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3732A -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 - Google Patents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3732A
KR20000053732A KR1020000012664A KR20000012664A KR20000053732A KR 20000053732 A KR20000053732 A KR 20000053732A KR 1020000012664 A KR1020000012664 A KR 1020000012664A KR 20000012664 A KR20000012664 A KR 20000012664A KR 20000053732 A KR20000053732 A KR 20000053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ulator
horse
carriage
gamer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2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덕규
박재수
Original Assignee
변덕규
주식회사 모두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덕규, 주식회사 모두와 filed Critical 변덕규
Priority to KR1020000012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3732A/ko
Publication of KR20000053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73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7Simulating properties, behaviour or motion of objects in the game world, e.g. computing tyre load in a car race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03Driving vehicles or craft, e.g. cars, airplanes, ships, robots or tan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43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characterized by 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17Driving on land or water; Fly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로 하여금 실제 마차를 조종하는 것 같은 느낌을 체험하도록 한,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마차 시뮬레이터는,
게이머가 탑승하는 마상체(1)와, 상기 마상체(1)의 저면측 지면에 고정·설치되어 마상체(cart)를 요동시키는 구동부(3)와, 상기 구동부(3)를 제어하여 마상체의 운동을 변환시키는 제어부(4)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수단(2)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는, 게임 상태를 게이머가 직접 조작·변경하면서 게임을 즐길 수 있고, 또한 그 정보가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그대로 구현됨으로 종래의 어떤 시뮬레이터보다 리얼리티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CART SIMULATOR FOR ENTERTAINMENT}
본 발명은 게임센터 등지에 설치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실제 마차를 조종하는 것 같은 느낌을 체험하도록 한,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인이 접하기 어려운 현실을 가상으로 체험할 수 있게 하는 오락장치(또는 시뮬레이터)에 대해,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면, 비행 시뮬레이터와 승마 시뮬레이터, 골프 연습장치, 스키 시뮬레이션 장치 등이 제안되어 왔는데, 이들 시뮬레이션 장치의 우수성은 디스플레이 수단(모니터나 스크린, 또는 TV화면)에 의해 구현되는 가상세계(가상현실)가 현실에 얼마나 가깝게 구현되느냐에 달려 있다.
그런데, 현재까지 제안된 여러 가지 종류의 시뮬레이터는,
제작자가 미리 정해 놓은 프로그램에 의해서, 실제로 게이머가 탑승하는 동체부분은 그대로 정지된 상태에서 이용자(게이머)의 버튼 조작이나 레버 조작에 대응하여 그 게임의 상황(정보)이 디스플레이 수단상에 구현되거나,
또는 동체(動體)가 움직이는 대신, 디스플레이 상에 구현되는 가상현실이 미리 기억시켜 놓은 패턴으로 재생되어 나타날 뿐, 사용자(게이머)가 게임의 진행 상황을 조절하면서 시뮬레이션을 할 수는 없게 되어 있었다.
따라서, 현재까지 제안된 여러 종류의 시뮬레이터는, 사용자가 오감을 통해 느끼게 되는 리얼리티가 현실과 많이 동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본 출원인이 선행기술을 조사해 본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는 아직까지 제안된 바 없으며, 아동용 놀이기구로서 3-4건 정도가 국내에 등록되어 있을 뿐이었다.
본 발명처럼, 마차 모형물을 이용한 예로는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94-1764호와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74-579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게임 상황을 바꿔가면서 운전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수정·입력되는 게임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수단상에 그래픽으로 구현되는 가상현실이 상기 게임 정보에 따라 변동되게 함으로써, 종래의 어떤 시뮬레이터보다도 리얼리티가 우수한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의 제1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2는 제2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3은 제3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의 마상체를 상하 좌우로 요동시키는 구동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차 시뮬레이터의 방향전환 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차 시뮬레이터의 동작-신호 다이어그램.
[도면 부호의 설명]
1...마상체(馬床體), 2...디스플레이 수단,
3...구동부, 4...제어부,
5...방향전환 수단, 6...베이스,
7...모터, 8...편심캠 판,
9...로드, 10...연결용 브라켓,
11...캠, 12...업소버,
13...가죽끈, 14...접촉센서,
D...장식품, M...말 모형물.
