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264B1 -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 - Google Patents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264B1
KR102091264B1 KR1020180034338A KR20180034338A KR102091264B1 KR 102091264 B1 KR102091264 B1 KR 102091264B1 KR 1020180034338 A KR1020180034338 A KR 1020180034338A KR 20180034338 A KR20180034338 A KR 20180034338A KR 102091264 B1 KR102091264 B1 KR 102091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chate
unit
greenhouse
evapora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2400A (ko
Inventor
류성열
성동제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주)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성 filed Critical (주)유성
Priority to KR1020180034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264B1/ko
Publication of KR20190112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using solar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43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48Purification of waste water by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synthetic organic sorb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6Contaminated groundwater or leach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8Off-grid powered water treatment
    • Y02A20/212Solar-powered wastewater sewage treatment, e.g. spray evapo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에 관한 것으로, 비닐하우스 또는 유리 온실 내의 온도 증가를 이용하여 공기 중 포화농도 증가를 통하여 매립지에서 발생 되는 침출수를 증발 및 건조 시키는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는, 태양열을 통하여 내부의 온도가 증가 되도록 하는 하우징부(100); 상기 하우징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공급부(200); 상기 하우징부(100)와 연결배치되어 매립지 폐기물에서 발생 되는 침출수(10)가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면서 배수되는 침출수(10)가 순환되어 다시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침출수순환부(300); 상기 침출수순환부(300)로부터 공급되는 침출수(10)가 흡착 및 증발되도록 하는 증발건조부(400); 및 상기 증발건조부(400)에 의해 건조되면서 기화되는 침출수(10)가 탈취된 후 하우징부(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탈취부(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DRYING EQUIPMENT OF LEACHATE VAPORIZATION}
본 발명은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에 관한 것으로, 비닐하우스 또는 유리 온실 내의 온도 증가를 이용하여 공기 중 포화농도 증가를 통하여 매립지에서 발생 되는 침출수를 증발 및 건조 시키는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가 급속하게 이루어지면서 각종 산업폐기물의 발생이 매년 증가 되고 있으며, 또한, 생활환경이 급변하고 식생활에서 인스턴트식품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면서 이에 따른 생활쓰레기 또한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다.
이렇게 발생 되는 생활쓰레기 및 산업쓰레기의 처리방법으로는 쓰레기를 태워서 처리하는 소각방법과 지정된 장소에 쓰레기를 매립하는 매립방법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소각방법으로 쓰레기를 처리할 경우에는 처리능력의 한계와 함께 초기 시설투자비가 많이 소요되며, 쓰레기를 소각할 때 유해가스가 많이 발생되어 최근까지도 매립방법을 이용한 쓰레기 처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매립되는 매립지를 안정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며, 그 방법으로는 slurry walls, sheet pile, landfillcapping 등의 공법이 시행되고 있다.
종래의 매립시설은 측면둘레를 따라 연직차수벽 및 제방을 설치하고 바닥면 을 깊게 파 바닥 차수층을 설치하며, 상기 바닥 차수 층에는 침출수 집수관을 설치하거나 또는 바닥 차수층 자체를 집수정 쪽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쓰레기 등이 매립된 매립 층에서 발생 되는 오폐수 등의 침출수가 상기 침출수집수관 또는 경사진 바닥차수층을 따라 집수정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집수정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침출수는 이송관을 통하여 인근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보내져 정화 처리된 후 정화된 물만 하천으로 방류하도록 되어 있다.
