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995B1 - 의료용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의료용 디바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2995B1 KR102092995B1 KR1020160168978A KR20160168978A KR102092995B1 KR 102092995 B1 KR102092995 B1 KR 102092995B1 KR 1020160168978 A KR1020160168978 A KR 1020160168978A KR 20160168978 A KR20160168978 A KR 20160168978A KR 102092995 B1 KR102092995 B1 KR 1020929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sh member
- outer circumferential
- circumferential coating
- coating portion
- medical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27—Making of balloon catheters
- A61M25/1029—Production methods of the balloon members, e.g. blow-moulding, extruding, deposition or by wrapping a plurality of layers of balloon material around a mandri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7—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 A61B17/320725—Atherectomy devices working by cutting or abrading; Simila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non-vascular obstructions with radially expandable cutting or abrading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4—Balloon catheters used for angioplast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77—Coupl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7—Material properties shape memory effec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8—Catheters; Hollow probes having visible markings on its surface, i.e. visible to the naked eye, for any purpose, e.g. insertion depth markers, rotational markers or identification of typ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5/1027—Making of balloon catheters
- A61M25/1029—Production methods of the balloon members, e.g. blow-moulding, extruding, deposition or by wrapping a plurality of layers of balloon material around a mandril
- A61M2025/1031—Surface processing of balloon members, e.g. coating or deposition; Mounting additional parts onto the balloon member's surfa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81—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sheaths or the like for covering the balloon but not forming a permanent part of the balloon, e.g. retractable, dissolvable or tearable sheath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9—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balloons for removing solid matters, e.g. by grasping or scraping plaque, thrombus or other matters that obstruct the flow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42—Alimentary trac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2—Blood circulatory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메쉬 부재를 구성하는 소선의 움직임이 저해되기 어려운 구성으로 함으로써, 메쉬 부재를 확장 수축시켰을 때에, 메쉬 부재의 단부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저감하고, 그 결과, 메쉬 부재를 구성하는 소선이 파단하기 어려운 의료용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의료용 디바이스(1)에서는, 외주 피복부(32)와 내주 피복부(36)가, 제1 소선(24)과 제2 소선(26)에 의해 둘러싸여진 간극(22)에서, 고착부(50)에서 서로 고착되어 있지만, 메쉬 부재(20)를 구성하는 제1 소선(24) 및 제2 소선(26) 중 어느 것에도 고착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메쉬 부재(20)가, 지름 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할 때에, 제1 소선(24) 및 제2 소선(26)의 움직임이 고리 모양 부재(30)에 의해 저해되기 어렵고, 메쉬 부재(20)의 단부(21)에서의 응력 집중이 저감되며, 그 결과, 메쉬 부재(20)를 구성하는 제1 소선(24) 또는 제2 소선(26)의 파단을 저감할 수 있다.
[해결 수단] 의료용 디바이스(1)에서는, 외주 피복부(32)와 내주 피복부(36)가, 제1 소선(24)과 제2 소선(26)에 의해 둘러싸여진 간극(22)에서, 고착부(50)에서 서로 고착되어 있지만, 메쉬 부재(20)를 구성하는 제1 소선(24) 및 제2 소선(26) 중 어느 것에도 고착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메쉬 부재(20)가, 지름 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할 때에, 제1 소선(24) 및 제2 소선(26)의 움직임이 고리 모양 부재(30)에 의해 저해되기 어렵고, 메쉬 부재(20)의 단부(21)에서의 응력 집중이 저감되며, 그 결과, 메쉬 부재(20)를 구성하는 제1 소선(24) 또는 제2 소선(26)의 파단을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름 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확장 수축) 가능한 메쉬 부재를 구비한 의료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혈관이나 소화기관 내에 형성된 협착부(狹窄部)를 벌룬 카테터(ballon catheter) 등의 의료용 디바이스에 의해 확장하는 치료 방법(PTCA:경피(經皮) 경관적(經管的) 관동맥 형성술(形成術))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의료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지름 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 가능한 확장 수축 부재(벌룬이나 메쉬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확장 수축 부재(벌룬이나 메쉬 부재)를 지름 방향으로 확장시킴으로써, 협착부를 확장한다.
그러나, 협착부의 석회화가 진행된 경우, 벌룬의 확장 수축 부재에서는 협착부를 확장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래서, 석회화한 협착부에 대해서는, 메쉬 부재의 확장 수축 부재를 구비한 의료용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 문헌 1을 참조).
