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192B1 - 와류탐상검사에 의한 이차 건전지용 캔의 자동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와류탐상검사에 의한 이차 건전지용 캔의 자동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192B1
KR101348192B1 KR1020120062172A KR20120062172A KR101348192B1 KR 101348192 B1 KR101348192 B1 KR 101348192B1 KR 1020120062172 A KR1020120062172 A KR 1020120062172A KR 20120062172 A KR20120062172 A KR 20120062172A KR 101348192 B1 KR101348192 B1 KR 101348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battery
cans
cylindrical
inspection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8515A (ko
Inventor
키타이와히데요
Original Assignee
이시자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자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시자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2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192B1/ko
Publication of KR20130138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01N27/9013Arrangements for scanning
    • G01N27/9026Arrangements for scanning by moving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electric or electromagnetic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01N27/9093Arrangements for supporting the sensor; Combinations of eddy-current sensors and auxiliary arrangements for marking or for rejec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22Cells or battery with cylindrical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 건전지용 캔의 자동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을 일렬종대로 공급하는 캔 이송장치(10)를 두고, 캔 이송장치(10)와 연결된 경사진 공급가이드(32)에 모터(36)의 제어하에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롤러(39a)(39b)를 설치하여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을 와류탐상검사기(20) 내로 연이어 공급되게 캔 공급기(30)를 구성하고, 상기 와류탐상검사기(20)의 후미에는 표면검사를 거쳐 연이어 밀려나오는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을 배출하는 배출가이드(42)에 한 쌍의 피동롤러(48a)(48b) 통해 배출시키는 캔 배출기(40)를 구성하고, 상기 배출가이드(42)의 후방에는 양품의 원통형 건전지 캔(2)을 이송 컨베이어(70)로 안내하는 배출로(50)를 형성되게 구성하여 와류탐상검사를 통해 양품과 불량품에 따른 검사 및 선별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와류탐상검사에 의한 이차 건전지용 캔의 자동검사장치{BY EDDY CURRENT TEST AUTOMATIC INSPECTING APPARATUS FOR CAN FOR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원통형 건전지 캔들을 와류탐상검사를 통해 양품과 불량품에 따른 검사 및 선별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와류탐상검사에 의한 이차 건전지용 캔의 자동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각종 전자기기나 전기자동차 등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리튬전지가 상용화되면서 이차 건전지의 경량화, 소형화 및 고용량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이차 건전지의 안전을 위하여 생산하는 과정에서 정밀한 검사가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원통형 리튬전지는 대략 원통 형태로 권취된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가 결합되는 원통형 전지 캔과, 상기 캔 내측에 주입되어 리튬 이온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해액과, 상기 캔의 일측에 결합되어 전해액의 누액을 방지하고 전극 조립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 조립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리튬전지의 원통형 건전지 캔은 알루미늄 합금제와 같은 금속재료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기 원통형 건전지 캔은 제작하는 공정에서 프레스를 이용하여 생산되므로 원재료 상의 이물질이나 기공에 의해 프레싱 과정에서 흑피 또는 스크래치 등의 흠집이 발생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원통형 건전지 캔의 흠집으로 인한 불량요소는 전지의 기밀유지가 어렵고, 전지의 성능을 저화시킬 뿐만 아니라 외력이나 충격으로부터 전지를 충분히 보호하지 못해 발화 또는 폭발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가 있다.
따라서, 불량률을 없게 하기 위해 생산되는 모든 건전지 캔들에 대해 표면검사가 실시되고, 이러한 캔의 표면검사는 원통형 건전지 캔을 검사대에 올려놓고 작업자가 일일이 손으로 돌려보면서 표면을 검사하는 방식으로서 수작업에 의한 건전지 캔의 표면검사는 작업시간이 많이 걸려 비효율적이고, 인건비로 인해 제품의 원가가 상승하면서 작업자의 숙련도 및 성향에 따른 주관적인 검사결과로 인한 실수가 발생하여 양품선별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에 수작업에 의한 건전지 캔의 표면검사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654호 “원통형 건전지 캔의 자동 검사장치 및 방법”이 출원되어 등록된 바 있다.
