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797B1 -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4797B1
KR101934797B1 KR1020170111518A KR20170111518A KR101934797B1 KR 101934797 B1 KR101934797 B1 KR 101934797B1 KR 1020170111518 A KR1020170111518 A KR 1020170111518A KR 20170111518 A KR20170111518 A KR 20170111518A KR 101934797 B1 KR101934797 B1 KR 101934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stribution
lamp
distribution pattern
unit
vehicl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희
김진희
서해원
이동욱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1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7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 B60Q11/005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for devices provided for in groups B60Q1/00 - B60Q9/00 for lighting devices, e.g. indicating if lamps are burning or n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17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 B60Q1/0023Devices integrating an element dedicated to another function the element being a sensor, e.g. distance sens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7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electrical means including means to transmit the movements, e.g. shafts or joi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8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은 차량용 램프로부터 발생한 광을 추적검사하기 위한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램프를 고정하는 램프 장착부, 상기 차량용 램프를 구동시키는 램프 구동부, 상기 차량용 램프로부터 발생한 광에 의한 배광패턴이 투영되는 스크린, 상기 배광 패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스크린 및 상기 영상 획득부를 내부공간에 수용하며, 일측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광이 상기 내부공간으로 조사되는 에이밍 박스, 상기 에이밍 박스를 이동시키는 에이밍 박스 이동부 및 상기 차량용 램프의 종류에 따른 구동방식에 따른 상기 광을 추적검사하기 위해 상기 에이밍 박스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SYSTEM FOR TESTING OF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응형 헤드램프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용 램프의 이동궤적을 추적하여 검사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램프는 그 용도에 따라 광도나 색상을 달리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특히, 자동차용 램프는 야간에 운전시야를 넓혀 안전운행을 유도해야할 뿐만 아니라 다른쪽 차선을 주행하는 운전자의 전방시야를 가리지 않게 하고, 또한 차선쪽을 잘 볼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최근 차량용 램프는 카메라 및 센서 등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높이고, 운전자의 시각 방향으로 초점을 맞추어지는 기술 등을 실현하기 위한 지능형 헤드램프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 중, 적응형 헤드램프 시스템(AFLS,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은 도로, 기후조건, 주행상황의 변화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를 최대한 확보해주는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으로서, 차량의 ECU로부터 주행정보를 받아 처리하여 헤드램프에 장착된 구동장치를 통해 램프를 상하좌우로 움직이고, 벌브 쉴드 구동장치를 통하여 상황에 맞는 빛의 형태로 조절하는 시스템이다.
적응형 헤드램프 시스템(AFLS)은 스티어링의 각도에 따라 헤드램프가 움직이는 좌우회전(Swiveling) 기능과 오토레벨링 센서가 차량의 가감속, 승차인원, 적재량 등에 따라 헤드램프의 조사각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상하 오토레벨링 기능에 의해서 구현된다.
