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673B1 -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673B1
KR101684673B1 KR1020130134705A KR20130134705A KR101684673B1 KR 101684673 B1 KR101684673 B1 KR 101684673B1 KR 1020130134705 A KR1020130134705 A KR 1020130134705A KR 20130134705 A KR20130134705 A KR 20130134705A KR 101684673 B1 KR101684673 B1 KR 101684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zyme
extract
rapeseed
composition
tr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4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3035A (ko
Inventor
홍용덕
신보현
신송석
박영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30134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673B1/ko
Publication of KR20150053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6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유채 추출물의 항염증 또는 항노화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은 PGE2 (Prostaglandin), IL-6 (Interleukin) 및 IL-8 (Interleukin) 등의 염증성 인자의 생성을 억제하므로 염증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염증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소가 처리된 유채 추출물은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1(Metalloprotease) 생성을 억제하므로 피부 주름생성을 억제 또는 완화하거나 개선할 수 있어 노화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enzyme-treated Brassica Napus L. extract}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은 효소가 처리된 유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 현상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세포의 유전자 변이, 조직 변화 등 내적 요인과 자외선, 습도 등 외적 요인으로 분류될 수 있다(Masamitsu Ichihashi, Fragrance Journal, Vol. 32, No. 5, 24∼30). 노화된 피부 속에서 일어나는 가장 큰 변화의 원인은 젊은 피부에서는 활성화되어 있던 성장인자(Growth factor)의 감소이다. 성장 인자는 피부 속 재생 과정의 첫 번째 스위치 역할을 하므로 피부 속 성장 인자의 감소는 피부 속 다양한 기능 저하를 유발해 결국 피부 속 성분들의 손실과 피부 구조 붕괴를 초래하게 된다. 상처가 발생했을 때 상처를 복구하기 위해 피부와 혈관 세포가 상처 주변으로 모이도록 하고 새로운 세포를 생성하여 콜라겐, 엘라스틴 등의 섬유와 함께 새로운 피부 구조를 만들어 내는 원동력이 성장 인자라고 볼 수 있다. 이 일련의 과정에 참여하는 성장 인자의 종류에는 전체 재생 과정에 참여하는 TGF-α(Transforming Growth Factor-α)와 EGF(Epidermal Growth Factor)가 있으며, 세포별 재생 및 활성화 역할을 하는 FGF(Fibroblast Growth Factor),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PDGF(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및 IGF(Insulin-like Growth Factor)와 같은 종류가 있다
염증은 세포나 조직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손상을 받으면 그 반응을 최소화 하고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방어 목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며, 신경 및 혈관, 임파관, 체액 반응, 세포 반응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통증, 부종, 발적, 발열 등을 일으켜 기능장애를 유발하는 것이다. 염증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외상, 동상, 화상, 방사능 등에 의한 물리적 요인과 산(acid)과 같은 화학물질에 의한 화학적 요인 및 항체 반응에 의한 면역학적 요인들이 있으며, 그 외에 혈관이나 호르몬 불균형에 의해서도 발생된다. 외부 자극으로 손상된 세포들이 분비한 여러 화학 매개 물질에 의해 혈관 확장이 일어나고, 투과성이 높아짐에 따라 항체, 보체, 혈장(plasma), 식균 세포들이 염증 부위로 몰려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홍반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염증은 자외선이나 활성산소, 유리 라디칼 등의 산화적 스트레스 등이 염증성 인자를 활성화시켜 각종 질병 및 피부의 노화를 일으킨다.
현재까지 홍반이나 부종 같은 자극완화 및 염증 완화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계로 플루페나믹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등이 있고, 스테로이드 계통으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등이 있으며 (김창종, 병태생리학, 한림상사, p.61-69, 1988), 알란토인, 아즈렌, ε-아미노키프론산, 하이드로코티존(v), 감초산 및 그 유도체(β-글리칠레친산, 글리칠레친산유도체) 등이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광정무부, 신화장품학, 남산당, p162, 1993).
