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1733B1 - 도넛 형상의 스틱타입 돼지감자 스낵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넛 형상의 스틱타입 돼지감자 스낵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1733B1
KR102101733B1 KR1020180067147A KR20180067147A KR102101733B1 KR 102101733 B1 KR102101733 B1 KR 102101733B1 KR 1020180067147 A KR1020180067147 A KR 1020180067147A KR 20180067147 A KR20180067147 A KR 20180067147A KR 102101733 B1 KR102101733 B1 KR 102101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dough
type
potato
sn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0565A (ko
Inventor
이석장
Original Assignee
이석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장 filed Critical 이석장
Priority to KR1020180067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1733B1/ko
Publication of KR20190140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1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1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04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0006Manufacture or treatment of liquids, pastes, creams, granules, shred or powder
    • A23G3/001Mixing, knead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틱타입 돼지감자 스낵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자 스낵을 제조함에 있어서, 감자전분에 돼지감자분말을 함께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식감과 맛의 향상과 더불어, 돼지감자의 효능을 더할 수 있도록 하고, 양파분말, 칼슘분말, 기름 등이 사전설정된 중량으로 혼합되어 함께 사용됨으로써, 기름기가 제거되면서 양파향을 주입할 수 있고, 바삭거리는 식감 향상 및 튀김공정 후 절단시에 절단이 깔끔하게 될 수 있도록 하여, 맛과 영양이 우수하면서, 풍미와 형상도 훌륭한 스틱타입 돼지감자 스낵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넛 형상의 스틱타입 돼지감자 스낵 제조방법{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onut stick type pork potato snack}
본 발명은 풍미와 식감이 우수한 스틱타입 돼지감자 스낵을 제조할 수 있는 스틱타입 돼지감자 스낵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경제성장과 함께 우리나라의 식생활의 양식이 많이 바뀌어 고혈압, 동맥경화 등의 순환기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고 당뇨병, 비만, 고지혈증 등의 성인병 발생율이 매우 높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당뇨병, 비만, 고지혈증을 예방하기 위한 일환으로 체내 지방대사 조절과 관련된 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특히 식이섬유소와 비소화성 다당류들이 이들 질병에 대해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고(Am J Clin Nutr 59:1242S-1247S, 1994), 이러한 수용성 식이 섬유소의 대표적인 작용은 혈당과 혈중지질을 낮추는 것으로(Am J Clin Nutr 61:1115-1119, 1995), 수용성 식이섬유인 이눌린(inulin)의 이용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수용성 식이섬유의 대표적인 작용은 혈당과 혈중지질을 낮추는 것으로, 돼지감자의 주성분인 이눌린과 프락토올리고당은 수용성 식이섬유의 일종이다.
돼지감자는 주성분으로서 과당의 중합물인 수용성 식이섬유인 이눌린과 프락토올리고당을 동시에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이눌린을 15% 정도로 다량 함유하는 식물로서 덩이 뿌리에 이눌린을 분해하는 이눌라제를 함유하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돼지감자의 이눌린은 이눌라제에 의해 프락토올리고당으로 분해되어 차츰 없어진다. 건조 돼지감자의 이눌린 양은 건조중량에서 65~70%를 차지한다.
