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708B1 -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708B1
KR102095708B1 KR1020180079374A KR20180079374A KR102095708B1 KR 102095708 B1 KR102095708 B1 KR 102095708B1 KR 1020180079374 A KR1020180079374 A KR 1020180079374A KR 20180079374 A KR20180079374 A KR 20180079374A KR 102095708 B1 KR102095708 B1 KR 102095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means
product
processing
primary
primary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859A (ko
Inventor
이재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금
Priority to KR1020180079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708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9/00Details or accessori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to milling machines or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5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roller-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C2260/04Adjus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C2260/76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 제품의 좌우 모서리를 각각 연속적으로 가공하여 자동으로 배출하는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은, 제품의 일단부 상측 모서리를 가공하는 1차가공수단(10)과; 상기 1차가공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되며, 1차가공수단(10)에 의해 가공된 제품의 일단부 하측 모서리를 가공하는 2차가공수단(20)과; 상기 2차가공수단(20)의 일측에 구비되며, 2차가공수단(20)을 거친 제품의 다른 일단부 상측 모서리를 가공하는 3차가공수단(30)과; 상기 3차가공수단(30)의 일측에 구비되며, 3차가공수단(30)을 거친 제품의 다른 일단부 하측 모서리를 가공하는 4차가공수단(40)과; 다수의 제품이 연속적으로 상기 1차가공수단(10)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공급수단(100)과; 4차가공수단(40)을 거친 제품의 가공상태를 검사하고 종류별로 분류하여 배출하는 배출수단(200)과; 상기 1차가공수단(10)으로 투입된 제품이 등(等)속도로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송수단(300) 및 고정수단(400)과; 제어하는 제어수단(5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Milling system for edge}
본 발명은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 제품의 좌우 모서리를 각각 연속적으로 가공하여 자동으로 배출하는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 밀링(milling) 작업은 밀링 머신으로 밀링 커터를 사용하여 공작물을 절삭하는 가공법을 일컫는다. 따라서, 이러한 밀링 가공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장치들이 제조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밀링을 위한 제품이 다양하게 요구되는 것이 현실이므로, 범용 밀링머신이 많이 사용되며, 사용자의 노동을 줄이기 위해 자동으로 밀링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동화 설비가 많이 사용된다.
또한, 근래에는 특정 제품에 맞는 밀링 작업을 신속하게 하기 위한 특수 목적의 밀링머신도 많이 개발되고 있다. 즉, 한국 등록특허 제10-1679228호에서와 같이 육면체-형상의 공작물을 자동으로 가공하기 위한 방법이나 장치 등의 기술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밀링 머신인 경우에도 해당 제품 전체를 완전히 밀링가공 하기 전에는 다른 제품을 투입하여 함께 연속적으로 가공 작업을 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평판과 같은 다수의 제품을 순차적으로 연속 투입하여 모서리와 같은 특정 부위만을 밀링 가공하고 신속히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79228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 두께를 가지는 다수의 제품이 연속적으로 공급되어 좌우 모서리가 각각 순차적으로 가공된 다음에는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선별되도록 하는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은, 제품의 일단부 상측 모서리를 가공하는 1차가공수단(10)과; 상기 1차가공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되며, 1차가공수단(10)에 의해 가공된 제품의 일단부 하측 모서리를 가공하는 2차가공수단(20)과; 상기 2차가공수단(20)의 일측에 구비되며, 2차가공수단(20)을 거친 제품의 다른 일단부 상측 모서리를 가공하는 3차가공수단(30)과; 상기 3차가공수단(30)의 일측에 구비되며, 3차가공수단(30)을 거친 제품의 다른 일단부 하측 모서리를 가공하는 4차가공수단(40)과; 상기 1차가공수단(10)의 외측에 구비되며, 다수의 제품이 연속적으로 상기 1차가공수단(10)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공급수단(100)과; 상기 4차가공수단(40)의 외측에 구비되며, 4차가공수단(40)을 거친 제품의 가공상태를 검사하고 종류별로 분류하여 배출하는 배출수단(200)과; 상기 1차가공수단(10) 내지 4차가공수단(40)의 하측에 구비되어 제품을 지지하며, 상기 1차가공수단(10)으로 투입된 제품이 등(等)속도로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송수단(300)과; 상기 이송수단(300)의 상측에 구비되며, 이송수단(300)에 의해 지지되어 일측으로 이송되는 제품을 가압하여 제품의 유동을 방지하는 다수의 고정수단(400)과; 상기 1차가공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100)과 배출수단(200)을 통하여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제품의 투입 및 배출 감지하고,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공급된 제품의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1차가공수단(10) 내지 4차가공수단(40)에 제공하여 제품 가공을 제어하며, 상기 이송수단(300)을 통해 유동하는 제품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다수의 고정수단(400)이 제품을 가압하는 시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500)은, 상기 1차가공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공급된 제품이 상기 1차가공수단(10)으로 유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투입감지부(600)와; 상기 1차가공수단(10)과 2차가공수단(20) 및 3차가공수단(30)과 4차가공수단(40)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투입된 제품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감지부(510)와; 상기 1차가공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투입된 제품의 두께를 감지하여 상기 1차가공수단(10)과 3차가공수단(30)의 절삭 칼날의 높이를 산출하여 제어하는 두께감지부(520)와; 상기 1차가공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투입된 제품의 평면 형상을 감지하여 상기 1차가공수단(10)과 2차가공수단(20)의 절삭 칼날의 위치를 산출하여 제어하는 형상감지부(530)와; 상기 배출수단(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투입된 제품이 배출수단(200)으로 배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배출감지부(540)와; 상기 각각의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가공수단에 정보를 제공하여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작동제어부(5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수단(300)은, 상기 1차가공수단(10)과 2차가공수단(20) 및 3차가공수단(30)과 4차가공수단(40)에 각각 구비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드럼(310)과; 상기 4차가공수단(40)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의 전원에 의해 회전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모터(320)와; 상기 동력모터(3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모터(320)를 통해 공급되는 회전 동력을 상기 다수의 이송드럼(310)에 분배하여 공급하는 다수의 전달기구(3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전달기구(330)는, 전달축(33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동력모터(32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동력을 인접한 전달기구(330)에 전달하며, 베벨기어(Bevel Gear) 또는 웜기어(Worm & Worm Wheel)방식에 의해 상기 전달축(332)과 직교된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이송드럼(31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400)은, 고정프레임(410)과; 상기 고정프레임(410)의 하측에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드럼(420)과; 상기 메인드럼(42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보조드럼(422)과; 상기 고정프레임(410)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메인드럼(420)이 상하로 수직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430)와; 상기 고정프레임(41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보조드럼(422)이 서로 대칭되게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중심이 되는 드럼지지단(440)과; 상기 드럼지지단(440)과 상기 한 쌍의 보조드럼(422)을 연결하는 연결대(442)와; 상기 고정프레임(410)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430)의 상하 이동과 상기 연결대(442)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메인드럼(420) 및 보조드럼(422)이 제품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제어하는 고정실린더(4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입감지부(600) 또는 위치감지부(510)는, 상기 1차가공수단(10)에 구비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센서고정단(610)과;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상기 한 쌍의 센서고정단(610)의 하단을 연결하는 지지축(620)과; 상기 지지축(620)보다 큰 길이를 가지며, 연결링크(632)에 의해 지지축(620)에 연결되어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630)과; 상기 회전축(63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1차가공수단(10)으로 유입되느 제품과 접촉되는 회전드럼(640)과; 상기 센서고정단(6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회전축(630)과 간섭되도록 설치되는 센서단(650)과; 상기 센서고정단(610)의 일측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센서단(650)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6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가공수단이 연속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평판 소재의 제품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상측과 하측 모서리가 가공되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동력모터에 의해 다수의 이송드럼이 회전된다. 따라서, 구성이 컴팩트해지고 다수의 이송드럼이 등속도로 회전하게 되므로 제품의 이송이 일정하게 이루어져 제품의 가공품질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투입감지부에서 제품의 투입을 접촉에 의해 감지함은 물론 센서단에 의해 제품의 두께 감지도 가능하다. 따라서, 하나의 센서구조에 의해 제품의 투입과 형상 크기 등의 감지도 가능하며, 기계식 구성으로 인하여 내구성이 향상되고 에러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절삭 칼날이 안내부와 롤러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안내부의 경사면은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제품의 접근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제품이 가공 정위치에 정확히 안내되므로 작업능률 향상은 물론, 제품과 부품간의 충돌로 인한 파손이나 고장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어수단의 세부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공급수단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투입감지부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송수단의 상세 구성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수단의 상세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측 절삭 칼날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측 절삭 칼날의 구성 및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배출수단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은, 제품의 일단부 상측 모서리를 가공하는 1차가공수단(10)과, 상기 1차가공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되며 1차가공수단(10)에 의해 가공된 제품의 일단부 하측 모서리를 가공하는 2차가공수단(20)과, 상기 2차가공수단(20)의 일측에 구비되며 2차가공수단(20)을 거친 제품의 다른 일단부 상측 모서리를 가공하는 3차가공수단(30)과, 상기 3차가공수단(30)의 일측에 구비되며 3차가공수단(30)을 거친 제품의 다른 일단부 하측 모서리를 가공하는 4차가공수단(40)과, 상기 1차가공수단(10)의 외측에 구비되며 다수의 제품이 연속적으로 상기 1차가공수단(10)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공급수단(100)과, 상기 4차가공수단(40)의 외측에 구비되며 4차가공수단(40)을 거친 제품의 가공상태를 검사하고 종류별로 분류하여 배출하는 배출수단(200)과, 상기 1차가공수단(10) 내지 4차가공수단(40)의 하측에 구비되어 제품을 지지하며 상기 1차가공수단(10)으로 투입된 제품이 등(等) 속도로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송수단(300)과, 상기 이송수단(300)의 상측에 구비되며 이송수단(300)에 의해 지지되어 일측으로 이송되는 제품을 가압하여 제품의 유동을 방지하는 다수의 고정수단(400)과, 상기 1차가공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어수단(500)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어수단(500)은, 상기 공급수단(100)과 배출수단(200)을 통하여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제품의 투입 및 배출 감지하고,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공급된 제품의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1차가공수단(10) 내지 4차가공수단(40)에 제공하여 제품 가공을 제어하며, 상기 이송수단(300)을 통해 유동하는 제품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다수의 고정수단(400)이 제품을 가압하는 시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공급수단(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케이스(1)의 좌측에 구비되어, 제품이 작업케이스(1) 내부로 투입되어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공급수단(100)은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공급모터(110)와, 공급모터(11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공급롤러(120)와, 공급모터(110)의 회전을 공급롤러(120)에 전달되도록 하는 공급체인(130)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작업케이스(1)의 좌측에는 소정 높이를 가지는 공급다이(140)가 구비되고, 이러한 공급다이(140)의 하측 내부에는 상기 공급모터(110)가 설치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다이(140)의 상면에는 다수의 공급롤러(120)가 등(等)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측을 통해 제품(도시되지 않음)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작업케이스(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공급롤러(120)는 선단과 후단이 롤러고정단(12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공급롤러(120)는 상기 공급모터(11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공급롤러(120)는 하나의 공급모터(11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공급롤러(120)는 서로 롤러체인(150)에 의해 연결되어 동일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공급모터(110)의 회전이 상기 공급체인(130)에 의해 하나의 공급롤러(120)에 전달되면, 인접한 다른 공급롤러(120)는 서로 롤러체인(15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위에 놓인 제품이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1차가공수단(10)과 2차가공수단(20) 그리고 3차가공수단(30)과 4차가공수단(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품이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1차가공수단(10)으로 유입되어 가공이 이루어진 다음에는 차례로 2차가공수단(20)과 3차가공수단(30) 그리고 4차가공수단(40)을 거친 다음 우측의 배출수단(200)을 통해 외부로 나오게 된다.
