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4557A - 부시조립체 압입장치 - Google Patents

부시조립체 압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4557A
KR20220154557A KR1020210062280A KR20210062280A KR20220154557A KR 20220154557 A KR20220154557 A KR 20220154557A KR 1020210062280 A KR1020210062280 A KR 1020210062280A KR 20210062280 A KR20210062280 A KR 20210062280A KR 20220154557 A KR20220154557 A KR 20220154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unit
yoke
met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9944B1 (ko
Inventor
이석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퍼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퍼텍
Priority to KR1020210062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944B1/ko
Publication of KR20220154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는, 원형의 메탈부시와 중간재로 구성된 부시조립체를 요크 내로 압입시키기 위한 부시조립체 압입장치에 있어서, 일정 높이에 평면을 제공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부시조립체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시안착부, 상기 부시안착부에 연결되며, 상기 요크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요크안착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형성된 채, 상기 요크안착부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높이방향으로 승강하여 상기 요크안착부에 안착된 요크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시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부시조립체는, 상기 요크안착부에 안착된 요크의 내측면에 위치한 채,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요크의 내측 장착공간으로 압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시조립체 압입장치{The pressing device for bush assembly}
본 발명은 부시조립체 압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원형의 메탈부시와 중간재로 구성된 부시조립체를 요크 내로 압입시키기 위한 부시조립체 압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시(bush)는 기계 가공품에 형성된 구멍의 내측에 삽입되어 마모가 방지되도록 하는 금속, 고무 또는 복합소재가 원통형으로 가공되어 구멍 내측에 억지끼움 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억지끼움의 특성상 인력을 이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주로 별도의 프레스 장치를 이용해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24380호)"부시 압입용 지그"는 도 1에 도시된 사시 도와 같이, 수개의 가이드홈(210)을 형성한 부시(200)가 너클의 링크부재(300)에 압입되는 것에 있어서, 원통형 지그본체(100)와; 이 지그본체(100)의 일측 주연부를 따라 부시(200)의 가이드홈(210)에 대응하는 돌조(110)를 포함하여 이 돌조(110)가 가이드홈(210)에 일치되게 하여 타격되도록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별도의 장치를 이용해 가공하기 때문에 가공품의 구멍 내측을 별도의 공구를 이용해 가공 후 별도의 프레스와 같은 공구로 가공품을 이동해 부시를 삽입하게 되며, 부시 삽입 후에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해 마무리 가공이 별도로 이루어지게 되어 한 공정을 완료 후 이동하는 과정으로 인해 공정시간이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재질만 다르고 형상 및 색상이 동일한 부시를 삽입하는 경우 재질에 따라 부시를 분리해야 하는데, 사용자가 별도의 작업을 통해 부시 분리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5008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재질은 다르지만 형상 및 색상이 동일하여 육안으로는 구분이 힘든 메탈부시를 별도의 분리작업 없이 구분할 수 있는 압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는, 원형의 메탈부시와 중간재로 구성된 부시조립체를 요크 내로 압입시키기 위한 부시조립체 압입장치에 있어서, 일정 높이에 평면을 제공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부시조립체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시안착부, 상기 부시안착부에 연결되며, 상기 요크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요크안착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형성된 채, 상기 요크안착부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높이방향으로 승강하여 상기 요크안착부에 안착된 요크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시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부시조립체는, 상기 요크안착부에 안착된 요크의 내측면에 위치한 채,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요크의 내측 장착공간으로 압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의 상기 부시안착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되는 기립부 및 상기 기립부의 상면으로부터 제1 높이로 형성되며, 메탈부시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메탈확인부를 구비하며, 상기 메탈확인부는, 상측단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까지 자성을 띠는 자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자성부는,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된 메탈부시의 자성에 대한 자력발생 유무에 따라, 메탈부시의 상기 삽입공간에서의 배치 높이가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의 상기 부시안착부는, 상기 기립부와 상기 메탈확인부 사이의 은닉공간에 배치된 채, 상기 메탈확인부가 상기 은닉공간으로 삽입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메탈확인부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요크의 내측 장착공간으로 압입되는 중에, 요크의 내측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은닉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 변형에 따른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며,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부시조립체는, 상기 메탈확인부의 상기 은닉공간으로의 삽입에 의해, 상기 삽입공간으로부터 탈출한 채, 상기 장착공간에 압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의 상기 메탈확인부는, 상기 기립부의 상면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되는 제1 확인편 및 상기 기립부의 상면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확인편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확인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확인편 및 상기 제2 확인편은, 메탈부시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된 메탈부시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위하고, 상기 제1 확인편은, 상측단으로부터 상기 제2 높이까지 자성을 띠는 제1 자성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2 확인편은, 상측단으로부터 