에틸렌글리콜과 네오펜틸글리콜과 펜타에리트리톨의 혼합물의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과,
    디에틸렌글리콜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폴리(알릴카르보네이트) 혼합물,
    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릴에스테르 중합성 화합물이,
    디알릴이소프탈레이트 또는 디알릴테레프탈레이트 또는 디알릴오르토프탈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디알릴프탈레이트 단량체,
    상기 디알릴프탈레이트 단량체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2-메틸-2-에틸-1,3-프로판디올,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1,4-디메틸올시클로헥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디올의 혼합물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디알릴에스테르 단량체 및 그의 올리고머,
    상기 디알릴프탈레이트 단량체와,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디글리세롤, 디트리메틸올프로판, 디펜타에리트리톨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폴리올의 혼합물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알릴에스테르 단량체 및 그의 올리고머 및
    C1 내지 C3의 알킬기를 갖는 디알킬이소프탈레이트, 디알킬테레프탈레이트, 디알킬오르토프탈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디알킬프탈레이트와, 알릴알코올과, 디알릴카르보네이트와, 상기 디올 또는 상기 폴리올의 혼합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알릴카르보네이트기를 포함하는 알릴에스테르 단량체 및 그의 올리고머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조성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릴에스테르 중합성 화합물이,
    (i) 디알릴테레프탈레이트와, 해당 디알릴테레프탈레이트에 대하여 30중량%의 디에틸렌글리콜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ⅱ) 디알릴테레프탈레이트와 프로필렌글리콜의 혼합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얻어진 알릴에스테르 화합물,
    (ⅲ) (ⅱ)의 알릴에스테르 화합물과, 해당 알릴에스테르 화합물에 대하여 20중량%의 디에틸렌글리콜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ⅳ)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와 알릴알코올과 디알릴카르보네이트와 디에틸렌글리콜의 혼합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얻어진, 알릴에스테르 화합물, 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알릴에스테르기 및 알릴카르보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의 혼합물 및
    (v) (ⅳ)에서 얻어진 상기 혼합물과, 해당 혼합물에 대하여 10중량%의 디에틸렌글리콜의 비스(알릴카르보네이트)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
    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중합성 조성물.
  9. 제2항에 있어서, 2 이상의 알릴옥시카르보닐기를 포함하는 상기 화합물 (A)가,
    제7항에 기재된 상기 알릴에스테르 중합성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 제5항에 기재된 상기 알릴카르보네이트 중합성 화합물 및 그의 올리고머와의 혼합물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성분 (A)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한 성분 (B)를 0.3 내지 5.0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성분 (A)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한 성분 (C)를 0.01 내지 0.5중량부의 양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1항, 제2항, 제5항 내지 제8항, 제10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을 라디칼 중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포토크로믹 성능을 구비하는 유기 유리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상기 중합성 조성물을 주형(鑄型)에 주입하고, 이것을 50 내지 120℃의 범위 내의 온도에서 1 내지 100시간 중합하는 주형(注型) 중합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항, 제2항, 제5항 내지 제8항, 제10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중합성 조성물을 중합 경화한 유기 유리.
  15. 제14항에 기재된 유기 유리로 이루어지는 렌즈.
  16. 편광 필름과,
    상기 편광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형성된, 제14항에 기재된 유기 유리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을 구비하는 편광 렌즈.
KR1020187007437A 2015-09-16 2016-09-16 중합성 조성물, 당해 조성물을 사용한 유기 유리의 제조 방법 및 유기 유리 KR1021073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83493 2015-09-16
JPJP-P-2015-183493 2015-09-16
JPJP-P-2015-240356 2015-12-09
JP2015240356 2015-12-09
PCT/JP2016/077420 WO2017047743A1 (ja) 2015-09-16 2016-09-16 重合性組成物、当該組成物を用いた有機ガラスの製造方法および有機ガラ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181A KR20180041181A (ko) 2018-04-23
KR102107321B1 true KR102107321B1 (ko) 2020-05-07

Family

ID=58289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437A KR102107321B1 (ko) 2015-09-16 2016-09-16 중합성 조성물, 당해 조성물을 사용한 유기 유리의 제조 방법 및 유기 유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11078B2 (ko)
EP (1) EP3351565B1 (ko)
JP (2) JPWO2017047743A1 (ko)
KR (1) KR102107321B1 (ko)
CN (1) CN107949583B (ko)
BR (1) BR112018004610A2 (ko)
WO (1) WO20170477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9455A (zh) 2015-12-31 2016-07-13 江苏康耐特光学有限公司 一种防蓝光光学树脂镜片及其制备方法
CN110036342A (zh) * 2016-12-05 2019-07-19 阿科玛股份有限公司 引发剂共混物和可用于3d打印的含有此类引发剂共混物的可光固化组合物
CN110291122B (zh) * 2017-02-21 2022-03-01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聚合性组合物、由该组合物得到的光学材料及塑料透镜
EP3382428B1 (en) * 2017-03-27 2021-01-27 Essilor International Optical material with improved colour
WO2019009230A1 (ja) 2017-07-03 2019-01-10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および成形体
WO2019111968A1 (ja) * 2017-12-06 2019-06-13 三井化学株式会社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成形体、光学材料、プラスチック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68613B1 (ko) * 2018-03-27 2022-11-17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중합 조건 설정 방법 및 광학 재료의 제조 방법