상기한 특허등록 제1012654호 “원통형 건전지 캔의 자동 검사장치 및 방법”은 안내경사면을 통해 유입된 원통형 건전지 캔들을 승강구동을 통해서 단계적으로 계단 상승시킴과 함께 일렬로 정렬하여 배출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에서 배출된 원통형 건전지 캔들을 일렬로 유지시키며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로부터 오는 원통형 건전지 캔들 중 미리 설정된 갯수의 원통형 건전지 캔들을 수납 분류하고, 수납된 원통형 건전지 캔들의 개구부가 동일방향으로 위치정렬되게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검사준비부; 상기 정렬된 원통형 건전지 캔들의 표면을 촬영하고 이미지처리 및 분석하여 양품 및 불량품으로 판정하는 검사판정부; 상기 검사판정부의 검사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원통형 건전지 캔들중 양품을 선별 배출하는 선별배출부; 상기 원통형 건전지 캔들의 검사를 위해 호퍼부, 이송부, 검사준비부, 검사판정부, 선별배출부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여 등록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원통형 건전지 캔의 자동 검사장치의 경우, 이송부를 통해 공급되는 다수의 원통형 건전지 캔들을 공급분배부에서 설정된 갯수 만큼 일일이 하나씩 위치정렬을 시킨 후, 공급분배부에 공급된 원통형 건전지 캔들을 버퍼부와 회전부로 구성된 정렬부에 인입시켜 다시 건전지 캔들의 개구부가 서로 동일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회전부를 통해 회전시킨 상태에서 비로소 원통형 건전지 캔의 표면을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를 촬영하여 불량 여부를 선별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원통형 건전지 캔들을 공급분배부에 하나씩 공급해주기가 여간 불편할 뿐만 아니라 버퍼부와 회전부로 구성된 정렬부를 통해 건전지 캔들이 서로 동일방향으로 정렬시킨 후 표면검사가 이루어지므로 그에 따른 검사준비부의 각 장치들간의 구성이 복잡하면서 제작하기 까다로워 설비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원통형 건전지 캔들의 표면검사를 위해 건전지 캔을 회전부에서 서로 동일방향으로 회전정렬시킨 후 양품선별에 따른 촬영검사가 이루어지므로 검사속도의 지연을 초래하여 작업효율을 저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형으로 제작되는 이차 건전지 캔들을 와류탐상검사기를 이용하여 표면검사가 신속하면서, 와류탐상검사기 내로 건전지 캔들의 검사를 위한 공급 및 검사 후 양품과 불량품의 선별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검사속도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와류탐상검사에 의한 이차 건전지 캔의 자동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원통형 건전지 캔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을 일렬종대로 공급하는 캔 이송장치(10)를 두고, 캔 이송장치(10)와 연결된 경사진 공급가이드(32)에 모터(36)의 제어하에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롤러(39a)(39b)를 설치하여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을 와류탐상검사기(20) 내로 연이어 공급되게 캔 공급기(30)를 구성하고, 상기 와류탐상검사기(20)의 후미에는 표면검사를 거쳐 연이어 밀려나오는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을 배출하는 배출가이드(42)에 한 쌍의 피동롤러(48a)(48b) 통해 배출시키는 캔 배출기(40)를 구성하고, 상기 배출가이드(42)의 후방에는 양품의 원통형 건전지 캔(2)을 이송 컨베이어(70)로 안내하는 배출로(50)를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차 건전지용 캔의 자동검사장치는 공급되는 원통형 건전지 캔의 방향에 구애됨이 없이 캔 공급기의 한 쌍의 구동롤러와 캔 배출기의 한 쌍의 피동롤러가 서로 연동 제어하에 원통형 건전지 캔들을 서로 연이어 와류탐상검사기에서의 표면검사가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류탐상검사기로 통해 신속하게 검사한 후, 표면검사에서의 불량품으로 판정된 원통형 건전지 캔을 엔코더의 감지하에 에어분사기를 작동시켜 배출가이드에서 불량품의 원통형 건전지 캔만을 배출시켜 줌으로서 양품과 불량품의 선별작업이 원활하고, 양품의 원통형 건전지 캔을 배출하여 상자에 수거시에 상자의 경사각 조절에 따라 담기도록 함으로서 원통형 건전지 캔들이 서로 부딪힘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류탐상검사기가 장착된 건전지용 캔의 자동검사장치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캔 공급기의 정면구성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 캔 공급기의 평면상태들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 캔 공급기의 측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 캔 배출기의 정면구성도,
도 8은 본 발명 캔 배출기의 평면상태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 캔 배출기의 측면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의 상자받침대가 장착된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표면 검사하는 원통형 건전지 캔(2)은 전지의 전극조립체를 수납하는 전지의 케이스로서, 전극조립체를 외력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리튬전지는 유기질 전해액의 사용에 따라 약한 충격에도 폭발이나 발화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원통형 건전지 캔(2)이 외관 케이스로서 해야할 역할 비중은 그만큼 더 커지게 된다.