본 발명의 청구항 1 내지 3항에는 게이머가 탑승하는 마상체와, 상기 마상체를 요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마상체의 운동을 변환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변환·입력된 게임의 정보를 그래픽으로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시뮬레이터는, 게이머가 가죽끈을 당기거나 휘두를 때마다 그 정보를 제어부로 받아 들여 게임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고, 또한 그 게임정보가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그래픽으로 구현되어 사실감을 높이는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시뮬레이터는,
게이머(이용자)가 탑승하는 마상체(1)와;
상기 게이머가 탑승한 마상체(cart)(1)를 전후 상하로 요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마상체(1)의 저면측 지면에 고정·설치하는 구동부(3)와;
상기 구동부(3)를 구성하는 모터(7)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마상체(1)의 요동운동속도나 운동방향 등을 변환하도록, 상기 구동부(3)와 같이 마상체(1)의 저면측 지면에 설치하거나 또는 이와 분리하여 상대적인 움직임이 없는 장소(위치)에 설치하는 제어부(4)와;
게이머에 의해 조작·변경되는 정보가 상기 제어부(4)에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4)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변경된 정보에 상응하는 가상현실(그래픽)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수단(2);
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마상체(1)는 전차형 마차와 같이 게이머가 기립상태로 운전할 수 있는 일반적인 형태로 제공되지만, 역마차와 같이 게이머가 앉을 수 있는 시트(도시하지 않음)가 제공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마상체(1)의 전면 양측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걸대 선단부에, 도5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전환 수단(5)을 장착하고, 또 상기 방향전환 수단(5)에 각각 한쪽 끝이 얽매인 가죽끈(13)을 휘둘렀을 때 가장 잘 접촉되는 위치(걸대의 상면)에 다수개의 접촉센서(14)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마상체(1)에 탑승한 게이머가 상기 가죽끈(13)을 당기거나 휘두를 때마다 그에 상응하는 정보가 실시간으로 제어부(4)에 전달되어, 모니터 또는 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 수단(2)상에 그 정보가 그래픽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도5에 도시된 방향전환 수단(5)은,
후측 상단부가 절개된 측판(301)의 전방측에 나사형태의 고정축(302)이 관통·결합되고, 상기 측판(301)의 하면 후측에 평판형의 스페이서(303)가 삽착되며, 상기 측판(301)의 좌우측 절개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작동간(304)의 내단부가 상기 스페이서(303)의 바닥면에 돌설되어 있는 볼트에 회동 자유롭게 중첩·고정되고, 상기 작동간(304)과 고정축(302) 사이에 통상 형태의 스프링(305)이 개재되어 그 스프링(305)의 양끝이 각각 작동간(304)과 고정축(302)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간(304)의 회동운동에 따른 신호(방향전환 신호)가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측판의 후측 벽부분에 스위칭 수단(306)이 고정된 구성으로써, 이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 특허 제2000-10760호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향전환 수단(5)이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작동간(304)중 어느 한 쪽이 없을 수도 있다.
이처럼, 작동간(304)중의 어느 한 쪽을 생략할 수 있는 것은, 이 방향전환 수단(5)이 마상체(1)의 좌우측 걸대에 각각 설치되기 때문으로, 실제로 방향전환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분은 가죽끈(13)과 연결되어 있는 어느 한 쪽이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중, 상기 마상체(1)를 전후 상하로 요동시키는 구동부(3)는,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면이나 베이스(6)상에 설치된 모터(7) 축단에 원판형의 편심캠 판(8)을 장착하고, 상기 편심캠 판(8)상의 캠(11)과 상기 마상체(1)의 바닥 저면에 용접되어 있는 연결용 브라켓(10) 사이에 로드(9)를 개재하여 그 로드(9)의 양끝을 각각 브라켓(또는 브라켓 고정용 핀)(10)과 캠(11)에 고정하며, 상기 베이스(6)와 마상체(1)의 저면 사이에 스프링과 같은 업소버(완충재)(12)를 여러 군데 설치하고, 특히 모터의 회전속도를 무단 변속할 수 있는 인버터(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인버터와 모터의 결선은 당업자에게 용이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업소버(12)는, 마상체(1)의 요동운동시 소음(騷音)을 줄이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업소버(12)에 가해지는 외력과 반대의 방향으로 물체(마상체)를 밀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기 마상체의 요동운동을 더욱 격렬하게 만들게 된다.
