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651B1 -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8651B1 KR102098651B1 KR1020190090018A KR20190090018A KR102098651B1 KR 102098651 B1 KR102098651 B1 KR 102098651B1 KR 1020190090018 A KR1020190090018 A KR 1020190090018A KR 20190090018 A KR20190090018 A KR 20190090018A KR 102098651 B1 KR102098651 B1 KR 1020986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er
- elastic member
- disposed
- rear direction
- blo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05—Apparatus for holding or moving single prob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디; 상기 바디에 결합하며,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제1 헤더;및 상기 바디에 결합하며,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제2 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헤더 상기 제2 헤더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바디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이격 거리가 가변하는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프로브 장치는 디스플레이의 패널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이다. 프로브 장치는 패널의 패드와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52484호(2016.09.08. 공고, 이하 본 문헌이라 한다.)에는 필름을 포함하는 프로브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본 문헌의 프로브 장치는 필름이 패널의 리드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필름은 연성회로기판과 연결된다. 연성회로기판의 테스트 신호는 필름을 통해 패널로 출력된다. 패널의 신호는 필름을 통해 연성회로기판에 전달된다.
본 문헌의 프로브 장치는 이러한 필름을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탄성부재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필름의 리들선을이 패널의 패드와 접촉하도록 필름을 정렬하여 가압한다. 탄성부재는 헤더에 장착된다. 그리고 패널의 패드는 커버에 장착될 수 있다.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탄성부재는 고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한 커버에 패널의 패드가 부착되고, 커버의 위치를 조절하여, 패널의 패드와 필름의 리드선을 정렬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브 장치는, 패널을 움직이기 때문에 번거롭고, 필름의 리드선과 정렬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열로 배치된 패드가 포함된 패널에만 적용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패널의 패드를 고정하고 필름을 가압하는 탄성부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결합하며,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제1 헤더 및 상기 바디에 결합하며,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제2 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헤더 상기 제2 헤더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바디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이격 거리가 가변하는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헤더는 상기 바디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헤더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헤더는 상기 제2 헤더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헤더 및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헤더의 전후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헤더는 전후방향으로 상기 제2 헤더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헤더의 일부는 상기 제2 헤더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헤더는 상면, 하면,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헤더는 상기 상면에서 오목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면 및 후면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헤더는 상기 바디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블록과, 상기 레일에 배치되는 제2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헤더는 상기 제2 블록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3 블록을 포함하고, 제3 블록은 전면, 상면, 하면 및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제3 블록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블록의 후면은 상기 제2 헤더의 전면과 접촉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제 블록의 후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제1 헤더의 전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조절부는 전후방향으로 상기 제1 헤더와 상기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수축 시 복원력을 가지는 제3 탄성부재와, 전후방향으로 상기 바디 및 상기 제1 헤더에 회전 체결되어 상기 전후방향으로 상기 제1 헤더와 상기 바디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제1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헤더는 상기 바디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헤더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헤더 및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헤더의 전후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제1 헤더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제2 헤더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헤더의 전면과 상기 제2 헤더의 후면과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제1 헤더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제2 헤더의 후면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조절부는 전후방향으로 상기 제1 헤더와 상기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수축시 복원력을 가지는 제4 탄성부재와, 전후방향으로 상기 바디 및 상기 제1 헤더에 회전 체결되어 상기 전후방향으로 상기 제1 헤더와 상기 바디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제2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패널의 패드를 고정하고, 탄성부재의 전후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필름과 패널의 패드를 용이하게 정렬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복열로 배치되는 패드를 포함하는 패널에 적용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탄성부재 중 어느 하나는 고정하고, 다른 하나는 전후방향으로 위치조절 가능하게 배치되어, 필름과 패널의 패드의 정렬 용이성을 높인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도 1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제1 헤더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2 헤더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1 헤더와 제2 헤더와 위치조절부가 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 헤더가 전진이동하여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의 전후방향 이격거리가 증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1 헤더가 후진이동하여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의 전후방향 이격거리가 감소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패널의 패드가 배치된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한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의 분해도,