돼지감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또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식품이 여러모로 개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에, 이러한 돼지감자를 이용하여 웰빙용 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시도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86941호(2013.07.10.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자전분과 돼지감자분말을 이용하여 감자스낵을 제조함으로써, 돼지감자의각종 효능을 더함과 동시에, 제조시 기름냄새 제거와 식감 및 절단시 반죽의 원활한 커팅 등을 용이토록 하기 위해, 다양한 배합재료를 섞어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식감과 풍미를 가지는 스틱타입 돼지감자 스낵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전설정된 돼지감자 스낵용 배합재료들이 사전설정된 중량으로 혼합기에 의해 혼합되어 반죽되는 단계(S10); 열선이 설치된 배출장치에 반죽이 통과되면서, 길이방향을 향해 천공홀(H)이 천공된 도넛 단면 형상으로 익혀서 배출되는 단계(S20); 익혀배출된 반죽이 커팅장치에 의해, 중앙이 천공된 사전설정길이의 막대기 형상을 가진 스틱타입으로 커팅되는 단계(S30); 스틱타입 반죽들이 건조장치에 투입되어 사전설정 온도로 1차 건조되는 단계(S40); 1차 건조된 스틱타입 반죽이 실온에서 자연건조되어 2차 건조되는 단계(S50); 상기 스틱타입 반죽의 2차 건조 중 또는 건조 후에 수분측정장치로 스틱타입 반죽의 수분함량이 측정되어, 사전설정 수분함유량까지만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수분측정단계(S60); 상기 스틱타입 반죽들이 밀봉수단에 투입 후, 밀봉되어 숙성됨으로써, 상호간 상이한 수분함량을 가지는 스틱타입 반죽들이 균일한 수분함유량으로 유지되는 숙성단계(S70); 숙성이 완료된 스틱타입 반죽을 기름에 튀겨 스틱타입의 돼지감자 스낵(S)이 제조완료되는 단계(S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감자 스낵을 제조함에 있어서, 감자전분에 돼지감자분말을 함께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서, 식감 및 맛의 향상 및 돼지감자의 효능이 첨가되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파분말, 칼슘분말, 기름 등을 사전설정된 중량으로 섞어 사용함으로써, 기름냄새 제거 및 풍미 향상, 바삭거리는 식감의 상승, 튀김 공정 후 커팅이 용이해져 형상유지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틱타입 돼지감자 스낵 제조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돼지감자 스낵을 나타낸 일실시에의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사전설정된 돼지감자 스낵용 배합재료들이 사전설정된 중량으로 혼합기에 의해 혼합되어 반죽되는 단계(S10); 열선이 설치된 배출장치에 반죽이 통과되면서, 길이방향을 향해 천공홀(H)이 천공된 도넛 단면 형상으로 익혀서 배출되는 단계(S20); 익혀배출된 반죽이 커팅장치에 의해, 중앙이 천공된 사전설정길이의 막대기 형상을 가진 스틱타입으로 커팅되는 단계(S30); 스틱타입 반죽들이 건조장치에 투입되어 사전설정 온도로 1차 건조되는 단계(S40); 1차 건조된 스틱타입 반죽이 실온에서 자연건조되어 2차 건조되는 단계(S50); 상기 스틱타입 반죽의 2차 건조 중 또는 건조 후에 수분측정장치로 스틱타입 반죽의 수분함량이 측정되어, 사전설정 수분함유량까지만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수분측정단계(S60); 상기 스틱타입 반죽들이 밀봉수단에 투입 후, 밀봉되어 숙성됨으로써, 상호간 상이한 수분함량을 가지는 스틱타입 반죽들이 균일한 수분함유량으로 유지되는 숙성단계(S70); 숙성이 완료된 스틱타입 반죽을 기름에 튀겨 스틱타입의 돼지감자 스낵(S)이 제조완료되는 단계(S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10단계의 배합재료는 감자전분, 스낵의 식감을 살리기 위한 돼지감자분말, 양파향을 내고 기름기를 제거하기 위한 양파분말, 스낵이 튀긴 후 아삭해지도록 하기 위한 칼슘분말, 사전설정된 간을 위한 설탕과 소금, 감자전분 및 돼지감자분말이 스틱형태로 중앙에 천공홀(H)이 막히지 않도록 하면서, 튀김과정 후 절단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기름, 물이 각각 사전설정된 중량으로 혼합되는 것이며, 감자전분, 돼지감자분말, 양파분말, 칼슘분말, 설탕, 소금, 기름, 물의 각각의 중량은 20kg, 1.2kg, 300g, 50g, 1.25kg, 275g, 100g, 4.5kg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틱타입 돼지감자 스낵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틱타입 돼지감자 스낵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사전설정된 돼지감자 스낵용 배합재료들이 혼합기에 의해 사전설정된 비중량으로 혼합되어 반죽되는 단계(S10):
본 발명에서의 스틱타입 돼지감자 스낵 제조방법을 제조하기 위해, 사전에 배합되기 위한 각종 재료들이 준비된 후, 이들이 혼합되어 반죽형태로 만들어지는 단계이다.
