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531B1 -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531B1
KR102105531B1 KR1020130032264A KR20130032264A KR102105531B1 KR 102105531 B1 KR102105531 B1 KR 102105531B1 KR 1020130032264 A KR1020130032264 A KR 1020130032264A KR 20130032264 A KR20130032264 A KR 20130032264A KR 102105531 B1 KR102105531 B1 KR 102105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nzyme
extract
tanaka
tr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7168A (ko
Inventor
홍용덕
남미희
신송석
박영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30032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531B1/ko
Priority to PCT/KR2014/002491 priority patent/WO2014157910A1/ko
Publication of KR20140117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명세서에는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의 항노화, 항산화 및 피부 미백 등의 용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ENZYMATED THANAKHA EXTRACT}
본 명세서는 신규한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 그 추출물의 신규한 용도, 그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노화에 활성산소(ROS: Reactive oxygen species)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수많은 연구에 의해 잘 알려진 사실이다. 노화의 활성산소설은 1956년 Harman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정상적인 대사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생성되는 여러 가지 활성산소들에 의하여 생체구성 성분들이 산화적 손상을 받게 되고 이러한 손상들이 축적되어 노화와 죽음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다. 활성 산소들에 의한 손상들은 생체가 가지고 있는 방어능력으로 대처되고 있지만, 방어가 100% 완전치 못하므로 일부의 활성산소에 의한 유해작용을 받게 된다. 이 유해작용은 천천히, 경우에 따라서 수년 내지는 일생을 통하여 만성적으로 일어나 누적되어 피부의 세포나 조직의 기능을 저하시키고, 이것이 곧 질병 및 노화의 원인이 된다.
또한, 자외선에 의한 노화 현상을 광노화라고 하며, 이러한 광노화 현상은 자외선에 의하여 세포 내부에 활성 산소 라디칼(ROR: Reactive Oxygen Radical)이 생성되고, 이 활성 산소는 염증성 반응을 일으키는 신호전달 체계를 통하여 진피층의 탄력 섬유인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단백질 분해 효소(MMP-1, MMP-3 및 MMP-9 등)의 합성을 촉진하여(Fisher G.J. 등., Nature, Vol. 379, 335∼339) 진피층의 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 주름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피부 노화 현상을 방지하고 보다 건강하고 탄력있는 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생리활성물질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활동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1995년 광노화된 피부의 개선을 위한 치료제로 트레티노인(trans-retinoic acid)이 미국 FDA 허가를 받았으며, 이보다 부작용이 적은 레티놀이 1990년대 중, 후반부터 화장품 원료에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주름 개선 화장품이 출시되기 시작하였다. 그 이후로 여성 호르몬 유사 물질, 각종 식물에서 추출한 항산화제 등이 주름 개선 원료로서 화장품에 도입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화장품 원료들은 대부분 효능이 미진하거나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효능이 좋은 원료라고 하더라도 현재의 화장품 원료들은 피부에 작용하는 범위가 제한적이고, 대부분 콜라겐 합성 촉진, 콜라겐 분해 억제, 활성산소 제거와 같이 피부에 미치는 효능이 유사하여 보다 새롭고 보다 강력하며 보다 근본적인 주름 개선을 원하는 고객들의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킬 수 없었다. 이에, 최신피부 과학 이론에 기반하여 새로운 피부 노화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를 차단하거나 늦출 수 있는 원료와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화장품 산업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1-0104760
