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834B1 -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834B1
KR101489834B1 KR20130074961A KR20130074961A KR101489834B1 KR 101489834 B1 KR101489834 B1 KR 101489834B1 KR 20130074961 A KR20130074961 A KR 20130074961A KR 20130074961 A KR20130074961 A KR 20130074961A KR 101489834 B1 KR101489834 B1 KR 101489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lamp system
vehicle
control unit
test
head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4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548A (ko
Inventor
강호준
한갑수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20130074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834B1/ko
Publication of KR20150001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6Testing the alignment of vehicle headlight devices
    • G01M11/064Testing the alignment of vehicle headlight devices by using camera or other imaging system for the light an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헤드램프 시스템과,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을 장착하는 다축 구동기와, 상기 다축 구동기를 상/하, 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시키거나 어느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상기 장착된 헤드램프 시스템의 위치를 조정하며, 상기 조정된 위치에서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을 제어하여 그 제어에 따라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이 정확히 제어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HARDWARE IN THE LOOP SIMULATION APPARATUS FOR VEHICLE HEAD LAMP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에 있어서, 실제와 유사한 상태로 헤드램프 시스템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그 기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힐스(HiLs : Hardware-in-the-Loop Simulation)는 자동차 산업에서 전자장치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각종 제어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핵심적인 부분이 되고 있다. 상기 힐스는 가상 환경에서 테스트할 장치들을 실시간으로 테스트한다. 예컨대 차량내의 전자제어유닛(ECU : Electronic Control Unit)과 같은 전자장치나 액추에이터와 같은 기계장치를 집중적으로 테스트한다.
더구나 최근의 차량들은 다양한 버스 시스템(예 : CAN, LIN, FlexRay, MOST 등)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거의 70개 이상의 전자제어유닛(ECU)을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차량 버전들(예 : 다른 엔진과 트랜스미션에 따른 차량 버전, 국가별 차종에 따른 차량 버전, 부착된 옵션에 따른 차량 버전 등)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차종이나 차량 버전에 따라 특정 기능을 직접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ECU)을 개발하고 테스트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다.
특히 상기 차량의 중요한 시스템 중 하나인 헤드램프 시스템에 있어서도, 종래에는 상향등과 하향등의 단순한 점등만 제어하는 헤드램프 시스템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차량내의 전자제어유닛(ECU)과 연동하여 다양한 점등조건에 따라 점등 패턴을 제어하는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상기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은 엘이디 칩(LED chip)을 헤드램프의 광원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서 AFLS(Adaptive Front Light System)와 AILS(Active Intelligent Lighting System)가 있다.
상기 AFLS는 차량의 속도/조향 핸들의 각도/차량의 기울기와 도로의 상황을 고려해 전조등 방향을 상하좌우로 자동조절 해 운전자의 시야를 효율적으로 확보하는 헤드램프 시스템이며, 상기 AILS는 내비게이션의 도로정보를 받아 운전자 조작 없이 전조등의 조명을 스스로 조절하는 헤드램프 시스템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주변상황에 따라 헤드램프 시스템의 점등을 다양하게 제어하는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을 자동으로 정확하게 테스트할 수 있는 힐스 장치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102802호(2004.12.08.공개, 차량 평가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실제와 유사한 상태로 헤드램프 시스템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그 기능이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차량 버전에 적용되는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에 대하여 정해진 규약과 테스트 항목에 따라 헤드램프 시스템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는 헤드램프 시스템;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을 장착하는 다축 구동기; 및 상기 다축 구동기를 상/하, 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시키거나 어느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상기 장착된 헤드램프 시스템의 위치를 조정하며, 상기 조정된 위치에서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을 제어하여 그 제어에 따라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이 정확히 제어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은, 엘이디 광원, 광학계, 및 엘이디 광원 구동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축 구동기는, x축, y축, 또는 z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암은 상기 어느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다축 구동기를 장착하기 위한 힐스 기본 플랫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힐스 기본 플랫폼은 알루미늄이나 철제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축 구동기의 이동이나 회전을 제어하여, 차량 버전이나 차종에 따라,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을 테스트 할 다양한 주행상황이나 