그러나, 이러한 물질들의 염증의 억제에 한계가 있으며, 인체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으며, 화장료 등에 포함되는 경우 제형화가 어려워 그 사용에 제한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50421호
Masamitsu Ichihashi, Fragrance Journal, Vol. 32, No. 5, 24∼30 Kyung-soo Nam, et al, Kor. J. Pharmacogn.,35(2), pp147-151, 2004 김창종, 병태생리학, 한림상사, p.61-69, 1988 광정무부, 신화장품학, 남산당, p162, 1993
본 발명의 일측면은 우수한 항염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은 효소처리 유채(Brassica Napus L.)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효소가 처리된 유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유채 추출물의 항염증 또는 항노화 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효소가 처리된 유채 추출물은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IL-6 (Interleukin-6) 및 IL-8 (Interleukin-8) 등의 염증성 인자의 생성을 억제하므로 염증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염증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소가 처리된 유채 추출물은 콜라겐 분해효소인 MMP-1(Metalloprotease) 생성을 억제하므로 피부 주름생성을 억제 또는 개선할 수 있어 노화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천연 유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므로, 생체 친화적이고 안정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에 사용할 수 있으며, 화장품, 건강식품 및 의약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이라 함은, 천연물로부터 그 안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이라면, 뽑아내는 방법이나 성분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포함한다. 예컨대, 물이나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해 낸 것, 오일과 같은 천연물의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라 함은, 동물의 체표를 덮는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얼굴 또는 몸 등의 체표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효소처리 유채(Brassica Napus L.)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은, 유채(Brassica Napus L.)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유채 추출물에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채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유채를 비극성 또는 극성이 낮은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채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유채를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유채를 비극성 또는 극성이 낮은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이를 여과한 후 농축하는 단계를 거쳐 유채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유채 추출물은 구체적으로 유채 지상부에서 추출한 추출물이며, 예를 들면 유채의 꽃, 씨, 줄기, 잎, 잎자루 및 열매 중 하나 이상의 부위에서 추출한 추출물이다. 이때 상기 열매로는 미성숙 열매 또는 성숙 열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채 추출물은 일 실시예로서 유채 조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채 추출물은 유채 오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극성 또는 극성이 낮은 유기용매로는 핵산을 사용할 수 있고, 유채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5배 중량의 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추출방법은 예를 들어 가열 추출, 냉침 추출, 환류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은 실온 또는 온도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수행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40 내지 60℃의 온도에서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시간은 약 2 내지 4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상기 추출 용매 및 추출 온도 등의 조건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활성성분의 수득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1 회 이상 여러 번 추출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 내지 5회, 구체적으로 3회 연속추출하여 합한 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채 추출물로 유채 조추출물을 극성이 낮은 유기 용매로 더 추출하여 얻어진 유기용매의 가용성 분획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유채 추출물에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는, 상기와 같이 수득된 유채 추출물에 효소를 첨가하기 이전에 수득된 유채 추출물의 pH를 5 내지 8, 보다 구체적으로 pH 6 내지 7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효소를 첨가한 다음, 이를 30 내지 70℃, 구체적으로 40 내지 60℃에서 10분 내지 6시간, 구체적으로 30분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하며 유채 추출물과 효소를 반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pH와 반응온도를 조절하면 베타카로틴, 토코페롤, 루테인 등 산이나 염기 또는 상기 범위 밖의 온도에서 파괴되기 쉬운 유효물질들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채 추출물에 효소를 첨가하게 되면 효소가 유채 추출물 내 유효성분의 인체 내 작용 효율을 증가시켜, 효소처리하지 않은 일반 유채 추출물에 비하여 매우 증가된 항염, 항노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효소로는 구체적으로 당합성 효소, 세포벽 분해 효소 및 단백질 분해효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소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일 실시예로서 사용되는 "당합성 효소"는 