특허 문헌 1의 의료용 디바이스(혈관 형성 카테터)에서는, 스코어링 엘리먼트(scoring element)로 이루어지는 메쉬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이 메쉬 부재의 단부는, 내주를 피복하는 내주 피복부(링 모양 부재)와 외주를 피복하는 외주 피복부(커버 튜브)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의료용 디바이스에서는, 메쉬 부재의 단부가, 내주 피복부(링 모양 부재)와 외주 피복부(커버 튜브)에 의해 완전히 고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메쉬 부재를 지름 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시킬 때, 내주 피복부(링 모양 부재) 및 외주 피복부(커버 튜브)가, 메쉬 부재를 구성하는 소선의 움직임(구체적으로는, 축선에 대해서, 메쉬 부재를 구성하는 소선의 경사 각도가 변화하는 것)을 저해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에 의해, 메쉬 부재의 단부에 응력이 집중해 버려, 메쉬 부재를 구성하는 소선(素線)이 파단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석회화한 협착부가, 혈관이나 소화기관의 만곡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메쉬 부재를 확장시켰을 때에, 메쉬 부재가 혈관이나 소화기관의 만곡 형상에 추종하지 못하여, 협착부를 확장할 수 없다는 문제나, 메쉬 부재를 구성하는 소선이 파단되어 버리는 문제가 현저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메쉬 부재를 구성하는 소선의 움직임이 저해되기 어려운 구성으로 함으로써, 메쉬 부재를 지름 방향으로 확장 수축시켰을 때에, 메쉬 부재의 단부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저감하고, 그 결과, 메쉬 부재를 구성하는 소선이 파단되기 어려운 의료용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는, 이하에 열거되는 수단에 의해 해결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형태 1은, 제1 소선(素線)과 제2 소선이 서로 짜여지고, 지름 방향으로 확장 수축 가능한 메쉬(mesh) 부재와, 상기 메쉬 부재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의 외주(外周)를 피복하는 외주 피복부와, 상기 메쉬 부재의 상기 적어도 일방의 단부의 내주(內周)를 피복하는 내주 피복부를 가지는 고리 모양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외주 피복부와 상기 내주 피복부는, 상기 제1 소선과 상기 제2 소선에 의해 둘러싸여진 간극에 형성되는 고착부에서 서로 고착되어 있는 한편, 상기 외주 피복부와 상기 내주 피복부는, 상기 제1 소선과 상기 제2 소선 중 어느 것에도 고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디바이스이다.
본 발명의 형태 2는, 상기 외주 피복부는, 상기 고착부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외주 피복부와 상기 내주 피복부가 고착하고 있지 않은 위치에 형성된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요철 형상의 외주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형태 1에 기재된 의료용 디바이스이다.
본 발명의 형태 3은, 상기 외주 피복부의 상기 외주면에 고착되고, 상기 고리 모양 부재보다도 후단 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샤프트는, 적어도 상기 오목부에서 상기 고리 모양 부재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형태 2에 기재된 의료용 디바이스이다.
본 발명의 형태 4는, 상기 메쉬 부재의 상기 일방의 단부와는 다른 타방의 단부의 외주를 피복하는 제2 외주 피복부와, 상기 메쉬 부재의 상기 타방의 단부의 내주를 피복하는 제2 내주 피복부를 가지는 제2 고리 모양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외주 피복부와 상기 제2 내주 피복부는, 상기 제1 소선과 상기 제2 소선에 의해 둘러싸여진 간극에 형성되는 제2 고착부에서 서로 고착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제2 외주 피복부와 상기 제2 내주 피복부는, 상기 제1 소선과 상기 제2 소선 중 어느 것에도 고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 1 내지 형태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의료용 디바이스이다.
본 발명의 형태 1의 의료용 디바이스에서는, 고리 모양 부재의 외주 피복부 및 내주 피복부가, 메쉬 부재를 구성하는 제1 소선과 제2 소선에 의해 둘러싸여진 간극에 형성되는 고착부에서 서로 고착되어 있는 한편, 제1 소선과 제2 소선 중 어느 것에도 고착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했다. 그 때문에, 메쉬 부재가 지름 방향으로 확장 수축할 때에, 제1 소선 및 제2 소선의 움직임이 고리 모양 부재에 의해 저해되기 어렵고, 메쉬 부재의 단부에서의 응력 집중이 저감되며, 그 결과, 메쉬 부재를 구성하는 제1 소선 또는 제2 소선의 파단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제1 소선 및 제2 소선의 움직임에 자유도가 있기 때문에, 협착부가 혈관이나 소화기관의 만곡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메쉬 부재는, 혈관이나 소화기관의 만곡 형상에 추종할 수 있어, 협착부를 보다 확실히 확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2의 의료용 디바이스에서는, 고리 모양 부재의 외주 피복부가, 고착부에 형성된 오목부와, 외주 피복부와 내주 피복부가 고착하고 있지 않은 위치에 형성된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요철 형상의 외주면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의료용 디바이스를 혈관이나 소화기관 내에 삽입할 때, 고리 모양 부재의 외주 피복부와 혈관벽 또는 소화 기관벽과의 마찰 저항(접촉 면적)을 저감시킬 수 있고, 의료용 디바이스를 협착부까지 딜리버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특히, 협착부가 만곡이 강한 말초부(末梢部)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고리 모양 부재의 외주 피복부에 의한 혈관벽이나 소화 기관벽과의 접촉이 저감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형태 3의 의료용 디바이스에서는, 외주 피복부의 외주면에 고착되고, 고리 모양 부재보다도 후단(後端) 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샤프트는, 적어도 고착부에 형성된 오목부에서 고리 모양 부재에 고착되어 있다. 