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8115B1 -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8115B1
KR102098115B1 KR1020140147104A KR20140147104A KR102098115B1 KR 102098115 B1 KR102098115 B1 KR 102098115B1 KR 1020140147104 A KR1020140147104 A KR 1020140147104A KR 20140147104 A KR20140147104 A KR 20140147104A KR 102098115 B1 KR102098115 B1 KR 102098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fixed
socket
protrusion
sh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9674A (ko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
Priority to KR1020140147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8115B1/ko
Publication of KR20160049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6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3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being transmitted by a cable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케이블을 변속기 레버 마운팅부에 구비된 케이블 브라켓에 삽입시 변속케이블과 케이블 브라켓 간의 유격을 최소화하여 변속 소음이 저감되도록 한다.
특히, 변속케이블을 케이블 브라켓에 삽입하기 전에는 유격이 크게 확보되어 변속케이블을 케이블 브라켓에 삽입하기가 용이하며, 변속케이블을 케이블 브라켓에 삽입시 유격이 제거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변속케이블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변속시 소음 발생이 저감됨에 따라 정숙성도 향상되도록 하는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 {APPARATUS FOR CABLE BRACKET FIXING}
본 발명은 변속케이블을 변속기 레버 마운팅부에 설치시 변속케이블을 고정함과 동시에 유격을 최소화하여 변속 소음을 저감시킨 변속 케이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동 변속 차량의 운전석에 설치된 스틱에는 변속기의 기어에 연결되는 TGS(Transmission Gear Shift) 케이블(이하 변속케이블)이 설치됨으로써 운전자가 스틱을 조작함에 따라 기어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변속케이블을 변속기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하여, 변속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브라켓이 변속기의 케이스에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변속케이블을 케이블 브라켓에 설치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종래의 변속케이블의 설치 구조는 변속기 케이스에 설치 고정된 케이블 브라켓(10)에 변속케이블(20)을 연결하고 변속기 브라켓을 중앙에 두고 더블 너트 구조를 이용하여 변속케이블을 너트(30)의 조임력을 통해 변속기에 설치 고정하였다.
이렇게, 변속케이블을 케이블 브라켓에 설치시 변속케이블의 너트(30)와 케이블 브라켓(10) 간의 유격이 발생되어 변속시 충격에 의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5-0056499 A (2005.06.16)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변속케이블을 변속기 레버 마운팅부에 설치시 변속케이블을 고정함과 동시에 유격을 최소화하여 변속 소음이 저감되도록 하는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는 변속케이블이 삽입되도록 장착홈이 형성된 케이블 브라켓; 상기 변속케이블이 관통되고, 변속케이블에 고정된 고정 소켓; 상기 변속케이블이 관통되며, 상기 고정 소켓의 일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변속케이블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고정 소켓과의 간격을 통해 변속케이블이 케이블 브라켓의 장착홈에 삽입되도록 하는 이동 소켓; 및 상기 이동 소켓의 내부에서 변속케이블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 소켓과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 소켓이 고정 소켓을 향해 이동되도록 밀어줌으로써 이동 소켓이 고정 소켓의 간격 사이에 위치된 케이블 브라켓에 밀착되도록 하는 조립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조립수단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변속케이블이 관통되어 고정되고, 일측면에는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다수의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고정 플랜지; 및 상기 고정 플랜지의 타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이동 소켓의 내부에서 탄성적으로 가압된 탄성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 소켓은 조립수단을 감싸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면이 상기 고정 플랜지의 일측면에 대향하고 내측으로 고정돌기와 대칭되는 이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타단면에 상기 탄성 스프링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플랜지의 고정돌기는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이동 소켓의 이격돌기는 고정돌기와 대칭되도록 동일 개수와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와 이격돌기는 돌출된 길이가 상호 동일하고, 고정돌기와 이격돌기의 돌출된 단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 브라켓에는 장착홈에 인접하여 일측으로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 소켓의 외주면에는 변속케이블을 케이블 브라켓의 장착홈에 삽입시 상기 걸림돌기에 걸리는 회전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블 브라켓의 장착홈에는 그 둘레에 이탈방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소켓의 타단면에는 상기 이탈방지홈에 대응되는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 소켓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레버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는 변속케이블을 변속기 레버 마운팅부에 구비된 케이블 브라켓에 삽입시 변속케이블과 케이블 브라켓 간의 유격을 최소화하여 변속 소음이 저감되도록 한다.