본 명세서는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을 사용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고,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티나아제-1(MMP-1 또는 콜라게네이즈) 생성 억제 효과 및 티로시나제 활성,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보임으로써 항노화 및 피부 미백 효능을 나타내고 안전성을 모두 갖춘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또는 억제 또는 예방용, 피부 탄력 개선용, 항노화용, 항산화용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는 효소처리 타나까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또는 억제 또는 예방용, 피부 탄력 개선용, 항노화용, 항산화용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는 상기 효소처리 타나까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또는 억제 또는 예방용, 피부 탄력 개선용, 항노화용, 항산화용, 피부 미백용 및 피부 외용제 약학, 화장료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은 항산화 효능이 우수하고, MMP-1 생성 억제 효과 및 티로시나제, 멜라닌생성 억제효과를 보임으로써 주름 개선 또는 억제 또는 예방, 피부 탄력 개선, 항노화 및 피부 미백 효능이 우수하므로, 피부 외용제 조성물,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효소 처리 타나까의 추출물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효소 처리 타나까 추출물은 오랍테놀(Auraptenol) 성분을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오랍테놀 성분의 농도는 400 ppm 이상, 450 ppm 이상, 500 ppm 이상, 550ppm 이상, 600ppm 이상, 650ppm 이상, 700ppm 이상, 750ppm 이상, 800ppm 이상, 850ppm 이상, 900ppm 이상, 950ppm 이상, 또는 1000ppm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오랍테놀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Figure 112013026138794-pat00001
본 명세서에서 오랍테놀은 시트러스 속(Citrus)에서 발견될 수 있는 것이며, 세빌 비터 오렌지(Seville bitter orange)(Citrus aurantium ssp. Amara)오일의 구성성분이고 쿠마린(coumarin) 및 그 유도체의 패밀리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효소 처리 타나까 추출물은 하기 특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i) 전체 추출물 중량 기준으로 500ppm 이상의 오랍테놀을 함유하는 특성;
(ii) DPPH 테스트에서 1,1-디페닐-2-피크릴 히드라질(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의 환원에 의해 발생되는 흡광도가 음성 대조군에 비해 50%이하로 감소하는 데에 필요한 추출물의 농도가 10μM 이하인 특성;
(iii) 20ppm의 농도에서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율이 음성 대조군에 비해 70% 이상인 특성;
(iv)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닌 생성을 음성대조군에 비해 반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농도(IC50)가 40ppm이하인 특성; 및
(v) 콜라게네이즈 생성 측정에서 콜라게네이즈(MMP-1)의 발현 정도(%)가 음성 대조군에 비해 40% 이하인 특성.
DPPH 테스트에서 추출물의 농도는 15μM, 14μM, 13μM, 12 μM, 11 μM, 10 μM, 9μM, 8μM, 7μM, 6μM, 5μM, 4 μM, 3 μM, 2 μM, 1 μM, 0.1 μM 또는 0.001 μM 이하 일 수 있으며, 0.0001 μM 내지 15μM 일 수도 있다.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율은 70%, 72%, 74%, 76%, 78%, 79% 이상일 수 있으며, 70% 내지 100%일 수도 있다.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농도(IC50)는 40ppm, 35ppm, 30ppm, 25ppm, 20ppm, 15ppm, 10ppm, 5ppm, 1ppm, 0.1ppm, 0.01ppm 또는 0.001ppm 이하 일 수 있으며, 0.0001ppm 내지 40ppm 일 수도 있다.
콜라게네이즈 발현 정도는 40%, 35%, 30%, 25%, 20%, 15%, 10%, 5%, 1%, 0.1% 또는 0.01% 이하 일 수 있으며, 0% 내지 40% 일 수도 있다.
DPPH 테스트는 DPPH 용액과 각 시료를 넣은 반응액을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것이며, DPPH의 산화가 억제될수록 흡광도가 낮게 측정된다. 이를 통해 대조군의 흡광도에 비해 50% 이하의 흡광도를 나타내는 농도를 각 시료 별로 측정한다.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는 완충제(버퍼), 티로신, 티로시나제 및 각 시료를 넣은 용액을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동안 효소반응을 진행 시킨 후 흡광도 측정기로 측정한 것이다. 대조군에 비해 변화된 흡광도의 차이를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로 표현하였다.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농도의 측정은 인간 또는 동물(예를 들어 쥐과)의 피부 색소에서 유래된 멜라닌 세포주를 사용하며; 이러한 멜라닌 세포를 일정 조건 하에서 배양하고; 배양된 세포를 분리하여 다시 동일한 수로 접종한 뒤 시료 물질을 포함시킨 배지로 교체하고; 수일 뒤 세포에 포함된 멜라닌을 녹여 400nm에서 흡광도 측정을 통해 멜라닌의 양을 측정하여 멜라닌 생성 양을 대조군에 비해 반으로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시료 물질의 농도를 계산한 것이다.
