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337B1 - 순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순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337B1
KR101197337B1 KR1020100033908A KR20100033908A KR101197337B1 KR 101197337 B1 KR101197337 B1 KR 101197337B1 KR 1020100033908 A KR1020100033908 A KR 1020100033908A KR 20100033908 A KR20100033908 A KR 20100033908A KR 101197337 B1 KR101197337 B1 KR 101197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material
tube
outlet
outer material
sund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4328A (ko
Inventor
우인철
박성현
Original Assignee
박성현
우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현, 우인철 filed Critical 박성현
Priority to KR1020100033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337B1/ko
Publication of KR20110114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1Coating with compositions containing a majority of oils, fats, mono/diglycerides, fatty acids, mineral oils, waxes or paraff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당면과 선지를 포함한 순대용 겉재료를 압출하는 제 1압출부와; 상기 제 1압출부로부터 압출되는 겉재료를, 그 입구로 받아들이고 출구로 배출하는 겉재료이송튜브와; 상기 겉재료의 중심축부에 삽입할 속재료를 압출하는 제 2압출부와; 상기 제 2압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속재료를, 그 입구로 받아들이고 출구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겉재료이송튜브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그 일부가 상기 겉재료이송튜브의 출구를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속재료이송튜브와; 상기 속재료이송튜브의 내부로 오일을 공급하여 속재료이송튜브를 통과하는 속재료의 표면에 오일을 도포하는 오일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순대 제조장치는, 겉재료와 속재료를 연속적으로 동시 압출하여, 겉재료와 속재료가 분리된 이중 구조의 순대를 연속 제작할 수 있고, 또한 압출 과정시 속재료의 표면에 오일을 코팅할 수 있어, 속재료와 겉재료가 오일코팅층에 의해 분리되므로 속재료가 겉재료의 칼라에 물들지 않아 단면 모양이 선명하게 분리되어 색다르고 맛이 부드러운 순대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순대 제조장치{Apparatus for making korean sausage}
본 발명은 순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순대는 돼지의 창자에, 가령 당면과 선지와 기타 필요한 재료들을 혼합한 순대재료를 채워 넣고 이를 수증기에 쪄낸 음식으로서, 단백질은 물론 특히 철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예로부터 보양식품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순대는 지방에 따라 차이가 있어서 소위 병천순대, 아바이순대, 백암순대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상기한 순대는 그 안에 포함되는 선지에 의해 전체적으로 매우 어두운 색을 띄어, 모습 자체가 입맛을 자극하거나 또는 시각적으로 고급스럽게 보이지 않는다. 이에 따라 순대의 모양을 색다르게 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예컨대 순대의 내부에 야채 등의 소를 넣은 소위 다중구조를 갖는 순대가 개발되기도 하였다.(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4-0027853호)
그런데 상기한 다중순대의 제작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이 매우 낮고 만드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특히 내부 재료들의 밀도가 불균일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내부에 소창외피가 들어가므로 다소 질겨 씹기가 거북하고 맛도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겉재료와 속재료를 연속적으로 동시 압출하여, 겉재료와 속재료가 분리된 이중 구조의 순대를 연속 제작할 수 있고, 또한 압출 과정시 속재료의 표면에 오일을 코팅할 수 있어, 속재료와 겉재료가 오일코팅층에 의해 분리되므로 속재료가 겉재료의 칼라에 물들지 않아 단면 모양이 선명하게 분리되어 색다르고 맛이 부드러운 이중 순대를 제조하기 위한 순대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순대 제조장치는, 당면과 선지를 포함한 순대용 겉재료를 압출하는 제 1압출부와; 상기 제 1압출부로부터 압출되는 겉재료를, 그 입구로 받아들이고 출구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출구측 외주부에는 순대용 외피를 지지하며 상기 겉재료가 출구를 통해 배출될 때 외피가 재료를 따라 풀려 나가도록 지지하는 외피지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겉재료이송튜브와; 상기 외피에 감싸이는 겉재료의 중심축부에 삽입할 속재료를 압출하는 제 2압출부와; 상기 제 2압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속재료를, 그 입구로 받아들이고 