당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를 널리 포함하며, 예를 들면 당합성 효소로 칸디다봄비콜라( Candida bombicola ), 칸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 칸디다아스칼라피다룸 ( Candida ascalaphidarum ), 칸디다암피시애( Candida amphixiae ), 칸디다안타륵티카 ( Candida antarctica ), 칸디다아르젠티 아( Candida argentea ), 칸디다아틀란티카 ( Candida atlantica ), 칸디다아트모파에리카( Candida atmosphaerica ), 칸디다블라태 ( Candida blattae ), 칸디다브로멜리아시럼( Candida bromeliacearum ), 칸디다카르포필라 ( Candida carpophila ), 칸디다카르바자리스( Candida carvajalis ), 칸디다세람비시다럼 ( Candida cerambycidarum ), 칸디다카울리오데스( Candida chauliodes ), 칸디다코리달리 ( Candida corydali ), 칸디다도세이( Candida dosseyi ), 칸디다두블리니엔시스 ( Candida dubliniensis ), 칸디다얼가텐시스( Candida ergatensis ), 칸디다플럭토스 ( Candida fructus ), 칸디다글라브라타( Candida glabrata ), 칸디다펄멘타티 ( Candida fermentati ), 칸디다길리얼모디( Candida guilliermondii ), 칸디다해뮬로니 ( Candida haemulonii ), 칸디다인섹타멘스( Candida insectamens ), 칸디다인섹토럼 ( Candida insectorum ), 칸디다인터미디아( Candida intermedia ), 칸디다제프레시 ( Candida jeffresii ), ( Candida kefyr ), 칸디다크루세이( Candida krusei ), 칸디다루시타니애 ( Candida lusitaniae ), 칸디다릭소소필라( Candida lyxosophila ), 칸디다말토스 ( Candida maltosa ), 칸디다마리나( Candida marina ), 칸디다멤브레니파시엔스 ( Candida membranifaciens ), 칸디다밀러리( Candida milleri ), 칸디다올레오필라 ( Candida oleophila ), 칸디다오레고넨시스( Candida oregonensis ), 칸디다파라프실로시스 ( Candida parapsilosis ), 칸디다쿠어르시트러사( Candida quercitrusa ), 칸디다루고사 ( Candida rugosa ), 칸디다세이크( Candida sake ), 칸디다세하티 ( Candida shehatea ), 칸디다템노칠래( Candida temnochilae ), 칸디다테누이스 ( Candida tenuis ), 칸디다티애 ( Candida theae ), 칸디다톨러란스( Candida tolerans ), 칸디다트로피칼리스 ( Candida tropicalis ), 칸디다츄치애( Candida tsuchiyae ), 칸디다시놀라보란튬 ( Candida sinolaborantium ), 칸디다소재( Candida sojae ), 칸디다서바시 ( Candida subhashii ), 칸디다비스와나티( Candida viswanathii ), 칸디다유틸리 스( Candida utilis ), 칸디다어바터번시(Candida ubatubensi )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칸디다봄비콜라(Candida bombicola)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당합성 효소를 본 발명의 유채 추출물에 처리하면, 유채 추출물 또는 유채 오일의 지방산에 당을 첨가되어 당지질인 소포로리피드(sophorolipid)가 합성되므로 피부에 염증을 유발하는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고 보습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로서 사용되는 "세포벽 분해효소"는 식물 세포벽의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를 널리 포함하며, "단백질 분해효소"는 단백질과 펩티드의 펩티드 결합을 가수분해하는 효소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세포벽의 주성분인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펙틴 및 리그닌의 분해 효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식물의 세포벽은 생성 초기에는 펙틴과 셀룰로오스 등으로 구성되나, 그 후 목화(목질화)되면서 세포벽에 셀룰로오스 외에 많은 리그닌 및 헤미셀룰로오스 등이 축적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측면은 유채 추출물을 세포벽 분해효소로 처리함으로써 유채 추출물 내 유채의 각 세포벽을 분해시켜 유효성분이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되도록 하므로,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효과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상기 세포벽 분해효소 중 셀룰로오스 분해효소(cellulase) 는 구체적으로 섬유소분해효소 C1, 섬유소분해효소 Cx, 셀루클라스트(celluclast)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헤미셀룰로오스 분해효소는 1,3-크실라나아제(xylanase)와 같은 크실라나아제, α-L-아르비노푸라노시다아제(arabinofuranosidase)와 같은 아라비노푸라노시다아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단백질 분해효소 중 펙틴질분해효소는 펙틴 및 펙틴산의 주사슬의 α-1,4결합을 절단하는 엔도펩티다아제(ednopeptidase)와 엑소펩티다아제(exopeptidase), 보다 구체적으로 엔도-PMG(polymethylg-alacturonase), 엔도 PG(polygalacturonase), 엔도-PTE(pulmonary thromboembolism), 엔도-PATE(pectate lyase), 엑소-PMG, 엑소-PG, 엑소-PTE, 엑소-PATE, 펙티나아제(Pectinase), 펙틴의 메틸기를 유리하는 펙틴메틸에스테르 가수분해효소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에 사용된 효소의 함량은 유채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일 수 있다. 효소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 효소가 활성화되는 농도에 미치지 못하여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1 중량% 초과인 경우 활성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효소의 함량이 증가하더라도 활성도가 증가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0중량%, 구체적으로 0.005 내지 100 또는 20 내지 10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할 경우 항염 및 항노화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측면은 상기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의 억제 또는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유채 추출물은 효소처리로 인해, 효소처리되지 않은 일반 유채 추출물에 비하여 PGE2(Prostaglandin E2)와 같은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IL-6 (Interleukin-6) 및 IL-8 (Interleukin-8)과 같은 인터루킨(Interleukin) 등의 생성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염증의 특징 중 하나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의 산소첨가반응의 증가인데, 아라키돈산은 시클로옥시게나제(COX) 및 류코트리엔을 생성하는 5-리폭시게나제 경로에 의해 대사되고, 상기 시클로옥시게나제(COX) 및 류코트리엔은 프로스타글란딘을 생성한다. 