콜라게네이즈 생성 측정은 섬유아세포를 배지에서 배양하고; 시료 물질을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고; 채취한 세포배양액을 콜라게네이즈 측정기구를 이용해 콜라게네이즈 생성 정도를 측정한다. 채취된 세포배양액을 항체가 도포된 평판에 넣고 일정 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발생유발물질을 넣어 발색을 유발시키고; 발색을 중지시킨 후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한다. 시료 물질을 처리한 것과 대조군의 흡광도 비를 백분율로 나타내어 콜라게네이즈 발현 정도를 측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천연물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혼합물 내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며, 생약 자체의 분쇄물 또는 생약의 건조 분쇄물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효소를 처리하여 타나까 추출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제조 방법은 타나까 식물을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타나까에 효소를 처리하는 단계; 타나까를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한 타나까를 여과하는 단계를 거치는 타나까 추출물 제조 방법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타나까는 그 입수 방법에 제한이 없으며, 채취 또는 재배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초본의 지상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지상부의 전부를 사용할 수 있다.
타나까(thanakha)는 일반적으로 무라야 속(Murraya spp.) 또는 리모니아 속(Limonia spp.)의 식물을 사용할 수 있다. 타나까 식물들은 미얀마, 태국, 치앙마이, 히말라야 산맥, 인도 지역 등에서 자라며, 특히, 미얀마에서는 슈웨보 지역의 식물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추출물 또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라야 속은, 무라야 파니큘라타 (Murraya paniculata), 무라야 엑소티카 (Murraya exotica), 및 무라야 코에니지 (Murraya keonigii)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추출물 또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모니아 속은 리모니아 아시디씨마(Limonia Acidissima, Wood apple)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타나까 추출물은 타나까 식물을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타나까에 효소를 처리하는 단계; 타나까를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한 타나까를 여과하는 단계를 거쳐 수득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타나까 추출물의 제조방법 또는 그 수득 과정에서 사용되는 타나까 식물은 타나까 식물의 지상부 일 수 있으며, 또는 타나까 식물의 꽃, 잎을 제외한 지상부 일 수 있다.
용매는 물, 유기 용매 및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물은 증류수 또는 정제수를 포함하고, 유기 용매는 C1~C6의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에틸메틸케톤 및 클로로포름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C1~C6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타나까 추출물은 물, C1-C6 알콜, 및 이들이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용매의 조추출물일 수 있다. 타나까를 용매로 추출 시, 타나까의 약 5 내지 15배 정도에 해당하는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약 10 배의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은 예를 들어, 가열 추출, 냉침 추출, 환류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추출법이라면 제한이 없다. 추출은 실온에서 수행할 수도 있으나, 보다 효율적인 추출을 위해서는 가온 조건 하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0℃의 온도에서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시간은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4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출 용매 및 추출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추출은 활성성분을 보다 다량 수득하기 위해 1 회 이상 여러 번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회, 더욱 바람직하게는 3회 연속추출하여 합한 추출액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타나까 추출물은 타나까의 조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조추출물을 극성이 낮은 유기 용매로 더욱 추출하여 얻어진 유기 용매의 가용성 분획물로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n-부탄올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방법으로 추출한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의 가용성 분획물은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여과 후 농축하여 엑기스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의 형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추출물 또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세포벽 분해 효소 및 단백질 분해효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포벽 분해효소는 셀룰라아제 (cellulase), 크실라나아제 (xylanase) 및 아라비노푸라노시다아제 (arabinofuranosidas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펙티나아제 (pectinas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인 추출물 또는 방법에 있어서, 효소는 타나까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중량%로 처리할 수 있다. 