상기 제2 높이까지 자성을 띠는 제2 자성편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는 요크 내에 압입되는 메탈부시 정보를 입력하는 설정입력부, 상기 삽입공간으로의 메탈부시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및 상기 설정입력부에 관한 메탈부시 정보 및 상기 제1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감지 값을 기초로, 상기 가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입력부는, 자성에 의해 자력을 띠는 제1 메탈에 관한 제1 정보 또는 자성에 의해 자력을 띠지 않는 제2 메탈에 관한 제2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기립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높이 사이의 메탈부시 유무를 감지하는 제1-1 감지부 및 상기 제2 높이와 상기 제1 높이 사이의 메탈부시 유무를 감지하는 제1-2 감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입력부에 입력된 정보값이 상기 제1 정보이고,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메탈부시가 상기 제1-2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제1 경우, 상기 가압부가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입력부에 입력된 정보값이 상기 제1 정보이고,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메탈부시가 상기 제1-1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제2 경우, 상기 가압부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설정입력부에 입력된 정보값이 상기 제2 정보이고,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메탈부시가 상기 제1-1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제3 경우, 상기 가압부가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입력부에 입력된 정보값이 상기 제2 정보이고,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메탈부시가 상기 제1-2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제4 경우, 상기 가압부가 구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는 상기 제2 경우 또는 상기 제4 경우, 사용자에게 빛 또는 소리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의 상기 요크안착부는, 상기 기립부에 장착된 채, 상기 기립부의 외주면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승강하며, 요크의 하측단을 지지하는 안착공간부 및 상기 기립부에 장착되고, 상측단은 상기 안착공간부의 저면에 접촉되고, 하측단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접촉된 채, 상기 안착공간부의 승강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스프링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안착공간부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어 하강하는 경우, 압축 탄성 변형되며, 상기 안착공간부의 상기 가압부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압축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안착공간부가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가압본체부, 상기 가압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요크안착부의 상부측에 배치된 채, 높이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며, 상기 요크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가압홀이 형성된 압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요크안착부를 지지한 채, 상기 요크안착부의 승강 위치를 가이드하는 완충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가이드부는, 상기 안착공간부의 하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하측면에 연결된 채,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안착공간부의 승강에 따라 연동되어 승강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에 의해 승강 경로가 종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는 상기 삽입공간으로의 중간재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입력부에 입력된 정보값이 상기 제1 정보이고,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메탈부시가 상기 제1-2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며,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중간재가 상기 제2 감지부에 감지되는 제5 경우, 상기 가압부가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입력부에 입력된 정보값이 상기 제2 정보이고,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메탈부시가 상기 제1-1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며,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중간재가 상기 제2 감지부에 감지되는 제6 경우, 상기 가압부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육안으로 구분하기 힘든 메탈부시의 재질을 별도의 분리작업을 거치지 않고 구분할 수 있으며, 원하는 재질의 메탈부시만 요크 내로 압입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의 부시안착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의 부시안착부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의 부시안착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의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의 부시안착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의 부시안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1)는, 원형의 메탈부시(M)와 중간재(G)로 구성된 부시조립체(A)를 요크(K) 내로 압입시키기 위한 압입장치 일 수 있다.
메탈부시(M)는 중앙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삽입홀(P)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홀(P)에 중간재(G)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부시조립체 압입장치(1)는, 베이스부(10), 부시안착부(20), 요크안착부(30), 가압부(40) 및 제1 감지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0)는, 일정 높이에 평면을 제공하고, 상기 부시안착부(2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부시조립체(A)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요크안착부(30)는, 상기 부시안착부(20)에 연결되며, 상기 요크(K)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40)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에 형성된 채, 상기 요크안착부(30)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높이방향으로 승강하여 상기 요크안착부(30)에 안착된 요크(K)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부(60)는, 상기 가압부(40)에 장착된 채 상기 부시조립체(A)가 상기 부시안착부(20)에 안착됐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부시조립체(A)는, 상기 부시안착부(20)에 안착된 채, 상기 요크안착부(30)에 안착된 요크(K)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압부(40)에 의해 가압된 요크(K)의 내측 장착공간(D)으로 압입될 수 있다(도 7 참조).
