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744B1 - 마차용 트랙 장치 - Google Patents

마차용 트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744B1
KR102103744B1 KR1020190115589A KR20190115589A KR102103744B1 KR 102103744 B1 KR102103744 B1 KR 102103744B1 KR 1020190115589 A KR1020190115589 A KR 1020190115589A KR 20190115589 A KR20190115589 A KR 20190115589A KR 102103744 B1 KR102103744 B1 KR 102103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frame
wagon
rail frame
stand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5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여진
Original Assignee
정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여진 filed Critical 정여진
Priority to KR1020190115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7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00Roundabouts
    • A63G1/24Roundabouts with seats performing movements in a horizontal plane, other than circular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04Chutes; Helter-skelters with fixed rails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차용 트랙 장치에 관한 것으로, 견인마의 견인에 의해 이동되는 마차가 주행되는 마차용 트랙 장치로서, 트랙 장치는 마차가 구비되어 주행되는 레일 프레임을 갖는 트랙; 트랙과 나란히 구비되는 한편 트랙의 레일 프레임과 동일한 레일 프레임이 구비되어 마차가 구비되는 대기 트랙; 대기 트랙과 트랙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마차를 트랙 또는 대기 트랙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차 이송부; 트랙에 구비되어 트랙을 개폐시켜 견인마를 출입시키는 견인마 출입부;를 포함하는 마차용 트랙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마차용 트랙 장치{Track for horse carriage}
본 발명은 마차용 트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견인마에 의해 이동되는 마차를 일정 궤도를 이루는 트랙 상에서 안전하게 주행시킬 수 있도록 한 마차용 트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차는 말이 끄는 수레를 일컫는 것으로서, 사용 목적에 따라 사람을 실어 나르는 승합 마차·역마차·포장마차·유람마차·임대마차·자가용 마차와, 화물을 운반하는 화물 마차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마차는 사람이 타거나 또는 화물을 싣는 본체와, 본체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바퀴와, 바퀴를 견인하여 구동시키도록 본체를 견인하는 말을 포함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마차는 산업혁명 이전에 주류를 이루던 교통수단이었으나, 현대의 기계화되고 도시화된 문명 속에서는 마차를 자주 볼 수 없을 뿐 아니라 마차를 경험해 보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경마 공원이나 유원지, 관광지 등에서 관람객을 위하여 일정 코스를 운행하는 마차를 볼 수 있으나, 마차의 희소성 및 희귀성으로 인해 마차 이용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므로 대부분의 이용자가 기다리다 못해 마차 이용을 포기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게 발생되곤 하였다.
이에, 종래에는 이러한 단점을 감안하여 마차를 간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발되었고, 이는 국내 공개특허 제10-2000-0053732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서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로 제안되어 개시된 바 있다.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는, 게이머가 탑승하는 마상체와, 상기 마상체의 저면측 지면에 고정·설치되어 마상체(cart)를 요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마상체의 운동을 변환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는, 게임 상태를 게이머가 직접 조작·변경하면서 게임을 즐길 수 있고, 또한 그 정보가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그대로 구현되어 작동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마차 시뮬레이터는 어디까지나 프로그램된 내용 한해서만 작동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생동감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생물체인 말과의 교감 역시도 전혀 느낄 수 없기 때문에, 마차의 체험보다는 그저 마차 관련 게임일 뿐이라 유저의 관심을 끌기에도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설령 유저가 관심을 보인다 하더라도 금방 싫증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00-005373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생물체인 견인마에 의해 이동되는 