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639B1 - 다이렉트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장치 및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다이렉트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장치 및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639B1
KR102093639B1 KR1020160116068A KR20160116068A KR102093639B1 KR 102093639 B1 KR102093639 B1 KR 102093639B1 KR 1020160116068 A KR1020160116068 A KR 1020160116068A KR 20160116068 A KR20160116068 A KR 20160116068A KR 102093639 B1 KR102093639 B1 KR 102093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ssid
wireless connection
direct wireless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3774A (ko
Inventor
고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3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controlling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history or models of usage information, e.g. activity schedule or time of d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21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power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다이렉트 무선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통신장치는, 디바이스 설정과 사용할 SSID의 종류에 근거하여 다이렉트 무선통신 기능을 자동으로 정지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Description

다이렉트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장치 및 통신장치의 제어방법{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DIRECT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의 일면은 일반적으로 다이렉트 무선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PC), 스마트폰, 게임기 및 인쇄장치 등의 점점 더 많은 다양한 통신장치가 무선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LAN)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들 통신장치는 외부의 액세스 포인트에 무선접속하여, 해당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다른 디바이스와 무선통신을 실행한다. 예를 들면, 인쇄장치는, PC나 스마트폰이 송신한 인쇄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수신하고, 그후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이들 통신장치 중 일부는 자신이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중계장치가 없이 다른 디바이스와 직접 무선통신을 실행한다.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중계장치가 없이 다른 디바이스와 직접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무선통신 방식을 다이렉트 무선통신 모드로 부른다. 다이렉트 무선통신 모드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Wi-Fi Direct(등록상표)과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들 수 있다.
일본국 특개 2014-179926호 공보에는, 인쇄장치가 다이렉트 무선통신 모드(Wi-Fi Direct(등록상표))에서 동작하여, 모바일 단말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해서 인쇄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특개 2014-179926호 공보에는, 인쇄 처리가 완료되었을 때와 인쇄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할 때, 인쇄장치가 다이렉트 무선통신 모드에서의 통신장치의 동작을 종료하는 구성도 개시되어 있다.
유저가 통신장치가 다이렉트 무선통신 모드를 사용하기 원하는 경우, 유저는 다이렉트 무선통신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통신장치에게 지시를 입력한다. 통신장치는, 이 지시에 응답하여 다이렉트 무선통신 모드에서 동작을 개시하여, 다른 디바이스와 무선접속을 확립한다.
종래의 통신장치는, 통신장치가 다이렉트 무선통신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한 후에 통신장치와 다른 디바이스 사이에서 무선접속이 소정 시간 동안 확립하지 않은 경우에, 다이렉트 무선통신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한다. 이에 따르면, 종래의 통신장치는, 통신장치가 다이렉트 무선통신 모드에서 동작할 때의 소비 전력의 증가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IEEE802.11 규격에 따르는 액세스 포인트로서 인쇄장치가 동작함으로써, 중계장치의 중계를 통하지 않고, 통신 단말과 다이렉트 무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은, 유저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다이렉트 무선 접속을 위하여 사용된 SSID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된 SSID의 상기 종류의 상기 설정에 근거하여 원타임 SSID 또는 고정 SSID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인쇄장치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를 개시하는 단계와; 상기 원타임 SSID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통신 단말과의 상기 다이렉트 무선 접속이 소정 시간 동안 확립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동작을 정지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SSID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통신 단말과의 상기 다이렉트 무선 접속이 소정 시간 동안 확립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동작을 계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국면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인쇄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의 사용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 관한 설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에 관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5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에 관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6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 관한 설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에 관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8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에 관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는 청구항에 의해 규정되며, 후술하는 실시형태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더구나,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특징의 모든 조합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통신 시스템의 전체 형상과, 인쇄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인쇄장치(100)는 네트워크(110)에 접속되어 있다. 인쇄장치(100)는, 네트워크(110) 상의 PC 등의 외부장치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인쇄장치(100)는, 휴대 단말(120)과 무선통신을 실행한다. 인쇄장치(100)는, 2개의 시스템의 무선통신을 실행할 수 있다. 첫 번째 시스템은, 인쇄장치(100)가 외부의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휴대 단말(120)과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을 인프라스트럭처 모드로 부른다. 두 번째 시스템은, 인쇄장치(100)가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중계장치가 없이, 휴대 단말(120)과 직접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시스템이다. 중계장치가 없이, 인쇄장치(100)와 휴대 단말(120)이 직접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시스템을 다이렉트 무선통신 모드로 부른다. 인쇄장치(100)는,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또는 다이렉트 무선통신 모드에서 동작하여, 무선통신을 사용해서 휴대 단말(120)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다. 인쇄장치(100)는,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이하, 인쇄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인쇄장치(100)는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또는 다이렉트 무선통신 모드에서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통신장치의 일례이다. 인프라스트럭처 모드 또는 다이렉트 무선통신 모드에서 무선통신을 실행할 수 있는 다른 디바이스를 본 실시형태에 적용해도 된다.