앵커(anchor) 효과에 의해, 샤프트와 고리 모양 부재와의 고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샤프트가 고리 모양 부재로부터 빠져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4의 의료용 디바이스에서는, 메쉬 부재 중 일방의 단부와는 다른 타방의 단부에 제2 고리 모양 부재를 구비하며, 이 제2 고리 모양 부재의 제2 외주 피복부 및 제2 내주 피복부가, 제1 소선과 제2 소선에 의해 둘러싸여진 간극에 형성되는 제2 고착부에서 서로 고착되어 있는 한편, 제1 소선과 제2 소선 중 어느 것에도 고착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메쉬 부재가 확장 수축할 때에, 제1 소선 및 제2 소선의 움직임이 저해되기 어려워, 메쉬 부재의 양단부에서의 응력 집중을 저감되고, 그 결과, 메쉬 부재를 구성하는 제1 소선 또는 제2 소선의 파단을 더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디바이스의 전체도로서, 메쉬 부재가 지름 방향으로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디바이스의 전체도로서, 메쉬 부재가 지름 방향으로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경사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D-D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의료용 디바이스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의 변형예이다.
도 7은, 제3 실시 형태의 의료용 디바이스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의 변형예이다.
도 8은, 제4 실시 형태의 의료용 디바이스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의 변형예이다.
도 9는, 도 8의 E-E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5 실시 형태의 의료용 디바이스의 전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F-F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디바이스의 전체도로서, 메쉬 부재가 지름 방향으로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경사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D-D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의료용 디바이스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의 변형예이다.
도 7은, 제3 실시 형태의 의료용 디바이스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의 변형예이다.
도 8은, 제4 실시 형태의 의료용 디바이스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의 변형예이다.
도 9는, 도 8의 E-E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5 실시 형태의 의료용 디바이스의 전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F-F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도 5를 참조하면서, 제1 실시 형태의 의료용 디바이스(1)를 설명한다. 도 1~도 4에서는, 도시한 우측이 체내에 삽입되는 선단측(원위측(遠位側)), 좌측이 의사 등의 시술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후단측(근위측(近位側), 기단측(基端側))으로 되어 있다. 또, 도 1은, 메쉬 부재(20)가 지름 방향으로 수축된 상태를, 도 2는, 메쉬 부재(20)가 지름 방향으로 확장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의료용 디바이스(1)는, 예를 들면, 협착부를 확장하여 치료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치료용 디바이스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료용 디바이스(1)는, 주로, 선단 팁(10)과, 지름 방향으로 확장 수축 가능한 메쉬 부재(20)와, 고리 모양 부재(30)와, 샤프트(40)로 이루어진다.
메쉬 부재(20)는, 적어도 제1 소선(素線)(24)과 제2 소선(26)이 서로 짜여져, 메쉬 모양(그물코 모양)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소선(24) 및 제2 소선(26)은, 항장력(抗張力)이 높은 Co-Cr합금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소선(24) 및 제2 소선(26)은, 스테인리스, W, Pt, Pt-Ni합금, Ni-Ti합금, Cu-Al-Ni합금 등의 금속 재료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폴리 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 실리콘 수지(樹脂) 등의 수지 재료로 형성해도 좋다. 또, 제1 소선(24)의 재료는, 제2 소선(26)의 재료와 다른 재료를 이용해도 괜찮다.
또, 적어도 제1 소선(24) 및 제2 소선(26) 중 어느 일방의 소선에, 방사선 불투과성을 가지는 재료(예를 들면, 텅스텐)를 이용한 경우, 조영시에, 시술자가, 메쉬 부재(2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메쉬 부재(20)를 협착부에 배치시키는 것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메쉬 부재(20)의 선단(23)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선단 팁(10)이 고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 팁(10)은,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되어 있다.
메쉬 부재(20)의 후단(21)에는, 고리 모양 부재(30)가 장착되어 있다. 도 4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고리 모양 부재(30)는, 메쉬 부재(20)의 후단(21)의 외주를 피복하는 외주 피복부(32)와, 메쉬 부재(20)의 후단(21)의 내주를 피복하는 내주 피복부(36)를 가진다. 그 때문에, 메쉬 부재(20)의 후단(21)의 외주 및 내주는, 고리 모양 부재(30)의 외주 피복부(32) 및 내주 피복부(36)에 의해, 덮여져 있다.
