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6005B1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6005B1
KR102106005B1 KR1020130099934A KR20130099934A KR102106005B1 KR 102106005 B1 KR102106005 B1 KR 102106005B1 KR 1020130099934 A KR1020130099934 A KR 1020130099934A KR 20130099934 A KR20130099934 A KR 20130099934A KR 102106005 B1 KR102106005 B1 KR 102106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rce board
cable
pmic
sensing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9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2295A (ko
Inventor
서희정
곽장훈
김은경
박재형
윤종영
이준표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9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005B1/ko
Priority to US14/170,882 priority patent/US9466238B2/en
Publication of KR20150022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85Special arrangements for addressing the individual elements of the matrix, other than by driving respective rows and columns in combin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3/209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specific for a flat pan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6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not related to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or to communication of data to the pixels by means of a curr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8Details of driving circuits arranged to drive both scan and data electrodes

Abstract

표시 장치는 TCON(Timing Controller) 및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가 장착되어 있는 제어 보드, 구동 IC(Integrated Circuit)가 장착되어 있는 제1 소스 보드, 및 상기 제어 보드와 상기 제1 소스 보드를 연결하는 제1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보드에는 상기 PMIC에서 상기 제1 연결 케이블로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 및 상기 제1 연결 케이블에서 상기 TCON으로 연결되는 제3 피드백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블에는 상기 제1 감지 배선과 상기 제1 소스 보드를 연결하는 제2 감지 배선 및 상기 제3 피드백 배선과 상기 제1 소스 보드를 연결하는 제2 피드백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소스 보드에는 상기 제2 감지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3 감지 배선 및 상기 제2 피드백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피드백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 보드와 소스 보드의 미연결 및 오삽입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주사 라인과 복수의 화소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을 포함한다. 복수의 화소는 주사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점에 형성된다.
복수의 주사 라인에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가 순차적으로 인가되고,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에 대응하여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어 복수의 화소에 영상 데이터가 기입된다.
최근에는 해상도 3840 × 2160 이상의 고해상도, 80인치 이상의 대형 표시 장치가 생산되고 있다. 표시 장치가 고해상도, 대형화됨에 따라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IC(Integrated Circuit)에는 걸리는 부하가 증가하게 된다. 부하가 한계를 넘어 증가하게 되면 구동 IC가 과열되어 파괴될 수도 있다. 소스 구동 IC의 부하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구동 IC의 부하를 줄이기 위하여 데이터 라인 양단에 구동 IC를 연결하여 부하를 분산시키는 방법이 있다. 데이터 라인 양단의 구동 IC 중에서 어느 하나가 연결되지 않거나 잘못 연결된 상태에서 표시 장치가 구동하게 되면 다른 하나의 구동 IC에 부하가 집중되게 된다. 결국, 구동 IC 및 구동 IC에 연결되는 전원 회로나 제어 회로의 고장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해상도 1920 × 1080의 Full HD 표시 장치나 그 이하의 해상도를 가지는 표시 장치에서 구동 IC가 잘못 연결되는 경우에 전원 핀(pin)과 인접한 다른 핀 간의 쇼트(short)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구동 IC 뿐만 아니라 전원 회로나 제어 회로 등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IC의 전원과 접지 간에 쇼트가 발생하거나 구동 IC의 출력과 게이트 IC의 전원 간에 쇼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구동 IC 및 게이트 IC가 고장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어 보드와 소스 보드의 미연결 및 오삽입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TCON(Timing Controller) 및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가 장착되어 있는 제어 보드, 구동 IC(Integrated Circuit)가 장착되어 있는 제1 소스 보드, 및 상기 제어 보드와 상기 제1 소스 보드를 연결하는 제1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보드에는 상기 PMIC에서 상기 제1 연결 케이블로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 및 상기 제1 연결 케이블에서 상기 TCON으로 연결되는 제3 피드백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블에는 상기 제1 감지 배선과 상기 제1 소스 보드를 연결하는 제2 감지 배선 및 상기 제3 피드백 배선과 상기 제1 소스 보드를 연결하는 제2 피드백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소스 보드에는 상기 제2 감지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3 감지 배선 및 상기 제2 피드백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피드백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PMIC는 상기 제1 감지 배선에 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TCON은 상기 제3 피드백 배선으로 입력되는 신호로 상기 제어 보드 및 상기 제1 소스 보드의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TCON은 상기 제3 피드백 배선으로 입력되는 신호가 정해진 전압으로 입력되면 상기 PMIC에 온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TCON은 상기 제3 피드백 배선으로 입력되는 신호가 정해진 전압으로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PMIC에 오프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PMIC는 상기 오프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을 중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보드와 상기 제1 소스 보드를 연결하는 제2 연결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케이블에 상기 제3 감시 배선과 상기 제어 보드를 연결하는 제4 감지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 보드에 상기 제4 감지 배선에 연결되는 제5 감지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연결 케이블에 상기 제5 감지 배선과 상기 제1 소스 보드를 연결하는 제6 감지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소스 보드에 상기 제6 감지 배선에 연결되는 제7 감지 배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소스 보드에는 비드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7 감지 배선 및 상기 제1 피드백 배선은 상기 비드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3 연결 케이블, 상기 제어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4 연결 케이블, 및 상기 제3 케이블 및 상기 제4 연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어 보드와 연결되는 제2 소스 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 케이블은 상기 제1 연결 케이블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4 연결 케이블은 상기 제2 연결 케이블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소스 보드는 상기 제1 소스 보드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소스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소스 보드 케이블; 및
상기 제1 소스 보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1 소스 보드와 연결되는 제2 소스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스 보드 케이블에는 상기 제7 감지 배선과 상기 제2 소스 보드를 연결하는 제8 감지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소스 보드에는 상기 제8 감지 배선에 연결되는 제9 감지 배선 및 상기 제9 감지 배선에 연결되는 제4 피드백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소스 보드 케이블에는 상기 제4 피드백 배선과 상기 제1 피드백 배선을 연결하는 제5 피드백 배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3 연결 케이블, 상기 제어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4 연결 케이블, 상기 제3 연결 케이블 및 상기 제4 연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어 보드와 연결되는 제3 소스 보드, 상기 제3 소스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소스 보드 케이블, 및 상기 제2 소스 보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3 소스 보드와 연결되는 제4 소스 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 케이블은 상기 제1 연결 케이블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4 연결 케이블은 상기 제2 연결 케이블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3 소스 보드는 상기 제1 소스 보드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4 소스 보드는 상기 제2 소스 보드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소스 보드 케이블은 상기 제1 소스 보드 케이블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5 연결 케이블, 상기 제어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6 연결 케이블, 상기 제5 연결 케이블 및 상기 제6 연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어 보드와 연결되는 제5 소스 보드, 상기 제5 소스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3 소스 보드 케이블, 상기 제3 소스 보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5 소스 보드와 연결되는 제6 소스 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연결 케이블은 상기 제1 연결 케이블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6 연결 케이블은 상기 제2 연결 케이블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5 소스 보드는 상기 제1 소스 보드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6 소스 보드는 상기 제2 소스 보드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3 소스 보드 케이블은 상기 제1 소스 보드 케이블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7 연결 케이블, 상기 제어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8 연결 케이블, 상기 제7 연결 케이블 및 상기 제8 연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어 보드와 연결되는 제7 소스 보드, 상기 제7 소스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4 소스 보드 케이블, 상기 제4 소스 보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7 소스 보드와 연결되는 제8 소스 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7 연결 케이블은 상기 제1 연결 케이블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8 연결 케이블은 상기 제2 연결 케이블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7 소스 보드는 상기 제1 소스 보드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8 소스 보드는 상기 제2 소스 보드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4 소스 보드 케이블은 상기 제1 소스 보드 케이블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TCON(Timing Controller) 및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가 장착되어 있는 제어 보드, 구동 IC(Integrated Circuit)가 장착되어 있는 제1 소스 보드, 및 상기 제어 보드와 상기 제1 소스 보드를 연결하는 제1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보드에는 상기 TCON에서 상기 제1 연결 케이블로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 및 상기 제1 연결 케이블에서 상기 PMIC로 연결되는 제3 피드백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블에는 상기 제1 감지 배선과 상기 제1 소스 보드를 연결하는 제2 감지 배선 및 상기 제3 피드백 배선과 상기 제1 소스 보드를 연결하는 제2 피드백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소스 보드에는 상기 제2 감지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3 감지 배선 및 상기 제2 피드백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피드백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PMIC에서 TCON으로 전원 전압이 출력되는 단계, 상기 PMIC에서 제어 보드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감지 배선으로 감지 신호가 출력되는 단계, 상기 제어 보드와 소스 보드를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감지 배선으로 상기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 상기 소스 보드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감지 배선에 연결되는 제3 감지 배선에 상기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 상기 소스 보드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피드백 배선에 상기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 상기 연결 케이블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피드백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피드백 배선에 상기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 상기 제어 보드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피드백 배선과 상기 TCON을 연결하는 제3 피드백 배선에 상기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 및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TCON에서 상기 PMIC에 전원 인에이블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TCON에서 상기 PMIC에 전원 인에이블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는, 상기 TCON에 상기 감지 신호가 미리 정해진 전압으로 인가되면 상기 제어 보드와 상기 소스 보드가 정확하게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PMIC에 온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TCON에서 상기 PMIC에 전원 인에이블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는, 상기 TCON에 상기 감지 신호가 미리 정해진 전압으로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 보드와 상기 소스 보드가 정확하게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PMIC에 오프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보드와 소스 보드의 미연결 및 오삽입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보드 및 소스 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보드 및 소스 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보드 및 소스 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보드 및 소스 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보드 및 소스 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보드 및 소스 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보드 및 소스 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보드 및 소스 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신호 제어부(100), 주사 구동부(200), 데이터 구동부(300) 및 표시부(400)를 포함한다.
표시부(400)는 대략 행렬의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화소(PX), 복수의 주사선(S1~Sn) 및 복수의 데이터선(D1~Dm)을 포함한다. 복수의 화소(PX)는 복수의 주사선(S1~Sn) 및 복수의 데이터선(D1~Dm)에 연결되어 있다. 복수의 주사선(S1~Sn)은 대략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가 거의 평행하고, 복수의 데이터선(D1~Dm)은 대략 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신호 제어부(100)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R, G, B) 및 동기 신호를 수신한다. 영상 신호(R, G, B)는 복수의 화소의 휘도(luminance) 정보를 담고 있다. 휘도는 정해진 수효, 예를 들어, 1024(=210), 256(=28) 또는 64(=26)개의 계조(gray)를 가지고 있다. 동기 신호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수평 동기 신호(Hsync),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메인 클록 신호(MCLK)를 포함한다.
