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426B1 -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5426B1 KR102105426B1 KR1020190154014A KR20190154014A KR102105426B1 KR 102105426 B1 KR102105426 B1 KR 102105426B1 KR 1020190154014 A KR1020190154014 A KR 1020190154014A KR 20190154014 A KR20190154014 A KR 20190154014A KR 102105426 B1 KR102105426 B1 KR 1021054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pedestrian
- sensor
- crossing
- pedestrian cros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단보도 신호등의 녹색등이 켜진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상태에서 무리하게 횡단하려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 이를 억제 및 경고하는 기구물이 자동으로 작동되는 방식임에 따라, 이에 대한 사전 교육을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실시할 경우 해당 어린이들이 횡단보도를 무리하게 건너려다 발생되는 교통사고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도록 하는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는 스쿨존 내 횡단보도의 신호등(이하 “횡단보도 신호등”) 및 이러한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계되도록 설치되는 교통 신호등을 포함하는 도로교통신호기를 기반으로 설치되며, 교통 신호등의 하우징에 결합되는 메인 제어부 및 이러한 메인 제어부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횡단보도를 통행하는 보행자를 대상으로 교통사고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통 기술 분야 중 횡단보도 신호등의 녹색등이 켜진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상태에서 무리하게 횡단하려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 이를 억제 및 경고하는 기구물이 자동으로 작동되는 방식임에 따라, 이에 대한 사전 교육을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실시할 경우 해당 어린이들이 횡단보도를 무리하게 건너려다 발생되는 교통사고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도록 하는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쿨존(School Zone)은 어린이들이 교통사고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통학할 수 있도록 한 공간으로서, 아직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미숙해서 스스로의 안전을 지키기 힘든 만14세 미만의 어린이가 많이 통행하는 초등학교와 유치원의 주 출입문을 기준으로 주변 300m 이내로 지정된다. 또한, 이러한 스쿨존은 교통법의 개정으로 인해 2006년 6월부터 특수학교와 100인 이상의 보육시설에도 지정 및 관리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스쿨존은 다른 말로 '어린이보호구역'이라고도 한다.
이와 같이 스쿨존으로 지정된 곳에서는 자동차는 시속 30km 이하로 서행 운전하여야 하며, 아무 곳에 차를 세우거나 주차할 수 없고, 또한, 이곳에는 어린이가 다칠 수 있는 위험한 장애물을 놓을 수 없으며, 횡단보도 앞에서는 우선 멈춰야 하는 등 어린이가 안전하게 학교를 다닐 수 있도록 보호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스쿨존 설치 및 그에 기반하는 여러 안전규칙을 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초등학교 및 유치원 주변에서의 어린이 교통사고는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방안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횡단보도 신호등의 녹색등이 켜진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상태에서 무리하게 횡단하려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 이를 억제 및 경고하는 기구물이 자동으로 작동되는 방식임에 따라, 이에 대한 사전 교육을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실시할 경우 해당 어린이들이 횡단보도를 무리하게 건너려다 발생되는 교통사고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도록 하는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횡단보도 신호등의 녹색등이 켜진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상태에서 무리하게 횡단하려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 해당 카메라 모듈이 자동으로 작동되어 해당 지점을 중심으로 그 주변을 촬영하게 되어, 횡단보도에서 교통사고 발생 시 보행자 및 운전자 측의 과실 정도를 파악할 때 보다 정확한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는, 스쿨존 내 횡단보도(10)의 신호등(이하 “횡단보도 신호등(110)”이라 함) 및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110)과 연계되도록 설치되는 교통 신호등(120)을 포함하는 도로교통신호기(100)를 기반으로 설치되며, 상기 교통 신호등(120)의 하우징(121)에 결합되는 메인 제어부(130) 및 상기 메인 제어부(130)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상기 횡단보도(10)를 통행하는 보행자를 대상으로 교통사고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수단(140)을 포함하는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로서, 상기 보호수단(140)은,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110)의 지주(111)에 설치되는 제1 센서보호함체(141a) 및 상기 제1 센서보호함체(141a)에 자동차 도로(20)로부터 0.95m 이하의 높이로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자동차 