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679B1 - 스낵과자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스낵과자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679B1
KR101335679B1 KR1020090002851A KR20090002851A KR101335679B1 KR 101335679 B1 KR101335679 B1 KR 101335679B1 KR 1020090002851 A KR1020090002851 A KR 1020090002851A KR 20090002851 A KR20090002851 A KR 20090002851A KR 101335679 B1 KR101335679 B1 KR 101335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nozzle
confectionery
raw material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3466A (ko
Inventor
한기문
Original Assignee
(주)코스모스제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스모스제과 filed Critical (주)코스모스제과
Priority to KR1020090002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679B1/ko
Publication of KR20100083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0236Shaping of liquid, paste, powder; Manufacture of moulded articles, e.g. modelling, moulding, calendering
    • A23G3/0252Apparatus in which the material is shaped at least partially in a mould, in the hollows of a surface, a drum, an endless band, or by a drop-by-drop casting or dispensing of the material on a surface, e.g. injection moulding, transfer moulding
    • A23G3/0263Moulding apparatus for hollow products, e.g. opened shel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5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products with supported structure
    • A23G3/54Composite products, e.g. layered, coated, filled
    • A23G3/545Composite products, e.g. layered, coated, filled hollow products, e.g. with inedible or edible filling, fixed or movable within the cavit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자 원료를 원통형으로 뽑고 고추장 양념을 첨가한 뒤 유탕기에서 튀겨 스낵과자를 만들되 씹을 때 잘 부서지도록 속이 빈 중공상으로 하고, 내부에 보강살을 만들어 제조 및 유통과정에서 과자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과자의 외형에 보강살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시각적인 면에서 떡볶이와 동일 형태로 과자를 만들수 있으므로 맛과 모양에서 제품 경쟁력이 있는 스낵과자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원료통의 밑면에 다수개의 노즐이 방사상으로 구비된 노즐해드가 마련되어 원료가 상기 노즐에서 떡볶이 처럼 원통형으로 사출되도록 한 스낵과자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내부에 원료가 지나가는 투입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노즐의 원료투입측에는 원료가 상기 투입공간으로 공급되도록 다수개의 투입구를 갖는 지지판이 나사체결되며, 상기 지지판의 내측면에는 상기 투입공간에 동심으로 나사체결되는 중심축이 마련되고, 상기 중심축의 끝단에는 원료를 사출하여 과자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사출내부링이 구비되고, 상기 노즐의 끝단에는 상기 사출내부링과의 사이에 사출공간이 형성되도록 그리고 원료를 사출하여 과자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사출외부링이 구비되며, 상기 사출내부링의 외주면에는 사출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요철이 형성되어 과자의 내주면에 보강살이 형성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노즐, 사출내부링, 사출외부링, 요철, 지지판, 보강살