상기 1차가공수단(10)과 2차가공수단(20) 그리고 3차가공수단(30)과 4차가공수단(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작업케이스(1)에 의해 감싸여진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 절삭 칼날에 의해 제품을 가공하게 된다.
상기 배출수단(200)도 상기에서 설명한 공급수단(100)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공급수단(100)은 제품이 가공을 위해 투입되도록 안내하는 것에 반하여, 상기 배출수단(200)은 가공된 제품이 안전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이는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배출수단(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케이스(1)의 우측에 구비되어, 제품이 작업케이스(1) 내부로 투입되어 가공된 다음 우측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이러한 배출수단(200)은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배출모터(210)와, 배출모터(21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배출롤러(220)와, 배출모터(210)의 회전을 배출롤러(220)에 전달되도록 하는 배출체인(230)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작업케이스(1)의 우측에는 소정 높이를 가지는 배출다이(240)가 구비되고, 이러한 배출다이(240)의 하측 내부에는 상기 배출모터(210)가 설치되어 외부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다이(240)의 상면에는 다수의 배출롤러(220)가 등(等)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측을 통해 제품(도시되지 않음)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배출롤러(220)는 선단과 후단이 롤러고정단(12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배출롤러(220)는 상기 배출모터(21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배출롤러(220)는 하나의 배출모터(21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배출롤러(220)는 서로 롤러체인(150)에 의해 연결되어 동일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배출모터(210)의 회전이 상기 배출체인(230)에 의해 하나의 배출롤러(220)에 전달되면, 인접한 다른 배출롤러(220)는 서로 롤러체인(15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동시에 회전하게 되어 위에 놓인 제품이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배출수단(200)의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송수단(300)은 상기 작업케이스(1) 내부로 유입된 제품을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측에 제품이 놓이게 한 상태에서 제품을 지지하며 등(等)속도로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수단(300)은, 아래에서 설명할 다수의 이송드럼(310)과, 상기 4차가공수단(40)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의 전원에 의해 회전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모터(320)와, 상기 동력모터(320)의 좌측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모터(320)를 통해 공급되는 회전 동력을 상기 다수의 이송드럼(310)에 분배하여 공급하는 다수의 전달기구(3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아래에서 설명할 다수의 이송드럼(310)은, 상기 1차가공수단(10)과 2차가공수단(20) 및 3차가공수단(30)과 4차가공수단(40)에 각각 구비되며,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품이 우측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전달기구(330)는, 전달축(33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동력모터(32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동력을 인접한 전달기구(330)에 전달하며, 베벨기어(Bevel Gear) 또는 웜기어(Worm & Worm Wheel)방식에 의해 상기 전달축(332)과 직교된 방향으로 설치되는 이송드럼(31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다수의 전달기구(330)를 연결하여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축(332)에는 축의 이음을 위한 커플링(334)이 더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고정수단(400)은, 상기 이송수단(300)의 상측에 구비되며, 이송수단(300)에 의해 지지되어 우측으로 이송되는 제품을 가압하여 제품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품이 밀링 가공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흔들리지 않으면서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정수단(400)의 상세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제어수단(500)은, 전체적으로 상기 각 가공수단과 공급수단(100) 및 배출수단(200)을 포함한 전체 구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공급수단(100)과 배출수단(200)을 통하여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제품의 투입 및 배출 감지하고,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공급된 제품의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1차가공수단(10) 내지 4차가공수단(40)에 제공하여 제품 가공을 제어하며, 상기 이송수단(300)을 통해 유동하는 제품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다수의 고정수단(400)이 제품을 가압하는 시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는 상기 제어수단(500)의 상세 구성이 블럭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500)은, 상기 1차가공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공급된 제품이 상기 1차가공수단(10)으로 유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투입감지부(600)와, 상기 1차가공수단(10)과 2차가공수단(20) 및 3차가공수단(30)과 4차가공수단(40)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투입된 제품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감지부(510)와, 상기 1차가공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투입된 제품의 두께를 감지하여 상기 1차가공수단(10)과 3차가공수단(30)의 절삭 칼날의 높이를 산출하여 제어하는 두께감지부(520)와, 상기 1차가공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투입된 제품의 평면 형상을 감지하여 상기 1차가공수단(10)과 2차가공수단(20)의 절삭 칼날의 위치를 산출하여 제어하는 형상감지부(530)와, 상기 배출수단(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투입된 제품이 배출수단(200)으로 배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배출감지부(540)와, 상기 각각의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가공수단에 정보를 제공하여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작동제어부(55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입감지부(600)는, 센서(sensor) 등으로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제품이 상기 공급수단(100)을 거쳐 상기 작업케이스(1) 내부로 투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즉, 제품이 상기 1차가공수단(10)에 의해 가공 작업을 하기 위해 1차가공수단(10)의 좌측에 투입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투입감지부(600)의 상세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위치감지부(510)는,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공급된 제품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작업케이스(1) 내부에는 다수의 센서가 설치된다. 