신호 제어부(100)는 영상 신호(R, G, B),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수평 동기 신호(Hsync),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메인 클록 신호(MCLK)에 따라 제1 구동 제어신호(CONT1), 제2 구동 제어신호(CONT2) 및 영상 데이터(DAT)를 생성한다. 신호 제어부(100)는 수직 동기 신호(Vsync)에 따라 프레임 단위로 영상 신호(R, G, B)를 구분하고, 수평 동기 신호(Hsync)에 따라 주사선 단위로 영상 신호(R, G, B)를 구분하여 영상 데이터(DAT)를 생성한다. 신호 제어부(100)는 제1 구동 제어신호(CONT1)를 주사 구동부(200)에 전달한다. 신호 제어부(100)는 영상 데이터(DAT)를 제2 구동 제어신호(CONT2)와 함께 데이터 구동부(300)로 전달한다.
주사 구동부(200)는 복수의 주사선(S1~Sn)에 연결되고, 제1 구동 제어신호(CONT1)에 따라 복수의 주사 신호를 생성한다. 주사 구동부(200)는 복수의 주사선(S1~Sn)에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복수의 데이터선(D1~Dm)에 연결되고, 제2 구동 제어신호(CONT2)에 따라 입력된 영상 데이터(DAT)를 샘플링 및 홀딩하고, 복수의 데이터선(D1~Dm)에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전달한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게이트 온 전압의 주사 신호에 대응하여 복수의 데이터선(D1~Dm)에 소정의 전압 범위를 갖는 데이터 신호를 인가한다.
상술한 구동 장치들(100, 200, 30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칩의 형태로 표시부(400) 위에 직접 장착되거나, 가요성 인쇄 회로막(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FPC) 위에 장착되거나 TCP(tape carrier package)의 형태로 표시부(400)에 부착되거나, 별도의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위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구동 장치들(100, 200, 300)은 복수의 주사선(S1~Sn) 및 복수의 데이터선(D1~Dm)과 함께 표시부(400)에 집적될 수도 있다.
이하, 신호 제어부(100) 및 데이터 구동부(300)가 제어 보드 및 소스 보드에 장착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보드 및 소스 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보드(110)에는 TCON(Timing Controller)(121) 및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131)가 장착된다. 제어 보드(110)는 PCB(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TCON(121)은 도 1에서 설명한 신호 제어부(100)로 기능한다. PMIC(131)는 소정의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장치로서 복수의 구동 IC(320) 및 TCON(121)에 전원 전압을 제공한다. TCON(121) 및 PMIC(131)이 장착되어 있는 제어 보드(110)를 제어 PBA(Printed Board Assembly)라 통칭할 수 있다.
소스 보드(311)에는 복수의 구동 IC(320) 및 비드(bead)(331)가 장착된다. 소스 보드(311)는 PCB일 수 있다. 복수의 구동 IC(320)는 도 1에서 설명한 데이터 구동부(300)로 기능한다. 비드(331)는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복수의 구동 IC(320) 및 비드(331)가 장착되어 있는 소스 보드(331)를 소스 PBA라 통칭할 수 있다.
제어 보드(110)와 소스 보드(311)는 제1 연결 케이블(411) 및 제2 연결 케이블(412)로 연결된다. 제1 연결 케이블(411) 및 제2 연결 케이블(412)은 FFC(Flexible Flat Cable)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 보드(110)와 소스 보드(311)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 보드(110)에는 PMIC(131)에서 제1 연결 케이블(411)로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 케이블(411)에는 제1 감지 배선(SL1)과 소스 보드(311)를 연결하는 제2 감지 배선(SL2)이 형성되어 있다. 소스 보드(311)에는 제2 감지 배선(SL2)에 연결되는 제3 감지 배선(SL3)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 케이블(412)에는 제3 감지 배선(SL3)과 제어 보드(110)를 연결하는 제4 감지 배선(SL4)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4 감지 배선(SL4)에 연결되는 제5 감지 배선(SL5)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 케이블(412)에는 제5 감지 배선(SL5)과 소스 보드(311)를 연결하는 제6 감지 배선(SL6)이 형성되어 있다. 소스 보드(311)에는 제6 감지 배선(SL6) 및 비드(331)에 연결되는 제7 감지 배선(SL7)이 형성되어 있다. 소스 보드(311)에는 비드(331)에서 제1 연결 케이블(411)로 연결되는 제1 피드백 배선(FL1)이 형성되어 있다. 비드(331)를 통해 제7 감지 배선(SL7)과 제1 피드백 배선(FL1)이 연결된다. 제1 연결 케이블(411)에는 제1 피드백 배선(FL1)과 제어 보드(110)를 연결하는 제2 피드백 배선(FL2)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2 피드백 배선(FL2)과 TCON(121)을 연결하는 제3 피드백 배선(FL3)이 형성되어 있다. 감지 배선은 제1 내지 7 감지 배선(SL1~SL7)을 포함한다. 피드백 배선은 제1 내지 제3 피드백 배선(FL1~FL3)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연결 케이블(411, 412)이 2개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한정이 아니다. 제어 보드(110)와 소스 보드(311)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 보드(110)와 소스 보드(311)가 하나의 연결 케이블(411)로 연결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소스 보드(311)에 형성되는 제3 감지 배선(SL3)은 제2 감지 배선(SL2)과 비드(311)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감지 배선(SL3)이 제2 감지 배선(SL2)과 제1 피드백 배선(FL1)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TCON(121)은 PMIC(131)로부터 AVDD 전원 전압을 공급받는다. TCON(121)은 PMIC(13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를 전달한다. PMIC(131)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소정의 전압을 갖는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AVDD 전원 전압 및 감지 신호(Vsense)로 주사 신호의 생성을 위해 주사 구동부(200)로 출력되는 3.3V 전압이 이용될 수 있다.
이제, 제어 보드(110) 및 소스 보드(311)가 제1 연결 케이블(411) 및 제2 연결 케이블(412)로 정확하게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 장치가 켜지는 초기에 PMIC(131)는 TCON(121)으로 AVDD 전원 전압을 출력하고, 제1 감지 배선(SL1)으로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감지 신호(Vsense)는 감지 배선(SL1~SL7) 및 피드백 배선(FL1~FL3)을 통해 TCON(121)으로 전달된다. 즉, 제1 감지 배선(SL1)으로 감지 신호(Vsense)가 출력되면, 감지 신호(Vsense)는 제2 감지 배선(SL2), 제3 감지 배선(SL3), 제4 감지 배선(SL3), 제5 감지 배선(SL), 제6 감지 배선(SL6), 제7 감지 배선(SL7), 제1 피드백 배선(FL1), 제2 피드백 배선(FL2), 제3 피드백 배선(FL3) 순으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TCON(121)에 전달된다.
제어 보드(110) 및 소스 보드(311)가 정확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해진 전압의 감지 신호(Vsense)가 TCON(121)으로 입력된다. TCON(121)은 제3 피드백 배선(FL3)으로 입력되는 신호로 제어 보드(110)와 소스 보드(311)의 연결 상태를 판단한다. 즉, TCON(121)은 AVDD 전원 전압 및 감지 신호(Vsense)가 미리 정해진 전압으로 입력되면 제어 보드(110) 및 소스 보드(311)가 정확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온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를 PMIC(131)에 전달한다. PMIC(131)는 온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EN)에 따라 정상적인 구동을 시작하고, 복수의 구동 IC(320)의 동작을 위한 구동 전압, 화소의 발광을 위한 구동 전압 등을 생성하게 된다.
만일, 제어 보드(110) 및 소스 보드(311)가 미연결 또는 오삽입된 경우에는 제1 내지 제7 감지 배선(SL1~SL7), 제1 내지 제3 피드백 배선(FL1~FL3) 간에 서로 연결되지 않는 부분이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PMIC(131)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Vsense)는 TCON(121)에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TCON(121)은 감지 신호(Vsense) 및 AVDD 전원 전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미리 정해진 전압으로 입력되지 않으면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를 오프 전압으로 출력한다. PMIC(131)는 전원 인에이블 신호(EN)가 오프 전압으로 입력되면 구동을 중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 보드(110) 및 소스 보드(311)가 미연결 또는 오삽입된 경우에 PMIC(131)의 구동이 중지됨으로써, 구동 IC(320), PMIC(131) 등에 과부하가 걸려서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보드 및 소스 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보드(110)에는 TCON(121) 및 PMIC(131)가 장착된다. 제어 보드(110)는 PCB일 수 있다. TCON(121)은 도 1에서 설명한 신호 제어부(100)로 기능한다. PMIC(131)는 소정의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장치로서 복수의 구동 IC(320) 및 TCON(121)에 전원 전압을 제공한다.
제1 소스 보드(311) 및 제2 소스 보드(312)에는 복수의 구동 IC(320)가 장착된다. 제2 소스 보드(312)에는 비드(331)가 장착된다. 제1 소스 보드(311) 및 제2 소스 보드(312)는 PCB일 수 있다. 복수의 구동 IC(320)는 도 1에서 설명한 데이터 구동부(300)로 기능한다. 비드(331)는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제어 보드(110)와 제1 소스 보드(311)는 제1 연결 케이블(411) 및 제2 연결 케이블(412)로 연결된다. 제1 소스 보드(311)와 제2 소스 보드(312)는 소스 보드 케이블(421)로 연결된다. 제1 연결 케이블(411) 및 제2 연결 케이블(412)은 FFC(Flexible Flat Cable)로 마련될 수 있다. 소스 보드 케이블(421)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 보드(110)와 제1 소스 보드(311) 및 제2 소스 보드(312)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 보드(110)에는 PMIC(131)에서 제1 연결 케이블(411)로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 케이블(411)에는 제1 감지 배선(SL1)과 제1 소스 보드(311)를 연결하는 제2 감지 배선(SL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소스 보드(311)에는 제2 감지 배선(SL2)에 연결되는 제3 감지 배선(SL3)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 케이블(412)에는 제3 감지 배선(SL3)과 제어 보드(110)를 연결하는 제4 감지 배선(SL4)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4 감지 배선(SL4)에 연결되는 제5 감지 배선(SL5)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 케이블(412)에는 제5 감지 배선(SL5)과 제1 소스 보드(311)를 연결하는 제6 감지 배선(SL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소스 보드(311)에는 제6 감지 배선(SL6)에 연결되는 제7 감지 배선(SL7)이 형성되어 있다. 소스 보드 케이블(421)에는 제7 감지 배선(SL7)과 제2 소스 보드(312)를 연결하는 제8 감지 배선(SL8)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소스 보드(312)에는 제8 감지 배선(SL8)과 비드(331)를 연결하는 제9 감지 배선(SL9)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소스 보드(312)에는 비드(331)에서 소스 보드 케이블(421)로 연결되는 제4 피드백 배선(FL4)이 형성되어 있다. 비드(331)를 통해 제9 감지 배선(SL9)과 제4 피드백 배선(FL4)이 연결된다. 소스 보드 케이블(421)에는 제4 피드백 배선(FL4)에 연결되는 제5 피드백 배선(FL5)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소스 보드(311)에는 제5 피드백 배선(FL5)에 연결되는 제1 피드백 배선(FL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 케이블(411)에는 제1 피드백 배선(FL1)과 제어 보드(110)를 연결하는 제2 피드백 배선(FL2)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2 피드백 배선(FL2)과 TCON(121)을 연결하는 제3 피드백 배선(FL3)이 형성되어 있다. 감지 배선은 제1 내지 9 감지 배선(SL1~SL9)을 포함한다. 피드백 배선은 제1 내지 제5 피드백 배선(FL1~FL5)을 포함한다.