Description

스낵과자 제조장치{Pastry snack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낵과자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자 원료를 원통형으로 뽑고 고추장 양념을 첨가한 뒤 유탕기에서 튀겨 스낵과자를 만들되 씹을 때 잘 부서지도록 내부를 속이 빈 중공상으로 하고, 내부에 보강살을 만들어 제조 및 유통과정에서 과자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과자의 외형에 보강살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떡볶이 형태로 과자를 만들수 있는 스낵과자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자 원료를 배합하여 노즐에서 사출한 뒤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유탕기에서 이를 튀겨 스낵과자로 만들었다. 대부분의 스낵과자들은 원료를 튀기는 과정에서 부풀어지므로 씹을때 잘 부서지고 부드러운 촉감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스낵과자의 직경이 커지는 경우 튀기면 부피가 커지므로 속이 빈 중공상으로 뽑아 튀기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중공상으로 원료를 뽑기 때문에 유탕기에서 튀기거나 또는 유통과정에서 과자가 부서지거나 형태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주면에 줄무니 형태의 보강살을 만들어서 튀기고 있다.
시중에 유통중인 일명 "짱구 과자"의 경우 중공상 원통형이면서 외주면에 줄 무늬가 만들어져 있는 것을 볼수 있다.
최근에는 과자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일명 "떡볶이 과자"가 개발되어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떡볶이 과자는 주양념이 고추장과 파슬리 이므로 떡볶이 맛을 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떡볶이 과자는 튀기거나 유통과정에서 형태가 무너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보강살이 줄무늬 형태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떡볶이의 외형을 연출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소비자 입장에서 볼때 맛은 떡볶이 이지만 모양은 짱구 과자를 연상시키므로 소비자의 시각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과자 원료를 원통형으로 뽑고 고추장 양념을 첨가한 뒤 유탕기에서 튀겨 스낵과자를 만들되 씹을 때 잘 부서지도록 속이 빈 중공상으로 하고, 내부에 보강살을 만들어 제조 및 유통과정에서 과자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과자의 외형에 보강살이 노출되지 않으므로 시각적인 면에서 떡볶이와 동일 형태로 과자를 만들수 있으므로 맛과 모양에서 제품 경쟁력이 있는 스낵과자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원료통의 밑면에 다수개의 노즐이 방사상으로 구비된 노즐해드가 마련되어 원료가 상기 노즐에서 떡볶이 처럼 원통형으로 사출되도록 한 스낵과자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내부에 원료가 지나가는 투입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노즐의 원료투입측에는 원료가 상기 투입공간으로 공급되도록 다수개의 투입구를 갖는 지지판이 나사체결되며, 상기 지지판의 내측면에는 상기 투입공간에 동심으로 나사체결되는 중심축이 마련되고, 상기 중심축의 끝단에는 원료를 사출하여 과자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사출내부링이 구비되고, 상기 노즐의 끝단에는 상기 사출내부링과의 사이에 사출공간이 형성되도록 그리고 원료를 사출하여 과자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사출외부링이 구비되며, 상기 사출내부링의 외주면에는 사출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요철이 형성되어 과자의 내주면에 보강살이 형성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료통의 밑에 놓이는 노즐해드에 다수개의 노즐이 삽입되어 원료를 원통형으로 사출하되 이들 노즐에는 과자 내부에 보강살이 만들어지도록 사출외부링 및 사출내부링이 형성되므로 과자를 최종적으로 만들면 떡볶이처럼 외주면에 모양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시각적인 면에서 소비자의 만족을 유도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과자의 외주면에 요철형 보강살이 없으므로 고추장 양념과 더블어 파슬리 및 깨 가 잘 달라붙어 떡볶이를 연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제조장치의 개념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제조장치의 노즐 분리 사시도 이다.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제조장치는 과자 원료가 혼합된 원료통(100)의 밑면에 노즐해드(101)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노즐해드(101)에는 다수개의 노즐(200)이 방사상으로 결합되어 원료를 원통형으로 사출하며, 상기 노즐해드(101) 밑에는 커터(102)가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사출되는 원료를 떡볶이 길이로 절단한다. 절단된 과자(300)는 컨베이어밸트(103)를 타고 유탕기로 향해 튀겨진 뒤 떡볶이 스낵과자가 만들어 진다.
상기 노즐(200)은 내부에 원료가 통과되는 투입공간(201)이 중공상으로 마련되고, 노즐(200)의 원료투입측에는 원판형 지지판(202)이 나사체결부(203)로 나사체결된다. 상기 지지판(202)에는 원료가 상기 투입공간(201)으로 밀려들어가는 투입구(204)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202)의 내측면에는 상기 투입공간(201)으로 향하는 중심축(206)이 나사체결부(205)로 결합된다.
상기 중심축(206)은 사출방향으로 확대 경사진 테이퍼형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심축(206)의 테이퍼형 경사면 끝단에는 상기 노즐(200) 내부의 사출방향 끝 부분까지 연장된 원통형의 사출내부링(207)이 체결된다. 상기 사출내부링(207)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노즐(200)의 내부에 사출외부링(209)이 체결되어 이들 사출내,외부링(207)(209)의 사이로 상기 투입공간(201)과 통하는 사출공간(2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출내부링(207)의 외주면에는 사출방향을 따라 직선형 또는 사선형으로 요철(208)이 다수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과자(300)의 내주면에 보강살(301)을 형성한다. 이들 요철(208)은 원호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삼각 또는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제조장치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원료를 사출한다. 먼저 과자 원료가 원료통(100)에서 노즐해드(101)로 밀리면서 상기 노즐해드(101)에 방사상으로 마련된 각 노즐(200)로 향한다. 이때 각 노즐(200)의 지지판(202)에 천공된 투입구(204)를 거쳐 원료는 노즐(200)의 투입공간(201)으로 주입되며 이후 사출공간(210)을 타고 외부로 사출된다. 그리고 노즐해드(101) 밑면의 커터(102)에서 먹기좋은 길이로 잘려진다. 상기 사출과정에서 사출외부링(209)과 사출내부링(207)에 의해 과자(300)의 내,외부 직경이 결정되는데, 상기 사출내부링(207)에 형성된 요철(208)에 의해 과자(300)의 내부에 사출방향으로 직선형의 보강살(301)이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사출외부링(209)은 요철이 형성되지 않은 무모양이므로 과자(300)의 외주면은 단순 원통형으로 떡볶이 처럼 보여진다. 이러처럼 사출된 과자(300)는 컨베이어밸트(103)를 타고 유탕기로 보내져 튀겨지면 도 4에서와 같은 과자(300)가 완성된다. 상기 과자(300)는 내부에 직선형 또는 사선형으로 보강살(301)이 형성되는데, 이는 사출내부링(207)에 형성된 요철(208)이 직선형 또는 사선형에 따라 결정되며 그 보강살의 기능은 동일하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제조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제조장치의 노즐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제조장치의 노즐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원료통 101 : 노즐해드
102 : 커터 103 :컨베이어밸트
200 : 노즐 201 : 투입공간
202 : 지지판 203 : 나사체결부
204 : 투입구 205 : 나사체결부
206 : 중심축 207 : 사출내부링
208 : 요철 209 : 사출외부링
210 : 사출공간 300 : 과자
301 : 보강살