도 12는 도 10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의 측단면도,
도 13은 제1 헤더가 후진이동하여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의 전후방향 이격거리가 증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제1 헤더가 전진이동하여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의 전후방향 이격거리가 감소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패널의 패드가 배치된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도 1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제1 헤더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2 헤더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1 헤더와 제2 헤더와 위치조절부가 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 헤더가 전진이동하여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의 전후방향 이격거리가 증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1 헤더가 후진이동하여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의 전후방향 이격거리가 감소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패널의 패드가 배치된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한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의 분해도,
도 12는 도 10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의 측단면도,
도 13은 제1 헤더가 후진이동하여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의 전후방향 이격거리가 증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제1 헤더가 전진이동하여 제1 탄성부재와 제2 탄성부재의 전후방향 이격거리가 감소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패널의 패드가 배치된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실시예에 따른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의 분해도이다. 이하, 도면에서 x축은 필름 프로브 장치의 전후방향이며 제1 방향을 나타내고, y축은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의 좌우방향(x)이며 제2 방향을 나타낸다. 그리고 z축은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의 상하방향(z)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는, 바디(10)와, 제1 헤더(20)과, 제2 헤더(30)와, 위치조절부(40)와, 커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헤더(20)와, 제2 헤더(30)는 각각 바디(10)에 결합한다. 제1 헤더(20)와, 제2 헤더(30)는 독립적으로, 바디(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하방향(z)을 기준으로. 제1 헤더(20)는 바디(10)의 하측에 결합할 수 있고, 위치조절부(40)는 바디(10)와 제1 헤더(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헤더(30)는 제1 헤더(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50)는 제2 헤더(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헤더(20)에는 제1 탄성부재(R1)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2 헤더(30)에는 제2 탄성부재(R2)가 배치된다. 제1 탄성부재(R1)가 제2 탄성부재(R2)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1 헤더(20)는 바디(10)에 전후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반면에 제2 헤더(30)는 전후방향(y)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바디(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R1)와 제2 탄성부재(R2)는 필름을 패널의 패드에 가압하는 부재이다.
도 3은 도 1의 A-A를 기준으로 하는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제1 헤더(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헤더(20)는 제1 블록(21)과 제2 블록(22)과 제3 블록(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록(21)과 제2 블록(22)과 제3 블록(23)은 그 형상 및 기능적 특성에 따라 구분되어 설명될 수 있을 뿐, 서로 상하로 연결된 하나의 수단일 수 있다.
제1 블록(21)은 바디(10)에 전후방향(y)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 블록(21)의 상면에는 홈(21a)이 형성될 수 있다. 홈(21a)에는 위치조절부(40)의 제4 블록(43)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블록(22)은 제1 블록(2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제2 블록(22)은 상하방향(z) 및 좌우방향(x)으로 제2 헤더(30)와 오버랩되는 영역을 포함한다. 제2 블록(22)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블록(22)은 좌우방향(x)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3 블록(23)은 제2 블록(22)의 단부에 연결된다. 제3 블록(23)은 전면(23a), 후면(23b), 상면(23c) 및 하면(23d)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블록(23)은 좌우방향(x)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블록(23)의 하면(23d)에는 제1 탄성부재(R1)가 배치된다. 후면(23b)은 제2 헤더(30)의 전면(31)을 마주보고 배치된다. 제1 탄성부재(R1)는 전후방향(y)으로 후면(23b)보다 돌출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R1)의 후면이 제3 블록(23)의 후면(23b)과 연속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제2 헤더(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2 헤더(30)는 전면(31), 후면(32), 상면(33) 및 하면(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헤더(30)은 좌우방향(x)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헤더(30)은 레일(35)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35)은 상면(33)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며, 전면(31) 및 하면(32)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레일(35)에는 제1 헤더(20)의 제2 블록(22)이 배치될 수 있다. 레일(35)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레일(35)의 개수는 제2 블록(22)의 개수와 대응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R2)는 제2 헤더(30)의 하면(34)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R2)는 전후방향(y)으로 전면(31)보다 돌출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R2)의 전면이 제2 헤더(30)의 전면(31)과 연속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제1 헤더(20)와 제2 헤더(30)와 위치조절부(40)가 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헤더(20)의 제3 블록(23)이 제2 헤더(3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제1 헤더(20)가 제2 헤더(30)에 포개져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 헤더(20)의 제2 블록(22)이 제2 헤더(30)의 레일(35)에 배치되어, 제2 블록(22)이 제2 헤더(30)와 상하방향(z) 및 좌우방향(x)으로 오버랩된다. 제1 헤더(20)는 제1 탄성부재(R1)가 제2 탄성부재(R2)보다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레일(35)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직선이동한다.