효소가 0.01% 미만인 경우 효소가 활성화되는 농도에 미치지 못하여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 초과인 경우 효소량이 더 증가한다고 하더라도 활성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활성도가 증가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 있어서, 상기 효소는 타나까 총 중량에 대하여, 0.011 내지 0.98중량%, 0.0012 내지 0.96중량%, 0.013 내지 0.95중량%, 0.014 내지 0.94중량%, 0.015 내지 0.93중량%, 0.014 내지 0.92중량%, 0.015 내지 0.93중량%, 0.016 내지 0.92중량% 또는 0.017 내지 0.91중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식물의 세포는 동물의 세포와 달리 단단한 세포벽으로 싸여있다. 세포벽은 생성 초기에는 펙틴과 셀룰로오스로 구성되나, 그 후 목화하여 셀룰로스 외에 많은 리그닌 및 헤미셀룰로오스를 함유하게 된다. 셀룰라아제는 셀룰로오스를 분해하는 효소로서 이를 처리하게 되면 단단한 세포벽이 일부 분해되면서 식물 내 유효 성분의 추출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타나까 식물의 추출 전 셀룰라아제를 세포벽 분해효소와 반응시키면 효소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식물 세포 내 유효 성분 추출 효율이 높아져 원료의 효능 또한 증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세포벽 분해효소 (cell wall degradation enzyme)"는 식물 세포벽의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를 의미할 수 있다. 세포벽은 일반적으로,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펙틴물질, 리그닌, 단백질, 마그네슘, 칼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셀룰로오스 분해효소로는 엔도-β,4 글루카나아제(Cx-셀룰라아제), 엑소-β,4 글루카나아제(C1-셀룰라아제), β-글루코시다아제(셀로비아제); 헤미셀룰로오스 분해효소로서는 크실라나아제, 1,3-크실라나아제, α-L-아르비노푸라노시다아제 등이 있으며; 펙틴질 분해효소에는 펙틴 및 펙틴산의 주사슬의 α-1,4결합을 절단하는 효소군(엔도-폴리메틸갈락투로나아제(endo-PMG), 엔도-폴리갈락투로나아제(endo-PG), 엔도-펙틴트랜스일리미나아제(endo-PTE), 엔도-폴리갈락투론산 트랜스-일리미나아제(endo-PATE), 엑소-폴리메틸갈락투로나아제(exo-PMG), 엑소-폴리갈락투로나아제(exo-PG), 엑소-펙틴트랜스일리미나아제(exo-PTE), 엑소-폴리갈락투론산 트랜스-일리미나아제(exo-PATE))과 펙틴의 메틸기를 유리하는 펙틴메틸에스테르가수분해효소가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백질 분해효소"는 식물 세포벽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를 의미할 수 있으며, 단백질과 펩티드의 펩티드결합을 가수분해하는 효소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단백질 분해효소로 펙티나아제(Pectinase)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라 제조 또는 수득된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은 항산화 효능이 우수하고, MMP-1 생성을 억제하므로 주름 개선 또는 억제 또는 예방, 피부 탄력 개선 효능, 항노화 효능이 우수하며, 티로시나아제 활성 및 멜라닌 생성을 억제시키므로 자외선에 의해 생성된 색소 침착을 개선시킴으로써 미백 효능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효소처리 타나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효소처리 타나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효소처리 타나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효소처리 타나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효소처리 타나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효소처리 타나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효소처리 타나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중량% 함유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 함유할 수 있다. 이는 0.001중량% 미만에서는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0중량% 초과에서는 안전성 또는 제형상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의 조성물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에 의하여 항산화 효능이 우수하고, MMP-1 생성을 억제하므로 주름 개선 또는 억제 또는 예방, 피부 탄력 개선, 항노화 효능이 우수하며,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및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가져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는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경구 투여제 또는 비경구 투여제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분제, 산제, 세립제, 과립제, 펠렛제 등이 있으며, 이들 제형은 유효 성분 이외에 계면 활성제,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제는 예를 들어,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坐劑), 패취 등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약물의 1일 투여 용량은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미만 진행 정도, 발병 시기, 연령, 건강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는 상기 조성물 1㎍/kg 내지 200mg/kg, 바람직하게는 50㎍/kg 내지 50mg/kg을 1일 1 내지 3회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이 