CPU(101)은 판독 전용 메모리(ROM)(102)가 기억하고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인쇄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처리를 실행한다. ROM(102)은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03)는, CPU(101)의 주메모리, 또는 워크 에어리어 등의 일시 기억영역으로서 사용된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104)는, 다양한 데이터를 기억하는 불휘발성의 기억매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CPU(101)가 인쇄장치(100)에서 후술하는 흐름도에 나타낸 각 처리를 실행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CPU가 서로 협동해서 흐름도에 나타낸 각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후술하는 흐름도의 처리의 일부를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 등의 하드웨어 회로를 사용해서 실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무선 LAN 인터페이스(I/F)(105)는, 외부장치(예를 들면, 휴대 단말(120))와Wi-Fi(등록상표)에 근거한 무선통신을 실행한다. 무선 LAN I/F(105)는, 인쇄장치(100)가 외부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해서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인프라스트럭처 모드에서 동작가능하다. 이것은 인쇄장치(100)가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중계장치가 없이 외부장치와 직접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다이렉트 무선통신 모드에서 동작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이렉트 무선통신 모드의 구체적인 예로서, 인쇄장치(100)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 동작한다. 단, 본 실시형태의 다이렉트 무선통신 모드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이렉트 무선통신 모드로서 Wi-Fi Direct(등록상표)도 적용가능하다.
네트워크 I/F(109)는 LAN 케이블을 거쳐 네트워크(110)에 접속한다. 네트워크 I/F(109)는 네트워크(110) 상의 외부장치(예를 들면, PC)와 통신가능하다.
프린터(106)는, 무선 LAN I/F(105)나 네트워크 I/F(109)가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시트에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스캐너(107)는, 원고를 판독하여, 원고 화상을 생성한다. 스캐너(107)에 의해 생성된 원고 화상은, 프린터(106)에 의해 인쇄되어(즉, 카피 처리), HDD(104)에 축적된다.
조작부(108)는, 터치패널 기능을 갖는 액정 표시부와 키보드를 구비하고, 각종 조작 화면을 표시한다. 유저는 조작부(108)를 거쳐 인쇄장치(100)에 대하여 지시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다음에, 유저가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할 때의 조작 절차를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유저가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하는 경우, 유저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인쇄장치(100)에게 지시한다.
도 2a에 도시된 메뉴 화면(200)은, 조작부(108)가 표시하는 화면이며, 인쇄장치(100)가 기동했을 때에 표시되는 초기 화면이다. 인쇄장치(100)를 액세스하기 위해 유저 인증이 필요한 경우에는, 초기 화면은 보통 유저 인증이 성공적으로 행해진 후 표시된다. 메뉴 화면(200)에는, 유저가 이용 가능한 인쇄장치(100)의 기능이 표시되고, 유저는 원하는 기능을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다.
버튼 201은, 유저가 카피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버튼이다. 유저가 버튼 201을 터치하면, 조작부(108)는 카피 화면(미도시)을 표시한다.
버튼 202는, 유저가, 스캐너(107)가 생성한 원고 화상을 외부장치에 송신하는 SEND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버튼이다. 유저가 버튼 202를 터치하면, 조작부(108)는 SEND 화면(미도시)을 표시한다.
버튼 204는, 인쇄장치(100)의 디바이스 설정을 행하기 위한 버튼이다. 유저가 버튼 204를 터치하면, 조작부(108)는 각종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후술하는 도 3에 도시된 설정 화면(300)도 각종 설정 화면에 포함된다.
버튼 203은, 유저가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하기 위한 버튼이다. 유저가 버튼 203을 터치하면, 조작부(108)는 도 2b에 도시된 무선접속 화면(210)을 표시한다.
무선접속 화면(210)에는 개시 버튼(211)이 표시된다. 이 개시 버튼(211)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유저가 인쇄장치(100)에게 지시하기 위한 버튼이다. 유저가 개시 버튼(211)을 터치하면, 인쇄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하고, 조작부(108)는 도 2c에 도시된 무선접속 화면(220)을 표시한다.
인쇄장치(100)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인쇄장치(100)는 Service Set Identifier(SSID)를 생성하고, 그리고 소프트웨어 액세스 포인트로서 기능한다. 무선접속 화면(220)의 영역 221에는, 접속 키, 예를 들면, Wired Equivalent Privacy(WEP) 키와 인쇄장치(100)가 생성한 SSID가 표시된다. SSID는 2종류의 SSID, 즉 고정 SSID와 원타임 SSID를 포함한다. 영역 221에 표시되어 있는 내용을 확인한 유저는, 유저 자신의 휴대 단말(예를 들면, 휴대 단말(120))을 사용해서 유저의 위치 주위의 액세스 포인트를 탐색하고, 탐색 결과 일람으로부터 영역 221에 표시되어 있는 SSID를 선택한다. 영역 221에 표시되어 있는 접속 키를 유저가 휴대 단말(120)에 입력하면, 인쇄장치(100)와 유저의 휴대 단말 사이에서 무선통신이 확립한다.
무선접속 화면(220)에는 정지 버튼(222)이 표시되어 있다. 유저가 인쇄장치(100)를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으로부터 정지시키고 싶은 경우, 유저는 정지 버튼(222)을 터치한다. 인쇄장치(100)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동안, 인쇄장치(100)의 소비 전력은 증가한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할 필요가 종료한 경우, 유저는 정지 버튼(222)을 터치하여 소비 전력을 아낄 수 있다.