상기 부시안착부(20)는, 기립부(21) 및 메탈확인부(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립부(21)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탈확인부(23)는, 상기 기립부(21)의 상면으로부터 제1 높이(H1)로 형성되며, 중앙에 부시조립체(A)가 삽입되는 삽입공간(T)을 형성할 수 있다(도 4의 (a) 참조).
상기 삽입공간(T)은, 메탈부시(M)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탈확인부(23)는, 제1 확인편(231a) 및 제2 확인편(231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확인편(231a)은, 상기 기립부(21)의 상면으로부터 제1 높이(H1)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확인편(231b)은, 상기 기립부(21)의 상면으로부터 제1 높이(H1)로 형성되되, 상기 제1 확인편(231a)과 이격 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확인편(231a) 및 상기 제2 확인편(231b)은, 메탈부시(M)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확인편(231a)과 상기 제2 확인편(231b) 사이에 삽입공간(T)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확인편(231a) 및 상기 제2 확인편(231b)은, 상기 삽입공간(T)에 삽입된 메탈부시(M)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위할 수 있다.
상기 삽입공간(T)에 삽입된 메탈부시(M)는 이격 배치된 상기 제1 확인편(231a) 및 상기 제2 확인편(231b)으로 인해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메탈부시(M)가 상기 삽입공간(T)으로 기울어지게 삽입되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되었을 때, 메탈부시(M)의 외부로 노출된 일부분을 잡고 메탈부시(M)의 위치를 재조정할 수 있고, 상기 삽입공간(T)내에 불량 메탈부시(M)가 삽입되었을 때에는 상기 불량 메탈부시(M)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확인편(231a) 및 상기 제2 확인편(231b) 사이에 이격된 부분을 통해 상기 삽입공간(T) 내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1 확인편(231a) 및 상기 제2 확인편(231b)은, 상측단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H1)보다 낮은 제2 높이(H2)까지 자성을 띠는 자성부(23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자성부(232)는, 상기 삽입공간(T)으로 삽입된 메탈부시(M)의 자성에 대한 자력발생 유무에 따라, 메탈부시(M)의 상기 삽입공간(T)에서의 배치 높이가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의 (b)를 참조하면 자성에 대해 자력이 발생하는 메탈부시(M1)는 상기 자성부(232)의 자성에 반응하여 제1 높이(H1)보다 낮고 제2 높이(H2)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도 4의 (a) 참조).
여기서, 자성에 대해 자력이 발생하는 메탈부시(M1)는 철계열의 재질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도 2의 (c)를 참조하면 자성에 대해 자력이 발생하지 않는 메탈부시(M2)는 상기 자성부(232)의 자성에 반응하지 않고 상기 기립부(2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자성에 대해 자력이 발생하지 않는 메탈부시(M2)는, 동계열의 재질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자성부(232)는, 제1 자성편(232a) 및 제2 자성편(232b)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편(232a)은, 상기 제1 확인편(231a)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확인편(231a)의 상측단으로부터 상기 제2 높이(H2)까지 자성을 띌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편(232b)은, 상기 제2 확인편(231b)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2 확인편(231b)의 상측단으로부터 상기 제2 높이(H2)까지 자성을 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자성부(232)를 구비하여 메탈부시(M)의 재질에 따라 배치를 다르게 하는 이유는, 본 발명에서는 재질만 다르고 형상 및 색상이 전부 동일한 메탈부시(M)를 구분하기 위함이다.