상기 함량을 만족하는 경우 부작용 없이 우수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제조된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기호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분말제, 드링크제와 같은 액제, 캐러멜, 겔, 바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이의 1일 투여 용량은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미만 진행 정도, 발병 시기, 연령, 건강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는 상기 조성물 1㎍/kg 내지 200mg/kg, 바람직하게는 50㎍/kg 내지 50mg/kg을 1일 1 내지 3회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부 외용제는 피부 외부에서 도포되는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는 총칭이며,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 의약품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를 통하여 본 발명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만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의 제조
타나까 (Murraya keonigii)의 잎, 꽃을 제외한 지상부 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여 세밀화한 타나까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타나까 분말 2g에 증류수 20 mL를 가한 후, 1M HCl과 1M NaOH를 이용하여 pH 5-8로 조절하였다. 여기에 셀루클라스트(Celluclast®)와 펙티나아제(pectinase) 펙티넥스(Pectinex®) 100L(Novozymes, Denmark) 효소를 각각 2%(w/w)씩 첨가하였다. 상기 각각의 분해효소는 Novo사. (Novozymes Nordisk, Bagsvaerd, Denmark)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각 시료를 항온수조에 넣고 50℃에서 1시간 동안 쉐이킹하여, 에탄올 100mL로 추출한 후 각 시료를 여과하고, 그 상등액을 감압 건조하여 건조중량 0.32g을 얻었다.
[비교예 1] 효소처리하지 않은 타나까 추출물의 제조
타나까 (Murraya keonigii)의 잎, 꽃을 제외한 지상부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여 세말화한 타나까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타나까 분말 2g을 에탄올 100mL로 추출한 후 각 시료를 여과하여, 그 상등액을 감압 건조하여 건조중량 0.30g을 얻었다. 이를 비교예 1로 하였다.
[실시예 2]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의 효능실험
1. 항산화 효과 실험 (DPPH test)
유기 라디칼인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의 환원에 의해(항산화제는 산화됨) 발생되는 흡광도의 변화를 통해 항산화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하기 예들에 의해 DPPH의 산화가 억제되어 흡광도가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대조군의 흡광도에 비해서 50% 이하의 흡광도를 나타내는 농도를 유효 항산화 농도로 평가하였다.
100μM(in 에탄올) DPPH 용액 190㎕와 상기 실시예 1에서 동정한 실시예 1, 비교예 1과 대조시료를 각각 10㎕ 넣어 반응액을 만들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시료로는 널리 사용하고 있는 합성 항산화제 트롤록스(Trolox)를 사용하였다.
각 물질의 DPPH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DPPH 분석 결과(억제 %)
시료 IC50(μM)
실시예 1 9.25
비교예 1 35.70
트롤록스 8.66
(IC50 : 첨가한 시료에 의해 흡광도가 50% 감소했을 때의 시료 농도)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이 비교예 1 보다 항산화능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2.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능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대조시료와 비교하여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능을 측정하였다. 버섯유래의 티로시나제와 티로신은 Sigma Chemical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티로시나제 활성은 0.1 M 포스페이트 버퍼 (pH 6.5) 150 마이크로 리터와 8 마이크로 리터의 버섯 티로시나제 (2,100 unit/ml, 0.05 M 포스페이트 버퍼, pH 6.5), 36 마이크로리터의 1.5 mM 농도의 L-티로신으로 처리하였다. 티로시나제 활성은 37℃에서 20분 동안 효소반응을 진행 시킨 후에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 (Bio-Rad 3550, Richnmond, CA, U.S.A.)를 사용하여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능
시료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
대조군 -
알부틴 20 ppm 0
알부틴 50 ppm 85
실시예1 20 ppm 79
비교예1 20 ppm 22
상기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1은 그 효과가 알부틴보다 뛰어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은 세포 내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3.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평가