최근의 일반적인 침출수 처리의 경우 혐기성이나 호기성 등의 생물학적 처리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매립장에서 발생하는 침출수 내에는 난분해성 물질과 염분의 농도가 높아 생물학적인 처리 방법만으로는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어 대부분의 침출수 배출수 수질은 법규 기준 이내로 처리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일부 매립장에서는 활성탄 흡착법, 펜톤 산화법 등의 고도처리시설을 도입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유기물 등의 제거 효율은 좋은데 반하여 침출수 내에 함유되어 있는 암모니아성 질소 등과 같은 용존 이온성 불순물을 강화된 배출 허용 기준치 내로 처리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역삼투막을 이용한 분리막법의 도입을 시도하고 있는데, 이런 경우, 시설 투자비와 운전비가 비싸고 역삼투막의 막오염 심화로 인한 문제점으로 말미암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매립지에서 발생 되는 침출수를 정화 시키고, 정화 시키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인체에 해로운 가스들을 처리하기 위한 기존의 설비들은 침출수를 정화 시키는데에 따른 지속적인 비용이 과도하게 지출되는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기존의 폐기물 정화 설비나 매립지 침출수 정화 설비를 운영하는 데에도 많은 양의 에너지 소모가 지속적으로 과도하게 발생 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인력도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공개특허 10-2012-0076839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는, 매립지에서 발생 되는 침출수를 친환경적으로 처리 시키면서도 용이하게 시설을 설치하고, 최초 투자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는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는, 태양광을 활용하여 매립지에서 발생 되는 침출수를 지속적으로 처리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친환경적으로 처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는, 태양광 에너지를 활용하여 처리설비에 필요한 에너지를 사용하고,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 인력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하는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는, 태양열을 통하여 내부의 온도가 증가 되도록 하는 하우징부(100); 상기 하우징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공급부(200); 상기 하우징부(100)와 연결배치되어 매립지 폐기물에서 발생 되는 침출수(10)가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면서 배수되는 침출수(10)가 순환되어 다시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침출수순환부(300); 상기 침출수순환부(300)로부터 공급되는 침출수(10)가 흡착 및 증발되도록 하는 증발건조부(400); 및 상기 증발건조부(400)에 의해 건조되면서 기화되는 침출수(10)가 탈취된 후 하우징부(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탈취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부(100)는, 투명소재의 합성수지 또는 유리재질로 이루어져 채광되는 태양광이 투과되면서 상기 하우징부(100) 내부의 침출수(10)가 태양열에 의해 발생 되는 열기로 인하여 기화될 수 있도록 하는 온실(110)과, 상기 온실(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침출수(10)가 기화되어 온실(110)의 외부로 배기 될 수 있도록 하는 온실배기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풍공급부(200)는, 상기 하우징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송풍기(210)와, 상기 송풍기(210)와 연결되면서 상기 하우징부(100)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온풍을 상기 증발건조부(400)에 공급하는 송풍배관(220)과, 상기 송풍배관(220)에 다수 개가 구비되어 온풍이 상기 하우징부(100)의 하부에서 상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온풍노즐(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침출수순환부(300)는, 상기 하우징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침출수(10)를 공급하는 공급기(310)와, 상기 공급기(310)와 연결되면서 상기 하우징부(100)의 상기 증발건조부(400) 상부에 배치되어 침출수(10)가 증발건조부(40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침출수배관(320)과, 상기 침출수배관(320)에 다수 개가 구비되어 침출수(10)가 상기 증발건조부(400)에 분사 되도록 하는 침출수노즐(330)과, 상기 증발건조부(400)를 거친 침출수(10)가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침출수배수구(340)와, 상기 침출수배수구(340)와 연결되면서 상기 하우징부(100) 외부의 공급기(310)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부(100)에서 배수되는 침출수(10)가 다시 공급기(31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침출수순환관(3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건조부(400)는, 상기 하우징부(100)의 바닥면에서 상 방향으로 철봉 형태로 다수 개가 구비되는 지지암(410)과, 각각의 상기 지지암(410)에 걸쳐지면서 상기 침출수(10)를 흡수하고 이물질이 흡착되도록 하는 흡착체(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암(410)은, 상기 하우징부(100)의 바닥면에서 상 방향으로 한 쌍이 이격 되게 배치되는 수직암(412)과, 상기 수직암(412)을 상호 연결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암(414)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암(412)은, 상기 수직암(412) 내경에 연결되면서 상기 수평암(414)에 연결되되, 안테나 형태로 다수 개가 유압 또는 공압을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높이조절암(416)을 더 포함하며, 상기 흡착체(420)는, 부직포 또는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탈취부(500)는, 상기 온실배기구(120)에 설치되어 상기 온실배기구(120)를 통하여 온실(110)의 외부로 배기되는 기체의 오염물을 제거하고 탈취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건조부(400)는, 상기 온실(110)의 내벽에서 내측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온실(110)의 내벽 면에 달라붙은 액체 상태의 침출수(10)가 