TCON(121)은 PMIC(131)로부터 AVDD 전원 전압을 공급받는다. TCON(121)은 PMIC(13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를 전달한다. PMIC(131)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소정의 전압을 갖는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이제, 제어 보드(110), 제1 소스 보드(311) 및 제2 소스 보드(312)가 제1 연결 케이블(411), 제2 연결 케이블(412) 및 소스 보드 케이블(421)로 정확하게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 장치가 켜지는 초기에 PMIC(131)는 TCON(121)으로 AVDD 전원 전압을 출력하고, 제1 감지 배선(SL1)으로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감지 신호(Vsense)는 감지 배선(SL1~SL9) 및 피드백 배선(FL1~FL5)을 통해 TCON(121)으로 전달된다. 제어 보드(110), 제1 소스 보드(311) 및 제2 소스 보드(312)가 정확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해진 전압의 감지 신호(Vsense)가 TCON(121)으로 입력된다. TCON(121)은 AVDD 전원 전압 및 감지 신호(Vsense)가 정해진 전압으로 입력되면 제어 보드(110), 제1 소스 보드(311) 및 제2 소스 보드(312)가 정확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온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를 PMIC(131)에 전달한다. PMIC(131)는 온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EN)에 따라 정상적인 구동을 시작하고, 복수의 구동 IC(320)의 동작을 위한 구동 전압, 화소의 발광을 위한 구동 전압 등을 생성하게 된다.
만일, 제어 보드(110), 제1 소스 보드(311) 및 제2 소스 보드(312)가 미연결 또는 오삽입된 경우에는 제1 내지 제9 감지 배선(SL1~SL9), 제1 내지 제5 피드백 배선(FL1~FL5) 간에 서로 연결되지 않는 부분이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PMIC(131)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Vsense)는 TCON(121)에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TCON(121)은 감지 신호(Vsense) 및 AVDD 전원 전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입력되지 않으면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를 오프 전압으로 출력한다. PMIC(131)는 전원 인에이블 신호(EN)가 오프 전압으로 인가되면 구동을 중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 보드(110), 제1 소스 보드(311) 및 제2 소스 보드(312)가 미연결 또는 오삽입된 경우에 PMIC(131)의 구동이 중지됨으로써, 구동 IC(320), PMIC(131) 등에 과부하가 걸려서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보드 및 소스 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 보드(110)에는 TCON(121),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가 장착된다. 제어 보드(110)는 PCB일 수 있다. TCON(121)은 도 1에서 설명한 신호 제어부(100)로 기능한다.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는 소정의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장치로서 복수의 구동 IC(320) 및 TCON(121)에 전원 전압을 제공한다. TCON(121), 제1 PMIC(131) 및 제2 PMIC(131)이 장착되어 있는 제어 보드(110)를 제어 PBA라 통칭할 수 있다.
제1 소스 보드(311) 및 제2 소스 보드(312)에는 복수의 구동 IC(320)가 장착된다. 제1 소스 보드(311)에는 제1 비드(331)가 장착되고, 제2 소스 보드(312)에는 제2 비드(332)가 장착된다. 제1 소스 보드(311) 및 제2 소스 보드(312)는 PCB일 수 있다. 복수의 구동 IC(320)는 도 1에서 설명한 데이터 구동부(300)로 기능한다. 제1 비드(331) 및 제2 비드(332)는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제어 보드(110)와 제1 소스 보드(311)는 제1 연결 케이블(411) 및 제2 연결 케이블(412)로 연결된다. 제어 보드(110)와 제2 소스 보드(312)는 제3 연결 케이블(413) 및 제4 연결 케이블(414)로 연결된다.
제1 연결 케이블(411), 제2 연결 케이블(412), 제3 연결 케이블(413) 및 제4 연결 케이블(414)은 FFC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 보드(110)와 제1 소스 보드(311)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1 PMIC(131)에서 제1 연결 케이블(411)로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 케이블(411)에는 제1 감지 배선(SL1)과 제1 소스 보드(311)를 연결하는 제2 감지 배선(SL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소스 보드(311)에는 제2 감지 배선(SL2)에 연결되는 제3 감지 배선(SL3)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 케이블(412)에는 제3 감지 배선(SL3)과 제어 보드(110)를 연결하는 제4 감지 배선(SL4)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4 감지 배선(SL4)에 연결되는 제5 감지 배선(SL5)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 케이블(412)에는 제5 감지 배선(SL5)과 제1 소스 보드(311)를 연결하는 제6 감지 배선(SL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소스 보드(311)에는 제6 감지 배선(SL6) 및 제1 비드(331)에 연결되는 제7 감지 배선(SL7)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소스 보드(311)에는 제1 비드(331)에서 제1 연결 케이블(411)로 연결되는 제1 피드백 배선(FL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비드(331)를 통해 제7 감지 배선(SL7)과 제1 피드백 배선(FL1)이 연결된다. 제1 연결 케이블(411)에는 제1 피드백 배선(FL1)과 제어 보드(110)를 연결하는 제2 피드백 배선(FL2)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2 피드백 배선(FL2)과 TCON(121)을 연결하는 제3 피드백 배선(FL3)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와 제2 소스 보드(312)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2 PMIC(132)에서 제3 연결 케이블(413)로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연결 케이블(413)에는 제1 감지 배선(SL1)과 제2 소스 보드(312)를 연결하는 제2 감지 배선(SL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소스 보드(312)에는 제2 감지 배선(SL2)에 연결되는 제3 감지 배선(SL3)이 형성되어 있다. 제4 연결 케이블(414)에는 제3 감지 배선(SL3)과 제어 보드(110)를 연결하는 제4 감지 배선(SL4)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4 감지 배선(SL4)에 연결되는 제5 감지 배선(SL5)이 형성되어 있다. 제4 연결 케이블(414)에는 제5 감지 배선(SL5)과 제2 소스 보드(312)를 연결하는 제6 감지 배선(SL6)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소스 보드(312)에는 제6 감지 배선(SL6) 및 제2 비드(332)에 연결되는 제7 감지 배선(SL7)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소스 보드(312)에는 제2 비드(332)에서 제3 연결 케이블(413)로 연결되는 제1 피드백 배선(FL1)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비드(332)를 통해 제7 감지 배선(SL7)과 제1 피드백 배선(FL1)이 연결된다. 제3 연결 케이블(413)에는 제1 피드백 배선(FL1)과 제어 보드(110)를 연결하는 제2 피드백 배선(FL2)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2 피드백 배선(FL2)과 TCON(121)을 연결하는 제3 피드백 배선(FL3)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연결 케이블(413)은 제1 연결 케이블(411)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제4 연결 케이블(414)은 제2 연결 케이블(412)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제2 소스 보드(312)는 제1 소스 보드(311)와 동일하게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TCON(121)은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로부터 AVDD 전원 전압을 공급받는다. TCON(121)은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를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에 전달한다. 제1 PMIC(131)는 제1 연결 케이블(411)에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소정의 전압을 갖는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제2 PMIC(132)는 제3 연결 케이블(413)에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소정의 전압을 갖는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이제, 제어 보드(110), 제1 소스 보드(311) 및 제2 소스 보드(312)가 제1 연결 케이블(411), 제2 연결 케이블(412), 제3 연결 케이블(413) 및 제4 연결 케이블(414)로 정확하게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 장치가 켜지는 초기에 제1 PMIC(131)는 TCON(121)으로 AVDD 전원 전압을 출력하고, 제1 연결 케이블(411)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이때, 제2 PMIC(132)는 TCON(121)으로 AVDD 전원 전압을 출력하고, 제3 연결 케이블(413)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감지 신호(Vsense)는 감지 배선(SL1~SL7) 및 피드백 배선(FL1~FL3)을 통해 TCON(121)으로 전달된다. 제어 보드(110), 제1 소스 보드(311) 및 제2 소스 보드(312)가 정확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해진 전압의 감지 신호(Vsense)가 TCON(121)으로 입력된다. TCON(121)은 AVDD 전원 전압 및 감지 신호(Vsense)가 정해진 전압으로 입력되면 제어 보드(110), 제1 소스 보드(311) 및 제2 소스 보드(312)가 정확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온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를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에 전달한다.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는 온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EN)에 따라 정상적인 구동을 시작하고, 복수의 구동 IC(320)의 동작을 위한 구동 전압, 화소의 발광을 위한 구동 전압 등을 생성하게 된다.
만일, 제어 보드(110), 제1 소스 보드(131) 및 제2 소스 보드(312)가 미연결 또는 오삽입된 경우에는 제1 내지 제7 감지 배선(SL1~SL7), 제1 내지 제3 피드백 배선(FL1~FL3) 간에 서로 연결되지 않는 부분이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Vsense)는 TCON(121)에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TCON(121)은 감지 신호(Vsense) 및 AVDD 전원 전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입력되지 않으면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를 오프 전압으로 출력한다.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는 전원 인에이블 신호(EN)가 오프 전압으로 인가되면 구동을 중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 보드(110), 제1 소스 보드(311) 및 제2 소스 보드(312)가 미연결 또는 오삽입된 경우에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의 구동이 중지됨으로써, 구동 IC(320), 제1 PMIC(131), 제2 PMIC(132) 등에 과부하가 걸려서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보드 및 소스 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보드(110)에는 TCON(121),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가 장착된다. 제어 보드(110)는 PCB일 수 있다. TCON(121)은 도 1에서 설명한 신호 제어부(100)로 기능한다.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는 소정의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장치로서 복수의 구동 IC(320) 및 TCON(121)에 전원 전압을 제공한다. TCON(121), 제1 PMIC(131) 및 제2 PMIC(131)가 장착되어 있는 제어 보드(110)를 제어 PBA라 통칭할 수 있다.
