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833B1 -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833B1
KR101489833B1 KR20130074960A KR20130074960A KR101489833B1 KR 101489833 B1 KR101489833 B1 KR 101489833B1 KR 20130074960 A KR20130074960 A KR 20130074960A KR 20130074960 A KR20130074960 A KR 20130074960A KR 101489833 B1 KR101489833 B1 KR 101489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head lamp
unit
lamp assembly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4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547A (ko
Inventor
강호준
한갑수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20130074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833B1/ko
Publication of KR20150001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6Testing the alignment of vehicle headligh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automa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헤드램프 어셈블리와, 헤드램프 어셈블리를 촬영하는 영상 검출부, 및 헤드램프 어셈블리를 테스트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영상 검출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가 제어신호에 따라 정확히 제어되는지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ASSESSING FUNCTION OF VEHICLE HEAD LAMP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이디(LED : Light Emitting Diode) 칩을 광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용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내의 전자제어유닛과 상기 엘이디 구동 모듈(LDM : LED Driving Module) 간의 차량통신 기능 평가 및 엘이디 점등 상태 평가를 동시에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내의 전자제어유닛(ECU : Electronic Control Unit)과 연동하여 엘이디 칩(LED chip)을 광원으로 사용하는 헤드램프를 제어하는 차량용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상기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은 대표적으로 AFLS(Adaptive Front Light System)와 AILS(Active Intelligent Lighting System)가 있으며, 최근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와 카메라 정보 등을 이용해 헤드램프의 빔 패턴을 적절하게 변경하여 운전자에게 보다 쾌적한 야간 시계를 제공하는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들이 등장하고 있다.
참고로, 상기 AFLS는 차량의 속도/조향 핸들의 각도/차량의 기울기와 도로의 상황을 고려해 전조등 방향을 상하좌우로 자동조절 해 운전자의 시야를 효율적으로 확보하는 헤드램프 시스템이며, 상기 AILS는 내비게이션의 도로정보를 받아 운전자 조작 없이 전조등의 조명을 스스로 조절하는 헤드램프 시스템이다.
이러한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은 대부분 CAN(Controller Area Network)이나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과 같은 차량내부통식방식(In-vehicle Network)을 이용하고 있으며, 상기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의 광원에 있어서도 엘이디 방식의 광원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 엘이디 기반의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를 위해서는 차량내의 전자제어유닛(ECU)과 엘이디(LED) 광원을 점등하기 위한 엘이디 구동 모듈(LDM : LED Driving Module)간의 제어신호(즉, 차량내의 전자제어유닛에서 헤드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에 대한 차량통신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와, 각 제어신호에 따른 최종적인 엘이디 점등 패턴이 제대로 구현되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그런데 상향등이나 하향등의 제어만 수행하던 종래의 헤드램프 시스템과 다르게 상기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은 매우 다양한 점등조건이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점등조건에 따른 다양한 제어신호를 일일이 확인하는 것과, 각 제어신호에 따른 다양한 점등상태를 육안으로 평가하는 방식은 매우 비효율적이며 정확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 새로 등장하는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이나 성능을 객관적이며 자동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4-0102802호(2004.12.08.공개, 차량 평가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차량내의 전자제어유닛(ECU)과 지능형 헤드램프 시스템의 엘이디 구동 모듈(LDM)간의 차량통신 기능 및 엘이디 점등 상태 평가를 동시에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개별적으로 실시되던 헤드램프 시스템의 차량통신 신뢰성 평가와 점등기능 평가를 동시에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는, 헤드램프 어셈블리;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를 촬영하는 영상 검출부; 및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를 테스트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 검출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정확히 제어되는지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는, 엘이디 광원, 광학계, 및 엘이디 광원 구동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영상 검출부는, 머신비전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의된 테스트케이스와 테스트 순서에 따라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를 테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는, 헤드램프 어셈블리;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물리계층에서 입출력되는 신호들을 측정하는 계측부; 및 상기 전자제어유닛을 통해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를 테스트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계측부에서 측정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제어유닛이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를 정확히 제어하는지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측부는, 다채널 스코오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전자제어유닛이 외란에 강건하게 설계되었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차량내부통신버스 상에 임의로 외란을 생성하여 인가하는 스트레스 인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전자제어유닛에서 사용하는 통신방식과 다른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제어부와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를 촬영하는 