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5254B1 - 차량의 후드 열림각도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드 열림각도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5254B1
KR102095254B1 KR1020180169363A KR20180169363A KR102095254B1 KR 102095254 B1 KR102095254 B1 KR 102095254B1 KR 1020180169363 A KR1020180169363 A KR 1020180169363A KR 20180169363 A KR20180169363 A KR 20180169363A KR 102095254 B1 KR102095254 B1 KR 102095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angle
engine room
present
st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일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9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21/00Arrangements or combinations of wing fastening, securing, or holding devices, not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main group; Locking kits
    • E05C21/005Provisional arrangements between door and frame for holding vehicle doors closed or partially open during manufacturing or 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045Hinges for the movable b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3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of extensible, e.g. telescopic, construction
    • E05C17/305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of extensible, e.g. telescopic, construction with hydraulic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후드 열림각도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후드의 열림각도는 일정 각도로만 열리기 때문에 부피가 큰 라디에이터 설치 시 불편하여 작업성이 저하되어 그만큼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엔진룸 조립 작업 시 차량의 후드 열림각도 지지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엔진룸의 후드판넬(100) 양쪽 가장자리 내면에 구비되는 상측 볼스터드(110); 엔진룸 양쪽 사이드판넬(200)의 브라켓(300)에 구비되는 하측 볼스터드(310); 상측 볼스터드(110)에 끼워져 결합되는 상결합부(410)가 로드(420) 상단에 구비되고, 하측 볼스터드(310)의 하결합부(430)가 하단에 구비된 좌,우측용 가스리프터(400a)(400b); 하결합부(430)를 포함한 가스리프터(400a)(400b) 하단이 일정 깊이 끼워져서 가스리프터(400a)(400b)의 길이를 키워주며, 하측 볼스터드(310)가 끼워져 걸리는 스터드결합부(510)가 하단에 구비된 지그(500); 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엔진룸 내에 라디에이터를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지그(500)에 의해 후드판넬(100)이 정상 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열리게 하고, 설치작업이 끝난 이후에는 가스리프터(400a)(400b)의 하결합부(430)를 사용하여 정상 각도로 열리도록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작업성이 개선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차량의 후드 열림각도 지지장치{The vehicle's hood open, tilting mechanism}
본 발명은 차량의 후드 열림각도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엔진룸 내에 라디에이터를 설치 시 후드의 열림각도를 크게하여 작업자들이 보다 더 수월하게 작업할 수 있음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는 차량의 후드 열림각도 조절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후드는 차량의 엔진이 마련되는 엔진룸의 커버로써, 엔진룸의 일정 위치에 마련되며 운전석에서 개폐를 조정할 수 있도록 와이어 등이 연결된 후드래치와, 상기 후드래치와 맞물리며 엔진후드의 일정 위치에 부착 고정되고 소정의 고정판에 의해 고정되는 U자 형상의 후드 스트라이커에 의해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후드는 엔진룸을 개폐하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엔진룸을 차폐하여 엔진소음이 차단되도록 하는데, 차체와 후드사이의 후방공간에는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고 엔진에서 발생된 소음을 외부에 전달시키지 않도록 카울(cowl)이 장착되는데 상기 카울은 후드의 후방 끝단 하부에 배치되되 윈드실드글라스와 연결되고, 상측으로는 고무재질(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질)의 웨더스트립이 장착되어 후드와 카울 사이의 공간을 차폐시킨다.
상기 후드의 종래기술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4-0044515호(2014.04.15.공개)(발명의 명칭:차량용 후드의 구조(이하 종래기술이라 약칭함)에 개시되어있다.