점등조건, 또는 테스트케이스에 적합한 위치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을 실제로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 버전이나 차종에 따라,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을 테스트 할 다양한 주행상황이나 점등조건, 또는 테스트케이스에 대한 가상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전자제어유닛에 인가하여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을 테스트할 다양한 주행상황, 차량 버전, 상기 주행상황 및 차량 버전에 따라 상기 다축 구동기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에서 점등되는 광원의 점등 상태, 광원이 조사되는 방향이나 각도, 광원의 조사 범위를 검출하거나 촬영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에 따라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이 정확히 제어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광센서, 이미지센서, 비전센서, 레인센서, 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제어 방법은 차종 또는 차량 버전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차종 또는 차량 버전에 따라 미리 정의된 헤드램프 시스템의 테스트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항목에 따라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된 위치에서 상기 헤드램프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테스트 수행 결과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정보를 분석 및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및 평가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이 장착된 다축 구동기를 상/하, 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시키거나 어느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제와 유사한 상태로 헤드램프 시스템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종과 차량 옵션에 따라 장착 위치와 기능이 다른 헤드램프 시스템의 평가환경을 빠르고 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차종과 차량의 옵션에 따라 미리 저장된 헤드램프 시스템의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차량과 유사한 평가 환경을 자동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과 성능 평가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다축 구동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다축 구동기에 장착된 헤드램프간의 너비, 장착 각도, 또는 지상고를 실제 차량과 유사한 상태로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차량정보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다축 구동기를 장착하기 위한 힐스 기본 플랫폼을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는, 시험 평가 대상 장비(DUT : Device Under Test)인 헤드램프 시스템(110)과 전자제어유닛(ECU, 120), 및 상기 시험 평가 대상 장비(110, 120)의 평가환경을 구축하고 기능이나 성능을 평가하는 수단들로서, 다축 구동기(210), 제어부(220), 입력부(230), 저장부(240), 센싱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110)은 광학계(미도시), 광원(미도시), 구동 모듈(미도시)이 일체로 조립되어 구성된다.
상기 광학계는 빛의 반사나 굴절을 이용해서 물체의 상을 만들거나 빛에너지를 전송하기 위해 반사경, 렌즈, 프리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원은 엘이디를 이용한 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종류의 전구를 이용한 광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광원의 종류에 따라 차량에 내장된 상기 전자제어유닛(ECU, 12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전구를 구동한다.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110)은 기능 평가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암실 혹은 조명이 일정한 곳에서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110)은 테스트를 위해 다축 구동기(210)에 장착된다.
상기 다축 구동기(210)는 전방으로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110)을 장착하며, 상/하, 좌/우, 전/후, 회전 구동을 통해 상기 장착된 헤드램프 시스템(110)을 테스트할 다양한 주행상황(또는 점등조건, 테스트케이스)이나, 다양한 차량 버전들(예 : 다른 엔진과 트랜스미션에 따른 차량 버전, 국가별 차종에 따른 차량 버전, 부착된 옵션에 따른 차량 버전 등)에 따라 위치를 이동시킨다.
예컨대 상기 다축 구동기(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축(예 : X축, Y축, Z축)을 이동하거나 각 축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암(211, 212, 213)으로 구성된다. 즉, 제1 암(211)에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110)을 장착한다고 가정한 후, 그 헤드램프 시스템(110)을 제1 암(211)의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1 암(211)을 제2 암(212)의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2 암(212)을 제3 암(213)의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각각의 암(211 ~ 213)은 소정의 각도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암(211 ~ 213)에는 그에 장착될 암이나, 어느 하나의 암(211)에 헤드램프 시스템(110)을 장착시키기 위한 브라켓(미도시) 및 상기 각각의 암(211 ~ 213)이나 브라켓을 이동 혹은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미도시), 유압장치(미도시), 공기압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다축 구동기(210)의 암(211 ~ 213)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차량과 유사한 지상고(H1, H2), 헤드램프간의 너비(D), 타이어와 헤드램프 사이 간격(E), 및 장착 각도를 갖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110)의 지상에서의 장착 높이, 장착 폭과 장착 각도를 미리 저장된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축 구동기(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힐스 기본 플랫폼(300)의 전방을 향하여 양측으로 두 개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힐스 기본 플랫폼(300)은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110)이 장착된 상기 다축 구동기(210)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알루미늄이나 철제 프레임이다.
