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7319B1 -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7319B1
KR102107319B1 KR1020180147836A KR20180147836A KR102107319B1 KR 102107319 B1 KR102107319 B1 KR 102107319B1 KR 1020180147836 A KR1020180147836 A KR 1020180147836A KR 20180147836 A KR20180147836 A KR 20180147836A KR 102107319 B1 KR102107319 B1 KR 102107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vehicle camera
unit
vehic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7319B9 (ko
Inventor
김동진
오현구
Original Assignee
해성옵틱스(주)
오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성옵틱스(주), 오현구 filed Critical 해성옵틱스(주)
Priority to KR1020180147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7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319B1/ko
Publication of KR10210731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31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는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이 설치되는 LED 조명 설치부; LED 조명을 촬영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및 차량용 카메라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테스트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APPARATUS FOR TESTING CAMERA MODU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에서 LED 조명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차량에는 주행 시 운전자가 주행 차로의 전방, 후방, 측면의 도로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카메라가 배치된다. 운전자는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통해 전방차량, 차선, 표지판 등을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방차량과의 안전거리를 유지 또는 후방에서 주행해오는 차량의 주행 방향 및 속도를 인식하여 차선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이 주행하는 경우 차량 주변에는 다양한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이 존재한다.
LED 조명에는 차량의 헤드라이트와 방향지시등, 안개등, 가로등, 신호등 및 속도 표시판 등이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LED 조명은 저 주파수의 특정한 주파수 성분을 가지고 있다. 즉, LED 조명은 특정 주기로 온(On) 구간과 오프(Off) 구간이 반복됨으로써 플리커(Flicker, 깜빡임)이 발생한다. 통상, LED 조명에 대상 대상은 우선 후행 차량용 헤드라이트, 안개등, 주간주행등(Day Light) 등이 대상이 되며, 전방 차량은 브레이크등, 미등, 후진등이 해당된다. 기타 주행 중 외부 조명은 가로등, 신호등, 기타 LED로 표시되는 영상장치가 해당된다. 이는 차량용 카메라를 통해서 영상이 입력될 때 각기 출력되는 파장 정보가 다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카메라의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즉, 차량용 카메라 모듈이 LED 조명을 촬영했을 경우 LED 조명에 의한 플리커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다.
더욱이, LED 조명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차량용 카메라 모듈에 따라 그 밝기가 감소하게 되는 바, 차량용 카메라 모듈이 LED 조명을 촬영했을 때 그 거리에 따라 이미지를 인식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었다. 따라서, 각 LED 조명에 대한 다양한 환경을 조성하여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1832918호(2018.02.21)의 '자율주행 자동차 영상인식 주행시험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차량용 카메라 모듈에서 LED 조명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는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이 설치되는 LED 조명 설치부; 상기 LED 조명을 촬영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테스트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LED 조명 설치부는 상기 LED 조명을 고정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LED 조명 설치부는 상기 LED 조명의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LED 조명 설치부는 상기 LED 조명과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거리를 상기 테스트 기기에 전달하는 거리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테스트 기기는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에 대한 성능정보를 검출하는 분석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로부터 영상이 입력되면, 상기 분석부를 통해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에 대한 성능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성능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테스트 기기는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장착 기준점을 조절하는 장착 기준점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분석부는 상기 LED 조명에 의한 플리커 발생 여부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에서 LED 조명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는 실차 주행과 유사한 환경에서 차량용 카메라 모듈에 대한 테스트가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기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설치부 및 테스트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설치부 및 테스트 기기의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설치부 및 테스트 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장착 기준점 변경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기기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설치부 및 테스트 기기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설치부 및 테스트 기기의 평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설치부 및 테스트 기기의 측면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장착 기준점 변경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는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 설치부(10), 차량용 카메라 모듈(20) 및 테스트 기기(30)를 포함한다.
LED 조명 설치부(10)는 LED 조명(12)이 설치된다.
LED 조명(12)에는 차량의 헤드라이트, 방향지시등, 안개등, 가로등, 신호등 및 속도 표시판 등과 같이 차량의 주행 환경에서 LED를 이용하여 조명하는 다양한 장치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LED 조명 설치부(10)는 본체부(11), 이동부(15), 거리 측정부(13) 및 광량 조절부(14)를 포함한다.
본체부(11)는 LED 조명(12)을 고정 지지한다.
차량의 헤드라이트와 방향지시등, 안개등, 가로등, 신호등 및 속도 표시판 등의 LED 조명(12)이 본체부(11)에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차량의 헤드라이트와 방향지시등, 안개등, 가로등, 신호등 및 속도 표시판 각각이 본체부(11)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헤드라이트를 예시로 설명한다. 차량의 헤드라이트는 차량용 헤드라이트 설치 규정에 따라 그 높이가 제한된다. 이에 LED 조명(12)는 차량의 헤드라이트 설치 규정에 따른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본체부(11)는 상기한 LED 조명(12)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다. 본체부(11)는 차량의 헤드라이트와 방향지시등, 안개등, 가로등, 신호등 및 속도 표시판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채용될 수 있다.