영상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검출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가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를 테스트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정확히 제어되는지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의 테스트 후 테스트 리포트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테스트 후 테스트 리포트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정보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부는, 차량통신 물리계층 측정 결과, 차량통신 테스트 결과, 헤드램프 점등상태, 점등 영상, 점등검사 판별 결과, 헤드램프 광원이 점등되어 조사되는 범위, 조사 각도, 또는 조사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방법은, 미리 정의된 테스트케이스와 테스트 순서에 따라 테스트를 위한 제어신호를 헤드램프 어셈블리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헤드램프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를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화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한 결과를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정의된 테스트케이스의 테스트가 모두 완료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다음 수행해야 될 테스트케이스가 남아 있으면 다음 테스트케이스의 테스트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정의된 테스트케이스의 테스트가 모두 완료되면 상기 GUI 화면으로 출력할 테스트 리포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정확히 제어되는지 여부를 상기 화상 데이터를 이용해 판별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케이스는, 헤드램프 광원의 점등, 광원이 점등되어 조사되는 범위, 조사 각도, 또는 조사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에 개별적으로 실시되던 헤드램프 시스템의 차량통신 신뢰성 평가와 점등기능 평가를 동시에 자동으로 실시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가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평가 정확성과 평가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테이블에 올려놓을 수 있는 소형 PXI(PCI eXtensions for Instrument) 혹은 PXIe(PXI Express) 플랫폼 형태의 장치와 머신비전 카메라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공간이 협소한 환경에서도 쉽게 평가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는, 시험 평가 대상 장비(DUT : Device Under Test)인 헤드램프 어셈블리(110)와 전자제어유닛(ECU, 120), 및 상기 시험 평가 대상 장비(110, 120)의 기능을 평가하는 수단들로서, 영상 검출부(210), 계측부(220), 스트레스 인가부(230), 통신 인터페이스부(240), 제어부(250), 정보 출력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는 광학계(미도시), 광원(예 : LED 모듈)(미도시), 구동 모듈(예 : LDM, LED Driving Module)(미도시), 헤드램프 하우징이 일체로 조립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엄밀하게는 헤드램프 제어를 위한 전자제어유닛(ECU)을 더 포함한 것을 헤드램프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그 의미를 엄밀하게 구분하지 않고 기재할 수도 있다.
상기 광학계는 빛의 반사나 굴절을 이용해서 물체의 상을 만들거나 빛에너지를 전송하기 위해 반사경, 렌즈, 프리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광원은 엘이디를 이용한 광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종류의 전구를 이용한 광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 모듈은 상기 광원의 종류에 따라 차량에 내장된 상기 전자제어유닛(ECU, 120)의 제어에 따라 광원(예 : 엘이디)을 점등한다.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는 기능 평가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암실 혹은 조명이 일정한 곳에서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제어유닛(120)은 다양한 주행상황(점등조건, 테스트케이스)에 따라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를 직접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는 헤드램프 어셈블리의 테스트를 위하여, 상기 전자제어유닛(120)에 인가할 다양한 주행상황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50)에서 가상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가상으로 생성한 주행상황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정의된 테스트 순서에 따라 상기 전자제어유닛(120)에 자동으로 인가함으로써, 상기 전자제어유닛(120)에서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를 직접 제어하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상기 제어부(250)에서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고 기재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제어유닛(120)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또는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을 통해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전자제어유닛(120)과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를 포함하여 헤드램프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영상 검출부(210)는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를 촬영한다. 이때 상기 영상 검출부(2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광원의 점등 상태, 광원이 조사되는 방향이나 각도, 광원의 조사 범위 등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영상 검출부(210)에서 촬영된 영상은 상기 계측부(220)로 출력된다.
상기 계측부(220)는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에서 광원의 점등 상태가 미리 정의된 테스트케이스에 따라 정확히 점등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영상 검출부(210)는 머신비전(Machine Vision)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머신비전 카메라로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촬영 수단이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계측부(220)는 상기 전자제어유닛(120) 양단의 실제적인 물리계층 측정을 수행한다. 즉, 상기 계측부(220)는 상기 전자제어유닛(120) 양단에서 입출력되는 신호들을 측정하거나 계측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전자제어유닛(120)을 통하여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를 테스트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계측부(220)에서 상기 전자제어유닛(120) 양단에서 측정한 신호들을 분석함으로써, 상기 전자제어유닛(120)과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의 구동 모듈(미도시)간의 제어신호에 대한 차량통신이 제대로 이루어지는지 판별하고, 또한 상기 전자제어유닛(120)이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를 정확히 제어하는지 판별한다.