또한, 적응형 헤드 램프로 최근에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한 상태로 주행 중에, 대향 차량 또는 선행 차량이 감지되면, 빔패턴을 자동으로 조정함으로써, 대향 차량 또는 선행 차량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시키지 않도록 하는 ADB 헤드 램프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적응형 헤드램프 시스템의 경우, 상하좌우로 이동하는 헤드램프에 의해 조사되는 광의 이동궤적이 부자연스럽지 않도록 하기 위해, 광의 이동궤적을 추적하여 검사하는 시스템이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나, 종래의 배광 검사 장치는 헤드램프가 상하좌우로 이동하게 되면, 배광패턴이 스크린을 벗어나게 되므로, 추적 검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2013-0072751호 (2013.07.02 공개됨)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적응형 헤드램프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용 램프의 이동궤적을 추적하여 검사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램프 부품들이 조립되었을 때, 배광패턴이 올바르게 나오도록 에이밍 검사, 조도 검사, 배광 검사, 에이밍 조정을 수행하는 램프 검사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배광패턴의 폭이 넓은 차량용 램프의 배광을 검사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은 차량용 램프로부터 발생한 광을 추적검사하기 위한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램프를 고정하는 램프 장착부, 상기 차량용 램프를 구동시키는 램프 구동부, 상기 차량용 램프로부터 발생한 광에 의한 배광패턴이 투영되는 스크린, 상기 배광 패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스크린 및 상기 영상 획득부를 내부공간에 수용하며, 일측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광이 상기 내부공간으로 조사되는 에이밍 박스, 상기 에이밍 박스를 이동시키는 에이밍 박스 이동부 및 상기 차량용 램프의 종류에 따른 구동방식에 따른 상기 광을 추적검사하기 위해 상기 에이밍 박스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광패턴이 상기 스크린의 기준위치에 조사되도록 상기 에이밍 박스 이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램프 구동부는 상기 배광패턴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차량용 램프를 구동시키는 제1 액츄에이터 및 상기 배광패턴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차량용 램프를 구동시키는 제2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배광패턴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배광패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에이밍 박스가 이동하도록 상기 에이밍 박스 이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배광패턴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배광패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에이밍 박스가 이동하도록 상기 에이밍 박스 이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에이밍 박스 이동부는 상기 에이밍 박스를 좌우로 수평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 상기 에이밍 박스를 상하로 수직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 및 상기 에이밍 박스를 좌우로 회전이동시키는 제3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광패턴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에이밍 박스가 상기 배광패턴의 움직임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이동부를 제어하되, 상기 배광패턴이 상기 스크린에 수직으로 조사되도록 상기 제3 이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광패턴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에이밍 박스가 상기 배광패턴의 움직임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2 이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용 램프의 배광패턴의 폭이 기 설정된 폭보다 넓은 경우, 상기 배광패턴의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 스크린에 순차적으로 투영되도록 상기 제1 이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적응형 헤드램프 시스템이 적용된 차량용 램프의 이동궤적을 추적하여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광패턴의 폭이 넓은 차량용 램프의 배광을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램프 구동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에이밍 박스 이동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배광패턴이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배광패턴의 이동궤적에 따른 에이밍 박스 이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종래의 스크린에 투영된 배광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에이밍 박스 이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은 램프 장착부(100), 램프 구동부(200), 스크린(300), 영상 획득부(400), 에이밍 박스(500), 에이밍 박스 이동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은 집광렌즈(800) 및 배광 측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램프 장착부(100)는 차량용 램프(1)가 에이밍 박스(500)의 일측에 형성된 홀을 통해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스크린(300)으로 배광패턴을 투영할 수 있도록 차량용 램프(1)가 장착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진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 장착된 차량용 램프(1)로부터 조사되는 배광패턴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조절 수단은 스크린에 투영된 배광패턴이 미리 설정된 기준점보다 벗어난 경우, 광축을 조정하여 배광 패턴이 미리 설정된 기준점에 위치하도록 에이밍 포인트 조절을 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200)는 램프 장착부(100)에 장착된 차량용 램프(1)가 에이밍 박스(5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스크린(300)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차량용 램프(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의 주행정보에 따라 램프를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적응형 헤드램프 시스템(AFLS: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이 적용된 차량용 램프의 경우, 램프 구동부(200)는 차량용 램프(1)의 상하좌우 움직임에 따른 배광패턴의 이동궤적을 추적하기 위해 상하좌우로 차량용 램프(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램프 구동부(20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스크린(300)은 에이밍 박스(500)의 내부 일측(예컨대, 일측에 형성된 홀에 대향되는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크린(300)은 차량용 램프(1)로부터 발생하여 에이밍 박스(500) 내부로 유입된 광에 의한 배광패턴이 투영될 수 있다.