제품완성된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은 배경기술란에서 언급하였듯이 제작과정에서 흑피 또는 스크래치 등의 흠집이 생길 수가 있으므로 불량난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을 골라내는 표면검사작업이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더욱이 표면검사작업이 원통형 건전지 캔(2)을 생산속도를 충족할 수 있을 만큼의 검사 처리속도를 가짐과 아울러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와류탐상검사기가 장착된 건전지 캔의 자동검사장치의 전체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이차 건전지용 캔의 자동검사장치(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건전지 캔(2)의 외면에 흑피 또는 스크래치 등의 흠집을 검사하는 장치로서, 크게 원통형 건전지 캔(2)을 일렬종대로 이송하는 캔 이송장치(10)와, 상기 캔 이송장치(10)와 연결되어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을 와류탐상검사기(20)로 보내는 캔 공급기(30)와, 상기 캔 공급기(30)의 작동에 따라 와류탐상검사기(20)를 통과한 원통형 건전지 캔(2)을 배출시키는 캔 배출기(40)와, 캔 배출기(40)의 후방에는 표면검사가 이루어진 불량품의 원통형 건전지 캔(2)을 선별하는 에어분사기(60) 및 양품의 원통형 건전지 캔(2)이 담기도록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자받침대(8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건전지 캔의 자동검사장치(A) 중 캔 이송장치(10)는 구동하는 컨베이어 벨트로 형성되어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이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전방에 연결된 공급가이드(32)에 설치된 캔 공급기(30)로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을 일렬종대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캔 이송장치(10)의 컨베이어 벨트를 타고 이송되는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은 서로 개구부가 동일한 방향이나 다른 방향에 놓인 그대로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되어 전방에 연결된 공급가이드(32)의 공급관(32a)를 통해 순차적으로 안내되어 이송되며, 공급가이드(32)는 캔 이송장치(10)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이송된 원통형 건전지 캔(2)이 경사진 공급관(32a)를 따라 자유로이 낙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공급가이드(32)의 공급관(32a)은 와류탐상검사기(20)의 투입구와 연결되어 원통형 건전지 캔(2)을 보내도록 캔 공급기(30)를 구성함에,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 공급기(30)는 공급가이드(32)의 상부에 결합하는 고정대(34)에 모터(36)를 설치하되, 고정대(34)의 하부에는 모터(36)의 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풀리(37)를 두고, 구동풀리(37)는 일측에 타이밍벨트(38)로 연결되어 연동 회전하는 피동풀리(37a)(37b)를 좌우에 각각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피동풀리(37a)(37b)를 축 지지하는 각 축봉의 하단에는 한 쌍의 구동롤러(39a)(39b)를 구비하되, 구동롤러(39a)(39b)는 공급관(32a)을 중앙에 두고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모터(36)의 구동제어에 따라 회전하여 공급관(32a)으로 낙하 이송되는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을 연이어 밀어주면서 와류탐상검사기(20)의 투입구 내로 연속적으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해준다.
또한 피동풀리(37a)(37b)와 구동롤러(39a)(39b)를 축 지지하는 축봉은 고정대(34)에 결합하는 각 조절판(34a)(34b)에 결합하여 양측 조절판(34a)(34b)이 서로 좌우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줌으로서 원통형 건전지 캔(2)의 직경 크기에 맞추어 구동롤러(39a)(39b) 간의 간격거리를 조절되게 구성한다.