마차를 일정 궤도를 이루는 트랙 상에서 안전하게 주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차를 탑승한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도모하면서 마차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한 마차용 트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차용 트랙 장치는, 견인마의 견인에 의해 이동되는 마차가 주행되는 마차용 트랙 장치로서, 트랙 장치는 마차가 구비되어 주행되는 레일 프레임을 갖는 트랙; 트랙과 나란히 구비되는 한편 트랙의 레일 프레임과 동일한 레일 프레임이 구비되어 마차가 구비되는 대기 트랙; 대기 트랙과 트랙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마차를 트랙 또는 대기 트랙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차 이송부; 트랙에 구비되어 트랙을 개폐시켜 견인마를 출입시키는 견인마 출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마차 이송부는 트랙과 대기 트랙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 프레임; 가이드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운반 프레임을 포함하되, 운반 프레임에는 트랙 및 대기 트랙의 레일 프레임과 동일 선상으로 구비되어 마차를 트랙 또는 대기 트랙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연결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연결프레임에는 그 내측에서 외측으로 출입되는 록킹로드가 구비되어, 연결프레임을 트랙 또는 대기 트랙의 레일 프레임에 결합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견인마 출입부는 트랙을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되, 트랙의 레일 프레임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레일 프레임을 개폐시키는 회전프레임이 구비되고, 트랙의 레일 프레임에는 회전프레임을 레일 프레임에 구속 고정시키는 록킹고리를 갖는 록킹레버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회전프레임은 그 단부가 트랙의 레일 프레임과 경사진 면대면으로 접하는 경사단부로 형성되어, 회전프레임의 단부를 레일 프레임의 상부 영역 또는 하부 영역에서만 정.역회전되게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트랙의 레일 프레임에는 레일 프레임의 주로를 개폐시키는 게이트 프레임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차용 트랙 장치에 따르면, 생물체인 견인마가 직접 견인하여 끄는 마차를 일정 궤도를 이루는 트랙 상에서 직접 주행되도록 함으로써 마차를 탑승한 탑승자는 안전한 상태로 마차를 직접 체험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생물체인 견인마와 교감을 나눌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차용 트랙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차 이송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차 이송부에 구성되는 운반 프레임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 프레임에 마차가 구비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차 이송부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5는 운반 프레임이 대기 트랙으로 이송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6은 대기 트랙의 마차가 운반 프레임에 구비된 상태의 도면이며, 도 7은 운반 프레임의 이동에 의해 마차가 트랙으로 이송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 프레임의 구성도로서, 도 8은 게이트 프레임이 트랙의 주로를 닫은 상태의 도면이고, 도 9는 게이트 프레임의 트랙의 주로를 연 상태의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견인마 출입부의 구성도로서, 도 10은 회전프레임의 구성도이고, 도 11은 회전프레임을 구속 고정시키는 록킹레버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차용 트랙 장치 및 이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차용 트랙 장치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마의 견인에 의해 이동되는 마차(200)가 구비되어 주행되는 레일 프레임(110)을 갖는 트랙(100)과, 트랙(100)과 나란히 구비되는 한편 트랙(100)의 레일 프레임(110)과 동일한 레일 프레임(141)이 구비되어 마차(200)가 구비되는 대기 트랙(140)과, 대기 트랙(140)과 트랙(100)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마차(200)를 트랙(100) 또는 대기 트랙(140)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차 이송부(120)와, 트랙(100)에 구비되어 트랙(100)을 개폐시켜 견인마를 출입시키는 견인마 출입부(170)를 포함한다.
먼저, 트랙(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차(200)가 일정 궤도로 주행할 수 있도록 폐곡선을 이루는 트랙(100)을 포함한다.
트랙(100)은 통상의 운동장 트랙과 같은 타원 형태로 형성되어, 두 곳의 직선 주로와 두 곳의 곡선 주로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트랙(100)은 지면에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2열로 구비된 다수의 지지프레임(111)과, 각 열의 지지프레임(111) 상면에 고정되어 이중의 타원 형태로 구비되는 복수의 레일 프레임(110)을 포함한다.
