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9825A - 백합 추출물 함유 항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백합 추출물 함유 항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9825A
KR20100079825A KR1020080138402A KR20080138402A KR20100079825A KR 20100079825 A KR20100079825 A KR 20100079825A KR 1020080138402 A KR1020080138402 A KR 1020080138402A KR 20080138402 A KR20080138402 A KR 20080138402A KR 20100079825 A KR20100079825 A KR 20100079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ily
fraction
fraction extract
so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만덕
백종윤
김용현
이현수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38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9825A/ko
Publication of KR20100079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8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7Lilium, e.g. tiger lily or Easter l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Abstract

본 발명은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된 백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균 조성물은 항균 및 항진균 효과가 인정되며, 이를 미용 및 생활용품 분야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백합 추출물, 항균, 열수추출, 유기용매

Description

백합 추출물 함유 항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Antibiotic Composition Containing Lily Extract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백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연물인 식물자원을 이용한 화장품의 국내외 기술 개발 동향은, 노화방지 화장품과 미백화장품의 개발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한방 화장비누는 많은 종류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전통적인 천연물의 기능성에 의존하여 개발하는 경우이며, 항균 효과와 같은 기술적인 면에서 과학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천연항생물질이란 천연 자원이나 미생물 자원으로부터 선택성, 생화학적 또는 생리학적 차이를 극대화하여 바이러스, 세균, 효모, 곰팡이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며 인체에는 무해하거나 또는 독성을 최소화한 항균제를 말한다. 천연 항생물질 가운데 식물 유래의 항균물질은, 새로운 치료약물의 개발원천으로 이용될 수 있다. 식물이 야생에서 감염성 질병으로부터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어기전의 하나로써, 항균물질을 만들기 때문이다. 또한, 천연 식물의 항균물질은 합성항균제 에 비해 독성이 적고, 부식성이 없어 인체에 안전하다는 특징이 있다.
백합은 백합과(Liliaceae) 나리속(Lilium)에 속하는 다년생초로 흔히 백합이라 하며 높이는 30~100 cm 정도이다. 백합은 크게 꽃, 잎, 줄기 및 구근 등으로 구분되며 관상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백합의 주요 분포지는 온대, 열대 및 산지이다. 백합은 그 종류가 다양하며, 북반구의 온대지방에 130 여종, 아시아에 70 여종, 북아메리카에 30 여종, 유럽에 10 여종 및 유라시아 대륙에 10 여종 이상의 품종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백합의 주요 성분으로는, 구근은 수분(67%), 탄수화물(27%), 단백질(3.7%) 및 지방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외에도 무기질, 비타민(B1, B2, C), 카로틴, 인(0.07%) 및 칼슘(0.01%) 등이 포함되어 있다. 백합의 주요 탄수화물 성분에는, 글루코오즈(glucose)와 만노오스(mannose)로 이루어진 글루코만난(glucomannan)을 주성분으로 하는 점질물이 함유되어 있다. 백합 구근의 기능성 성분으로는, 스타치(Starch, 약 14%), 가용성 폴리사카라이드(glucomannan, 4%), 피토스테롤(phytosterols), 파이로릭 알카로이드(pyrrolic alkaloids), 아미노산(amino acids), g-메틸렌 글루탐산(g-methylene glutamic acid) 및 탄니스(tannins) 등이 있다. 백합 꽃의 기능성 성분으로는,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 0.3%), 바닐린(vanillin, 2.5% 이하), p-하이드록시-m-메쏙시톨루엔(p-hydroxy-m-methoxytoluene, 50% 이하), p-크레졸(p-cresol), 리나롤(linalol), 터피네올(terpineol), 페닐에틸 알콜(phenylethyl alcohol), 아세틱(acetic), 팔미틱(palmitic), 벤조익(benzoic), 프로피오닉(propionic) 및 씨나믹에시드(cinnamic acids) 등이 있다. 백합 잎에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리나린(lilaline), 자트로핀(jatrophine) 및 카로테노이드(carotenoids) 등이 함유되어 있다. 백합 줄기에는, 여러 종류의 알카로이드, 당(starch), 단백질, 지질 및 다당류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외에도, 백합에는 레지로사이드(regloside) A와 D, 3,6-O-디페루로이슈크로즈(3,6-O-diferuloysucrose), 1-O-페루로이글리세롤(1-O-feruloyglycerol), 1-O-p-코우마로일글리세롤(1-O-p-coumaroylglycerol), 26-O-β-d-glu-코피라노실누아티제닌-3-O-α-l-람노피라노실-β-d-글루코프라노사이드(26-O-β-d-glu-copyranosylnuatigenin-3-O-α-l-rhamnopyranosyl-β-d-glucopranoside), 브라우니오사이드(brownioside), 디아크릴브라우니오사이드(deacylbrownioside), β1-솔라마진(β1-solamargine)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된다.