이에 캔 공급기(30)는 와류탐상검사기(20) 내로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을 양측 구동롤러(39a)(39b)가 구동 회전하에 연이어 공급시켜주면, 와류탐상검사기(20) 내에서는 연이어 공급이 이루어지는 원통형 건전지 캔(2)과 비접촉에 의해 표면에 흠이나 결함이 있으면 전류의 난조로서 표면결함 여부를 바로 검출하여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의 표면검사가 바로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와류탐상검사기(20)는 검사시에는 공급가이드(32)와 동일선상에 고정 설치하여 캔 공급기(30)에 의해 공급되는 원통형 건전지 캔(2)의 표면검사를 실시하도록 하면서 정비시에는 와류탐상검사기(20)의 하부에 설치된 안내레일(22)을 통해 일측으로 이동시켜주도록 구성하여 사후관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와류탐상검사기(20)를 이용함에 있어,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을 캔 공급기(30)를 통해 서로 연이어 공급시켜 표면검사를 신속하게 처리한 후, 검사가 완료된 원통형 건전지 캔(2)은 와류탐상검사기(20)의 타측 배출구를 통해 낙하하여 후미에 연결된 캔 배출기(40)에 의해 신속하게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즉 와류탐상검사기(20)의 후미에 설치되는 캔 배출기(4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류탐상검사기(20)의 배출구와 연결된 배출가이드(42)에 형성된 배출관(42a)을 통해 검사가 이루어진 원통형 건전지 캔(2)을 배출토록 하되, 배출가이드(42)의 상부에 와류탐상검사기(20)의 배출구와 인접하여 고정 설치하는 고정대(44)에 기어(46a)(46b)가 서로 맞물린 각 축봉의 하단에 한 쌍의 피동롤러(48a)(48b)를 구비하되, 피동롤러(48a)(48b)는 배출관(42a)을 중앙에 두고 양측에 이격시켜 상부에 결합된 기어(46a)(46b)에 의해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어(46a)(46b)와 피동롤러(48a)(48b)를 축 지지하는 축봉은 고정대(44)에 결합하는 각 조절판(44a)(44b)에 결합하여 양측 조절판(44a)(44b)이 서로 좌우 간격조절이 가능토록 구비하여 원통형 건전지 캔(2)의 직경 크기에 맞추어 피동롤러(48a)(48b) 간의 간격거리를 조절되게 구성한다.
이에 와류탐상검사기(20)를 통과하여 검사가 이루어진 원통형 건전지 캔(2)이 배출관(42a)으로 낙하하여 양측 피동롤러(48a)(48b)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전방의 캔 공급기(30)에서의 구동롤러(39a)(39b)가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을 계속 밀어주는 작용에 의해 피동롤러(48a)(48b)는 피동적으로 회전 가운데 원통형 건전지 캔(2)의 배출을 제어하면서 작동한다.
그리고 피동롤러(48a)(48b)를 축 지지하는 축봉 중 어느 하나의 축봉 상단에는 엔코더(49)를 결합 설치하여 와류탐상검사기(20)를 통과하면서 불량품으로 검출되는 원통형 건전지 캔(2)이 배출관(42a)으로 빠져나오는 이동거리에 따른 피동롤러(48a)(48b)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피동롤러(48a)(48b)의 후미에 설치되는 에어분사기(6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즉 와류탐상검사기(20)를 통과하는 원통형 건전지 캔(2)들 중 불량품이 검출이 되면 이를 엔코더(49)가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에어분사기(60)까지의 거리에 맞추어 피동롤러(48a)(48b)의 회전량을 감지하고, 이에 엔코더(49)는 다시 제어부로 출력신호를 보내어서 피동롤러(48a)(48b)로 빠져나오는 불량품의 원통형 건전지 캔(2)을 에어분사기(60)가 작동하여 바로 공기를 분사하여 배출관(42a)으로부터 이탈시켜 주도록 하고, 그외 양품의 원통형 건전지 캔(2)은 배출관(42a)과 연결된 배출로(50)를 통해 배출시켜 줌으로서 배출가이드(42)에서의 양품과 불량품의 선별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또한 배출가이드(42)의 배출관(42a)은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이 피동롤러(48a)(48b)를 통과하여 후방 배출로(50)까지 이송배출이 원활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배출가이드(42)에 장착된 캔 배출기(40)를 통해 원통형 건전지 캔(2)의 선별작업에 따른 양품은 후방 배출로(50)를 경유하여 후방에 설치된 이송 컨베이어(70)의 컨베이어 벨트(72)를 타고 배출되어 상자(B)에 담도록 구성함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컨베이어(70)의 후미에는 컨베이어 벨트(72)를 타고 배출되는 원통형 건전지 캔(2)의 낙하 위치에 맞추어 상자(B)를 안착 고정하는 상자받침대(80)를 축 회전하도록 설치한다.
즉 상자받침대(80)는 하부에 에어실린더(82)의 로드를 축 결합하여 에어실린더(82)의 작동에 따라 상자받침대(80)를 상하로 회전하여 줌으로서 상자받침대(80)에 안착 고정하는 상자(B)의 경사각을 조절되게 해준다.
