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838B1 - 크로톤 포일라네이 추출물을 이용한 항진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크로톤 포일라네이 추출물을 이용한 항진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838B1
KR102104838B1 KR1020180110248A KR20180110248A KR102104838B1 KR 102104838 B1 KR102104838 B1 KR 102104838B1 KR 1020180110248 A KR1020180110248 A KR 1020180110248A KR 20180110248 A KR20180110248 A KR 20180110248A KR 102104838 B1 KR102104838 B1 KR 102104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croton
bacteria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1730A (ko
Inventor
강재신
김원희
오선혜
박한솔
웅삼앗
마스팔 크라이
조성현
김양선
김정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재단법인 농축산용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재단법인 농축산용미생물산업육성지원센터 filed Critical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Priority to KR1020180110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838B1/ko
Publication of KR20200031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8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8Euphorbiaceae [Spurge family], e.g. ricinus [castorbe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7Euphorbiaceae (Spurge family), e.g. Ricinus (castorbe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로톤 포일라네이(Croton poilanei) 추출물을 이용한, 클라도스포리움 레시네균(Cladosporium resinae), 크립토코커스 네오포르만스균(Cryptococcus neoformans), 페니실리움 마르네페이균(Penicillium marneffei), 스타키보트리스 카르타룸균(Stachybotrys chartarum) 등의 병원성 진균과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인수공통 병원성 진균에 대한 항진균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크로톤 포일라네이 추출물을 이용한 항진균용 조성물{Composition having Antifungal Effects Using Croton poilanei Extract}
본 발명은 크로톤 포일라네이(Croton poilanei) 추출물을 이용한 항진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클라도스포리움 레시네균(Cladosporium resinae), 크립토코커스 네오포르만스균(Cryptococcus neoformans), 페니실리움 마르네페이균(Penicillium marneffei), 스타키보트리스 카르타룸균(Stachybotrys chartarum) 등의 병원성 진균과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인수공통 병원성 진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진균(fungus)이란 곰팡이, 효모, 버섯을 포함한 미생물군을 말하는데, 대부분 스스로 영양분을 합성할 수 없어 다른 생물체에 기생하여 사는 특징이 있다. 사람에게는 죽어서 벗겨지는 세포가 많이 분포하는 두피, 모발, 얼굴, 팔, 다리, 손톱이나 발톱 등 피부에 감염되는 것이 대부분이나, 위장 점막이나 질 점막에 감염되기도 하며, 내부 장기 등에 감염되어 전신 감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면역 결핍, 고령, 면역억제제나 스테로이드의 사용, 영양결핍, 위생상태 불량, 감염 환자와의 접촉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기도 한다.
클라도스포리움 레시네(Cladosporium resinae)는 제트 연료, 화장품, 콜타르(coal tar) 또는 크레오소트(creosote)로 보존된 목재와 같이 탄화 수소가 풍부한 기질에서 자라며(Australian Journal of Botany 1969. 17:331-357), 등유 균류(Kerosene Fungus) 중 불완전한 무성(asexual) 상태의 균류다(Antonie van Leeuwenhoek 21, 166-68). 주로 연료 저장 탱크에서 오염물질로 부산물로 발생되며( Stud. Mycol. 2007. 58:235-245), 대기중에 존재하여 호흡기를 통해 사람에게 흡입되어 호흡기 질병을 일으킨다(Int. Rev. Allergol. Clin. Immunol. 2004. 10(3):91-94). 호흡기 증상으로는 알레르기성 비염, 부비동염 및 결막염, 천식 및 알레르기 성 폐포염이 있다(J. Allergy Clin. Immunol. 129 (20):280-291)
크립토코커스 네오포르만스균(Cryptococcus neoformans)는 면역력이 약화된 집단에서 수막뇌염을 유발하는 담자균 균질 병원균으로, 전 세계적으로 매년 60만명 이상이 사망하는 원인이다. 크립토코쿠스증 (cryptococcosis)은 크립토코쿠스 네오포만스(Cryptococcus neoformans)의 감염으로 발병되며 에이즈(AIDS)환자와 같이 면역력이 떨어진 환자에게서 피부를 비롯한 인체의 모든 부위에 감염되고, 특히 뇌와 수막에 감염되어 뇌수막염, 뇌농양 및 뇌종양을 일으킨다(AIDS, 2009. 23:525~530).