백합의 일반 성분연구에 관한 연구로는, 알카로이드 (alkaloids), 스테로이드성 사포닌(saponin)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으며, 다당류가 흑색종(melanoma B16) 및 폐암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유사분열 (mitogenic) 및 항 진균(antifungal) 활성 효과에 대한 연구 및 지질 과산화 억제(노화방지, 항 산화효과)에 대한 연구도 일부 보고되어 있다. 한의학에서도, 백합은 그 효능과 치료법에 있어서, 본초정요(本草精要),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김궤요략 및 동의민간요법 등에서,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며 기혈을 보호하고 폐를 윤택하게 하고, 부종(浮腫), 노창(老蒼), 비만(肥滿), 한열(寒熱) 및 전신두통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은 백합 추출물 함유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백합 추출물 함유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된 백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조성물은, 항균 및 항진균 효과가 인정되며, 이를 미용 및 생활용품 분야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백합 추출물 함유 항균 조성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백합 추출물은 열수추출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백합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에 추출되며, 상기 유기용매는, 예를 들어, 메탄올, 부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는, 물, 메탄올 및 부탄올 등의 극성용매와 헥산,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비극성 용매를 이용하여 백합 중의 유효성분을 추출하게 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백합 추출물은, 열수추출물, 메탄올 분획 추출물, 헥산 분획 추출물,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부탄올 분획 추출물 및 물 분획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는 백합 시료에 대해 극성용매와 비극성용매로 교차 추출하여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분획 추출물”은, 혼합되지 않는 둘 이상의 용매에 추출대상 물질을 침지시켜 분획(fractionation)하면 둘 이상의 용매층으로 분획이 이루어지게 되고, 분획된 특정 용매층으로부터 얻어지는 추출물의 형태를 의미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백합 추출물은 백합의 구근, 잎, 줄기, 꽃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이는, 백합 전체를 한번에 추출하는 것보다, 부위별로 추출함으로써, 특정 균에 대한 항균 효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백합 추출물은, 백합 구근 추출물, 백합 잎 추출물, 백합 줄기 추출물 및 백합 꽃 추출물을 포함하며, 나아가 백합의 구근, 잎, 줄기 또는 꽃 중에서 둘 또는 그 이상을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합 추출물 함유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백합 추출물 함유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누 또는 화장품 등의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백합 추출물 함유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균 비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비누는, 피부에 사용 시 통기성 피막을 형성하여 피부와의 친화력이 우수하고, 피부 유연효과가 탁월할 뿐만 아 니라, 피막의 형성에 따라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주는 효능이 인정된다.
그러나, 백합 추출물을 정제하지 않고 비누에 다량으로 혼합할 경우에는, 장시간 보관시 변색, 변취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항균 비누는, 비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백합 추출물 0.0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항균 비누에서, 백합 추출물의 함량은, 비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는, 장기간 보존에 따른 변질을 방지하고, 피부 미용 및 항균 효과를 최적화한 범위이다.
또한, 다량의 백합 추출물이 첨가되면, 비누의 경도를 저하시키고, 제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항균 비누를 제조시,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을 혼합 사용한 결과, 비누의 용해도 및 경도가 향상되고, 기포력도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항균 비누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항균 비누는, 비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 1~10 중량%를 포함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2~4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백합 추출물 함유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조방법은, 백합을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백합은 구근, 잎, 줄기, 꽃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 부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는, 물, 메탄올 및 부탄올 등의 극성용매와 헥산,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 등의 비극성 용매를 이용하여 백합 중의 유효성분을 추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첫번째 방법은, 열수추출 공정을 통해 백합 추출물을 추출하는 것이고, 두 번째 방법은, 극성 용매와 비극성 용매를 교대로 사용하여 백합 추출물을 추출하는 것이다.
먼저, 일실시예에서, 상기 백합 추출물은 열수추출 공정을 통해 추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백합 시료에 물을 첨가한 후 고온 조건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건조된 백합 300 g을 준비하고 900 ml의 증류수를 첨가해 혼합한 후, 100℃에서 60 분 동안 고압, 멸균하여 추출하게 된다. 추출된 물질은 여과과정을 거쳐 감압농축하는 후처리 공정을 더 거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백합 추출물은, 극성 용매와 비극성 용매를 교대로 처리하는 공정을 통해 추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조방법은,
(a) 백합에 메탄올을 첨가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얻는 공정;
(b) 상기 (a) 공정의 메탄올 추출물에 헥산을 사용하여 헥산 분획추출물을 얻는 공정;
(c) 상기 (b) 공정의 헥산 분획추출물과 분리된 하층에 클로르포름을 가하여 클로르포름 분획추출물을 얻는 공정;
(d) 상기 (c) 공정의 클로르포름 분획추출물과 분리된 상층에 에틸 아세이트를 첨가하여 에틸아세이트 분획추출물을 얻는 공정;
(e) 상기 (d) 공정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추출물과 분리된 하층에 부탄올을 혼합하여 부탄올 분획추출물을 얻는 공정; 및
(f) 상기 (e) 공정의 부탄올 분획추출물과 분리된 물층을 감압 농축하여 물 분획추출물을 얻는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a) 공정은 건조된 백합을 메탄올에 냉침함으로써 메탄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a) 공정 이전에, 백합 시료에 대한 전처리 공정을 추가적으로 더 거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전처리 공정은, 백합을 구근, 잎, 줄기 및 꽃으로 나누어 건조 후 파쇄하는 공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백합을 세척하고, 꽃, 잎, 줄기 및 구근으로 나누어 완전히 건조시킨 다음, 부위별로 믹서 등을 이용하여 파쇄하여 추출용 시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효과를 예시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백합 시료의 준비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백합은, 산나팔나리를 사용하였다. 준비된 백합을 깨끗이 세척한 다음, 구근, 잎, 줄기 및 꽃으로 나누어 70℃에서 15 시간 동안 건조(DRYING OVEN)시켰다. 건조물을 부위별로 후드믹서(FM-700W, Hanil)을 이용하여 파쇄하고 추출용 시료로 준비하였다.
도 1과 2에는 채취한 백합을 촬영한 사진을 도시하였다. 도 1에는 채취한 백합 및 이를 부위별로 나눈 모습이 나타나 있으며, 도 2에는 백합을 부위별로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형태로 가공한 모습이 나타나 있다.