실시예1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코지산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정도는 Dooley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세포주는 C57BL/6 의 피부 색소에서 유래된 Mel-Ab 세포주(Falcon, U.S.A.)를 사용하였다. 배양은 10% 소태반 혈청, 100nM 12-O-테트라데카노일폴볼-13-아세테이트(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1nM 콜레라 톡신(Cholera Toxin)을 함유한 DMEM 배지의 37℃, 5% CO2의 조건 하에서 이루어졌다. 배양된 Mel-Ab 세포를 0.25% 트립신(Trypsin)-EDTA로 떼어내고, 24-배양 용기(well plate)에 다시 동일한 수(1x105 cells/well)로 접종한 후 이틀째부터 2일 연속으로 실험 물질들을 포함시킨 배지로 교체하는 방법으로 시험 물질을 처리하였다. 시험 물질로서, 실시예1 의 5ppm, 10ppm, 25ppm 및 50ppm, 비교예1의 5ppm, 10ppm, 25ppm 및 50ppm, 코지산 25ppm, 50ppm 및 100ppm과 DMSO(대조군)을 사용하였다. 5일째 이후 1N-NaOH를 처리하여 세포에 포함된 멜라닌을 녹여 내어 400nm에서의 흡광도 측정을 통해 멜라닌의 양을 측정하였다.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닌 생성을 대조군에 비해 반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타나까 추출물의 농도(IC50)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시료 IC50(ppm)
대조군 -
실시예1 34.05
비교예1 75.77
코지산 39.36
상기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1은 뛰어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 효과는 코지산보다도 우수하였다.
따라서 실시예1은 세포 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4. 콜라게네이즈(MMP-1) 저해능
시험은 2.5 %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함유된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KF-4109, 클라보사로부터 입수)를 5,000 세포/공(well)이 되도록 넣고,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물질을 10-4 몰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세포배양액을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콜라게네이즈 측정기구 (미국 아머샴파마샤 사. Catalog #: RPN 2610)를 이용하여 콜라게네이즈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게네이즈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 (96-well plate)에 채취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항온조에서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공 평판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을 유발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반응(발색)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띄며 반응 진행의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노란색을 띈 96-공 평판의 흡광도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콜라게네이즈의 합성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의 채취된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수학식]콜라게네이즈 발현정도(%)=(물질처리세포군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X100
MMP-1 생성 억제 효능
시료 콜라게네이즈 발현 정도(%)
대조군(비처리군) 100
실시예1 20ppm 33
비교예1 20 ppm 59
상기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1은 기질 메탈로 프로테아제(MMP-1)를 저해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실시예1은 기질 메탈로 프로테아제(MMP-1)를 저해시킴으로써 우수한 항노화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연질 캡슐
실시예1의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 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팜유 2mg, 식물성 경화유 8mg, 황납 4mg 및 레시틴 9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연질 캡슐 충진액을 제조한다. 1 캡슐당 400㎎씩 충진하여 연질 캡슐을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와 별도로 젤라틴 66 중량부, 글리세린 24 중량부 및 솔비톨액 10 중량부의 비율로 연질 캡슐 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충진액을 충진시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400mg이 함유된 연질 캡슐을 제조한다.
[제형예 2] 정제
실시예1의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 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갈락토올리고당 200㎎, 유당 60㎎ 및 맥아당 140㎎을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한 후 당 에스테르(sugar ester) 6㎎을 첨가한다. 이들 조성물 500mg을 통상의 방법으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형예 3] 드링크제
실시예1의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 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포도당 10g,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을 혼합한 후 정제수 300㎖를 가하여 각 병에 200㎖씩 되도록 충진한다. 병에 충진한 후 130℃에서 4∼5초간 살균하여 드링크제를 제조한다.
[제형예 4] 과립제
실시예1의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 8mg, 비타민 E 9mg, 비타민 C 9mg, 무수결정 포도당 250㎎ 및 전분 550㎎을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충진하여 과립제를 제조한다.
[제형예 5] 주사제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실시예1의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 20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함량으로 주사제를 제조한다.