또,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리 모양 부재(30)의 후단(31)에는, 샤프트(40)의 선단(43)이, 고착되어 있다. 이 샤프트(40)는, 원기둥 모양의 길고 가는 금속제 선재(線材)(스테인리스)로 구성되어 있고, 고리 모양 부재(30)의 후단(31)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시술자는, 혈관이나 소화기관 내에 삽입한 의료용 디바이스(1)를 샤프트(40)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조작하여, 협착부까지 딜리버리한다. 이 때, 메쉬 부재(20)는, 지름 방향으로 수축된 상태로 되어 있다(도 1을 참조). 그 후, 벌룬 카테터를 의료용 디바이스(1)의 메쉬 부재(20)의 내부에 삽입하고, 벌룬 카테터의 벌룬을 지름 방향으로 확장시킴으로써, 메쉬 부재(20)를 지름 방향으로 확장시킨다(도 2를 참조). 이것에 의해, 협착부에 대해서 메쉬 부재(20)를 꽉 눌러, 협착부를 확장시킬 수 있다.
또, 도 2에서는,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메쉬 부재(20)의 내부에 삽입하는 벌룬 카테터는, 생략하고 있다. 의료용 디바이스(1)에 이용하는 벌룬 카테터는,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의료용 디바이스(1)에서는, 외주 피복부(32)와 내주 피복부(36)가, 제1 소선(24)과 제2 소선(26)에 의해 둘러싸여진 간극(22)에서, 주방향(周方向)으로 형성되는 고착부(50)에서 서로 고착되어 있지만, 메쉬 부재(20)를 구성하는 제1 소선(24) 및 제2 소선(26) 중 어느 것에도 고착되어 있지 않다(도 4 및 도 5를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리 모양 부재(30)의 외주 피복부(32) 및 내주 피복부(36)는, 모두 스테인리스로 형성되어 있고, 간극(22)에서, 접착제에 의해 서로 고착되어 있다. 단, 고착부(50)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메쉬 부재(20)가, 지름 방향으로 확장될(환언하면, 도 1로부터 도 2로 변화될) 때에 또는 수축될(환언하면, 도 2로부터 도 1로 변화될) 때에, 제1 소선(24) 및 제2 소선(26)의 움직임이 고리 모양 부재(30)에 의해 저해되기 어려워, 메쉬 부재(20)의 단부(21)에서의 응력 집중이 저감되고, 그 결과, 메쉬 부재(20)를 구성하는 제1 소선(24) 또는 제2 소선(26)의 파단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쉬 부재(20)가 확장할 때에, 제1 소선(24)은, B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1 소선(26)은, C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소선(24) 및 제2 소선(26)이, 고리 모양 부재(30)에 고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1 소선(24) 및 제2 소선(26)의 움직임에 자유도가 있다. 이것에 의해, 협착부가 혈관이나 소화기관의 만곡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메쉬 부재(20)는, 혈관이나 소화기관의 만곡 형상에 추종할 수 있어, 협착부를 보다 확실히 확장시킬 수 있다.
또, 제1 소선(24) 및 제2 소선(26)의 자유도는, 간극(22)에 형성되는 고착부(50)의 크기, 형상, 및, 개수를 조정함으로써, 적절히 설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서, 제2 실시 형태의 의료용 디바이스(2)를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변형예이다. 의료용 디바이스(1)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의료용 디바이스(2)에서는, 고리 모양 부재(30a)의 외주 피복부(32a)가, 요철 형상의 외주면(35)을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주 피복부(32a)는, 간극(22)에 형성되는 외주 피복부(32a)와 내주 피복부(36)와의 고착부(50a)에 형성된 오목부(34)와, 외주 피복부(32a)와 내주 피복부(36)가 고착하고 있지 않은 위치에 형성된 볼록부(33)로 이루어지는 요철 형상의 외주면(35)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의료용 디바이스(2)를 혈관이나 소화기관 내에 삽입할 때, 고리 모양 부재(30a)의 외주 피복부(32a)와 혈관벽 또는 소화 기관벽과의 마찰 저항(접촉 면적)을 저감시킬 수 있어, 의료용 디바이스(2)를 협착부까지 딜리버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특히, 협착부가 만곡이 강한 말초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고리 모양 부재(30a)의 외주 피복부(32a)에 의한 혈관벽이나 소화 기관벽과의 걸림이 저감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고착부(50a)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미리 요철 형상의 외주면(35)을 가진 외주 피복부(32a)를 준비해 두고, 이 외주 피복부(32a)와 내주 피복부(36)와 접착제에 의해 고착부(50a)를 형성해도 좋다. 혹은, 의료용 디바이스(1)에서 이용한 고리 모양 부재(30)에, 외주로부터 레이저광을 간극(22)에 조사(照射)함으로써, 외주 피복부(32a)와 내주 피복부(36)와의 고착부(50a)를 형성함과 동시에, 외주 피복부(32a)의 요철 형상의 외주면(35)을 형성해도 좋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면서, 제3 실시 형태의 의료용 디바이스(3)를 설명한다. 