출구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겉재료이송튜브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그 일부가 상기 겉재료이송튜브의 출구를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속재료이송튜브와; 상기 속재료이송튜브의 내부로 오일을 공급하여 속재료이송튜브를 통과하는 속재료의 표면에 오일을 도포하는 오일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속재료이송튜브의 출구는, 겉재료이송튜브의 출구를 통과하여 겉재료이송튜브의 외부로 돌출되되, 속재료이송튜브 직경의 3배 이상의 거리만큼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속재료이송튜브의 출구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2압출부는; 상부로 개방된 챔버내에 설치되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며 챔버내에 투입되는 속재료를 챔버의 일측벽에 형성된 배출구멍을 통해 배출시키는 스크류피더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벽의 전방부에는, 상기 배출구멍을 통과한 속재료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유동단면적을 축소하여 상기 속재료이송튜브로 전달하는 압출블록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속재료이송튜브는, 상기 겉재료이송튜브의 튜브 벽면을 통과해 겉재료이송튜브의 내부로 진입한 후, 겉재료이송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겉재료이송튜브의 출구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순대 제조장치는, 겉재료와 속재료를 연속적으로 동시 압출하여, 겉재료와 속재료가 분리된 이중 구조의 순대를 연속 제작할 수 있고, 또한 압출 과정시 속재료의 표면에 오일을 코팅할 수 있어, 속재료와 겉재료가 오일코팅층에 의해 분리되므로 속재료가 겉재료의 칼라에 물들지 않아 단면 모양이 선명하게 분리되어 색다르고 맛이 부드러운 순대를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이송튜브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제 2압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압출블록의 절제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제 2압출부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순대 제조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속재료이송튜브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순대의 단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장치(11)는, 가령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단면 형태의 순대(41)를 연속 생산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장치(11)는, 겉재료(도 10의 41a)를 압출하는 제 1압출부(13)와, 상기 제 1압출부(13)로부터 압출되는 겉재료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는 겉재료이송튜브(17)와, 속재료(도 10의 41c)를 압출하는 제 2압출부(21)와, 상기 제 2압출부(21)로부터 압출되는 속재료를 상기 겉재료(41a)의 내부로 삽입하는 속재료이송튜브(19)와, 상기 속재료이송튜브(19)의 내부로 참기름이나 들기름 또는 올리브유나 해바라기씨유 또는 포도씨유를 공급하는 오일공급부(25)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 1압출부(13)는, 일반적인 순대의 재료인 당면, 선지, 기타 양념을 포함하는 겉재료를 받아 하부로 유도하는 호퍼(15)와, 상기 호퍼(15)를 통해 투입된 겉재료를 상기 겉재료이송튜브(17)로 밀어내는 스크류피더(13a)와, 상기 스크류피더(13a)를 축회전 시키는 제 1모터(13b)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13b)와 스크류피더(13a)는 체인(13c)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 2압출부(21)는, 상기 속재료를 속재료이송튜브(19)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속재료를 받아 하부로 유도하는 호퍼(23)와, 상기 호퍼(23)를 통해 투입된 속재료를 상기 속재료이송튜브(19)로 압출하는 스크류피더(21a)와, 상기 스크류피더(21a)와 체인(21c)으로 연결되며 스크류피더(21a)를 축회전시키는 제 2모터(21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2모터(13b,21b)로서 회전속도의 제어가 가능한 VS모터를 사용한다.
상기 속재료는, 겉재료와 맛이 어우러질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가령 떡, 야채, 곡류, 당근, 호박, 치즈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떡은 흰색 이외에 다양한 칼라의 떡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겉재료이송튜브(17)는, 그 입구(도 1의 17a)가 상기 제 1압출부(13)에 고정되며 하부로 구부러져 수직으로 연장된 후, 상기 제 2압출부(21)의 전방에서 다시 한 번 벤딩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취한다.
도 2를 통해 상기 겉재료이송튜브(17)와 속재료이송튜브(19)의 구조를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겉재료이송튜브(17)는, 상기 제 1압출부(13)로부터 밀려 나오는 겉재료를 받아들이는 입구(17a)와, 상기 입구(17a)로 들어와 내부 유동한 겉재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출구(17b)를 갖는다.