온실(110)의 내벽을 타고 흘러내릴 경우 집수 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집수실(450)과, 상기 집수실(450)에 설치되어 상기 집수실(450)에 집수 된 액상의 침출수(10)에 전기에너지를 통하여 열을 공급하여 증발되도록 하는 전열선(4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100)는, 상기 온실(110)의 내부 벽면에 고정되는 반사판지지암(180)과, 상기 반사판지지암(180)에 지지 되어 상기 하우징부(100) 내부로 채광되는 태양광을 증발건조부(400)에 조사할 수 있도록 태양광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반사판(170)과, 상기 반사판지지암(180)에서 상기 반사판(170)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반사판지지암(180)을 관통하면서 상기 반사판(170)의 회전 축이 되는 회전핀(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는, 매립지에서 발생 되는 침출수를 처리 시키면서도 용이하게 처리 설비를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기 때문에 친환경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처리설비를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는, 태양광을 활용하여 매립지에서 발생 되는 침출수를 지속적으로 처리 시키기 때문에 이에 따른 침출수 처리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는, 태양광 에너지를 활용하여 매립지의 침출수를 처리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그에 따른 처리설비 유지비용과 인력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의 또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비닐하우스 또는 유리 온실 내의 온도 증가를 이용하여 공기 중 포화농도 증가를 통하여 매립지에서 발생 되는 침출수를 증발 및 건조 시키는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특히, 증발건조부]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는, 태양열을 통하여 내부의 온도가 증가 되도록 하는 하우징부(100); 상기 하우징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공급부(200); 상기 하우징부(100)와 연결배치되어 매립지 폐기물에서 발생 되는 침출수(10)가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면서 배수되는 침출수(10)가 순환되어 다시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침출수순환부(300); 상기 침출수순환부(300)로부터 공급되는 침출수(10)가 흡착 및 증발되도록 하는 증발건조부(400); 및 상기 증발건조부(400)에 의해 건조되면서 기화되는 침출수(10)가 탈취된 후 하우징부(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탈취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100)는, 태양광이 채광되면서 태양열이 하우징부(100) 내에서 지속적인 열을 발생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부(100)는, 투명소재의 합성수지 또는 유리재질로 이루어져 채광되는 태양광이 투과되면서 상기 하우징부(100) 내부의 침출수(10)가 태양열에 의해 발생 되는 열기로 인하여 기화될 수 있도록 하는 온실(110)과, 상기 온실(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침출수(10)가 기화되어 온실(110)의 외부로 배기 될 수 있도록 하는 온실배기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온실(110)은 투명소재의 합성수지 또는 유리재질로 이루어져 채광되는 태양광이 온실(110)에 투과되면서 온실(110) 내부가 태양열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온실(110) 내부로 유입된 매립지 폐기물에서 발생 되는 침출수(10)를 증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온실배기구(120)는, 상기 온실(110) 내의 침출수(10)가 증발되면서 발생 되는 기체가 온실(110) 내에서 승강 되어 상기 탈취부(500)를 통하여 처리된 후 온실(110)의 외부로 배기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온실(110) 내의 침출수(10)가 증발되면서 발생 되는 기체가 온실(110) 내에서 승강 되어 상기 탈취부(500)를 통하여 처리 된다는 것은 정화된다는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실(110)은 태양광이 채광되어 태양열로 인해 온실(110) 내부의 온도가 15 내지 25℃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상기 온풍공급부(200)의 온풍 공급을 통하여 필요에 따라 20 내지 35℃의 온도를 유지 가능하며, 밤 시간에도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온풍공급부(200)는, 상기 하우징부(100)의 온실(110) 내부 온도를 태양열에 더해져 사용자가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온풍공급부(200)는, 상기 하우징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송풍기(210)와, 상기 송풍기(210)와 연결되면서 상기 하우징부(100)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온풍을 상기 증발건조부(400)에 공급하는 송풍배관(2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풍공급부(200)는, 상기 송풍배관(220)에 다수 개가 구비되어 온풍이 상기 하우징부(100)의 하부에서 상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온풍노즐(2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풍기(210)는 상기 온실(110)의 양측 입구에 2개 이상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온실(110)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송풍배관(220)은 상기 송풍기(210)와 연결되면서, 온실(110)의 바닥 면에 배치되어 송풍기(210)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이 온실(110) 내의 전 지역에 분산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온풍노즐(230)은 상기 송풍배관(220)에 다수 개가 배치되어 상기 송풍배관(220)의 온풍이 온풍노즐(230)을 통하여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상기 증발건조부(40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온풍노즐(230)은 상기 증발건조부(400)에 균일하게 온풍을 공급하여 증발건조부(400)에 흡수된 침출수(10)가 증발되어 기화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송풍배관(220)과 온풍노즐(230)에 의해 상기 증발건조부(400)에 흡착 및 흡수되는 침출수(10)가 건조 및 증발되어 기화되면서 상기 탈취부(500)를 통하여 처리된 후 온실배기구(120)를 통하여 온실(110) 외부로 배기 되게 된다.