[실시예 2] 백합 시료에 대한 열수추출
실시예 1에서 준비한 백합 시료 300 g을 정량하여 비커에 넣고, 시료가 잠기도록 증류수 1 L를 가하여 혼합하였다. 그런 다음, 100℃에서 3 시간 동안 환류냉각기를 이용하여 수용액 상에서 3 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된 물질은, 진공장치(Aspirator; EYELA, A-3S, Tokyo rikakikai co.)로 여과 후, 회전 감압 농축기(Rotavapor, Buchi RE-111, Switzerland)를 사용하여 감압 건조하여, 열수 추출물(LIP-A)을 얻었다. 추출은 백합의 부위에 따라 시료 별로 잎, 구근, 줄기 및 꽃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시예 3] 물과 유기용매를 이용한 백합 시료의 추출
3-1. 메탄올 분획 추출물(LIP-M)
실시예 1에서 준비한 백합시료 300 g을 정량하여 비커에 넣고, 메탄올 900 ml를 첨가하여 냉침을 실시하였다. 24 시간 동안 냉침을 실시한 후, 메탄올층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메탄올층을 감압 농축하여, 메탄올 분획 추출물(LIP-M)을 얻었다.
3-2. 헥산 분획 추출물(LIP-H)
상기 3-1의 백합의 메탄올 추출액을 분액 깔대기에 1 v/v을 넣고, 헥산 10 v/v과 물 9 v/v의 비율(백합 메탄올 추출물 : 물 : 핵산 = 1 : 9 : 10)로 가하였다. 각각의 용매가 잘 섞이도록 반복적으로 흔들어 준 다음, 헥산층과 물층이 분리되도록 정체하였다. 그 결과, 상층에는 헥산층이 형성되고, 하층에는 물층이 형성되었다. 하층에 형성된 물층은 잘 분리하여 다른 분액 깔대기에 보관하였다. 헥산을 가하여 헥산층을 분리하는 과정을 3 회 반복하였다. 분리된 핵산층은 80℃에서 감압 농축하여 백합의 헥산 분획 추출물(LIP-H)을 얻었다.
3-3.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LIP-C)
상기 3-2에서 헥산층과 분리된 하층에, 클로르포름을 1:1(v/v)의 비율로 가하여 혼합한 후, 분액 깔대기를 이용하여 클로로포름층을 분리하였다. 클로로포름을 가하여 클로로포름층을 분리하는 과정을 3 회 반복하였다. 분리된 클로로포름층은 80℃에서 감압농축하여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LIP-C)를 얻었다.
3-4.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LIP-E)
상기 3-3에서 클로르포름층과 분리된 상층에, 에틸아세테이트를 1:1(v/v)의 비율로 가하여 혼합한 후, 분액깔대기를 이용하여 에틸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는 과정을 3 회 반복하였다.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층은 80℃에서 감압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LIP-E)을 얻었다.
3-5. 부탄올 분획 추출물(LIP-B)
상기 3-4에서 에틸아세테이트층과 분리된 하층에, 부탄올을 1:1(v/v)의 비율로 가하여 혼합한 후, 분액깔대기를 이용하여 부탄올층을 분리하였다. 부탄올을 가하여 부탄올층을 분리하는 과정을 3 회 반복하였다. 분리된 부탄올층은 80℃에서 감압농축하여 부탄올 분획 추출물(LIP-B)을 얻었다.
3-6. 물 분획 추출물(LIP-W)
상기 3-5에서 부탄올층과 분리된 물층을, 80℃에서 감압농축하여 물 분획 추출물(LIP-W)을 얻었다.
도 3에는 상기 실시예 2의 백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1] 백합의 부위별 추출물의 수율 비교
상기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백합 추출물들에 대한 추출량 및 수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추출물의 수율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하였다.
Figure 112008091062549-PAT00001
부위 분획 1 차 2 차 평균
추출량 (g) 수율 (%) 추출량 (g) 수율 (%) 추출량 (g) 수율 (%)
구근 H1) 1.12 0.37 1.51 0.50 1.31 0.44
C2) 0.37 0.12 0.64 0.21 0.51 0.17
E3) 0.18 0.06 0.62 0.21 0.40 0.13
B4) 0.45 0.15 3.36 1.12 1.90 0.63
W5) 1.64 0.55 8.52 2.84 5.08 1.69
M6) 0.56 0.19 0.49 4.85 0.52 2.52
A7) 4.34 86.88 - - 4.34 86.88
H 5.16 1.72 2.37 0.79 3.76 1.25
C 0.34 0.11 0.68 0.23 0.51 0.17
E 0.59 0.20 0.71 0.24 0.65 0.22
B 11.03 3.68 - - 11.03 3.68
W 24.43 8.14 - - 24.43 8.14
M 1.43 14.31 - - 1.43 14.31
A 2.38 23.84 - - 2.38 23.84
줄기 H 0.08 0.03 - - 0.08 0.03
C 0.34 0.11 - - 0.34 0.11
E 0.64 0.21 - - 0.64 0.21
B 5.06 1.69 - - 5.06 1.69
W 20.79 6.93 - - 20.79 6.93
M 1.39 13.86 - - 1.39 13.86
A 0.74 7.40 - - 0.74 7.40
H 0.53 1.33 - - 0.53 1.33
C 0.34 0.86 - - 0.34 0.86
E 0.33 0.83 - - 0.33 0.83
B 2.45 6.13 - - 2.45 6.13
W 4.91 12.29 - - 4.91 12.29
M 1.05 21.06 - - 1.05 21.06
A 2.10 42.09 - - 2.10 42.09

+줄기
OBM8) 11.16 11.16 - - 11.16 11.16
OSM9) 1.84 3.68 - - 1.84 3.68
OMM10) 5.31 5.31 - - 5.31 5.31
OBA11) 9.80 9.80 - - 9.80 9.80
OSA12) 3.12 6.25 - - 3.12 6.25
OMA13) 2.60 2.60 69.82 34.91 36.21 18.76
상기 표 1에서, 1) 헥산, 2) 클로로포름, 3) 에틸아세테이트, 4) 부탄올, 5) 물, 6) 메탄올, 7) 열수 추출, 8) Oriental Berlin 메탄올 추출, 9) Oriental Siberia MeOH 추출물, 10) Oriental Medusa 메탄올 추출, 11) Oriental Berlin 열수 추출, 12) Oriental Siberia 열수 추출, 13) Oriental Medusa 열수 추출 및 14) 추출량을 의미한다.