특히, 변속케이블을 케이블 브라켓에 삽입하기 전에는 유격이 크게 확보되어 변속케이블을 케이블 브라켓에 삽입하기가 용이하며, 변속케이블을 케이블 브라켓에 삽입시 유격이 제거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변속케이블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변속시 소음 발생이 저감됨에 따라 정숙성도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변속케이블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내지 12는 도 2에 도시된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 내지 12는 도 2에 도시된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는 변속케이블(C)이 삽입되도록 장착홈(120)이 형성된 케이블 브라켓(100); 상기 변속케이블(C)이 관통되고, 변속케이블(C)에 고정된 고정 소켓(200); 상기 변속케이블(C)이 관통되며, 상기 고정 소켓(200)의 일측으로 일정 간격(a) 이격되어 변속케이블(C)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고정 소켓(200)과의 간격(a)을 통해 변속케이블(C)이 케이블 브라켓(100)의 장착홈(120)에 삽입되도록 하는 이동 소켓(300); 및 상기 이동 소켓(300)의 내부에서 변속케이블(C)에 고정되며, 상기 이동 소켓(300)과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 소켓(300)이 고정 소켓(200)을 향해 이동되도록 밀어줌으로써 이동 소켓(300)이 고정 소켓(200)의 간격 사이에 위치된 케이블 브라켓(100)에 밀착되도록 하는 조립수단(400);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은 변속케이블(C)을 변속기 레버 마운팅부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변속기 레버 마운팅부에는 변속케이블(C)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케이블 브라켓(100)이 구비되며, 케이블 브라켓(100)에는 상부에 장착홈(120)이 형성되어 "U"자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케이블 브라켓(100)에는 변속케이블(C)이 연결되는데, 변속케이블(C)에는 고정 소켓(200), 이동 소켓(300), 조립수단(400)을 통해 케이블 브라켓(100)에 연결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상세하게, 변속케이블(C)에 고정된 고정 소켓(200)과 변속케이블(C)의 연장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이동 소켓(300)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고정 소켓(200)과 이동 소켓(300)이 이격된 간격(a) 사이로 케이블 브라켓(100)의 장착홈(120)이 삽입됨으로써 변속케이블(C)이 케이블 브라켓(100)에 연결되는 것이다.