이때 프로스타글란딘 및 류코트리엔은 염증의 매개체이다. 상기 시클로옥시게나제 효소는 시클로옥시게나제-1 및 시클로옥시게나제-2의 2개의 형태가 있으며, 이 중 시클로옥시게나제-2가 염증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를 억제하는 것이 비가역적인 시클로옥시게나제-1 억제와 관련된 부작용 없이 염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Kyung-soo Nam, et al, Kor. J. Pharmacogn.,35(2), pp147-151, 2004). 상기 문헌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통합된다. 본 발명의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은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아라키돈산의 산소첨가반응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염증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염증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루킨-8(IL-8)은 단핵세포, 섬유아세포, 내피 세포 및 각질 세포를 비롯한 몇몇 세포 유형에 의해 생성되는 주화성 인자로서, 내피세포로부터의 이의 생성은 인터루킨-1,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또는 리포폴리사카라이드에 의해 유도된다. IL-8은 호중구, T-림프구 및 호염기성 세포에 대해 화학 유인특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게다가, 이는 정상 및 아토피성 개체 모두의 호염기성 세포로부터의 히스타민 방출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호중구로부터 리소좀 효소 방출 및 호흡 폭발을 유도한다. IL-8은 또한 단백질 신생 합성 없이 호중구 상에서 Mac-1(CD11b/CD18)의 표면 발현을 증가시키며, 이는 혈관 내피 세포에 대한 호중구의 부착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많은 질환은 호중구 대량 침투를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은 상기와 같은 염증 발생을 유도하는 IL-8 등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염증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염증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기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개선 또는 완화용인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유채 추출물은 효소처리로 인해, 효소처리되지 않은 일반 유채 추출물에 비하여 효과적으로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1(Metalloprotease)의 생성을 억제하고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할 수 있어, 현저히 향상된 우수한 노화 개선 또는 완화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 상기와 같이 우수한 항염 및 항노화 효과를 나타내는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건강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이 상기 함량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부작용없이 우수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제조된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항염 및 항노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부 외용제는 피부 외부에서 도포되는 어떠한 것이라도 포함될 수 있는 총칭이며,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분말제, 드링크제와 같은 액제, 캐러멜, 겔, 바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우,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은 정제, 환제, 연질 및 경질 캅셀제, 과립제, 산제, 세립제, 액제, 유탁제 또는 펠렛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은 용액제, 현탁제, 유액제, 겔, 주사제, 점적제, 좌제, 패취 또는 분무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형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계면 활성제, 부형제, 수화제, 유화 촉진제, 현탁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또는 완충제, 착색제, 향신료, 안정화제, 방부제, 보존제 또는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의 유효성분은 투여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병리 상태 및 그 심각도, 투여경로 또는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적용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이의 1일 투여용량은 예를 들어 0.1mg/kg/일 내지 100mg/kg/일, 보다 구체적으로는 5mg/kg/일 내지 50mg/kg/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실험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교예 1] 효소처리하지 않은 유채 추출물의 제조
유채의 지상부를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다음. 분쇄하여 세말화한 유채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유채 분말 2g을 헥산 100mL로 추출한 후 시료를 여과하고, 그 상등액을 감압 건조하여 건조중량 0.40g의 유채오일 분말을 얻었다. 이를 비교예 1로 하였다.
[실시예 1]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의 제조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유채오일 분말 2g 에 증류수 20 mL를 가한 후, 1M HCl과 1M NaOH를 이용하여 pH 5-8 사이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여기에 효소로 셀루클라스트(celluclast)와 펙티나아제(pectinase)인 펙티텍스 100L (Pectinex 100L; Novozymes Nordisk, Bagsvaerd, Denmark)를 각각 2%(w/w)씩 첨가하였다. 그리고, 각 시료를 항온수조에 넣고 5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효소와 반응시켰다. 효소와 반응시킨 유채오일을 에탄올 100mL로 추출한 후 각 시료를 여과하고, 그 상등액을 감압 건조하여 건조중량 0.30g의 효소처리 유채오일을 얻었다.