도 2a,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여, 유저가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할 때 행해지는 조작 절차를 설명하였다. 유저가 개시 버튼(211)을 터치하면, 인쇄장치(100)는 외부장치로부터 무선접속의 요구가 발행되는 것을 대기하는 대기 상태로 진입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한다. 인쇄장치(100)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한 후에, 반드시 무선접속의 요구가 외부장치로부터 즉시 발행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한 이후에 무선접속의 요구가 수신되지 않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쇄장치(100)에 있어서 소비 전력이 쓸데없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모드와 인쇄장치(100)의 용도에 따라서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이 자동으로 정지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오피스 환경에서와 같이, 많은 사람이 다이렉트 무선통신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이렉트 무선통신 모드에서의 동작이 보통 계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무선접속의 요구가 소정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았을 때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할 것인지 아닌지의 판정을 인쇄장치(100)의 디바이스 설정에 의해 전환한다.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할 것인지 아닌지를 전환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설정 화면(300)은, 유저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 관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화면이며, 조작부(108)가 표시한다. 설정 화면(300)에서, 유저는 SSID로서 고정 SSID와 원타임 SSID의 어느 것을 사용할지, 또한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할 수 있다.
항목 301에서는, SSID로서 사용하기 위해 고정 SSID 또는 원타임 SSID를 유저가 선택한다. 설정 화면(300)은, 유저가 고정 SSID를 선택한 경우를 반영하고 있다. 고정 SSID는 입력 에어리어 302에 유저가 입력한 SSID이다. SSID로서 고정 SSID를 사용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 사용하는 SSID는 매회 동일한 SSID, 즉 입력 에어리어 302에 유저가 입력한 SSID가 된다. 다수의 및/또는 불특정한 사람이 인프라 접속 환경에서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사용하는 상황에는, 고정 SSID가 유용하다.
원타임 SSID는 랜덤하게 생성된 SSID이다. SSID로서 원타임 SSID를 사용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할 때마다 랜덤한 SSID가 생성된다. 일시적으로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사용하는 상황에서는 원타임 SSID를 선택한다.
항목 303에서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할 것인지 아닌지를 유저가 선택한다. 설정 화면(300)은 유저가 "자동 정지"를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자동 정지"가 선택된 경우, 인쇄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한 이후에 소정 시간 동안 무선접속이 확립되지 않은 것을 조건으로 해서,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한다. "소정 시간"은, 입력 에어리어 304에 유저가 입력한 시간이다. "소정 시간=0"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이 실행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1분 이상"과 같이, "소정 시간"으로서 설정가능한 시간의 하한값이 보통 설정된다. 항목 303에서 "자동 정지하지 않는다"가 선택된 경우,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한 이후에 무선접속이 확립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인쇄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하지 않는다. 항목 303에 의해, 유저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할 것인지 아닌지를, 액세스 포인트 모드와 인쇄장치(100)의 사용 방식을 고려해서 설정할 수 있다.
항목 301 및 303에서 원하는 설정을 행한 유저가 등록 버튼(305)을 터치한다. 유저가 등록 버튼(305)을 터치하면, 인쇄장치(100)는, 설정 화면(300)에 의한 설정 결과를 디바이스 설정으로서 HDD(104)에 기억한다.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하는 처리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하는 처리에 대해서, 도 4와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와 도 5의 흐름도에 나타낸 각 스텝은, CPU(101)이 ROM(102) 등의 메모리에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을 로드하고, 로드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처리된다.
유저가 무선접속 화면(210)의 개시 버튼(211)을 터치하면, 도 4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가 실행된다. 우선, 스텝 S401에 있어서, CPU(101)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01)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무선 LAN I/F(105)에 지시한다. CPU(101)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할 때 타이머를 스타트한다.
스텝 S402에 있어서, CPU(101)은, SSID가 원타임 SSID로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스텝 S402의 처리는, HDD(104)에 기억되어 있는 디바이스 설정, 즉, 설정 화면(300)을 거쳐 설정의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실행된다. SSID가 원타임 SSID로 설정되어 있으면(스텝 S402에서 YES), 처리는 스텝 S403으로 진행한다. SSID가 고정 SSID로 설정되어 있으면(스텝 S402에서 NO), 처리는 스텝 S405로 진행한다.
다음에, 스텝 S403에 있어서, CPU(101)은 원타임 SSID를 랜덤하게 생성한다. 스텝 S404에 있어서, CPU(101)은 생성한 원타임 SSID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01)은, 생성한 SSID를 나타내는 무선접속 화면(예를 들면, 무선접속 화면(220))을 표시하도록 조작부(108)를 제어하고, 조작부(108)가 무선접속 화면을 표시한다.
스텝 S405에 있어서, CPU(101)은 고정 SSID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01)은, 고정 SSID를 나타내는 무선접속 화면(예를 들면, 무선접속 화면(220))을 표시하도록 조작부(108)를 제어하고, 조작부(108)가 무선접속 화면을 표시한다. 고정 SSID는, 설정 화면(300)의 입력 에어리어 302에 유저가 입력한 SSID이다.
다음에, 스텝 S406에 있어서, CPU(101)은, 인쇄장치(100)의 디바이스 설정이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하는 설정인지 아닌지, 즉 "자동 정지"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정한다. 스텝 S406의 처리는, HDD(104)에 기억되어 있는 디바이스 설정, 즉, 설정 화면(300)을 거쳐 설정의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실행된다. 설정 화면(300)에서 "자동 정지"가 설정되어 있으면(스텝 S406에서 YES), 처리는 스텝 S407로 진행한다. 한편, 설정 화면(300)에서 "자동 정지하지 않는다"가 설정되어 있으면(스텝 S406에서 NO), 처리는 도 5에 나타낸 스텝 S501로 진행한다.