사용자는 후술할 설정입력부(50)에 자성에 대해 자력이 발생하는 메탈부시(M1)의 정보 또는 자성에 대해 자력이 발생하지 않는 메탈부시(M2)의 정보를 입력 후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상기 설정입력부(50)에 자력이 발생하는 메탈부시(M1)의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삽입공간(T)에 자력이 발생하지 않는 메탈부시(M2)를 삽입하면 상기 부시조립체 압입장치(1)는 삽입된 메탈부시(M2)의 압입작업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설정입력부(50)에 자력이 발생하지 않는 메탈부시(M2)의 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삽입공간(T)에 자력이 발생하는 메탈부시(M1)를 삽입하면 상기 부시조립체 압입장치(1)는 삽입된 메탈부시(M1)의 압입작업을 수행하지 않는다.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설정입력부(50)에 입력한 정보에 맞는 메탈부시(M)를 상기 삽입공간(T)에 삽입해야 하는데, 사용자의 육안으로는 형상 및 색상이 동일한 메탈부시(M)의 재질을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와 같은 사용자가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자성부(232)를 구비하여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고도 메탈부시(M)의 재질이 무엇인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작업능률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부시안착부(20)는, 탄성부(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25)는, 상기 기립부(21)와 상기 메탈확인부(23) 사이의 은닉공간(J)에 배치된 채, 상기 메탈확인부(23)가 상기 은닉공간(J)으로 삽입되는 경우, 탄성 변형될 수 있다(도 3 참조).
여기서 은닉공간(J)이란, 상기 기립부(21)의 상측 내부에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상기 메탈확인부(23)는, 후술할 상기 가압부(40)에 의해 상기 요크(K)가 가압되면, 상기 요크(K)의 내측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은닉공간(J)으로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40)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부(25)의 탄성 변형에 따른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삽입공간(T)에 삽입된 부시조립체(A)는, 상기 메탈확인부(23)의 상기 은닉공간(J)으로의 삽입에 의해, 상기 삽입공간(T)으로부터 탈출하여(도 3의 (b) 참조), 상기 요크(K)의 장착공간(D)에 압입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의 제1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1)는 제1 감지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부(60)는, 상기 삽입공간(T)으로의 메탈부시(M)의 삽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제1-1 감지부(61) 및 제1-2 감지부(6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1 감지부(61)는, 제1 고정편(61a)을 더 구비할 수 있다(도 5 참조).
상기 제1 고정편(61a)은, 상기 가압부(4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1 감지부(61)는 상기 제1 고정편(61a)의 끝단에 고정된 채 상기 메탈확인부(23)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기립부(21)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높이(H2) 사이의 메탈부시(M)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2 감지부(63)는, 제2 고정편(63a)을 더 구비할 수 있다(도 5 참조).
상기 제2 고정편(63a)은, 상기 가압부(40)의 타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2 감지부(63)는, 상기 제2 고정편(63a)의 끝단에 고정된 채, 상기 메탈확인부(23)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높이(H2)와 상기 제1 높이(H1) 사이의 메탈부시(M)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1 감지부(61) 및 상기 제1-2 감지부(63)는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구체적으로, 상기 제1-1 감지부(61)는, 상기 기립부(21)의 상면보다 높고 상기 제2 높이(H2)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2 감지부(63)는, 상기 제2 높이(H2)보다 높고 상기 제1 높이(H1)보다 낮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1 감지부(61)와 상기 제1-2 감지부(63)는 각각 다른 높이에 배치된 메탈부시(M)의 유무를 감지하기 때문이다.
상기 요크안착부(30)는, 안착공간부(31) 및 스프링부(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착공간부(31)는, 상기 기립부(21)에 장착된 채, 상기 기립부(21)의 외주면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승강하며 요크(K)의 하측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안착공간부(31)는 중앙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슬라이딩홀(S)을 구비하며, 상기 기립부(21)는 상기 슬라이딩홀(S)을 관통한 채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도 2의 (a) 참조).