위치조절부(40)는 제1 헤더(20)의 움직임을 조절하여, 제1 탄성부재(R1)의 전후방향(y) 위치를 조절할다. 위치조절부(40)는 제3 탄성부재(41)와, 제1 볼트(42)와, 제4 블록(43)과 제5 블록(4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탄성부재(41)는 신축시 복원력을 가지는 스프링일 수 있다. 한 쌍의 제3 탄성부재(41)가 전후방향(y)을 기준으로 제1 블록(21)과 바디(10) 사이에 배치되어, 신축 시, 제1 블록(21)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제4 블록(43)은 제1 헤더(20)의 제1 블록(2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5 블록(44)은 제4 블록(43)에 전후방향(y)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5 블록(44)은 바디(10)의 하면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4 블록(43)과 제5 블록(44)은, 제5 블록(44)이 고정된 상태에서 제4 블록(44)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형태의 연결 구조로 조합될 수 있다.
제1 볼트(42)는 전후방향(y)으로 바디(10)와 제1 헤더(20)의 제1 블록(21)에 걸쳐 회전 체결된다. 제1 볼트(42)가 회전함에 따라, 전후방향(y)으로 바디(10)와 제1 블록(21) 사이의 거리가 가변된다.
도 7은 제1 헤더(20)가 전진이동하여 제1 탄성부재(R1)와 제2 탄성부재(R2)의 전후방향(y) 이격거리(D)가 증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제1 헤더(20)가 후진이동하여 제1 탄성부재(R1)와 제2 탄성부재(R2)의 전후방향(y) 이격거리(D)가 감소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패널의 패드가 배치된 프로브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볼트(42)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헤더(20)의 제1 블록(21)이 전진이동한다. 이때, 제1 블록(21)이 전진이동하도록, 제3 탄성부재(41)의 복원력이 제1 블록(21)에 부가된다. 제1 블록(21)이 전진이동하면 제3 블록(23)이 전진이동한다. 제3 블록(23)이 전진이동하면서, 제1 탄성부재(R1)와 패널의 패드(1)의 제1 접촉위치(S1)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 헤더(30)는 고정된 상태이고, 패널의 패드(1)도 고정된 상태이다. 때문에, 제2 탄성부재(R2)와 패널의 패드(1)의 제2 접촉위치(S2)는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전후방향(y)으로 제1 접촉위치(S1)와 제2 접촉위치(S2)는 이격거리(D)가 형성된다.
작업자는 이렇게 전후방향(y)으로 제1 헤더(20)를 움직여 패널의 패드(1)의 위치에 맞추어 제1 접촉위치(S1)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2 접촉위치(S2)가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1 접촉위치(S1)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23d), 제1 볼트(42)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헤더(20)의 제1 블록(21)이 후진이동한다. 이때, 제1 블록(21)은 제1 볼트(42)의 체결력을 통해 제3 탄성부재(41)의 복원력을 극복하고 후진이동한다. 제3 블록(23)이 후진이동하면(23d)서, 제1 탄성부재(R1)와 패널의 패드의 제1 접촉위치(S1)가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 탄성부재(R2)와 패널의 패드의 제2 접촉위치(S2)는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기 때문에, 제1 볼트(42)를 회전조작하면서 제1 접촉위치(S1)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도시한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B-B를 기준으로 하는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는, 바디(100)와, 제1 헤더(200)와, 제2 헤더(300)와, 위치조절부(400)와, 커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헤더(200)와, 제2 헤더(300)는 각각 바디(100)에 결합한다. 제1 헤더(200)와, 제2 헤더(300)는 독립적으로, 바디(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하방향(z)을 기준으로. 제1 헤더(200)는 바디(100)의 하측에 결합할 수 있고, 위치조절부(400)는 바디(100)와 제1 헤더(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헤더(300)는 제1 헤더(2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500)는 제2 헤더(3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헤더(200)에는 제1 탄성부재(R1)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2 헤더(300)에는 제2 탄성부재(R2)가 배치된다. 제1 탄성부재(R1)가 제2 탄성부재(R2)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1 헤더(200)는 바디(100)에 전후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반면에 제2 헤더(300)는 전후방향(y)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바디(10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헤더(200)는 제6 블록(210)과 제7 블록(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6 블록(210)과 제7 블록(220)은 별품이며, 서로 결합된다.