영상 획득부(400)는 스크린(300)에 투영된 배광패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차량용 램프의 배광패턴의 이동궤적을 추적하여 분석하기 위한 이동궤적 분석 장치(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획득부(400)는 스크린(300)에 투영된 배광패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는 가시광 카메라 또는 적외선 카메라 일 수 있으며, 기타 종류의 카메라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카메라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광 포착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에이밍 박스(500)는 차량용 램프(1)에 의해 조사되는 광이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는 홀이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스크린(300) 및 영상 획득부(400)를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할 수 있다.
에이밍 박스 이동부(600)는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에이밍 박스(5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이밍 박스 이동부(600)는 에이밍 박스(500)를 수평이동, 수직이동 및 회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에이밍 박스 이동부(600)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제어부(700)는 차량용 램프(1)의 종류에 따른 구동방식에 따른 광을 추적검사하기 위해 에이밍 박스 이동부(6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700)는 램프 구동부(200)로부터 차량용 램프(1)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용 램프(1)의 움직임에 따른 배광패턴의 이동궤적이 스크린(300)에 투영될 수 있도록 에이밍 박스 이동부(6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700)는, 스크린(300)에 투영되는 배광패턴의 폭이 스크린(300)의 폭보다 넓은 광을 조사하는 차량용 램프(1)(예컨대, ADB(Adaptive Driving Beam) 기술이 적용된 헤드램프)의 경우, 배광패턴을 검사하기 위해 에이밍 박스(500)를 좌측에서 우측으로(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수평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70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7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집광 렌즈(800)는 차량용 램프(1)와 스크린(300) 사이에 배치되어 차량용 램프(1)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초점거리를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에에서, 집광 렌즈(800)는 프레넬(Fresnel) 렌즈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램프(1)의 에이밍 공정의 경우, 차량용 램프(1)의 배광 패턴을 스크린(300)에 투영시키기 위해서는 적어도 15 m 이상의 거리가 필요하나, 집광 렌즈(800)를 이용하는 경우, 초점거리는 매우 줄어들어 에이밍 박스(500)에 근접하여 빛을 조사하더라도 적절한 크기의 배광 패턴을 스크린(300)에 투영시킬 수 있다.
배광 측정부는 차량용 램프(1)로부터 발생한 광에 의한 배광패턴 내 위치별 광량 또는 분포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광 측정부는 스크린(300)에 투영되는 배광패턴 내 위치별 광량 또는 분포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스크린(300) 상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램프 구동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램프 구동부(200)는 차량용 램프(1)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도록 구동시키는 제1 엑츄에이터(210) 및 상기 광이 상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도록 구동시키는 제2 엑츄에이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엑츄에이터(210) 및 제2 엑츄에이터(220)는 차량용 램프(1) 내측에 구비되어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엑츄에이터(210) 및 제2 엑츄에이터(220)는, 차량의 주행정보에 따라 램프를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적응형 헤드램프 시스템(AFLS: Adaptive Front Lighting System)이 적용된 차량용 램프의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엑츄에이터(210)는 스티어링 각도에 따라 헤드램프가 움직이는 좌우회전(swiveling) 기능과 대응되고, 제2 엑츄에이터(220)는 오토레벨링 센서가 차량의 가감속, 승차인원, 적재량 등에 따라 헤드램프의 조사각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상하 오토레벨링 기능에 대응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에이밍 박스 이동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이밍 박스 이동부(600)는 에이밍 박스(500)를 좌우로 수평이동 시키기 위한 제1 이동부(610), 에이밍 박스(500)를 상하로 수직이동 시키기 위한 제2 이동부(620) 및 에이밍 박스(500)를 좌우로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제3 이동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동부(610)는 에이밍 박스(500)를 좌우로 수평이동시키기 위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레일 및 제1 서보모터(6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동부(620)는 회전구동력에 의해 에이밍 박스(500)를 상하로 수직이동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보모터(6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이동부(630)는 