즉,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위치감지부(510)는, 제1감지센서(511)와 제2감지센서(512) 및 제3감지센서(513) 그리고 제4감지센서(514)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감지센서(511)는, 상기 1차가공수단(10)의 입구(도 1에서는 좌측단)에 설치되어, 제품이 상기 작업케이스(1) 내부로 유입되어 1차가공수단(10)에 의해 작업을 수행할 위치에 놓였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기 제1감지센서(511)는 상기 투입감지부(600)와 공용으로 사용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투입감지부(600)와 제1감지센서(511)는 그 설치위치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그 기능도 제품이 투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은 공통되므로 공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할 투입감지부(600)는 제품의 두께를 감지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2감지센서(512)는 상기 2차가공수단(20)에 의해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제품이 2차가공수단(20)의 입구로 이송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제2감지센서(512)는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2차가공수단(20)의 입구(도 1에서는 좌측단)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제2감지센서(512)의 구성은 상기 제1감지센서(511) 또는 투입감지부(600)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3감지센서(513)는 상기 3차가공수단(30)에 의해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제품이 3차가공수단(30)의 입구로 이송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제3감지센서(513)는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3차가공수단(30)의 입구(도 1에서는 좌측단)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제3감지센서(513)의 구성은 상기 제1감지센서(511) 또는 투입감지부(600)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4감지센서(514)는 상기 4차가공수단(40)에 의해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제품이 4차가공수단(40)의 입구로 이송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제4감지센서(514)는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4차가공수단(40)의 입구(도 1에서는 좌측단)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제4감지센서(514)의 구성은 상기 제1감지센서(511) 또는 투입감지부(600)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두께감지부(520)는,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1차가공수단(10) 즉 상기 작업케이스(1)의 좌측단 부근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제품이 두께를 감지하여 절삭 칼날의 상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두께감지부(520)는 제품의 영상을 촬영하여 두께를 측정하거나 직접 제품에 접촉되어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나, 상기 투입감지부(600) 또는 위치감지부(510)에 사용되는 센서 등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아래에서 설명할 투입감지부(600)의 센서단(650)이 제품에 밀려 회전된 각도의 크기를 통해 제품의 두께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형상감지부(530)도 상기 1차가공수단(10)의 입구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투입된 제품의 평면 형상을 감지하여 상기 1차가공수단(10)과 2차가공수단(20)의 절삭 칼날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형상감지부(530)도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계적으로 제품의 폭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영상 촬영 및 판별을 통해 제품의 폭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배출감지부(540)는, 상기 배출수단(200)의 출구(도 1에서는 우측단) 즉 상기 작업케이스(1)의 우측단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투입된 제품이 작업이 완료되어 배출수단(200)으로 배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배출감지부(540)의 구성은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판단하거나 상기 투입감지부(600) 또는 위치감지부(510)에 사용되는 구성과 같은 센서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작동제어부(550)는, 상기 각각의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가공수단에 정보를 제공하여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투입감지부(600)를 통해 제품이 상기 작업케이스(1) 내부로 투입된 것이 감지되며, 다수의 절삭 칼날을 각각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제어하거나, 각각의 감지센서에 의해 제품의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1차가공수단(10)이나 2차가공수단(20) 또는 3차가공수단(30), 4차가공수단(40)이 차례로 작동되어 제품의 가공을 시작하도록 하고, 제품의 가공이 완료되면 이를 감지한 신호에 따라 작업을 종료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는 상기 공급수단(100) 및 투입감지부(600)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상기 이송수단(300)의 상세 구성이 부분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상기 고정수단(400)의 상세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측 및 상측 절삭 칼날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수단(100)을 구성하는 공급다이(140)의 상면에는 다수의 공급롤러(120)가 등(等)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소정 간격 이격된 공급롤러(120) 사이에는 제품지지단(160)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제품지지단(160)은 상기 공급롤러(120)을 통해 우측으로 이동하는 제품(M)이 하측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다수의 공급롤러(120)는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공급롤러(120)의 설치 간격이 넓어 제품(M)이 공급롤러(120) 사이를 통해 하측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제품(M)을 받쳐주는 역할을 상기 제품지지단(160)이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급다이(140)와 작업케이스(1) 사이의 공간에는 수평유지판(17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수평유지판(170)은 상기 작업케이스(1) 내부로 유입되는 제품(M)이 상기 공급롤러(120)와 작업케이스(1)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하측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품지지단(160)과는 달리 넓은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1차가공수단(10)으로 공급되는 제품(M)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투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공급다이(140)의 상단부 후단에는 다수의 측면롤러(180)가 등(等) 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측면롤러(180)의 제품(M)의 후단부가 접촉하여 우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측면롤러(180)는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작업케이스(1)의 좌측단 선단에는 가이드롤러(12)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롤러(12)는 좌측으로부터 투입되는 제품(M)이 작업케이스(1)를 벗어나지 않도록 가이드함과 동시에 작업케이스(1)보다 더 큰 제품(M)은 투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가이드롤러(12)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입감지부(6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케이스(1)의 좌측단 부근에 설치되어, 제품(M)이 상기 작업케이스(1) 내부로 투입되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투입감지부(600)는, 상기 1차가공수단(10)에 구비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센서고정단(610)과,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상기 한 쌍의 센서고정단(610)의 하단을 연결하는 지지축(620)과, 상기 지지축(620)보다 큰 길이를 가지며 연결링크(632)에 의해 지지축(620)에 연결되어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630)과, 상기 회전축(63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1차가공수단(10)으로 유입되는 제품과 접촉되는 회전드럼(640)과, 상기 센서고정단(6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회전축(630)과 간섭되도록 설치되는 센서단(650)과, 상기 센서고정단(610)의 일측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센서단(650)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66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고정단(610)은 상단부가 상기 작업케이스(1)의 좌측단에 고정 장착되며, 하측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쌍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한 쌍의 센서고정단(610)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축(620)이 좌우로 길게 고정 장착된다.