이때, 레일 프레임(110)은 내측에 작은 직경을 갖는 내측 프레임과, 내측 프레임의 외측에 구비되어 내측 프레임보다 큰 직경을 갖는 외측 프레임으로 구비되고, 내.외측 프레임 사이의 공간은 레일 프레임(110) 상에서 주행되는 마차(200)의 주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트랙(100)의 레일 프레임(110)에는 마차 이송부(120)와, 대기 트랙(140), 게이트 프레임(160), 견인마 출입부(170) 등이 더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트랙(100)의 일측에는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대기 트랙(140)이 트랙(100)과 나란히 배치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대기 트랙(140)은 트랙(100)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지지프레임(142)이 일정 간격마다 이격되어 2열로 구비되고, 각 열의 지지프레임(142) 상면에는 복수의 레일 프레임(141)이 각각 고정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대기 트랙(140)은 전술한 트랙(100)과는 달리 직선 형태로 구비되지만,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원호를 그리며 더 연장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마차 이송부(1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100)의 일측부와 대기 트랙(140)의 선단부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 프레임(121)과, 가이드 프레임(121)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운반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가이드 프레임(121)은 트랙(100)의 일측부와 대기 트랙(140)의 선단부를 횡방향으로 즉 트랙(100) 및 대기 트랙(140)의 폭방향으로 연결하도록 트랙(100) 및 대기 트랙(140)을 가로질러 구비되고, 이와 같이 구비되는 가이드 프레임(121) 내에는 트랙(100)과 대기 트랙(140)이 모두 수용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 프레임(121)의 내부에는 가이드 프레임(121)을 따라 이동되어 트랙(100) 또는 대기 트랙(140)에 위치되는 운반 프레임(130)이 구비되고, 운반 프레임(130)은 그 전,후면이 개구되어 마차(200)가 출입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러한 운반 프레임(130)에는 트랙(100) 및 대기 트랙(140)의 레일 프레임(110)(141)과 동일 선상으로 구비되어 마차(200)를 트랙(100) 또는 대기 트랙(140)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연결프레임(131)이 구비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운반 프레임(130)은 가이드 프레임(121)의 상부에 걸림되어 공중으로 부양된 상태로 구비되고, 운반 프레임(130)의 상단부에는 가이드 프레임(121)의 상부에 걸림된 상태로 구름되는 롤러(133)가 구비된다.
그리고, 연결프레임(131)은 운반 프레임(130)의 내측 하부에 나란히 구비되고, 연결프레임(131)의 높이는 트랙(100) 및 대기 트랙(140)의 레일 프레임(110)(141)과 동일한 높이로 구비되어, 레일 프레임(110)(141)에 동일 선상으로 연결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마차(200)는 도 4에서와 같이 운반 프레임(130)의 연결프레임(131)에 안착되어 구비되고, 이 상태에서 운반 프레임(130)에 의해 트랙(100) 또는 대기 트랙(140) 측으로 이송되어 트랙(100) 또는 대기 트랙(140)의 레일 프레임(110)(141) 상으로 이동되어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연결프레임(131)에는 그 내측에서 외측으로 출입되는 록킹로드(132)가 구비되고, 이 록킹로드(132)는 그 선단부가 연결프레임(131)에서 인출되어 트랙(100) 또는 대기 트랙(140)의 레일 프레임(110)(141)에 삽입되어 구비됨으로써 연결프레임(131)을 레일 프레임(110)(141)에 동일 선상으로 위치 고정시킴과 동시에 운반 프레임(130)이 트랙(100) 또는 대기 트랙(140) 상에 고정되므로 마차(200)를 트랙(100) 또는 대기 트랙(140) 측으로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록킹로드(132)는 연결프레임(131)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출입되게 구비되고, 이러한 록킹로드(132)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메카니즘을 가질 수도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공압에 의한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연결프레임(131)에 구비되는 운반 프레임(130)에는 연결프레임(131)으로 공급을 공급하기 위한 공압호스(135)와, 공압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부(134)가 구비된다.
여기서, 연결프레임(131)은 그 자체가 공압실린더의 역할을 하고, 연결프레임(131)의 외측면 양측 단부에는 각각의 공압호스(135)가 연결되는 포트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공압이 연결프레임(131)의 선단부 또는 후단부의 포트로 공급됨에 따라 각 록킹로드(132)는 연결프레임(131)의 후단부 또는 선단부에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프레임(131)의 선단부 또는 후단부로 돌출되는 각각의 록킹로드(132)에 의해 연결프레임(131)을 트랙(100) 또는 대기 트랙(140)의 레일 프레임(110)(141)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운반 프레임(130) 역시도 트랙(100) 또는 대기 트랙(140)에 구속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차 이송부(120)와 이격된 트랙(100)의 전방 외측에는 마차(200)에 용이하게 오르고 내릴 수 있는 승강대(150)가 구비되고, 승강대(150) 전방의 트랙(100)에는 트랙(100)의 주로를 개폐시키는 게이트 프레임(160)이 구비된다.