이동부(15)는 본체부(11)를 수평방향, 예를 들어 테스트 기기(3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동부(15)는 본체부(11)를 지지하는 지지체 및 본체부(11)의 하단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구름 동작을 수행하는 바퀴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부(15)를 이용하여 본체부(11)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거리 측정부(13)는 본체부(11)에 설치되어 차량용 카메라 모듈(20)과 LED 조명(12)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차량용 카메라 모듈(20)과 LED 조명(12)과의 거리를 제어부(35)에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달한다.
광량 조절부(14)는 LED 조명(12)의 광량을 조절한다. 광량 조절부(14)는 LED 조명(12)을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LED 조명(12)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조절함으로써 LED 조명(12)의 광량을 조절한다.
LED 조명(12)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부(15)에 의해 차량용 카메라 모듈(20)과 이격 배치된다. 이 경우 차량용 카메라 모듈(20)에서 감지되는 LED 조명(12)의 광량은 LED 조명(12)과 차량용 카메라 모듈(20) 간의 거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LED 조명(12)의 광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테스트하고자 하는 거리만큼 LED 조명(12)과 차량용 카메라 모듈(20)을 이격 배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실제 테스트 환경에서 장소가 협소하면, LED 조명(12)과 차량용 카메라 모듈(20) 간의 거리가 테스트하고자 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지 못할 수도 있다.
이에, 광량 조절부(14)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LED 조명(12)의 광량을 조절함으로써 LED 조명(12)과 차량용 카메라 모듈(20)을 테스트하고자 하는 거리만큼 이격 배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테스트하고자 하는 거리가 결정되면 광량 조절부(14)를 통해 LED 조명(12)이 해당 테스트하고자 하는 거리에 대응되는 광량을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협소한 장소에서도 차량용 카메라 모듈(20)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LED 조명(12)과 차량용 카메라 모듈(20)을 이격 배치시킨 상태에서, 광량 조절부(14)를 통해 광량을 추가적으로 더 조절함으로써, LED 조명(12)과 차량용 카메라 모듈(20)이 상대적으로 더 먼 거리에 배치되는 것을 구현할 수도 있다.
차량용 카메라 모듈(20)은 테스트 기기(30)에 설치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격 배치되는 LED 조명(12)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테스트 기기(30)에 입력한다.
테스트 기기(30)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용 카메라 모듈(20)의 성능을 테스트한다.
테스트 기기(30)는 인터페이스부(31), 저장부(32), 분석부(33), 디스플레이부(34), 제어부(35) 및 차량용 카메라 모듈 고정부(36)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31)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인터페이스하는 것으로써, 차량용 카메라 모듈(20)로부터 영상을 입력받아 제어부(35)에 입력한다.
저장부(32)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및 분석부(33)의 분석 결과를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34)는 제어부(35)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용 카메라 모듈(20)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분석부(33)의 분석 결과를 출력한다.
분석부(33)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용 카메라 모듈(20)의 성능 정보를 검출한다.
즉, 분석부(33)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의 밝기를 검출함과 더불어 LED 조명(12)에 의한 플리커 발생 여부를 검출한다.
이 경우, 분석부(33)는 상기한 거리 측정부(13)로부터 전달된 LED 조명(12)과 차량용 카메라 모듈(20) 간의 거리별로 영상의 밝기 및 플리커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사용자는 LED 조명(12)과 차량용 카메라 모듈(20) 간의 거리별 차량용 카메라 모듈(20)의 성능 저하 상태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35)는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차량용 카메라 모듈(20)로부터 영상이 입력되면 저장부에 해당 영상을 저장함과 더불어 디스플레이부(34)를 통해 해당 영상을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35)는 인터페이스부(31)를 통해 영상이 입력되면, 분석부(33)를 통해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용 카메라 모듈(20)에 대한 성능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성능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4)를 통해 출력한다.
차량용 카메라 모듈 고정부(36)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20)을 고정시킨다.