상기 힐스 기본 플랫폼(300)에는 일반적인 차량에 부착된 헤드램프 시스템과 같이 전방을 향하여 양측으로 두 개의 다축 구동기(210)를 각기 장착할 수 있다. 즉, 동시에 두 개의 헤드램프 시스템을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힐스 기본 플랫폼(300)은 미관을 고려하여 차대 형상으로 구성되거나, 단순히 상기 다축 구동기(210)를 장착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예 : 기둥 형상)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제어유닛(120)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또는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을 통해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11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전자제어유닛(120)은 다양한 주행상황(또는 점등조건, 테스트케이스)이나, 다양한 차량 버전들(예 : 다른 엔진과 트랜스미션에 따른 차량 버전, 국가별 차종에 따른 차량 버전, 부착된 옵션에 따른 차량 버전 등)에 따라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1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자제어유닛(120)에 인가할 다양한 주행상황이나 차량 버전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20)에서 가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110)을 테스트 할 다양한 주행상황, 차량 버전, 상기 주행상황 및 차량 버전에 따라 상기 다축 구동기(21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는 미리 생성하여 상기 저장부(240)에 저장해 둘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가상으로 생성한 주행상황이나 차량 버전들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정의된 테스트케이스의 순서에 따라 상기 전자제어유닛(120)에 자동으로 인가할 수 있다. 편의상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220)에서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1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고 기재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230)는 평가자가 수동으로 상기 다축 구동기(210)의 이동이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테스트 할 다양한 주행상황이나 차종 또는 차량 버전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센싱부(250)는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110)을 촬영하거나,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110)에서 점등되는 광원의 점등 상태, 광원이 조사되는 방향이나 각도, 광원의 조사 범위를 검출한다. 상기 센싱부(250)는 상기 영상 촬영이나 점등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광센서, 이미지센서, 비전센서, 레인센서, 또는 카메라(예 : Machine Vision Camera)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싱부(250)에서 검출된 정보(예 : 영상, 센싱 정보 등)는 상기 제어부(220)로 출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110)에서 광원의 점등 상태가 미리 정의된 테스트케이스에 따라 정확히 점등되는지 여부를 평가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전자제어유닛(120) 양단에서 실제로 입출력되는 신호들을 측정하거나 계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전자제어유닛(120)을 통해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을 테스트하고, 상기 전자제어유닛(120) 양단에서 측정한 신호들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전자제어유닛(120)과 엘이디 구동 모듈간의 제어신호에 대한 차량통신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 판별하고, 또한 상기 전자제어유닛(120)이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을 정확히 제어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는 상기 센싱부(250)에서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프레임 그레버(Frame Grabber)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전자제어유닛(120) 양단의 신호들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채널 스코오프 모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AN/LIN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전자제어유닛(120)과 다른 통신방식(예 : USB)을 사용하는 제어부(220)을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미도시)을 통해 상기 제어부(220)에서 가상으로 생성한 주행상황이나 차량 버전들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제어유닛(120)에 자동으로 인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전자제어유닛(120)에서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1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센싱부(250)로부터 획득한 정보들을 분석한다.