[실험예 1] 항염 효과의 비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효소처리 유채오일의 항염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인간섬유아세포(fibroblast)(PromoCell, Germany)를 6-웰 배양판에 1×105 세포의 농도로 접종하고, 24 시간 동안 37 ℃, 5 %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H2O2 500 μM을 웰에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자극을 준 후, 상기 비교예1 과 실시예1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48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완료 후 배양액을 수거하여 ELISA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항염 및 자극완화제로 많이 사용되는 물질인 알파-비사보롤(α-bisaborol)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PGE2는 어세이 디자인(Assay Design)사의 키트, IL-6, IL-8은 엔도젠(Endogen)사의 키트를 사용하였으며, 각 회사의 매뉴얼에 명기된 방법에 따라 실험을 진행하였다. 억제 효과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3101503659-pat00001
시료(100 μg/ml) PGE2 (pg/ml) IL-6 (pg/ml) IL-8 (pg/ml)
H2O2 (500 uM) 350 245 290
대조군(a-bisabolol) 205 180 200
H2O2 + 실시예 1 217 186 216
H2O2 + 비교예 1 285 242 255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효소처리 유체 추출물인 실시예 1을 처리한 세포에서 효소를 처리하지 않은 유채 추출물인 비교예 1을 처리한 세포보다 현저히 감소된 염증 매개 물질, 즉 PGE2, IL-6, IL-8의 감소된 생성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유채 추출물에 효소가 처리되어 유채 추출물의 염증 억제 효과가 매우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2]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의 비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효소처리 유채오일의 피부 노화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인간섬유아세포(fibroblast)(PromoCell, Germany)를 24공(well)에 1 공 당 105개씩 파종(seeding)하여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이를 24시간 동안 무혈청 DMEM 배지로 배양한 후 무혈청 배지에 녹여진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그리고 양성대조군인 토코페롤 및 EGCG(Epigallocatechin-gallate)를 각각 10-4 몰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이들의 상층액을 떠내어 프로콜라겐 형(I) ELISA 키트(proc/; ollagen type(I))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procollagen)의 증감여부를 보았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합성능은 비처리군을 100으로 하여 대비한 것이다.
처리군 합성능 (%)
비처리군 100
토코페롤 120
EGCG 126
실시예 1 169
비교예 1 123
그 결과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효소처리 유체 추출물인 실시예 1이 효소를 처리하지 않은 유채 추출물인 비교예 1보다 현저히 증가된 콜라겐 생합성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유채 추출물에 효소가 처리되어 유채 추출물의 피부 주름개선 효과가 매우 증가하였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3] 콜라게네이즈(MMP-1) 저해능의 비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효소처리 유채오일의 피부 노화 완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먼저, 2.5 %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함유된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5,000 세포/공(well)이 되도록 넣고,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물질을 10-4 몰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위하였다. 채위한 세포배양액을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콜라게네이즈 측정기구 (미국 아머샴파마샤 사. Catalog #: RPN 2610)를 이용하여 콜라게네이즈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게네이즈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 (96-well plate)에 채위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항온조에서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공 평판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을 유발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반응(발색)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띄며 반응 진행의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노란색을 뛴 96-공 평판의 흡광도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 nm에서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콜라게네이즈의 합성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의 채위된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Figure 112013101503659-pat00002
시료 콜라게네이즈 발현 정도(%)
대조군(비처리군) 100
실시예 1 10 ppm 45
비교예 1 10 ppm 66
상기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효소처리 유체 추출물인 실시예 1을 처리한 경우, 효소를 처리하지 않은 유채 추출물인 비교예 1보다 콜라게네이즈인 기질 메탈로프로테아제(MMP-1)의 발현정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효소처리 유체 추출물인 실시예 1이 효소를 처리하지 않은 유채 추출물인 비교예 1보다 콜라겐 분해를 방지하여 주름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며, 이에 따라 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 또는 완화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로션형 제형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화장수를 제조한다.
함량(중량%)
실시예 1의 효소처리 유채 오일 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1.00
시트르산나트륨 0.10
시트르산 0.05
감초 엑기스 0.20
1,3-부틸렌글리콜 3.00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크림형 제제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화장수를 제조한다.