상기 스프링부(33)는, 상기 기립부(21)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부(33)는, 상측단은 상기 안착공간부(31)의 저면에 접촉되고, 하측단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에 접촉된 채, 상기 안착공간부(31)의 승강에 따라 탄성변형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부(33)는, 상기 안착공간부(31)가 상기 가압부(40)에 의해 가압되어 하강하는 경우, 압축 탄성 변형되며, 상기 안착공간부(31)의 상기 가압부(40)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압축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안착공간부(31)가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부(33)는, 하측에 별도의 받침부(32a)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32a)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에 형성되고, 중앙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기립부(21)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채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32a)를 구비하는 이유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이 상기 스프링부(33)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프링부(33)는, 상기 받침부(32a)의 상면에 안착된 채, 상기 기립부(21)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부(33)가 별도의 받침부(32a)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청구항 7의 내용처럼 상기 스프링부(33)는, 별도의 받침부(32a)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1)는 완충가이드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가이드부(80)는, 상기 요크안착부(30)를 지지한 채, 상기 요크안착부(30)의 승강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으며, 고정부(81) 및 슬라이딩부(8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81)는, 상기 안착공간부(31)의 하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83)는, 상기 고정부(81)의 하측면에 연결된 채, 상기 베이스부(10)에 형성된 가이드홀(L)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81)는, 상기 안착공간부(31)의 승강에 따라 연동되어 승강되며, 상기 슬라이딩부(834)에 의해 승강 경로가 종속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완충가이드부(80)를 구비하지 않는다면, 상기 안착공간부(31)는, 상기 스프링부(33)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33)가 상기 가압부(40)에 의해 하강 시 지면과 수평하게 하강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착공간부(31) 하측에 상기 완충가이드부(80)를 구비하여, 상기 안착공간부(3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스프링부(33)가 수평하게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40)는, 가압본체부(41), 승강부(43) 및 압입부(4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압본체부(41)는,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43)는, 상기 가압본체부(41)에 연결되며, 상기 요크안착부(30)의 상부측에 배치된 채, 높이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압입부(45)는, 상기 승강부(43)에 연결되며, 상기 요크(K)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가압홀(F)을 형성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압입부(45)에 상기 가압홀(F)이 형성되지 않는다면, 상기 요크안착부(30)에 안착된 상기 요크(K)의 중심축과 상기 압입부(45)의 중심축이 동일선상에 배치되지 않았을 때, 상기 압입부(45)가 상기 요크(K)를 가압하면, 상기 요크(K)가 상기 요크안착부(30)로부터 이탈되어 제대로 된 압입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압입부(45)에 상기 가압홀(F)을 형성하여, 상기 압입부(45)의 중심축과 상기 요크(K)의 중심축이 동일선상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원활하게 가압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크(K)의 상단이 상기 가압홀(F)에 삽입된 채, 상기 압입부(45)가 상기 요크(K)를 가압하므로, 상기 요크(K)가 상기 요크안착부(3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가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의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1)는, 설정입력부(50), 제어부(70) 및 알림부(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입력부(50)에는, 요크(K) 내에 압입되는 메탈부시(M)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요크(K) 내에 압입되는 메탈부시(M)가 자성에 의해 자력을 띠는지에 관한 정보를 상기 설정입력부(50)에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입력부(50)에는, 자성에 의해 자력을 띠는 제1 메탈(M1)에 관한 제1 정보 또는 자성에 의해 자력을 띠지 않는 제2 메탈(M2)에 관한 제2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설정입력부(50)에 상기 제1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삽입공간(T)에 상기 제1 메탈(M1) 삽입되었을 때만 상기 부시조립체 압입장치(1)가 압입작업을 진행하고, 상기 제2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삽입공간(T)에 상기 제2 메탈(M2) 삽입되었을 때만 상기 부시조립체 압입장치(1)가 압입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설정입력부(50)에 입력된 메탈부시(M)의 정보 및 상기 제1 감지부(60)에 의해 감지된 감지 값에 따라 발생하는 제1 경우, 제2 경우, 제3 경우 및 제4 경우에 맞춰 상기 가압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우는, 상기 설정입력부(50)에 입력된 정보값이 상기 제1 정보이고, 상기 삽입공간(T)에 삽입된 메탈부시(M)가 상기 제1-2 감지부(63)에 의해 감지된 경우이며, 이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가압부(40)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입력부(50)에 자성에 의해 자력을 띠는 제1 메탈(M1)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삽입공간(T)에 삽입된 메탈부시(M)가 자성에 반응하여 상기 제1 높이(H1) 및 상기 제2 높이(H2) 사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가압부(40)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경우는, 상기 설정입력부(50)에 입력된 정보값이 상기 제1 정보이고, 상기 삽입공간(T)에 삽입된 메탈부시(M)가 상기 제1-1 감지부(61)에 의해 감지된 경우이며, 이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가압부(40)가 구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입력부(50)에 