특히, 이동 소켓(300)의 내부에는 이동 소켓(300)을 탄성적으로 밀어주는 조립수단(400)이 구비됨으로써 조립수단(400)에 의해 이동 소켓(300)이 고정 소켓(200)을 향해 밀리어 이동되고, 이동 소켓(300)이 밀림에 따라 고정 소켓(200)과의 간격(a)이 감소되어 이동 소켓(300)과 고정 소켓(200)이 케이블 브라켓(100)을 중심에 두고 밀착되는 것이다. 이렇게, 이동 소켓(300)과 고정 소켓(200)이 케이블 브라켓(100)에 밀착됨으로써 유격이 최소화되어 변속 소음이 저감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수단(40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변속케이블(C)이 관통되어 고정되고, 일측면(422)에는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다수의 고정돌기(426)가 돌출 형성된 고정 플랜지(420); 및 상기 고정 플랜지(420)의 타측면(424)에 마련되고, 상기 이동 소켓(300)의 내부에서 탄성적으로 가압된 탄성 스프링(4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소켓(300)은 조립수단(400)을 감싸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면(302)이 상기 고정 플랜지(420)의 일측면(422)에 대향하고 내측으로 고정돌기(426)와 대칭되는 이격돌기(320)가 돌출 형성되며, 타단면(304)에 상기 탄성 스프링(440)이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변속케이블(C) 상에 마련된 고정 소켓(200)과 이동 소켓(300) 간의 간격(a)으로 케이블 브라켓(100)의 장착홈(120)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즉, 케이블 브라켓(100)의 일측에는 이동 소켓(300)이 위치되며, 타측에는 고정 소켓(200)이 위치되고, 조립수단(400)에 의해 이동 소켓(300)이 이동됨으로써 이동 소켓(300), 케이블 브라켓(100), 고정 소켓(200) 간의 유격이 제거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상기의 조립수단(400)은 이동 소켓(300)의 내부에 위치되며, 변속케이블(C)에 고정되는 고정 플랜지(420)와 고정 플랜지(420)에 지지되어 이동 소켓(300)을 탄성적으로 밀어주는 탄성 스프링(440)으로 구성된다. 즉, 고정 플랜지(420)는 변속케이블(C)에 고정됨에 따라 탄성 스프링(440)이 고정 플랜지(420)에 지지되어 타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인장됨으로써 이동 소켓(300)의 타단면(304)을 밀어주어 이동 소켓(300)이 고정 소켓(200)을 향해 이동되는 것이다.
단, 본 발명에서 이동 소켓(300)의 일단면(302)에는 이격돌기(320)가 돌출 형성되고, 조립수단(400)의 고정 플랜지(420)에는 이격돌기(320)에 대향하는 고정돌기(426)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이격돌기(320)와 고정돌기(426)는 도 5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접촉된 상태일 경우 이격돌기(320)가 돌출된 길이와 고정돌기(426)가 돌출된 길이가 합산된 만큼 이동 소켓(300)의 내부에서 탄성 스프링(440)이 가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소켓(300)의 이격돌기(320)와 고정 플랜지(420)의 고정돌기(426)가 서로 이탈되는 경우 이격돌기(320)와 고정돌기(426)가 서로 포개어짐에 따라 탄성 스프링(440)에 의해 이동 소켓(300)이 타측으로 이동된다.
상기의 이격돌기(320)와 고정돌기(426)가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동작에 관하여는 하기에 다시 설명하도록 하겠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플랜지(420)의 고정돌기(426)는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이동 소켓(300)의 이격돌기(320)는 고정돌기(426)와 대칭되도록 동일 개수와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426)와 이격돌기(320)는 돌출된 길이가 상호 동일하고, 고정돌기(426)와 이격돌기(320)의 돌출된 단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고정돌기(426)와 이격돌기(320)는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돌기(426)와 이격돌기(320)의 돌출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고정돌기(426)와 이격돌기(320)가 포개어지는 경우 고정돌기(426)의 돌출된 단면이 이동 소켓(300)의 일단면(302)에 접촉되고, 이격돌기(320)의 돌출된 단면이 고정 플랜지(420)의 일측면(422)에 접촉되어 이동 소켓(300)의 이동 거리가 최대한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브라켓(100)에는 장착홈(120)에 인접하여 일측으로 걸림돌기(14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 소켓(300)의 외주면에는 변속케이블(C)을 케이블 브라켓(100)의 장착홈(120)에 삽입시 상기 걸림돌기(140)에 걸리는 회전돌기(34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동 소켓(300)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140)가 형성되고, 변속케이블(C)을 케이블 브라켓(100)의 장착홈(120)에 삽입시 이동 소켓(300)의 회전돌기(340)가 케이블 브라켓(100)에 형성된 걸림돌기(140)에 걸리어 회전됨으로써 이동 소켓(300)이 변속케이블(C)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이동 소켓(300)의 이격돌기(320)와 조립수단(400)의 고정 플랜지(420)에 형성된 고정돌기(426)가 상호 대향되어 접촉된 상태에서, 변속케이블(C)을 케이블 브라켓(100)의 장착홈(120)에 삽입시 이동 소켓(300)의 회전돌기(340)가 케이블 브라켓(100)의 걸림돌기(140)에 걸리어 회전됨으로써 이동 소켓(300)에 형성된 이격돌기(320)가 함께 회전되어 고정돌기(426)에서 이탈되는 것이다.