즉, 상기 제어부(220)는 정보 분석을 통하여 상기 가상으로 생성한 주행상황 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제어유닛(120)에서 출력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110)의 광원이 정확히 점등되는지 판별한다.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110)을 테스트하기 위한 다양한 주행상황(점등조건, 테스트케이스)과 테스트 순서를 미리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정의된 테스트 순서에 따른 테스트 결과(또는 테스트 리포트)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정의된 테스트 순서에 따라 테스트를 수행할 경우, 순차적인 테스트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테스트 리포트(즉, 테스트 결과보고)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220)는 상용 운영체제(예 : Windows XP, Windows 7, Windows 8 등)와 컨트롤러(CPU)가 내장된 PXI(PCI eXtensions for Instrument) 혹은 PXIe(PXI Express)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가(또는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하여 임의의 상용 소프트웨어(예 : Vector사의 CANoe, Mathwork사의 Matlab/Simulink, NI사의 LabVIEW 등)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테스트케이스에 따른 순차적인 자동 평가를 위하여 임의의 상용 소프트웨어(예 : NI사의 TestStand, Vector사의 Test Automation Editor 등)를 이용하여 테스트케이스를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정의된 테스트케이스대로 순차적으로 자동화 테스트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이종(異種) 소프트웨어인 상용 소프트웨어들(예 : CANoe, Matlab, LabVIEW 등) 간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각 소프트웨어사에서 제공하는 부가적인 통신 소프트웨어(예 : DLL 프로그램)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상용 소프트웨어(예 : CANoe, Matlab, LabVIEW 등)에서 제공받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20)는 차량통신 시뮬레이션 운용 소프트웨어(예 : CANoe)를 이용하여 데이터링크 계층을 측정하거나 계측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차량통신 시뮬레이션 운용 소프트웨어(예 : CANoe)나 GUI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링크 계층의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정보 분석을 통해 주행상황에 따라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110)이 정확히 제어되는지(즉, 광원의 점등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정보 분석 결과(예 : 점등영상, 점등판별 결과 등)를 디스플레이 수단(미도시)을 통해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을 통해 상기 정보 분석 결과(예 : 점등영상, 점등판별 결과 등)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미도시)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GUI는 상용 소프트웨어(예 : LabVIEW, Matlab, Visual Studio 등)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를 제어하여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에는 헤드램프 시스템의 테스트케이스(예 : 수동형 램프, AFLS, ADB, Bending Mode, Auto Leveling 등) 및 테스트 순서가 미리 설정(또는 정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ADB(Adaptive Driving Beam)는 전방에 차량이 있을 경우 그 차량을 피해서 광원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주행상황(또는 점등조건, 테스트케이스)에 대한 정보, 다양한 차량 버전들(예 : 다른 엔진과 트랜스미션에 따른 차량 버전, 국가별 차종에 따른 차량 버전, 부착된 옵션에 따른 차량 버전 등)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정보들에 따라 상기 다축 구동기(210)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20)는 테스트를 위한 차종(또는 차량 버전)을 선택 받는다(S101).
상기와 같이 차종(또는 차량 버전)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220)는 미리 정의된 순서에 따라 테스트케이스(테스트 항목)를 선택한다(S102).
상기 선택된 차종별 테스트 항목에 따라, 상기 제어부(220)는 테스트 환경에 맞도록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110)의 위치를 조정한다(S103). 즉,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110)이 장착된 상기 다축 구동기(210)를 제어하여 테스트 환경에 적합한 위치로 헤드램프 위치를 조정한다.
상기와 같이 헤드램프의 위치 조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선택한 테스트 항목에 대한 헤드램프 테스트를 수행한다(S104). 즉, 상기 제어부(220)는 차종(또는 차량 버전)에 따라 가상으로 생성한 주행상황 정보를 상기 전자제어유닛(120)에 인가하고, 그 주행상황에 따라 상기 전자제어유닛(120)에서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1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편의상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220)에서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1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고 기재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테스트케이스(테스트 항목)의 모든 테스트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S105).
상기 판단에 따라 다음 수행해야 될 테스트케이스가 남아 있으면(S105의 아니오), 상기 S102 단계로 돌아가 다음 테스트케이스(테스트 항목)의 테스트를 테스트 과정(S102 ~ S105)을 반복한다.