표 1을 참조하면, 백합의 부위별(구근, 잎, 줄기, 꽃)로 다양한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탄올 분획 추출물의 경우에 수율이 가장 우수하며, 물 분획 추출물과 부탄올 분획 추출물 순으로 수율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항균 활성 측정 실험
2-1. 실험대상 균주의 선별
균주는 인체병원균 20 종을 선택하였다. 선택된 균주는 하기 표 2와 같다.
번호 사용 균주 Gram
1  Streptococcus pyogenes A308 +
2  Streptococcus pyogenes A77 +
3  Streptococcus faecium MD8b +
4  Staphylococcus aureus SG511 +
5  Staphylococcus aureus 285 +
6  Staphylococcus aureus 503 +
7  Escherichia coli O 78 -
8  Escherichia coli DC 0 -
9  Escherichia coli DC 2 -
10  Escherichia coli TEM -
11  Escherichia coli 1507E -
12  Pseudomonas aeruginosa 9027 -
13  Pseudomonas aeruginosa 1592E -
14  Pseudomonas aeruginosa 1771 -
15  Pseudomonas aeruginosa 1771M -
16  Salmonella typhimurium -
17  Klebsiella oxytoca 1082E -
18  Klebsiella aerogenes 1522E -
19  Enterobacter cloacae P99 -
20  Enterobacter cloacae 1321E -
21 Propionibacterium acnes KCTC 3314 +
22  Streptococcus mutans ATCC 25175 +
23  Candida albicans KCTC 7965 진균
2-2. 항균 활성 측정
백합 추출물의 항균활성 검색실험은 페이퍼 디스크 방법을 사용하였다. 항균성 검색에 사용한 각 균주는 사면배지에서 배양된 것을 1 백금이를 취해 10 ml 뉴트리언트 브로스(NB, Difco)의 균 생육배지에 접종하여 16 시간 동안 활성화시켰다. 또한, 항균성 실험용 평판배지는 멸균한 뮬러 힌턴 아가(Muller hinton agar, Difco) 배지를 사용하여 페트리 디쉬에 15 ml씩 분주하여 굳혀서 사용하였다. 건조된 MHA 배지에 미리 활성화시킨 각 균주 50 ㎕ 씩을 면봉으로 도말하였다. 멸균된 필터 페이퍼 디스크 (8 mm : 1.5 mm, Toyo Roshi Kaisha, ltd., Japan)를 균이 접종된 배지표면에 놓고 밀착시킨 후, 백합 추출물을 20% 디엠에스오(DMSO)에 녹여 1000 mg/ml 농도로 100 ㎕ 씩 흡수시켰다. 또한 각각의 추출물 시료들을 100 mg/ml, 10 mg/ml, 1 mg/ml 농도로 100 ㎕ 씩 10 배를 희석시켜 디스크에 흡수시켰다. 디스크에 백합 추출물을 흡수시킨 배지는 실온에서 15 분간 방치시켜 디스크를 건조시킨 후, 37℃로 배양기에서 16 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배양이 완료된 후에, 디스크 주변에 생성된 억제대(mm)의 크기를 버니어 켈리퍼(vernier caliper, NO.99MAC002M4, Mitutoyo, Japan)로 측정하여 각 분획물의 항균 활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각 부위별 분획추출 및 유기용매의 항균 활성실험에 대한 결과는 표 3 내지 표 6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에서, ND는 항균활성이 없음을 의미한다.
 백합부위
추출용매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농도(mg/ml)
사용균주
직경 (mm) 직경 (mm) 직경 (mm) 직경 (mm)
500 50 500 50 500 50 500 50
S. pyogenes A308 ND ND ND ND ND ND ND ND
S. pyogenes A77 ND ND ND ND ND ND ND ND
S. feacium MD8b 13 13 19 14 27 25 13 -
S. aureus SG511 15 13 20 17 31 23 16 13
S. aureus 285 15 14 16 15 19 12 - -
S. aureus 503 - - 18 16 20 13 18 17
E. coli O 78 11 11 13 12 15 12 14 13
E. coli DC 0 12 12 13 12 15 13 11 -
E. coli DC 2 13 13 22 14 16 13 13 12
E. coli TEM 12 12 13 12 16 13 14 13
E. coli 1507E 11 11 13 12 16 13 11 -
P. aeruginosa 9027 12 12 13 13 17 13 14 12
P. aeruginosa 1592E 12 12 13 12 18 14 13 13
P. aeruginosa 1771 12 12 16 15 20 15 14 14
P. aeruginosa 1771M 12 12 15 14 21 16 14 13
S. typhimurium 11 11 12 11 16 13 12 12
K. oxytoca 1082E 9 9 14 13 17 14 13 13
K. aerogenes 1522E 11 9 13 12 17 14 13 12
E. cloacea P99 12 12 13 15 17 15 14 14
E. cloacea 1321E 11 11 13 14 16 13 12 12
[표 3] (계속)
  백합부위
추출용매 메탄올 열수
농도(mg/ml)
사용균주
직경 (mm) 직경 (mm) 직경 (mm)
500 50 500 50 500 50
S. pyogenes A308 ND ND ND ND ND ND
S. pyogenes A77 ND ND ND ND ND ND
S. feacium MD8b 15 13 14 12 10 12
S. aureus SG511 9 - 14 11 13 10
S. aureus 285 - - 13 12 9 9
S. aureus 503 10 - 14 12 9 8
E. coli O 78 12 12 12 12 13 12
E. coli DC 0 11 11 10 10 13 12
E. coli DC 2 12 12 13 12 13 12
E. coli TEM 13 12 14 11 14 14
E. coli 1507E 13 12 11 11 13 12
P. aeruginosa 9027 11 11 15 14 14 13
P. aeruginosa 1592E 12 12 12 11 14 13
P. aeruginosa 1771 13 12 20 17 13 12
P. aeruginosa 1771M 12 12 17 16 12 12
S. typhimurium 9 9 10 10 - -
K. oxytoca 1082E 10 10 11 11 11 10
K. aerogenes 1522E 11 10 11 12 13 12
E. cloacea P99 12 12 13 12 14 13
E. cloacea 1321E 10 12 10 12 10 12
표 3을 참조하면, 백합의 잎 추출물은 20 개 MIC 균주들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며, 추출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의 항균활성능력이 가장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잎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은 31 mm의 억제대를 가지며, S. aureus SG511에 가장 뛰어난 항균활성능력을 보였다. 그리고, S. feacium MD8b 에서도 27 mm의 억제대를 가지며 우수한 항균력을 보였다.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 역시 E. coli DC 2 에서 높은 항균 활성능력을 보였다.
