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880B1 - 발아씨앗효소액을 이용한 germiferm 공정에 의한 식물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아씨앗효소액을 이용한 germiferm 공정에 의한 식물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880B1
KR101980880B1 KR1020180115936A KR20180115936A KR101980880B1 KR 101980880 B1 KR101980880 B1 KR 101980880B1 KR 1020180115936 A KR1020180115936 A KR 1020180115936A KR 20180115936 A KR20180115936 A KR 20180115936A KR 101980880 B1 KR101980880 B1 KR 101980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eed
enzyme solution
plant
r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지혜
황순석
김남경
김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래디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래디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래디안
Priority to KR1020180115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8Preparations for oil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아씨앗효소액을 이용한 "GERMIFERM 공정"에 의한 식물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피지 조절 효과 또는 피부 보습 및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발아씨앗효소액을 이용한 GERMIFERM 공정에 의한 식물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Method for production of plant fermentation product by germiferm process with germinated seeds enzyme solution and cosmetic composition therefrom}
본 발명은 식물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아씨앗효소액을 이용한 'GERMIFERM 공정'에 의한 식물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장품의 화학성분으로 인해 부작용이 발생하는 사례가 종종 알려지면서, 천연성분을 함유하여 제조되는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화장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발효 화장품 또한 시장이 급성장 하고 있다. 발효란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효소가 원재료를 변화시켜 이로운 성분을 만들어 내는 과정을 뜻하는데, 발효화장품은 이러한 발효 기술을 응용하여 효소가 세포를 활성화하는 기능을 화장품에 도입한 것이다. 발효 화장품은 천연원료가 발효에 의해 작은 크기로 미립자화되어 일반 화장품보다 흡수력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발효과정에서 피부에 좋은 각종 아미노산, 항산화 물질 등 유효성분이 증가하는 효과도 나타난다.
소비자들의 피부 친화적 제품으로 유기농 화장품이나 한방 화장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과 같이, 발효 화장품에 대한 선호도 및 인식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발효 화장품은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방법이 대표적인데, 발효과정 중에 발생하는 냄새 및 화장료 조성물로 미생물이 사용되는 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 대한 우려가 존재하여 새로운 발효 방법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식물 소재 천연물의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 또한 연구 개발의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68367호(2012.06.27.공개)는 저온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3 내지 15℃의 온도에서 발효물을 생성하는 저온 미생물을 이용하여 천연약용물질, 과실류, 야채류 및 한약재를 저온에서 발효하여 수득된 발효물을 포함하는 발효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36677호(2015.12.08.공개)는 지차 및 어성초 복합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어성초 지차 복합 추출물에 유용 미생물을 첨가, 배양하여 수득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발효 화장료 조성물의 한계였던 발효취 또는 미생물 발효방법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발효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식물추출물과 상기 식물의 씨앗효소액을 혼합한 후 발효시켜 제조하는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물은, 건조식물분말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되는 것이고, 상기 식물의 씨앗효소액은, 식물씨앗과 증류수를 발아조에 넣고, 상기 증류수를 순환시키면서 상기 식물씨앗을 소독 및 전처리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 후, 새로운 증류수를 넣어 순환시키면서 식물씨앗의 삼출액(exudate)이 분비되도록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b) 후, 상기 삼출액을 포함한 증류수를 수득하고 이것으로 상기 식물씨앗을 발아시키는 단계 (c);를 포함하는 과정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물과 상기 식물의 씨앗효소액은, 바람직하게 8 : 2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식물씨앗은, 바람직하게 24 시간 내지 48 시간 발아시킨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바람직하게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바람직하게 꽃인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연꽃 또는 유채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로 연꽃을 사용하여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연꽃발효물을 함유하는 피지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로 유채꽃을 사용하여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채꽃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로 유채꽃을 사용하여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채꽃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발아씨앗효소액으로 식물발효물을 제조하여 발효취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보다 친환경적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꽃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피지 조절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유채꽃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연꽃 씨앗 발아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유채꽃 씨앗 발아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발아 기간 별 연꽃 씨앗 효소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발아 기간 별 유채꽃 씨앗 효소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연꽃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지 조절 효과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유채꽃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 효과를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대조군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한 도면이다.