함량(중량%)
실시예 1의 효소처리 유채 오일 1.00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2.0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5.00
세틸알코올 4.00
스쿠알렌 6.00
트리2-에틸헥산글리세릴 6.00
스핑고당지질 1.00
1,3-부틸렌글리콜 7.00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팩형 제제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화장수를 제조한다.
함량(중량%)
실시예 1의 효소처리 유채 오일 5.00
폴리비닐알코올 13.00
L-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라우로일히드록시프롤린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3.00
에탄올 5.00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미용액형 제제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화장수를 제조한다.
함량(중량%)
실시예 1의 효소처리 유채 오일 2.00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 (2% 수용액) 12.00
크산탄검 (2%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6.00
진한 글리세린 4.00
히알루론산나트륨 (1% 수용액) 5.00
정제수 잔량
[제형예 5] 오일제형
하기 표에 기재된 조성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화장수를 제조한다.
함량(중량%)
실시예 1의 효소처리 유채 오일 100.00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염증의 억제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효소처리 유채(Brassica Napus L.)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에 처리된 효소는, 펙티나아제(Pectinase)를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건강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채 추출물은 유채의 꽃, 씨, 줄기, 잎, 잎자루 및 열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채 지상부 추출물인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채 추출물은 유채 오일인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에 처리된 효소는 당합성효소 및 세포벽 분해 효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소를 더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벽 분해 효소는 셀룰라아제 (cellulase), 크실라나아제 (xylanase) 및 아라비노푸라노시다아제 (arabinofuranosidas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에 처리된 효소의 함량은 유채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인 조성물.
  7. 피부 노화 개선 또는 완화용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효소처리 유채(Brassica Napus L.)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에 처리된 효소는, 펙티나아제(Pectinase)를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건강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채 추출물은 유채의 꽃, 씨, 줄기, 잎, 잎자루 및 열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채 지상부 추출물인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채 추출물은 유채 오일인 조성물.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에 처리된 효소는 당합성효소 및 세포벽 분해 효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효소를 더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벽 분해 효소는 셀룰라아제 (cellulase), 크실라나아제 (xylanase) 및 아라비노푸라노시다아제 (arabinofuranosidas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에 처리된 효소의 함량은 유채 추출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인 조성물.


  13. 삭제
KR1020130134705A 2013-11-07 2013-11-07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84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705A KR101684673B1 (ko) 2013-11-07 2013-11-07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705A KR101684673B1 (ko) 2013-11-07 2013-11-07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035A KR20150053035A (ko) 2015-05-15
KR101684673B1 true KR101684673B1 (ko) 2016-12-08

Family

ID=53389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705A KR101684673B1 (ko) 2013-11-07 2013-11-07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46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2317B1 (ko) * 2016-09-06 2018-10-01 태이생명과학 주식회사 주름개선용 효소처리 무궁화추출물
KR101980880B1 (ko) * 2018-09-28 2019-05-24 주식회사 래디안 발아씨앗효소액을 이용한 germiferm 공정에 의한 식물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0308A (ja) 2004-05-11 2005-11-17 Kyoei Kagaku Kogyo Kk 酵素処理分解物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421B1 (ko) 1994-11-23 1998-10-15 신구범 감귤꽃과 유채꽃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향수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0308A (ja) 2004-05-11 2005-11-17 Kyoei Kagaku Kogyo Kk 酵素処理分解物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035A (ko) 201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5982B1 (ko)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1086225B1 (ko)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6470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91957A (ko) 대마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항염 또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20160123732A (ko) 아티초크 추출물 및 콜리플라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44568B1 (ko) 상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873886B1 (ko) 효소 처리 토레야 속 추출물
KR101876669B1 (ko) 신규한 피키아 쿠드리아브제비 및 이의 용도
KR20200097673A (ko) 모르티에렐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KR101684673B1 (ko)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20502172A (ja) 漢方薬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化粧料組成物
KR101810139B1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703732B1 (ko) 효소처리 동백나무 씨 오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KR101974502B1 (ko) 회리바람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25559B1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331119B1 (ko) 흑미 추출물의 발효물 및 땅콩 새싹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용 조성물
KR20140117168A (ko) 효소처리 타나까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105672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76671B1 (ko)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60054672A (ko) 대맥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용 조성물과 이의 이용
KR102622690B1 (ko) 벌나무 및 함박꽃나무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96500B1 (ko) 하이드록시데실유비퀴논, 식물성 스쿠알란 및 천연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17561B1 (ko)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4B1 (ko) 플라보노이드계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5032B1 (ko) 모르티에렐라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