특히 상기 겉재료이송튜브(17)는 두 번 구부러져 입구(17a)와 출구(17b)가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즉 상기 겉재료이송튜브(17)는 입구(17a)로부터 수평 연장된 후 하부로 구부러져 수직으로 연장되고, 다시 수평으로 구부러져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한 수평으로 구부러진 부분은 만곡부(17e)이고, 만곡부(17e)로부터 출구(17b) 까지는 직선연장부(17f)이다.
또한 상기 직선연장부(17f)에는 외피지지부(17c)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외피지지부(17c)를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작은 부분으로서 그 외주면에 사용할 외피(도 1의 31)가 끼워진다. 상기 외피(31)는 일반 순대에 사용되는 돼지의 창자이다. 상기 외피(31)는 외피지지부(17c)에 끼워진 상태로, 겉재료와 속재료가 압출됨에 따라 풀려 나간다.
아울러 상기 외피지지부(17c)의 직경이 다른 부분보다 작으므로, 겉재료이송튜브(17)를 내부 유동하던 겉재료가 외피지지부(17c)를 통과하며 뭉쳐져 밀도가 증가한다. 즉 순대가 단단해지고 탄력이 있어진다.
한편, 상기 속재료이송튜브(19)는 일정직경을 갖는 파이프로서, 상기 겉재료이송튜브(17)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17g)을 통과해 그 일부가 겉재료이송튜브(17)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겉재료이송튜브(17)의 내부로 삽입된 속재료이송튜브(19)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선단부가 상기 출구(17b)를 통과해 겉재료이송튜브(17)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돌출길이(S)는 속재료이송튜브(19) 직경의 3배 이상이다.
상기 속재료이송튜브(19)는 제 2압출부(21)로부터 압출되는 속재료를 입구(19a)로 받아들인 후 출구(19b)로 내보내는 파이프이다. 특히 상기 속재료이송튜브(19)의 출구(19b)가 겉재료이송튜브(17)의 출구(17b)보다 거리 S만큼 돌출되어 있으므로, 겉재료와 속재료의 경계가 확실하게 지켜진다. 만약 상기 출구(19b)가 돌출되지 않는다면, 속재료가 겉재료에 파묻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속재료이송튜브(19)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겉재료이송튜브(17)의 관통구멍(17g)에는 홀더(17d)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17d)는 겉재료이송튜브(17)에 용접된 튜브형 부속으로서 그 내주면으로 속재료이송튜브(19)를 지지한다. 도면부호 w는 용접부위이다. 상기 속재료이송튜브(19)는 홀더(17d)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전후좌우로 움직이지 않는다. 특히 속재료이송튜브(19)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겉재료이송튜브(17)로부터 빼 낼 수 있다. 이는 다양한 형태, 가령 도 7이나 도 8에 도시한 형태의 속재료이송튜브(19)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도 1로 돌아와 설명을 계속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겉재료는 겉재료이송튜브(17)를 통과하여 화살표 b방향으로 배출되고, 속재료는 속재료이송튜브(19)를 통과하여 화살표 a 방향으로 배출된다. 특히 상기 외피지지부(17)에 지지되고 있는 외피(31)는 겉재료의 배출에 의해 겉재료를 따라 순차적으로 풀려 나온다.
특히 상기 화살표 a방향으로 배출되는 속재료의 외주면에는 오일코팅층(도 10의 41d)이 도포된다. 상기 오일코팅층(41d)은 속재료가 겉재료에 둘러 쌓이기 전에 미리 도포되는 것이다. 상기 오일코팅층(41d)을 형성하기 위하여 오일공급부(25)가 구비되고, 속재료이송튜브(19)에는 다수의 오일구멍(도 3의 19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일공급부(25)는, 속재료이송튜브(19)의 오일구멍(19c)을 감싸며 속재료이송튜브(19)의 주연부에 밀폐 결합하는 오일주입링(25b)과, 준비된 오일을 펌핑하는 펌프(25c)와, 상기 펌프(25c)와 오일주입링(25b)을 연결하는 오일공급관(25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25c)로부터 펌핑된 오일은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오일공급관(25a)을 거쳐 오일주입링(25b)으로 주입된 후 상기 오일구멍(19c)을 통과해 속재료의 표면에 코팅된다. 상기 오일로서, 참기름이나 들기름 또는 올리브유나 해바라기씨유 또는 포도씨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제 2압출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부로 개방된 챔버(21d)의 내부에 한 쌍의 스크류피더(21a)가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챔버(21d)는 호퍼(23)를 통해 투입된 속재료가 스크류피더(21a)에 의해 뒤섞이며 압출되는 공간이다.