스텝 S407에 있어서, CPU(101)은, 외부장치와 인쇄장치(100) 사이에서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하는 무선접속이 확립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외부장치와 인쇄장치(100) 사이에서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확립된 경우(스텝 S407에서 YES), 처리는 스텝 S411로 진행한다. 외부장치와 인쇄장치(100) 사이에서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확립되지 않은 경우(스텝 S407에서 NO), 처리는 스텝 S408로 진행한다.
스텝 S408에 있어서, CPU(101)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하는 지시를 발행하는 정지 버튼(222)이 눌렸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유저가 무선접속 화면(220)의 정지 버튼(222)을 터치한 경우, 정지 버튼(222)이 눌렸다고 CPU(101)이 판정하여(스텝 S408에서 YES), 처리는 스텝 S410으로 진행한다. 유저가 정지 버튼(222)을 터치하지 않은 경우, 정지 버튼(222)이 눌리지 않았다고 CPU(101)이 판정하여(스텝 S408에서 NO), 처리는 스텝 S409로 진행한다.
다음에, 스텝 S409에 있어서, CPU(101)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한 이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텝 S401에서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할 때, CPU(101)가 타이머를 스타트한다. 여기에서 설명한 "소정 시간"은, 설정 화면(300)의 입력 에어리어 304에 유저가 입력한 시간이다.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한 이후에,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사용한 무선접속이 확립되지 않은 채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스텝 S409에서 YES), 처리는 스텝 S410으로 진행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409에서 NO), 처리는 스텝 S407로 되돌아간다.
스텝 S410에 있어서, CPU(101)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CPU(101)이 무선 LAN I/F(105)에 지시한다.
스텝 S411에 있어서, CPU(101)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중단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중단한 경우(스텝 S411에서 YES), 처리는 스텝 S4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410에서, CPU(101)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한다.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중단되지 않은 경우(스텝 S411에서 NO), 처리는 스텝 S412로 진행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복수의 무선접속이 병렬로 확립될 수 있다. 복수의 무선접속이 병렬로 확립되는 경우, 모든 복수의 무선접속이 중단되었을 때에,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복수의 무선접속이 중단된 것으로 판정한다(스텝 S411에서 YES).
스텝 S412에 있어서, CPU(101)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하는 지시를 발행하는 정지 버튼(222)이 눌렸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유저가 무선접속 화면(220)의 정지 버튼(222)을 터치한 경우, 정지 버튼(222)이 눌렸다고 CPU(101)이 판정하여(스텝 S412에서 YES), 처리는 스텝 S4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410에서, CPU(101)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한다. 유저가 정지 버튼(222)을 터치하지 않은 경우, 정지 버튼(222)이 눌리지 않았다고 CPU(101)이 판정하여(스텝 S412에서 NO), 처리는 스텝 S411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설정 화면(300)에서 "자동 정지하지 않는다"가 설정된 경우(스텝 S406에서 NO), 즉 인쇄장치(100)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행해지는 처리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501에 있어서, CPU(101)은, 외부장치와 인쇄장치(100) 사이에서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확립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외부장치와 인쇄장치(100) 사이에서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확립된 경우(스텝 S501에서 YES), 처리는 스텝 S504로 진행한다. 외부장치와 인쇄장치(100) 사이에서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확립되지 않은 경우(스텝 S501에서 NO), 처리는 스텝 S502로 진행한다.
스텝 S502에 있어서, CPU(101)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하는 지시를 발행하는 정지 버튼(222)이 눌렸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유저가 무선접속 화면(220)의 정지 버튼(222)을 터치한 경우, 정지 버튼(222)이 눌렸다고 CPU(101)이 판정하여(스텝 S502에서 YES), 스텝 S503으로 처리를 진행한다. 유저가 정지 버튼(222)을 터치하지 않은 경우, 정지 버튼(222)이 눌리지 않았다고 CPU(101)이 판정하여(스텝 S502에서 NO), 처리는 스텝 S501로 되돌아간다.
스텝 S503에 있어서, CPU(101)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CPU(101)이 무선 LAN I/F(105)에 지시한다.
다음에, 스텝 S504에 있어서, CPU(101)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중단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중단된 경우(스텝 S504에서 YES), 처리는 스텝 S501로 되돌아간다.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중단되지 않은 경우(스텝 S504에서 NO), 처리는 스텝 S505로 진행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복수의 무선접속은 병렬로 확립될 수 있다. 복수의 무선접속이 병렬로 확립되는 경우, 모든 복수의 무선접속이 중단되었을 때에,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복수의 무선접속이 중단된 것으로 판정한다(스텝 S504에서 YES),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하지 않도록 인쇄장치(100)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중단되더라도,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은 자동으로는 정지하지 않는다.
스텝 S505에 있어서, CPU(101)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하는 지시를 발행하는 정지 버튼(222)이 눌렸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유저가 무선접속 화면(220)의 정지 버튼(222)을 터치한 경우, 정지 버튼(222)이 눌렸다고 CPU(101)이 판정하여(스텝 S505에서 YES), 처리는 스텝 S5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503에서, CPU(101)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한다. 한편, 유저가 정지 버튼(222)을 터치하지 않은 경우, 정지 버튼(222)이 눌리지 않았다고 CPU(101)이 판정하여(스텝 S505에서 NO), 처리는 스텝 S504로 되돌아간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한 이후에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수립되지 않은 경우에,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할 것인지 아닌지를 디바이스 설정에 근거하여 판정한다.