백합 잎 추출물의 항균 활성능력 효과를 관찰한 결과는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4는 S. faecium MD8b 생장에 대한 백합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관찰한 결과이다(A: 잎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 500 mg/ml, B: 잎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 50 mg/ml, C: 잎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500 mg/ml, D: 잎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50 mg/ml). 도 5는 S. aureus SG511 생장에 대한 백합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관찰한 결과이다(A: 잎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 500 mg/ml, B: 잎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 50 mg/ml, C: 잎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500 mg/ml, D: 잎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50 mg/ml). 그리고, 도 6은 P. aeruginosa 1592E 생장에 대한 백합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관찰한 결과이다(A: 잎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 500 mg/ml, B: 잎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 50 mg/ml, C: 잎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500 mg/ml, D: 잎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50 mg/ml).
백합부위 줄기
추출용매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농도(mg/ml)
사용 균주
직경 (mm) 직경 (mm) 직경 (mm) 직경 (mm)
500 50 500 50 500 50 500 50
S. pyogenes A308 ND ND ND ND ND ND ND ND
S. pyogenes A77 ND ND ND ND ND ND ND ND
S. faecium MD8b - - 20 13 25 13 16 10
S. aureus SG511 34 18 34 15 38 27 19 15
S. aureus 285 23 15 28 14 21 13 - -
S. aureus 503 16 16 29 15 21 12 16 12
E. coli O 78 - - 14 12 15 12 15 13
E. coli DC 0 - - 14 12 14 13 11 -
E. coli DC 2 34 18 26 14 19 13 16 13
E. coli TEM 21 12 16 12 13 13 16 13
E. coli 1507E 20 12 14 12 14 13 15 13
P. aeruginosa 9027 29 13 15 11 14 12 15 12
P. aeruginosa 1592E 29 13 19 10 16 11 12 12
P. aeruginosa 1771 16 16 15 13 24 15 19 14
P. aeruginosa 1771M 22 14 24 14 22 17 16 15
S. typhimurium - - 19 9 14 12 12 12
K. oxytoca 1082E 21 13 16 12 14 12 14 12
K. aerogenes 1522E 29 13 14 12 13 12 14 13
E. cloacea P99 - - 14 14 14 14 13 12
E. cloacea 1321E 21 13 16 12 13 12 15 12
[표 4] (계속)
백합부위 줄기
추출용매 메탄올 열수
농도(mg/ml)
사용 균주
직경 (mm) 직경 (mm) 직경 (mm)
500 50 500 50 500 50
S. pyogenes A308 ND ND ND ND ND ND
S. pyogenes A77 ND ND ND ND ND ND
S. faecium MD8b 10 - 12 11 14 -
S. aureus SG511 10 - 15 12 - -
S. aureus 285 10 9 15 13 - -
S. aureus 503 9 - 15 13 14 -
E. coli O 78 11 11 13 12 12 11
E. coli DC 0 15 12 12 12 10 10
E. coli DC 2 14 13 22 11 13 11
E. coli TEM 13 13 12 12 9 9
E. coli 1507E 11 11 13 12 10 11
P. aeruginosa 9027 9 - 13 11 12 12
P. aeruginosa 1592E 12 12 11 10 12 11
P. aeruginosa 1771 13 12 18 17 16 14
P. aeruginosa 1771M 12 12 18 17 15 15
S. typhimurium - - 13 12 10 10
K. oxytoca 1082E 10 10 13 13 10 10
K. aerogenes 1522E 9 - 11 11 9 11
E. cloacea P99 13 13 12 12 11 12
E. cloacea 1321E 10 11 13 12 9 11
표 4를 참조하면, 백합의 줄기 추출물은 20 개 MIC 균주들에 대해 항균활성을 가지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과 헥산,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은 S. aureus SG511에 34 mm의 억제대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뛰어난 항균 활성능력을 보였다. 헥산 분획 추출물은, E. coli DC 2에서도 34 mm의 억제대를 나타내고, P. aeruginosa 9027과 P. aeruginosa 1592E에서도 29 mm의 억제대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높은 항균 활성능력을 보였다. 그리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은 S. feacium MD8b에서도 우수한 항균 활성능력을 보였다.