특히, 상기 송풍기(210)는 사업장의 규모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1개가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송풍기(21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온실(110) 내부가 과도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온의 바람 또는 냉풍이 공급되도록 냉풍기(미도시)로 대체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온실(110)에 온풍을 공급하는 송풍기(210)와 더불어 추가로 냉풍을 공급하는 냉풍기가 구비되어 날씨의 변화에 따라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침출수순환부(300)는, 상기 하우징부(100)와 연결배치되어 매립지 폐기물에서 발생 되는 침출수(10)가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면서 배수되는 침출수(10)가 순환되어 다시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침출수순환부(300)는, 상기 하우징부(100) 온실(1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온실(110) 내부에 배치되는 증발건조부(400)에 침출수(10)를 분사하여 침출수(10)가 증발건조부(400)에 균일하게 흡착 및 흡수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침출수순환부(300)는, 상기 하우징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침출수(10)를 공급하는 공급기(310)와, 상기 공급기(310)와 연결되면서 상기 하우징부(100)의 상기 증발건조부(400) 상부에 배치되어 침출수(10)가 증발건조부(40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침출수배관(3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침출수순환부(300)는, 상기 침출수배관(320)에 다수 개가 구비되어 침출수(10)가 상기 증발건조부(400)에 분사되도록 하는 침출수노즐(330)과, 상기 증발건조부(400)를 거친 침출수(10)가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침출수배수구(340)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침출수순환부(300)는, 상기 침출수배수구(340)와 연결되면서 상기 하우징부(100) 외부의 공급기(310)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부(100)에서 배수되는 침출수(10)가 다시 공급기(31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침출수순환관(3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급기(310)는, 상기 온실(110)의 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온실(110) 내부로 침출수(10)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침출수배관(320)은, 상기 공급기(310)에서 공급되는 침출수(10)가 상기 증발건조부(40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분산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건조부(400)의 상부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침출수노즐(330)은, 상기 침출수배관(320)에 다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침출수배관(320)에서 공급되는 침출수(10)가 증발건조부(400)에 고르게 분사될 수 있도록 구비되면서 침출수(10)를 증발건조부(400)에 분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침출수배수구(340)는, 상기 침출수노즐(330)에 의해 상기 증발건조부(400)에 분사되는 침출수(10) 중 증발건조부(400)에 부분적으로 흡수되지 못한 침출수(10)가 상기 온실(110)의 하부로 흘러내리면서 온실(110)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침출수순환관(350)은, 상기 침출수배수구(340)와 연결되어 상기 침출수배수구(340)를 통하여 온실(110) 외부로 배수된 침출수(10)가 다시 상기 공급기(310)로 이송 및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침출수순환관(350)의 일측은 상기 침출수배수구(340)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공급기(310)에 연결되어 상기 온실(10)에서 배수된 침출수(10)는 침출수순환관(350)을 통하여 온실(10)로 다시 진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증발건조부(400)는, 상기 하우징부(100)의 바닥면에서 상 방향으로 철봉 형태로 다수 개가 구비되는 지지암(410)과, 각각의 상기 지지암(410)에 걸쳐지면서 상기 침출수(10)를 흡수하고 이물질이 흡착되도록 하는 흡착체(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암(410)은 하우징부(100) 온실(110)의 바닥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되, 철봉 형태로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착체(420)는 상기 지지암(410)에 걸쳐진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침출수노즐(330)에서 분사되는 침출수(10)가 상기 흡착체(420)에 흡착 및 흡수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흡착체(420)는, 부직포나 면소재 또는 합성수지나 섬유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침출수(10)가 원활하게 흡착 및 흡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지지암(410)은 