이때 상기 상자받침대(80)의 회전작동은 배출로(50)의 상부에 장착된 감지센서(S)와 연계하에 작동함에, 감지센서(S)가 배출로(50)을 통해 빠져나가는 원통형 건전지 캔(2)의 배출량을 감지하에 이를 제어부에서 카운트하여 상자(B)에 담기는 수량에 따라 에어실린더(82)의 로드를 점차 후진시켜 상자받침대(80)의 경사각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자받침대(80)의 경사각 조절에 따른 상자(B) 안으로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이 적재시에 서로 부딪힘을 최소화하여 제품 간에 서로 손상이 가해지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이차 건전지용 캔의 자동검사장치(A)는 공급되는 원통형 건전지 캔(2)의 방향에 구애됨이 없이 캔 이송장치(10)에서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을 일렬종대로 캔 공급기(30)의 구동롤러(39a)(39b)와 캔 배출기(40)의 피동롤러(48a)(48b)가 서로 연동 제어하에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을 서로 연이어 와류탐상검사기(20)로 공급 및 배출이 원활하도록 하여 종래의 카메라방식에 비해 표면검사가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와류탐상검사기(20)를 통과하면서 표면검사에서의 불량품으로 판정된 원통형 건전지 캔(2)은, 와류탐상검사기(20)와 캔 배출기(40) 간의 거리에 따른 엔코더(49)가 피동롤러(48a)(48b)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피동롤러(48a)(48b)를 빠져나오는 불량품의 원통형 건전지 캔(2)만을 에어분사기(60)에 의해 피동롤러(48a)(48b)의 후미에서 바로 배출하여 줌으로서 양품과 불량품의 선별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또한 양품의 원통형 건전지 캔(2)을 상자(B)에 수거함에 있어, 상자(B)를 에어실린더(82)의 작동에 의해 회전각 조절이 이루어지는 상자받침대(80)에 안착 고정하여 이송 컨베이어(70)를 통해 배출되는 양품의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이 상자(B)의 각 조절에 따라 담기도록 함으로서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이 서로 부딪힘에 의한 찍힘을 방지하여 제품의 질을 높여주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이차 건전지용 캔의 표면을 검사하는 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다.
(2)-- 원통형 건전지 캔 (A)-- 건전지용 캔의 자동검사장치
(10)-- 캔 이송장치 (20)-- 와류탐상검사기
(22)-- 안내레일 (30)-- 캔 공급기
(32)-- 공급가이드 (32a)-- 공급관
(34)-- 고정대 (34a)(34b)-- 조절판
(36)-- 모터 (37)-- 구동풀리
(37a)(37b)-- 피동풀리 (38)-- 타이밍벨트
(39a)(39b)-- 구동롤러 (40)-- 캔 배출기
(42)-- 배출가이드 (42a)-- 배출관
(44)-- 고정대 (44a)(44b)-- 조절판
(46a)(46b)-- 기어 (48a)(48b)-- 피동롤러
(49)-- 엔코더 (50)-- 배출로
(60)--에어분사기 (70)-- 이송 켄베이어
(72)-- 컨베이어 벨트 (80)-- 상자받침대
(82)-- 에어실린더 (S)-- 감지센서
(B)-- 상자

Claims (5)

  1. 원통형 건전지 캔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을 개구부의 방향에 관계없이 일렬종대로 공급하는 캔 이송장치(10)를 두고, 상기 캔 이송장치(10)와 연결된 경사진 공급가이드(32)에 의해 자유로이 낙하하는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을 모터(36)의 제어하에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롤러(39a)(39b)가 설치되어 와류탐상검사기(20) 내로 연이어 원통형 건전지 캔(2)을 공급되게 하는 캔 공급기(30)를 구성하고, 상기 와류탐상검사기(20)의 후미에는 표면검사를 거쳐 연이어 밀려나오는 원통형 건전지 캔(2)들을 배출하는 배출가이드(42)에 한 쌍의 피동롤러(48a)(48b)를 통해 배출시키는 캔 배출기(40)를 구성하고, 상기 캔 배출기(40)의 피동롤러(48a)(48b) 중 어느 하나의 축봉에 엔코더(49)를 설치하여 엔코더(49)는 캔 배출기(40)의 후미에 장착된 에어분사기(60)의 작동을 제어하에 피동롤러(48a)(48b) 사이로 빠져나오는 불량품의 원통형 건전지 캔(2)만을 분사하여 선별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배출가이드(42)의 후방에는 양품의 원통형 건전지 캔(2)을 이송 컨베이어(70)로 안내하는 배출로(50)를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탐상검사에 의한 이차 건전지용 캔의 자동검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양품의 원통형 건전지 캔(2)만을 배출하는 배출로(50) 상에 감지센서(S)를 구비하고, 감지센서(S)는 원통형 건전지 캔(2)의 배출량을 감지하에 이송 컨베이어(70)의 후방에 에어실린더(82)와 결합된 상자받침대(80)의 회전각을 조절제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탐상검사에 의한 이차 건전지용 캔의 자동검사장치.