제1 소스 보드(311), 제2 소스 보드(312), 제3 소스 보드(313) 및 제4 소스 보드(314)에는 복수의 구동 IC(320)가 장착된다. 제2 소스 보드(312)에는 제1 비드(331)가 장착된다. 제4 소스 보드(314)에는 제2 비드(332)가 장착된다. 제1 소스 보드(311), 제2 소스 보드(312), 제3 소스 보드(313) 및 제4 소스 보드(314)는 PCB일 수 있다. 복수의 구동 IC(320)는 도 1에서 설명한 데이터 구동부(300)로 기능한다. 제1 비드(331) 및 제2 비드(332)는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제어 보드(110)와 제1 소스 보드(311)는 제1 연결 케이블(411) 및 제2 연결 케이블(412)로 연결된다. 제1 소스 보드(311)와 제2 소스 보드(312)는 제1 소스 보드 케이블(421)로 연결된다. 제어 보드(110)와 제3 소스 보드(313)는 제3 연결 케이블(413) 및 제4 연결 케이블(414)로 연결된다. 제3 소스 보드(313)와 제4 소스 보드(314)는 제2 소스 보드 케이블(422)로 연결된다. 제1 연결 케이블(411), 제2 연결 케이블(412), 제3 연결 케이블(413) 및 제4 연결 케이블(414)은 FFC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소스 보드 케이블(421) 및 제2 소스 보드 케이블(422)은 FPC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 보드(110)와 제1 소스 보드(311) 및 제2 소스 보드(312)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1 PMIC(131)에서 제1 연결 케이블(411)로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 케이블(411)에는 제1 감지 배선(SL1)과 제1 소스 보드(311)를 연결하는 제2 감지 배선(SL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소스 보드(311)에는 제2 감지 배선(SL2)에 연결되는 제3 감지 배선(SL3)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 케이블(412)에는 제3 감지 배선(SL3)과 제어 보드(110)를 연결하는 제4 감지 배선(SL4)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4 감지 배선(SL4)에 연결되는 제5 감지 배선(SL5)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 케이블(412)에는 제5 감지 배선(SL5)과 제1 소스 보드(311)를 연결하는 제6 감지 배선(SL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소스 보드(311)에는 제6 감지 배선(SL6)에 연결되는 제7 감지 배선(SL7)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소스 보드 케이블(421)에는 제7 감지 배선(SL7)과 제2 소스 보드(312)를 연결하는 제8 감지 배선(SL8)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소스 보드(312)에는 제8 감지 배선(SL8)과 제1 비드(331)를 연결하는 제9 감지 배선(SL9)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소스 보드(312)에는 제1 비드(331)에서 제1 소스 보드 케이블(421)로 연결되는 제4 피드백 배선(FL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비드(331)를 통해 제9 감지 배선(SL9)과 제4 피드백 배선(FL4)이 연결된다. 제1 소스 보드 케이블(421)에는 제4 피드백 배선(FL4)에 연결되는 제5 피드백 배선(FL5)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소스 보드(311)에는 제5 피드백 배선(FL5)에 연결되는 제1 피드백 배선(FL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 케이블(411)에는 제1 피드백 배선(FL1)과 제어 보드(110)를 연결하는 제2 피드백 배선(FL2)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2 피드백 배선(FL2)과 TCON(121)을 연결하는 제3 피드백 배선(FL3)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와 제3 소스 보드(313) 및 제4 소스 보드(314)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2 PMIC(132)에서 제3 연결 케이블(413)로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연결 케이블(413)에는 제1 감지 배선(SL1)과 제3 소스 보드(313)를 연결하는 제2 감지 배선(SL2)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소스 보드(313)에는 제2 감지 배선(SL2)에 연결되는 제3 감지 배선(SL3)이 형성되어 있다. 제4 연결 케이블(414)에는 제3 감지 배선(SL3)과 제어 보드(110)를 연결하는 제4 감지 배선(SL4)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4 감지 배선(SL4)에 연결되는 제5 감지 배선(SL5)이 형성되어 있다. 제4 연결 케이블(414)에는 제5 감지 배선(SL5)과 제2 소스 보드(312)를 연결하는 제6 감지 배선(SL6)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소스 보드(313)에는 제6 감지 배선(SL6)에 연결되는 제7 감지 배선(SL7)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소스 보드 케이블(422)에는 제7 감지 배선(SL7)과 제4 소스 보드(314)를 연결하는 제8 감지 배선(SL8)이 형성되어 있다. 제4 소스 보드(314)에는 제8 감지 배선(SL8)과 제2 비드(332)를 연결하는 제9 감지 배선(SL9)이 형성되어 있다. 제4 소스 보드(314)에는 제2 비드(332)에서 제2 소스 보드 케이블(422)로 연결되는 제4 피드백 배선(FL4)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비드(332)를 통해 제9 감지 배선(SL9)과 제4 피드백 배선(FL4)이 연결된다. 제2 소스 보드 케이블(422)에는 제4 피드백 배선(FL4)에 연결되는 제5 피드백 배선(FL5)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소스 보드(313)에는 제5 피드백 배선(FL5)에 연결되는 제1 피드백 배선(FL1)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연결 케이블(413)에는 제1 피드백 배선(FL1)과 제어 보드(110)를 연결하는 제2 피드백 배선(FL2)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2 피드백 배선(FL2)과 TCON(121)을 연결하는 제3 피드백 배선(FL3)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연결 케이블(413)은 제1 연결 케이블(411)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제4 연결 케이블(414)은 제2 연결 케이블(412)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제3 소스 보드(313)는 제1 소스 보드(311)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제4 소스 보드(314)는 제2 소스 보드(312)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제2 소스 보드 케이블(422)은 제1 소스 보드 케이블(421)과 동일하게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TCON(121)은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로부터 AVDD 전원 전압을 공급받는다. TCON(121)은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를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에 전달한다. 제1 PMIC(131)는 제1 연결 케이블(411)에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소정의 전압을 갖는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제2 PMIC(132)는 제3 연결 케이블(413)에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소정의 전압을 갖는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이제, 제어 보드(110), 제1 소스 보드(311), 제2 소스 보드(312), 제3 소스 보드(313) 및 제4 소스 보드(314)가 제1 연결 케이블(411), 제2 연결 케이블(412), 제3 연결 케이블(413), 제4 연결 케이블(414), 제1 소스 보드 케이블(421) 및 제2 소스 보드 케이블(422)로 정확하게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 장치가 켜지는 초기에 제1 PMIC(131)는 TCON(121)으로 AVDD 전원 전압을 출력하고, 제1 연결 케이블(411)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이때, 제2 PMIC(132)는 TCON(121)으로 AVDD 전원 전압을 출력하고, 제3 연결 케이블(413)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감지 신호(Vsense)는 감지 배선(SL1~SL9) 및 피드백 배선(FL1~FL5)을 통해 TCON(121)으로 전달된다. 제어 보드(110), 제1 소스 보드(311), 제2 소스 보드(312), 제3 소스 보드(313) 및 제4 소스 보드(314)가 정확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해진 전압의 감지 신호(Vsense)가 TCON(121)으로 입력된다. TCON(121)은 AVDD 전원 전압 및 감지 신호(Vsense)가 정해진 전압으로 입력되면 제어 보드(110), 제1 소스 보드(311), 제2 소스 보드(312), 제3 소스 보드(313) 및 제4 소스 보드(314)가 정확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온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를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에 전달한다.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는 온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EN)에 따라 정상적인 구동을 시작하고, 복수의 구동 IC(320)의 동작을 위한 구동 전압, 화소의 발광을 위한 구동 전압 등을 생성하게 된다.
만일, 제어 보드(110), 제1 소스 보드(311), 제2 소스 보드(312), 제3 소스 보드(313) 및 제4 소스 보드(314)가 미연결 또는 오삽입된 경우에는 제1 내지 제9 감지 배선(SL1~SL9), 제1 내지 제5 피드백 배선(FL1~FL5) 간에 서로 연결되지 않는 부분이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Vsense)는 TCON(121)에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TCON(121)은 감지 신호(Vsense) 및 AVDD 전원 전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입력되지 않으면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를 오프 전압으로 출력한다.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는 전원 인에이블 신호(EN)가 오프 전압으로 인가되면 구동을 중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 보드(110), 제1 소스 보드(311), 제2 소스 보드(312), 제3 소스 보드(313) 및 제4 소스 보드(314)가 미연결 또는 오삽입된 경우에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의 구동이 중지됨으로써, 구동 IC(320), 제1 PMIC(131), 제2 PMIC(132) 등에 과부하가 걸려서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의 표시 장치와의 차이점으로, 데이터 구동부가 제1 데이터 구동부(301) 및 제2 데이터 구동부(302)로 마련되고, 제1 데이터 구동부(301)는 복수의 데이터선(D1~Dm)의 일 측에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고, 제2 데이터 구동부(302)는 복수의 데이터선(D1~Dm)의 타 측에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를 인가한다. 신호 제어부(100)는 영상 데이터(DAT)를 제2 구동 제어신호(CONT2)와 함께 제1 데이터 구동부(301) 및 제2 데이터 구동부(302)에 전달한다.
제1 데이터 구동부(301) 및 제2 데이터 구동부(302)는 영상 데이터(DAT) 및 제2 구동 제어신호(CONT2)에 따라 동일하게 동작한다. 즉, 제1 데이터 구동부(301) 및 제2 데이터 구동부(302)는 동일한 데이터 신호를 복수의 데이터선(D1~Dm) 양측에서 인가한다.
이와 같이, 제1 데이터 구동부(301) 및 제2 데이터 구동부(302)가 복수의 데이터선(D1~Dm) 양측에 마련됨으로써 대형 표시 장치에서 구동 IC의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다.
다른 구성들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다른 구성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보드 및 소스 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 보드(110)에는 TCON(121),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가 장착된다. 제어 보드(110)는 PCB일 수 있다. TCON(121)은 도 6에서 설명한 신호 제어부(100)로 기능한다.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는 소정의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장치로서 복수의 구동 IC(320) 및 TCON(121)에 전원 전압을 제공한다. TCON(121),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가 장착되어 있는 제어 보드(110)를 제어 PBA라 통칭할 수 있다.
제1 소스 보드(311), 제2 소스 보드(312), 제3 소스 보드(313), 제4 소스 보드(314), 제5 소스 보드(315), 제6 소스 보드(316), 제7 소스 보드(317) 및 제8 소스 보드(318)에는 복수의 구동 IC(320)가 장착된다. 제2 소스 보드(312)에는 제1 비드(331)가 장착되고, 제4 소스 보드(314)에는 제2 비드(332)가 장착되고, 제6 소스 보드(316)에는 제3 비드(333)가 장착되고, 제8 소스 보드(318)에는 제4 비드(334)가 장착된다. 제1 소스 보드(311), 제2 소스 보드(312), 제3 소스 보드(313), 제4 소스 보드(314), 제5 소스 보드(315), 제6 소스 보드(316), 제7 소스 보드(317) 및 제8 소스 보드(318)는 PCB일 수 있다. 복수의 구동 IC(320)는 도 6에서 설명한 데이터 구동부(300)로 기능한다. 제1 비드(331), 제2 비드(332), 제3 비드(333) 및 제4 비드(334)는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제어 보드(110)와 제1 소스 보드(311)는 제1 연결 케이블(411) 및 제2 연결 케이블(412)로 연결된다. 제1 소스 보드(311)와 제2 소스 보드(312)는 제1 소스 보드 케이블(421)로 연결된다. 제어 보드(110)와 제3 소스 보드(313)는 제3 연결 케이블(413) 및 제4 연결 케이블(414)로 연결된다. 제3 소스 보드(313)와 제4 소스 보드(314)는 제2 소스 보드 케이블(422)로 연결된다. 제어 보드(110)와 제5 소스 보드(315)는 제5 연결 케이블(415) 및 제6 연결 케이블(416)로 연결된다. 제5 소스 보드(315)와 제6 소스 보드(316)는 제3 소스 보드 케이블(423)로 연결된다. 제어 보드(110)와 제7 소스 보드(317)는 제7 연결 케이블(417) 및 제8 연결 케이블(418)로 연결된다. 제7 소스 보드(317)와 제8 소스 보드(318)는 제4 소스 보드 케이블(424)로 연결된다.