도 7은, 도 6의 변형예이다. 의료용 디바이스(2)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의료용 디바이스(3)에서는, 고리 모양 부재(30b)의 외주 피복부(32b)는, 의료 디바이스(2)의 외주 피복부(32a)와 마찬가지로, 오목부(34)와 볼록부(33)로 이루어지는 요철 형상의 외주면(35b)을 가지고 있지만, 간극(62)이 마련되어 있다. 또, 고리 모양 부재(30b)의 내주 피복부(36a)에도, 간극(66)이 마련되어 있다. 간극(62)에서는, 외주 피복부(32b)와 내주 피복부(36a)가 고착부(50c)에 의해 고착되어 있고, 간극(66)에서는, 외주 피복부(32b)와 내주 피복부(36a)가 고착부(50d)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의료용 디바이스(3)의 고리 모양 부재(30b)에서는, 메쉬 부재(20)의 후단(21)의 내주에,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판 모양 부재를 둥글게 하여 형성한 내주 피복부(36a)와, 메쉬 부재(20)의 후단(21)의 외주에,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판 모양 부재를 둥글게 하여 형성한 외주 피복부(32b)를 서로 고착부(50b, 50c, 50d)에서 고착시키고 있다. 도 7에서는, 내주 피복부(36a)가 되는 판 모양 부재의 단부와 단부를 이간시켜, 내주 피복부(36a)에 간극(66)을 형성하고 있고, 외주 피복부(32b)가 되는 판 모양 부재의 단부와 단부를 이간시켜, 외주 피복부(32b)에 간극(62)을 형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고리 모양 부재(30b)에서는, 고리 모양 부재(30, 30a)와 마찬가지로, 고리 모양의 내주 피복부(36) 및 고리 모양의 외주 피복부(32, 32a)를 이용하지 않아도, 내주 피복부(36a)와 외주 피복부(32b)를 고착부(50c)에서 고착시킴과 동시에, 외주 피복부(32b)를 고리 모양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내주 피복부(36a)와 외주 피복부(32b)를 고착부(50d)에서 고착시킴과 동시에, 내주 피복부(36a)를 고리 모양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서, 제4 실시 형태의 의료용 디바이스(4)를 설명한다. 도 8은, 도 3의 변형예이다. 도 8에서는, 도시한 우측이 체내에 삽입되는 선단측(원위측), 좌측이 의사 등의 시술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후단측(근위측, 기단측)으로 되어 있다.
의료용 디바이스(2)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의료용 디바이스(4)에서는, 샤프트(40a)의 선단(43a)이, 고리 모양 부재(30a)의 선단측까지 연장되어 있고, 고리 모양 부재(30a)의 외주 피복부(32a)의 외주면(35)에 고착되어 있다. 이 샤프트(40a)는, 제2 실시 형태의 의료용 디바이스(2)에서 설명한, 고리 모양 부재(30a)의 외주 피복부(32a)와 내주 피복부(36)와의 고착부(50a)를 덮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샤프트(40a)의 적어도 일부는, 외주 피복부(32a)의 오목부(34)에서 고리 모양 부재(30a)에 고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샤프트(40a)는, 고착부(50a)에 형성된 오목부(34)에 적어도 일부가 매몰(埋沒)되어 있기 때문에, 앵커(anchor) 효과에 의해, 샤프트(40a)와 고리 모양 부재(30a)와의 고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샤프트(40a)가 고리 모양 부재(30a)로부터 빠져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리 모양 부재(30a)의 외주 피복부(32a)의 외주면(35)의 오목부(34)에 합치(合致)하도록, 샤프트(40a)의 단면은, 타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샤프트(40a)와 고리 모양 부재(30a)와의 고착 면적을 늘릴 수 있고, 그 결과, 샤프트(40a)와 고리 모양 부재(30a)와의 고착 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서, 제5 실시 형태의 의료용 디바이스(5)를 설명한다. 도 10에서는, 도시한 우측이 체내에 삽입되는 선단측(원위측), 좌측이 의사 등의 시술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후단측(근위측, 기단측)으로 되어 있다.
의료용 디바이스(1)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쉬 부재(20a)의 후단(21a)에는, 고리 모양 부재(30)가 장착되어 있고, 또한, 메쉬 부재(20a)의 선단(23a)에는, 제2 고리 모양 부재(31)가 장착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2 고리 모양 부재(31)는, 고리 모양 부재(30)와 마찬가지로, 메쉬 부재(20a)의 선단(23a)의 외주를 피복하는 제2 외주 피복부(37)와, 메쉬 부재(20a)의 선단(23a)의 내주를 피복하는 제2 내주 피복부(38)를 가진다. 그 때문에, 메쉬 부재(20a)의 후단(21a)의 외주 및 내주는, 고리 모양 부재(30)의 외주 피복부(32) 및 내주 피복부(36)에 의해, 덮여져 있고, 또한, 메쉬 부재(20a)의 선단(23a)의 외주 및 내주는, 제2 고리 모양 부재(31)의 제2 외주 피복부(37) 및 제2 내주 피복부(38)에 의해, 덮여져 있다.