상기 흡착체(420)를 원활하게 거치할 수 있다면 형태가변이 가능한 로프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탈취부(500)는, 상기 온실배기구(120)에 설치되어 상기 온실배기구(120)를 통하여 온실(110)의 외부로 배기되는 기체의 오염물을 제거하고 탈취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5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510)는, 상기 침출수노즐(330)에서 분사되는 침출수(10)가 상기 흡착체(420)에 흡착 및 흡수된 상태로 상기 온실(110) 내의 태양열과 온풍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에 의해 건조되면서 기화되어 상기 온실배기구(120)로 배기 될 경우, 오염된 공기가 배기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염공기를 처리 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필터(510)는 온실배기구(120)에 구비되어 상기 온실배기구(120)로 배기 되는 오염된 공기가 필터(510)를 거친 후에야 온실배기구(120)를 통하여 온실(110)의 외부로 배기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필터(510)는 오염공기의 탈취를 위한 활성탄 필터나 암모니아와 질소가 제거될 수 있는 필터가 사용될 수 있고, 탈취 및 암모니아와 질소제거가 가능하다면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온풍공급부(200)에 의해 온풍이 상기 온실(110)에서 유동 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송풍기(210)가 온실(110)의 양측 입구와 인접한 곳에 두 개 이상 배치되고, 상기 송풍기(210)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은 온실(110)의 바닥에 배치되는 송풍배관(220)을 통하여 온실(110)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송풍배관(220)으로 공급되는 온풍은 상기 송풍배관(220)에 다수 개가 구비되는 상기 온풍노즐(230)을 통하여 다수 개의 상기 지지암(410)에 각각 걸쳐져 있는 상기 흡착체(420)에 온풍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온풍노즐(230)에서 흡착체(420)에 공급되는 온풍은 온실(110)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온풍노즐(230)에서 흡착체(420)로 온풍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흡착체(420)에 흡착 및 흡수되는 침출수(10)는 건지 및 증발되어 기화되면서 상기 탈취부(500)의 필터(510)에 의해 기체가 처리된 후 상기 온실(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온실배기구(120)를 통하여 온실(110)의 외부로 배기되게 된다.
한편, 상기 침출수순환부(300)에 의해 침출수(10)가 상기 온실(110)에서 유동 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매립지에서 발생 되는 침출수(10)는 온실(110)의 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공급기(310)를 통하여 온실(110)의 외부에서 내부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공급기(310)의 침출수(10)는 상기 온실(110) 내의 상기 지지암(410)에 걸쳐져 있는 상기 흡착체(4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침출수배관(320)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침출수배관(320)으로 공급된 침출수(10)는 상기 침출수배관(320)에 다수 개가 구비되는 침출수노즐(330)을 통하여 다수 개의 상기 지지암(410)에 각각 걸쳐져 있는 상기 흡착체(420) 마다 침출수(10)를 분사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침출수배관(320)에 다수 개가 구비되는 침출수노즐(330)에 의해 고르게 상기 흡착체(420)에 침출수(10)를 분사하게 되어, 상기 온실(110) 내의 태양열과 상기 온풍공급부(200)로부터 공급받는 온풍에 의해 침출수(10)가 흡착체(420) 상에서 원활하게 건조 및 증발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흡착체(420)에서 흡착 및 흡수되지 못하고, 증발되지 못한 침출수(10)는 상기 온실(110)의 하부로 흘러 내려 상기 침출수배수구(340)로 배수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침출수배수구(340)로 배수된 침출수(10)는 상기 침출수배수구(340)와 연결되는 상기 침출수순환관(350)으로 유동 되어 다시 침출수순환관(350)에서 공급기(310)로 유동 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공급기(310)로 유동 되는 침출수(10)는 외부의 침출수(10)와 합쳐져 다시 침출수배관(320)으로 공급되면서 순환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는, 태양열을 통하여 내부의 온도가 증가 되도록 하는 하우징부(100); 상기 하우징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공급부(200); 상기 하우징부(100)와 연결배치되어 매립지 폐기물에서 발생 되는 침출수(10)가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면서 배수되는 침출수(10)가 순환되어 다시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침출수순환부(300); 상기 침출수순환부(300)로부터 공급되는 침출수(10)가 흡착 및 증발되도록 하는 증발건조부(400); 및 상기 증발건조부(400)에 의해 건조되면서 기화되는 침출수(10)가 탈취된 후 하우징부(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탈취부(500);를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건조부(400)는, 