자성에 의해 자력을 띠는 제1 메탈(M1)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삽입공간(T)에 삽입된 메탈부시(M)가 자성에 반응하지 않고 상기 지지부(21)의 상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가압부(40)가 구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3 경우는, 상기 설정입력부(50)에 입력된 정보값이 상기 제2 정보이고, 상기 삽입공간(T)에 삽입된 메탈부시(M)가 상기 제1-1 감지부(61)에 의해 감지된 경우이며, 이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가압부(40)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입력부(50)에 자성에 의해 자력을 띠지 않는 제2 메탈(M2)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삽입공간(T)에 삽입된 메탈부시(M)가 자성에 반응하지 않고 상기 지지부(21)의 상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가압부(40)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4 경우는, 상기 설정입력부(50)에 입력된 정보값이 상기 제2 정보이고, 상기 삽입공간(T)에 삽입된 메탈부시(M)가 상기 제1-2 감지부(63)에 의해 감지된 경우이며, 이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가압부(40)가 구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입력부(50)에 자성에 의해 자력을 띠지 않는 제2 메탈(M2)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삽입공간(T)에 삽입된 메탈부시(M)가 자성에 반응하여 상기 제1 높이(H1) 및 상기 제2 높이(H2) 사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가압부(40)가 구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1)는, 제2 감지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부(90)는, 상기 삽입공간(T)으로의 중간재(G)의 삽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설정입력부(50)에 입력된 메탈부시(M)의 정보, 상기 제1 감지부(60)에 의해 감지된 감지 값 및 상기 제2 감지부(90)에 의해 감지된 감지 값에 따라 발생하는 제5 경우 및 제6 경우에 맞춰 상기 가압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5 경우는, 상기 설정입력부(50)에 입력된 정보값이 상기 제1 정보이고, 상기 삽입공간(T)에 삽입된 메탈부시(M)가 상기 제1-2 감지부(63)에 의해 감지되며, 상기 삽입공간(T)에 삽입된 중간재(G)가 상기 제2 감지부(90)에 감지된 경우이고, 이 경우, 상기 제압부(70)는 상기 가압부(40)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입력부(50)에 자성에 의해 자력을 띠는 제1 메탈(M1)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삽입공간(T)에 삽입된 메탈부시(M)가 자성에 반응하여 상기 제1 높이(H1) 및 상기 제2 높이(H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삽입홀(P)에 중간재(G)가 삽입된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가압부(40)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6 경우는, 상기 설정입력부(50)에 입력된 정보값이 상기 제2 정보이고, 상기 삽입공간(T)에 삽입된 메탈부시(M)가 상기 제1-1 감지부(61)에 의해 감지되며, 상기 삽입공간(T)에 삽입된 중간재(G)가 상기 제2 감지부(90)에 감지된 경우이고, 이 경우, 상기 제압부(70)는 상기 가압부(40)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입력부(50)에 자성에 의해 자력을 띠지 않는 제2 메탈(M2)에 관한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삽입공간(T)에 삽입된 메탈부시(M)가 자성에 반응하지 않고 상기 지지부(21)의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삽입홀(P)에 중간재(G)가 삽입된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가압부(40)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조립체 압입장치(1)는, 알림부(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부(100)는, 상기 제2 경우 또는 상기 제4 경우, 사용자에게 빛 또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경우 또는 상기 제4 경우는 상기 삽입공간(T)에 잘못된 메탈부시(M)가 삽입된 경우이므로 상기 알림부(100)를 통해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사용자가 올바른 메탈부시(M)로 교체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부시조립 압입장치 10: 베이스부
20: 부시안착부 21: 기립부
23: 메탈확인부 25: 탄성부
30: 요크안착부 31: 안착공간부
33: 스프링부 40: 가압부
41: 가압본체부 43: 승강부
45: 압입부 50: 설정입력부
60: 제1 감지부 70: 제어부
80: 완충가이드부 81: 고정부
83: 슬라이딩부 90: 제2 감지부
100: 알림부 A: 부시조립체
M: 메탈부시 K: 요크
G: 중간재

Claims (9)

  1. 원형의 메탈부시와 중간재로 구성된 부시조립체를 요크 내로 압입시키기 위한 부시조립체 압입장치에 있어서,
    일정 높이에 평면을 제공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부시조립체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시안착부;
    상기 부시안착부에 연결되며, 상기 요크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요크안착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형성된 채, 상기 요크안착부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높이방향으로 승강하여 상기 요크안착부에 안착된 요크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시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부시조립체는,
    상기 요크안착부에 안착된 요크의 내측면에 위치한 채,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된 요크의 내측 장착공간으로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조립체 압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안착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되는 기립부 및
    상기 기립부의 상면으로부터 제1 높이로 형성되며, 메탈부시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메탈확인부를 구비하며,
    상기 메탈확인부는,
    상측단으로부터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까지 자성을 띠는 자성부를 형성하고,
    상기 자성부는,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된 메탈부시의 자성에 대한 자력발생 유무에 따라, 메탈부시의 상기 삽입공간에서의 배치 높이가 변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조립체 압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안착부는,
    상기 기립부와 상기 메탈확인부 사이의 은닉공간에 배치된 채, 상기 메탈확인부가 상기 은닉공간으로 삽입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메탈확인부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요크의 내측 장착공간으로 압입되는 중에, 요크의 내측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은닉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탄성 변형에 따른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며,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부시조립체는,