또한 상기 스크류피더(21)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벽(21f)의 중앙부에는 좌우로 연장된 배출구멍(21e)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멍(21e)은 속재료가 빠져나오는 구멍이다.
아울러 상기 지지벽(21f)의 전방(압출방향 기준) 외측부에는 가이드판(35)이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판(35)은 배출구멍(21e)을 통해 빠져나오는 속재료의 유동단면적을 줄여, 속재료이송튜브(19)로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판(35)을 지지벽(21f)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지지벽(21f)에는 암나사구(21g)가 마련되어 있고, 가이드판(35)에는 구멍(35d)을 갖는 고정돌기(35c)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멍(35d)을 암나사구(21g)에 맞춘 상태로 볼트(35e)를 체결하면 가이드판(35)의 장착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판(35)의 중앙부에는 블록설치구멍(35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블록설치구멍(35b)은 가이드판(35)을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원기둥형 압출블록(37)을 수용한다. 상기 압출블록(37)은 배출구멍(21e)으로 빠져나오는 속재료를 통과시키며 속재료를 속재료이송튜브(19)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와 도 6에 상기 압출블록(37)을 도시하였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압출블록(37)은 대략 원기둥의 형태를 취하며 그 중앙부에 압출구멍(37a)을 갖는다. 상기 압출구멍(37a)은 속재료를 통과시키는 구멍으로서 그 내부로 상기 속재료이송튜브(19)의 후단부가 삽입 고정된다. 상기 압출구멍(37a)의 사이즈나 단면 형태는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압출구멍(37a)은 사각의 단면형태를 취한다.
아울러 상기 압출블록(37)의 도면상 상단 외주면에는 플랜지부(37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37b)는 블록설치구멍(35b) 내의 걸림턱(도 7의 35k)에 걸리는 돌출부이다.
또한 상기 압출블록(37)의 상면에는, 플랜지부(37b)로부터 압출구멍(37a)을 향해 하향 경사진 가이드부(37c)가 위치한다. 상기 가이드부(37c)는 배출구멍(21e)을 통과한 속재료를 압출구멍(37a)으로 유도하는 경사면이다. 상기 가이드부(37c)와 압출구멍(37a)은 깔때기를 연상케한다.
한편, 상기 제 2압출부(21)의 일측에는 콘트롤러(33)가 위치한다. 상기 콘트롤러(33)는 상기 제 1압출부(13)와 제 2압출부(21)와 오일공급부(25)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콘트롤러(33)는 상기 제 1모터(13b)와 제 2모터(21b)와 펌프(25c)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콘트롤러(33)에는, 상기 제 1모터(13b)를 온오프하는 제 1모터온오프버튼(33a)과, 작동 중의 제 1모터(13b)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제 1모터속도조절스위치(33b)와, 제 2모터(21b)를 온오프하는 제 2모터온오프버튼(33c)과, 작동 중의 제 2모터(21b)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 2모터속도조절스위치(33d)와, 상기 오일공급부(25)의 펌프(25c)를 동작시키는 오일공급부작동스위치(33e)가 구비된다.
상기 콘트롤러(33)를 통해 압출되는 겉재료 및 속재료의 압출속도를 제어함은 물론 오일공급량도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제 2압출부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가이드판(35)의 블록설치구멍(35b)에 압출블록(37)이 끼워져 있다. 상기 압출블록(37)의 플랜지부(37b)가 상기 걸림턱(35k)에 걸려 지지됨은 상기한 바와같다. 특히 상기 가이드판(35)의 지지벽(21f)을 향하는 면에는 가이드면(35f)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면(35f)은 배출구멍(21e)을 통해 나오는 속재료를 압출블록(37)으로 모으는 경사면이다.