디바이스 설정으로서 "자동 정지"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인쇄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한 이후에 소정 시간 동안 무선접속이 확립되지 않은 것을 조건으로 해서,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한다. 이에 따라, 무선접속이 확립되지 않은 것에 무관하게 인쇄장치(100)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계속 행하면, 소비 전력이 쓸데없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 설정으로서 "자동 정지하지 않는다"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인쇄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한 이후에 소정 시간 동안 무선접속이 확립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하지 않는다.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한 잠시 후에 무선접속이 확립될 것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인쇄장치(100)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계속 행하면, 유저에 의해 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경감할 수 있다.
디바이스 설정이 "자동 정지"인지 또는 "자동 정지하지 않는다"인지에 무관하게, 유저로부터 정지 지시를 수신한 경우(정지 버튼(222)이 눌린 경우), 인쇄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한다.
이하, 실시형태 2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1에서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할 것인지 아닌지를 디바이스 설정에 근거해서 전환하는 구성을 설명하였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할 것인지 아닌지를 SSID의 종류에 근거해서 전환하는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은 실시형태 1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설정 화면(600)은, 유저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 관한 설정을 행하기 위한 화면이며, 조작부(108)에 의해 표시된다.
항목 601에서는, SSID로서 고정 SSID와 원타임 SSID의 어느 것을 사용할지를 유저가 선택한다. 설정 화면(600)은, 유저가 고정 SSID를 선택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고정 SSID는, 입력 에어리어(602)에 유저가 입력한 SSID이다. SSID로서 고정 SSID를 사용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 사용하는 SSID는 매회 동일한 SSID가 된다. SSID로서 원타임 SSID를 사용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할 때마다 랜덤한 SSID가 생성된다. 유저가 등록 버튼(603)을 터치하면, 인쇄장치(100)는 설정 화면(600)에 의한 설정 결과를 디바이스 설정으로서 HDD(104)에 기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할 것인지 아닌지를, SSID의 종류에 근거해서 전환한다. 구체적으로는, 원타임 SSID를 사용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한다. 원타임 SSID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 및 인쇄장치(100)를 일시적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상정된다.
고정 SSID를 사용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하지 않는다. 고정 SSID는, 오피스 환경에서와 같이, 다수의 및/또는 불특정한 사람이 인프라 접속으로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사용할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상정된다. 이와 같은 종류의 환경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하는데 더 적합하다.
다음에,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하는 처리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하는 처리에 대해서, 도 7 및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의 흐름도에 나타낸 각 스텝은, CPU(101)이 ROM(102) 등의 메모리에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을 RAM(103)에 로드하고, 로드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처리된다.
유저가 무선접속 화면(210)의 개시 버튼(211)을 터치하면, 도 7의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가 실행된다. 우선, 스텝 S701에 있어서, CPU(101)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CPU(101)이 무선 LAN I/F(105)에 지시한다. CPU(101)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할 때 타이머를 스타트한다.
스텝 S702에 있어서, CPU(101)은 SSID가 원타임 SSID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스텝 S702의 처리는, HDD(104)에 기억되어 있는 디바이스 설정, 즉, 설정 화면(600)을 거쳐 설정의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실행된다. SSID가 원타임 SSID로 설정되어 있으면(스텝 S702에서 YES), 처리는 스텝 S703으로 진행한다. SSID가 고정 SSID로 설정되어 있으면(스텝 S702에서 NO), 처리는 도 8에 도시된 스텝 S801로 진행한다.
다음에, 스텝 S703에 있어서, CPU(101)은 원타임 SSID를 랜덤하게 생성한다. 스텝 S704에 있어서, CPU(101)은 생성한 원타임 SSID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01)은, 생성한 SSID를 나타내는 무선접속 화면(예를 들면, 무선접속 화면(220))을 표시하도록 조작부(108)를 제어하고, 조작부(108)가 무선접속 화면을 표시한다.
스텝 S705에 있어서, CPU(101)은, 외부장치와 인쇄장치(100) 사이에서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확립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외부장치와 인쇄장치(100) 사이에서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확립된 경우(스텝 S705에서 YES), 처리는 스텝 S709로 진행한다. 외부장치와 인쇄장치(100) 사이에서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확립되지 않은 경우(스텝 S705에서 NO), 처리는 스텝 S7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706에 있어서, CPU(101)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하는 지시를 발행하는 정지 버튼(222)이 눌렸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유저가 무선접속 화면(220)의 정지 버튼(222)을 터치한 경우, 정지 버튼(222)이 눌렸다고 CPU(101)이 판정하여(스텝 S706에서 YES), 처리는 스텝 S708로 진행한다. 유저가 정지 버튼(222)을 터치하지 않은 경우, 정지 버튼(222)이 눌리지 않았다고 CPU(101)이 판정하여(스텝 S706에서 NO), 처리는 스텝 S707로 진행한다.
스텝 S707에 있어서, CPU(101)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한 이후에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텝 S701에서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할 때 CPU(101)이 타이머를 스타트한다. 여기에서 설명한 "소정 시간"은, 미리 인쇄장치(100)에 설정되어 있는 시간(예를 들면, 5분)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 시간은 유저가 변경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한 후에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확립되지 않은 채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스텝 S707에서 YES), 처리는 스텝 S708로 진행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 S707에서 NO), 처리는 스텝 S705로 되돌아간다.