도로(20)의 방향으로 인출 및 상기 제1 센서보호함체(141a) 내로의 수납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발광소자(141b) 그리고 상기 제1 센서보호함체(141a)에 대한 상기 발광소자(141b)의 인출 및 수납 동력을 제공하는 제1 센서이동모듈(141c)을 포함하는 발광센서부(141)와; 상기 자동차 도로(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횡단보도(10)를 중심으로 상기 발광센서부(141)의 반대쪽에 설치되며,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110)의 지주(111) 및 상기 제1 센서보호함체(141a)와 각각 대응되는 센서 지지포스트(142d) 및 제2 센서보호함체(142a) 그리고 상기 제2 센서보호함체(142a)에 상기 발광소자(141b)와 동일한 패턴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발광소자(141b)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수신하는 수광소자(142b) 및 상기 수광소자(142b)에 이동 동력을 제공하는 제2 센서이동모듈(142c)을 포함하는 수광센서부(142)와; 상기 자동차 도로(20)의 폭방향 길이에 해당되는 상기 횡단보도(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횡단보도(10)의 양측에 개별 설치되되, 각각은 상기 횡단보도(10)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횡단보도(10)의 일단으로부터 25∼35% 길이의 지점에 설치되며, 각각은, 상기 자동차 도로(20)에 매입 설치되되 상기 자동차 도로(20)의 도로 면으로 노출되는 상면에는 상기 횡단보도(10)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슬롯(143a-1)이 형성되는 하우징(143a)과, 상기 슬롯(143a-1)을 통해 상기 하우징(143a) 외부로의 인출 및 하우징(143a) 내부로의 수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하우징(143a)에 내장되며 인도 쪽을 향한 일면에는 상기 횡단보도(10)를 통한 횡단을 멈추라는 표시가 인쇄되는 횡단 보행 경고판(143b)과, 상기 횡단 보행 경고판(143b)의 상기 하우징(143a)에 대한 인출 및 수납 동력을 발생시키는 승하강 동력 발생부(143c)와, 상기 메인 제어부(130)로부터 상기 승하강 동력 발생부(143c)에 대한 작동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43d)을 포함하는 횡단 보행 방지부(143)와; 상기 메인 제어부(130)의 보호함체(131) 외면에 설치되며, 두 개의 상기 횡단 보행 방지부(143)와 각각 대응되어 상기 메인 제어부(130)의 작동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횡단 보행 방지부(143)들 중 해당되는 횡단 보행 방지부(143)를 중심으로 그 주변 영역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모듈(144) 및 제2 카메라 모듈(145)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센서부(141) 및 수광센서부(142)는 상기 횡단보도(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횡단보도(10)로부터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메인 제어부(130)는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110)의 작동에 대한 신호들이 수신되며,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110)의 녹색등이 켜지면 상기 발광센서부(141)들 및 수광센서부(142)들에 작동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1 센서이동모듈(141c) 및 제2 센서이동모듈(142c) 그리고 상기 발광소자(141b) 및 수광소자(142b)를 작동시키고,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110)의 녹색등이 1회 온(ON) 동작하는 전체 시간을 횡단 보행 가능 시간이라 정할 때,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110)의 녹색등이 켜진 후 상기 횡단 보행 가능 시간의 70% 이상의 시간이 경과된 상태에서 상기 수광센서부(142)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32)을 통해 상기 횡단 보행 방지부(143)들 중 신호를 입력한 상기 수광센서부(142)와 대응되는 횡단 보행 방지부(143)의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43d)에 작동 제어신호를 전송함과 함께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44) 또는 제2 카메라 모듈(145)을 작동시켜 촬영 동작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횡단보도 신호등의 녹색등이 켜진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상태에서 무리하게 횡단하려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 이를 억제 및 경고하는 기구물이 자동으로 작동되는 방식임에 따라, 이에 대한 사전 교육을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실시할 경우 해당 어린이들이 횡단보도를 무리하게 건너려다 발생되는 교통사고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횡단보도 신호등의 녹색등이 켜진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상태에서 무리하게 횡단하려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 해당 카메라 모듈이 자동으로 작동되어 해당 지점을 중심으로 그 주변을 촬영하게 되므로, 횡단보도에서 교통사고 발생 시 보행자 및 운전자 측의 과실 정도를 파악할 때 보다 정확한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에서 발광소자부 및 수광소자부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에서 횡단 보행 방지부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에서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에서 발광소자부 및 수광소자부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에서 횡단 보행 