따라서, 변속케이블(C)을 케이블 브라켓(100)에 삽입하여 연결하기 전에는 이격돌기(320)와 고정돌기(426)가 상호 접촉됨에 따라 이동 소켓(300)과 고정 소켓(200) 사이에 간격(a)이 케이블 브라켓(100)의 두께보다 넓게 확보되고, 변속케이블(C)을 케이블 브라켓(100)의 장착홈(120)의 삽입시 이격돌기(320)와 고정돌기(426)가 상호 이탈되어 이동 소켓(300)이 고정 소켓(200)을 향해 이동됨으로써 이동 소켓(300), 케이블 브라켓(100), 고정 소켓(200)이 밀착되어 유격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블 브라켓(100)의 장착홈(120)에는 그 둘레에 이탈방지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소켓(300)의 타단면(304)에는 상기 이탈방지홈(122)에 대응되는 이탈방지돌기(36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브라켓(100)의 이탈방지홈(122)과 이동 소켓(300)의 이탈방지돌기(360)는 변속케이블(C)이 케이블 브라켓(100)에 삽입되어 연결되면 이동 소켓(300)의 타단면(304)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360)가 케이블 브라켓(100)의 장착홈(120)에 형성된 이탈방지홈(122)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변속케이블(C)이 장착홈(120)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케이블 브라켓(100)의 장착홈(120)에 형성되는 이탈방지홈(122)은 장착홈(120)의 양측으로 대칭되도록 복수개 형성하고, 이동 소켓(300)의 이탈방지돌기(360)도 이탈방지홈(122)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 이동 소켓(300)은 변속케이블(C)을 케이블 브라켓(100)의 장착홈(120)에 삽입시 이동 소켓(300)에 형성된 회전돌기(340)가 케이블 브라켓(100)의 걸림돌기(140)에 걸리어 이동 소켓(300)의 회전이 이루어지는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소켓(300)의 타단면(304)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360)는 케이블 브라켓(100)에 형성된 이탈방지홈(122)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져 형성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변속케이블(C)을 케이블 브라켓(100)의 장착홈(120)에 삽입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소켓(300)이 회전됨에 따라 이탈방지돌기(360)도 함께 회전되어 케이블 브라켓(100)의 이탈방지홈(122)에 맞춰져 이탈방지돌기(360)가 이탈방지홈(12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소켓(30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레버돌기(38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변속케이블(C)을 케이블 브라켓(100)에 삽입하기 전에 이동 소켓(300)의 이격돌기(320)와 고정 플랜지(420)의 고정돌기(426)가 서로 접촉되지 않고 포개어져 있는 경우 레버돌기(380)를 잡고 일측으로 당긴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이격돌기(320)와 고정돌기(426)가 마주하는 구조로 변경할 수 있다.
하기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변속케이블(C)을 케이블 브라켓(100)의 장착홈(120)에 삽입하기 전에는 이동 소켓(300)의 이격돌기(320)와 조립수단(400)의 고정 플랜지(420)에 형성된 고정돌기(426)가 상호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변속케이블(C)을 케이블 브라켓(100)의 장착홈(120)에 삽입시 이동 소켓(300)에 형성된 회전돌기(340)가 케이블 브라켓(100)에 형성된 걸림돌기(140)에 걸리어 회전됨으로써 이동 소켓(300)이 변속케이블(C)에서 회전되고, 이동 소켓(300)이 회전됨에 따라 이격돌기(320)가 고정돌기(426)에서 이탈된다.