    상기 메탈확인부의 상기 은닉공간으로의 삽입에 의해, 상기 삽입공간으로부터 탈출한 채, 상기 장착공간에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조립체 압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확인부는,
    상기 기립부의 상면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되는 제1 확인편 및
    상기 기립부의 상면으로부터 기립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확인편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확인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확인편 및 상기 제2 확인편은,
    메탈부시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된 메탈부시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위하고,
    상기 제1 확인편은,
    상측단으로부터 상기 제2 높이까지 자성을 띠는 제1 자성편을 구비하며,
    상기 제2 확인편은,
    상측단으로부터 상기 제2 높이까지 자성을 띠는 제2 자성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조립체 압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요크 내에 압입되는 메탈부시 정보를 입력하는 설정입력부;
    상기 삽입공간으로의 메탈부시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1 감지부; 및
    상기 설정입력부에 관한 메탈부시 정보 및 상기 제1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감지 값을 기초로, 상기 가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설정입력부는,
    자성에 의해 자력을 띠는 제1 메탈에 관한 제1 정보 또는 자성에 의해 자력을 띠지 않는 제2 메탈에 관한 제2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기립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2 높이 사이의 메탈부시 유무를 감지하는 제1-1 감지부 및
    상기 제2 높이와 상기 제1 높이 사이의 메탈부시 유무를 감지하는 제1-2 감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입력부에 입력된 정보값이 상기 제1 정보이고,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메탈부시가 상기 제1-2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제1 경우, 상기 가압부가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입력부에 입력된 정보값이 상기 제1 정보이고,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메탈부시가 상기 제1-1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제2 경우, 상기 가압부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설정입력부에 입력된 정보값이 상기 제2 정보이고,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메탈부시가 상기 제1-1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제3 경우, 상기 가압부가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입력부에 입력된 정보값이 상기 제2 정보이고,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메탈부시가 상기 제1-2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제4 경우, 상기 가압부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조립체 압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우 또는 상기 제4 경우, 사용자에게 빛 또는 소리를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조립체 압입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안착부는,
    상기 기립부에 장착된 채, 상기 기립부의 외주면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승강하며, 요크의 하측단을 지지하는 안착공간부 및
    상기 기립부에 장착되고, 상측단은 상기 안착공간부의 저면에 접촉되고, 하측단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접촉된 채, 상기 안착공간부의 승강에 따라 탄성 변형되는 스프링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안착공간부가 상기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어 하강하는 경우, 압축 탄성 변형되며, 상기 안착공간부의 상기 가압부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압축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안착공간부가 상승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조립체 압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가압본체부,
    상기 가압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요크안착부의 상부측에 배치된 채, 높이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에 연결되며, 상기 요크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가압홀이 형성된 압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요크안착부를 지지한 채, 상기 요크안착부의 승강 위치를 가이드하는 완충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완충가이드부는,
    상기 안착공간부의 하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하측면에 연결된 채,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된 가이드홀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안착공간부의 승강에 따라 연동되어 승강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에 의해 승강 경로가 종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조립체 압입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간으로의 중간재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제2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입력부에 입력된 정보값이 상기 제1 정보이고,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메탈부시가 상기 제1-2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며,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중간재가 상기 제2 감지부에 감지되는 제5 경우, 상기 가압부가 구동되도록 하고,
    상기 설정입력부에 입력된 정보값이 상기 제2 정보이고,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메탈부시가 상기 제1-1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며,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중간재가 상기 제2 감지부에 감지되는 제6 경우, 상기 가압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시조립체 압입장치.