도 10은 유채꽃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식물추출물과 상기 식물의 씨앗효소액을 혼합한 후 발효시켜 제조하는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물은, 건조식물분말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되는 것이고, 상기 식물의 씨앗효소액은, 식물씨앗과 증류수를 발아조에 넣고, 상기 증류수를 순환시키면서 상기 식물씨앗을 소독 및 전처리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 후, 새로운 증류수를 넣어 순환시키면서 식물씨앗의 삼출액(exudate)이 분비되도록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b) 후, 상기 삼출액을 포함한 증류수를 수득하고 이것으로 상기 식물씨앗을 발아시키는 단계 (c);를 포함하는 과정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소위 "GERMIFERM 공정"(도 1 및 도 2 참고)이라 지칭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소위 "GERMIFERM 공정"의 발아 기술을 이용하여 효소액을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식물의 꽃(예로서, 연꽃 또는 유채꽃)을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발아(Germination)란 식물의 종자, 포자, 화분 및 가지나 뿌리 등에 생긴 싹이 발생 또는 생장을 개시하는 현상을 말한다.
발아는 수분 흡수, 배젖(albumen)의 영양소 분해, 물질의 새로운 합성을 거쳐 싹을 틔우는 과정으로 이어진다. 배젖의 저장 영양소는 종자에 따라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비율이 다르며, 발아 될 때 이용되는 영양소의 비율 및 영양소를 분해하는 효소의 종류도 달라진다. 발아과정에서 분비되는 대표적인 효소는 아밀라아제(amylase), 베타-글루코시다아제(β-glucosidase), 리파아제(lipase)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식물(예로서, 연꽃 또는 유채꽃) 씨앗의 발아는 전처리 된 씨앗을 증류수로 순환시켜 삼출액(exudate)이 분비되도록 유도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삼출액의 분비를 유도하기 위해 첨가되는 증류수는 기존의 소독 및 전처리를 위해 사용된 증류수를 제거한 뒤 새로운 증류수를 첨가하는 것이 좋다. 삼출액은 씨앗으로부터 발생하는 액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하기 본 발명의 실험에 의할 경우 삼출액에 의해 씨앗의 발아가 더욱 촉진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되는 발효물은 미생물을 이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이 경우 발효취의 발생 또는 미생물의 사용에 의해 소비자들의 부정적인 인식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이를 개선하여 발아 씨앗의 효소액을 이용하여 발효물을 제조하였으며, 이에 따라 발효취의 저감 및 씨앗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점에 대하여, 소비자의 인식 개선에 따라 선호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연꽃 또는 유채꽃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GERMIFERM 공정"을 적용시켜 보았다.
연꽃(Nelumbo nucifera)은 아시아 남부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가 원산지이며, 진흙 속에서 자라며 연못이나 논밭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나와서 높이 1~2m로 자란 잎자루 끝에 달리고 둥글다. 또한 지름 40cm 내외로서 물에 젖지 않으며 잎맥이 방사상으로 퍼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겉에 가시가 있고 안에 있는 구멍은 땅속줄기의 구멍과 통한다. 꽃은 7~8월에 피고 홍색 또는 백색이며 꽃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지름 15~20cm이며 꽃줄기에 가시가 있다.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수술은 여러개이다. 꽃받침은 크고 편평하며 지름 10cm 정도이고 열매는 견과이다. 종자가 꽃받침의 구멍에 들어있다.
