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812B1 - 조향장치용 마운팅 부시 압입 장치 - Google Patents
조향장치용 마운팅 부시 압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91812B1 KR102091812B1 KR1020190109821A KR20190109821A KR102091812B1 KR 102091812 B1 KR102091812 B1 KR 102091812B1 KR 1020190109821 A KR1020190109821 A KR 1020190109821A KR 20190109821 A KR20190109821 A KR 20190109821A KR 102091812 B1 KR102091812 B1 KR 1020918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ffer
- magnetic body
- pressing
- unit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23P19/027—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10—Aligning parts to be fitted together
- B23P19/12—Alignment of parts for insertion into b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 및 하면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금속 재질로 구비되는 대상물에 완충부를 압입하는 장치로서, 대상물의 하측 방향에서 삽입되어 대상물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대상물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완충부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대상물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가압부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구비되며 하측 방향에 위치한 완충부의 상면을 가압 및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물은 지지부에 의해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고 완충부는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압입 정확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고, 가압부의 가압 이후 형태 변형될 수 있는 완충부에 대한 가공을 실시함에 따라 압입 품질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마운팅 부시 압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조향장치에 사용되는 마운팅 부시를 압입하여 제조하는데 있어 보다 용이하고 정밀하게 상기 마운팅 부시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시(bush)는 다양한 목적을 위해 각종 기계의 부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부시는 부시 결합체에 마련된 부시 홀들에 압입되는 형태로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부시 결합체에 부시를 체결하는 작업은 매우 큰 힘을 필요로 하고, 이 때문에 부시의 압입 작업에는 부시 압입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부시의 압입 작업 이후 상기 부시를 인출하여 재조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부시 압입 작업은 정밀하게 수행되어야 한다.
선행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8456호)은 부시를 용이하게 압입하기 위한 부시 압입 장치를 개시하였다. 상세하게, 선행문헌 1은 복수의 부시 홀에 대응하는 부시들을 동시에 동일한 압입력으로 가압 및 압입하기 위한 장치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의 경우 복수의 부시 홀에 대응하는 상기 부시에 대한 영점 조정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경우, 복수의 부시가 모두 잘못 압입되어 불량품이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선행문헌 1의 경우 부시가 정확하게 압입되었는지 확인하려면 작업자가 일일이 육안으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갖는다. 이에 따라, 부시의 압입 정확도를 현저히 높이면서도 작업자의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부시의 압입 정확도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시의 영점 조정, 압입 및 후처리 과정을 자동으로 순차적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면 및 하면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금속 재질로 구비되는 대상물에 완충부를 압입하는 장치로서, 대상물의 하측 방향에서 삽입되어 대상물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대상물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완충부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대상물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가압부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구비되며 하측 방향에 위치한 완충부의 상면을 가압 및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물은 지지부에 의해 견고하게 위치 고정되고 완충부는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압입 정확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부의 가압 이후 형태 변형될 수 있는 완충부에 대한 가공을 실시함에 따라 압입 품질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장치용 마운팅 부시 압입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및 분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지지부 및 완충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지지부 및 완충부가 서로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지지부 및 완충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 및 가공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부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 및 분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지지부 및 완충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지지부 및 완충부가 서로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 지지부 및 완충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 및 가공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의 단면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부의 단면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 등 방향을 