KR1020120062172A 2012-06-11 2012-06-11 와류탐상검사에 의한 이차 건전지용 캔의 자동검사장치 KR101348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172A KR101348192B1 (ko) 2012-06-11 2012-06-11 와류탐상검사에 의한 이차 건전지용 캔의 자동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172A KR101348192B1 (ko) 2012-06-11 2012-06-11 와류탐상검사에 의한 이차 건전지용 캔의 자동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515A KR20130138515A (ko) 2013-12-19
KR101348192B1 true KR101348192B1 (ko) 2014-01-06

Family

ID=49984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172A KR101348192B1 (ko) 2012-06-11 2012-06-11 와류탐상검사에 의한 이차 건전지용 캔의 자동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1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0670B (zh) * 2014-01-13 2016-01-27 周俊雄 锂锰电池全自动生产线
CN106000920B (zh) * 2016-06-30 2017-12-05 苏州格瑞泰克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电机线圈绝缘耐压检测用的检测设备及检测方法
CN112871756B (zh) * 2020-12-28 2023-09-22 湖南中汉鸿盛新能源有限公司 一种新能源电池用检测分拣装置
CN112909346B (zh) * 2021-01-20 2022-06-03 湖南嘉园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生产制造过程中正负极区分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942B2 (ja) * 1986-05-28 1995-03-29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外観検査装置
JP2000229269A (ja) * 1998-12-08 2000-08-22 Mitsubishi Heavy Ind Ltd 電池分別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304030A (ja) * 2006-05-15 2007-11-22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容器内異物検出装置
JP2009252644A (ja) * 2008-04-09 2009-10-29 Sony Corp 電池缶の検査方法および電池缶の検査装置
JP7027942B2 (ja) * 2018-02-22 2022-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942B2 (ja) * 1986-05-28 1995-03-29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外観検査装置
JP2000229269A (ja) * 1998-12-08 2000-08-22 Mitsubishi Heavy Ind Ltd 電池分別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304030A (ja) * 2006-05-15 2007-11-22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容器内異物検出装置
JP2009252644A (ja) * 2008-04-09 2009-10-29 Sony Corp 電池缶の検査方法および電池缶の検査装置
JP7027942B2 (ja) * 2018-02-22 2022-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515A (ko)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464B1 (ko) 이차 건전지용 캔의 자동검사장치
KR100745586B1 (ko) 전지 검사장치
US6781344B1 (en) Battery tester and sorting apparatus
KR101348192B1 (ko) 와류탐상검사에 의한 이차 건전지용 캔의 자동검사장치
CN110201895B (zh) 轴承内圈孔径检测设备
CN206392450U (zh) 一种滚子外观自动检测装置
JP2017136559A (ja) 鉛蓄電池の極板自動選別装置
CN205413669U (zh) 一种电子元件的转盘检测设备
CN108745925B (zh) 一种零部件全方位检测方法
CN205327971U (zh) 棒材检测上料一体机
CN115452848A (zh) 一种人造板表面瑕疵自动检测设备
KR101012654B1 (ko) 원통형 건전지 캔의 자동 검사장치 및 방법
CN215964872U (zh) 一种自动筛选装置
CN113367377A (zh) 一种棒状产品的视觉分拣装置
KR101776002B1 (ko) 테이퍼 롤러 검사 시스템
KR101638032B1 (ko) 이송중인 탄환의 자전과 공전을 이용한 탄환이미지 검사장치
WO2015068267A1 (ja) 選別機
CN110721929A (zh) 一种外观件检查机
KR102040095B1 (ko) 비전 선별기
CN112718584B (zh) 一种废品剔除方法
CN211437090U (zh) 一种眼药水在线灌装质量检测装置
CN211637379U (zh) 一种基于激光位移传感器的零件尺寸自动检测设备
CN211100239U (zh) 一种外观件检查机
CN113049602A (zh) 一种基于机器视觉检测技术的乳液泵盖缺陷检测机
CN112747788A (zh) 木板检测设备及木板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