백합부위 구근
추출용매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n-buthyl alcohol
농도 (mg/ml)
사용 균주
직경 (mm) 직경 (mm) 직경 (mm) 직경 (mm)
500 50 500 50 500 50 500 50
S. pyogenes A308 ND ND ND ND ND ND ND ND
S. pyogenes A77 ND ND ND ND ND ND ND ND
S. faecium MD8b 15 15 13 - 25 13 15 -
S. aureus SG511 16 14 16 13 34 27 18 12
S. aureus 285 - - 13 12 21 13 - -
S. aureus 503 23 18 16 12 21 12 16 13
E. coli O 78 15 14 13 12 15 12 14 13
E. coli DC 0 - - 13 12 14 13 12 -
E. coli DC 2 14 12 17 13 19 13 16 14
E. coli TEM 13 13 13 12 13 13 13 10
E. coli 1507E 13 12 13 12 14 13 14 12
P. aeruginosa 9027 14 13 12 11 14 12 15 13
P. aeruginosa 1592E 13 12 13 10 15 11 14 13
P. aeruginosa 1771 13 13 14 13 24 15 15 15
P. aeruginosa 1771M 15 14 17 13 22 17 14 14
S. typhimurium 12 11 12 - 14 12 13 11
K. oxytoca 1082E 10 11 13 12 14 12 13 12
K. aerogenes 1522E 12 12 13 12 13 12 12 11
E. cloacea P99 12 12 13 13 14 13 14 13
E. cloacea 1321E 13 12 12 11 12 12 13 12
[표 5] (계속)
백합부위 구근
추출용매 메탄올 열수
농도 (mg/ml)
사용 균주
직경 (mm) 직경 (mm) 직경 (mm)
500 50 500 50 500 50
S. pyogenes A308 ND ND ND ND ND ND
S. pyogenes A77 ND ND ND ND ND ND
S. faecium MD8b 12 12 18 9 ND ND
S. aureus SG511 12 12 13 13 ND ND
S. aureus 285 - - 12 11 ND ND
S. aureus 503 - - 14 12 ND ND
E. coli O 78 11 11 13 13 ND ND
E. coli DC 0 11 11 12 11 ND ND
E. coli DC 2 12 12 12 12 ND ND
E. coli TEM 12 12 12 12 ND ND
E. coli 1507E 11 12 11 12 ND ND
P. aeruginosa 9027 11 11 13 12 ND ND
P. aeruginosa 1592E 13 12 11 11 ND ND
P. aeruginosa 1771 14 15 13 14 ND ND
P. aeruginosa 1771M 11 11 12 11 ND ND
S. typhimurium - - 14 12 ND ND
K. oxytoca 1082E 9 10 10 12 ND ND
K. aerogenes 1522E 11 11 10 11 ND ND
E. cloacea P99 11 11 11 12 ND ND
E. cloacea 1321E 10 12 10 11 ND ND
표 5를 참조하면, 열수는 지질성분이 많아, 처음 1.5 ml의 디엠에스오에 1.5 mg의 샘플을 녹이는 과정에서, 샘플이 잘 녹지 않았다. 3 ml의 디엠에스오를 더 첨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녹지 않았기에 실험을 할 수가 없었다.
백합 줄기와 구근 추출물의 항균 활성능력 효과를 관찰한 결과는,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내었다. 도 7은 S. aureus SG511 생장에 대한 백합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관찰한 결과이다(A: 줄기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 500 mg/ml, B: 줄기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 50 mg/ml, C: 줄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500 mg/ml, D: 줄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50 mg/ml). 도 8은 S. aureus SG511 생장에 대한 백합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관찰한 결과이다(A: 구근 메탄올 분획 추출물 500 mg/ml, B: 구근 메탄올 분획 추출물 50 mg/ml, C: 줄기 헥산 분획 추출물 500 mg/ml, D: 줄기 헥산 분획 추출물 50 mg/ml). 도 9는 S. aureus SG511 생장에 대한 백합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관찰한 결과이다(A: 구근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 500 mg/ml, B: 구근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 50 mg/ml, C: 구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500 mg/ml, D: 구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50 mg/ml). 그리고, 도 10은 S. faecium MD8b 생장에 대한 백합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관찰한 결과이다(A: 구근 메탄올 분획 추출물 500 mg/ml, B: 구근 메탄올 분획 추출물 50 mg/ml, C: 줄기 헥산 분획 추출물 500 mg/ml, D: 줄기 헥산 분획 추출물 50 mg/ml).