제7 블록(220)은 바디(100)에 전후방향(y)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6 블록(210)은 제7 블록(220)의 단부에 연결된다.
제6 블록(210)은 좌우방향(x)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6 블록(210)의 하면에는 제1 탄성부재(R1)가 배치된다. 제6 블록(210)의 전면(211)은 제2 헤더(300)의 후면(310)을 마주보고 배치된다. 제1 탄성부재(R1)는 전후방향(y)으로 전면(211)보다 돌출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R1)의 전면이 제6 블록(210)의 전면(211)과 연속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헤더(300)는 좌우방향(x)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R2)는 제2 헤더(300)의 하면(32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R2)는 전후방향(y)으로 제2 헤더(300)의 후면(310)보다 돌출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R2)의 후면이 제2 헤더(300)의 후면(310)과 연속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위치조절부(400)는 제1 헤더(200)의 움직임을 조절하여, 제1 탄성부재(R1)의 전후방향(y) 위치를 조절할다. 위치조절부(400)는 제4 탄성부재(410)와, 제8 블록(430)과 제9 블록(440)과 제2 볼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탄성부재(410)는 신축시 복원력을 가지는 스프링일 수 있다. 한 쌍의 제4 탄성부재(410)가 전후방향(y)을 기준으로 제7 블록(220)과 바디(100) 사이에 배치되어, 신축 시, 제7 블록(220)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제8 블록(430)은 제1 헤더(200)의 제7 블록(2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9 블록(440)은 제8 블록(430)에 전후방향(y)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9 블록(440)은 바디(100)의 하면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볼트(420)는 전후방향(y)으로 바디(100)와 제1 헤더(200)의 제7 블록(220)에 걸쳐 회전 체결된다. 제2 볼트(420)가 회전함에 따라, 전후방향(y)으로 바디(100)와 제7 블록(220) 사이의 거리가 가변된다.
도 13은 제1 헤더(200)가 후진이동하여 제1 탄성부재(R1)와 제2 탄성부재(R2)의 전후방향(y) 이격거리(D)가 증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제1 헤더(200)가 전진이동하여 제1 탄성부재(R1)와 제2 탄성부재(R2)의 전후방향(y) 이격거리(D)가 감소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패널의 패드가 배치된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2 볼트(420)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헤더(200)의 제7 블록(220)이 후진이동한다. 이때, 제7 블록(220)은 제2 볼트(420)의 체결력을 통해 제4 탄성부재(410)의 복원력을 극복하고 후진이동한다. 제7 블록(220)이 전진이동하면서 제1 탄성부재(R1)와 패널의 패드(1)의 제1 접촉위치(S1)가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 헤더(300)는 고정된 상태이고 패널의 패드(1)도 고정된 상태이다. 때문에, 제2 탄성부재(R2)와 패널의 패드(1)의 제2 접촉위치(S2)는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전후방향(y)으로 제1 접촉위치(S1)와 제2 접촉위치(S2)는 이격거리(D)가 형성된다.