페니실리움 마르네페이(Penicillium marneffei)는 페니실리움(penicillium) 종의 유일한 동종 이형으로,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대부분 세포면역부전 환자에게 영향을 미치고, 주로 HIV 감염자에게서 보고되고 있다. 페니실륨증(penicilliosis)를 유발시키며, 일반적으로 포자 흡입, 감염성 물질 섭취로 인해 전파되고, 실험자의 경우에는 감염성 에러로졸 흡입, 우발적 섭취 및 접종, 상처난 피부 및 점막에 감염성 물질 접촉으로 인해 감염될 수 있다(질병관리본부, 생물안전정보).
스타키보트리스 카르타룸(Stachybotrys chartarum)은 실내환경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진균 중 하나이다. 인간과 생쥐에서 천식, 폐출혈, 비염과 같은 폐 관련 질환을 유발한다(Allergy. 2010. 65:245-255; Inhal Toxicol. 2014. 26:474-484. S. chartarum). 오염된 환경 또는 공기에 노출된 어린이는 천식 발명위험이 더 높으며(Pediatr Allergy Immunol. 2013. 24:697-703; Pediatrics. 2014. 134:S144), 영아의 돌발성 폐 출혈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보고되었다(Pediatrics. 2002. 110:627-637).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는 구강 내 대표적인 진균 중 하나로, 건강한 성인의 30~60%에서 구강 내 상주균으로 존재하며, 인간에게서 가장 흔하게 존재하는 효모균 중 하나다(Archs oral Biol 1980;25:1-10). 칸디다 알비칸스는 일반적으로 무해한 공생 생물이나 일부 면역 결핍 상태에서 기회주의적 병원체로 알려져 있다. 면역이 저하된 환자에서 중증의 생명을 위협하는 혈류 감염을 일으키며 이로 인한 내부 장기 감염되는 칸디다증을 일으키기도 한다(J Infect Dis 1993, 167:1247-51).
사람을 포함한 고등동물과 세포의 많은 부분이 유사하여 이러한 진균에 영향을 주는 항진균제가 숙주의 대사에 영향을 줄 수 있다(Wold science, 2010:349-354). 이로 인해 강한 항진균제의 독성은 숙주에게 약제의 독성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항진균 약제들의 광범위한 사용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최근 항진균제에 대한 내성을 획득하거나 내재성 내성을 지닌 진균의 증가로 항진균제의 내성이 진균 감염의 치료에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Protein J 2013, 32:15-26). 따라서 진균 감염의 치료에 효과적이면서 부작용과 내성이 적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항진균제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현재 사용되는 항진균제의 메커니즘은 진균의 에르고스테롤이나 스테롤의 생합성을 억제하거나, 이들의 세포막을 파괴하는 방식이 대부분이었다. 최근에 기존 항균제에 대한 내성 균주들이 출현하고 있어, 새로운 항진균 타깃의 발굴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의 배경 하에서, 크로톤 포일라네이 추출물의 클라도스포리움 레시네(Cladosporium resinae) 등의 병원성 진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로톤 포일라네이 추출물을 이용한 클라도스포리움 레시네균 등의 병원성 진균과 칸디다 알비칸스 인수공통 병원성 진균에 대한 항진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포일라네이 추출물을 이용한 클라도스포리움 레시네균 등의 병원성 진균과 칸디다 알비칸스 인수공통 병원성 진균의 감염증에 대한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크로톤 포일라네이 추출물이 클라도스포리움 레시네균, 크립토코커스 네오포르만스균, 페니실리움 마르네페이균 또는 스타키보트리스 카르타룸균 등의 병원성 진균과 칸디다 알비칸스 인수공통 병원성 진균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서 완성된 것이다.