그리고 상기 판단에 따라 모든 테스트케이스의 테스트가 완료되면(S105의 예), 상기 테스트를 수행한 각 테스트케이스에 대한 센싱 정보를 분석 및 평가하고 그에 대한 결과를 출력한다(S106). 즉, 상기 제어부(220)는 정보 분석을 통하여 상기 가상으로 생성한 주행상황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제어유닛(120)에서 출력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110)의 광원이 정확히 점등되는지 판별하여 그 결과를 출력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헤드램프 시스템 120 : 전자제어유닛
210 : 다축 구동기 220 : 제어부
230 : 입력부 240 : 저장부
250 : 센싱부 300 : 힐스 기본 플랫폼

Claims (12)

  1. 헤드램프 시스템;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을 장착하는 다축 구동기;
    상기 다축 구동기를 장착하기 위한 힐스 기본 플랫폼;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 및
    상기 다축 구동기를, 차량 버전이나 차종에 따라, 상/하, 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시키거나 어느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상기 장착된 헤드램프 시스템의 위치를 테스트 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행상황이나 점등조건, 또는 테스트케이스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정하며, 상기 조정된 위치에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을 통해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을 제어하여 그 제어에 따라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이 정확히 제어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테스트 수행 결과에 대한 정보를 분석 및 평가하여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축 구동기는,
    x축, y축, 또는 z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암은 상기 어느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은,
    엘이디 광원, 광학계, 및 엘이디 광원 구동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힐스 기본 플랫폼은,
    알루미늄이나 철제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을 테스트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행상황, 차량 버전, 상기 주행상황 및 차량 버전에 따라 상기 다축 구동기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에서 점등되는 광원의 점등 상태, 광원이 조사되는 방향이나 각도, 광원의 조사 범위를 검출하거나 촬영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제어에 따라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이 정확히 제어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광센서, 이미지센서, 비전센서, 레인센서, 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10.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테스트를 위한 힐스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종 또는 차량 버전을 선택받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선택된 차종 또는 차량 버전에 따라 미리 정의된 순서로 헤드램프 시스템의 테스트 항목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테스트 항목에 따라,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이 장착된 다축 구동기를 제어하여 테스트케이스에 대응하는 위치로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정된 위치에서 전자제어유닛을 통해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을 제어하여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의 테스트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수행 결과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정보를 분석 및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및 평가 결과를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램프 시스템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축 구동기를, 상기 차량 버전이나 차종에 따라, 상/하, 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시키거나 어느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상기 장착된 헤드램프 시스템의 위치를 테스트 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행상황이나 점등조건, 또는 테스트케이스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제어 방법.
  11. 삭제
  12. 삭제
KR20130074961A 2013-06-27 2013-06-27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89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961A KR101489834B1 (ko) 2013-06-27 2013-06-27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961A KR101489834B1 (ko) 2013-06-27 2013-06-27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548A KR20150001548A (ko) 2015-01-06
KR101489834B1 true KR101489834B1 (ko) 2015-02-04

Family

ID=5247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4961A KR101489834B1 (ko) 2013-06-27 2013-06-27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8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319B1 (ko) * 2018-11-26 2020-05-14 해성옵틱스(주)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6323A (ko) * 2010-08-16 2012-02-24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헤드램프 조정 장치 및 방법
KR20130011331A (ko) * 2011-07-21 2013-01-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6323A (ko) * 2010-08-16 2012-02-24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헤드램프 조정 장치 및 방법
KR20130011331A (ko) * 2011-07-21 2013-01-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319B1 (ko) * 2018-11-26 2020-05-14 해성옵틱스(주)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548A (ko)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0339B2 (en) Method and a device for testing a lighting driving assistance system
AU2019239572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nd/or detecting a sensor system of a vehicle
KR101510338B1 (ko) 차량용 차선 이탈 경보 시스템의 검사 장치
CN103523114B (zh) 基于照相机的前灯调节
CN111417868B (zh) 一种车辆高级辅助驾驶校准设备
KR101489833B1 (ko)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
US20230384150A1 (en) Method and gonioradiometer for the direction-dependent measurement of at least one lighting or raadiometric characteristic variable of an optical radiation source installed in an object
KR101489834B1 (ko)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2165503A (zh) 操纵支援装置
KR102107319B1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JP2009208561A (ja) 運転者撮像システムおよび運転者撮像方法
Tideman et al. A simulation environment for developing intelligent headlight systems
JP5567441B2 (ja) 車載カメラの光軸検査方法及び光軸検査装置
US20230251162A1 (en) Adas calibration system for calibrating at least one headlamp of a vehicle
US20230001847A1 (en) Vehicles With Automatic Headlight Alignment
JP4557780B2 (ja) ヘッドライトテスタにおける正対装置
CN113933022B (zh) 一种车辆后方视野校核方法
CN113432843B (zh) 一种汽车车载灯检测装置及其车载灯照度检测方法
CN112396665B (zh) Ar hud成像标定板的标定系统及其使用方法
CN105843714A (zh) 评估车载显示屏反光炫目的装置及方法
KR20190010133A (ko) 차량 전조등 조사각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75299A (ko) 자율주행차량의 성능 검증을 위한 실내 테스트 시스템
CN100580393C (zh) 车辆前照灯检测仪远光光束发光强度检测方法及其检测机构
KR101934797B1 (ko)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
CN113933067B (zh) 智能座舱的测试平台、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