상기 계측부(220)는 상기 영상 검출부(210)에서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며 이를 위해 프레임 그레버(Frame Grabber)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측부(220)는 상기 물리계층 측정을 위하여 다채널 스코오프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스 인가부(230)는 상기 전자제어유닛(120)이 외란에 강건하게 설계되었는지 평가하기 위한 외란을 생성하여 인가한다. 즉, 상기 스트레스 인가부(230)는 차량내부통신버스(예 : CAN) 상에 임의로 외란을 생성하여 인가한다.
상기 스트레스 인가부(230)는 옵션 사항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 수단으로서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통신 인터페이스부(240)에서 곧바로 전자제어유닛(120)으로 CAN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240)는 상기 CAN(또는 LIN)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전자제어유닛(120)과 다른 통신방식(예 : USB)을 사용하는 제어부(250)를 인터페이스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250)는 다양한 주행상황(점등조건, 테스트케이스)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240) 및 상기 전자제어유닛(120)을 통해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의 제어 결과(즉, 점등 상태)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50) 또는 상기 계측부(220)는, LIN 인터페이스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LIN 인터페이스 모듈(미도시)을 통해서도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으로 전송하거나,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의 제어 결과(즉, 점등 상태)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영상 검출부(210)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분석한다.
즉, 상기 제어부(250)는 영상 분석을 통하여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의 광원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정확히 점등되는지 판별한다. 이때 상기 영상 분석을 위하여 상용 소프트웨어(예 : 랩뷰(LabView) 혹은 매틀랩(Matlab) 등)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를 테스트하기 위한 다양한 주행상황(점등조건, 테스트케이스)과 테스트 순서를 미리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정의된 테스트 순서에 따른 테스트 결과(또는 테스트 리포트)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정의된 테스트 순서에 따라 테스트를 수행할 경우, 순차적인 테스트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테스트 리포트(즉, 테스트 결과보고)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50)는 상용 운영체제(예 : Windows XP, Windows 7, Windows 8 등)와 컨트롤러(CPU)가 내장된 PXI(PCI eXtensions for Instrument) 혹은 PXIe(PXI Express)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평가(또는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하여 임의의 상용 소프트웨어(예 : Vector사의 CANoe, Mathwork사의 Matlab/Simulink, NI사의 LabVIEW 등)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테스트케이스에 따른 순차적인 자동 평가를 위하여 임의의 상용 소프트웨어(예 : NI사의 TestStand, Vector사의 Test Automation Editor 등)를 이용하여 테스트케이스를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정의된 테스트케이스대로 순차적으로 자동화 테스트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이종(異種) 소프트웨어인 상용 소프트웨어들(예 : CANoe, Matlab, LabVIEW 등) 간의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각 소프트웨어사에서 제공하는 부가적인 통신 소프트웨어(예 : DLL 프로그램)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상용 소프트웨어(예 : CANoe, Matlab, LabVIEW 등)에서 제공받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차량통신 시뮬레이션 운용 소프트웨어(예 : CANoe)를 이용하여 데이터링크 계층을 측정하거나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차량통신 시뮬레이션 운용 소프트웨어(예 : CANoe)나 GUI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링크 계층의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영상 분석을 통해 상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가 정확히 제어되었는지(즉, 광원의 점등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영상 분석 결과(예 : 점등영상, 점등판별 결과 등)를 상기 정보 출력부(260)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정보 출력부(260)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을 통해 상기 영상 분석 결과(예 : 점등영상, 점등판별 결과 등)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보 출력부(260)는 문자와 그래픽의 표시가 가능한 모니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부가 정보(예 : 사운드, 진동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GUI는 상용 소프트웨어(예 : LabVIEW, Matlab, Visual Studio 등)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출력부(260)는 GUI 화면을 통해 상기 제어부(250)와 상기 전자제어유닛(120),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 간의 통신상태를 평가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정보 출력부(260)는 차량통신 물리계층 측정 결과, 차량통신 테스트 결과, 헤드램프 점등상태, 및 점등검사 머신비전 판별 결과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정보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정보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차량통신 관련 변수값을 변경하거나, 상기 정보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GUI 화면에 표시할 평가 결과나 계측 결과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를 이용한 기능 평가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에는 헤드램프 어셈블리의 테스트케이스 및 테스트 순서가 설정(또는 정의)된다(S101).