상기 회전축(630)은 상기 지지축(620)의 하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축(62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회전축(630)은 상기 지지축(620)과 연결링크(632)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드럼(6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가는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좌우에는 드럼단(642)이 구비되어 회전드럼(640)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드럼단(642)의 상단은 상기 회전축(63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드럼단(642)은 상기 회전축(630)과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드럼(640)이 제품(M)에 의해 밀리게 되면, 상기 회전축(630)도 우측으로 밀려 상기 지지축(620)을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센서고정단(610)의 우측에는 감지센서(660)가 더 설치되며, 이러한 감지센서(660)의 하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단(650)이 하측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센서단(650)은 상단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은 상기 회전축(630)의 우측면과 접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63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센서단(650)의 하단도 함께 밀려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센서단(650)의 회전 상태를 상기 감지센서(660)가 감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투입감지부(600)는, 상기 위치감지부(510)의 구성과 대응된다. 즉, 상기 위치감지부(510)를 구성하는 제1감지센서(511)와 제2감지센서(512),제3감지센서(513),제4감지센서(514)의 구성도 상기 투입감지부(600)와 같은 구성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투입감지부(600)가 상기 위치감지부(510)를 구성하는 제1감지센서(511)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즉, 상기 제1감지센서(511)는 제품(M)이 상기 1차가공수단(10)의 입구로 투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게 되는데, 상기 투입감지부(600)가 상기 작업케이스(1)의 좌측단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1차가공수단(10)으로 투입되는 제품(M)의 감지도 동시에 가능하기 때문이다.
상기 이송수단(300)은, 상기 1차가공수단(10)과 2차가공수단(20) 및 3차가공수단(30)과 4차가공수단(40)에 각각 구비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드럼(310)과, 상기 4차가공수단(40)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의 전원에 의해 회전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모터(320)와, 상기 동력모터(320)의 구비되며 상기 동력모터(320)를 통해 공급되는 회전 동력을 상기 다수의 이송드럼(310)에 분배하여 공급하는 다수의 전달기구(3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의 이송드럼(3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등(等) 간격으로 다수개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작업케이스(1) 내부로 유입된 제품(M)이 우측으로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수의 이송드럼(310)은 2개 혹은 3개가 쌍으로 이루어져 서로 이송체인(314)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된 하나의 이송드럼(310)이 회전하게 되면, 이송체인(314)에 연결된 다른 인접한 이송드럼(310)도 함께 등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달기구(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모터(320)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을 상기 이송드럼(3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전달기구(330)는 도시딘 바와 같이 좌우로는 전달축(332)이 연결되고, 후측으로는 이송축(312)이 연결되어 '⊥'형태(상면에서 볼 때)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달기구(330)로부터 후측으로 돌출 연결된 이송축(312)은 상기 전달축(332)과는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이송축(312)의 후단은 상기 이송드럼(310)에 연결되어 이송드럼(310)이 회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전달기구(330)는, 전달축(33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동력모터(32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동력을 인접한 전달기구(330)에 전달하는 한편, 상기 전달축(332)과 직교된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이송드럼(310)에도 회전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전달기구(330)의 내부에는 동력전달의 방향을 전환하는 베벨기어(Bevel Gear) 또는 웜기어(Worm & Worm Wheel)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다수의 이송드럼(310) 상면에 제품(M)이 놓이게 되면, 이러한 제품(M)은 고정수단(400)에 의해 고정되어 가공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수단(400)은, 고정프레임(410)과, 상기 고정프레임(410)의 하측에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드럼(420)과, 상기 메인드럼(42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보조드럼(422)과, 상기 고정프레임(410)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메인드럼(420)이 상하로 수직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430)와, 상기 고정프레임(41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보조드럼(422)이 서로 대칭되게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중심이 되는 드럼지지단(440)과, 상기 드럼지지단(440)과 상기 한 쌍의 보조드럼(422)을 연결하는 연결대(442)와, 상기 고정프레임(410)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430)의 상하 이동과 상기 연결대(442)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메인드럼(420) 및 보조드럼(422)이 제품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제어하는 고정실린더(45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4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케이스(1) 내부에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여기에 상기 고정실린더(450) 등과 같은 다수의 부품이 결합되어 지지된다.
상기 메인드럼(420)은, 상기 고정프레임(410)의 하측에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드럼(310)의 상면에 놓인 제품(M)을 누르게 된다.