[제형예 6] 로션 형 제형
하기 표 6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로션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 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1.00
시트르산나트륨 0.10
시트르산 0.05
감초 엑기스 0.20
1,3-부틸렌글리콜 3.00
정제수 잔량
[제형예 7] 크림형 제제
하기 표 7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 1.00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2.0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5.00
세틸알코올 4.00
스쿠알렌 6.00
트리2-에틸헥산글리세릴 6.00
스핑고당지질 1.00
1,3-부틸렌글리콜 7.00
정제수 잔량
[제형예 8] 팩형 제제
하기 표 8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 5.00
폴리비닐알코올 1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라우로일히드록시프롤린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3.00
에탄올 5.00
정제수 잔량
[제형예 9] 미용액형 제제
하기 표 9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미용액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 2.00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 (2% 수용액) 12.00
크산탄검 (2%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6.00
진한 글리세린 4.00
히알루론산나트륨 (1% 수용액) 5.00
정제수 잔량
[제형예 10] 건강 식품
하기 표 10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강식품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실시예1의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 100mg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μg
비타민 E 1.0mg
비타민 B1 0.13mg
비타민 B2 0.15mg
비타민 B6 0.5mg
비타민 B12 0.2μg
비타민 C 10mg
비오틴 10μg
니코틴산아미드 1.7mg
엽산 50μg
판토텐산 칼슘 0.5mg
황산 제1철 1.75mg
산화아연 0.82mg
탄산마그네슘 25.3mg
제1인산칼륨 15mg
제2인산칼슘 55mg
구연산칼륨 90mg
탄산칼슘 100mg
염화마그네슘 24.8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 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형예 11] 건강 음료
하기 표 1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건강 음료을 제조하였다.
배합 성분 함량
실시예1의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 100mg
구연산 1000mg
올리고당 100 g
타우린 1g
정제수 잔량
통상의 건강 음료 제조 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8)

  1.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효소 처리 타나까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효소는 셀룰라아제 및 펙티나아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효소 처리 타나까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효소는 셀룰라아제 및 펙티나아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용 식품 조성물.
  3.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효소 처리 타나까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효소는 셀룰라아제 및 펙티나아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효소 처리 타나까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효소는 셀룰라아제 및 펙티나아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식품 조성물.
  5.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효소 처리 타나까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효소는 셀룰라아제 및 펙티나아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나까는 무라야 속(Murraya spp.) 식물 및 리모니아 속(Limonia spp.) 식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무라야 속 식물은, 무라야 파니큘라타 (Murraya paniculata), 무라야 엑소티카 (Murraya exotica) 및 무라야 코에니지 (Murraya keonigii)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조성물.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니아 속 식물은 리모니아 아시디씨마(Limonia Acidissima)인 조성물.
  11.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효소를 타나까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중량%로 처리하여 얻어지는 것인 조성물.
  12.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중량%로 포함된 조성물.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타나까 추출물은 오랍테놀 성분을 500ppm이상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나까 추출물은
    타나까 식물을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타나까에 효소를 처리하는 단계; 타나까를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한 타나까를 여과하는 단계를 거쳐 추출된 타나까 추출물인 것인 조성물.
  18. 타나까 추출물로서,
    상기 타나까 추출물은
    (i) 전체 추출물 중량 기준으로 500ppm 이상의 오랍테놀을 함유하는 특성;
    (ii) DPPH 테스트에서 1,1-디페닐-2-피크릴 히드라질(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의 환원에 의해 발생되는 흡광도가 음성 대조군에 비해 50%이하로 감소하는 데에 필요한 추출물의 농도가 10μM 이하인 특성;
    (iii) 20ppm의 농도에서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율이 음성 대조군에 비해 70% 이상인 특성;
    (iv) 멜라노사이트의 멜라닌 생성을 음성대조군에 비해 반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농도가 40ppm이하인 특성; 및
    (v) 콜라게네이즈 생성 측정에서 콜라게네이즈(MMP-1)의 발현 정도가 음성 대조군에 비해 40% 이하인 특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특성을 가지고,
    상기 타나까 추출물은 효소 처리 타나까 추출물이며,
    상기 효소는 셀룰라아제 및 펙티나아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타나까 추출물.