이를 위한 재료들은 감자전분, 돼지감자분말, 양파분말, 칼슘분말, 소금, 설탕, 기름, 물이며, 기름과 물 이외의 재료들은 사전에 분말이나 가루형태로 준비가 되어 있도록 한다.
이에, 감자전분에, 제조되어지는 스낵의 식감과 맛을 더 살리기 위한 돼지감자분말, 양파향을 내고 기름기를 제거하기 위한 양파분말, 스낵이 튀긴 후 아삭해지도록 하기 위한 칼슘분말, 사전설정된 간을 위한 설탕과 소금, 감자전분 및 돼지감자분말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구멍이 뚫린 스틱형태로 제조되도록 할시, 이러한 스틱의 중앙의 천공홀(H)이 막히지 않도록 하면서, 튀김과정 후 찐득거려 절단되지 않고 중앙의 천공홀(H)도 막혀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기름(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식용기름이 될 수 있음이다.), 물(정제수)이 사전설정된 중량으로 혼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배합재료인 감자전분, 돼지감자분말, 양파분말, 칼슘분말, 설탕, 소금, 기름, 물의 각각의 중량은 20kg, 1.2kg, 300g, 50g, 1.25kg, 275g, 100g, 4.5kg이 되도록 하며, 각 재료들은 각 중량세ㅓ ±5% 범위로 조절될 수 있음이다
2. 열선이 설치된 배출장치에 반죽이 통과되면서 익혀서 배출되는 단계(S20):
전술된 S10단계를 통해 반죽이 준비되면, 이러한 반죽이 별도의 열선이 내부에 장착된 배출장치(내부에 스크류가 형성되어, 반죽을 고르게 혼합하면서 사전설정 단면(사각단면 또는 원형단면)을 가지는 긴 반죽형상으로 뽑아내는 등의 작동)을 통과하면서 배출되는 단계이다.
이에, 이러한 S20단계를 거치면서, 반죽은 컷팅하기 위한 긴 길이의 반죽형태로 성형되어 나오고, 이때 열선에 의해 익혀서 나오게 되는 것이다.
3. 익혀배출된 반죽이 커팅장치에 의해 사전설정 스틱타입으로 커팅되는 단계(S30):
상기 S20단계를 거쳐 배출된 긴 길이의 반죽을 커팅하는 단계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길이간격으로 커팅날이 구비된 커팅장치에 의해 긴 반죽이 다수의 스틱타입으로 절단되어 커팅되어진다.
4. 스틱타입 반죽들이 건조장치에 투입되어 사전설정 온도로 1차 건조되는 단계(S40):
상기 S30단계를 거치며 다수의 스틱타입으로 절단되어져 준비된 반죽들이 1차 건조되는 단계로써,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히터 등이 구비되어진 건조장치 내 투입되어, 사전절정 온도(ex: 80℃)로 1차로 사전설정시간동안 우선 가열되어지는 단계이다.
5. 1차 건조된 스틱타입 반죽이 실온에서 자연건조되어 2차 건조되는 단계(S50):
상기 S40단계를 거쳐 1차 건조된 스틱타입 반죽이, 별도의 채망에 올려져 실온에서 자연건조되며 2차로 건조되는 단계이다.
6. 상기 스틱타입 반죽의 2차 건조 중 또는 건조 후에 수분측정장치로 스틱타입 반죽의 수분함량이 측정되어, 사전설정 수분함유량까지만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수분측정단계(S60):
1, 2차로 건조된 스틱타입 반죽의 수분함량을 사전에 준비한 수분측정장치로 수분함량이 측정되도록 함으로써, 스틱타입 반죽이 1, 2차 건조 후, 사전설정 수분함유량을 가지는 정도까지만 가지도록 한 것이다.
즉, 2차 건조 후에 스틱타입 반죽이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수분함유량(ex: 9.5% ~ 10% 수준)을 가지도록 해야 할 것이며, 이에, 여러번의 실험과 S60단계의 수분측정단계를 통해, 1, 2차 건조 후 스틱타입 반죽이 사전설정한 수분함유량을 가지기 위한 1차 건조와 2차 건조의 건조시간이나 온도 등이 사전설정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에, 반죽이 사전설정수분함량을 가지고 있다면 하기의 다음 공정으로 넘어가게 되고, 사전설정수분함량보다 수분함량이 더 많다면 S40단계의 1차 건조나 S50단계의 2차 건조 단계를 다시 거칠수 있도록 하거나, 사전설정수분함량보다 수분함량이 적다면 별도의 수분공급장치(스팀장치 등) 등을 거치게 하여, 수분을 더 보충한후 하기의 숙성단계(S70)로 가도록 할 수 있음이다.