상기 테스트케이스 및 테스트 순서는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정의된 테스트케이스와 테스트 순서에 따라 테스트 신호(또는 제어신호)를 상기 전자제어유닛(120) 혹은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로 출력한다(S102). 즉,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전자제어유닛(120)을 통해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를 제어하거나,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를 직접 제어한다.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는 상기 테스트 신호(또는 제어신호)에 따라 광원을 점등한다(S103). 즉,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영상 검출부(210)를 통해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를 촬영한 화상 데이터(또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S104). 이때 상기 화상 데이터(또는 영상 데이터)는 상기 계측부(220)에서 획득하여 상기 제어부(250)로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획득한 화상 데이터(또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한다(S105). 즉,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가 상기 테스트 신호(또는 제어신호)에 따라 정확히 제어되는지(즉, 광원이 점등되는지) 판별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영상 분석 결과(또는 평가 결과) 및 점등 영상을 GUI 화면으로 출력한다(S106). 이때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의 영상 분석 결과(또는 평가 결과)만 간단히 표시하거나, 평가자의 확인을 위하여 상기 영상 분석에 사용된 영상(즉, 점등 영상)을 추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테스트케이스 및 테스트 순서에 따라 모든 테스트가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S107).
상기 판단에 따라 다음 수행해야 될 테스트케이스가 남아 있으면(S107의 아니오), 상기 S102 단계로 돌아가, 다음 테스트케이스의 평가(또는 테스트)를 수행한다(S108). 즉,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정의된 모든 테스트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테스트 과정(S102 ~ S107)을 반복한다.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S101 단계에서 정의된 모든 테스트케이스의 평가(또는 테스트)가 완료되면(S107의 예), 모든 테스트케이스에 대한 테스트 리포트를 생성하여 정보 출력부(260)를 통해 GUI 화면으로 출력한다(S109).
이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는 광원 점등 테스트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110)의 테스트케이스에는 광원이 점등되어 조사되는 범위, 각도, 또는 방향을 테스트하는 항목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에 개별적으로 수행하던 차량통신 신뢰성 평가 및 점등 평가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만약 점등 평가 기능만 활용할 경우, 엘이디를 광원으로 하는 헤드램프의 생산 공정에서 최종적으로 엘이디 점등에서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는 EOL(End Of Line) 검사 장비로 활용가능하며, 또한 본 발명은 차량내부네트워크(예 : CAN, LIN, FlexRay, MOST 등)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또는 소프트웨어)을 포함하기 때문에 엘이디 헤드램프가 적용될 차량의 해당하는 내부네트워크(예 : CAN)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할 경우, 다양한 주행조건(테스트케이스)에서의 지능형 헤드램프 어셈블리를 평가할 수 있는 HIL(Hardware In the Loop) 시스템으로도 응용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헤드램프 어셈블리 120 : 전자제어유닛
210 : 영상 검출부 220 : 계측부
230 : 스트레스 인가부 240 : 통신 인터페이스부
250 : 제어부 260 : 정보 출력부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헤드램프 어셈블리;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를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
    상기 전자제어유닛의 물리계층에서 입출력되는 신호들을 측정하는 계측부;
    상기 전자제어유닛을 통해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를 테스트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계측부에서 측정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제어유닛이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를 정확히 제어하는지 판별하는 제어부;
    상기 전자제어유닛이 외란에 강건하게 설계되었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차량내부통신버스 상에 임의로 외란을 생성하여 인가하는 스트레스 인가부; 및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의 테스트 후 테스트 리포트를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으로 출력하는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란에 대한 평가 및 상기 측정 신호들을 이용한 테스트 후 상기 평가 및 테스트 리포트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상기 정보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계측부는,
    다채널 스코오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에서 사용하는 통신방식과 다른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제어부와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를 촬영하는 영상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검출부에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가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를 테스트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정확히 제어되는지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출력부는,
    차량통신 물리계층 측정 결과, 차량통신 테스트 결과, 헤드램프 점등상태, 점등영상, 점등검사 판별 결과, 헤드램프 광원이 점등되어 조사되는 범위, 조사 각도, 또는 조사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
  12. 제어부가 미리 정의된 테스트케이스와 테스트 순서에 따라 테스트를 위한 제어신호를 전자제어유닛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제어유닛을 통해 헤드램프 어셈블리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영상 검출부를 통해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를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획득한 화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계측부를 통해 전자제유닛의 물리계층에서 입출력되는 신호들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자제어유닛이 외란에 강건하게 설계되었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스트레스 인가부를 통해 차량 내부통신버스 상에 임의로 외란을 생성하여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의 화상 데이터 분석과 상기 외란에 대한 평가 및 측정 신호들을 이용한 테스트 후 상기 평가 및 테스트 리포트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정보 출력부를 통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계측부는, 다채널 스코오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방법.