KR1020130032264A 2013-03-26 2013-03-26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105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264A KR102105531B1 (ko) 2013-03-26 2013-03-26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PCT/KR2014/002491 WO2014157910A1 (ko) 2013-03-26 2014-03-25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264A KR102105531B1 (ko) 2013-03-26 2013-03-26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168A KR20140117168A (ko) 2014-10-07
KR102105531B1 true KR102105531B1 (ko) 2020-04-28

Family

ID=51624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264A KR102105531B1 (ko) 2013-03-26 2013-03-26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5531B1 (ko)
WO (1) WO20141579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2675A (zh) * 2019-01-17 2019-04-12 完美(中国)有限公司 一种复合植物提取物酪氨酸酶抑制剂及其应用
CN110859788B (zh) * 2019-12-13 2022-07-12 广州市络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塔纳卡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R3106755B1 (fr) 2020-02-03 2022-07-15 Gattefosse Sas Extrait de murraya koenigii et son utilisation en cosmetiqu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5663A (ja) * 1998-09-24 2000-04-04 Kose Corp 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
KR101370990B1 (ko) 2012-03-08 2014-03-25 주식회사 유로코스텍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7420A (ja) * 1993-12-01 1995-06-20 Mikimoto Pharmaceut Co Ltd 化粧品
KR100757175B1 (ko) * 2005-08-23 2007-09-07 (주)아모레퍼시픽 녹차 유래의 캄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및 피부 탄력 향상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90087223A (ko) * 2008-02-12 2009-08-1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타나까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04980B1 (ko) * 2009-04-07 2012-01-1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효소처리에 의한 연자육 추출물의 제조방법
JP2011153120A (ja) * 2010-01-27 2011-08-11 Otomo Sawako タナカパウダーの効果を最大に生かす製法
KR20110104760A (ko) 2010-03-17 2011-09-23 주식회사 마린코스메틱 고기능성 천연 자외선 차단크림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5663A (ja) * 1998-09-24 2000-04-04 Kose Corp 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
KR101370990B1 (ko) 2012-03-08 2014-03-25 주식회사 유로코스텍 따나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개선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ological, Biomedical and Pharmaceutical Sciences(ICCEPS’2012), 94-97(2012.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57910A1 (ko) 2014-10-02
KR20140117168A (ko) 2014-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3892B1 (ko) 단삼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에 유용한 유효 성분인 탄시논 i 및 탄시논 iia을 다향 함유한 정제물을 생산하는 제조방법
KR102105531B1 (ko)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873886B1 (ko) 효소 처리 토레야 속 추출물
KR102236071B1 (ko) 용암해수를 활용하여 재배한 병풀 또는 작약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KR20200095087A (ko) 톳 효소 추출물 또는 그의 다당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45704A (ko)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07919B1 (ko) 나한과 잔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29000B1 (ko) 살비아놀산 c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434333B (zh) 包含具有修饰的量的成分的绿茶提取物的用于皮肤美白或预防或改善皮肤皱纹的组合物
KR102331119B1 (ko) 흑미 추출물의 발효물 및 땅콩 새싹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용 조성물
KR102479408B1 (ko) 괭생이모자반 초음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44792B1 (ko)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균주로 발효한 해조류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피부 주름 개선, 항산화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684673B1 (ko)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10134589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551106B1 (ko) 참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39156B1 (ko) 효소처리된 홍삼 및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123588B1 (ko) 복합 해조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활성 조성물
KR102111085B1 (ko) 누룩을 이용한 쪽 발효방법 및 이에 얻은 쪽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39470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흑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02242B1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496500B1 (ko) 하이드록시데실유비퀴논, 식물성 스쿠알란 및 천연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9089B1 (ko) 백지 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101563230B1 (ko) 항산화능이 향상된 동아 추출물 제조방법
KR102104803B1 (ko) 진세노사이드 f2 및 4-알파-d-글루코피라노실록시 벤질 알코올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