7. 상기 스틱타입 반죽들이 밀봉수단에 투입 후, 밀봉되어 숙성됨으로써, 상호간 상이한 수분함량을 가지는 스틱타입 반죽들이 균일한 수분함유량으로 유지되는 숙성단계(S70):
S60단계를 통해 스틱타입 반죽이 사용자가 사전설정한 수분함유량이 되는 정도까지 1, 2차 건조가 완료되면, 이러한 스틱타입 반죽이 사전설정시간동안 숙성되는 단계이다.
S60단계에서 수분함유량을 측정할 시, 모든 스틱타입 반죽들이 동일한 수분함유량을 가지는 것이 아니기에, 스틱타입 반죽들이 밀봉수단(봉지 등)에 투입 후, 밀봉되어 숙성됨으로써, 상호간 상이한 수분함량을 가지는 스틱타입 반죽들이 균일한 수분함유량으로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8. 숙성이 완료된 스틱타입 반죽을 기름에 튀겨 스틱타입의 돼지감자 스낵이 제조완료되는 단계(S80):
S70단계를 통해 숙성까지 완료된 완료된 스틱타입 반죽을 기름에 튀겨 스틱타입의 돼지감자 스낵이 제조되도록 한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스틱타입 돼지감자 스낵과 관련하여, 형상, 색상, 맛, 향, 식감, 전체적인 기호도 등의 관능성을 측정하고 이의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관능검사는 20~30대의 스낵을 자주 섭취하는 패널 50명(남 23명, 여자 27명)을 대상으로 5점 척도법으로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조한 스틱타입 돼지감자 스낵과 기존의 감자스낵을 비교한 관능검사 결과.
대상 형상 색상 식감 평균 기호도
기존
감자스낵
4. 0 4. 1 4.3 4.3 4.2 4.18
본 발명의
돼지감자스낵
4.2 4.2 4.6 4.5 4.4 4.37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H: 천공홀
S: 돼지감자 스낵

Claims (2)

  1. 사전설정된 돼지감자 스낵용 배합재료들이 사전설정된 중량으로 혼합기에 의해 혼합되어 반죽되는 단계(S10);
    열선이 설치된 배출장치의 내부에 스크류가 형성되어, 반죽을 고르게 혼합하면서 사각단면 또는 원형단면 형상으로 반죽이 통과되면서, 길이방향을 향해 천공홀(H)이 천공된 도넛 단면 형상이 막히지 않도록 익혀서 배출되는 단계(S20);
    익혀배출된 반죽이 커팅장치에 의해, 중앙이 천공된 사전설정길이의 막대기 형상을 가진 스틱타입으로 커팅되는 단계(S30);
    스틱타입 반죽들이 건조장치에 투입되어 사전설정 온도로 1차 건조되는 단계(S40);
    1차 건조된 스틱타입 반죽이 실온에서 별도의 채망에 올려져 자연건조되어 2차 건조되는 단계(S50);
    상기 스틱타입 반죽의 2차 건조 중 또는 건조 후에 수분측정장치로 스틱타입 반죽의 수분함량이 측정되어, 사전설정 수분함유량까지만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수분측정단계(S60);
    상기 스틱타입 반죽들이 밀봉수단에 투입 후, 밀봉되어 숙성됨으로써, 상호간 상이한 수분함량을 가지는 스틱타입 반죽들이 균일한 수분함유량으로 유지되는 숙성단계(S70);
    숙성이 완료된 스틱타입 반죽을 기름에 튀겨 스틱타입의 돼지감자 스낵(S)이 제조완료되는 단계(S80);를 실행하여 도넛 형상의 스틱타입 돼지감자 스낵이 제조 되어지고,
    상기 S10단계의 배합재료는, 감자전분, 스낵의 식감을 살리기 위한 돼지감자분말, 양파향을 내고 기름기를 제거하기 위한 양파분말, 스낵이 튀긴 후 아삭해지도록 하기 위한 칼슘분말, 사전설정된 간을 위한 설탕과 소금, 감자전분 및 돼지감자분말이 스틱형태로 중앙에 천공홀(H)이 막히지 않도록 하면서, 튀김과정 후 절단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기름, 물이 각각 사전설정된 중량으로 혼합되는 것이며,
    감자전분, 돼지감자분말, 양파분말, 칼슘분말, 설탕, 소금, 기름, 물의 각각의 중량은 20kg, 1.2kg, 300g, 50g, 1.25kg, 275g, 100g, 4.5k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넛 형상의 스틱타입 돼지감자 스낵 제조방법.