이렇게, 이격돌기(320)가 고정돌기(426)에서 이탈됨에 따라 조립수단(400)의 탄성 스프링(440)이 이동 소켓(300)을 탄성적으로 밀어줌으로써 이동 소켓(300)이 고정 소켓(200) 측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이동 소켓(300)과 고정 소켓(200) 사이의 간격(a)이 축소됨에 따라 이동 소켓(300), 케이블 브라켓(100), 고정 소켓(200)이 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변속케이블(C) 고정 장치는 변속케이블(C)을 변속기 레버 마운팅부에 구비된 케이블 브라켓(100)에 삽입시 변속케이블(C)과 케이블 브라켓(100) 간의 유격을 최소화하여 변속 소음이 저감되도록 한다.
특히, 변속케이블(C)을 케이블 브라켓(100)에 삽입하기 전에는 유격이 크게 확보되어 변속케이블(C)을 케이블 브라켓(100)에 삽입하기가 용이하며, 변속케이블(C)을 케이블 브라켓(100)에 삽입시 유격이 제거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변속케이블(C)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변속시 소음 발생이 저감됨에 따라 정숙성도 향상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케이블 브라켓 120:장착홈
122:이탈방지홈 140:걸림돌기
200:고정 소켓 300:이동 소켓
320:이격돌기 340:회전돌기
360:이탈방지돌기 380:레버돌기
400:조립수단 420:고정 플랜지
426:고정돌기 440:탄성 스프링
C:변속케이블

Claims (8)

  1. 변속케이블(C)이 삽입되도록 장착홈(120)이 형성된 케이블 브라켓(100);
    상기 변속케이블(C)이 관통되고, 변속케이블(C)에 고정된 고정 소켓(200);
    상기 변속케이블(C)이 관통되며, 상기 고정 소켓(200)의 일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변속케이블(C)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고정 소켓(200)과의 간격을 통해 변속케이블(C)이 케이블 브라켓(100)의 장착홈(120)에 삽입되도록 하는 이동 소켓(300); 및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변속케이블(C)이 관통되어 고정되고 일측면에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고정돌기(426)가 돌출 형성된 고정 플랜지(420)와, 고정 플랜지(420)의 타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이동 소켓(300)의 내부에서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이동 소켓(300)이 고정 소켓(200)을 향해 이동되도록 밀어주는 탄성 스프링(440)으로 구성된 조립수단(400);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소켓(300)은 조립수단(400)을 감싸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면이 상기 고정 플랜지(420)의 일측면에 대향하고 내측으로 고정돌기(426)와 대칭되는 이격돌기(320)가 돌출 형성되며, 타단면에 상기 탄성 스프링(440)이 접촉됨으로써, 고정돌기(426)와 이격돌기(320)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호 이탈시 탄성스프링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 소켓(300)이 고정 소켓(200)의 간격 사이에 위치된 케이블 브라켓(100)에 밀착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랜지(420)의 고정돌기(426)는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이동 소켓(300)의 이격돌기(320)는 고정돌기(426)와 대칭되도록 동일 개수와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426)와 이격돌기(320)는 돌출된 길이가 상호 동일하고, 고정돌기(426)와 이격돌기(320)의 돌출된 단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브라켓(100)에는 장착홈(120)에 인접하여 일측으로 걸림돌기(14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 소켓(300)의 외주면에는 변속케이블(C)을 케이블 브라켓(100)의 장착홈(120)에 삽입시 상기 걸림돌기(140)에 걸리는 회전돌기(340)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브라켓(100)의 장착홈(120)에는 그 둘레에 이탈방지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 소켓(300)의 타단면에는 상기 이탈방지홈(122)에 대응되는 이탈방지돌기(3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소켓(30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레버돌기(380)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
KR1020140147104A 2014-10-28 2014-10-28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 KR102098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104A KR102098115B1 (ko) 2014-10-28 2014-10-28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104A KR102098115B1 (ko) 2014-10-28 2014-10-28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674A KR20160049674A (ko) 2016-05-10