방지부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에서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구성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에서 발광소자부 및 수광소자부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에서 횡단 보행 방지부를 예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에서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는 스쿨존 내 횡단보도(10)의 신호등(이하 “횡단보도 신호등(110)”이라 함) 및 이러한 횡단보도 신호등(110)과 연계되도록 설치되는 교통 신호등(120)을 포함하는 도로교통신호기(100)를 기반으로 설치되며, 교통 신호등(120)의 하우징(121)에 결합되는 메인 제어부(130) 및 이러한 메인 제어부(130)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횡단보도(10)를 통행하는 보행자를 대상으로 교통사고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보호수단(140)은 발광센서부(141), 수광센서부(142), 횡단 보행 방지부(143), 제1 카메라 모듈(144) 및 제2 카메라 모듈(1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광센서부(141)는 횡단보도 신호등(110)의 지주(111)에 설치되는 제1 센서보호함체(141a), 제1 센서보호함체(141a)에 자동차 도로(20)로부터 0.95m 이하의 높이로 설치되는 동시에 자동차 도로(20)의 방향으로 인출 및 제1 센서보호함체(141a) 내로의 수납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발광소자(141b), 그리고 제1 센서보호함체(141a)에 대한 발광소자(141b)의 인출 및 수납 동력을 제공하는 제1 센서이동모듈(141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센서이동모듈(141c)은 공지된 기술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는 동시에 도면에서도 블록으로 간략하게 예시하였다. 부연 설명하면, 제1 센서이동모듈(141c)은 정역회전모터 및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는 구성 내지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를 이용하는 구성 등일 수 있다.
수광센서부(142)는 자동차 도로(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횡단보도(10)를 중심으로 발광센서부(141)의 반대쪽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수광센서부(142)는 횡단보도 신호등(110)의 지주(111) 및 제1 센서보호함체(141a)와 각각 대응되는 센서 지지포스트(142d) 및 제2 센서보호함체(142a)와, 제2 센서보호함체(142a)에 발광소자(141b)와 동일한 패턴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발광소자(141b)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수신하는 수광소자(142b)와, 수광소자(142b)에 이동 동력을 제공하는 제2 센서이동모듈(142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2 센서이동모듈(142c)은 공지된 기술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는 동시에 도면에서도 블록으로 간략하게 예시하였다. 부연 설명하면, 제2 센서이동모듈(142c)은 정역회전모터 및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는 구성 내지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를 이용하는 구성 등일 수 있다.
또한, 발광센서부(141) 및 수광센서부(142)는 횡단보도(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횡단보도(10)로부터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횡단 보행 방지부(143)는 자동차 도로(20)의 폭방향 길이에 해당되는 횡단보도(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횡단보도(10)의 양측에 개별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횡단 보행 방지부(143)는 횡단보도(10)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횡단보도(10)의 일단으로부터 25∼35% 길이의 지점에 설치된다. 또한, 횡단 보행 방지부(143)는 하우징(143a), 횡단 보행 경고판(143b), 승하강 동력 발생부(143c) 및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43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43a)은 자동차 도로(20)에 매입 설치되되, 자동차 도로(20)의 도로 면으로 노출되는 상면에는 횡단보도(10)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슬롯(143a-1)이 형성된다.
횡단 보행 경고판(143b)은 하우징(143a)의 슬롯(143a-1)을 통해 하우징(143a) 외부로의 인출 및 하우징(143a) 내부로의 수납이 이루어지도록 하우징(143a)에 내장된다. 또한, 횡단 보행 경고판(143b)는 인도 쪽을 향한 일면에 횡단보도(10)를 통한 횡단을 멈추라는 표시가 인쇄된다.
승하강 동력 발생부(143c)는 횡단 보행 경고판(143b)의 하우징(143a)에 대한 인출 및 수납 동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승하강 동력 발생부(143c)는 공지된 기술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는 동시에 도면에서도 블록으로 간략하게 예시하였다. 부연 설명하면, 승하강 동력 발생부(143c)는 정역회전모터 및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는 구성 내지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를 이용하는 구성 등일 수 있다.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43d)는 메인 제어부(130)로부터 승하강 동력 발생부(143c)에 대한 작동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제1 카메라 모듈(144) 및 제2 카메라 모듈(145)은 메인 제어부(130)의 보호함체(131) 외면에 각각 설치되며, 두 개의 횡단 보행 방지부(143)와 각각 대응되어 메인 제어부(130)의 작동 제어신호에 따라 횡단 보행 방지부(143)들 중 해당되는 횡단 보행 방지부(143)를 중심으로 그 주변 영역을 촬영한다.