제1 연결 케이블(411), 제2 연결 케이블(412), 제3 연결 케이블(413), 제4 연결 케이블(414), 제5 연결 케이블(415), 제6 연결 케이블(416), 제7 연결 케이블(417) 및 제8 연결 케이블(418)은 FFC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소스 보드 케이블(421), 제2 소스 보드 케이블(422), 제3 소스 보드 케이블(423) 및 제4 소스 보드 케이블(424)은 FPC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 보드(110)와 제1 소스 보드(311) 및 제2 소스 보드(312)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1 PMIC(131)에서 제1 연결 케이블(411)로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 케이블(411)에는 제1 감지 배선(SL1)과 제1 소스 보드(311)를 연결하는 제2 감지 배선(SL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소스 보드(311)에는 제2 감지 배선(SL2)에 연결되는 제3 감지 배선(SL3)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 케이블(412)에는 제3 감지 배선(SL3)과 제어 보드(110)를 연결하는 제4 감지 배선(SL4)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4 감지 배선(SL4)에 연결되는 제5 감지 배선(SL5)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 케이블(412)에는 제5 감지 배선(SL5)과 제1 소스 보드(311)를 연결하는 제6 감지 배선(SL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소스 보드(311)에는 제6 감지 배선(SL6)에 연결되는 제7 감지 배선(SL7)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소스 보드 케이블(421)에는 제7 감지 배선(SL7)과 제2 소스 보드(312)를 연결하는 제8 감지 배선(SL8)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소스 보드(312)에는 제8 감지 배선(SL8)과 제1 비드(331)를 연결하는 제9 감지 배선(SL9)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소스 보드(312)에는 제1 비드(331)에서 제1 소스 보드 케이블(421)로 연결되는 제4 피드백 배선(FL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비드(331)를 통해 제9 감지 배선(SL9)과 제4 피드백 배선(FL4)이 연결된다. 제1 소스 보드 케이블(421)에는 제4 피드백 배선(FL4)에 연결되는 제5 피드백 배선(FL5)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소스 보드(311)에는 제5 피드백 배선(FL5)에 연결되는 제1 피드백 배선(FL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 케이블(411)에는 제1 피드백 배선(FL1)과 제어 보드(110)를 연결하는 제2 피드백 배선(FL2)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2 피드백 배선(FL2)과 TCON(121)을 연결하는 제3 피드백 배선(FL3)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와 제3 소스 보드(313) 및 제4 소스 보드(314)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2 PMIC(132)에서 제3 연결 케이블(413)로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연결 케이블(413)에는 제1 감지 배선(SL1)과 제3 소스 보드(313)를 연결하는 제2 감지 배선(SL2)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소스 보드(313)에는 제2 감지 배선(SL2)에 연결되는 제3 감지 배선(SL3)이 형성되어 있다. 제4 연결 케이블(414)에는 제3 감지 배선(SL3)과 제어 보드(110)를 연결하는 제4 감지 배선(SL4)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4 감지 배선(SL4)에 연결되는 제5 감지 배선(SL5)이 형성되어 있다. 제4 연결 케이블(414)에는 제5 감지 배선(SL5)과 제3 소스 보드(313)를 연결하는 제6 감지 배선(SL6)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소스 보드(313)에는 제6 감지 배선(SL6)에 연결되는 제7 감지 배선(SL7)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소스 보드 케이블(422)에는 제7 감지 배선(SL7)과 제4 소스 보드(314)를 연결하는 제8 감지 배선(SL8)이 형성되어 있다. 제4 소스 보드(314)에는 제8 감지 배선(SL8)과 제2 비드(332)를 연결하는 제9 감지 배선(SL9)이 형성되어 있다. 제4 소스 보드(314)에는 제2 비드(332)에서 제2 소스 보드 케이블(422)로 연결되는 제4 피드백 배선(FL4)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비드(332)를 통해 제9 감지 배선(SL9)과 제4 피드백 배선(FL4)이 연결된다. 제2 소스 보드 케이블(422)에는 제4 피드백 배선(FL4)에 연결되는 제5 피드백 배선(FL5)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소스 보드(313)에는 제5 피드백 배선(FL5)에 연결되는 제1 피드백 배선(FL1)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연결 케이블(413)에는 제1 피드백 배선(FL1)과 제어 보드(110)를 연결하는 제2 피드백 배선(FL2)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2 피드백 배선(FL2)과 TCON(121)을 연결하는 제3 피드백 배선(FL3)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와 제5 소스 보드(315) 및 제6 소스 보드(316)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1 PMIC(131)에서 제5 연결 케이블(415)로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이 형성되어 있다. 제5 연결 케이블(415)에는 제1 감지 배선(SL1)과 제5 소스 보드(315)를 연결하는 제2 감지 배선(SL2)이 형성되어 있다. 제5 소스 보드(315)에는 제2 감지 배선(SL2)에 연결되는 제3 감지 배선(SL3)이 형성되어 있다. 제6 연결 케이블(416)에는 제3 감지 배선(SL3)과 제어 보드(110)를 연결하는 제4 감지 배선(SL4)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4 감지 배선(SL4)에 연결되는 제5 감지 배선(SL5)이 형성되어 있다. 제6 연결 케이블(416)에는 제5 감지 배선(SL5)과 제5 소스 보드(315)를 연결하는 제6 감지 배선(SL6)이 형성되어 있다. 제5 소스 보드(315)에는 제6 감지 배선(SL6)에 연결되는 제7 감지 배선(SL7)이 형성되어 있다. 제3 소스 보드 케이블(423)에는 제7 감지 배선(SL7)과 제6 소스 보드(316)를 연결하는 제8 감지 배선(SL8)이 형성되어 있다. 제6 소스 보드(316)에는 제8 감지 배선(SL8)과 제3 비드(333)를 연결하는 제9 감지 배선(SL9)이 형성되어 있다. 제6 소스 보드(316)에는 제3 비드(333)에서 제3 소스 보드 케이블(423)로 연결되는 제4 피드백 배선(FL4)이 형성되어 있다. 제3 비드(333)를 통해 제9 감지 배선(SL9)과 제4 피드백 배선(FL4)이 연결된다. 제3 소스 보드 케이블(423)에는 제4 피드백 배선(FL4)에 연결되는 제5 피드백 배선(FL5)이 형성되어 있다. 제5 소스 보드(315)에는 제5 피드백 배선(FL5)에 연결되는 제1 피드백 배선(FL1)이 형성되어 있다. 제5 연결 케이블(415)에는 제1 피드백 배선(FL1)과 제어 보드(110)를 연결하는 제2 피드백 배선(FL2)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2 피드백 배선(FL2)과 TCON(121)을 연결하는 제3 피드백 배선(FL3)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와 제7 소스 보드(317) 및 제8 소스 보드(318)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2 PMIC(132)에서 제7 연결 케이블(417)로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이 형성되어 있다. 제7 연결 케이블(417)에는 제1 감지 배선(SL1)과 제7 소스 보드(317)를 연결하는 제2 감지 배선(SL2)이 형성되어 있다. 제7 소스 보드(317)에는 제2 감지 배선(SL2)에 연결되는 제3 감지 배선(SL3)이 형성되어 있다. 제8 연결 케이블(418)에는 제3 감지 배선(SL3)과 제어 보드(110)를 연결하는 제4 감지 배선(SL4)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4 감지 배선(SL4)에 연결되는 제5 감지 배선(SL5)이 형성되어 있다. 제8 연결 케이블(418)에는 제5 감지 배선(SL5)과 제7 소스 보드(317)를 연결하는 제6 감지 배선(SL6)이 형성되어 있다. 제7 소스 보드(317)에는 제6 감지 배선(SL6)에 연결되는 제7 감지 배선(SL7)이 형성되어 있다. 제4 소스 보드 케이블(424)에는 제7 감지 배선(SL7)과 제8 소스 보드(318)를 연결하는 제8 감지 배선(SL8)이 형성되어 있다. 제8 소스 보드(318)에는 제8 감지 배선(SL8)과 제4 비드(334)를 연결하는 제9 감지 배선(SL9)이 형성되어 있다. 제8 소스 보드(318)에는 제4 비드(334)에서 제4 소스 보드 케이블(424)로 연결되는 제4 피드백 배선(FL4)이 형성되어 있다. 제4 비드(334)를 통해 제9 감지 배선(SL9)과 제4 피드백 배선(FL4)이 연결된다. 제4 소스 보드 케이블(424)에는 제4 피드백 배선(FL4)에 연결되는 제5 피드백 배선(FL5)이 형성되어 있다. 제7 소스 보드(317)에는 제5 피드백 배선(FL5)에 연결되는 제1 피드백 배선(FL1)이 형성되어 있다. 제7 연결 케이블(417)에는 제1 피드백 배선(FL1)과 제어 보드(110)를 연결하는 제2 피드백 배선(FL2)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2 피드백 배선(FL2)과 TCON(121)을 연결하는 제3 피드백 배선(FL3)이 형성되어 있다.