이 업소버(12)는 용접이나 볼트결합(BOLTING)과 같은 통상의 고정방법으로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9)의 양단에, 유니버설 조인트를 취부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요동운동이 일어날 수 있게 함은 물론, 상기 편심캠 판(8)상에, 중심에서의 거리가 다르게 하여 로드 고정용의 캠이나 볼트구멍을 다수개 형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는 마상차의 최대 진동폭을 조절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면중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로써,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마상체(1)와, 구동부(3)와, 제어부(4)와, 디스플레이 수단(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서 도시한 마상체(1)의 걸대부분에, 실제 마차와 같은 느낌이 들도록, 말 모형물(M)이 함께 설치되어 있는 점이 색다르다.
상기의 말 모형물(M)은 단순한 수지 성형물일 수 있지만, 예를 들면, 말의 주둥이 부분에 상술한 방향전환 수단(5)을 장착하고, 또한 상기 방향전환 수단(5)에 한쪽 끝부분이 고정된 가죽끈(13)을 휘둘렀을 때 가장 많이 접촉되는 부위(예를 들면, 말의 엉덩이부분)에 패드형의 접촉센서(14)를 설치한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면중 도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마차 시뮬레이터를 설치할 공간이 협소한 경우, 제1 실시예에 도시된 것보다도 디스플레이 수단을 게이머쪽으로 앞당겨 설치할 수도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나타낸 것처럼, 창이나 총 등의 장식품(D)을 추가적으로 갖추어 놓음으로써, 더욱 더 게임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6은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 그리고 제3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마차 시뮬레이터의 동작-신호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게이머가 본 발명의 시뮬레이터를 구동시킨 상태에서 가죽끈(13)을 아래위로 휘두르게 되면, 상기 가죽끈(13)의 일부분이 걸대의 상면 또는 말 모형물(M)의 엉덩이부분에 설치된 접촉센서(14)를 타격하게 되고, 이 타격신호가 제어부(4)에 전달된다.
이 타격신호의 강도(진폭) 또는 횟수(펄스신호 수)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4)는 디스플레이 수단(2)상에 구현되는 그래픽의 변화속도를 빠르게 하여 실제로 마차가 가속되는 것과 같은 느낌이 들도록 함과 동시에, 인버터의 조작(제어)을 통해 모터(7)의 회전속도를 높여 마상체(1)의 요동속도를 증가시킨다.
한편, 게이머가 가죽끈(13)을 잡아당기면-예컨대, 가죽끈(13)의 좌측부분(또는 우측부분)을 잡아당기면, 좌측(또는 우측) 걸대의 선단부에 설치한 방향전환 수단(5)의 작동간이나 방향전환 수단의 좌측(또는 우측)에 설치한 작동간(304)이 게이머가 서 있는 뒤쪽으로 회동되어 스위칭 수단(306)의 리미트 바를 터치하게 되고, 이 신호의 지속시간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4)가 디스플레이 수단(2)상에 나타내는 마차의 그래픽을 좌측이나 우측으로 방향전환이 되는 것 같이 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만약, 게이머가 가죽끈(13)의 양측을 잡아당기면-그 지속되는 시간을 제어부(4)가 모니터링하여, 그 시간에 반비례하여 모터의 회전속도를 줄여나가고,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2)상에 그래픽으로 나타나는 마차의 진행속도를 줄여 나가서 일정시간 이상이 되면 모두 정지되게 한다.
또 이와는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면 게이머가 탑승한 마차를 디스플레이 수단(2)상에 그래픽으로 구현하여, 상기 마차가 제어부에 의해 가상으로 설정된 디스플레이 수단상의 주행환경(주행도로)으로부터 이탈하거나 벙커에 빠지거나 다른 경주마차와 충돌하거나 또는 돌출물 등에 부딪히는 경우, 상기 마차의 진행속도와 진행방향 등을 변경시켜서 게임의 연속득점을 방해하거나 각 스테이지별(게임 단계별)로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게 만듦으로써, 고득점을 올려 상위에 랭크 되거나 시간내에 코스를 완주하여 보너스 스테이지를 얻고자 하는 욕구를 불러 일으키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 게이머는 더욱 게임에 열중하게 되고 따라서 게임의 박진감이 배가된다.