전술한 바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크로톤 포일라네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클라도스포리움 레시네균, 크립토코커스 네오포르만스균, 페니실리움 마르네페이균, 스타키보트리스 카르타룸균 또는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한 항진균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고,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클라도스포리움 레시네균, 크립토코커스 네오포르만스균, 페니실리움 마르네페이균, 스타키보트리스 카르타룸균 또는 칸디다 알비칸스의 감염증에 대한 개선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크로톤 포일라네이 추출물"이란 추출 대상인 크로톤 포일라네이의 잎, 줄기, 가지, 뿌리, 수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이산화탄소, 펜탄 등 초임계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의미하며, 추출 방법은 활성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상기 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정치시켜 얻은 분획물, 상기 추출물을 실리카겔 등이 충진된 칼럼에 흡착시킨 후 소수성 용매,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의미에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더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클라도스포리움 레시네균 감염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천식 등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크립토코커스 네오포르만스균 감염증"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폐질환, 뇌수막염 등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페니실리움 마르네페이균 감염증"은 전술한 바와 같이 페니실륨증 등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스타키보트리스 카르타룸 감염증"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폐출혈 등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칸디다 알비칸스 감염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칸디다증 등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감염증 개선"이란 그 증상의 경감, 예방 또는 치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클라도스포리움 레시네균 등 병원균에 대한 항진균용 조성물 또는 클라도스포리움 레시네균 등 병원균의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서, 그 유효성분은 그것의 해당 병원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 해당 병원균의 감염증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20.0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그 적용 대상인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사람에게 의사, 약사 등 의료 전문가 등의 제언에 의한 투여 기간 동안 본 발명의 조성물이 투여될 때, 해당 병원균의 항진균 효과, 해당 병원균 감염증 개선 효과 등 의도한 의료적·약리학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처방)될 수 있는 대상은 포유동물 및 사람이며, 특히 사람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용 제형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합한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덱스트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등의 당류,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등의 전분류,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맥아, 젤라틴, 탈크, 폴리올, 식물성유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활 경우 필요에 따라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및/또는 부형제를 포함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주사제, 경피 투여제, 비강 흡입제 및 좌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제로 제제화활 경우 적합한 담체로서는 멸균수, 에탄올, 글리세롤이나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나 주사용 멸균수, 5% 덱스트로스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로 제제화할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비강 흡입제의 경우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등의 적합한 추진제를 사용하여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으며,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트윈(tween) 61, 폴리에틸렌글리콜류, 카카오지, 라우린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류,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화와 관련하여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19th ed., 1995)]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간주 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성별, 연령, 환자의 중증도, 투여 경로에 따라 1일 0.001mg/kg ~ 10g/kg 범위, 바람직하게는 0.001mg/kg ~ 1g/kg 범위일 수 있다. 투여는 1일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어떠한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차, 쥬스, 탄산음료, 이온음료 등의 음료류, 우유, 요구루트 등의 가공 유류, 껌류, 떡, 한과, 빵, 과자, 면 등의 식품류, 정제, 캡슐, 환, 과립, 액상, 분말,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바 등의 건강기능식품 제제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법률상·기능상의 구분에 있어서 제조·유통 시점의 시행 법규에 부합하는 한 임의의 제품 구분을 띨 수 있다. 