제5 연결 케이블(415)은 제1 연결 케이블(411)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제6 연결 케이블(416)은 제2 연결 케이블(412)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제5 소스 보드(315)는 제1 소스 보드(311)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제6 소스 보드(316)는 제2 소스 보드(312)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제3 소스 보드 케이블(423)은 제1 소스 보드 케이블(421)과 동일하게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제7 연결 케이블(417)은 제1 연결 케이블(411)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제8 연결 케이블(418)은 제2 연결 케이블(412)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제7 소스 보드(317)는 제1 소스 보드(311)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제8 소스 보드(318)는 제2 소스 보드(312)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제4 소스 보드 케이블(424)은 제1 소스 보드 케이블(421)과 동일하게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TCON(121)은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로부터 AVDD 전원 전압을 공급받는다. TCON(121)은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를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에 전달한다. 제1 PMIC(131)는 제1 연결 케이블(411)에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 및 제5 연결 케이블(415)에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소정의 전압을 갖는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제2 PMIC(132)는 제3 연결 케이블(413)에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 및 제7 연결 케이블(417)에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소정의 전압을 갖는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이제, 제1 소스 보드(311), 제2 소스 보드(312), 제3 소스 보드(313), 제4 소스 보드(314), 제5 소스 보드(315), 제6 소스 보드(316), 제7 소스 보드(317) 및 제8 소스 보드(318)가 제1 연결 케이블(411), 제2 연결 케이블(412), 제3 연결 케이블(413), 제4 연결 케이블(414), 제5 연결 케이블(415), 제6 연결 케이블(416), 제7 연결 케이블(417), 제8 연결 케이블(418), 제1 소스 보드 케이블(421), 제2 소스 보드 케이블(422), 제3 소스 보드 케이블(423) 및 제4 소스 보드 케이블(424)로 정확하게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 장치가 켜지는 초기에 제1 PMIC(131)는 TCON(121)으로 AVDD 전원 전압을 출력하고, 제1 연결 케이블(411)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감지 배선(SL1) 및 제5 연결 케이블(415)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이때, 제2 PMIC(132)는 TCON(121)으로 AVDD 전원 전압을 출력하고, 제3 연결 케이블(413)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감지 배선(SL1) 및 제7 연결 케이블(417)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감지 신호(Vsense)는 감지 배선(SL1~SL9) 및 피드백 배선(FL1~FL5)을 통해 TCON(121)으로 전달된다. 제1 소스 보드(311), 제2 소스 보드(312), 제3 소스 보드(313), 제4 소스 보드(314), 제5 소스 보드(315), 제6 소스 보드(316), 제7 소스 보드(317) 및 제8 소스 보드(318)가 정확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해진 전압의 감지 신호(Vsense)가 TCON(121)으로 입력된다. TCON(121)은 AVDD 전원 전압 및 감지 신호(Vsense)가 정해진 전압으로 입력되면 제1 소스 보드(311), 제2 소스 보드(312), 제3 소스 보드(313), 제4 소스 보드(314), 제5 소스 보드(315), 제6 소스 보드(316), 제7 소스 보드(317) 및 제8 소스 보드(318)가 정확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온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를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에 전달한다.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는 온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EN)에 따라 정상적인 구동을 시작하고, 복수의 구동 IC(320)의 동작을 위한 구동 전압, 화소의 발광을 위한 구동 전압 등을 생성하게 된다.
만일, 제1 소스 보드(311), 제2 소스 보드(312), 제3 소스 보드(313), 제4 소스 보드(314), 제5 소스 보드(315), 제6 소스 보드(316), 제7 소스 보드(317) 및 제8 소스 보드(318)가 미연결 또는 오삽입된 경우에는 제1 내지 제9 감지 배선(SL1~SL9), 제1 내지 제5 피드백 배선(FL1~FL5) 간에 서로 연결되지 않는 부분이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Vsense)는 TCON(121)에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TCON(121)은 감지 신호(Vsense) 및 AVDD 전원 전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입력되지 않으면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를 오프 전압으로 출력한다.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는 전원 인에이블 신호(EN)가 오프 전압으로 인가되면 구동을 중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소스 보드(311), 제2 소스 보드(312), 제3 소스 보드(313), 제4 소스 보드(314), 제5 소스 보드(315), 제6 소스 보드(316), 제7 소스 보드(317) 및 제8 소스 보드(318)가 미연결 또는 오삽입된 경우에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의 구동이 중지됨으로써, 구동 IC(320), 제1 PMIC(131), 제2 PMIC(132) 등에 과부하가 걸려서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보드 및 소스 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 보드(110)에는 TCON(121), 제1 PMIC(131), 제2 PMIC(132), 제3 PMIC(133) 및 제4 PMIC(134)가 장착된다. 제어 보드(110)는 PCB일 수 있다. TCON(121)은 도 6에서 설명한 신호 제어부(100)로 기능한다. 제1 PMIC(131), 제2 PMIC(132), 제3 PMIC(133) 및 제4 PMIC(134)는 소정의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장치로서 복수의 구동 IC(320) 및 TCON(121)에 전원 전압을 제공한다. TCON(121), 제1 PMIC(131), 제2 PMIC(132), 제3 PMIC(133) 및 제4 PMIC(134)가 장착되어 있는 제어 보드(110)를 제어 PBA라 통칭할 수 있다.
제1 소스 보드(311), 제2 소스 보드(312), 제3 소스 보드(313), 제4 소스 보드(314), 제5 소스 보드(315), 제6 소스 보드(316), 제7 소스 보드(317) 및 제8 소스 보드(318), 제1 연결 케이블(411), 제2 연결 케이블(412), 제3 연결 케이블(413), 제4 연결 케이블(414), 제5 연결 케이블(415), 제6 연결 케이블(416), 제7 연결 케이블(417) 및 제8 연결 케이블(418)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 보드(110)와 제1 소스 보드(311) 및 제2 소스 보드(312)의 연결 구조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어 보드(110)와 제3 소스 보드(313) 및 제2 소스 보드(314)의 연결 구조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 보드(110)와 제5 소스 보드(315) 및 제6 소스 보드(316)의 연결 구조에서, 제어 보드(110)에는 제3 PMIC(133)에서 제5 연결 케이블(415)로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외의 구조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 보드(110)와 제7 소스 보드(317) 및 제8 소스 보드(318)의 연결 구조에서, 제어 보드(110)에는 제4 PMIC(134)에서 제7 연결 케이블(417)로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외의 구조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CON(121)은 제1 PMIC(131), 제2 PMIC(132), 제3 PMIC(133) 및 제4 PMIC(134)로부터 AVDD 전원 전압을 공급받는다. TCON(121)은 제1 PMIC(131), 제2 PMIC(132), 제3 PMIC(133) 및 제4 PMIC(134)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를 제1 PMIC(131), 제2 PMIC(132), 제3 PMIC(133) 및 제4 PMIC(134)에 전달한다. 제1 PMIC(131)는 제1 연결 케이블(411)에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소정의 전압을 갖는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제2 PMIC(132)는 제3 연결 케이블(413)에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소정의 전압을 갖는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제3 PMIC(133)는 제5 연결 케이블(415)에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소정의 전압을 갖는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제4 PMIC(134)는 제7 연결 케이블(417)에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소정의 전압을 갖는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표시 장치가 켜지는 초기에 제1 PMIC(131)는 TCON(121)으로 AVDD 전원 전압을 출력하고, 제1 연결 케이블(411)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제2 PMIC(132)는 TCON(121)으로 AVDD 전원 전압을 출력하고, 제3 연결 케이블(413)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제3 PMIC(133)는 TCON(121)으로 AVDD 전원 전압을 출력하고, 제5 연결 케이블(415)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제4 PMIC(134)는 TCON(121)으로 AVDD 전원 전압을 출력하고, 제7 연결 케이블(417)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감지 신호(Vsense)는 감지 배선(SL1~SL9) 및 피드백 배선(FL1~FL5)을 통해 TCON(121)으로 전달된다. 제1 소스 보드(311), 제2 소스 보드(312), 제3 소스 보드(313), 제4 소스 보드(314), 제5 소스 보드(315), 제6 소스 보드(316), 제7 소스 보드(317) 및 제8 소스 보드(318)가 정확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해진 전압의 감지 신호(Vsense)가 TCON(121)으로 입력된다. TCON(121)은 AVDD 전원 전압 및 감지 신호(Vsense)가 정해진 전압으로 입력되면 제1 소스 보드(311), 제2 소스 보드(312), 제3 소스 보드(313), 제4 소스 보드(314), 제5 소스 보드(315), 제6 소스 보드(316), 제7 소스 보드(317) 및 제8 소스 보드(318)가 정확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온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를 제1 PMIC(131), 제2 PMIC(132), 제3 PMIC(133) 및 제4 PMIC(134)에 전달한다. 제1 PMIC(131), 제2 PMIC(132), 제3 PMIC(133) 및 제4 PMIC(134)는 온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EN)에 따라 정상적인 구동을 시작하고, 복수의 구동 IC(320)의 동작을 위한 구동 전압, 화소의 발광을 위한 구동 전압 등을 생성하게 된다.
만일, 제1 소스 보드(311), 제2 소스 보드(312), 제3 소스 보드(313), 제4 소스 보드(314), 제5 소스 보드(315), 제6 소스 보드(316), 제7 소스 보드(317) 및 제8 소스 보드(318)가 미연결 또는 오삽입된 경우에는 제1 내지 제9 감지 배선(SL1~SL9), 제1 내지 제5 피드백 배선(FL1~FL5) 간에 서로 연결되지 않는 부분이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PMIC(131), 제2 PMIC(132), 제3 PMIC(133) 및 제4 PMIC(134)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Vsense)는 TCON(121)에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TCON(121)은 감지 신호(Vsense) 및 AVDD 전원 전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입력되지 않으면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를 오프 전압으로 출력한다. 제1 PMIC(131), 제2 PMIC(132), 제3 PMIC(133) 및 제4 PMIC(134)는 전원 인에이블 신호(EN)가 오프 전압으로 인가되면 구동을 중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소스 보드(311), 제2 소스 보드(312), 제3 소스 보드(313), 제4 소스 보드(314), 제5 소스 보드(315), 제6 소스 보드(316), 제7 소스 보드(317) 및 제8 소스 보드(318)가 미연결 또는 오삽입된 경우에 제1 PMIC(131), 제2 PMIC(132), 제3 PMIC(133) 및 제4 PMIC(134)의 구동이 중지됨으로써, 구동 IC(320), 제1 PMIC(131), 제2 PMIC(132), 제3 PMIC(133), 제4 PMIC(134) 등에 과부하가 걸려서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보드 및 소스 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 보드(110)에는 제1 TCON(121), 제2 TCON(122), 제1 PMIC(131), 제2 PMIC(132), 제3 PMIC(133) 및 제4 PMIC(134)가 장착된다. 제어 보드(110)는 PCB일 수 있다. 제1 TCON(121) 및 제2 TCON(122)은 도 6에서 설명한 신호 제어부(100)로 기능한다. 제1 PMIC(131), 제2 PMIC(132), 제3 PMIC(133) 및 제4 PMIC(134)는 소정의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장치로서 복수의 구동 IC(320) 및 TCON(121)에 전원 전압을 제공한다. 제1 TCON(121), 제2 TCON(122), 제1 PMIC(131), 제2 PMIC(132), 제3 PMIC(133) 및 제4 PMIC(134)가 장착되어 있는 제어 보드(110)를 제어 PBA라 통칭할 수 있다.
제1 소스 보드(311), 제2 소스 보드(312), 제3 소스 보드(313), 제4 소스 보드(314), 제5 소스 보드(315), 제6 소스 보드(316), 제7 소스 보드(317) 및 제8 소스 보드(318), 제1 연결 케이블(411), 제2 연결 케이블(412), 제3 연결 케이블(413), 제4 연결 케이블(414), 제5 연결 케이블(415), 제6 연결 케이블(416), 제7 연결 케이블(417) 및 제8 연결 케이블(418)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 보드(110)와 제1 소스 보드(311) 및 제2 소스 보드(312)의 연결 구조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제어 보드(110)와 제3 소스 보드(313) 및 제2 소스 보드(314)의 연결 구조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 보드(110)와 제5 소스 보드(315) 및 제6 소스 보드(316)의 연결 구조에서, 제어 보드(110)에는 제3 PMIC(133)에서 제5 연결 케이블(415)로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외의 구조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 보드(110)와 제7 소스 보드(317) 및 제8 소스 보드(318)의 연결 구조에서, 제어 보드(110)에는 제4 PMIC(134)에서 제7 연결 케이블(417)로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외의 구조는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TCON(121)은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로부터 AVDD 전원 전압을 공급받는다. 제1 TCON(121)은 제1 PMIC(131), 제2 PMIC(132), 제3 PMIC(133) 및 제4 PMIC(134)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를 생성한다. 제2 TCON(122)은 제3 PMIC(133) 및 제4 PMIC(134)로부터 AVDD 전원 전압을 공급받는다. 제2 TCON(122)은 제1 PMIC(131), 제2 PMIC(132), 제3 PMIC(133) 및 제4 PMIC(134)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를 생성한다.