회전구동력에 의해 에이밍 박스(500)를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제3 서보모터(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부(610) 내지 제3 이동부(630)는 모두 제어부(7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도 5는 배광패턴이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배광패턴의 이동궤적에 따른 에이밍 박스 이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1 엑츄에이터(210)에 의해 차량용 램프(1)에 의해 조사되는 광이 우측으로(또는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어부(700)는 제1 이동부(610)를 제어하여 상기 광에 의한 배광패턴의 이동방향에 따라 에이밍 박스(500)를 우측으로(또는 좌측으로) 수평이동시키되, 상기 광이 스크린(300)에 수직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에이밍 박스(500)가 회전하도록 제3 이동부(6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종래의 스크린(310)에 투영된 배광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에이밍 박스 이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차량용 램프(1)에서 조사되는 광에 의한 종래의 배광패턴(3)은 에이밍 포인트가 기준위치(3)에 위치하는 경우, 종래의 스크린(310)을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도 7을 참조하면, ADB(Adaptive Driving Beam) 기술이 적용된 헤드램프의 경우, 배광패턴(5)의 전부 또는 일부가 종래의 스크린에 투영될 수 있다
배광패턴(5)의 일부가 스크린에 투영되는 경우, 즉 배광패턴(5)의 폭 또는 크기가 종래의 배광패턴(3)보다 커지므로 종래의 스크린(310)의 좌우 또는 상하로 벗어나게 될 수 있다.. 이렇게 ADB를 적용한 배광 배터의 경우 종래의 스크린을 벗어나기 때문에 종래 대비 큰 스크린을 설치해야하므로 설비에 드는 비용 또는 설치 면적이 커질 수 밖에 없다. 여기서 종래의 배광 배턴(3)은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배광 패턴(4)은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ADB(Adaptive Driving Beam) 기술이 적용된 헤드램프의 경우, 제어부(700)는, 도 8에서와 같이, 배광패턴(3)의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 모두 스크린(300)에 투영되도록 하기 위해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에이밍 박스(500)를 좌측에서 우측으로(또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수평 이동하거나 위에서 아래(또는 아래에서 위로)이동하거나 회전되도록 제1, 제2, 제3 이동부(6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은 차량용 램프의 제1 및 제2 엑츄에이터 및 에이밍 박스(500)에 의하여 스크린(300)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비 크기가 커지지 않아도 되고, 설비설치 면적 또한 넓어 지지 않아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 차량용 램프
100: 램프 장착부
200: 램프 구동부
210: 제1 엑츄에이터
220: 제2 엑츄에이터
300: 스크린
400: 영상 획득부
500: 에이밍 박스
600: 에이밍 박스 이동부
700: 제어부
800: 집광렌즈

Claims (13)

  1. 차량용 램프로부터 발생한 광을 추적검사하기 위한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램프를 고정하는 램프 장착부;
    상기 차량용 램프로부터 발생한 광에 의한 배광패턴이 투영되는 스크린;
    상기 배광패턴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스크린 및 상기 영상 획득부를 내부공간에 수용하며, 일측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광이 상기 내부공간으로 조사되는 에이밍 박스;
    상기 에이밍 박스를 이동시키는 에이밍 박스 이동부; 및
    상기 차량용 램프의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움직임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에이밍 박스가 이동하도록 상기 에이밍 박스 이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램프와 상기 스크린 사이에 배치되는 집광렌즈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렌즈는,
    프레넬 렌즈인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램프로부터 발생한 광의 배광패턴 내 위치별 광량 또는 분포특성을 측정하는 배광 측정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광 측정부는,
    상기 배광 패턴의 분포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스크린 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개의 조도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광패턴이 상기 스크린의 소정 위치에 조사되도록 상기 에이밍 박스 이동부를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램프는 차량용 램프를 구동시키는 램프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구동방식에 따른 상기 광을 추적검사하기 위해 상기 에이밍 박스 이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램프 구동부는,
    상기 배광패턴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차량용 램프를 구동시키는 제1 액츄에이터; 및
    상기 배광패턴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차량용 램프를 구동시키는 제2 액츄에이터;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배광패턴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배광패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에이밍 박스가 이동하도록 상기 에이밍 박스 이동부를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배광패턴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배광패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에이밍 박스가 이동하도록 상기 에이밍 박스 이동부를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밍 박스 이동부는,