상기 보조드럼(4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드럼(420)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메인드럼(420)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메인드럼(420)과 같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하단의 위치는 메인드럼(420)의 하단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고정프레임(410)의 하측에는 드럼지지단(440)이 설치되고, 이러한 드럼지지단(440)에는 연결대(442)가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보조드럼(422)이 드럼지지단(4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한다. 즉, 상기 연결대(442)의 상단은 상기 드럼지지단(4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연결대(442)의 회전은 상기 고정실린더(450)에서 제;어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430)는, 상기 고정프레임(410)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메인드럼(420) 및 드럼지지단(440)이 상하로 수직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상단부는 가이드캠(432)에 의해 감싸여진다.
상기 고정실린더(450)는, 상기 고정프레임(410)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430) 및 드럼지지단(440)의 의 상하 이동과 상기 연결대(442)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메인드럼(420) 및 보조드럼(422)이 제품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다수의 이송드럼(310)을 통해 제품(M)이 점차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해당 고정수단(400)의 하측에 이르게 되면, 상기 고정실린더(450)가 제어수단(500)의 명령에 따라 작동하여 상기 메인드럼(420)과 보조드럼(422)이 제품(M)이 상면을 누르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고정실린더(450)에 의해 상기 가이드(430) 및 드럼지지단(440)이 하측으로 내려오면, 상기 메인드럼(420)의 하단이 제품(M)의 상면에 닿아 제품(M)을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보조드럼(422)은 상기 메인드럼(420)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보조드럼(422)의 하단은 제품(M)에 닿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실린더(450)는 상기 연결대(442)를 회전시켜 상기 한 쌍의 보조드럼(422)이 메인드럼(420) 방향(도 6의 화살표 참조)으로 움직이도록 하여 보조드럼(422)의 하단도 메인드럼(420)의 하단과 일치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메인드럼(420)은 물론 한 쌍의 보조드럼(422)도 제품(M)의 상면을 누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업케이스(1) 내부에는 다수의 절삭 칼날이 구비되어 제품(M)의 양측 하단과 상단 모서리를 각각 가공하게 된다. 즉, 상기 1차가공수단(10)과 2차가공수단(20) 및 3차가공수단(30)과 4차가공수단(40)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삭 칼날이 구비되어 제품(M)의 모서리를 가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1차가공수단(10)과 2차가공수단(20)에 의해서는 제품(M)의 선단부 상단모서리와 하단모서리 가공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1차가공수단(10)에는 상측 절삭 칼날이 구비되어 제품(M)의 상단모서리를 가공하게 되고, 2차가공수단(20)에는 하측 절삭 칼날이 구비되어 제품(M)의 하단모서리를 가공하게 된다.
또한, 3차가공수단(30)과 4차가공수단(40)에서도 제품(M)의 후단부 상면모서리와 하면모서리 가공을 위해 각각 상측 및 하측 절삭 칼날이 구비된다.(이하에서는 편의상 상측 절삭 칼날은 '상측칼', 하측 절삭 칼날은 '하측칼'이라 부르기로 한다.)
상측칼(700)은 제품(M)의 상면 모서리를 가공하게 되므로 상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전후로 이동하면서 제품(M)을 가공하게 되고, 하측칼(700')은 제품(M)의 하면 모서리를 가공하게 되므로 하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전후로 이동하면서 제품(M)을 가공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상측칼(700)과 하측칼(700')은 제품(M)의 형상 등에 따라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전후 이동을 위해 이동실린더(76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측칼(700)과 하측칼(700')은 서로 상하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나, 그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하측칼(700')을 예로 들어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본다.(도 7 참조)
상기 하측칼(700')은, 제품(M)의 하면 또는 상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원활히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부(710)와, 상기 안내부(710)를 지지하는 지지부(720)와, 제품(M)의 측면과 접촉하는 롤러부(730), 제품(M)의 모서리에 접촉하여 절삭하는 바이트(7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부(710)는, 원형의 테 형상을 가지며,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면(712)과, 상기 수평면(712)의 외측에 구비되며 외측을 갈수록 점차 상면의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71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면(714)이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상면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는 것은, 제품(M)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좌측으로부터 투입되어 공급되는 제품(M)이 정확하게 상기 안내부(710)의 상면에 닿아야 하는데, 이때 제품(M)의 높이가 미세하게 낮거나 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라도 상기 경사면(714)을 통해 슬라이딩되어 정위치에 투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부(72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내부(710)를 지지하며, 이러한 안내부(710)와 지지부(720)는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안내부(710)와 지지부(720)는 동력축(750)에 대해 자유로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아이들링 상태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부(7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710)의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며, 이러한 롤러부(730)는 회전 가능한 롤러로 이루어져 제품(M)의 측면과 접하여 제품(M)이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상기 안내부(710)와 롤러부(730)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틈새에 상기 바이트(740)가 설치된다. 상기 바이트(740)는 제품(M)의 모서리를 실질적으로 절삭하는 부분으로, 여기에는 고정구(742)가 더 구비되어 바이트(740)의 고정을 지지한다.
한편, 이러한 바이트(740)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즉,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회전력이 동력축(750)을 통해 전달되면, 바이트(740)가 회전하에 제품(M)을 절삭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710)와 롤러부(730)는 상기 동력축(750)에 따라 회전하지 않고 서로 겉돌게 구성되어 제품(M)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측칼(700)의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하측칼(700')의 구성과 동일하며 설치 위치만 달라진다.