지칭하는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대상물”은 후술할 완충부가 삽입되는 주체로서, 조향장치용 마운팅으로 구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대상물은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향장치용 마운팅 부시 압입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시 압입 장치는 프레임(310), 지지부(320), 가압부(340), 가공부(350) 및 분사부(33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압입 작업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지지부(320), 가압부(340) 및 가공부(350)가 설치 및 지지되는 프레임(310), 대상물(100)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320), 지지부(32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완충부(200)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340) 및 대상물(1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완충부(200)를 가압 및 가공하는 가공부(35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320) 및 분사부(33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지지부(320)는 대상물(100)을 고정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지지부(320)는 대상물(100)에 삽입되는 완충부(200)가 정확하게 삽입되도록 지지부(320)를 상측 방향으로 지지 및 고정한다. 이를 위해, 지지부(320)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프레임(310) 상에 배치되며, 봉 형상으로 형성된 일단이 상측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320)의 일단에는 대상물(100)이 상측 방향에서 하측 방향으로 끼워져 구비됨으로써 위치 고정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지지부(320)는 다단 형태로 구비되되 상단이 하단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부(320)의 상단은 후술할 대상물(10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한 별도의 통공에 삽입되고 대상물(100)의 하면이 상기 지지부(320)의 단차진 부분에 안착하게 됨으로써, 일반적인 압입 장치와 비교했을 때 대상물(10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분사부(330)는 유체를 분사하여 완충부(200)의 압입 및 가공에 의해 형성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분사부(330)는 지지부(320)의 측면 방향(도 2의 우상측 방향을 뜻함) 또는 지지부(320)의 후방(도 2의 좌상측 방향)에 배치되고, 지지부(320) 상에 배치 및 고정된 대상물(100)의 상측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분사부(330)는 후술할 가공부(350)를 통해 둘레면이 절삭 가공되어 발생된 이물질을 향해 유체를 분사하여 보다 용이하게 상기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100), 지지부(320) 및 완충부(200)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100), 지지부(320) 및 완충부(200)가 서로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100), 지지부(320) 및 완충부(200)의 단면도이다.
선술한 바와 같이 대상물(100)에는 완충부(200)가 위치한다. 이를 위해, 대상물(100)은 상면에 구비되는 삽입공(101) 및 음각공(102)을 포함한다.
삽입공(101)은 완충부(20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삽입공(101)은 대상물(100)의 상면 상에 형성되되 상기 완충부(200)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세하게, 삽입공(101)의 상측 방향은 완충부(200)의 상단부(201)가 안착되고, 삽입공(101)의 하측 방향은 완충부(200)의 하단부(202)가 안착된다. 즉, 삽입공(101)의 상측 방향은 제1 직경을 갖고, 하측 방향은 제2 직경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제1 직경은 제2 직경보다 크도록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상측 방향 및 하측 방향의 직경이 상이하도록 구비되는 삽입공(101)을 통해, 종래의 압입 장치 대비 완충부(200)가 대상물(100)에 압입될 시 이루어지는 면접촉을 보다 크게 이룰 수 있어, 완충부(200)의 이탈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음각공(102)은 완충부(200)에 구비되는 후술할 돌출부(203)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음각공(102)은 삽입공(101)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고 환 형상으로 대상물(100)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음각 형성된다. 또한, 음각공(102)읜 하측 방향으로의 깊이는 삽입공(101)의 하측 방향으로의 깊이보다 작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4 참조).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음각공(102)의 하측 방향으로의 깊이는 삽입공(101)의 하측 방향으로의 깊이보다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삽입공(101) 및 음각공(102)에 동시 삽입되는 완충부(200)가 보다 견고하게 배치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완충부(200)는 마운팅 부시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조향장치용 마운팅 부시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완충부(200)는 상측 방향에 위치하는 상단부(201), 하측 방향에 위치하는 하단부(202) 및 상단부(201)의 둘레면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03)를 포함하고, 상기 상단부(201), 하단부(202) 및 돌출부(203)는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완충부(200)는 복원력을 갖는 고무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단부(201)는 지지부(320)의 상면 상으로 돌출되어 지지부(320)와 구별되고, 보다 견고한 배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단부(201)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직경을 갖으며, 선술한 삽입공(101) 및 음각공(102)을 향한 완충부(200)의 삽입 배치 시 지지부(320)의 상면 상으로 돌출되도록 위치한다.
하단부(202)는 지지부(320) 내 삽입공(101)에 삽입되어 보다 많은 면접촉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하단부(20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부(201)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으로 구비된다. 이는 완충부(200)의 보다 용이한 지지부(320)로의 삽입을 유도한다.