KR102098115B1 true KR102098115B1 (ko) 2020-04-07

Family

ID=5602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104A KR102098115B1 (ko) 2014-10-28 2014-10-28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81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940B1 (ko) * 2018-04-12 2023-07-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레버의 도난방지 장치
KR102579299B1 (ko) * 2018-10-10 2023-09-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케이블의 강제 탈거 방지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3521A (ja) 1999-01-26 2000-08-02 Adwest Bowden Tsk Ltd 細長い部材を固定するための手段
JP2000240635A (ja) * 1998-12-22 2000-09-05 Chuo Spring Co Ltd ケーブルの端末固定装置
JP2002122271A (ja) 2000-10-12 2002-04-26 Nippon Cable Syst Inc ケーブル固定用のワンタッチキャップ
KR200323287Y1 (ko) 2003-05-10 2003-08-14 경창산업주식회사 변속기 케이블 조립체의 장착 소켓
KR200390813Y1 (ko) 2005-04-25 2005-07-28 주식회사 인팩 자동차 기어변속케이블의 취부소켓
KR100516591B1 (ko) 2003-12-31 2005-09-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변속기의 변속 케이블 지지 장치
US20090120231A1 (en) * 2007-11-12 2009-05-14 Gregory Phillip Ruhlander Cabl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016B1 (ko) 2003-12-10 200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 케이블의 고정구조체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0635A (ja) * 1998-12-22 2000-09-05 Chuo Spring Co Ltd ケーブルの端末固定装置
JP2000213521A (ja) 1999-01-26 2000-08-02 Adwest Bowden Tsk Ltd 細長い部材を固定するための手段
JP2002122271A (ja) 2000-10-12 2002-04-26 Nippon Cable Syst Inc ケーブル固定用のワンタッチキャップ
KR200323287Y1 (ko) 2003-05-10 2003-08-14 경창산업주식회사 변속기 케이블 조립체의 장착 소켓
KR100516591B1 (ko) 2003-12-31 2005-09-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변속기의 변속 케이블 지지 장치
KR200390813Y1 (ko) 2005-04-25 2005-07-28 주식회사 인팩 자동차 기어변속케이블의 취부소켓
US20090120231A1 (en) * 2007-11-12 2009-05-14 Gregory Phillip Ruhlander Cabl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674A (ko)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7579B2 (en) Vibration isolation mount for an electric motor
KR102098115B1 (ko) 변속케이블 고정 장치
US11155229B2 (en) Device for removably mounting an airbag module
CN104966558A (zh) 一种带可密封的隔热屏罩的电缆
JP6448124B2 (ja) ソケット型ハウジング、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支持体を備えるコネクタ装置
JP6206427B2 (ja) セレクタブルワンウェイクラッチの固定構造
JP2015183851A (ja) 差込継手部材
KR20160029669A (ko) 커넥터
WO2016174883A1 (ja) ダストキャップ
US10753387B2 (en) Ball pin connector
KR101888002B1 (ko) 래치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스티어링 칼럼 틸팅 장치
US3406586A (en) Sound and vibration insulated gear shift stick
KR101887834B1 (ko) 전기 커넥터
JP6463829B2 (ja) ホイールディスクアセンブリ
KR101936111B1 (ko) 스티어링 칼럼의 틸트 록킹 장치
KR101643877B1 (ko) 케이블 고정 장치
US11060545B2 (en) Fastening system for securing components
KR101142172B1 (ko)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
CN105097112A (zh) 一种带排热孔和压缩弹簧的隔热屏罩的电缆
KR102216944B1 (ko) 펌핑 디바이스
JP2014024424A (ja) コラムホールカバー
US2529582A (en) Fastening device
WO2015122057A1 (ja) 軸受装置及び軸受装置の製造方法
KR101144000B1 (ko) 클러치
KR200479836Y1 (ko) 차량용 정션 박스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