상기 하우징부(100)의 바닥면에서 상 방향으로 철봉 형태로 다수 개가 구비되는 지지암(410)과, 각각의 상기 지지암(410)에 걸쳐지면서 상기 침출수(10)를 흡수하고 이물질이 흡착되도록 하는 흡착체(4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암(410)은 하우징부(100) 온실(110)의 바닥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되, 철봉 형태로 구비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암(410)은, 상기 하우징부(100)의 바닥면에서 상 방향으로 한 쌍이 이격 되게 배치되는 수직암(412)과, 상기 수직암(412)을 상호 연결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암(4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암(412)은, 상기 수직암(412) 내경에 연결되면서 상기 수평암(414)에 연결되되, 안테나 형태로 다수 개가 유압 또는 공압을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높이조절암(416)을 더 포함하며, 상기 흡착체(420)는, 부직포 또는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암(416)은, 상기 침출수(10)의 유입 양에 따라 상기 수평암(414)의 수평 높이를 조절하고, 상기 수평암(414)이 승강 되면 상기 흡착체(420)도 상대적으로 긴 흡착체(420)를 수평암(414)에 걸쳐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수평암(414)이 하강 되면 상기 흡착체(420)도 상대적으로 짧은 흡착체(420)를 수평암(414)에 걸쳐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증발건조부(400)에 공급되는 침출수(10)의 양이 많을 경우, 상기 높이조절암(416)이 승강 되도록 하여 수평암(414)이 연동 되면서 승강 되도록 하여 상기 수직암(412)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도록 하여, 보다 긴 흡착체(420)가 수평암(414)에 걸쳐지도록 하여 침출수(10)가 흡착체(420)에 흡착되는 양이 많아지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증발건조부(400)에 공급되는 침출수(10)의 양이 적을 경우, 상기 높이조절암(416)이 하강 되도록 하여 수평암(414)이 연동 되면서 하강 되도록 하여 상기 수직암(412)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도록 하여, 보다 짧은 흡착체(420)가 수평암(414)에 걸쳐지도록 하여 침출수(10)가 흡착체(420)에 흡착되는 양이 적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증발건조부(400)에 공급되는 침출수(10)의 양에 따라 흡착체(420)의 사용양을 조절함으로써, 소모되는 재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의 또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는, 태양열을 통하여 내부의 온도가 증가 되도록 하는 하우징부(100); 상기 하우징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공급부(200); 상기 하우징부(100)와 연결배치되어 매립지 폐기물에서 발생 되는 침출수(10)가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면서 배수되는 침출수(10)가 순환되어 다시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침출수순환부(300); 상기 침출수순환부(300)로부터 공급되는 침출수(10)가 흡착 및 증발되도록 하는 증발건조부(400); 및 상기 증발건조부(400)에 의해 건조되면서 기화되는 침출수(10)가 탈취된 후 하우징부(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탈취부(500);를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100)는, 투명소재의 합성수지 또는 유리재질로 이루어져 채광되는 태양광이 투과되면서 상기 하우징부(100) 내부의 침출수(10)가 태양열에 의해 발생 되는 열기로 인하여 기화될 수 있도록 하는 온실(110)과, 상기 온실(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침출수(10)가 기화되어 온실(110)의 외부로 배기 될 수 있도록 하는 온실배기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건조부(400)는, 상기 온실(110)의 내벽에서 내측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온실(110)의 내벽 면에 달라붙은 액체 상태의 침출수(10)가 온실(110)의 내벽을 타고 흘러내릴 경우 집수 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집수실(4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건조부(400)는, 상기 집수실(450)에 설치되어 상기 집수실(450)에 집수 된 액상의 침출수(10)에 전기에너지를 통하여 열을 공급하여 증발되도록 하는 전열선(4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수실(450)은, 상기 온실(110) 내에서 상기 증발건조부(400)에 흡착 및 흡수되는 침출수(10)가 증발되는 과정에서 상기 온실(110)의 내벽면에 달라붙어 뭉치면서 액체 상태가 된 채로 온실(110)의 내 벽면을 따라 하 방향으로 흐를경우, 그 흐르는 침출수(10)가 집수 되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집수실(450)에 집수 되는 침출수(10)는 상기 온실(110) 내의 태양열과 온풍공급부(200)에서 온실(110) 내로 공급되는 온풍에 의해 부분적으로 증발되어 기화되면서 상기 온실배기구(120)로 배기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전열선(460)은 전기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사용되면서 열에너지를 