돌출부(203)는 완충부(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단부(201)의 하측 방향에 위치한다. 상세하게, 돌출부(203)는 환 형상으로 형성되되 둘레면이 상기 상단부(201)의 둘레면과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즉, 돌출부(203)는 상단부(201)의 둘레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돌출부(203)를 포함하는 완충부(200)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삽입공(101) 및 음각공(102)에 삽입되고, 이 과정에서 돌출부(203)는 대응되도록 음각 형성된 음각공(102)에 삽입되어 면 접촉을 이룬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돌출부(203)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와 비교했을 때 보다 견고한 배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완충부(200)의 이탈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 자성체(204)는 지지부(320)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완충부(200)의 삽입 배치 이후 상기 완충부(200)의 이탈 방지를 보조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 자성체(204)는 자력을 갖는 자석 등으로 구비되고 완충부(2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원판 형상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제1 자성체(204)는 완충부(200)의 삽입 배치 시 삽입공(101)의 내면에 근접하도록 위치하되, 제1 자성체(204) 및 삽입공(101)의 내면 사이의 제1 거리가 되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제1 자성체(204)는 금속 재질로 구비되는 지지부(320)와의 자력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 완충부(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자성체(205)는 후술할 가압부(340)가 보다 용이하게 완충부(200)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고, 가압 과정에서 압입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보조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2 자성체(205)는 제1 자성체(204)와 동일한 자석 등의 자력을 갖는 주체로 구비되고 완충부(2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다. 여기서 완충부(200)의 삽입 배치 이후, 제1 자성체(204) 및 제2 자성체(205) 사이의 거리인 제2 거리는 선술한 제1 거리보다 크도록 구비된다. 이는 제1 자성체(204) 및 제2 자성체(205) 간의 자력에 의해 완충부(20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 및 지지부(3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제2 자성체(205)는 가압부(340) 내 구성인 접촉부(342)와의 자력을 통한 상호 작용에 기반하여, 가압부(340)가 완충부(200)를 정밀하게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영점 조절을 보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340) 및 가공부(35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가압부(340)는 완충부(200)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지지부(320) 및 완충부(200) 간 체결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구성으로서, 대상물(1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다. 가공부(350)는 가압부(340)에 의한 가압이 완료된 완충부(200)를 대상으로 둘레면을 가공하기 위해 구비되고 대상물(1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며, 가압부(340)로부터 측면 방향(도 6의 좌상측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또한, 가압부(340) 및 가공부(350)는 상측 방향에 위치한 별도의 레일부와 체결되어 이동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340)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340)의 단면 확대도로서, 도 7a는 가압부(340)가 완충부(200)로부터 이격되도록 완충부(2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이고, 도 7b는 가압부(340)가 완충부(200)와 접한 이후 다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를 의미한다.
도 6에서 선술한 바와 같이, 가압부(340)는 완충부(200)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지지부(320)와의 체결력을 높이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가압부(34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가압부(340)는 제3 자성체(341), 접촉부(342), 제4 자성체(343) 및 연결체(344)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자성체(341), 제4 자성체(343) 및 연결체(344)는 가압부(340)가 완충부(200)로부터 이격 배치되었을 때에는 상기 가압부(340)의 내부에 내설된 별도의 개구공에 위치한다. 또한, 가압부(340)가 완충부(200)와 접할 시 접촉부(342)는 상기 별도의 개구공으로 삽입된다.
제3 자성체(341)는 후술할 제4 자성체(343)와의 자력을 통해 상기 제4 자성체(343)를 하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3 자성체(341)는 가압부(340)의 내부에 위치한다.
접촉부(342)는 완충부(200)와의 접촉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완충부(200)의 상면 상에 배치된 제2 자성체(205)와 접한다. 또한, 접촉부(34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자력을 갖도록 구비됨에 따라, 가압부(340)가 완충부(200)와 접할 시 자력에 의해 제2 자성체(205)와의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접촉부(342)는 가압부(34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 자성체(205)와의 접촉을 유지한 상태로 상측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자성체(205)는 완충부(200)로부터 분리된다.