도 9에는 상기 배출수단(2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배출수단(200)은,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배출모터(210)와, 배출모터(21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배출롤러(220) 및 배출모터(210)의 회전을 배출롤러(220)에 전달되도록 하는 배출체인(230)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다이(240)의 상단부 후단에는 다수의 측면롤러(180)가 구비되어 제품(M)의 측면과 접촉하여 배출을 안내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배출수단(200)는 제품이 선별을 위한 다양한 구성과 장치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제품(M)이 무게나 형상별로 자동 선별 가능한 장치 또는 제품의 가공 품질에 따라 선별하는 기능 등을 갖춘 다양한 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9를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제품(M)이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작업케이스(1)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투입감지부(600)가 작동하여 제품의 투입을 감지한다. 즉,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품(M)이 상기 공급수단(100)을 거쳐 상기 1차가공수단(10)으로 진입하면 제품(M)이 상기 투입감지부(600)의 회전드럼(640)을 우측으로 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회전드럼(640)과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회전축(630)이 우측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센서단(65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센서단(65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를 감지센서(660)에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500)에 전달하게 되고, 제어수단(500)은 이러한 정보에 따라 상기 1차가공수단(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품(M)의 우측단 위치와 두께 등의 정보를 1차가공수단(10)에 전달하면, 이에 따라 상측칼(700)이 제품(M)의 선단 모서리를 가공하기 위해 정위치에 대기하게 되며, 제품(M)이 상측칼(700)을 통과하게 되면 상측칼(700)의 바이트(740)에 의해 절삭 작업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케이스(1) 내부에는 다수의 위치감지부(510) 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제품(M)이 이동함에 따라 2차가공수단(20)과 3차가공수단(30) 그리고 4차가공수단(40)이 연속적으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제품(M)이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연속적으로 투입되는 경우에도, 투입감지부(600) 등이 이를 연속적으로 감지하게 되므로 작업이 계속 이루어지며, 작업이 완료된 제품(M)은 상기 배출수단(2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선별된다.
이와 같은 작업과정에서 상기 고정수단(400) 등의 작용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상세 작용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 작업케이스 10. 1차가공수단
20. 2차가공수단 30. 3차가공수단
40. 4차가공수단 100. 공급수단
110. 공급모터 120. 공급롤러
130. 공급체인 140. 공급다이
150. 롤러체인 200. 배출수단
210. 배출모터 220. 배출롤러
230. 배출체인 240. 배출다이
300. 이송수단 310. 이송드럼
320. 동력모터 330. 전달기구
400. 고정수단 410. 고정프레임
420. 메인드럼 430. 가이드
440. 드럼지지단 450. 고정실린더
500. 제어수단 510. 위치감지부
520. 두께감지부 530. 형상감지부
540. 배출감지부 550. 작동제어부
600. 투입감지부 610. 센서고정단
620. 지지축 630. 회전축
640. 회전드럼 650. 센서단
660. 감지센서 700. 상측칼
700'. 하측칼 710. 안내부
720. 지지부 730. 롤러부
740. 바이트 750.동력축
M. 제품

Claims (5)

  1. 제품의 일단부 상측 모서리를 가공하는 1차가공수단(10)과, 상기 1차가공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되어 1차가공수단(10)에 의해 가공된 제품의 일단부 하측 모서리를 가공하는 2차가공수단(20)과, 상기 2차가공수단(20)의 일측에 구비되어 2차가공수단(20)을 거친 제품의 다른 일단부 상측 모서리를 가공하는 3차가공수단(30)과, 상기 3차가공수단(30)의 일측에 구비되어 3차가공수단(30)을 거친 제품의 다른 일단부 하측 모서리를 가공하는 4차가공수단(40)과, 상기 1차가공수단(10)의 외측에 구비되며 다수의 제품이 연속적으로 상기 1차가공수단(10)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공급수단(100)과, 상기 4차가공수단(40)의 외측에 구비되며 4차가공수단(40)을 거친 제품의 가공상태를 검사하고 종류별로 분류하여 배출하는 배출수단(200)과, 상기 1차가공수단(10) 내지 4차가공수단(40)의 하측에 구비되어 제품을 지지하며 상기 1차가공수단(10)으로 투입된 제품이 등(等)속도로 일측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송수단(300)과, 상기 이송수단(300)의 상측에 구비되며 이송수단(300)에 의해 지지되어 일측으로 이송되는 제품을 가압하여 제품의 유동을 방지하는 다수의 고정수단(400)과, 상기 1차가공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100)과 배출수단(200)을 통하여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제품의 투입 및 배출 감지하고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공급된 제품의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1차가공수단(10) 내지 4차가공수단(40)에 제공하여 제품 가공을 제어하며 상기 이송수단(300)을 통해 유동하는 제품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여 다수의 고정수단(400)이 제품을 가압하는 시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50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500)은,
    상기 1차가공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공급된 제품이 상기 1차가공수단(10)으로 유입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투입감지부(600)와, 상기 1차가공수단(10)과 2차가공수단(20) 및 3차가공수단(30)과 4차가공수단(40)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투입된 제품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감지부(510)와, 상기 1차가공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투입된 제품의 두께를 감지하여 상기 1차가공수단(10)과 3차가공수단(30)의 절삭 칼날의 높이를 산출하여 제어하는 두께감지부(520)와, 상기 1차가공수단(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투입된 제품의 평면 형상을 감지하여 상기 1차가공수단(10)과 2차가공수단(20)의 절삭 칼날의 위치를 산출하여 제어하는 형상감지부(530)와, 상기 배출수단(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급수단(100)을 통해 투입된 제품이 배출수단(200)으로 배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파악하는 배출감지부(540)와, 상기 각각의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의 가공수단에 정보를 제공하여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작동제어부(5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300)은,