    상기 에이밍 박스를 좌우로 수평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
    상기 에이밍 박스를 상하로 수직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 및
    상기 에이밍 박스를 좌우로 회전이동시키는 제3 이동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광패턴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에이밍 박스가 상기 배광패턴의 움직임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이동부를 제어하되, 상기 배광패턴이 상기 스크린에 수직으로 조사되도록 상기 제3 이동부를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광패턴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에이밍 박스가 상기 배광패턴의 움직임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2 이동부를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용 램프의 배광패턴의 폭이 기 설정된 폭보다 넓은 경우, 상기 배광패턴의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 스크린에 순차적으로 투영되도록 상기 제1 이동부, 제2 이동부 및 제3 이동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
KR1020170111518A 2017-08-31 2017-08-31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 KR101934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518A KR101934797B1 (ko) 2017-08-31 2017-08-31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518A KR101934797B1 (ko) 2017-08-31 2017-08-31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797B1 true KR101934797B1 (ko) 2019-01-04

Family

ID=65018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518A KR101934797B1 (ko) 2017-08-31 2017-08-31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7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167B1 (ko) * 2020-09-22 2022-01-11 재단법인 제조혁신기술원 자세제어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헤드램프 에이밍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8217A (ja) * 2008-07-14 2010-01-28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およびその光軸調整システム
KR101397116B1 (ko) * 2013-06-19 2014-06-11 주식회사홍성엔지니어링 전조등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8217A (ja) * 2008-07-14 2010-01-28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およびその光軸調整システム
KR101397116B1 (ko) * 2013-06-19 2014-06-11 주식회사홍성엔지니어링 전조등 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167B1 (ko) * 2020-09-22 2022-01-11 재단법인 제조혁신기술원 자세제어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헤드램프 에이밍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35823B (zh) 车辆用前照灯的配光控制装置
US10131270B2 (en) Vehicle headlamp device
JP3660877B2 (ja) 連続可変ヘッドライトの制御
RU2475382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истемой фар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система фар для него
CN103292237B (zh) 前照灯装置和前照灯控制系统
US8480270B2 (en) Headlamp aiming system
CN103213530B (zh) 车辆用灯的配光控制装置
US20150149045A1 (en) Vehicle headlamp light distribution control apparatus
CN104520146A (zh) 车辆用灯具
JP5546326B2 (ja) 制御装置、車両用灯具システム、車両用灯具
JP2011051441A (ja) 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
US11807156B2 (en) Method for calibrating a position of a matrix headlamp of a motor vehicle, control device, and motor vehicle
JP6946352B2 (ja) 車両用灯具システム、車両用灯具の制御装置及び車両用灯具の制御方法
CN110248843A (zh) 用于产生可变的远光灯光分布的方法和设备
US20200324687A1 (en) Vehicle lamp system, controller for vehicle lamp,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lamp
CN101934757A (zh) 车辆用前照灯装置
CN103925541B (zh) 机动车聚光灯
JP5430282B2 (ja) 車両用前照灯の配光制御システム
JP2012162105A (ja) 車両用前照灯装置
CN116529580A (zh) 用于对安装在物体中的光辐射源的至少一个光学技术或辐射度量学特征量进行与方向相关的测量的方法和测角辐射计
CN104849872B (zh) 前照灯对光仪箱
KR101934797B1 (ko) 차량용 램프 검사 시스템
JP5405201B2 (ja) 車両用前照灯システムおよび灯具ユニットと撮影ユニットの関連付け方法
KR20230117231A (ko)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프로젝션 장치, 조명 장치, 및차량
CN108139050B (zh) 用于控制大灯的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