또, 제2 고리 모양 부재(31)의 선단에는, 수지(樹脂)로 이루어지는 선단 팁(10a)이 고착되어 있다.
의료용 디바이스(5)에서는, 제2 외주 피복부(37)와 제2 내주 피복부(38)가, 제1 소선(24a)과 제2 소선(26a)에 의해 둘러싸여진 간극(22b)에서, 주방향(周方向)으로 형성되는 제2 고착부(52)에서 서로 고착되어 있지만, 메쉬 부재(20a)를 구성하는 제1 소선(24a) 및 제2 소선(26a) 중 어느 것에도 고착되어 있지 않다(도 11을 참조). 제2 고리 모양 부재(31)의 제2 외주 피복부(37)와 제2 내주 피복부(38)는, 고리 모양 부재(30)와 마찬가지로, 모두 스테인리스로 형성되어 있고, 간극(22b)에서, 접착제에 의해 서로 고착되어 있다. 단, 제2 고착부(52)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메쉬 부재(20a)가 지름 방향으로 확장 수축할 때에, 제1 소선(24a) 및 제2 소선(26a)의 움직임이 고리 모양 부재(30) 및 제2 고리 모양 부재(31)에 의해 저해되기 어려워, 메쉬 부재(20a)의 양단부(21a, 23a)에서의 응력 집중이 저감되고, 그 결과, 메쉬 부재(20a)를 구성하는 제1 소선(24a) 또는 제2 소선(26a)의 파단을 더 저감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의료용 디바이스(1~5)에서는, 협착부를 확장시키기 위해서 메쉬 부재(20, 20a)만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석회화한 협착부에 대해서 메쉬 부재의 확장력이 부족한 경우에는, 메쉬 부재의 외주에 절입(切이入) 부재(스코어링 부재)를 길이 방향으로 마련해도 좋다. 단, 절입 부재(스코어링 부재)를 마련할 때에는, 메쉬 부재(20, 20a)가 지름 방향으로 확장 수축할 때에, 제1 소선(24, 24a) 및 제2 소선(26, 26a)의 움직임이 저해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
또, 상술한 의료용 디바이스(1~5)에서는, 외주 피복부(32, 32a, 32b)와 내주 피복부(36, 36a)와의 고착부(50, 50a, 50b, 50c, 50d)는, 제1 소선(24, 24a)과 제2 소선(26, 26a)에 의해 둘러싸여진 간극(22, 22a, 22b)에서, 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쉬 부재(20, 20a)를 지름 방향으로 확장 수축시켰을 때에, 제1 소선(24, 24a) 또는 제2 소선(26, 26a)이 빠지지 않는 구성이면, 고착부(50, 50a, 50b, 50c, 50d)를 주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형성해도 좋고, 고착부(50, 50a, 50b, 50c, 50d)를 나선 모양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 고리 모양 부재(30, 30a, 30b)의 외주 피복부(32, 32a, 32b) 및 내주 피복부(36, 36a)를 구성하는 재료는, 스테인리스로 한정되지 않는다. 방사선 불투과성을 가지는 재료(예를 들면, 텅스텐)를 이용함으로써, 조영시에, 시술자가, 메쉬 부재(20)의 후단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메쉬 부재(20, 20a)를 협착부에 배치시키는 것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2 고리 모양 부재(31)의 제2 외주 피복부(37) 및 제2 내주 피복부를 구성하는 재료는, 스테인리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방사선 불투과성을 가지는 재료(예를 들면, 텅스텐)를 이용함으로써, 조영시에, 시술자가, 메쉬 부재(20a)의 선단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 메쉬 부재(20a)를 협착부에 배치시키는 것이 용이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고리 모양 부재(30, 30a, 30b) 및 제2 고리 모양 부재(31)의 단면 형상은, 원형으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타원 형상이라도 다각형이라도 괜찮다.