작업자는 이렇게 전후방향(y)으로 제1 헤더(200)만을 움직여 패널의 패드(1)의 위치에 맞추어 제1 접촉위치(S1)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2 접촉위치(S2)가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1 접촉위치(S1)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 볼트(420)를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헤더(200)의 제7 블록(220) 및 제8 블록(230)이 전진이동한다. 이때, 제7 블록(220)이 전진이동하도록 제4 탄성부재(410)의 복원력이 제7 블록(220)에 부가된다. 제8 블록(230)이 전진이동하면서, 제1 탄성부재(R1)와 패널의 패드(1)의 제1 접촉위치(S1)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 탄성부재(R2)와 패널의 패드(1)의 제2 접촉위치(S2)는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기 때문에, 제2 볼트(420)를 회전조작하면서 제1 접촉위치(S1)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00: 바디
20,200: 제1 헤더
21: 제1 블록
22: 제2 블록
23: 제3 블록
210: 제6 블록
220: 제7 블록
30,300: 제2 헤더
40,400: 위치조절부
41: 제3 탄성부재
42: 제1 볼트
43: 제4 블록
44: 제5 블록
50,500: 커버
420: 제2 볼트
430: 제8 블록
440: 제9 블록
20,200: 제1 헤더
21: 제1 블록
22: 제2 블록
23: 제3 블록
210: 제6 블록
220: 제7 블록
30,300: 제2 헤더
40,400: 위치조절부
41: 제3 탄성부재
42: 제1 볼트
43: 제4 블록
44: 제5 블록
50,500: 커버
420: 제2 볼트
430: 제8 블록
440: 제9 블록
Claims (12)
- 바디;
상기 바디에 결합하며,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제1 헤더;및
상기 바디에 결합하며,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제2 헤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헤더 상기 제2 헤더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바디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탄성부재와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이격 거리가 가변하는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더는 상기 바디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헤더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헤더는 상기 제2 헤더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헤더 및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헤더의 전후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전방에 배치되는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더는 전후방향으로 상기 제2 헤더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더의 일부는 상기 제2 헤더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헤더는 상면, 하면, 전면 및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헤더는 상기 상면에서 오목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면 및 후면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헤더는 상기 바디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블록과, 상기 레일에 배치되는 제2 블록을 포함하는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더는 상기 제2 블록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3 블록을 포함하고,
제3 블록은 전면, 상면, 하면 및 후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제3 블록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블록의 후면은 상기 제2 헤더의 전면과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제3 블록의 후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제1 헤더의 전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전후방향으로 상기 제1 헤더와 상기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수축 시 복원력을 가지는 제3 탄성부재와, 전후방향으로 상기 바디 및 상기 제1 헤더에 회전 체결되어 상기 전후방향으로 상기 제1 헤더와 상기 바디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제1 볼트를 포함하는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더는 상기 바디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헤더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헤더 및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헤더의 전후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후방에 배치되는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제1 헤더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제2 헤더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헤더의 전면과 상기 제2 헤더의 후면과 배치되는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상기 제1 헤더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상기 제2 헤더의 후면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전후방향으로 상기 제1 헤더와 상기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전후방향으로 수축시 복원력을 가지는 제4 탄성부재와, 전후방향으로 상기 바디 및 상기 제1 헤더에 회전 체결되어 상기 전후방향으로 상기 제1 헤더와 상기 바디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제2 볼트를 포함하는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0018A KR102098651B1 (ko) | 2019-07-25 | 2019-07-25 |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0018A KR102098651B1 (ko) | 2019-07-25 | 2019-07-25 |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8651B1 true KR102098651B1 (ko) | 2020-04-10 |