통하여 상기 집수실(450)에 집수 되는 침출수(10)를 증발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집수실(450)에 집수 된 침출수(10)는 상기 집수실(450)의 외면에 설치되는 전열선(460)의 열기에 의해 증발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전열선(460)의 열기와 온실(110) 내부의 온풍 및 태양열에 의해 상기 집수실(450)에 집수 된 침출수(10)가 증발되면서 기화되면 상기 탈취부(500)에 의해 탈취된 후 상기 온실배기구(120)로 배기 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의 다른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는, 태양열을 통하여 내부의 온도가 증가 되도록 하는 하우징부(100); 상기 하우징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공급부(200); 상기 하우징부(100)와 연결배치되어 매립지 폐기물에서 발생 되는 침출수(10)가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면서 배수되는 침출수(10)가 순환되어 다시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침출수순환부(300); 상기 침출수순환부(300)로부터 공급되는 침출수(10)가 흡착 및 증발되도록 하는 증발건조부(400); 및 상기 증발건조부(400)에 의해 건조되면서 기화되는 침출수(10)가 탈취된 후 하우징부(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탈취부(500);를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100)는, 투명소재의 합성수지 또는 유리재질로 이루어져 채광되는 태양광이 투과되면서 상기 하우징부(100) 내부의 침출수(10)가 태양열에 의해 발생 되는 열기로 인하여 기화될 수 있도록 하는 온실(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100)는, 상기 온실(110)의 내부 벽면에 고정되는 반사판지지암(180)과, 상기 반사판지지암(180)에 지지 되어 상기 하우징부(100) 내부로 채광되는 태양광을 증발건조부(400)에 조사할 수 있도록 태양광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반사판(170)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하우징부(100)는, 상기 반사판지지암(180)에서 상기 반사판(170)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반사판지지암(180)을 관통하면서 상기 반사판(170)의 회전 축이 되는 회전핀(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판지지암(180)은, 상기 온실(110)의 내부 벽면에 고정 배치되면서 상기 반사판(17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반사판지지암(180)은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반사판(170) 또한 다수 개가 배치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반사판(170)은, 상기 온실(110)에 채광되는 태양광이 온실(110) 내부에서 상기 반사판(170)에 반사되면서 상기 증발건조부(400)에 추가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증발건조부(400)에 흡수된 침출수(10)의 증발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출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반사판(170)은 태양광이 상기 증발건조부(400)에 태양광을 반사하는 반사효율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회전핀(190)을 통하여 다양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반사판(170)은 태양광을 반사하면서 태양광이 증발건조부(40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침출수(10)의 증발을 보조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는, 매립지에서 발생 되는 침출수를 처리 시키면서도 용이하게 처리 설비를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기 때문에 친환경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처리설비를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태양광을 활용하여 매립지에서 발생 되는 침출수를 지속적으로 처리 시키기 때문에 이에 따른 침출수 처리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더불어, 태양광 에너지를 활용하여 매립지의 침출수를 처리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그에 따른 처리설비 유지비용과 인력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침출수
100 : 하우징부 110 : 온실
120 : 온실배기구 170 : 반사판
180 : 반사판지지암 190 : 회전핀
200 : 온풍공급부 210 : 송풍기
220 : 송풍배관 230 : 온풍노즐
300 : 침출수순환부 310 : 공급기
320 : 침출수배관 330 : 침출수노즐
340 : 침출수배수구 350 : 침출수순환관
400 : 증발건조부 410 : 지지암
420 : 흡착체 450 : 집수실
460 : 전열선
500 : 탈취부 510 : 필터

Claims (9)

  1. 태양열을 통하여 내부의 온도가 증가 되도록 하는 하우징부(100);
    상기 하우징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공급부(200);
    상기 하우징부(100)와 연결배치되어 매립지 폐기물에서 발생 되는 침출수(10)가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면서 배수되는 침출수(10)가 순환되어 다시 상기 하우징부(10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침출수순환부(300);