Claims (2)

  1. 원료통의 밑면에 다수개의 노즐이 방사상으로 구비된 노즐해드가 마련되어 원료가 상기 노즐에서 원통형으로 사출되도록 한 스낵과자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내부에 원료가 지나가는 투입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노즐의 원료투입측에는 원료가 상기 투입공간으로 공급되도록 다수개의 투입구를 갖는 지지판이 나사체결되며,
    상기 지지판의 내측면에는 상기 투입공간에 동심으로 나사체결되는 중심축이 마련되고,
    상기 중심축의 끝단에는 상기 노즐 내부의 사출방향 끝 부분까지 연장되어 원료를 사출할 때 과자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사출내부링이 구비되고,
    상기 노즐 끝단의 내부에는 상기 사출내부링과의 사이에 사출공간이 형성되도록 그리고 원료를 사출하여 과자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사출외부링이 구비되며,
    상기 사출내부링의 외주면에는 사출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요철이 형성되어 과자의 내주면에 보강살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낵과자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사출방향을 따라 직선형 또는 사선형으로 형성되어 과자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보강살이 직선 또는 사선이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낵과자 제조장치.
KR1020090002851A 2009-01-14 2009-01-14 스낵과자 제조장치 KR101335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851A KR101335679B1 (ko) 2009-01-14 2009-01-14 스낵과자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851A KR101335679B1 (ko) 2009-01-14 2009-01-14 스낵과자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466A KR20100083466A (ko) 2010-07-22
KR101335679B1 true KR101335679B1 (ko) 2013-12-03

Family

ID=42643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851A KR101335679B1 (ko) 2009-01-14 2009-01-14 스낵과자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6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A20130074A1 (it) * 2013-11-15 2015-05-16 De Santis Nicola Trafila per la produzione di pasta rigata internamente
KR102101733B1 (ko) * 2018-06-12 2020-04-20 이석장 도넛 형상의 스틱타입 돼지감자 스낵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7406A (en) 1959-09-08 1963-02-12 Gen Mills Inc Method of making star-shaped cereal
JPH07231751A (ja) * 1994-02-24 1995-09-05 Meiji Seika Kaisha Ltd 円筒中空状スナック製造用の型ノズル装置
KR20010088498A (ko) * 2001-07-27 2001-09-28 허균 내부에 스터핑이 충진된 스낵류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스낵류
WO2003077670A1 (fr) 2002-03-15 2003-09-25 Meiji Seika Kaisha, Ltd. Snack souffle et procede et appareil de production de celui-ci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7406A (en) 1959-09-08 1963-02-12 Gen Mills Inc Method of making star-shaped cereal
JPH07231751A (ja) * 1994-02-24 1995-09-05 Meiji Seika Kaisha Ltd 円筒中空状スナック製造用の型ノズル装置
KR20010088498A (ko) * 2001-07-27 2001-09-28 허균 내부에 스터핑이 충진된 스낵류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스낵류
WO2003077670A1 (fr) 2002-03-15 2003-09-25 Meiji Seika Kaisha, Ltd. Snack souffle et procede et appareil de production de celui-c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466A (ko)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3342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multiple, complexly patterned extrudates
US5776534A (en) Food apparatus for forming multiple colored extrudates and method of preparation
US6387421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multiple, patterned extrudates
WO1998049902A1 (en) Food apparatus for forming multiple colored extrudates and method of preparation
KR101335679B1 (ko) 스낵과자 제조장치
EP0669081B1 (en) Molding nozzle assembly for producing hollow cylindrical snack foods
KR20110065118A (ko) 다색떡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US9028733B2 (en) Methods for producing multiple food extrudates
KR101119286B1 (ko) 곡물성형체의 제조장치
KR20170067365A (ko) 기능성 재료를 포함하는 별속떡국 제조방법
KR20050038606A (ko) 고기말이 성형기
KR101924001B1 (ko) 견과류 코팅장치
KR100525164B1 (ko) 아이스크림 콘 과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197337B1 (ko) 순대 제조장치
KR101092182B1 (ko) 가래떡 및 그 제조장치
KR20020007795A (ko) 중공부를 갖는 면 및 그 제조장치
KR20000000710A (ko) 초심형 국수 제조장치
KR101575936B1 (ko) 코아떡 및 코아떡 제조방법
KR101924004B1 (ko) 견과류 코팅장치
CN104186589A (zh) 空心吉事果制作装置及制作方法
US20220142199A1 (en) Apparatus for preparation of frozen confection products
KR20000000711A (ko) 초심형 식품의 제조방법
KR102391227B1 (ko) 퓨전 순대
KR20160018016A (ko) 주먹밥용 김 및 그 제조장치
KR20090005452U (ko) 가래떡 성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