유채꽃(Brassica napus)은 중국 원산의 두해살이풀로 키는 1m정도이다. 원줄기에서는 15개 안팎의 1차곁가지가 나오고 이 가지에서 다시 2~4개의 2차 곁가지가 나온다. 줄기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있으며 다소 깃처럼 갈라진다. 잎자루의 가장자리에는 이 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진한 녹색, 뒷면은 흰빛이 돈다. 잎자루에 자줏빛이 도는 경우도 있다. 잎은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갈라지지 않으며, 윗부분에 달린 잎은 밑부분이 귀처럼 처져서 원줄기를 감싼다. 줄기에는 보통 30~50개의 잎이 붙는다. 꽃은 4월경에 총상꽃차례로 피며 가지 끝에 달린다. 꽃의 색은 노란색이며 길이는 6mm 가량이다. 꽃받침은 피침상 배 모양이다. 꽃잎은 끝이 둥근 도란형이며 길이 10mm 정도이다. 6개의 수술 중 4개는 길고 2개는 짧으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끝에 긴 부리가 있는 원주형이며 중앙에는 봉합선이 있고, 익으면 봉합선이 갈라지며 20개의 암갈색의 종자가 나온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추출물과 상기 식물의 씨앗효소액은, 바람직하게 8 : 2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이 좋다. 이 비율에서 식물의 씨앗효소액에 의해 식물추출물의 발효가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의 식물씨앗은, 24 시간 내지 48 시간 동안 발아시킨 것이 좋다. 본 발명의 "GERMIFERM 공정"을 사용할 경우 상기 시간 내에 발아가 유도되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인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일 예로, 연꽃 또는 유채꽃일 수 있다. 식물로 연꽃을 사용하여 "GERMIFERM 공정"에 의해 제조된 연꽃발효물은 피지 조절 효능이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식물로 유채꽃을 사용하여 "GERMIFERM 공정"에 의해 제조된 유채꽃발효물은 피부 보습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식물로 유채꽃을 사용하여 "GERMIFERM 공정"에 의해 제조된 유채꽃발효물은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 발아 씨앗의 제조]
연꽃 씨앗 50 g과 유채꽃 씨앗 50g을 발아조(Circulation system)에 넣고, 증류수 100 L를 넣어 순환시키면서 1시간에 1번씩 증류수를 교체하며 6시간 순환시키면서 씨앗을 소독 및 전처리하였다. 이 과정에서 씨앗이 충분히 불려져 씨앗 표면을 약하게 하고, 표면에서 삼출액이 분비될 수 있다. 이후 기존의 증류수는 제거하고 새로운 증류수를 넣어 12시간 이상 순환시키면서 씨앗 삼출액(exudate)이 분비되도록 유도하였으며, 삼출액이 포함된 증류수에 소독 및 전차리 과정을 거친 씨앗을 침지시켜 발아시켰다.
대조군의 경우, 연꽃 씨앗은 침지조건으로 1일 1회 물을 교체하였으며, 유채꽃 씨앗은 탈지면을 이용하여 1일 3회 물을 공급하였다. 연꽃 씨앗과 유채꽃 씨앗 모두 상온의 명조건에서 발아를 진행하였으며, 균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클린벤치에서 배양하였다.
연꽃 씨앗의 발아율을 도 3에, 유채꽃 씨앗의 발아율을 도 4에 나타내었다. 연꽃 씨앗의 경우 대조군은 4일차에 발아가 완료된 반면, 발아조에서 발아시킨 경우 3일차에 발아가 완료되었다. 유채꽃 씨앗의 경우 대조군은 3일차에 발아가 완료된 반면, 발아조에서 발아시킨 경우 2일차에 발아가 완료되었다. 따라서, 발아조의 증류수 순환에 의해 씨앗으로부터 삼출액이 분비되도록 유도되고, 이에 따라 발아가 촉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1 : 발아 시간에 따른 발아 씨앗의 β-glucosidase 효소 활성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각각의 씨앗의 효소 활성을 측정하여 효소 활성이 가장 우수한 발아 씨앗을 발효물에 접종하기 위하여 β-glucosidase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것으로 삼출액에 의해 발아된 씨앗을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시킨 후 분쇄하였으며, 분쇄된 발아 씨앗을 37℃에서 열수추출 하여 효소액을 추출하여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다.
p-nitrophenyl-D-glucopiranoside(p-NPG) 1mM(in 0.1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7) 500㎕와 효소액 500㎕을 혼합한 후, 상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으며, 2시간 뒤, 50℃ water bath에서 30분간 추가 반응시켰다. Stop buffer(0.25M Sodium carbonate) 2㎖을 넣고 반응을 종료하였다. 이후, 420mm에서 흡광값을 측정하였다.