이러한 게임진행방식은 제어부(4)에 로딩되는 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는, 게임 상태를 게이머가 직접 조작·변경하면서 게임을 즐길 수 있고, 또한 그 정보가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그대로 구현됨으로, 종래의 어떤 시뮬레이터보다 리얼리티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시뮬레이터에 있어서,
    게이머가 탑승하는 마상체(1)와;
    상기 마상체(1)의 저면측 지면에 고정·설치되어 마상체(cart)를 요동시키는 구동부(3)와;
    상기 구동부(3)를 제어하여 마상체의 운동을 변환시키는 제어부(4)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가상현실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수단(2);
    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상체(1)는 말 모형물(M)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상체(1)는 방향전환 수단(5)과 접촉센서(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
KR1020000012664A 2000-03-14 2000-03-14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 KR20000053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664A KR20000053732A (ko) 2000-03-14 2000-03-14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2664A KR20000053732A (ko) 2000-03-14 2000-03-14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732A true KR20000053732A (ko) 2000-09-05

Family

ID=19654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2664A KR20000053732A (ko) 2000-03-14 2000-03-14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373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311B1 (ko) * 2000-11-02 2004-03-10 (주)멀티미디어컨텐트 시뮬레이션 기기의 조종장치 및 제어방법
KR101276097B1 (ko) * 2012-11-16 2013-06-18 (주) 피디케이리미티드 발달장애 치료용 다중 시뮬레이터 및 시뮬레이션 방법
KR102103743B1 (ko) 2019-09-19 2020-04-23 정여진 트랙용 마차 장치
KR102103744B1 (ko) 2019-09-19 2020-04-23 정여진 마차용 트랙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0363A (ja) * 1996-02-20 1997-08-26 Konami Co Ltd 乗物遊技機
JPH10127713A (ja) * 1996-10-28 1998-05-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運動機能賦活方法および運動機能賦活装置
KR19990006638A (ko) * 1997-06-04 1999-01-25 고도 요시히꼬 승마 게임기
KR20000030492A (ko) * 1999-04-12 2000-06-05 변덕규 소형 3차원 동작기구 및 이 동작기구를 구비하는 승마용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0363A (ja) * 1996-02-20 1997-08-26 Konami Co Ltd 乗物遊技機
JPH10127713A (ja) * 1996-10-28 1998-05-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運動機能賦活方法および運動機能賦活装置
KR19990006638A (ko) * 1997-06-04 1999-01-25 고도 요시히꼬 승마 게임기
KR20000030492A (ko) * 1999-04-12 2000-06-05 변덕규 소형 3차원 동작기구 및 이 동작기구를 구비하는 승마용시뮬레이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311B1 (ko) * 2000-11-02 2004-03-10 (주)멀티미디어컨텐트 시뮬레이션 기기의 조종장치 및 제어방법
KR101276097B1 (ko) * 2012-11-16 2013-06-18 (주) 피디케이리미티드 발달장애 치료용 다중 시뮬레이터 및 시뮬레이션 방법
KR102103743B1 (ko) 2019-09-19 2020-04-23 정여진 트랙용 마차 장치
KR102103744B1 (ko) 2019-09-19 2020-04-23 정여진 마차용 트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6154B2 (ja) スキーシュミレーション装置
US6347999B1 (en) Pinball simulator game system
US5782639A (en) Manual motion simulator with resistance and video
KR100303159B1 (ko) 승마게임기
KR101501632B1 (ko) 인터랙티브 오감형 라이더 비행 배틀 레이싱 장치
JP3017948B2 (ja) 飛行シミュレーションゲーム装置
US6461238B1 (en) Portable simulation game apparatus
US20200097088A1 (en) Pressure controlled kinetic feedback platform with modular attachments
KR102358011B1 (ko) 시뮬레이션 장치의 조작페달 및 조작방법
JPH09220363A (ja) 乗物遊技機
JP3659761B2 (ja) 遊戯用乗物装置
KR20000053732A (ko) 오락용 마차 시뮬레이터
KR20180047466A (ko) 모터사이클 시뮬레이션 게임시스템
JPH04336091A (ja) 体感型ビデオゲーム装置
KR20000030492A (ko) 소형 3차원 동작기구 및 이 동작기구를 구비하는 승마용시뮬레이터
JP2589581Y2 (ja) 模擬操縦装置
JP3770290B2 (ja) 画像処理装置、遊戯施設及び遊戯施設用乗り物
TWI621468B (zh) 模擬轉向的體感裝置
KR101267964B1 (ko) 레이싱 코너링 시뮬레이션 장치
CN110947175A (zh) 一种高仿真亲临式三屏体感赛车
KR20020042181A (ko) 자동차 경주 시뮬레이션 장치의 기계식 요동장치
JP3917248B2 (ja) 遊技用乗物装置
JP2541382Y2 (ja) 娯楽用乗物設備
JP2570100Y2 (ja) ムービングシート機構
KR20190025411A (ko) 시뮬레이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