백합부위
추출용매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n-부틸 알코올
농도 (mg/ml)
사용 균주
직경 (mm) 직경 (mm) 직경 (mm) 직경 (mm)
500 50 500 50 500 50 500 50
S. pyogenes A308 ND ND ND ND ND ND ND ND
S. pyogenes A77 ND ND ND ND ND ND ND ND
S. faecium MD8b 10 10 - 14 19 12 18 11
S. aureus SG511 19 17 24 14 47 16 19 13
S. aureus 285 16 16 15 13 41 15 22 13
S. aureus 503 17 16 21 14 44 14 20 13
E. coli O 78 14 13 12 12 24 13 16 14
E. coli DC 0 14 14 12 12 14 12 14 13
E. coli DC 2 16 17 18 16 19 12 15 14
E. coli TEM 15 15 12 12 13 11 12 -
E. coli 1507E 15 15 14 12 15 13 13 11
P. aeruginosa 9027 15 15 14 12 18 11 15 14
P. aeruginosa 1592E 14 13 18 11 24 13 14 14
P. aeruginosa 1771 17 16 26 17 22 15 14 14
P. aeruginosa 1771M 19 20 25 16 30 17 17 17
S. typhimurium 15 15 12 12 16 11 13 12
K. oxytoca 1082E 14 14 13 13 22 13 14 13
K. aerogenes 1522E 15 15 18 11 14 12 13 12
E. cloacea P99 14 14 16 12 15 13 14 13
E. cloacea 1321E 14 14 13 13 18 13 15 15
[표 6] (계속)
백합부위
추출용매 메탄올 열수
농도 (mg/ml)
사용 균주
직경 (mm) 직경 (mm) 직경 (mm)
500 50 500 50 500 50
S. pyogenes A308 ND ND ND ND ND ND
S. pyogenes A77 ND ND ND ND ND ND
S. faecium MD8b 12 11 15 14 11 11
S. aureus SG511 16 9 25 15 14 12
S. aureus 285 9 - 24 14 11 9
S. aureus 503 10 9 24 14 11 10
E. coli O 78 10 10 12 12 11 10
E. coli DC 0 13 13 12 13 12 12
E. coli DC 2 12 12 17 12 12 12
E. coli TEM 11 11 17 12 10 12
E. coli 1507E - - 13 13 10 12
P. aeruginosa 9027 10 - 14 13 13 12
P. aeruginosa 1592E 12 12 13 12 12 12
P. aeruginosa 1771 12 12 17 18 14 13
P. aeruginosa 1771M 13 12 19 17 12 10
S. typhimurium - - 12 12 10 9
K. oxytoca 1082E 11 11 12 13 10 9
K. aerogenes 1522E 10 10 12 12 11 10
E. cloacea P99 12 12 12 13 13 12
E. cloacea 1321E 10 12 11 11 13 12
표 6을 참조하면, 20 개 균주들에 대해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꽃 추출물 중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의 항균활성능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꽃의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및 메탄올 분획 추출물은, 그람 양성균들에서 매우 우수한 항균활성능력을 보였으며, 구체적으로는, S. aureus SG511에서 44 mm, S. aureus 503에서 44 mm, S. aureus 285에서 41 mm의 억제대가 관찰되었다. 또한, 에틸아세테이트와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은, P. aeruginosa 1771M에서 각각 30 mm, 25mm의 억제대를 나타내며 뛰어난 항균 활성능력을 보였다.
백합 꽃 추출물의 항균 활성능력 효과를 관찰한 결과는,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1은 S. aureus SG511 생장에 대한 백합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관찰한 결과이다(A: 꽃 메탄올 분획 추출물 500 mg/ml, B: 꽃 메탄올 분획 추출물 50 mg/ml, C: 꽃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 500 mg/ml, D: 꽃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 50 mg/ml). 도 12는 S. aureus 285 생장에 대한 백합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관찰한 결과이다(A: 꽃 메탄올 분획 추출물 500 mg/ml, B: 꽃 메탄올 분획 추출물 50 mg/ml, C: 꽃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 500 mg/ml, D: 꽃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 50 mg/ml). 그리고, 도 13은 S. aureus 285 생장에 대한 백합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관찰한 결과이다(A: 꽃 에틸아세테이트 500 mg/ml, B: 꽃 에틸아세테이트 50 mg/ml).
[실험예 3] 항균 및 항진균에 대한 최소저해농도(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측정 실험
최소저해농도(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는 페이퍼 디스크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측정대상 균주 1 loop를 10 ㎖ 뉴트리언트 브로스(nutrient broth)에 접종한 후 37℃에서 18~20 시간 동안 혐기 또는 호기적으로 배양하여 이용하였다. 멸균된 뮬러 힌턴 아가 배지(Muller hinton agar, MHA)를 페트리 디쉬에 15 ㎖씩 분주하여 응고시킨 후, 균 배양액 50 ㎕를 접종하여 균일하게 도말하였다. 백합 추출물은 최초 농도를 100 ㎎/㎖로 2 배 연속 희석한 후 디스크에 분주하였으며, 37℃에서 24 시간 동안 혐기 배양하여 육안으로 관찰하여 증식된 농도와 억제된 농도로 결정하였다.
도 14에는, 산나팔나리(Lilium longiflorum)의 총 추출물을 이용하여, 진균인 C. albicans KCTC 7965에 대한 MIC 실험을 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14를 참조하면, 100 mg/ml 농도의 배지에서 성장을 하여 항진균 효과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콜로니의 크기로 보아 100 mg/ml 보다 고농도에서는 항진균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도 15에는, 산나팔나리의 총 추출물을 이용하여, 여드름균인 P. acnes KCTC 3314에 대한 MIC 실험 과정을 촬영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100 mg/ml에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충치균으로 알려진 S. mutans ATCC 25175에 대해서도 MIC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과정을 도 16에 도시하였다. 상기 충치균에 대해서는 100 mg/ml에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하기 표 7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MIC 실험결과를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사용 균주 샘플(산나팔나리; Lilium longiflorum)
최소저해농도(mg/ml)
  C. albicans KCTC 7965 100
  P. acnes KCTC 3314 100
  S. mutans ATCC 25175 100
[실시예 4] 백합 추출물 함유 항균비누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백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비누를 제조하였다. 비누 베이스(soap base)에 백합 추출물을 첨가하여 비누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백합 추출물을 다량으로 비누에 혼합할 경우에는, 장시간 보관시 변색 및 변취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비누의 경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소량 혼합하여 비누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비누의 구성성분들의 조성비는 하기 표 8과 같다.