    상기 1차가공수단(10)과 2차가공수단(20) 및 3차가공수단(30)과 4차가공수단(40)에 각각 구비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이송드럼(310)과;
    상기 4차가공수단(40)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부의 전원에 의해 회전 동력을 생성하는 동력모터(320)와;
    상기 동력모터(32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모터(320)를 통해 공급되는 회전 동력을 상기 다수의 이송드럼(310)에 분배하여 공급하는 다수의 전달기구(3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다수의 전달기구(330)는,
    전달축(33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동력모터(320)로부터 제공되는 회전 동력을 인접한 전달기구(330)에 전달하며, 베벨기어(Bevel Gear) 또는 웜기어(Worm & Worm Wheel)방식에 의해 상기 전달축(332)과 직교된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이송드럼(31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00)은,
    고정프레임(410)과;
    상기 고정프레임(410)의 하측에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드럼(420)과;
    상기 메인드럼(420)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보조드럼(422)과;
    상기 고정프레임(410)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메인드럼(420)이 상하로 수직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430)와;
    상기 고정프레임(41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보조드럼(422)이 서로 대칭되게 회전되도록 하는 회전 중심이 되는 드럼지지단(440)과;
    상기 드럼지지단(440)과 상기 한 쌍의 보조드럼(422)을 연결하는 연결대(442)와;
    상기 고정프레임(410)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430)의 상하 이동과 상기 연결대(442)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메인드럼(420) 및 보조드럼(422)이 제품의 상면을 가압하도록 제어하는 고정실린더(4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감지부(600) 또는 위치감지부(510)는,
    상기 1차가공수단(10)에 구비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센서고정단(610)과;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서로 이격된 상기 한 쌍의 센서고정단(610)의 하단을 연결하는 지지축(620)과;
    상기 지지축(620)보다 큰 길이를 가지며, 연결링크(632)에 의해 지지축(620)에 연결되어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630)과;
    상기 회전축(63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1차가공수단(10)으로 유입되느 제품과 접촉되는 회전드럼(640)과;
    상기 센서고정단(6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회전축(630)과 간섭되도록 설치되는 센서단(650)과;
    상기 센서고정단(610)의 일측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센서단(650)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6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
KR1020180079374A 2018-07-09 2018-07-09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 KR102095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374A KR102095708B1 (ko) 2018-07-09 2018-07-09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374A KR102095708B1 (ko) 2018-07-09 2018-07-09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859A KR20200005859A (ko) 2020-01-17
KR102095708B1 true KR102095708B1 (ko) 2020-04-02

Family

ID=6937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374A KR102095708B1 (ko) 2018-07-09 2018-07-09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7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47643B (zh) * 2023-10-13 2024-01-09 河南工学院 一种机械加工用抛光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017B1 (ko) 2005-12-09 2007-08-02 주식회사 솔로몬메카닉스 자동연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08468B1 (ko) * 2014-10-16 2015-04-07 오현일 형강의 모서리 가공장치
KR101809876B1 (ko) * 2017-09-29 2017-12-15 강원호 파이프 내경 및 모따기 검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593U (ko) * 1997-07-29 1999-02-25 우길석 판재의 가장자리를 모따기하기 위한 모따기가공장치
DE102009009494B4 (de) 2009-02-18 2011-12-22 P + L Gmbh & Co. Kg Fräsverfahren zur automatischen Bearbeitung eines quaderförmigen Werkstücks und Werkzeugmas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017B1 (ko) 2005-12-09 2007-08-02 주식회사 솔로몬메카닉스 자동연마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08468B1 (ko) * 2014-10-16 2015-04-07 오현일 형강의 모서리 가공장치
KR101809876B1 (ko) * 2017-09-29 2017-12-15 강원호 파이프 내경 및 모따기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859A (ko) 202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5434B2 (en) Fault detectable sheet body fixed distance conveying and punching assembly
CN212823404U (zh) 瓶盖打标机
KR102095708B1 (ko) 모서리 가공용 밀링 시스템
US20140290456A1 (en) Two-saw assembly high-speed production chop-saw
KR101849009B1 (ko) 타이어 트레드 재단장치
KR101172459B1 (ko) 볼트선별장치
MXPA01002054A (es) Aparato y metodo para detectar un angulo de borde.
CN108445082B (zh) 圆柱滚子自动检测装置
KR101348192B1 (ko) 와류탐상검사에 의한 이차 건전지용 캔의 자동검사장치
JPH08313219A (ja) 枚葉の選択された品質特徴を検査するための装置
JPH01148429A (ja) 連続ストリップを打抜き機械に送るための送り装置
CN211866889U (zh) 一种数控激光床垫用裁剪机
JP6353210B2 (ja) 裁断加工ユニット
CN208361506U (zh) 纸箱生产线自动点数分料装置
CN211437058U (zh) 钕铁硼产品后加工瓦片的厚度检测设备
CN220983131U (zh) 一种卷烟真伪包装快速检测装置
CN219326278U (zh) 一种机械零件传送设备
JPS58376A (ja) 押湯切断装置
JP2015030048A (ja) 加工装置及び裁断方法
CN113664593B (zh) 一种带端头检测装置的铣床
CN108910469B (zh) 薄片激光自动检测设备
JP2503091Y2 (ja) 円形物体の形状検査装置
CN209322118U (zh) 全自动供纸芯装置
KR101909145B1 (ko) 일체형 절단 면취기
CN218707147U (zh) 铺纸结构、铺纸总成和玻璃生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