또한, 상기 압출블록(37)의 압출구멍(37a)에는 속재료이송튜브(19)의 후단부가 삽입 고정됨을 알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순대 제조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속재료이송튜브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속재료이송튜브(19)의 출구(19b) 단면이 삼각형의 형태를 취함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출구(19b)의 단면을 삼각형으로 제작함으로써 가령 도 11에 도시한 타입의 순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는 상기 출구(19b)가 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출구(19b)를 사각형으로 제작함으로서 도 12에 도시한 형상의 순대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속재료이송튜브(19)의 출구(19b) 형상을 원형과 삼각형과 사각형만 예를 들었지만, 출구(19b)의 형태는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순대의 단면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순대 제조장치(11)로 제조된 순대(41)는, 소정 단면형상을 갖는 속재료(41c)와, 상기 속재료(41c)의 표면에 코팅된 오일코팅층(41d)과, 상기 오일코팅층(41d)에 의해 속재료(41c)와 분리되며 속재료(41c)를 감싸는 겉재료(41a)와, 상기 겉재료(41a)를 둘러 싸는 외피(31)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순대 제조장치(11)를 이용해 순대(41)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콘트롤러(33)를 통해 제 1,2모터(13b,21b)를 구동한 상태로, 미리 준비된 겉재료(41a)와 속재료(41c)를 상기 호퍼(15,23)를 통해 제 1,2압출부(13,21)에 투입한다.
상기 제 1압출부(13)에 투입된 겉재료는 스크류피더(13a)에 의해 압출되며 겉재료이송튜브(17)의 내부를 통과하여 화살표 b방향으로 배출된다. 그 동안 제 2압출부(21)에 투입되어 있는 속재료는 스크류피더(21a)의 작동에 의해 상기 속재료이송튜브(19)를 거쳐 화살표 a방향으로 빠져나간다. 상기 겉재료와 속재료가 화살표 방향을 따라 출구를 빠져나감에 따라 상기 외피(31)가 풀려 나가 겉재료를 감싼다.
상기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오일공급부(25)를 구동하여 속재료이송튜브(19)의 내부로 오일을 공급여야 함은 물론이다.
여하튼 위에 설명한 공정을 통해 소정 단면형상을 갖는 속재료와, 상기 속재료를 감싸는 겉재료의 이중 구조를 갖는 순대(41)를 얻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순대 제조장치 13:제 1압출부 13a:스크류피더
13b:제 1모터 13c:체인 15:호퍼
17:겉재료이송튜브 17a:입구 17b:출구
17c:외피지지부 17d:홀더 17e:만곡부
17f:직선연장부 17g:관통구멍 19:속재료이송튜브
19a:입구 19b:출구 19c:오일구멍
21:제 2압출부 21a:스크류피더 21b:제 2모터
21c:체인 21d:챔버 21e:배출구멍
21f:지지벽 21g:암나사구 23:호퍼
25:오일공급부 25a:오일공급관 25b:오일주입링
25c:펌프 31:외피 33:콘트롤러
33a:제 1모터온오프버튼 33b:제 1모터속도조절스위치
33c:제 2모터온오프버튼 33d:제 2모터속도조절스위치
33e:오일공급부작동스위치 35:가이드판 35b:블록설치구멍
35c:고정돌기 35d:구멍 35e:볼트
35f:가이드면 35k:걸림턱 37:압출블록
37a:압출구멍 37b:플랜지부 37c:가이드부
41:순대 41a:겉재료 41c:속재료
41d:오일코팅층

Claims (5)

  1. 당면과 선지를 포함한 순대용 겉재료를 압출하는 제 1압출부와;
    상기 제 1압출부로부터 압출되는 겉재료를, 그 입구로 받아들이고 출구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출구측 외주부에는 순대용 외피를 지지하며 상기 겉재료가 출구를 통해 배출될 때 외피가 재료를 따라 풀려 나가도록 지지하는 외피지지부가 마련되어 있는 겉재료이송튜브와;
    상기 외피에 감싸이는 겉재료의 중심축부에 삽입할 속재료를 압출하는 제 2압출부와;
    상기 제 2압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속재료를, 그 입구로 받아들이고 출구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상기 겉재료이송튜브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그 일부가 상기 겉재료이송튜브의 출구를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속재료이송튜브와;
    상기 속재료이송튜브의 내부로 오일을 공급하여 속재료이송튜브를 통과하는 속재료의 표면에 오일을 도포하는 오일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압출부는;
    상부로 개방된 챔버내에 설치되며,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며 챔버내에 투입되는 속재료를 챔버의 일측벽에 형성된 배출구멍을 통해 배출시키는 스크류피더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일측벽의 전방부에는, 상기 배출구멍을 통과한 속재료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유동단면적을 축소하여 상기 속재료이송튜브로 전달하는 압출블록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재료이송튜브의 출구는, 겉재료이송튜브의 출구를 통과하여 겉재료이송튜브의 외부로 돌출되되, 속재료이송튜브 직경의 3배 이상의 거리만큼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 제조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속재료이송튜브의 출구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 제조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재료이송튜브는, 상기 겉재료이송튜브의 튜브 벽면을 통과해 겉재료이송튜브의 내부로 진입한 후, 겉재료이송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겉재료이송튜브의 출구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대 제조장치.