메인 제어부(130)는 횡단보도 신호등(110)의 작동에 대한 신호들이 수신되며, 횡단보도 신호등(110)의 녹색등이 켜지면 발광센서부(141)들 및 수광센서부(142)들에 작동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제1 센서이동모듈(141c) 및 제2 센서이동모듈(142c) 그리고 발광소자(141b) 및 수광소자(142b)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130)는 횡단보도 신호등(110)의 녹색등이 1회 온(ON) 동작하는 전체 시간을 횡단 보행 가능 시간이라 정할 때, 횡단보도 신호등(110)의 녹색등이 켜진 후 상기 횡단 보행 가능 시간의 70% 이상의 시간이 경과된 상태에서 수광센서부(142)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32)을 통해 횡단 보행 방지부(143)들 중 신호를 입력한 수광센서부(142)와 대응되는 횡단 보행 방지부(143)의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43d)에 작동 제어신호를 전송함과 함께 제1 카메라 모듈(144) 또는 제2 카메라 모듈(145)을 작동시켜 촬영 동작이 진행되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횡단보도 신호등(110)의 녹색등이 켜진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상태에서 무리하게 횡단하려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 횡단 보행 방지부(143)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무리한 횡단 보행을 억제하는 동시에 경고하게 된다. 그리고 이는 보폭이 짧은 동시에 주의력이 부족하여 무리한 횡단 보행 시 교통사고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보다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부연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를 대상으로 어린이들에게 소정의 교육을 시키면, 어린이들은 횡단보도를 무리하게 건너려 하다가도 횡단 보행 경고판(143b)의 경고 표시를 확인하면서 횡단 보행을 멈추게 될 것이다.
또한, 횡단보도 신호등(110)의 녹색등이 켜진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된 상태에서 무리하게 횡단하려는 보행자가 있을 경우, 해당 카메라 모듈이 자동으로 작동되어 해당 횡단 보행 방지부(143)를 중심으로 그 주변을 촬영하게 되므로, 해당 횡단보도(10)에서 교통사고 발생 시 보행자 및 운전자 측의 과실 정도를 파악할 때 보다 정확한 영상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횡단보도 20 : 자동차 도로
100 : 도로교통 신호기 110 : 횡단보도 신호등
111 : 지주 120 : 교통 신호등
121 : 하우징 130 : 메인 제어부
131 : 보호함체 132: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140 : 보호수단 141 : 발광센서부
141a : 제1 센서보호함체 141b : 발광소자
141c : 제1 센서이동모듈 142 : 수광센서부
142a : 제2 센서보호함체 142b : 수광소자
142c : 제2 센서이동모듈 142d : 센서 지지포스트
143 : 횡단 보행 방지부 143a : 하우징
143a-1 : 슬롯 143b : 횡단 보행 경고판
143c : 승하강 동력 발생부 143d :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144 : 제1 카메라 모듈 145 : 제2 카메라 모듈
100 : 도로교통 신호기 110 : 횡단보도 신호등
111 : 지주 120 : 교통 신호등
121 : 하우징 130 : 메인 제어부
131 : 보호함체 132: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140 : 보호수단 141 : 발광센서부
141a : 제1 센서보호함체 141b : 발광소자
141c : 제1 센서이동모듈 142 : 수광센서부
142a : 제2 센서보호함체 142b : 수광소자
142c : 제2 센서이동모듈 142d : 센서 지지포스트
143 : 횡단 보행 방지부 143a : 하우징
143a-1 : 슬롯 143b : 횡단 보행 경고판
143c : 승하강 동력 발생부 143d :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144 : 제1 카메라 모듈 145 : 제2 카메라 모듈
Claims (1)
- 스쿨존 내 횡단보도(10)의 신호등(이하 “횡단보도 신호등(110)”이라 함) 및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110)과 연계되도록 설치되는 교통 신호등(120)을 포함하는 도로교통신호기(100)를 기반으로 설치되며, 상기 교통 신호등(120)의 하우징(121)에 결합되는 메인 제어부(130) 및 상기 메인 제어부(130)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상기 횡단보도(10)를 통행하는 보행자를 대상으로 교통사고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수단(140)을 포함하는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로서,
상기 보호수단(140)은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110)의 지주(111)에 설치되는 제1 센서보호함체(141a) 및 상기 제1 센서보호함체(141a)에 자동차 도로(20)로부터 0.95m 이하의 높이로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자동차 도로(20)의 방향으로 인출 및 상기 제1 센서보호함체(141a) 내로의 수납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발광소자(141b) 그리고 상기 제1 센서보호함체(141a)에 대한 상기 발광소자(141b)의 인출 및 수납 동력을 제공하는 제1 센서이동모듈(141c)을 포함하는 발광센서부(141);