스텝 S708에 있어서, CPU(101)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CPU(101)이 무선 LAN I/F(105)에 지시한다.
다음에, 스텝 S709에 있어서, CPU(101)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중단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중단된 경우(스텝 S709에서 YES), 처리는 스텝 S708로 진행한다. 스텝 S708에서,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이 정지한다.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중단되지 않은 경우(스텝 S709에서 NO), 처리는 스텝 S710으로 진행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복수의 무선접속이 병렬로 확립될 수 있다. 복수의 무선접속이 병렬로 확립되는 경우, 모든 복수의 무선접속이 중단되었을 때에,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복수의 무선접속이 중단된 것으로 판정된다(스텝 S709에 있어서 YES).
스텝 S710에 있어서, CPU(101)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하는 지시를 발행하는 정지 버튼(222)이 눌렸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유저가 무선접속 화면(220)의 정지 버튼(222)을 터치한 경우, 정지 버튼(222)이 눌렸다고 CPU(101)이 판정하여(스텝 S710에서 YES), 처리는 스텝 S708로 진행한다. 스텝 S708에서, CPU(101)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한다. 유저가 정지 버튼(222)을 터치하지 않은 경우, 정지 버튼(222)이 눌리지 않았다고 CPU(101)이 판정하여(스텝 S710에서 NO), 처리는 스텝 S709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사용할 SSID가 고정 SSID로 설정될 때 행해지는 처리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스텝 S801에 있어서, CPU(101)은 고정 SSID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01)은, 고정 SSID를 나타내는 무선접속 화면(예를 들면, 무선접속 화면(220))을 표시하도록 조작부(108)를 제어하고, 조작부(108)가 무선접속 화면을 표시한다. 고정 SSID는 설정 화면(600)의 입력 에어리어(602)에 유저가 입력한 SSID이다.
스텝 S802에 있어서, CPU(101)은, 외부장치와 인쇄장치(100) 사이에서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확립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외부장치와 인쇄장치(100) 사이에서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확립된 경우(스텝 S802에서 YES), 처리는 스텝 S805로 진행한다. 한편, 외부장치와 인쇄장치(100) 사이에서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확립되지 않은 경우(스텝 S802에서 NO), 처리는 스텝 S8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803에 있어서, CPU(101)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하는 지시를 발행하는 정지 버튼(222)이 눌렸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유저가 무선접속 화면(220)의 정지 버튼(222)을 터치한 경우, 정지 버튼(222)이 눌렸다고 CPU(101)이 판정하여(스텝 S803에서 YES), 처리는 스텝 S804로 진행한다. 유저가 정지 버튼(222)을 터치하지 않은 경우, 정지 버튼(222)이 눌리지 않았다고 CPU(101)이 판정하여(스텝 S803에서 NO), 처리는 스텝 S802로 되돌아간다.
스텝 S804에 있어서, CPU(101)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CPU(101)이 무선 LAN I/F(105)에 지시ks다.
스텝 S805에 있어서, CPU(101)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중단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중단된 경우(스텝 S805에서 YES), 처리는 스텝 S802로 되돌아간다.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중단되지 않은 경우(스텝 S806에서 NO), 처리는 스텝 S806으로 진행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복수의 무선접속이 병렬로 확립될 수 있다. 복수의 무선접속이 병렬로 확립되는 경우, 모든 복수의 무선접속이 중단되었을 때에,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복수의 무선접속이 중단된 것으로 판정된다(스텝 S805에서 YES). 또한, 사용할 SSID가 고정 SSID로 설정된 경우에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중단되더라도,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은 자동으로는 정지하지 않는다.
스텝 S806에 있어서, CPU(101)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하는 지시를 발행하는 정지 버튼(222)이 눌렸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유저가 무선접속 화면(220)의 정지 버튼(222)을 터치한 경우, 정지 버튼(222)이 눌렸다고 CPU(101)이 판정하여(스텝 S806에서 YES), 처리는 스텝 S804로 진행한다. 스텝 S804에서, CPU(101)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한다. 유저가 정지 버튼(222)을 터치하지 않은 경우, 정지 버튼(222)이 눌리지 않았다고 CPU(101)이 판정하여(스텝 S806에서 NO), 처리는 스텝 S805로 되돌아간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한 이후에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이용한 무선접속이 확립되지 않은 경우에,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할 것인지 아닌지를 SSID의 종류에 근거하여 결정한다.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 사용할 SSID가 원타임 SSID인 경우, 인쇄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한 이후에 소정 시간 동안 무선접속이 확립하지 않은 것을 조건으로 해서,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한다. 원타임 SSID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 및 인쇄장치(100)를 일시적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상정된다.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 사용할 SSID가 고정 SSID인 경우, 인쇄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개시한 이후에 소정 시간 동안 무선접속이 확립되지 않았더라도,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하지 않는다. 고정 SSID는, 오피스 환경에서와 같이, 다수의 및/또는 불특정한 사람이 인프라 접속으로 액세스 포인트 모드를 사용할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상정된다. 이와 같은 종류의 환경은,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자동으로 정지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하는데 적합하다.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 사용할 SSID가 원타임 SSID인지 또는 고정 SSID인지에 무관하게, 유저로부터 정지 지시를 수신한 경우(정지 버튼(222)이 눌린 경우), 인쇄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 모드에서의 동작을 정지한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3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IEEE802.11 규격에 따르는 액세스 포인트로서 인쇄장치가 동작함으로써, 중계장치의 중계를 통하지 않고, 통신 단말과 다이렉트 무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유저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다이렉트 무선 접속을 위하여 사용된 SSID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된 SSID의 상기 종류의 상기 설정에 근거하여 원타임 SSID 또는 고정 SSID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인쇄장치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를 개시하는 단계와;
    상기 원타임 SSID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통신 단말과의 상기 다이렉트 무선 접속이 소정 시간 동안 확립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동작을 정지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SSID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통신 단말과의 상기 다이렉트 무선 접속이 소정 시간 동안 확립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동작을 계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동작은, 상기 다이렉트 무선 접속을 개시하기 위한 지시가 유저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개시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원타임 SSID가 사용되는 경우 또는 상기 고정 SSID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동작은, 상기 다이렉트 무선 접속을 정지하기 위한 지시가 상기 유저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정지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원타임 SSID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동작은, 확립된 다이렉트 무선 접속이 끊어진 것을 조건으로 해서, 정지되고,