이러한 게이트 프레임(160)은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트랙(100)의 양 레일 프레임(110)을 가로지르는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게이트 프레임(160)은 그 일측이 트랙(100)의 외측에 구비되는 보조프레임(113)에 경첩을 매개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구비되고, 게이트 프레임(160)의 후단부에는 실린더(161)의 작동로드(162)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되며, 실린더(161)는 그 후단부가 보조프레임(113)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실린더(161)에서 작동로드(162)가 인출되면 게이트 프레임(160)은 도 8에서와 같이 트랙(100)의 주로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주로를 폐쇄시키고, 작동로드(162)가 실린더(161) 내로 인입되면 게이트 프레임(160)이 역회전되어 도 9에서와 같이 트랙(100)의 외측 레일 프레임(110) 외측에 위치되면서 주로를 개방시키게 된다.
또한, 견인마 출입부(170)는 마차 이송부(120) 반대편의 트랙(100)에 구성되되,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트랙(100)의 어디에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견인마 출입부(170)는 트랙(100)의 양 레일 프레임(110) 사이의 주로를 개폐시켜 견인마를 레일 프레임(110) 사이의 주로에 출장시키거나 마방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견인마 출입부(170)는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트랙(100)의 양 레일 프레임(110) 중 외측에 위치한 레일 프레임(110)의 일부를 절개하여 회전프레임(171)으로 구성하고, 이 회전프레임(171)을 레일 프레임(110) 상에서 회전시켜 양 레일 프레임(110) 사이의 주로를 개폐시키도록 한 것이다.
즉, 트랙(100)의 레일 프레임(110) 중 외측 레일 프레임(110)의 일측에 회전프레임(171)을 회전가능하게 구비하여 외측 레일 프레임(110)을 개폐시키도록 구비하고, 외측 레일 프레임(110)에는 회전프레임(171)을 레일 프레임(110)에 구속 고정시키는 록킹고리(173)를 갖는 록킹레버(172)를 구비한다.
이때, 회전프레임(171)은 그 일측부가 트랙(100)의 지지프레임(111)에서 연장된 힌지프레임(112)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게 구비되고, 양측 단부는 레일 프레임(110)의 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단부(110a)와 경사진 면대면으로 접하도록 경사진 경사단부(171a)로 형성된다.
이로써, 회전프레임(171)의 양측 단부가 트랙(100)의 레일 프레임(110)에 각각 경사진 면대면으로 접촉됨으로써 회전프레임(171)의 양측 단부는 각각 레일 프레임(110)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에서 제한된 상태로 정.역회전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회전프레임(171)의 힌지부 반대편의 선단부에는 후크 형상으로 절곡된 걸고리(171b)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한 트랙(100)의 지지프레임(111)에는 록킹레버(172)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록킹레버(172)의 상단부에는 회전프레임(171)의 걸고리(171b)에 걸림되는 록킹고리(173)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로써, 록킹고리(173)를 회전프레임(171)의 걸고리(171b)에 건 상태에서 록킹레버(172)를 지지프레임(111) 측으로 회전시키면, 록킹레버(172)와 록킹고리(173)가 탄력적으로 펼쳐지면서 회전프레임(171)을 트랙(100)의 레일 프레임(110)에 동일 선상으로 고정시켜 구속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마차용 트랙 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마차 이송부(120)의 가이드 프레임(121)에서 운반 프레임(130)을 도 5에서와 같이 대기 트랙(140) 측으로 이송시켜 운반 프레임(130)의 연결프레임(131)을 대기 트랙(140)의 레일 프레임(141)을 동일 선상으로 위치시킨 후, 연결프레임(131)에서 록킹로드(132)를 후방으로 돌출시킨다.