연꽃씨앗효소액의 β-glucosidase 효소 활성 측정 결과를 도 5에, 유채꽃씨앗효소액의 β-glucosidase 효소 활성 측정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연꽃씨앗효소액의 경우 48 시간 발아 시 가장 높은 효소 활성을 보였으며, 유채꽃씨앗효소액의 경우 24시간 발아 시 가장 높은 효소 활성을 보였다.
[실시예 2 : 발아 씨앗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
상기 실험예 1에서 가장 높은 효소 활성을 보인 48 시간 발아시킨 연꽃 씨앗의 효소액과 24시간 발아시킨 유채꽃 씨앗의 효소액을 이용하여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연꽃과 유채꽃은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건조된 연꽃의 꽃 5 kg 및 건조된 유채꽃 전초를 5 kg을 각각 분쇄기를 이용해 입자로 만든 후 90 ℃에서 3시간 열수 추출하였다. 추출 용매의 양은 100 L로 하였으며, 추출 후 1μm PP 필터를 이용하여 추출용액을 여과한 후 발효조에 투입하였다.
연꽃씨앗효소액과 연꽃추출물을 아래 표 1과 같이 발효조에 투입하여 혼합하고, 유채꽃씨앗효소액과 유채꽃추출물을 아래 표 2와 같이 발효조에 투입하여 혼합하고, 발효를 유도시켜 각각 연꽃발효물 및 유채꽃발효물을 제조하였다. 혼합비는 아래 표 1과 같다. 각각의 효소액과 추출물을 발효조에 투입하여 pH 5, 40℃에서 4일간 발효를 진행하여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효소액 (v/v) % 추출물 (v/v) %
제조예 1 10 90
제조예 2 20 80
제조예 3 30 70
제조예 4 40 60
제조예 5 50 50
효소액 (v/v) % 추출물 (v/v) %
제조예 6 10 90
제조예 7 20 80
제조예 8 30 70
제조예 9 40 60
제조예 10 50 50
[실험예 2 : 연꽃씨앗효소액으로 발효된 연꽃발효물의 성분 함량 분석]
본 실험예에서는 연꽃발효물의 캠퍼롤(kaempferol) 함량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캠퍼롤은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으로 강한 항산화작용을 나타낸다.
성분 분석은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였으며, HPLC의 조건은 아래 표 3과 같다.
System Agilent 1260A HPLC
Column ZORBOX Eclipse XDB C18 Column (4.6 × 150mm, 5㎛)
Flow rate 0.7ml/min
Detector UV, 280nm
Injection volume 20㎕
Mobile phase A) 0.1% Acetic acid in water
B) Acetromitrile
Time A(%) B(%)
0 90 10
28 60 40
39 40 60
50 10 90
60 90 10
65 90 10
대조군으로는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물로, Sacchoromyces cerecisiae(KCTC7923)을 10mg/ml p-NPG 0.1%가 함유된 YM 배지에서 1일간 배양 후 1,200 rpm 조건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사용하였다.
캠퍼롤(kaempferol) 함량 분석 결과는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 효소 처리 Kaempferol(ppm) 증가율 (%)
발효 전 발효 후
발아연꽃씨앗
효소액
제조예 1 550.49 34804.22 6322.41
제조예 2 63835.66 11596.15
제조예 3 49721.56 9032.24
제조예 4 42381.37 7698.85
제조예 5 37245.28 6765.84
미생물 효소액 1.3 U/ml 35217.71 6397.52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발아연꽃씨앗의 효소액에 의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추출물 내 캠퍼롤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제조예 2(효소액 20(v/v)% : 추출물 80(v/v)%)의 경우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미생물 효소액을 이용한 발효의 경우도 캠퍼롤의 함량이 증가하긴 하였으나, 그 증가폭이 발아 효소액을 이용한 경우보다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 유채꽃발효물의 성분 함량 분석]
본 실험예에서는 유채꽃발효물의 페룰산(ferulic acid) 함량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페룰산은 항균, 항종양 및 항산화 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분 분석은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였으며, HPLC의 조건은 상기 표 3과 같다.
대조군으로는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물로, Sacchoromyces cerecisiae(KCTC7923)을 10mg/ml p-NPG 0.1%가 함유된 YM 배지에서 1일간 배양 후 1,200 rpm 조건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사용하였다.