Family
ID=70291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0018A KR102098651B1 (ko) | 2019-07-25 | 2019-07-25 |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8651B1 (ko) |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80124A (ja) * | 1991-09-19 | 1993-04-02 | Hitachi Ltd | 半導体素子検査装置 |
KR20060065042A (ko) * | 2004-12-09 | 2006-06-14 | 엘지엔시스(주) | 매체자동지급기용 매체카세트 |
KR20100132827A (ko) * | 2009-06-10 | 2010-12-20 | (주)기가레인 | 프로브 유닛 |
KR20120067685A (ko) * | 2010-12-16 | 2012-06-26 |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를 위한 프로브 유닛 |
KR20130036457A (ko) * | 2011-10-04 | 2013-04-12 | 솔브레인이엔지 주식회사 | 전기 접촉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검사용 프로브 어셈블리 |
KR101255094B1 (ko) * | 2013-01-30 | 2013-04-23 | 주식회사 프로이천 | 분리형 필름타입 프로브 블록 |
KR101436294B1 (ko) * | 2013-10-10 | 2014-09-03 | 로체 시스템즈(주) | 전극패턴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극패턴 검사장치 시스템 |
KR20160048337A (ko) * | 2014-10-24 | 2016-05-04 | (주) 루켄테크놀러지스 | 필름형 프로브 유닛 |
KR101652484B1 (ko) | 2015-05-11 | 2016-08-31 | 한국지역난방공사 | 난방과 급탕이 가능한 저온수 2단 흡수식 냉동기 |
KR101896873B1 (ko) * | 2018-05-02 | 2018-09-10 | 주식회사 프로이천 | 핀 보드 |
KR101923587B1 (ko) * | 2018-06-19 | 2018-11-29 | 주식회사 프로이천 | 핀 보드 조립체 |
KR20180130687A (ko) * | 2017-05-30 | 2018-12-10 | 주식회사 이노베이스 | 전자 소자 검사용 프로브 |
-
2019
- 2019-07-25 KR KR1020190090018A patent/KR10209865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80124A (ja) * | 1991-09-19 | 1993-04-02 | Hitachi Ltd | 半導体素子検査装置 |
KR20060065042A (ko) * | 2004-12-09 | 2006-06-14 | 엘지엔시스(주) | 매체자동지급기용 매체카세트 |
KR20100132827A (ko) * | 2009-06-10 | 2010-12-20 | (주)기가레인 | 프로브 유닛 |
KR20120067685A (ko) * | 2010-12-16 | 2012-06-26 |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를 위한 프로브 유닛 |
KR20130036457A (ko) * | 2011-10-04 | 2013-04-12 | 솔브레인이엔지 주식회사 | 전기 접촉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검사용 프로브 어셈블리 |
KR101255094B1 (ko) * | 2013-01-30 | 2013-04-23 | 주식회사 프로이천 | 분리형 필름타입 프로브 블록 |
KR101436294B1 (ko) * | 2013-10-10 | 2014-09-03 | 로체 시스템즈(주) | 전극패턴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극패턴 검사장치 시스템 |
KR20160048337A (ko) * | 2014-10-24 | 2016-05-04 | (주) 루켄테크놀러지스 | 필름형 프로브 유닛 |
KR101652484B1 (ko) | 2015-05-11 | 2016-08-31 | 한국지역난방공사 | 난방과 급탕이 가능한 저온수 2단 흡수식 냉동기 |
KR20180130687A (ko) * | 2017-05-30 | 2018-12-10 | 주식회사 이노베이스 | 전자 소자 검사용 프로브 |
KR101896873B1 (ko) * | 2018-05-02 | 2018-09-10 | 주식회사 프로이천 | 핀 보드 |
KR101923587B1 (ko) * | 2018-06-19 | 2018-11-29 | 주식회사 프로이천 | 핀 보드 조립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3587B1 (ko) | 핀 보드 조립체 | |
US9116170B2 (en) | Automatic aligning apparatus | |
KR102098653B1 (ko) | 프로브 블록 | |
JP5239716B2 (ja) | Ledの試験装置 | |
JP6608278B2 (ja) | ステレオ・カメラの二つの画像撮影エレメントを揃えるための方法 | |
CN109791177B (zh) | 用于指纹感测装置的测试模块 | |
KR20150131059A (ko) | 스테레오 카메라 모듈 및 제조 방법 | |
KR101855249B1 (ko) | 수평방향 사이드 컨택 기능을 갖는 전자부품용 테스트 소켓 | |
KR102098651B1 (ko) | 필름 타입 프로브 장치 | |
JP2010091341A5 (ko) | ||
KR102098652B1 (ko) |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 |
US7471095B2 (en) |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thereof | |
KR102424076B1 (ko) | 동시접촉핀보드 | |
JP2007292750A5 (ko) | ||
US4625416A (en) | Clearance measuring apparatus for an assembly device | |
KR101322105B1 (ko) | 커넥터 및 커넥터를 가지는 반도체 검사장치 | |
CN110927416B (zh) | 探针卡测试装置及测试装置 | |
CN104569505B (zh) | 无螺纹接触弹簧的更换 | |
JP3751352B2 (ja) | 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 |
KR102486185B1 (ko) | 분리 접촉 기능의 핀보드 | |
CN102997947A (zh) | 位置测量系统的扫描组件 | |
EP1093004A3 (en) | Hybrid electro-optic device with combined mirror arrays | |
CN104583782B (zh) | 用于电导体的可逆机械固定和电接触的装置和方法 | |
KR100581677B1 (ko) | 프린트 기판용 검사장치 | |
JP3190874B2 (ja) | 先端脱着式高周波プローブ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