그러면, 연결프레임(131)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록킹로드(132)가 대기 트랙(140)의 레일 프레임(141)에 삽입되어 구비됨으로써 연결프레임(131)은 대기 트랙(140)의 레일 프레임(141)과 동일 선상으로 위치되어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도 6과 같이 대기 트랙(140) 상의 마차(200)를 운반 프레임(130) 측으로 이동시켜 운반 프레임(130)의 연결프레임(131) 상에 구비한 후, 돌출된 록킹로드(132)를 다시 연결프레임(131) 내로 인입시켜 운반 프레임(130)을 다시 트랙(100) 측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운반 프레임(130)을 트랙(100) 측으로 이동시킨 후에는 컨트롤부(134)를 통해 연결프레임(131)으로 공급되는 공압을 제어하여 록킹로드(132)를 연결프레임(131)의 전방으로 인출시켜 돌출시키고, 전방으로 돌출된 록킹로드(132)는 그 선단부가 트랙(100)의 레일 프레임(110)에 삽입됨으로써 연결프레임(131)을 레일 프레임(110)에 동일 선상으로 위치시켜 고정함으로써 운반 프레임(130)을 도 7에서와 같이 트랙(100)에 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마차(200)를 트랙(100)의 양 레일 프레임(110) 상으로 이송시킬 수 있고, 이 상태에서 마차(200)를 트랙(100)의 레일 프레임(110)을 따라 주행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트랙(100)의 레일 프레임(110)에 마차(200)를 구비한 상태에서는 마차(200)를 견인할 견인마를 트랙(100)의 주로에 등장시키게 되는데, 이는 견인마 출입부(170)의 회전프레임(171)을 트랙(100)의 외측 레일 프레임(110)에서 록킹레버(172)의 록킹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도 11에서와 같이 레일 프레임(110)의 상방으로 회전시켜 트랙(100)의 주로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개방된 트랙(100)의 주로로 견인마를 유도하여 진입시킨 후, 마차(200)의 견인샤프트(210)에 견인마의 안장을 연결하면, 마차(200)는 트랙(100)의 레일 프레임(110)을 따라 주행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게이트 프레임(160)을 회전시켜 트랙(100)의 주로를 도 9에서와 같이 개방시킨 상태에서 견인마를 유도하여 마차(200)를 주행시키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트랙 110 : 레일 프레임
110a : 경사단부 111 : 지지프레임
112 : 힌지프레임 113 : 보조프레임
120 : 마차 이송부 121 : 가이드 프레임
130 : 운반 프레임 131 : 연결프레임
132 : 록킹로드 133 : 롤러
134 : 컨트롤부 135 : 공압호스
140 : 대기 트랙 141 : 레일 프레임
142 : 지지프레임 150 : 승강대
160 : 게이트 프레임 161 : 실린더
162 : 작동로드 170 : 견인마 출입부
171 : 회전프레임 171a : 경사단부
171b : 걸고리 172 : 록킹레버
173 : 록킹고리 200 : 마차
210 : 견인샤프트

Claims (6)

  1. 견인마의 견인에 의해 이동되는 마차가 주행되는 마차용 트랙 장치로서,
    트랙 장치는 마차가 구비되어 주행되는 레일 프레임을 갖는 트랙;
    트랙과 나란히 구비되는 한편 트랙의 레일 프레임과 동일한 레일 프레임이 구비되어 마차가 구비되는 대기 트랙;
    대기 트랙과 트랙을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마차를 트랙 또는 대기 트랙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차 이송부;
    트랙에 구비되어 트랙을 개폐시켜 견인마를 출입시키는 견인마 출입부;를 포함하되,
    마차 이송부는 트랙과 대기 트랙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 프레임;
    가이드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운반 프레임을 포함하되,
    운반 프레임에는 트랙 및 대기 트랙의 레일 프레임과 동일 선상으로 구비되어 마차를 트랙 또는 대기 트랙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연결프레임이 구비되는 마차용 트랙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연결프레임에는 그 내측에서 외측으로 출입되는 록킹로드가 구비되어, 연결프레임을 트랙 또는 대기 트랙의 레일 프레임에 결합 고정시키는 마차용 트랙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견인마 출입부는 트랙을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되,
    트랙의 레일 프레임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레일 프레임을 개폐시키는 회전프레임이 구비되고,
    트랙의 레일 프레임에는 회전프레임을 레일 프레임에 구속 고정시키는 록킹고리를 갖는 록킹레버가 구비되는 마차용 트랙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회전프레임은 그 단부가 트랙의 레일 프레임과 경사진 면대면으로 접하는 경사단부로 형성되어, 회전프레임의 단부를 레일 프레임의 상부 영역 또는 하부 영역에서만 정.역회전되게 구비하는 마차용 트랙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트랙의 레일 프레임에는 레일 프레임의 주로를 개폐시키는 게이트 프레임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마차용 트랙 장치.