페룰산(ferulic acid)의 함량 분석 결과는 아래 표 5에 나타내었다.
시료 효소 처리 Ferulic acid(ppm) 증가율 (%)
발효 전 발효 후
발아유채꽃씨앗
효소액
제조예 6 339.32 479.52 141.32
제조예 7 896.82 264.30
제조예 8 694.33 204.62
제조예 9 635.7 187.35
제조예 10 516.51 152.22
미생물 효소액 1.3 U/ml 599.84 176.78
상기 표 5에서 보듯이 발아 유채꽃씨앗의 효소액에 의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추출물 내 페룰산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제조예 7(효소액 20(v/v)% : 추출액 80(v/v)%)의 경우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미생물 효소액을 이용한 발효의 경우도 페룰산의 함량이 증가하긴 하였으나, 그 증가폭이 발아 효소액을 이용한 경우보다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 연꽃발효물의 피지 조절 효과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험예 2에서 캠퍼롤 함량이 가장 많았던 제조예 2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지 조절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표 6과 같다.
Phase 원료명 INCI Wt%
A Montanov 202 Arachidyl Alcohol, Behenyl Alcohol, Arachidyl Glucoside 2.000
Silube T308-16 Cetyl PEG/PPG-10/1 Dimethicone 0.500
Tween 60 Polysorbate60 0.800
GTCC Caprylic/Capric Triglyceride 8.000
제조예 2 2.000
SF 0015Z Cyclopentasiloxane, Cyclohexasiloxane 5.000
별도 용해조에 A, B상 각각 투입 후 완전 용해 (80도)
B Water Water 52.400
EDTA-2Na Disodium EDTA 0.050
Sodium Chloride Sodium Chloride 0.200
Aminocoat Betaine 2.000
1,3-BG Butylene Glycol 10.000
AMP Ultra PC 2000 Aminomethyl Propanediol 0.050
1,2-Hexanediol 1,2-Hexanediol 2.000
별도 용해조에 C, D상 각각 투입 후 완전 분산 (실온, Azi Mixer)
C Wate Water 10.00
Lubrajel DV Glycerin, Glyceryl Acrylate/Acrylic Acid Copolymer, Propylene Glycol 2.00
D Water Water 2.94
Carbopol ETD 2020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06
Total 100.00
건성 피부 및 복합성 피부를 가진 피시험자 14명을 대상으로 T존(미간)에 2주간 적용 후 Soft Plus(Callegari사)를 이용하여 시료 처리에 의한 피지 조절능을 평가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제조예 2 대신 증류수를 동량 첨가하여 사용하였다.시험 결과는 아래 표 7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피지 조절 평가
항목 피시험자 사용 전 2주차 사용전 평균값 2주차 평균값 변화량
대조군 1 39 24 45 32 31.5 38.5 7
2 58 59 48 38 58.5 43 -15.5
3 89 82 19 13 85.5 16 -69.5
4 9 17 23 36 13 29.5 16.5
5 18 5 25 31 11.5 28 16.5
6 42 28 50 48 35 49 14
7 42 36 83 58 39 70.5 31.5
제조예 2 1 10 21 18 9 15.5 13.5 -2
2 48 67 19 37 57.5 28 -29.5
3 49 40 19 43 44.5 31 -13.5
4 80 63 68 58 71.5 63 -8.5
5 87 57 45 46 72 45.5 -26.5
6 67 64 15 31 65.5 23 -42.5
7 67 82 60 60 74.5 60 -14.5
상기 표 7 및 도 7에서 보듯이 제조예 2가 2%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을 2주간 사용시, T존 부위의 피지량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 유채꽃발효물의 피부 보습 효과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험예 3에서 페눌산 함량이 가장 많았던 제조예 7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보습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은 하기 표 8과 같다.