차량용 카메라 모듈 고정부(36)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20) 자체만을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용 카메라 모듈(20)이 탑재된 차량의 휀더를 고정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 에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20)이 탑재된 차량의 휀더가 고정된 것을 예시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차량용 카메라 모듈 고정부(36)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20)만 고정되는지 또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20)이 탑재된 휀더가 고정되는지에 따라 다양한 구조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장착 기준점 조절부(37)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20)의 장착 기준점을 조절한다. 즉, 장착 기준점 조절부(37)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카메라 모듈(20)의 장착 기준점을 조절함으로써 후방에 배치된 LED 조명(12)을 더욱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에서 LED 조명을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는 실차 주행과 유사한 환경에서 차량용 카메라 모듈에 대한 테스트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LED 조명 설치부 11: 본체부
12: LED 조명 13: 거리 측정부
14: 광량 조절부 15: 이동부
20: 차량용 카메라 모듈 30: 테스트 기기
31: 인터페이스부 32: 저장부
33: 분석부 34; 디스플레이부
35: 제어부 36: 차량용 카메라 모듈 고정부

Claims (7)

  1.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이 설치되는 LED 조명 설치부;
    상기 LED 조명을 촬영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테스트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LED 조명 설치부는 상기 LED 조명을 고정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LED 조명 설치부는 상기 LED 조명의 광량을 조절하는 광량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LED 조명과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은 이격 배치되되, 상기 테스트하고자 하는 거리가 결정되면, 상기 광량 조절부는 협소한 장소에서도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테스트하고자 하는 거리에 대응되는 광량을 방출하거나, 상기 LED 조명과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이 상대적으로 더 먼 거리에 배치되는 것이 구현되도록 상기 LED 조명과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이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광량을 더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 조명 설치부는
    상기 LED 조명과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 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거리를 상기 테스트 기기에 전달하는 거리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기기는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에 대한 성능정보를 검출하는 분석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로부터 영상이 입력되면, 상기 분석부를 통해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에 대한 성능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성능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기기는 상기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장착 기준점을 조절하는 장착 기준점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LED 조명에 의한 플리커 발생 여부 및 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KR1020180147836A 2018-11-26 2018-11-26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KR102107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836A KR102107319B1 (ko) 2018-11-26 2018-11-26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836A KR102107319B1 (ko) 2018-11-26 2018-11-26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319B1 true KR102107319B1 (ko) 2020-05-14
KR102107319B9 KR102107319B9 (ko) 2021-09-17

Family

ID=70736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836A KR102107319B1 (ko) 2018-11-26 2018-11-26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3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60862A (zh) * 2021-12-31 2022-05-10 北京瞰瞰智能科技有限公司 应用于adas的摄像设备环测试仿真方法
KR102658972B1 (ko) * 2023-11-10 2024-04-22 비티에스테크놀로지스(주) Micro SD Card Switching Board를 이용한 영상데이터 자동화 테스트
KR102673110B1 (ko) 2022-10-17 2024-06-11 주식회사 경신 레인센서용 외란광 테스트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255B1 (ko) * 2007-10-17 2009-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의 화질 평가 방법
KR101489834B1 (ko) * 2013-06-27 2015-02-04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89833B1 (ko) * 2013-06-27 2015-02-11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255B1 (ko) * 2007-10-17 2009-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의 화질 평가 방법
KR101489834B1 (ko) * 2013-06-27 2015-02-04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89833B1 (ko) * 2013-06-27 2015-02-11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60862A (zh) * 2021-12-31 2022-05-10 北京瞰瞰智能科技有限公司 应用于adas的摄像设备环测试仿真方法
KR102673110B1 (ko) 2022-10-17 2024-06-11 주식회사 경신 레인센서용 외란광 테스트장치
KR102658972B1 (ko) * 2023-11-10 2024-04-22 비티에스테크놀로지스(주) Micro SD Card Switching Board를 이용한 영상데이터 자동화 테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319B9 (ko) 202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0662B2 (en) Method for detecting misalignment of a vehicle headlight using a camera
US8896690B2 (en) Image acquisi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tance determination using an image recording system
CN109572535A (zh) 基于视觉处理和传感器技术的车用投影照明显示系统
US20100123395A1 (en) Headlamp control device for vehicle
CN105744682A (zh) 一种照明控制方法及系统
CN102951070A (zh) 用于确定至少一个大灯的照明距离的方法和用于校准车辆的至少一个大灯的光发射的方法
US10000157B2 (en) Controlling dimming of mirrors or displays using dual-function lighting
KR102107319B1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US9056581B2 (en) On-vehicle light distribution control system
JP2012256235A (ja) 運転支援用情報提供装置、車載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システム
US20180370424A1 (en) Motor vehicle headlight with an intelligent motorway flasher
KR20170077620A (ko) 순차적 점멸 방식을 이용한 차량주행 속도 유도 장치 및 방법
WO2018235340A1 (ja) 輝度制御装置、撮影制御装置、電子ミラー制御装置、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車両用表示装置、車両用撮影装置、および、電子ミラー
KR101489833B1 (ko)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
KR20110050221A (ko) 위험 상황을 표시하는 가로등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3625397A (zh) 用于识别车辆周边环境的系统
KR20180020201A (ko) 순차적 점멸 방식을 이용한 차량주행 속도 유도 장치 및 방법
KR101338058B1 (ko) 차량의 전방 영상을 이용하는 도로상 요철 검출 시스템
CN101487736B (zh) 用于检测公路照明状况的方法和装置
CN204415233U (zh) 一种车辆主动照明装置
US10906452B2 (en) Control device for a headlight and method for operating a headlight
JP6151569B2 (ja) 周囲環境判定装置
KR101510844B1 (ko) 차량용 비상등 점멸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2354118B1 (ko) 후방 차량 전조등 점등 유도 장치 및 그 방법
JPH1172327A (ja) 移動式測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