KR1020100033908A 2010-04-13 2010-04-13 순대 제조장치 KR101197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908A KR101197337B1 (ko) 2010-04-13 2010-04-13 순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908A KR101197337B1 (ko) 2010-04-13 2010-04-13 순대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328A KR20110114328A (ko) 2011-10-19
KR101197337B1 true KR101197337B1 (ko) 2012-11-02

Family

ID=45029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908A KR101197337B1 (ko) 2010-04-13 2010-04-13 순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73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103A (ko) * 2015-07-21 2017-02-02 주식회사 미성부림푸드 순대 재료 자동 혼합 장치
KR20180135145A (ko) * 2017-06-09 2018-12-20 (주)건영제과 필름 피막 분리형 식품 제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889Y1 (ko) 1999-08-10 2000-02-15 주식회사옹달샘식품 순대압출기
KR200441446Y1 (ko) * 2007-03-26 2008-08-18 김주동 누룽지밥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889Y1 (ko) 1999-08-10 2000-02-15 주식회사옹달샘식품 순대압출기
KR200441446Y1 (ko) * 2007-03-26 2008-08-18 김주동 누룽지밥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103A (ko) * 2015-07-21 2017-02-02 주식회사 미성부림푸드 순대 재료 자동 혼합 장치
KR101723408B1 (ko) * 2015-07-21 2017-04-07 주식회사 미성부림푸드 순대 재료 자동 혼합 장치
KR20180135145A (ko) * 2017-06-09 2018-12-20 (주)건영제과 필름 피막 분리형 식품 제조 장치
KR101941593B1 (ko) * 2017-06-09 2019-01-24 (주)건영제과 필름 피막 분리형 식품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328A (ko)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0193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лбасного изделия с внешним контуром любой геометрической форм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PL202280B1 (pl) Urządzenie i sposób wytwarzania pasma z masy ciastowatej i głowica wytłaczająca dla takiego urządzenia i sposobu
US46595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uding and cutting a food material
RU98109050A (ru) Спиральный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и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получения
EP253879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oducts
EP2039253A1 (en) Co-extrusion of food material and product resulting thereof
JPS6322173A (ja) 食品の成形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00049176A (ko) 소세지 압출기로부터 배출된 소세지 스트랜드의 외면을응고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1197337B1 (ko) 순대 제조장치
CA2179764C (en) Two-component extrusion die
FR2483181A1 (fr) Vis pour l'extrusion d'une pate alimentaire
JP3009835B2 (ja) 有芯棒状食品吐出装置
FR2572899A1 (fr) Procede et installation de fabrication d'un produit fourre
KR19980087162A (ko) 2겹 식품 공급 방법 및 장치
KR101735515B1 (ko) 만두 제조장치
RU2314918C1 (ru) Экструдер
KR20040055792A (ko) 굽어지고 압출된 식육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수단 및 방법,그리고 굽어지고 압출된 식육제품
KR101335679B1 (ko) 스낵과자 제조장치
US9314034B2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sausage string
CN102805417A (zh) 一种多色汤圆机
CN115334888A (zh) 用于加工食品原料的装置
KR100453808B1 (ko) 동축케이블용 발포 압출기
RU2734525C1 (ru) Пресс-экструдер
RU192455U1 (ru) Система ввода начинки и подачи газа машины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из теста
RU2563684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оэкструз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