Phase Trade Name INCI Wt%
A Water Water 60.750
EDTA-2Na Disodium EDTA 0.050
Olivem 900 Sorbitan Olivate 1.000
Aminocoat Betaine 1.000
Allantoin Allantoin 0.200
Glycerin Glycerin 5.000
1,3-BG Butylene Glycol 7.000
1,2-Hexanediol 1,2-Hexanediol 2.000
DC 2501 Bis-PEG-18 Methyl Ether Dimethyl Silane 1.000
제조예 7 2.000
별도 용해도에 A, B상 각각 투입 후 완전 용해 (80도)
B Water Water 4.950
Natrosol 250HR Hydroxyethylcellulose 0.050
A상에 B상 투입 후 완전 분산
C Polyglyceryl-10
Oleate
Polyglyceryl-10 Oleate 1.00
GMS 205 Glyceryl Stearate SE 0.50
KF 6017 PEG-10 Dimethicone 0.50
Aloe Butter Cocos Nucifera (Coconut) Oil, Aloe Barbadensis Leaf Extract 1.00
Finsolv TN-O C12-15 Alkyl Benzoate 2.00
GTCC Caprylic/Capric Triglyceride 3.00
6 CS Dimethicone 5.00
별도 용해조에 C상 투입 후 완전 용해 (80도)
A+B상에 C상 투입 후 유화 (80도, Homo Mixer, RPM 2500-3000, 3min)
D Simulgel EG Sodium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Isohexadecane, Polysorbate 80 2.00
Total 100.00
건성 피부 및 복합성 피부를 가진 피시험자 14명을 대상으로 팔 안쪽에 2주간 적용 후 Soft Plus(Callegari사)를 이용하여 시료처리에 의한 보습 변화를 확인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제조예 7 대신 증류수를 동량 첨가하여 사용하였다.시험 결과는 아래 표 9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피부 보습 평가
항목 피시험자 사용 전 2주차 사용전 평균값 2주차 평균값 변화량
대조군 1 49 57 55 22 28 19 53.7 23.0 -30.7
2 66 43 56 65 71 60 55.0 65.3 10.3
3 89 100 90 98 88 100 93.0 95.3 2.3
4 57 43 36 37 30 22 45.3 29.7 -15.7
5 98 100 97 82 71 75 98.3 76.0 -22.3
6 39 12 8 72 69 50 19.7 63.7 44.0
7 56 66 66 21 26 8 62.7 18.3 -44.3
제조예 7 1 34 18 23 40 46 47 25.0 44.3 19.3
2 34 35 30 65 71 60 33.0 65.3 32.3
3 43 49 33 51 75 59 41.7 61.7 20.0
4 55 56 58 75 72 701 56.3 72.3 16.0
5 77 57 96 87 88 98 76.7 91.0 14.3
6 46 29 39 100 80 79 38.0 86.3 48.3
7 39 37 24 38 29 27 33.3 31.3 -2.0
상기 표 9 및 도 8에서 보듯이, 제조예 7이 2%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을 2주간 사용시 수분 함유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 유채꽃발효물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험예 3에서 페눌산 함량이 가장 많았던 제조예 7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표 8과 같다.
피시험자 2명을 대상으로 눈가에 상기 표 8의 화장료 조성물을 2주간 적용 후 Soft Plus(Callegari사)를 이용하여 시료처리에 의한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제조예 7 대신 증류수를 동량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대조군의 실험 결과를 도 9에, 제조예 7의 실험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9 및 도 10에서 보듯이, 제조예 7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주름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식물추출물과 상기 식물의 씨앗효소액을 혼합한 후 발효시켜 식물발효물을 제조하되,
    상기 식물추출물은,
    건조된 연꽃 분말 또는 유채꽃 분말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되는 것이고,
    상기 식물의 씨앗효소액은,
    연꽃 씨앗 또는 유채꽃 씨앗과 증류수를 발아조에 넣고, 상기 증류수를 순환시키면서 상기 씨앗을 소독 및 전처리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 후, 새로운 증류수를 넣어 순환시키면서 상기 씨앗의 삼출액(exudate)이 분비되도록 유도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b) 후, 상기 삼출액을 포함한 증류수에 상기 씨앗을 침지시켜 24~48시간 발아시킨 뒤, 발아된 씨앗을 건조하고 분쇄시킨 후 열수추출하는 단계 (c);를 포함하는 과정으로부터 제조되는 것이고,
    상기 발효는,
    상기 식물추출물과 상기 씨앗효소액을 7:3 내지 8:2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취가 저감된 식물발효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발효물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연꽃을 사용하여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연꽃발효물을 함유하는 피지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8. 유채꽃을 사용하여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채꽃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9. 유채꽃을 사용하여 제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유채꽃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115936A 2018-09-28 2018-09-28 발아씨앗효소액을 이용한 germiferm 공정에 의한 식물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0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936A KR101980880B1 (ko) 2018-09-28 2018-09-28 발아씨앗효소액을 이용한 germiferm 공정에 의한 식물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936A KR101980880B1 (ko) 2018-09-28 2018-09-28 발아씨앗효소액을 이용한 germiferm 공정에 의한 식물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0880B1 true KR101980880B1 (ko) 2019-05-24

Family