예컨대 건강기능식품에관한법률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이거나, 식품위생법의 식품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의 기준 및 규격)상 각 식품유형에 따른 두유류, 발효음료류, 특수용도식품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첨가물이 포함될 수 있다. 식품첨가물은 일반적으로 식품을 제조, 가공 또는 보존함에 있어 식품에 첨가되어 혼합되거나 침윤되는 물질로서 이해되는데, 식품과 함께 매일 그리고 장기간 복용되므로 그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식품위생법에 따른 식품첨가물공전(식약처 고시, 식품첨가물 기준 및 규격)에는 안전성이 보장된 식품첨가물이 화학적 합성품, 천연 첨가물, 혼합 제제류로 구분하여 한정적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들 식품첨가물은 기능적 측면에 있어서는 감미제, 풍미제,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또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으며,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 이외에, 기능성과 영양성을 보충, 보강할 목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되고 식품첨가물로서 안정성이 보장된 생리활성 물질이나 미네랄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생리활성 물질로서는 녹차 등에 포함된 카테킨류, 비타민 B1,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B12 등의 비타민류, 토코페롤, 디벤조일티아민 등을 들 수 있으며, 미네랄류로서는 구연산 칼슘 등의 칼슘 제제, 스테아린산마그네슘 등의 마그네슘 제제, 구연산철 등의 철 제제, 염화 크롬, 요오드칼륨, 셀레늄, 게르마늄, 바나듐,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전술한 바의 식품첨가물이 제품 유형에 따라 그 첨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적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의 식품첨가물과 관련하여서는 식품공전이나 식품첨가물 공전을 참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크로톤 포일라네이 추출물을 이용한 클라도스포리움 레시네균 등의 병원성 진균에 대한 항진균용 조성물, 및 클라도스포리움 레시네균 등의 병원성 진균의 감염증에 대한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품 또는 기능성 식품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크로톤 포일라네이 추출물 제조
크로톤 포일라네이(Croton poilanei) 줄기(748g)에 70% 에탄올 30L을 가하여 2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고, 추출 된 용액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25g의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항균 활성 실험
항균 활성 실험은, NCCP, ATCC 또는 KCDC로부터 분양받은 아래의 [표 1]의 병원성 공시 진균에 대해 아래의 [표 1]의 각 병원성 진균의 생육에 적합한 배지를 사용하여, CLSI(Clinical & Laboratory Standard Institute)의 지침인 항균제 감수성 검사법(Antimicrobial disk susceptibility test)의 원판 확산법(Disc diffusion assay)에 따라 수행하였다.
항균 활성 실험 대상 병원균 및 사용 배지
병 원 균 공시균주 코드 배 지
Aspergillus fumigatus NCCP 32662 Potato dextrose(PDA) agar plate medium
Aspergillus niger ATCC 64028 Potato dextrose(PDA) agar plate medium
Alternaria alternata KACC 45440 Potato dextrose(PDA) agar plate medium
Cladosporium resinae NCCP 32638 Potato dextrose(PDA) agar plate 배지
Cryptococcus neoformans NCCP 32502 Sabouraud dextrose(SD) agar plate 배지
Fusarium oxysporum NCCP 32677 Potato dextrose(PDA) agar plate medium
Geotrichum capitatum NCCP 32601 Sabouraud dextrose(SD) agar plate medium
Penicillium marneffei ATCC 201705 Czapek yeast extract agar plate medium
Rhodotorula mucilaginosa NCCP 32563 Sabouraud dextrose(SD) agar plate medium
Stachybotrys chartarum ATCC MYA-3310 Cornmeal Agar plate medium
Candida albicans KCDC 31077 Sabouraud dextrose(SD) agar plate medium
구체적으로 각 한천평판배지(agar plate medium)에 각 병원성 세균을 1~2 × 108 CFU/ml의 농도로 도말하고, 멸균된 paper disk를, 각 병원균이 도말된 상기 평판배지 위에 치상한 후, 상기 disk에 상기 시료 20㎕(시료 농도 50,000ppm) 떨어뜨려 흡수시켰다. 이후 25℃에서 1일간 또는 5~6일간 배양하고 disk 주변 생육 저해환(clear zone, mm)의 크기를 측정하여 항균 활성을 분석하였다. 양성대조군(PC)은 하이그로마이신(Hygromycin, 0.2mg/ml ~ 50mg/ml) 또는 플루코나졸(Fluconazole, 5mg/ml)을 사용하였고, 음성대조군(NC)으로는 시료 희석시 사용한 70% 에탄올을 사용하였으며, 결과(시료 처리군의 생육 저해환의 크기에서 음성대조군의 생육저해관의 크기를 차감한 값임)는 3회 반복 실험을 실시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병 원 균 PC NC 시료
Aspergillus fumigatus ++++ - -
Aspergillus niger ++++ - -
Alternaria alternata. ++++ - -
Cladosporium resinae 16.0 mm - 11.6 mm
Cryptococcus neoformans 14.0 mm - 12.4 mm
Fusarium oxysporum ++++ - -
Geotrichum capitatum 16.0 mm - -
Penicillium marneffei ++++ - ++
Rhodotorula mucilaginosa 16.0 mm - -
Stachybotrys chartarum ++++ - +
Candida albicans 20 mm - 12.7 mm
항진균 활성 실험 결과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확인되듯이, 실시예의 시료는 클라도스포리움 레시네균, 크립토코커스 네오포르만스균, 페니실리움 마르네페이균, 스타키보트리스 카르타룸균, 칸디다 알비칸스균 등에 대해서 항균 할성을 보였다.