개시된 종래기술은 후드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카울탑커버는 지지바를 통하여 상기 플랜지에 결합하되 상기 지지바는 충격에 따라 파단될 수 있으므로 보행자 충돌사고 발생 시 후드의 변형공간을 제공하여 보행자의 상해치를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2014-0044515호(2014.04.15. 공개)(발명의 명칭: 차량용 후드의 구조)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후드는 열림 각도가 제한되어 있어 즉, 정상각도에서는 엔진룸 내에 라디에이터를 설치하고자 라디에이터를 하강 시 후드가 간섭을 주는 것이어서 후드의 열림 각도를 최대한 크게 하여야 만이 원활한 작업을 할 수 있으나 선행기술에서의 후드 열림각도는 엔진룸에 설치된 부품의 정비를 할 수 있을 정도의 일정각도로만 열을 수 있어 원활한 작업을 할 수 없음에 따라 그만큼 작업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룸 내에 라디에이터를 설치할 경우에는 후드의 열림각도를 크게하여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지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후드 열림각도 지지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엔진룸 조립 작업 시 차량의 후드 열림각도 지지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엔진룸의 후드판넬 양쪽 가장자리 내면에 구비되는 상측 볼스터드; 엔진룸 양쪽 사이드판넬의 브라켓에 구비되는 하측 볼스터드; 상측 볼스터드에 끼워져 결합되는 상결합부가 로드 상단에 구비되고, 하측 볼스터드의 하결합부가 하단에 구비된 좌,우측용 가스리프터; 하결합부를 포함한 가스리프터 하단이 일정 깊이 끼워져서 가스리프터의 길이를 키워주며, 하측 볼스터드가 끼워져 걸리는 스터드결합부가 하단에 구비된 지그; 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엔진룸 내에 라디에이터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후드의 열림각도를 크게하여 작업자가 보다 더 수월하게 라디에이터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 지그를 장착하여 후드의 열림각도를 크게 한 상태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지그를 장착하여 후드의 열림각도를 크게 한 상태의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지그에 가스리프터를 끼운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지그에 가스리프터를 끼운 상태를 예시한 요부 확대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지그에 가스리프터를 끼운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라 지그를 장착하여 후드의 열림각도를 크게 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지그를 장착하여 후드의 열림각도를 크게 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지그에 가스리프터를 끼운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지그에 가스리프터를 끼운 상태를 예시한 요부 확대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지그에 가스리프터를 끼운 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엔진룸 조립 작업시 차량의 후드 열림각도 지지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엔진룸의 후드판넬(100) 양쪽 가장자리 내면에 구비되는 상측 볼스터드(110); 엔진룸 양쪽 사이드판넬(200)의 브라켓(300)에 구비되는 하측 볼스터드(310); 상측 볼스터드(110)에 끼워져 결합되는 상결합부(410)가 로드(420) 상단에 구비되고, 하측 볼스터드(310)의 하결합부(430)가 하단에 구비된 좌,우측용 가스리프터(400a)(400b); 하결합부(430)를 포함한 가스리프터(400a)(400b) 하단이 일정 깊이 끼워져서 가스리프터(400a)(400b)의 길이를 키워주며, 하측 볼스터드(310)가 끼워져 걸리는 스터드결합부(510)가 하단에 구비된 지그(500); 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엔진룸에 설치된 부품을 먼지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고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열고 닫을 수 있는 후드를 설치하는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후드의 열림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엔진룸 내에 라디에이터를 설치 시 후드가 정상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열리게 하여 보다 더 수월하게 라디에이터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그만큼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차체 조립라인에서는 차체에 후드판넬(100)을 설치한 상태에서 차체를 부품 설치라인으로 보내게 되면 작업자는 후드판넬(100)를 들어 올린 후 후드판넬(100)의 내면 가장자리에는 상측 볼스터드(110)를 돌출되게 설치한 후 엔진룸의 양쪽 사이드 판넬(200)에 설치된 브라켓(300)에 로드(420)가 구비된 좌,우측용 가스리프터(400a)(400b)를 각각 설치한다.
이하에서는 좌측용 가스리프트(400a)만을 예로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로드(420)의 상측에 구비된 상결합부(410)는 상측 볼스터드(110)에 결합하고, 가스리프터(400a)에 구비된 하결합부(430)는 브라켓(300)의 하측 볼스터드(310)에 결합한다.
이처럼 가스리프터(400a)를 설치한 후 엔진룸 내에 크기가 작은 부품들을 설치할 경우에는 가스리프터(400a)만을 이용하여 후드판넬(100)을 정상각도로 오픈 후 부품들을 설치하고, 라디에이터와 같이 크기가 큰 부품을 설치할 경우에는 후드판넬(100)을 정상각도로 열었을 경우에는 설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후드판넬(100)을 정상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열어주기 위해 지그(500)를 사용한다.
즉, 후드판넬(100)을 들어 올린 후 잡어준 상태에서 브라켓(300)의 하측 볼스터드(310)에 끼워준 가스리프터(400a)의 하결합부(430)를 하측 볼스터드(310)에서 분리 후 지그(500)의 스터드결합부(510)를 하측 볼스터드(310)에 결합하여 주고, 그 지그(500)에는 가스리프터(400a)의 하단을 끼워준다.
여기서 상기 지그(500)의 스터드결합부(510)는 하측 볼스터드(310)가 통과되어 걸리는 큰 구경의 끼움홀(511)과 작은 구경의 걸림홀(512)이 이어져 구비되어 있으므로 스터드결합부(510)의 끼움홀(511)을 통해 브라켓(300)의 하측 볼스터드(310)가 끼워지게한 후 후드판넬(100)에서 손을 떼게되면 후드판넬(100)의 자체 무게에 의해 지그(500)가 약간 하향으로 내려가면서 하측 볼스터드(310)는 구경이 작은 걸림홀(512)에 위치되면서 후드판넬(100)이 열린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후드판넬(100)의 열림각도를 지그(500)를 이용하여 정상 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열어준 상태에서 라디에이터 설치작업을 수행 후 다시 후드판넬(100)을 정상 각도로 열리게 하기 위해서는 후드판넬(100)을 약간 상승시키면 브라켓(300)의 하측 볼스터드(310)가 스터드결합부(510)의 큰 구경인 끼움홀(511)로 위치되어 하측 볼스터드(310)를 쉽게 스터드결합부(510)에서 분리할 수 있는 것이며, 이후 지그(500)와 가스리프터(400a)를 분리한다.