제1 PMIC(131)는 제1 연결 케이블(411)에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소정의 전압을 갖는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제2 PMIC(132)는 제3 연결 케이블(413)에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소정의 전압을 갖는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제3 PMIC(133)는 제5 연결 케이블(415)에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소정의 전압을 갖는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제4 PMIC(134)는 제7 연결 케이블(417)에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소정의 전압을 갖는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표시 장치가 켜지는 초기에 제1 PMIC(131)는 제1 TCON(121)으로 AVDD 전원 전압을 출력하고, 제1 연결 케이블(411)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제2 PMIC(132)는 제1 TCON(121)으로 AVDD 전원 전압을 출력하고, 제3 연결 케이블(413)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제3 PMIC(133)는 제2 TCON(122)으로 AVDD 전원 전압을 출력하고, 제5 연결 케이블(415)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제4 PMIC(134)는 제2 TCON(122)으로 AVDD 전원 전압을 출력하고, 제7 연결 케이블(417)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감지 신호(Vsense)는 감지 배선(SL1~SL9) 및 피드백 배선(FL1~FL5)을 통해 TCON(121)으로 전달된다. 제1 소스 보드(311), 제2 소스 보드(312), 제3 소스 보드(313), 제4 소스 보드(314), 제5 소스 보드(315), 제6 소스 보드(316), 제7 소스 보드(317) 및 제8 소스 보드(318)가 정확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해진 전압의 감지 신호(Vsense)가 제1 TCON(121) 및 제2 TCON(122)으로 입력된다. 제1 TCON(121)은 AVDD 전원 전압 및 감지 신호(Vsense)가 정해진 전압으로 입력되면 제1 소스 보드(311), 제2 소스 보드(312), 제3 소스 보드(313) 및 제4 소스 보드(314)가 정확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온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를 제1 PMIC(131), 제2 PMIC(132), 제3 PMIC(133) 및 제4 PMIC(134)에 전달한다. 제2 TCON(122)은 AVDD 전원 전압 및 감지 신호(Vsense)가 정해진 전압으로 입력되면 제5 소스 보드(315), 제6 소스 보드(316), 제7 소스 보드(317) 및 제8 소스 보드(318)가 정확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온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를 제1 PMIC(131), 제2 PMIC(132), 제3 PMIC(133) 및 제4 PMIC(134)에 전달한다. 제1 PMIC(131), 제2 PMIC(132), 제3 PMIC(133) 및 제4 PMIC(134)는 제1 TCON(121) 및 제2 TCON(122)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 인에이블 신호(EN)가 모두 온 전압으로 입력될 때 정상적인 구동을 시작하고, 복수의 구동 IC(320)의 동작을 위한 구동 전압, 화소의 발광을 위한 구동 전압 등을 생성하게 된다.
만일, 제1 소스 보드(311), 제2 소스 보드(312), 제3 소스 보드(313), 제4 소스 보드(314), 제5 소스 보드(315), 제6 소스 보드(316), 제7 소스 보드(317) 및 제8 소스 보드(318)가 미연결 또는 오삽입된 경우에는 제1 내지 제9 감지 배선(SL1~SL9), 제1 내지 제5 피드백 배선(FL1~FL5) 간에 서로 연결되지 않는 부분이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Vsense)는 제1 TCON(121)에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거나, 제3 PMIC(133) 및 제4 PMIC(134)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Vsense)는 제2 TCON(122)에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제1 TCON(121) 및 제2 TCON(122)은 감지 신호(Vsense) 및 AVDD 전원 전압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정상적으로 입력되지 않으면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를 오프 전압으로 출력한다. 제1 PMIC(131), 제2 PMIC(132), 제3 PMIC(133) 및 제4 PMIC(134)는 제1 TCON(121)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 인에이블 신호(EN) 및 제2 TCON(122)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 인에이블 신호(EN)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오프 전압으로 인가되면 구동을 중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소스 보드(311), 제2 소스 보드(312), 제3 소스 보드(313), 제4 소스 보드(314), 제5 소스 보드(315), 제6 소스 보드(316), 제7 소스 보드(317) 및 제8 소스 보드(318)가 미연결 또는 오삽입된 경우에 제1 PMIC(131), 제2 PMIC(132), 제3 PMIC(133) 및 제4 PMIC(134)의 구동이 중지됨으로써, 구동 IC(320), 제1 PMIC(131), 제2 PMIC(132), 제3 PMIC(133), 제4 PMIC(134) 등에 과부하가 걸려서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보드 및 소스 보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 보드(110)에는 TCON(121),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가 장착된다. 제어 보드(110)는 PCB일 수 있다. TCON(121)은 도 1에서 설명한 신호 제어부(100)로 기능한다.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는 소정의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장치로서 복수의 구동 IC(320) 및 TCON(121)에 전원 전압을 제공한다. TCON(121), 제1 PMIC(131) 및 제2 PMIC(131)가 장착되어 있는 제어 보드(110)를 제어 PBA라 통칭할 수 있다.
제1 소스 보드(311) 및 제2 소스 보드(312)에는 복수의 구동 IC(320)가 장착된다. 제1 소스 보드(311)에는 제1 비드(331)가 장착되고, 제2 소스 보드(312)에는 제2 비드(332)가 장착된다. 제1 소스 보드(311) 및 제2 소스 보드(312)는 PCB일 수 있다. 복수의 구동 IC(320)는 도 1에서 설명한 데이터 구동부(300)로 기능한다. 제1 비드(331) 및 제2 비드(332)는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제어 보드(110)와 제1 소스 보드(311)는 제1 연결 케이블(411)로 연결된다. 제어 보드(110)와 제2 소스 보드(312)는 제2 연결 케이블(412)로 연결된다.
제1 연결 케이블(411) 및 제2 연결 케이블(412)은 FFC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1 PMIC(131)에서 제1 연결 케이블(411)로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연결 케이블(411)에는 제1 감지 배선(SL1)과 제1 소스 보드(311)를 연결하는 제2 감지 배선(SL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소스 보드(311)에는 제2 감지 배선(SL2) 및 제1 비드(331)에 연결되는 제3 감지 배선(SL3)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소스 보드(311)에는 제1 비드(331)에서 제1 연결 케이블(411)로 연결되는 제1 피드백 배선(FL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비드(331)를 통해 제3 감지 배선(SL3)과 제1 피드백 배선(FL1)이 연결된다. 제1 연결 케이블(411)에는 제1 피드백 배선(FL1)과 제어 보드(110)를 연결하는 제2 피드백 배선(FL2)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2 피드백 배선(FL2)과 제2 연결 케이블(412)을 연결하는 제3 피드백 배선(FL3)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연결 케이블(412)에는 제3 피드백 배선(FL3)과 제2 소스 보드(312)를 연결하는 제2 감지 배선(SL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소스 보드(312)에는 제2 감지 배선(SL2) 및 제2 비드(332)에 연결되는 제3 감지 배선(SL3)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소스 보드(312)에는 제2 비드(332)에서 제2 연결 케이블(412)로 연결되는 제1 피드백 배선(FL1)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비드(332)를 통해 제3 감지 배선(SL3)과 제1 피드백 배선(FL1)이 연결된다. 제2 연결 케이블(412)에는 제1 피드백 배선(FL1)과 제어 보드(110)를 연결하는 제2 피드백 배선(FL2)이 형성되어 있다. 제어 보드(110)에는 제2 피드백 배선(FL2)과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를 연결하는 제3 피드백 배선(FL3)이 형성되어 있다.
TCON(121)은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로부터 AVDD 전원 전압을 공급받는다. TCON(121)은 제1 PMIC(131)는 제1 연결 케이블(411)에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소정의 전압을 갖는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는 감지 신호(Vsense)가 복수의 감지 배선(SL1~SL3) 및 복수의 피드백 배선(FL1~FL3)을 통해 피드백되는 전원 인에이블 신호(EN)을 수신하여 동작한다.
이제, 제어 보드(110), 제1 소스 보드(311) 및 제2 소스 보드(312)가 제1 연결 케이블(411) 및 제2 연결 케이블(412)로 정확하게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 장치가 켜지는 초기에 제1 PMIC(131)는 TCON(121)으로 AVDD 전원 전압을 출력하고, 제2 PMIC(132)는 TCON(121)으로 AVDD 전원 전압을 출력한다. TCON(121)은 제1 연결 케이블(411)에 연결되어 있는 제1 감지 배선(SL1)으로 감지 신호(Vsense)를 출력한다. 감지 신호(Vsense)는 감지 배선(SL1~SL3), 피드백 배선(FL1~FL3), 감지 배선(SL2, SL3) 및 피드백 배선(FL1~FL3)을 통해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로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로서 전달된다. 제어 보드(110), 제1 소스 보드(311) 및 제2 소스 보드(312)가 정확하게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해진 전압의 감지 신호(Vsense)가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로서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에 입력된다.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는 감지 신호(Vsense)가 정해진 전압, 즉 온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EN)로 입력되면 정상적인 구동을 시작하고, 복수의 구동 IC(320)의 동작을 위한 구동 전압, 화소의 발광을 위한 구동 전압 등을 생성하게 된다.