  13. 삭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헤드램프 어셈블리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정확히 제어되는지 여부를 상기 화상 데이터를 이용해 판별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케이스는,
    헤드램프 광원의 점등, 광원이 점등되어 조사되는 범위, 조사 각도, 또는 조사 방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방법.
KR20130074960A 2013-06-27 2013-06-27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 KR101489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960A KR101489833B1 (ko) 2013-06-27 2013-06-27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960A KR101489833B1 (ko) 2013-06-27 2013-06-27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547A KR20150001547A (ko) 2015-01-06
KR101489833B1 true KR101489833B1 (ko) 2015-02-11

Family

ID=52475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4960A KR101489833B1 (ko) 2013-06-27 2013-06-27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8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457B1 (ko) * 2016-02-23 2017-03-27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델기반설계 기법을 이용한 자동차 클러스터의 스테이션 설계 방법
KR102107319B1 (ko) * 2018-11-26 2020-05-14 해성옵틱스(주)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KR102216341B1 (ko) 2019-12-16 2021-02-17 한국광기술원 헤드램프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5180B (zh) * 2019-12-13 2022-07-19 杭州罗莱迪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照明系统可靠性评测方法
CN116698377B (zh) * 2023-07-31 2023-10-03 常州星宇车灯股份有限公司 汽车led矩阵大灯的adb功能测试方法及其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6323A (ko) * 2010-08-16 2012-02-24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헤드램프 조정 장치 및 방법
KR20130011331A (ko) * 2011-07-21 2013-01-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6323A (ko) * 2010-08-16 2012-02-24 주식회사 와이즈오토모티브 헤드램프 조정 장치 및 방법
KR20130011331A (ko) * 2011-07-21 2013-01-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457B1 (ko) * 2016-02-23 2017-03-27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델기반설계 기법을 이용한 자동차 클러스터의 스테이션 설계 방법
KR102107319B1 (ko) * 2018-11-26 2020-05-14 해성옵틱스(주)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KR102216341B1 (ko) 2019-12-16 2021-02-17 한국광기술원 헤드램프 성능 평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547A (ko)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9833B1 (ko)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기능 평가 장치 및 방법
CN107074149B (zh) 用于检查机动车的功能性的方法以及机动车
CN102951070B (zh) 用于确定至少一个大灯的照明距离的方法和用于校准车辆的至少一个大灯的光发射的方法
US20080316476A1 (en) System and Device for the Optical Inspection of Glass Panels
US20140152845A1 (en) camera testing device and method for testing a camera
CN106157572A (zh) 汽车主动安全预警系统的测试方法及测试装置
CN101738251A (zh) 自动测试系统及方法
KR20190014483A (ko) 자동 광학 검사 방법
CN103152919A (zh) 基于视频监控的隧道灯控制系统
KR20200101441A (ko) 환경 센서의 행동 모델
JP2005338054A (ja) 車載表示計の自動評価装置
CN103625397A (zh) 用于识别车辆周边环境的系统
KR102107319B1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Huang et al. Design validation testing of vehicle instrument cluster using machine vision and hardware-in-the-loop
JP2009208561A (ja) 運転者撮像システムおよび運転者撮像方法
JP4858298B2 (ja) 検査装置
CN116046355A (zh) 一种前大灯adb功能智能检测系统
US10241000B2 (en) Method for checking the position of characteristic points in light distributions
KR101489834B1 (ko) 차량용 헤드램프 시스템의 힐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1185708A (ja) 車両用前照灯検査装置
da Silva Lopes et al. Automated tests for automotive instrument panel cluster based on machine vision
CN103792072A (zh) 一种自动变光焊接护目镜光漫射值测试系统及方法
KR102270302B1 (ko) 공기 청정기 자동 테스트 시스템 및 방법
CN113759192B (zh) 一种emc测试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及车辆
KR20130072751A (ko) 배광 검사 장치 및 배광 검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