이렇게 가스리프터(400a)와 지그(500)를 분리한 후 가스리프터(400a)의 하결합부(430)를 브라켓(300)의 하측 볼스터드(310)에 끼워지게 하면 후드판넬(100)은 정상 각도로만 열리게 되는 것이다.
100 : 후드판넬 110 : 상측 볼스터드
200 : 사이드판넬 300 : 브라켓
310 : 하측 볼스터드 400a,400b : 가스리프터
410 : 상결합부 420 : 로드
430 : 하결합부 500 : 지그
510 : 스터드결합부 511 : 끼움홀
512 : 걸림홀

Claims (2)

  1. 엔진룸 조립 작업 시 차량의 후드 열림각도 지지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엔진룸의 후드판넬(100) 양쪽 가장자리 내면에 구비되는 상측 볼스터드(110);
    엔진룸 양쪽 사이드판넬(200)의 브라켓(300)에 구비되는 하측 볼스터드(310);
    상측 볼스터드(110)에 끼워져 결합되는 상결합부(410)가 로드(420) 상단에 구비되고, 하측 볼스터드(310)의 하결합부(430)가 하단에 구비된 좌,우측용 가스리프터(400a)(400b);
    하결합부(430)를 포함한 가스리프터(400a)(400b) 하단이 일정 깊이 끼워져서 가스리프터(400a)(400b)의 길이를 키워주며, 하측 볼스터드(310)가 끼워져 걸리는 스터드결합부(510)가 하단에 구비된 지그(500);로 구성되며,
    상기 지그(500)의 스터드결합부(510)는 하측 볼스터드(310)가 통과되어 걸리도록 큰 구경의 끼움홀(511)과 작은 구경의 걸림홀(512)이 이어지도록 구비되어
    엔진룸 작업 시는 상기 지그(500)에 의해 후드판넬(100)이 정상 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열리게 하고, 엔진룸 작업 이후는 가스리프터(400a)(400b)의 하결합부(430)를 사용하여 정상각도로 열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 열림각도 지지장치.
  2. 삭제
KR1020180169363A 2018-12-26 2018-12-26 차량의 후드 열림각도 지지장치 KR102095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363A KR102095254B1 (ko) 2018-12-26 2018-12-26 차량의 후드 열림각도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363A KR102095254B1 (ko) 2018-12-26 2018-12-26 차량의 후드 열림각도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254B1 true KR102095254B1 (ko) 2020-04-01

Family

ID=70276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363A KR102095254B1 (ko) 2018-12-26 2018-12-26 차량의 후드 열림각도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2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079B1 (ko) * 2022-10-26 2024-04-30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 처짐 방지 지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530U (ko) * 1997-12-17 1999-07-05 양재신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JP2002029262A (ja) * 2000-07-13 2002-01-29 Fuji Heavy Ind Ltd ガススプリングステーの車体取付構造
KR20140044515A (ko) 2012-10-05 2014-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드의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530U (ko) * 1997-12-17 1999-07-05 양재신 자동차용 후드 개폐장치
JP2002029262A (ja) * 2000-07-13 2002-01-29 Fuji Heavy Ind Ltd ガススプリングステーの車体取付構造
KR20140044515A (ko) 2012-10-05 2014-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드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079B1 (ko) * 2022-10-26 2024-04-30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 처짐 방지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3612B2 (ja) ドアガードバーの取付構造
KR101637303B1 (ko) 자동차용 도어구조
KR100925832B1 (ko) 수평조립이 가능한 후드힌지유닛
KR102095254B1 (ko) 차량의 후드 열림각도 지지장치
KR102017586B1 (ko) 차량의 후드 열림각도 조절장치
JP2007076617A (ja) 車体側部構造
JP6446096B1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
KR100931806B1 (ko) 자동차의 쿼터 글라스부 사이드 차체구조
JP3214641B2 (ja) ドアサッシュの取付構造
KR20200073648A (ko) 도어 글라스 어셈블리
JP5870595B2 (ja) 車両のドア構造
JP3443620B2 (ja) 車両用ドアのインパクトビーム取付構造
CN216467287U (zh) 车辆用门板结构
JP2006168724A (ja) フードフレームを含む自動車前部
KR101210075B1 (ko) 후드 가스리프터 마운팅장치
JP7136405B2 (ja) 車両のドア構造
JPH11350813A (ja) 自動車のドア構造
KR200154256Y1 (ko) 자동차의 도어 보강구조
JPH08142676A (ja) 車両用ドア構造
JPH04173480A (ja) 作業車のボンネット開閉構造
JP2023146586A (ja) 車両用ドア
KR100448339B1 (ko) 자동차의 풀 핸들 장착구조
JPH04197831A (ja) 自動車用ドア
JP2002160522A (ja) 自動車用ドア、および自動車用窓ガラス昇降装置の取り付け構造
KR200157037Y1 (ko) 자동차 도어 글라스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