KR1020210062280A 2021-05-13 2021-05-13 부시조립체 압입장치 KR102589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280A KR102589944B1 (ko) 2021-05-13 2021-05-13 부시조립체 압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280A KR102589944B1 (ko) 2021-05-13 2021-05-13 부시조립체 압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557A true KR20220154557A (ko) 2022-11-22
KR102589944B1 KR102589944B1 (ko) 2023-10-17

Family

ID=84236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280A KR102589944B1 (ko) 2021-05-13 2021-05-13 부시조립체 압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9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93106A (zh) * 2023-02-11 2023-04-21 南通曼淇威电气有限公司 一种冷机内单相异步电机定位衬套的装配检测仪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4176B2 (ja) * 1991-05-17 1999-10-18 日本電産株式会社 予圧付加装置
KR101250085B1 (ko) 2011-03-31 2013-04-02 ( 주 ) 화신 휴대용 부시압입기
KR101503233B1 (ko) * 2013-09-30 2015-03-18 주식회사화신 부시 압입장치
KR101649508B1 (ko) * 2016-05-13 2016-08-19 송준석 자동압입기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KR102091812B1 (ko) * 2019-09-05 2020-03-20 맹주은 조향장치용 마운팅 부시 압입 장치
KR102134113B1 (ko) * 2020-03-10 2020-07-23 이도영 자동차 시트 모터용 기어조립체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4176B2 (ja) * 1991-05-17 1999-10-18 日本電産株式会社 予圧付加装置
KR101250085B1 (ko) 2011-03-31 2013-04-02 ( 주 ) 화신 휴대용 부시압입기
KR101503233B1 (ko) * 2013-09-30 2015-03-18 주식회사화신 부시 압입장치
KR101649508B1 (ko) * 2016-05-13 2016-08-19 송준석 자동압입기 및 이를 이용한 조립방법
KR102091812B1 (ko) * 2019-09-05 2020-03-20 맹주은 조향장치용 마운팅 부시 압입 장치
KR102134113B1 (ko) * 2020-03-10 2020-07-23 이도영 자동차 시트 모터용 기어조립체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93106A (zh) * 2023-02-11 2023-04-21 南通曼淇威电气有限公司 一种冷机内单相异步电机定位衬套的装配检测仪
CN115993106B (zh) * 2023-02-11 2023-11-21 南通曼淇威电气有限公司 一种冷机内单相异步电机定位衬套的装配检测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9944B1 (ko) 202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54557A (ko) 부시조립체 압입장치
KR102069126B1 (ko) 안전진단용 콘크리트 균열폭 측정장치
EP1477245B1 (en) Successive forming device
KR101668318B1 (ko) 스냅링 자동 조립장치
WO2014049881A1 (ja) 検査部材、検査装置、検査方法、及び取付装置
US11402035B2 (en) Clamping device equipped with lifting function
KR101439971B1 (ko) 유니버셜 조인트의 볼베어링 조립 및 검사장치
KR102102928B1 (ko) 목재 판넬 가공 장치
CN101953054B (zh) 导线埋入装置及导线埋入方法
KR20160001001A (ko) 웰딩너트 부착상태 검사장치
KR102320152B1 (ko) 목재 판넬 가공 장치
CN108548511B (zh) 一种焊机检测装置以及自动化焊机
CN101200032B (zh) 夹具升降装置
KR102039800B1 (ko) 중공암의 스프링 백 현상을 보정하여 부시를 압입하는 장치
KR20080004275A (ko) 피어싱 펀치의 센터링장치
KR102091812B1 (ko) 조향장치용 마운팅 부시 압입 장치
KR100705264B1 (ko) 하이드로포밍 튜브의 용접부 자동 정렬장치
CN207095452U (zh) 一种多连杆的检测装置
KR101906519B1 (ko) 샤프트의 홈 측정장치
KR20160099230A (ko) 프레스용 피어싱 다이세트
CN105921979A (zh) 压壳工装
KR20210017766A (ko) 핀 압입 툴
CN112205098B (zh) 用于压机的压头
KR20200144668A (ko)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
CN114619225B (zh) 链条盖装配加工装置及链条盖装配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