제4 자성체(343)는 선술한 바와 같이 제3 자성체(341)와의 자력에 의해, 가압부(340) 및 완충부(200) 간의 이격 상태에는 제3 자성체(341)와 이격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가압부(340) 및 완충부(200)가 접한 경우 제4 자성체(343)는 상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제3 자성체(341) 및 제4 자성체(343) 간 자력은 가압부(340) 및 완충부(200) 간의 응력보다 작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제3 자성체(341) 및 제4 자성체(343)는 일시적으로 접촉 상태를 갖는다.
연결체(344)는 제4 자성체(343) 및 접촉부(342)가 과도하게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연결체(344)는 복원력을 갖는 스프링 등으로 구비되고 제4 자성체(343) 및 접촉부(342)를 서로 연결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가압부(340)는 제어부(345)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345)는 접촉부(342) 및 제2 자성체(205)와의 접촉을 감지 및 판정하고, 완충부(200)를 향한 가압부(340)의 가압을 감지 및 판정함으로써 가압부(340)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세하게, 제어부(345)는 접촉부(342) 및 제2 자성체(205) 간의 접촉을 통해 제3 자성체(341) 및 제4 자성체(343) 간의 거리 변경에 따른 자력을 측정하고, 이에 기반하여 미리 저장된 기준 자력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접촉부(342) 및 제2 자성체(205) 간 접촉을 판정한다.
제3 자성체(341) 및 제4 자성체(343) 간의 자력이 기준 자력보다 작은 경우, 제3 자성체(341) 및 제4 자성체(343) 간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접촉부(342)가 제2 자성체(205) 간의 자력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이동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부(345)는 접촉부(342) 및 제2 자성체(205) 간의 접촉으로 간주한다.
반면, 제3 자성체(341) 및 제4 자성체(343) 간의 자력이 기준 자력보다 큰 경우, 접촉부(342)가 제2 자성체(205)와 제대로 접하지 않아 제3 자성체(341) 및 제4 자성체(343)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지 않은 경우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부(345)는 가압부(340)를 하측 방향으로 추가 이동시킨다.
이하, 가압부(340) 및 완충부(200) 간의 가압 및 가압 해제 과정에서의 각 구성 간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가압부(340)가 완충부(200)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경우, 접촉부(342)는 가압부(340)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위치하고 제3 자성체(341) 및 제4 자성체(343)는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가압부(340)가 완충부(200)에 근접하는 경우, 접촉부(342)는 제2 자성체(205)와의 자력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보다 이동하여 접한다. 따라서, 제3 자성체(341) 및 제4 자성체(343) 간의 이격 거리는 보다 증가한다.
가압부(340)가 완충부(200)와 접하는 경우, 접촉부(342)는 제2 자성체(205)와 접한 상태에서 완충부(200) 및 가압부(340) 간의 접촉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별도의 개구공에 삽입된다. 여기서, 연결체(344)는 복원력에 의해 제4 자성체(343)를 상측 방향으로 밀어내고, 제3 자성체(341)는 상기와 같은 제4 자성체(343)와 일시적으로 접하게 된다. 제어부(345)는 제3 자성체(341) 및 제4 자성체(343)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경우 가압부(340) 및 완충부(200)의 접촉 및 가압으로 간주하고 가압부(340)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가압부(340)가 완충부(200)로부터 이격되도록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4 자성체(343)는 제3 자성체(341)와의 자력에 의해 다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복원력에 의해 신장되는 연결체(344)에 의해 접촉부(342)는 제2 자성체(205)와의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시 가압부(34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돌출되어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가압부(340) 내 구성을 통해, 완충부(200) 및 가압부(340) 간의 접촉 및 가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접촉 및 가압 과정에서 가압부(340)가 제대로된 완충부(200)로의 가압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완충부(200)가 가압부(340)에 의해 과도하게 하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궁극적인 압입 공정에서의 완충부(200) 파손 및 변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압부(340)에 가압된 완충부(200), 특히 상단부(201)의 둘레면은 균일한 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단부(201)를 갖는 완충부(200)를 추가 가공하기 위한 가공부(350)는 도 9 및 도 10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부(350)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부(350)의 단면 확대도이다.