항균 비누 구성 성분 함유량 (%)
  백합 추출물 0.01(0.01∼5)
  백합향 0.6
  STEARIC ACID 18
  MYRISTIC ACID 10
  LAURIC ACID 10
  TRIETHANOLAMINE 17
  LAURIC ACID DIETHANOLAMINE 2.5
  GLYCERINE 12
  SODIUM PALMATE 4
  SODIUM PALM KERNELATE 8
  POLYETHYLENE GLYCOL 400 3(1∼10)
  ETHANOL 0.5
  DISODIUM EDTA 0.2
  COCONUTFATTYACID DIETHANOLAMINE 5
  SUCROSE 5
  SODIUM HYDROXIDE 1.1
  물 3
100
상기 표 8의 조성 함량을 이용하여 제조된 비누는, 피부에 대한 미용 효과가 우수하고, 장기간 보존에 따른 변질의 문제점도 없으며, 수용액에 대한 용해도 및 경도가 일반 화장비누와 동일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1은 백합의 부위별 원료를 나타낸 사진들이다;
도 2는 백합의 유효성분 추출 및 정제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백합 추출물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S. faecium MD8b 생장에 대한 백합 추출물의 항균활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S. aureus SG511 생장에 대한 백합 추출물의 항균활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P. aeruginosa 1592E 생장에 대한 백합 추출물의 항균활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 내지 9는 S. aureus SG511 생장에 대한 백합 추출물의 항균활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S. faecium MD8b 생장에 대한 백합 추출물의 항균활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들이다;
도 11은 S. aureus SG511 생장에 대한 백합 추출물의 항균활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들이다;
도 12 ~ 13은 S. aureus 285 생장에 대한 백합 추출물의 항균활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들이다;
도 14는 C. albicans KCTC 7965 생장에 대한 백합 추출물의 MIC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들이다;
도 15는 P. acnes KCTC 3314 생장에 대한 백합 추출물의 MIC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들이다;
도 16은 S. mutans ATCC 25175 생장에 대한 백합추출물의 MIC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들이다.

Claims (6)

  1. 유효성분으로서, 백합의 열수추출물, 메탄올 분획 추출물, 헥산 분획 추출물,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부탄올 분획 추출물 및 물 분획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합 추출물 함유 항균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합 추출물은, 백합의 구근, 잎, 줄기, 꽃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합 추출물 함유 항균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누 또는 로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합 추출물 함유 항균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 제형은, 비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백합 추출물 0.0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합 추출물 함유 항균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 제형은, 비누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에틸렌 글리콜 1~10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합 추출물 함유 항균 조성물.
  6. 백합의 구근, 잎, 줄기, 꽃 또는 그들의 혼합물에 열수를 처리하거나, 물 또는 유기용매를 처리하여 추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백합 추출물 함유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80138402A 2008-12-31 2008-12-31 백합 추출물 함유 항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798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402A KR20100079825A (ko) 2008-12-31 2008-12-31 백합 추출물 함유 항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402A KR20100079825A (ko) 2008-12-31 2008-12-31 백합 추출물 함유 항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825A true KR20100079825A (ko) 2010-07-08

Family

ID=42640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402A KR20100079825A (ko) 2008-12-31 2008-12-31 백합 추출물 함유 항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982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0197A (zh) * 2018-02-09 2018-07-24 海盐县凌特生物科技有限公司 百合活性物质的制备方法
KR20210125203A (ko) 2020-04-08 2021-10-18 정원철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10145346A (ko) 2020-05-25 2021-12-02 정원철 멀구슬나무 열매와 잎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0197A (zh) * 2018-02-09 2018-07-24 海盐县凌特生物科技有限公司 百合活性物质的制备方法
KR20210125203A (ko) 2020-04-08 2021-10-18 정원철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210145346A (ko) 2020-05-25 2021-12-02 정원철 멀구슬나무 열매와 잎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4568B1 (ko) 발효된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06800B1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Sharma et al. Ethnomedicinal and pharmacological uses of Curcuma caesia
Tkachenko et al.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ethanolic extracts obtained from Ficus spp. leaves against Aeromonas hydrophila
KR20110024315A (ko) 천연 한방원료를 이용한 천연 항균 조성물
KR101495272B1 (ko) 3-도데카노일옥시-2-이소부티릴옥시-4-메틸펜타노익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Ugbabe et al. Preliminary phytochemical, antimicrobial and acute toxicity studies of the stem, bark and the leaves of a cultivated Syzygium cumini Linn.(Family: Myrtaceae) in Nigeria
KR20100079825A (ko) 백합 추출물 함유 항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63969B1 (ko) 유동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Bello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Moringa oleifera seed extracts on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and Staphylococcus aureus
KR102367027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1598194B1 (ko) 헤어 및 바디용 다기능 소취 화장료 조성물
Suara et al. Neutraceutical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methanol extract of Plukenetia conophora [Müll.-Arg. family Euphorbiaceae] leaves and physical properties of its cream formulations
KR101211669B1 (ko) 무릇으로부터 얻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70065187A (ko) 티트리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46387A (ko) 황금, 어성초, 쑥, 유자 추출물로 방부활성을 가지는화장료 조성물
Jayaprakasan et al. Ayurvedic preparation from Azadirachta indica, Terminalia chebula, Hemigraphis colorata extracts and its antimicrobial investigation
Ogbonna et al. Antibacterial Properties of Young and Mature Mango Leaves (Mangifera indica) Extract on Some Clinical Isolates
KR102619073B1 (ko) 인동초. 팔각향, 이끼 및 바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기능의 식물 복합 추출물 기반 화장료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3776001B2 (ja) 抗微生物活性剤
Zainudin et al. Phytochemical and Antimicrobial Analyses of Terminalia Catappa Linn. Ethanol Leaf Extract and Its Effect on Treating Pimple
Al_Shalah et al. The Potential Aqueous Extracts of Medical Plant and Alum against Bacteria, an in Vitro Study
Solaiman et al.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analysis of some medicinal plants of Bangladesh
KR102240480B1 (ko) 홍지네고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여드름 조성물
EP2512495B1 (en) Process for obtaining a standardised extract of quercetin an 3-o-methylquercetin from flowers of macela (achyrocline satureioides), and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aid extr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