JP7274911B2 (ja) * 2019-03-29 2023-05-17 ホヤ レンズ タイランド リミテッド 光学物品用コーティング組成物、眼鏡レンズ、眼鏡および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ならびに光学物品および光学物品の製造方法
EP3969268B1 (en) 2019-05-13 2023-07-05 Alcon Inc. Method for producing photochromic contact lenses
WO2024105341A1 (fr) * 2022-11-18 2024-05-23 Arkema France Composition a base de monomeres allyliques et de peroxyde pour la fabrication de verres organiqu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5684A (ja) * 2002-11-04 2006-02-16 ポリマーズ・オーストラリア・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フォトクロミック組成物および光透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3656A (en) 1984-11-23 1986-09-23 Ppg Industries, Inc. Method for polymerizing bis(allyl carbonate) resin
US5336743A (en) * 1991-11-01 1994-08-09 Nof Corporation Cast resin for optical use
JP3016533B2 (ja) 1992-03-03 2000-03-06 株式会社トクヤマ フォトクロミック組成物
US5462698A (en) 1992-03-03 1995-10-31 Tokuyama Corporation Photochromic composition
IT1257700B (it) 1992-10-30 1996-02-01 Enichem Sintesi Composizione e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vetri organici
US5708064A (en) 1993-10-15 1998-01-13 Ppg Industries, Inc. High refractive index photochromic ophthalmic article
JPH08320534A (ja) 1995-05-25 1996-12-03 Tokuyama Corp フォトクロミック硬化性組成物
US5973093A (en) 1996-11-27 1999-10-26 Ppg Industries Ohio, Inc. Polymerizable polyol (allyl carbonate) composition
US5739243A (en) 1996-11-27 1998-04-14 Ppg Industries, Inc. Polymerizable composition
US6669873B1 (en) 1999-04-22 2003-12-30 Ppc Industries Ohio, Inc. Optical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iol-ene prepolymer
US6316570B1 (en) * 1999-06-23 2001-11-13 Ppg Industries Ohio, Inc. Polymerizable composition of aliphatic polyol (allyl carbonate)
IT1313659B1 (it) 1999-10-01 2002-09-09 Great Lakes Chemical Europ Composizione liquida polimerizzabile in vetri organici fotocromatici.
US7214754B2 (en) * 1999-12-13 2007-05-08 Ppg Industries Ohio, Inc. Polymerizable polyol (allyl carbonate) compositions
US6572794B1 (en) 2000-07-24 2003-06-03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chromic molded article
JP2004078052A (ja) 2002-08-22 2004-03-11 Nof Corp フォトクロミック光学材料の製造方法
AU2002952454A0 (en) * 2002-11-04 2002-11-21 Polymers Australia Pty Limited Photochromic compositions and light transmissible particles
US8518546B2 (en) * 2003-07-01 2013-08-27 Transitions Optical, Inc. Photochromic compounds and compositions
US7556750B2 (en) 2005-04-08 2009-07-07 Transitions Optical, Inc. Photochromic materials with reactive substituents
JP2009019157A (ja) 2007-07-13 2009-01-29 Tokuyama Corp フォトクロミック硬化性組成物
EP2294114B1 (en) 2008-06-05 2012-08-15 Advanced Polymerik Pty Ltd Photochromic polymer and composition comprising photochromic polymer
US20110190455A1 (en) 2008-08-18 2011-08-04 Vivimed Labs Europe Ltd. Polydialkylsiloxane-bridged bi-photochromic molecules
GB0815109D0 (en) 2008-08-18 2008-09-24 James Robinson Ltd Polydialkylsiloxane-bridged bi-photochromic molecules
WO2010066071A1 (en) 2008-12-08 2010-06-17 Evonik Roehm Gmbh Process for preparing a photochromic polymeric composition, thus obtained polymeric composition and use thereof
CN103502305B (zh) 2011-05-03 2016-04-13 薇薇美德实验室欧洲有限公司 光致变色聚合物
CN103597006B (zh) 2011-06-03 2016-05-11 薇薇美德实验室欧洲有限公司 光致变色聚合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5684A (ja) * 2002-11-04 2006-02-16 ポリマーズ・オーストラリア・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フォトクロミック組成物および光透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51565A1 (en) 2018-07-25
WO2017047743A1 (ja) 2017-03-23
EP3351565A4 (en) 2019-05-22
BR112018004610A2 (pt) 2018-09-25
US10711078B2 (en) 2020-07-14
US20190153131A1 (en) 2019-05-23
EP3351565B1 (en) 2020-08-05
JP2020073695A (ja) 2020-05-14
CN107949583A (zh) 2018-04-20
JPWO2017047743A1 (ja) 2018-03-29
KR20180041181A (ko) 2018-04-23
CN107949583B (zh)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7321B1 (ko) 중합성 조성물, 당해 조성물을 사용한 유기 유리의 제조 방법 및 유기 유리
JP6607958B2 (ja)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当該組成物から得られる光学材料およ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
CN107949584B (zh) 光学材料用聚合性组合物、由该组合物得到的光学材料及塑料透镜
US11248077B2 (en)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and molded product
EP3587464B1 (en) Polymerizable composition of optical materials, optical material obtained from said composition, and plastic lens
US20210171682A1 (en) Polymerizable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and molded product
WO2019111968A1 (ja)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成形体、光学材料、プラスチックレン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