만일, 제어 보드(110), 제1 소스 보드(131) 및 제2 소스 보드(312)가 미연결 또는 오삽입된 경우에는 감지 배선(SL1~SL3), 피드백 배선(FL1~FL3), 감지 배선(SL2, SL3) 및 피드백 배선(FL1~FL3) 간에 서로 연결되지 않는 부분이 생기게 된다. 이에 따라, TCON(121)에서 출력되는 감지 신호(Vsense)는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에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는 오프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EN)가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에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는 전원 인에이블 신호(EN)가 오프 전압으로 인가되면 구동을 중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 보드(110), 제1 소스 보드(311) 및 제2 소스 보드(312)가 미연결 또는 오삽입된 경우에 제1 PMIC(131) 및 제2 PMIC(132)의 구동이 중지됨으로써, 구동 IC(320), 제1 PMIC(131), 제2 PMIC(132) 등에 과부하가 걸려서 고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신호 제어부
200 : 주사 구동부
300 : 데이터 구동부
400 : 표시부
110 : 제어 보드
121, 122 : TCON
131, 132, 133, 134 : PMIC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 : 소스 보드
320 : 구동 IC
331, 332, 333, 334 : 비드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 연결 케이블
421, 422, 423, 424 : 소스 보드 케이블

Claims (20)

  1. TCON(Timing Controller) 및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가 장착되어 있는 제어 보드;
    구동 IC(Integrated Circuit)가 장착되어 있는 제1 소스 보드; 및
    상기 제어 보드와 상기 제1 소스 보드를 연결하는 제1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보드에는 상기 PMIC에서 상기 제1 연결 케이블로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 및 상기 제1 연결 케이블에서 상기 TCON으로 연결되는 제3 피드백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연결 케이블에는 상기 제1 감지 배선과 상기 제1 소스 보드를 연결하는 제2 감지 배선 및 상기 제3 피드백 배선과 상기 제1 소스 보드를 연결하는 제2 피드백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소스 보드에는 상기 제2 감지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3 감지 배선 및 상기 제2 피드백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피드백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PMIC는 상기 제1 감지 배선에 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TCON은 상기 제3 피드백 배선으로 입력되는 신호로 상기 제어 보드 및 상기 제1 소스 보드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는 표시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TCON은 상기 제3 피드백 배선으로 입력되는 신호가 정해진 전압으로 입력되면 상기 PMIC에 온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를 전달하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TCON은 상기 제3 피드백 배선으로 입력되는 신호가 정해진 전압으로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PMIC에 오프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를 전달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PMIC는 상기 오프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가 입력되면 구동을 중지하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보드와 상기 제1 소스 보드를 연결하는 제2 연결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 케이블에 상기 제3 감지 배선과 상기 제어 보드를 연결하는 제4 감지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 보드에 상기 제4 감지 배선에 연결되는 제5 감지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연결 케이블에 상기 제5 감지 배선과 상기 제1 소스 보드를 연결하는 제6 감지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소스 보드에 상기 제6 감지 배선에 연결되는 제7 감지 배선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 보드에는 비드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7 감지 배선 및 상기 제1 피드백 배선은 상기 비드를 통해 연결되는 표시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3 연결 케이블;
    상기 제어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4 연결 케이블; 및
    상기 제3 연결 케이블 및 상기 제4 연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어 보드와 연결되는 제2 소스 보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결 케이블은 상기 제1 연결 케이블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4 연결 케이블은 상기 제2 연결 케이블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소스 보드는 상기 제1 소스 보드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표시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스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소스 보드 케이블; 및
    상기 제1 소스 보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1 소스 보드와 연결되는 제2 소스 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소스 보드 케이블에는 상기 제7 감지 배선과 상기 제2 소스 보드를 연결하는 제8 감지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소스 보드에는 상기 제8 감지 배선에 연결되는 제9 감지 배선 및 상기 제9 감지 배선에 연결되는 제4 피드백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소스 보드 케이블에는 상기 제4 피드백 배선과 상기 제1 피드백 배선을 연결하는 제5 피드백 배선이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3 연결 케이블;
    상기 제어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4 연결 케이블;
    상기 제3 연결 케이블 및 상기 제4 연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어 보드와 연결되는 제3 소스 보드;
    상기 제3 소스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소스 보드 케이블; 및
    상기 제2 소스 보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3 소스 보드와 연결되는 제4 소스 보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연결 케이블은 상기 제1 연결 케이블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4 연결 케이블은 상기 제2 연결 케이블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3 소스 보드는 상기 제1 소스 보드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4 소스 보드는 상기 제2 소스 보드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소스 보드 케이블은 상기 제1 소스 보드 케이블과 동일하게 구성되는 표시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5 연결 케이블;
    상기 제어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6 연결 케이블;
    상기 제5 연결 케이블 및 상기 제6 연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어 보드와 연결되는 제5 소스 보드;
    상기 제5 소스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3 소스 보드 케이블;
    상기 제3 소스 보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5 소스 보드와 연결되는 제6 소스 보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연결 케이블은 상기 제1 연결 케이블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6 연결 케이블은 상기 제2 연결 케이블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5 소스 보드는 상기 제1 소스 보드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6 소스 보드는 상기 제2 소스 보드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3 소스 보드 케이블은 상기 제1 소스 보드 케이블과 동일하게 구성되는 표시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7 연결 케이블;
    상기 제어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8 연결 케이블;
    상기 제7 연결 케이블 및 상기 제8 연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어 보드와 연결되는 제7 소스 보드;
    상기 제7 소스 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제4 소스 보드 케이블;
    상기 제4 소스 보드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제7 소스 보드와 연결되는 제8 소스 보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7 연결 케이블은 상기 제1 연결 케이블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8 연결 케이블은 상기 제2 연결 케이블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7 소스 보드는 상기 제1 소스 보드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8 소스 보드는 상기 제2 소스 보드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4 소스 보드 케이블은 상기 제1 소스 보드 케이블과 동일하게 구성되는 표시 장치.
  17. TCON(Timing Controller) 및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가 장착되어 있는 제어 보드;
    구동 IC(Integrated Circuit)가 장착되어 있는 제1 소스 보드; 및
    상기 제어 보드와 상기 제1 소스 보드를 연결하는 제1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보드에는 상기 TCON에서 상기 제1 연결 케이블로 연결되는 제1 감지 배선 및 상기 제1 연결 케이블에서 상기 PMIC로 연결되는 제3 피드백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연결 케이블에는 상기 제1 감지 배선과 상기 제1 소스 보드를 연결하는 제2 감지 배선 및 상기 제3 피드백 배선과 상기 제1 소스 보드를 연결하는 제2 피드백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소스 보드에는 상기 제2 감지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3 감지 배선 및 상기 제2 피드백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피드백 배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TCON은 상기 제1 감지 배선에 감지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PMIC는 상기 감지 신호가 상기 제1 내지 제3 감지 배선 및 상기 제1 내지 제3 피드백 배선을 통해 피드백되는 전원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하는 표시 장치.
  18. PMIC에서 TCON으로 전원 전압이 출력되는 단계;
    상기 PMIC에서 제어 보드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감지 배선으로 감지 신호가 출력되는 단계;
    상기 제어 보드와 소스 보드를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에 형성되어 있는 제2 감지 배선으로 상기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
    상기 소스 보드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감지 배선에 연결되는 제3 감지 배선에 상기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
    상기 소스 보드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피드백 배선에 상기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
    상기 연결 케이블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피드백 배선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피드백 배선에 상기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
    상기 제어 보드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피드백 배선과 상기 TCON을 연결하는 제3 피드백 배선에 상기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 및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TCON에서 상기 PMIC에 전원 인에이블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TCON에서 상기 PMIC에 전원 인에이블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는,
    상기 TCON에 상기 감지 신호가 미리 정해진 전압으로 인가되면 상기 제어 보드와 상기 소스 보드가 정확하게 연결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PMIC에 온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TCON에서 상기 PMIC에 전원 인에이블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는,
    상기 TCON에 상기 감지 신호가 미리 정해진 전압으로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 보드와 상기 소스 보드가 정확하게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PMIC에 오프 전압의 전원 인에이블 신호가 전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130099934A 2013-08-22 2013-08-22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106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934A KR102106005B1 (ko) 2013-08-22 2013-08-22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4/170,882 US9466238B2 (en) 2013-08-22 2014-02-03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934A KR102106005B1 (ko) 2013-08-22 2013-08-22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295A KR20150022295A (ko) 2015-03-04
KR102106005B1 true KR102106005B1 (ko) 2020-05-04

Family

ID=5247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934A KR102106005B1 (ko) 2013-08-22 2013-08-22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466238B2 (ko)
KR (1) KR1021060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737B1 (ko) 2015-10-13 2022-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의 내부 레지스터를 관리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테스트 장치의 작동 방법
KR102452518B1 (ko) 2015-12-09 2022-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공급부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458645B1 (ko) * 2015-12-28 2022-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2450857B1 (ko) * 2015-12-31 2022-10-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콘트롤러 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KR102617195B1 (ko) 2016-05-09 2023-1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07597B1 (ko) 2016-05-27 2023-03-08 티씨엘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표시 장치
CN108288459B (zh) * 2018-04-24 2019-09-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的驱动系统及驱动方法与显示装置
CN111583881B (zh) * 2020-05-18 2021-09-24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时序控制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1116B2 (en) 2003-01-31 2009-07-14 Microsoft Corporation Multiple display monitor
KR100977218B1 (ko) * 2003-10-20 2010-08-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6032155A (ja) 2004-07-16 2006-02-02 Smk Corp コネクタ
KR20070072138A (ko) 2005-12-30 2007-07-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fc빠짐 방지 구조 액정표시모듈
JP2008066245A (ja) 2006-09-11 2008-03-21 Molex Inc 中継コネクタ
KR100874639B1 (ko) * 2007-03-16 2008-1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4750780B2 (ja) 2007-03-16 2011-08-17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液晶表示装置
JP2008304363A (ja) 2007-06-08 2008-12-18 Canon Inc ケーブル接続検知装置
JP4837631B2 (ja) 2007-07-19 2011-12-14 ティー・エス・ビー株式会社 電気接続部品
KR101286541B1 (ko) * 2008-05-19 2013-07-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587428B1 (ko) * 2009-09-01 2016-02-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패널 검사장치 및 방법
KR101613734B1 (ko) * 2009-12-18 2016-04-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8537099B2 (en) * 2010-09-08 2013-09-17 Synaptics Incorporated Dynamic voltage supply for LCD timing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54801A1 (en) 2015-02-26
US9466238B2 (en) 2016-10-11
KR20150022295A (ko)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6005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10453406B2 (en) Display device, driving controller, and driving method
US987567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inspecting the same
US20180061304A1 (en) Driving circu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2581299B1 (ko) 표시장치 및 파워 모니터링 회로
CN106448528A (zh) 栅极保护电路及包括其的显示装置
CN113345353A (zh) 包括裂纹检测器的显示驱动电路和包括显示驱动电路的显示设备
CN114497163A (zh) 显示面板
KR102380458B1 (ko) 표시장치
KR102268461B1 (ko) 표시장치 및 타이밍 컨트롤러
KR102467364B1 (ko) 표시 장치
US10121412B2 (en) Display device and timing controller
KR102448353B1 (ko) 표시 장치
KR102448543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패드 정렬 검사 방법
KR102566647B1 (ko) 표시장치 및 컨트롤러
KR102276248B1 (ko) 표시 장치 및 그 보호방법
KR20170026955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445432B1 (ko) 체결 불량 확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607405B1 (ko) 발광 표시장치
KR20170068812A (ko) 쓰기 방지 회로,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이들의 구동 방법
KR20210031587A (ko)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563520B1 (ko) 표시장치, 표시패널 및 검사시스템
KR102419655B1 (ko) 전원 공급부와 그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4639349B (zh) 显示控制模组和显示装置
US20090267875A1 (en) Auto-addressing method for series circuit and auto-detecting method for detecting the number of circuits connected in se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