Claims (8)

  1. 크로톤 포일라네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클라도스포리움 레시네균(Cladosporium resinae), 크립토코커스 네오포르만스균(Cryptococcus neoformans), 페니실리움 마르네페이균(Penicillium marneffei) 및 스타키보트리스 카르타룸균(Stachybotrys chartarum)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병원성 진균에 대한 항진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크로톤 포일라네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클라도스포리움 레시네균(Cladosporium resinae), 크립토코커스 네오포르만스균(Cryptococcus neoformans), 페니실리움 마르네페이균(Penicillium marneffei) 및 스타키보트리스 카르타룸균(Stachybotrys chartarum)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병원성 진균의 감염증 개선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80110248A 2018-09-14 2018-09-14 크로톤 포일라네이 추출물을 이용한 항진균용 조성물 KR102104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248A KR102104838B1 (ko) 2018-09-14 2018-09-14 크로톤 포일라네이 추출물을 이용한 항진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248A KR102104838B1 (ko) 2018-09-14 2018-09-14 크로톤 포일라네이 추출물을 이용한 항진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730A KR20200031730A (ko) 2020-03-25
KR102104838B1 true KR102104838B1 (ko) 2020-04-29

Family

ID=70001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248A KR102104838B1 (ko) 2018-09-14 2018-09-14 크로톤 포일라네이 추출물을 이용한 항진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838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15587A (zh) * 1997-08-21 1999-05-05 株式会社资生堂 化妆品组合物
JPH11124317A (ja) * 1997-08-21 1999-05-11 Shiseido Co Ltd 頭部用組成物
KR100583634B1 (ko) * 2004-04-30 2006-05-26 (주)동명에릭스 해충 퇴치용 조성물
KR100729831B1 (ko) * 2005-11-29 2007-06-27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160115311A (ko) * 2015-03-26 2016-10-06 하이트진로 주식회사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l. J. Microbiol. Res., 2017, Vol. 8(3), pp. 79-8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730A (ko) 2020-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0156B1 (ko) 흑무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US20210128660A1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containing ginseng berry polysaccharides
KR101760512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104838B1 (ko) 크로톤 포일라네이 추출물을 이용한 항진균용 조성물
KR20180045595A (ko) 흑무 추출물을 이용한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897005B1 (ko)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100580B1 (ko) 빅벨리해마 알칼레이즈 가수분해물, 그 분획물 또는 그 유효 펩타이드를 이용한 항고혈압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06551B1 (ko) 가시파래 추출물, 새싹인삼 등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119307B1 (ko) 버드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KR101900480B1 (ko) 물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10654B1 (ko) 괭생이모자반 효소 처리물을 이용한 면역증진용 조성물
KR20170077640A (ko) 홍삼 분말 등을 이용한 항스트레스 조성물 및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KR20170077980A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210143967A (ko)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08103B1 (ko) 아토피 피부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1738B1 (ko) 빅벨리해마 프로타멕스 가수분해물, 그 분획물 또는 그 유효 펩타이드를 이용한 항고혈압용 조성물
KR102343138B1 (ko) 쇠비름 추출물 등을 이용한 항당뇨 조성물
KR102407939B1 (ko) 터미날리아 비아라타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용 조성물
KR102171987B1 (ko) 나도하수오 추출물을 이용한 항알러지 개선용 조성물
KR102062697B1 (ko) 까마귀쪽나무 열매 추출물을 이용한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20150011576A (ko) 가시오가피 뿌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면역증진용 약학적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048977B1 (ko) 유근피 추출물 및 자소엽 추출물을 이용한 항알러지용 조성물
KR101906302B1 (ko) 홍경천 추출물 또는 차가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뇌수막종 개선용 조성물
KR101910823B1 (ko)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이용한 항스트레스 조성물
KR101978819B1 (ko) 진세노사이드 화합물 k를 이용한 지방성 간질환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