KR1020190115589A 2019-09-19 2019-09-19 마차용 트랙 장치 KR102103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589A KR102103744B1 (ko) 2019-09-19 2019-09-19 마차용 트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589A KR102103744B1 (ko) 2019-09-19 2019-09-19 마차용 트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744B1 true KR102103744B1 (ko) 2020-04-23

Family

ID=7047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5589A KR102103744B1 (ko) 2019-09-19 2019-09-19 마차용 트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7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866B1 (ko) * 2022-07-01 2023-04-05 어드벤처 주식회사 공중이동용 탑승카트 입출고 주차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7994A (en) * 1947-05-22 1950-05-16 Howard A Pierce Starting apparatus for race tracks
JP3010928U (ja) * 1994-11-08 1995-05-09 三晃商事株式会社 馬用トレーニング装置
KR20000053732A (ko) 2000-03-14 2000-09-05 변덕규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
JP3205443U (ja) * 2016-04-20 2016-07-28 株式会社トーゴサービス 乗物遊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7994A (en) * 1947-05-22 1950-05-16 Howard A Pierce Starting apparatus for race tracks
JP3010928U (ja) * 1994-11-08 1995-05-09 三晃商事株式会社 馬用トレーニング装置
KR20000053732A (ko) 2000-03-14 2000-09-05 변덕규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
JP3205443U (ja) * 2016-04-20 2016-07-28 株式会社トーゴサービス 乗物遊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866B1 (ko) * 2022-07-01 2023-04-05 어드벤처 주식회사 공중이동용 탑승카트 입출고 주차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3744B1 (ko) 마차용 트랙 장치
JP2007001363A (ja) 搬送用走行体の配送設備
JP5793407B2 (ja) 無人搬送車による台車の自動搬送システム
US8690694B2 (en) Free fall amusement ride
JP2002087250A (ja) 搬送設備
JP6952484B2 (ja) 自動運転車用自走式駐車装置
JP4666862B2 (ja) 雌豚の授精用の雄豚カート
US3009589A (en) Boat trailer
US6889987B2 (en) Snowmobile support stand
JP2008031635A (ja) 立体駐車装置
US6508202B2 (en) Boar cart for insemination of sows
KR102103743B1 (ko) 트랙용 마차 장치
US2959303A (en) Lading transfer system
DE102019007463A1 (de) Elektrofahrzeug für die kombinierte Nutzung von Straßen und Seilbahnen
RU133494U1 (ru) Блочно-модульное кон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US1933811A (en) Apparatus for guiding endless-track vehicles on railway tracks
JP6240002B2 (ja) 台車利用の搬送装置
JPH0948344A (ja) 搬送設備
JP2001260950A (ja) 荷役運搬車両
JP3320808B2 (ja) 懸垂輸送設備における回転型搬器
JP2812498B2 (ja) 可動体搬送装置
JP6719777B2 (ja) 索条牽引式懸垂型輸送設備の搬器
US1487274A (en) Amusement device
KR20160123800A (ko) 지상 및 공중주행 겸용 레져차량장치
TW474781B (en) Boar cart for insemination of so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