상기 자동차 도로(2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횡단보도(10)를 중심으로 상기 발광센서부(141)의 반대쪽에 설치되며,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110)의 지주(111) 및 상기 제1 센서보호함체(141a)와 각각 대응되는 센서 지지포스트(142d) 및 제2 센서보호함체(142a) 그리고 상기 제2 센서보호함체(142a)에 상기 발광소자(141b)와 동일한 패턴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발광소자(141b)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수신하는 수광소자(142b) 및 상기 수광소자(142b)에 이동 동력을 제공하는 제2 센서이동모듈(142c)을 포함하는 수광센서부(142);
상기 자동차 도로(20)의 폭방향 길이에 해당되는 상기 횡단보도(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횡단보도(10)의 양측에 개별 설치되되, 각각은 상기 횡단보도(10)의 전체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횡단보도(10)의 일단으로부터 25∼35% 길이의 지점에 설치되며, 각각은, 상기 자동차 도로(20)에 매입 설치되되 상기 자동차 도로(20)의 도로 면으로 노출되는 상면에는 상기 횡단보도(10)의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슬롯(143a-1)이 형성되는 하우징(143a)과, 상기 슬롯(143a-1)을 통해 상기 하우징(143a) 외부로의 인출 및 하우징(143a) 내부로의 수납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하우징(143a)에 내장되며 인도 쪽을 향한 일면에는 상기 횡단보도(10)를 통한 횡단을 멈추라는 표시가 인쇄되는 횡단 보행 경고판(143b)과, 상기 횡단 보행 경고판(143b)의 상기 하우징(143a)에 대한 인출 및 수납 동력을 발생시키는 승하강 동력 발생부(143c)와, 상기 메인 제어부(130)로부터 상기 승하강 동력 발생부(143c)에 대한 작동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43d)을 포함하는 횡단 보행 방지부(143);
상기 메인 제어부(130)의 보호함체(131) 외면에 설치되며, 두 개의 상기 횡단 보행 방지부(143)와 각각 대응되어 상기 메인 제어부(130)의 작동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횡단 보행 방지부(143)들 중 해당되는 횡단 보행 방지부(143)를 중심으로 그 주변 영역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 모듈(144) 및 제2 카메라 모듈(145)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센서부(141) 및 수광센서부(142)는 상기 횡단보도(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횡단보도(10)로부터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메인 제어부(130)는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110)의 작동에 대한 신호들이 수신되며,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110)의 녹색등이 켜지면 상기 발광센서부(141)들 및 수광센서부(142)들에 작동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1 센서이동모듈(141c) 및 제2 센서이동모듈(142c) 그리고 상기 발광소자(141b) 및 수광소자(142b)를 작동시키고,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110)의 녹색등이 1회 온(ON) 동작하는 전체 시간을 횡단 보행 가능 시간이라 정할 때,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110)의 녹색등이 켜진 후 상기 횡단 보행 가능 시간의 70% 이상의 시간이 경과된 상태에서 상기 수광센서부(142)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32)을 통해 상기 횡단 보행 방지부(143)들 중 신호를 입력한 상기 수광센서부(142)와 대응되는 횡단 보행 방지부(143)의 상기 제1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43d)에 작동 제어신호를 전송함과 함께 상기 제1 카메라 모듈(144) 또는 제2 카메라 모듈(145)을 작동시켜 촬영 동작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4014A KR102105426B1 (ko) | 2019-11-27 | 2019-11-27 |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4014A KR102105426B1 (ko) | 2019-11-27 | 2019-11-27 |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5426B1 true KR102105426B1 (ko) | 2020-04-29 |
Family
ID=70466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4014A KR102105426B1 (ko) | 2019-11-27 | 2019-11-27 |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542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8855A (ko) | 2021-03-15 | 2022-09-22 | 이동기 | 표지판 장치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5223Y1 (ko) | 2003-06-20 | 2003-09-02 |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 횡단보도용 수신호기 |
KR100922416B1 (ko) * | 2009-02-25 | 2009-10-16 | 온오프코리아 주식회사 | 차량 및 보행자 알림 시스템 |
KR20130004561U (ko) | 2012-01-16 | 2013-07-24 | (주)이디씨엔티 | 스쿨존 내에 설치되는 교통신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신호 시스템 |
KR20140014987A (ko) * | 2012-07-27 | 2014-02-06 | 휴앤에스(주) | 스쿨존 안전통행 시스템 |