가공부(350)는 하측 방향에 위치한 완충부(200)의 상면을 가압 및 가공한다. 상세하게, 가공부(350)는 가압부(34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고 별도의 레일부를 통해 소정의 간격만큼 이동한 후,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단부(201)를 가압 및 가공한다. 이를 위해, 가공부(350)는 커버부(351), 배치부(352) 및 절삭부(353)를 포함한다.
커버부(351)는 가공부(350)의 가압 및 가공을 위한 작업 공간을 제공하고, 가공을 통해 발생하는 이물질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커버부(351)는 후술할 배치부(352) 및 절삭부(353)를 감싸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면이 개구된다. 배치부(352)는 커버부(351)에 삽입되어 내측 방향에 위치한다. 또한, 커버부(351)의 내면에는 제1 가이드홈(3511) 및 제2 가이드홈(3512)이 더 구비된다.
제1 가이드홈(3511)은 후술할 축부(355)를 가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1 가이드홈(3511)은 커버부(351)의 내면으로부터 음각 형성되되, 후술할 축부(355)와 연결된 별도의 안내부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제1 가이드홈(3511)에는 축부(355)와 연결된 안내부가 삽입 배치되고, 상기 축부(355)와 일체로 이동되는 촬영부(357)는 롤러(356)를 통해 용이하게 배치부(352)의 중심축(z1)을 중심으로 공전시킬 수 있다.
제2 가이드홈(3512)은 롤러(356)가 회전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상세하게, 제2 가이드홈(3512)은 롤러(356)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어 커버부(351)의 내주면으로부터 음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술할 배치부(352) 및 절삭부(353)가 배치부(352)의 중심축(z1)을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롤러(356)는 후술할 가이드부(354)와 접하여 제2 가이드홈(3512)을 따라 제1 방향으로 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을 실시하고, 롤러(356)와 연결된 축부(355) 및 상기 축부(355)와 연결된 촬영부(357)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배치부(352)는 완충부(200)를 가압시키는 구성으로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커버부(351)에 삽입된다. 또한, 배치부(352)의 하면은 완충부(200)를 가압함에 따라, 상단부(201)의 둘레면 부분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태 변형된다.
절삭부(353)는 배치부(352)의 가압에 의해 형태 변형된 상단부(201)의 둘레면 부분을 가공함으로써 완충부(200)의 품질을 높이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절삭부(353)는 배치부(352)의 외측 방향에 위치한다. 상세하게, 절삭부(353)는 배치부(352)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하단이 뾰죡한 블레이드로 형성되며, 별도의 구동부를 통해 배치부(352)와 일체로 배치부(352)의 중심축(z1)을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절삭부(353)를 통해, 하측 방향에 위치하는 완충부(200)는 둘레면 부분이 절삭부(353)의 하단에 대응하여 절삭되고, 분리된 이물질이 발생한다. 가압 및 가공을 동시에 수행하는 절삭부(353)가 구비됨으로써, 균일하지 않게 형성되도록 압착된 완충부(200)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어 품질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절삭부(353)의 외측 방향에는 가이드부(354)가 더 구비된다. 가이드부(354)는 후술할 롤러(356)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가이드부(354)는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삭부(353)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고 외주면은 외측 방향에 위치하는 롤러(356)의 외주면과 접한다. 