ID=66680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936A KR101980880B1 (ko) 2018-09-28 2018-09-28 발아씨앗효소액을 이용한 germiferm 공정에 의한 식물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8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10553A (zh) * 2021-11-01 2022-02-08 科丝美诗(广州)化妆品有限公司 一种用于控油、细致毛孔的组合物及其制备与应用
CN114028286A (zh) * 2021-11-01 2022-02-11 科丝美诗(广州)化妆品有限公司 一种控油、强化皮肤屏障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30007836A (ko) * 2021-07-06 2023-01-13 주식회사 래디안 오크라 발아 삼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147A (ko) * 1997-01-20 1998-10-15 배희동 종자를 이용한 효소산물 및 사료원료의 생산
KR20120068367A (ko) 2010-12-17 2012-06-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온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3035A (ko) * 2013-11-07 2015-05-15 (주)아모레퍼시픽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50136677A (ko) 2014-05-27 2015-12-0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차 및 어성초 복합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147A (ko) * 1997-01-20 1998-10-15 배희동 종자를 이용한 효소산물 및 사료원료의 생산
KR20120068367A (ko) 2010-12-17 2012-06-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저온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3035A (ko) * 2013-11-07 2015-05-15 (주)아모레퍼시픽 효소처리 유채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50136677A (ko) 2014-05-27 2015-12-0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차 및 어성초 복합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836A (ko) * 2021-07-06 2023-01-13 주식회사 래디안 오크라 발아 삼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55539B1 (ko) 2021-07-06 2023-07-13 주식회사 래디안 오크라 발아 삼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4010553A (zh) * 2021-11-01 2022-02-08 科丝美诗(广州)化妆品有限公司 一种用于控油、细致毛孔的组合物及其制备与应用
CN114028286A (zh) * 2021-11-01 2022-02-11 科丝美诗(广州)化妆品有限公司 一种控油、强化皮肤屏障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010553B (zh) * 2021-11-01 2024-01-30 科丝美诗(广州)化妆品有限公司 一种用于控油、细致毛孔的组合物及其制备与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005B1 (ko)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353054B1 (ko) 고로쇠 나무와 황칠 나무를 이용한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식품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723526B1 (ko)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0880B1 (ko) 발아씨앗효소액을 이용한 germiferm 공정에 의한 식물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66320B1 (ko)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20110076043A (ko)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77362B1 (ko) 상황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28939B1 (ko) 생물전환공법의 식물유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아토피 및 건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2811A (ko) 녹차추출물의 효모발효액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981016B1 (ko) 피부보습, 항산화 및 주름개선 기능성 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1842A (ko) 쪽동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방법
KR20160093427A (ko) 발효된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8601B1 (ko) 홍화의 상황버섯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 조성물
KR20190102364A (ko) 항노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26102B1 (ko) 홍국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81706B1 (ko)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1322B1 (ko) 닥나무 및 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5005A (ko) 항염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바오밥나무, 자근, 참마, 연근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8883B1 (ko) 상황버섯 균사체에 의한 복분자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원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00079825A (ko) 백합 추출물 함유 항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1758A (ko) 유자씨 유래 비당체 플라보노이드 함유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8146B1 (ko) 화이트윌로우바크(White Willow Bark), 북미사시나무껍질(Aspen Bark), 님잎(Azadirachta Indica Leaf), 청호(Atremisia Annua)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천연방부제 조성물
KR100510104B1 (ko) 루이보스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2622690B1 (ko) 벌나무 및 함박꽃나무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