KR101383563B1 (ko) * | 2012-10-16 | 2014-04-17 | 에스케이네트웍스서비스 주식회사 | 스마트 볼라드를 이용한 교통관리 시스템 |
KR20160008931A (ko) * | 2014-07-15 | 2016-01-25 | 도로교통공단 | 음성안내 시스템 |
-
2019
- 2019-11-27 KR KR1020190154014A patent/KR10210542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25223Y1 (ko) | 2003-06-20 | 2003-09-02 |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 횡단보도용 수신호기 |
KR100922416B1 (ko) * | 2009-02-25 | 2009-10-16 | 온오프코리아 주식회사 | 차량 및 보행자 알림 시스템 |
KR20130004561U (ko) | 2012-01-16 | 2013-07-24 | (주)이디씨엔티 | 스쿨존 내에 설치되는 교통신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교통신호 시스템 |
KR20140014987A (ko) * | 2012-07-27 | 2014-02-06 | 휴앤에스(주) | 스쿨존 안전통행 시스템 |
KR101383563B1 (ko) * | 2012-10-16 | 2014-04-17 | 에스케이네트웍스서비스 주식회사 | 스마트 볼라드를 이용한 교통관리 시스템 |
KR20160008931A (ko) * | 2014-07-15 | 2016-01-25 | 도로교통공단 | 음성안내 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28855A (ko) | 2021-03-15 | 2022-09-22 | 이동기 | 표지판 장치 |
KR20230010806A (ko) | 2021-03-15 | 2023-01-19 | 이동기 | 표지판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112017006529B4 (de) | Einstrahlungs-steuervorrichtung und einstrahlungs-verfahren | |
KR101791601B1 (ko) | 지능형 교통안전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
EP3781439B1 (de) | Verfahren zur kommunikation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m verkehrsteilnehmer sowie kraftfahrzeu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 |
DE102017114212A1 (de) | Warnsignalsteuereinrichtung für den toten winkel beim fahrzeugspurwechsel | |
DE102018206087A1 (de) | Verfahren zur Kommunikation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m Verkehrsteilnehmer sowie Kraftfahrzeu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 |
EP3781438B1 (de) | Verfahren zur kommunikation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m verkehrsteilnehmer sowie kraftfahrzeu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 |
KR101019093B1 (ko) | 교통손상 예방을 위한 안전증진 표시장치 | |
KR101979389B1 (ko) |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안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KR101448233B1 (ko) | 방송 조명 차량 | |
NL2027801B1 (en) | Multi-lighting projection warning device for vehicle turning | |
DE102016007014A1 (de) | Verfahren zum Betrieb einer Kommunikations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 |
DE102009010623A1 (de) |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usgabe einer optischen Warninformation an einen Fahrzeugführer | |
DE102015115240A1 (de) | Fahrzeug mit Lichtprojektionssystem und Verfahren zur Erzeugung einer Sicherheitsmarkierung auf einer Bodenoberfläche | |
KR102105426B1 (ko) | 스쿨존 도로교통신호기의 보행자 안전장치 | |
KR20160092963A (ko) |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교차로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 |
KR20090013988A (ko) | 횡단보도 및 교차로의 정지선 단속 알림장치 | |
KR100389501B1 (ko) | 보행자 보호용 신호등 제어방법 | |
KR20230120954A (ko) | 딥러닝 기술 기반의 횡단보도 보행자 우회전차량 간 교통사고 예방 스마트 동영상 제공 전광판 | |
DE102016000440A1 (de) | Verfahren, Steuerungseinheit und Warnsystem | |
KR20180117776A (ko) |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 | |
KR20200089829A (ko) | 가변구간 설치용 차선 변환시스템 | |
KR101196611B1 (ko) | 스쿨존 횡단보도의 보행자 보호용 차단장치 | |
KR102605790B1 (ko) | 단일카메라를 이용한 다방향 보행자 알림 및 교통위반단속시스템 | |
JP2019036147A (ja) | 交通制御システム | |
Garay et al. | Effects of driving experience and lighting condition on driving performa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