  2. 삭제
KR1020180067147A 2018-06-12 2018-06-12 도넛 형상의 스틱타입 돼지감자 스낵 제조방법 KR102101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147A KR102101733B1 (ko) 2018-06-12 2018-06-12 도넛 형상의 스틱타입 돼지감자 스낵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147A KR102101733B1 (ko) 2018-06-12 2018-06-12 도넛 형상의 스틱타입 돼지감자 스낵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565A KR20190140565A (ko) 2019-12-20
KR102101733B1 true KR102101733B1 (ko) 2020-04-20

Family

ID=69063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147A KR102101733B1 (ko) 2018-06-12 2018-06-12 도넛 형상의 스틱타입 돼지감자 스낵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173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034B1 (ko) * 2004-06-24 2006-04-18 주식회사농심 야채 스낵의 제조 방법
KR101335679B1 (ko) * 2009-01-14 2013-12-03 (주)코스모스제과 스낵과자 제조장치
KR101286941B1 (ko) 2011-01-12 2013-07-16 조원교 이눌린이 풍부한 돼지감자스낵의 제법
KR101372555B1 (ko) * 2012-03-22 2014-03-12 안기옥 돼지감자를 이용한 과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565A (ko) 2019-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939B1 (ko) 콩단백을 주원료로 한 돈까스 타입의 두류 가공식품 제조방법
KR101672799B1 (ko) 죽순을 포함하는 어묵과 이의 제조방법
CN109645422A (zh) 一种番茄风味瓜子及其加工方法
KR101375856B1 (ko) 떡볶이 떡 및 그 제조방법
KR101119675B1 (ko) 과일 즙을 이용한 소스와 향을 갖는 떡볶이 제조방법
KR102003132B1 (ko) 새우를 함유하는 튀김만두 및 이의 제조방법
CA2956053A1 (en) Edible protein and carbohydrate glass-like compositions
KR20190112702A (ko) 떡갈비를 함유한 가래떡 및 그 제조방법
Olatunde et a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ro-vitamin a cassava-wheat composite flour biscuit
KR102101733B1 (ko) 도넛 형상의 스틱타입 돼지감자 스낵 제조방법
KR100809380B1 (ko) 마늘을 함유하는 스낵과자 및 그 제조방법
CN105325931A (zh) 一种鱼松酱及其制作方法
KR20110115038A (ko) 멥쌀가루 및 첨가물을 재료로 하여 스팀 및 압축공정을 통해 제조된 뻥튀기용 펠릿을 사용하여 뻥튀기를 제조하는 방법
JP4409264B2 (ja) 餅様食品用ミックス粉、それを用いた餅様食品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によって得られた餅様食品
KR101576216B1 (ko) 한방 소보로 핫도그 제조 방법 및 이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방 소보로 핫도그
JP2009011214A (ja) ゴボウスナックとその製造方法
KR101587759B1 (ko) 우엉조림 및 그 제조방법
KR101383851B1 (ko) 누룽지를 이용한 돈가스의 제조방법
KR102056005B1 (ko) 추어튀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추어튀김
CN106473040A (zh) 一种酥脆干辣椒的制备工艺
KR102045065B1 (ko) 돈피 젤라틴을 이용한 고지혈증 개선 떡갈비의 제조방법
US20170238588A1 (en) Snack of animal origin and production method
KR20130084581A (ko) 허브향 튀김 제조방법
KR102391377B1 (ko) 오메가3 함유 한우육포 제조방법
CN108157454A (zh) 一种薏苡小麻花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