이에 따라, 배치부(352) 및 절삭부(353)가 별도의 구동부에 의해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가이드부(354)는 상기 배치부(352) 및 절삭부(353)와 일체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가이드부(354)와 접하는 롤러(356)는 배치부(352)의 중심축(z1)을 중심으로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하되, 배치부(352)의 내주면과 접함에 따라 상기 배치부(352)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부(352)의 중심축(z1)을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배치부(352)의 내측 방향에는 축부(355)가 더 구비된다. 축부(355)는 후술할 촬영부(357)를 배치부(352)의 중심축(z1)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축부(355)는 배치부(352)의 내면으로부터 음각 형성되되 선술한 제1 가이드부(354)와 면접촉을 이룬다. 또한, 축부(355)의 상측 방향에 별도의 안내부가 구비되어 제1 가이드홈(3511)에 삽입되고, 하측 방향에는 촬영부(357)가 구비된다. 또한, 축부(355)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롤러(356)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롤러(356)는 축부(355)에 관통된 상태에서 가이드부(354)에 의해 제2 방향으로 자전함과 동시에 제2 가이드홈(3512)을 따라 배치부(352)의 중심축(z1)을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공전한다. 이를 통해, 축부(355) 및 촬영부(357)는 롤러(356)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부(352)의 중심축(z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축부(355)에는 후술할 촬영부(357)를 이동시키기 위한 롤러(356)가 관통 형성된다. 롤러(356)는 배치부(352) 및 절삭부(353)의 제1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응하여 축부(355)의 중심축(z2)을 중심으로 제2 방향으로 회전하되 케이스의 내주면을 따라 제1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축부(355)의 하측 방향에는 촬영부(357)가 더 구비된다. 촬영부(357)는 배치부(352) 및 절삭부(353)의 하측 방향을 촬영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축부(355)는 완충부(200)의 상측 방향 및 상단부(201)의 상측 방향을 향해 구비되어 완충부(200)를 촬영한다. 이를 위해, 촬영부(357)는 카메라 등의 촬상수단으로 구비되고 축부(355)의 하단과 연결되며, 배치부(352)의 중심축(z1)을 중심으로 축부(355)와 일체로 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를 통해, 촬영부(357)는 완충부(200)의 둘레면 부분을 모두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고, 촬영부(357)가 촬영한 영상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로 전달되어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 가공부(350) 내 구성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되 제1 방향을 시계방향으로 하고 제2 방향을 반시계방향으로 하는 일례를 설명하도록 한다.
배치부(352) 및 절삭부(353)는 커버부(351)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단이 상단부(201)의 상면과 접하고, 하측 방향으로의 가압을 실시한다. 이후 배치부(352), 절삭부(353) 및 가이드부(354)는 일체로 배치부(352)의 중심축(z1)을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가이드부(354)와 접하는 롤러(356)는 축부(355)의 중심축(z2)을 중심으로 제2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제2 가이드홈(3512)을 따라 배치부(352)의 중심축(z1)을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한다.