1, 2, 3, 4, 5 : 의료용 디바이스
10, 10a : 선단 팁
20, 20a : 메쉬 부재 22, 22a, 22b : 간극
24, 24a : 제1 소선 26, 26a : 제2 소선
30, 30a, 30b : 고리 모양 부재 31 : 제2 고리 모양 부재
32, 32a, 32b : 외주 피복부 33 : 볼록부
34 : 오목부 35 : 요철 형상의 외주면
36, 36a : 내주 피복부 37 : 제2 외주 피복부
38 : 제2 내주 피복부 40, 40a : 샤프트
50, 50a, 50b, 50c, 50d : 고착부 52 : 제2 고착부
62, 66 : 간극
10, 10a : 선단 팁
20, 20a : 메쉬 부재 22, 22a, 22b : 간극
24, 24a : 제1 소선 26, 26a : 제2 소선
30, 30a, 30b : 고리 모양 부재 31 : 제2 고리 모양 부재
32, 32a, 32b : 외주 피복부 33 : 볼록부
34 : 오목부 35 : 요철 형상의 외주면
36, 36a : 내주 피복부 37 : 제2 외주 피복부
38 : 제2 내주 피복부 40, 40a : 샤프트
50, 50a, 50b, 50c, 50d : 고착부 52 : 제2 고착부
62, 66 : 간극
Claims (4)
- 제1 소선(素線)과 제2 소선이 서로 짜여지고, 지름 방향으로 확장 수축 가능한 메쉬(mesh) 부재와,
상기 메쉬 부재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의 외주(外周)를 피복하는 외주 피복부와, 상기 메쉬 부재의 상기 적어도 일방의 단부의 내주(內周)를 피복하는 내주 피복부를 가지는 고리 모양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외주 피복부와 상기 내주 피복부는, 상기 제1 소선과 상기 제2 소선에 의해 둘러싸여진 간극에 형성되는 고착부에서 서로 고착되어 있는 한편,
상기 외주 피복부와 상기 내주 피복부는, 상기 제1 소선과 상기 제2 소선 중 어느 것에도 고착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외주 피복부는, 상기 고착부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외주 피복부와 상기 내주 피복부가 고착하고 있지 않은 위치에 형성된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요철 형상의 외주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외주 피복부의 상기 외주면에 고착되고, 상기 고리 모양 부재보다도 후단 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샤프트는, 적어도 상기 오목부에서 상기 고리 모양 부재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의료용 디바이스.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쉬 부재의 상기 일방의 단부와는 다른 타방의 단부의 외주를 피복하는 제2 외주 피복부와, 상기 메쉬 부재의 상기 타방의 단부의 내주를 피복하는 제2 내주 피복부를 가지는 제2 고리 모양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외주 피복부와 상기 제2 내주 피복부는, 상기 제1 소선과 상기 제2 소선에 의해 둘러싸여진 간극에 형성되는 제2 고착부에서 서로 고착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제2 외주 피복부와 상기 제2 내주 피복부는, 상기 제1 소선과 상기 제2 소선 중 어느 것에도 고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062405 | 2016-03-25 | ||
JP2016062405A JP6951832B2 (ja) | 2016-03-25 | 2016-03-25 | 医療用デバイス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2977A KR20170112977A (ko) | 2017-10-12 |
KR102092995B1 true KR102092995B1 (ko) | 2020-03-24 |
Family
ID=57544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8978A KR102092995B1 (ko) | 2016-03-25 | 2016-12-12 | 의료용 디바이스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863997B2 (ko) |
EP (1) | EP3222227B1 (ko) |
JP (1) | JP6951832B2 (ko) |
KR (1) | KR102092995B1 (ko) |
CN (1) | CN10722465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804370B2 (ja) * | 2017-03-31 | 2020-12-23 | テルモ株式会社 | 医療用長尺体 |
EP3852655A4 (en) * | 2018-09-22 | 2022-06-22 | Transit Scientific, LLC | EXPANDABLE EXOSKELETON DEVICES FOR DRUG DELIVERY |
CN114984404B (zh) * | 2022-06-10 | 2023-07-25 | 惠州市顺美医疗科技有限公司 | 一种表面成型导引导管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222667A1 (en) * | 2004-03-31 | 2005-10-06 | Hunt James B | Stent-graft with graft to graft attachment |
US20150127087A1 (en) * | 2013-11-06 | 2015-05-07 | Bcm Co., Ltd. | Method of manufacturing stent attached to artificial blood vessel and stent attached to artificial blood vessel manufactured by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36868A (en) | 1992-11-13 | 1998-11-17 | Scimed Life Systems, Inc. | Expandable intravascular occlusion material removal devices and methods of use |
US5490859A (en) | 1992-11-13 | 1996-02-13 | Scimed Life Systems, Inc. | Expandable intravascular occlusion material removal devices and methods of use |
US5540707A (en) | 1992-11-13 | 1996-07-30 | Scimed Life Systems, Inc. | Expandable intravascular occlusion material removal devices and methods of use |
US5792157A (en) | 1992-11-13 | 1998-08-11 | Scimed Life Systems, Inc. | Expandable intravascular occlusion material removal devices and methods of use |
US5501694A (en) | 1992-11-13 | 1996-03-26 | Scimed Life Systems, Inc. | Expandable intravascular occlusion material removal devices and methods of use |
US5897567A (en) | 1993-04-29 | 1999-04-27 | Scimed Life Systems, Inc. | Expandable intravascular occlusion material removal devices and methods of use |
DE69431262T2 (de) | 1993-04-29 | 2003-04-03 | Scimed Life Systems, Inc. | Expandierbare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verschlüssen in gefässen |