    상기 고정 SSID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동작은, 상기 확립된 다이렉트 무선 접속이 끊어졌다고 하더라도, 계속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원타임 SSID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동작은, 복수의 확립된 다이렉트 무선 접속 모두가 끊어진 것을 조건으로 해서, 정지되고,
    상기 고정 SSID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동작은, 상기 복수의 확립된 다이렉트 무선 접속 모두가 끊어졌다고 하더라도, 계속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원타임 SSID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원타임 SSID는 랜덤하게 생성된 스트링(random generated strings)을 포함하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
  27. IEEE802.11 규격에 따르는 액세스 포인트로서 인쇄장치가 동작함으로써, 중계장치의 중계를 통하지 않고, 통신 단말과 다이렉트 무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는 인쇄장치로서,
    유저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다이렉트 무선 접속을 위하여 사용된 SSID의 종류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부; 및
    상기 사용된 SSID의 상기 종류의 상기 설정에 근거하여 원타임 SSID 또는 고정 SSID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인쇄장치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를 개시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타임 SSID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통신 단말과의 상기 다이렉트 무선 접속이 소정 시간 동안 확립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고정 SSID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통신 단말과의 상기 다이렉트 무선 접속이 소정 시간 동안 확립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동작을 계속하도록 더 구성되는, 인쇄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동작은, 상기 다이렉트 무선 접속을 개시하기 위한 지시가 유저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개시되는, 인쇄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원타임 SSID가 사용되는 경우 또는 상기 고정 SSID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동작은, 상기 다이렉트 무선 접속을 정지하기 위한 지시가 상기 유저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정지되는, 인쇄장치.
  30.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원타임 SSID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동작은, 확립된 다이렉트 무선 접속이 끊어진 것을 조건으로 해서, 정지되고,
    상기 고정 SSID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동작은, 상기 확립된 다이렉트 무선 접속이 끊어졌다고 하더라도, 계속되는, 인쇄장치.
  31.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원타임 SSID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동작은, 복수의 확립된 다이렉트 무선 접속 모두가 끊어진 것을 조건으로 해서, 정지되고,
    상기 고정 SSID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동작은, 상기 복수의 확립된 다이렉트 무선 접속 모두가 끊어졌다고 하더라도, 계속되는, 인쇄장치.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원타임 SSID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생성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생성된 원타임 SSID는 랜덤하게 생성된 스트링(random generated strings)을 포함하는, 인쇄장치.
  36.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IEEE802.11 규격에 따르는 액세스 포인트로서 인쇄장치가 동작함으로써, 중계장치의 중계를 통하지 않고, 통신 단말과 다이렉트 무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는 인쇄장치의 제어방법을 실행하는 지시를 기억하는 비일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유저 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다이렉트 무선 접속을 위하여 사용된 SSID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된 SSID의 상기 종류의 상기 설정에 근거하여 원타임 SSID 또는 고정 SSID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인쇄장치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를 개시하는 단계와;
    상기 원타임 SSID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통신 단말과의 상기 다이렉트 무선 접속이 소정 시간 동안 확립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동작을 정지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SSID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통신 단말과의 상기 다이렉트 무선 접속이 소정 시간 동안 확립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동작을 계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60116068A 2015-09-17 2016-09-09 다이렉트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장치 및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KR102093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84526 2015-09-17
JP2015184526A JP6655924B2 (ja) 2015-09-17 2015-09-17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774A KR20170033774A (ko) 2017-03-27
KR102093639B1 true KR102093639B1 (ko) 2020-03-26

Family

ID=58224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068A KR102093639B1 (ko) 2015-09-17 2016-09-09 다이렉트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장치 및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089045B2 (ko)
JP (1) JP6655924B2 (ko)
KR (1) KR102093639B1 (ko)
CN (1) CN106547496B (ko)
DE (1) DE102016117455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55924B2 (ja) * 2015-09-17 2020-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DE102017107088A1 (de) * 2017-04-03 2018-10-04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Haushaltsgerätes mit einem drahtlosen Heimnetzwerk
JP6541715B2 (ja) * 2017-05-12 2019-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295504B (zh) * 2017-06-23 2020-03-10 青岛海信宽带多媒体技术有限公司 一种Wi-Fi保护设置的控制方法和网关设备
JP6853742B2 (ja) * 2017-06-27 2021-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27051B2 (ja) * 2017-06-28 2022-03-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プログラム
JP7001378B2 (ja) * 2017-07-12 2022-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97785B2 (ja) * 2018-11-09 2023-06-26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通信装置、電子機器および無線接続方法
JP2021052291A (ja) * 2019-09-24 2021-04-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の提供方法
JP2023077923A (ja) * 2021-11-25 2023-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69507A1 (en) * 2013-03-14 2014-09-18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a storage medium