롤러(356)와 연결된 축부(355)는 제1 가이드홈(3511)에 삽입된 별도의 안내부에 의해 배치부(352)의 중심축(z1)을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촬영부(357)는 축부(355)와 일체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촬영부(357)는 축부(355)의 중심축(z2)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고, 배치부(352)의 중심축(z1)을 따라 축부(355)와 일체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지속적으로 완충부(200)를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완충부(200)의 절삭 과정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00: 대상물 101: 삽입공
102: 음각공 200: 완충부
201: 상단부 202: 하단부
203: 돌출부 204: 제1 자성체
205: 제2 자성체 320: 지지부
340: 가압부 341: 제3 자성체
342: 접촉부 343: 제4 자성체
344: 연결체 350: 가공부
351: 커버부 3511: 제1 가이드홈
3512: 제2 가이드홈 352: 배치부
353: 절삭부 354: 가이드부
355: 축부 356: 롤러
357: 촬영부
102: 음각공 200: 완충부
201: 상단부 202: 하단부
203: 돌출부 204: 제1 자성체
205: 제2 자성체 320: 지지부
340: 가압부 341: 제3 자성체
342: 접촉부 343: 제4 자성체
344: 연결체 350: 가공부
351: 커버부 3511: 제1 가이드홈
3512: 제2 가이드홈 352: 배치부
353: 절삭부 354: 가이드부
355: 축부 356: 롤러
357: 촬영부
Claims (9)
- 상면 및 하면에 삽입공(101)이 형성되고 조향장치용 마운팅으로 구비되는 대상물(100)에 마운팅 부시로 구비되는 완충부(200)를 삽입하는 장치로서,
상기 대상물(100)의 하측 방향에서 삽입되어 상기 대상물(100)을 상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320);
상기 대상물(1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완충부(200)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340); 및
상기 대상물(1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가압부(340)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구비되며, 하측 방향에 위치한 상기 완충부(200)의 상면을 가압 및 가공하는 가공부(350);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200)는,
제1 직경을 갖는 상단부(201);
상기 상단부(201)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갖는 하단부(202); 및
상기 상단부(201)의 둘레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03);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2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완충부(200)가 상기 삽입공(101)에 삽입될 시 상기 삽입공(101)의 내부에 위치하는 제1 자성체(204); 및
상기 완충부(2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자성체(20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체(204) 및 상기 삽입공(101)의 내면 사이의 제1 거리는 상기 제1 자성체(204) 및 제2 자성체(205) 간 제2 거리보다 작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기 완충부(200)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용 마운팅 부시 압입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101)의 외측 방향에는 상기 돌출부(203)에 대응되는 음각공(102)이 더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203)가 상기 음각공(102)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완충부(200)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용 마운팅 부시 압입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340)의 내부에 내설되는 제3 자성체(341);
상기 제3 자성체(341)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는 접촉부(342);
상기 제3 자성체(341) 및 접촉부(342)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4 자성체(343); 및
상기 접촉부(342) 및 제4 자성체(343)를 서로 연결하고 탄성 재질로 구비되는 연결체(344);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340)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촉부(342)가 상기 제2 자성체(205)와 접한 이후 하측 방향으로 추가 이동하여 하면이 상기 완충부(200)의 상면과 면접촉을 이루며,
상기 가압부(340)의 하면 및 상기 완충부(200)의 상면이 면접촉을 이룰 시, 상기 접촉부(342)가 제2 자성체(205)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제4 자성체(343)는 상기 연결체(344)의 복원력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자력에 의해 상기 제3 자성체(341)와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용 마운팅 부시 압입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342)와 접한 상기 제2 자성체(205)는 상기 접촉부(342)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에 따라 동반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완충부(200)의 상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용 마운팅 부시 압입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350)는,
상기 완충부(200)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고 상기 완충부(200)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관 형상의 배치부(352);
상기 배치부(352)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배치부(352)의 중심축(z1)을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하측 방향에 위치한 상기 완충부(200)를 절단하는 절삭부(353); 및
상기 배치부(352) 및 절삭부(353)가 삽입되는 원통 형상의 커버부(3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용 마운팅 부시 압입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부(353)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고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이드부(354);