EP0790810B1 (en) * | 1994-11-09 | 2004-04-28 | Endotex Interventional Systems, Inc. | Kit of delivery catheter and graft for aneurysm repair |
US6579314B1 (en) * | 1995-03-10 | 2003-06-17 | C.R. Bard, Inc. | Covered stent with encapsulated ends |
US5868708A (en) * | 1997-05-07 | 1999-02-09 | Applied Medical Resources Corporation | Balloon catheter apparatus and method |
US6858034B1 (en) * | 1999-05-20 | 2005-02-22 | Scimed Life Systems, Inc. | Stent delivery system for prevention of kinking, and method of loading and using same |
US20060052865A1 (en) * | 2004-09-09 | 2006-03-09 | Banas Christopher E | Stents with metallic covers and methods of making same |
US7229472B2 (en) * | 2000-11-16 | 2007-06-12 | Cordis Corporation | Thoracic aneurysm repair prosthesis and system |
CN1678366B (zh) * | 2002-08-23 | 2010-06-09 | 国立循环器病中心总长所代表的日本国 | 支架及其制造方法 |
DE60326000D1 (de) * | 2002-12-04 | 2009-03-12 | Cook Inc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handlung bei aortasektion |
US20050033311A1 (en) * | 2003-06-20 | 2005-02-10 | Guldfeldt Signe Uhre | Medical device comprising a braided portion |
US7686841B2 (en) * | 2003-12-29 | 2010-03-30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Rotating balloon expandable sheath bifurcation delivery system |
US20070185457A1 (en) * | 2006-02-03 | 2007-08-09 | Starfire Medical, Inc. | Vascular occlusion delivery |
WO2008101193A2 (en) * | 2007-02-16 | 2008-08-21 | Emory University |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the aorta |
US8992553B2 (en) * | 2009-10-01 | 2015-03-31 | Cardioniti | Cutting balloon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US9055964B2 (en) * | 2011-03-15 | 2015-06-16 | Angio Dynamics, Inc. |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material from a hollow anatomical structure |
NZ735457A (en) * | 2012-10-18 | 2019-05-31 | Loma Vista Medical Inc | Reinforced inflatable medical devices |
JP2015173913A (ja) | 2014-03-17 | 2015-10-05 | ニプロ株式会社 | 血管形成カテーテル |
-
2016
- 2016-03-25 JP JP2016062405A patent/JP6951832B2/ja active Active
- 2016-12-06 CN CN201611109614.9A patent/CN107224656B/zh active Active
- 2016-12-12 KR KR1020160168978A patent/KR10209299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12-13 EP EP16203576.0A patent/EP3222227B1/en active Active
- 2016-12-29 US US15/394,152 patent/US10863997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50222667A1 (en) * | 2004-03-31 | 2005-10-06 | Hunt James B | Stent-graft with graft to graft attachment |
US20150127087A1 (en) * | 2013-11-06 | 2015-05-07 | Bcm Co., Ltd. | Method of manufacturing stent attached to artificial blood vessel and stent attached to artificial blood vessel manufactured by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2977A (ko) | 2017-10-12 |
CN107224656B (zh) | 2021-03-05 |
EP3222227B1 (en) | 2018-11-14 |
JP6951832B2 (ja) | 2021-10-20 |
CN107224656A (zh) | 2017-10-03 |
EP3222227A1 (en) | 2017-09-27 |
JP2017170011A (ja) | 2017-09-28 |
US10863997B2 (en) | 2020-12-15 |
US20170273697A1 (en) | 2017-09-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923724B1 (en) | Catheter | |
EP2702964B1 (en) | Stent | |
EP3072551B1 (en) | Balloon catheter | |
KR102184238B1 (ko) | 장척 의료용 부재 | |
KR102092995B1 (ko) | 의료용 디바이스 | |
KR102113385B1 (ko) | 카테터 및 벌룬 카테터 | |
EP2774585A1 (en) | Stent | |
EP3025686B1 (en) | Stent delivery system | |
KR102113902B1 (ko) | 벌룬 카테터 | |
KR102036406B1 (ko) | 의료용 디바이스 | |
EP3811899B1 (en) | Stent for bypass between hollow organs and stent delivery system including stent for bypass between hollow organs | |
US11439496B2 (en) | Tubular therapeutic implement, tubular therapeutic implement set, and device for indwelling tubular therapeutic implement | |
US20200353210A1 (en) | Catheter | |
JP6770054B2 (ja) | バルーンカテーテル | |
JP6806763B2 (ja) | 医療デバイス | |
KR20210030271A (ko) | 스텐트 | |
WO2015186626A1 (ja) | 拡張デバイス | |
WO2020179293A1 (ja) | 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 |
EP4183438A1 (en) | Catheter | |
WO2022249414A1 (ja) | カテーテル | |
JP6882482B2 (ja) | バルーンカテーテル | |
JP6345491B2 (ja) | 拡張デバイス | |
JP2024099893A (ja) | 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 |
JP2018164761A (ja) | カテーテル及びバルーンカテーテ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