US20140268222A1 (en) * 2013-03-15 2014-09-18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40325085A1 (en) 2013-04-26 2014-10-30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15070557A (ja) * 2013-09-30 2015-04-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機器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2087A (ja) * 2004-07-29 2006-02-09 Toshiba Corp クライアント端末、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及び無線接続システム
CN101904216B (zh) * 2007-12-18 2016-05-11 日本电信电话株式会社 无线基站装置的搜索方法、搜索程序以及无线终端装置
JP5494654B2 (ja) * 2009-04-17 2014-05-21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および移動通信端末
EP2717627B1 (en) * 2011-05-25 2017-09-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imultaneous handover in a wireless access system that supports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method
JP5754255B2 (ja) * 2011-06-14 2015-07-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KR20140054175A (ko) * 2011-08-26 2014-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WFD(Wireless Fidelity Direct) P2P(Peer to Peer) 통신을 위한 이웃 발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012160B2 (ja) * 2011-11-10 2016-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950691B2 (ja) * 2012-02-09 2016-07-13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通信接続方法
WO2013136876A1 (ja) * 2012-03-16 2013-09-19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5836873B2 (ja) * 2012-04-13 2015-12-24 株式会社東芝 メモリデバイス及びその無線通信制御方法
MX342837B (es) * 2012-05-08 2016-10-14 Schlage Lock Co Llc Sistemas y metodos para controlar dispositivos de acceso electronicamente operables utilizando tecnologia wi-fi y radiofrecuencia.
TWI516158B (zh) * 2012-07-19 2016-01-01 葉宏堯 可攜式電子接入裝置以及無線數據網路系統
JP5954024B2 (ja) * 2012-07-27 2016-07-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KR20140042465A (ko) * 2012-09-28 2014-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그것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연결 방법
JP5994627B2 (ja) * 2012-12-26 2016-09-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6141006B2 (ja) * 2012-12-27 2017-06-0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871517B (zh) * 2012-12-27 2018-01-09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能够与其他设备进行通信的电子设备、通信方法
JP6080561B2 (ja) * 2013-01-18 2017-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生成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62564B2 (ja) * 2013-03-28 2016-08-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装置
JP6123416B2 (ja) * 2013-03-28 2017-05-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JP6152707B2 (ja) * 2013-05-31 2017-06-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装置
JP6368989B2 (ja) * 2013-06-11 2018-08-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US9264421B2 (en) * 2013-08-22 2016-02-1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ccessing a primary device using a wearable device and a wireless link
JP6194798B2 (ja) * 2014-01-09 2017-09-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機器とプリンタ
US10057813B1 (en) * 2014-05-09 2018-08-21 Plume Design, Inc. Onboarding and configuring Wi-Fi enabled devices
US9197671B1 (en) * 2014-05-12 2015-11-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nection configuration
US20150350911A1 (en) * 2014-05-30 2015-12-03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Temporarily Joining a WiFi Network
JP6166746B2 (ja) * 2015-04-10 2017-07-1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051003B2 (en) * 2015-07-30 2018-08-14 Apple Inc. Privacy enhancements for wireless devices
JP2017034560A (ja) * 2015-08-04 2017-02-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89449B2 (ja) * 2015-08-07 2019-10-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51733B2 (ja) * 2015-08-19 2020-02-19 ヤマハ株式会社 オーディオシステム、オーディオ機器およびオーディオ機器管理方法
JP6655924B2 (ja) * 2015-09-17 2020-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11572B2 (ja) * 2015-11-28 2019-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68321B2 (ja) * 2016-03-24 2020-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11659B2 (ja) * 2016-03-24 2020-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445035B2 (en) * 2016-04-26 2019-10-15 Canon Kabushiki Kaisha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69507A1 (en) * 2013-03-14 2014-09-18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a storage medium
US20140268222A1 (en) * 2013-03-15 2014-09-18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40325085A1 (en) 2013-04-26 2014-10-30 Canon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15070557A (ja) * 2013-09-30 2015-04-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55924B2 (ja) 2020-03-04
US10089045B2 (en) 2018-10-02
US20180364959A1 (en) 2018-12-20
KR20170033774A (ko) 2017-03-27
US20170083266A1 (en) 2017-03-23
DE102016117455A1 (de) 2017-03-23
CN106547496B (zh) 2019-08-23
DE102016117455B4 (de) 2020-12-31
JP2017060065A (ja) 2017-03-23
CN106547496A (zh) 2017-03-29
US10642549B2 (en) 2020-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3639B1 (ko) 다이렉트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장치 및 통신장치의 제어방법
EP2919446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978786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option for disabling near-field communication and direct wireless communication
EP3381238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7491273B (zh) 以服务模式可操作的打印装置及其控制方法
US1195009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166295A1 (en) Printing apparatus having wireless direct communication 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printing apparatus
KR102100248B1 (ko) 인쇄 장치 및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165480B1 (ko)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US1066683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s of a first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second communicatio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