상기 가이드부(354)의 외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원통 형상의 축부(355);
상기 축부(355)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부(354)와 접하고, 상기 가이드부(354)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축부(355)의 중심축(z2)을 중심으로 제2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배치부(352)의 중심축(z1)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커버부(351)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356); 및
상기 롤러(356)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배치부(352) 및 절삭부(353)의 하측 방향을 촬영하는 촬영부(3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용 마운팅 부시 압입 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351)는,
상기 배치부(352)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롤러(356)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신장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축부(355)가 가이드 이동되는 제1 가이드홈(3511); 및
상기 롤러(356)에 대응하여 내주면에 음각 형성되는 제2 가이드홈(35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용 마운팅 부시 압입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9821A KR102091812B1 (ko) | 2019-09-05 | 2019-09-05 | 조향장치용 마운팅 부시 압입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9821A KR102091812B1 (ko) | 2019-09-05 | 2019-09-05 | 조향장치용 마운팅 부시 압입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91812B1 true KR102091812B1 (ko) | 2020-03-20 |
Family
ID=6995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9821A KR102091812B1 (ko) | 2019-09-05 | 2019-09-05 | 조향장치용 마운팅 부시 압입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9181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4557A (ko) * | 2021-05-13 | 2022-11-22 | 주식회사 하이퍼텍 | 부시조립체 압입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54871A (ja) * | 2002-11-01 | 2004-06-03 | Yamazaki Mazak Corp | 加工物へのブッシュ打ち込み方法、ブッシュ打ち込み用具 |
JP2004249398A (ja) * | 2003-02-20 | 2004-09-09 | Nissan Motor Co Ltd | ブッシュ圧入装置 |
KR20080026821A (ko) * | 2006-09-21 | 2008-03-26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혼 스위치 |
KR101648456B1 (ko) | 2015-11-20 | 2016-08-16 | 박정근 | 부시 압입 장치 |
-
2019
- 2019-09-05 KR KR1020190109821A patent/KR10209181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54871A (ja) * | 2002-11-01 | 2004-06-03 | Yamazaki Mazak Corp | 加工物へのブッシュ打ち込み方法、ブッシュ打ち込み用具 |
JP2004249398A (ja) * | 2003-02-20 | 2004-09-09 | Nissan Motor Co Ltd | ブッシュ圧入装置 |
KR20080026821A (ko) * | 2006-09-21 | 2008-03-26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혼 스위치 |
KR101648456B1 (ko) | 2015-11-20 | 2016-08-16 | 박정근 | 부시 압입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4557A (ko) * | 2021-05-13 | 2022-11-22 | 주식회사 하이퍼텍 | 부시조립체 압입장치 |
KR102589944B1 (ko) | 2021-05-13 | 2023-10-17 | 주식회사 하이퍼텍 | 부시조립체 압입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91812B1 (ko) | 조향장치용 마운팅 부시 압입 장치 | |
JP2009281432A (ja) | 円筒ころ軸受の組立方法および組立装置 | |
KR101668318B1 (ko) | 스냅링 자동 조립장치 | |
JP6590390B2 (ja) | 打ち抜きシール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る超音波処理装置 | |
US9440319B2 (en) | Seal assembling method of master cylinder and seal assembling apparatus | |
JP2008036767A (ja) | ローラタペットの組立装置及び組立方法 | |
KR102020820B1 (ko) | 자동 원점복귀가 가능한 스위블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그리퍼장치 | |
JP2005118983A (ja) | 流体軸受のシャフト部の製造装置 | |
JP2006320934A (ja) | プレス加工装置 | |
KR102036906B1 (ko) | 더스트 커버와 차량용 너클 간 압입 장치 및 방법 | |
KR20080095144A (ko) | 축심 자동조정장치 | |
JP5641597B2 (ja) | カス上がり防止用弾性体圧入治具 | |
FR2884162A1 (fr) | Dispositif de frettage pour l'emmanchement d'un pignon sur un arbre | |
JP2010125572A (ja) | 組付装置 | |
US11040431B2 (en) | Workpiece holder | |
TWI845361B (zh) | 治具及位置校準方法 | |
TWI658225B (zh) | 下段構件的固定裝置及具備該下段構件的固定裝置之流體控制裝置 | |
JP4033013B2 (ja) | ロケート装置 | |
KR20200115181A (ko) | 커터 홀더 부착 유닛 및 스크라이브 장치 | |
KR0159315B1 (ko) | 스핀들 압입장치 | |
JP7512959B2 (ja) | 圧入装置および圧入方法 | |
KR101562320B1 (ko) | 탄성부품 조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탄성부품 조립 방법 | |
JP3195464B2 (ja) | E型止め輪取付け装置 | |
KR101825640B1 (ko) | 이물질 침입을 방지하는 콜렛 지그 | |
JP6269379B2 (ja) | ボルト締結方法及びボルト締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