    상기 침출수순환부(300)로부터 공급되는 침출수(10)가 흡착 및 증발되도록 하는 증발건조부(400); 및
    상기 증발건조부(400)에 의해 건조되면서 기화되는 침출수(10)가 탈취된 후 하우징부(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탈취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온풍공급부(200)는,
    상기 하우징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는 송풍기(210)와,
    상기 송풍기(210)와 연결되면서 상기 하우징부(100)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온풍을 상기 증발건조부(400)에 공급하는 송풍배관(220)과,
    상기 송풍배관(220)에 다수 개가 구비되어 온풍이 상기 하우징부(100)의 하부에서 상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온풍노즐(230)을 포함하는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00)는,
    투명소재의 합성수지 또는 유리재질로 이루어져 채광되는 태양광이 투과되면서 상기 하우징부(100) 내부의 침출수(10)가 태양열에 의해 발생 되는 열기로 인하여 기화될 수 있도록 하는 온실(110)과,
    상기 온실(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침출수(10)가 기화되어 온실(110)의 외부로 배기 될 수 있도록 하는 온실배기구(120)를 포함하는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출수순환부(300)는,
    상기 하우징부(1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침출수(10)를 공급하는 공급기(310)와,
    상기 공급기(310)와 연결되면서 상기 하우징부(100)의 상기 증발건조부(400) 상부에 배치되어 침출수(10)가 증발건조부(40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침출수배관(320)과,
    상기 침출수배관(320)에 다수 개가 구비되어 침출수(10)가 상기 증발건조부(400)에 분사 되도록 하는 침출수노즐(330)과,
    상기 증발건조부(400)를 거친 침출수(10)가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침출수배수구(340)와,
    상기 침출수배수구(340)와 연결되면서 상기 하우징부(100) 외부의 공급기(310)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부(100)에서 배수되는 침출수(10)가 다시 공급기(31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침출수순환관(350)을 포함하는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건조부(400)는,
    상기 하우징부(100)의 바닥면에서 상 방향으로 철봉 형태로 다수 개가 구비되는 지지암(410)과,
    각각의 상기 지지암(410)에 걸쳐지면서 상기 침출수(10)를 흡수하고 이물질이 흡착되도록 하는 흡착체(420)를 포함하는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410)은,
    상기 하우징부(100)의 바닥면에서 상 방향으로 한 쌍이 이격 되게 배치되는 수직암(412)과,
    상기 수직암(412)을 상호 연결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암(414)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암(412)은,
    상기 수직암(412) 내경에 연결되면서 상기 수평암(414)에 연결되되, 안테나 형태로 다수 개가 유압 또는 공압을 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높이조절암(416)을 더 포함하며,
    상기 흡착체(420)는,
    부직포 또는 합성수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500)는,
    상기 온실배기구(120)에 설치되어 상기 온실배기구(120)를 통하여 온실(110)의 외부로 배기되는 기체의 오염물을 제거하고 탈취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510)를 포함하는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건조부(400)는,
    상기 온실(110)의 내벽에서 내측 수평방향으로 돌출형성되되 상기 온실(110)의 내벽 면에 달라붙은 액체 상태의 침출수(10)가 온실(110)의 내벽을 타고 흘러내릴 경우 집수 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집수실(450)과,
    상기 집수실(450)에 설치되어 상기 집수실(450)에 집수 된 액상의 침출수(10)에 전기에너지를 통하여 열을 공급하여 증발되도록 하는 전열선(460)을 포함하는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00)는,
    상기 온실(110)의 내부 벽면에 고정되는 반사판지지암(180)과,
    상기 반사판지지암(180)에 지지 되어 상기 하우징부(100) 내부로 채광되는 태양광을 증발건조부(400)에 조사할 수 있도록 태양광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반사판(170)과,
    상기 반사판지지암(180)에서 상기 반사판(170)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반사판지지암(180)을 관통하면서 상기 반사판(170)의 회전 축이 되는 회전핀(190)을 더 포함하는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
KR1020180034338A 2018-03-26 2018-03-26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 KR102091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338A KR102091264B1 (ko) 2018-03-26 2018-03-26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338A KR102091264B1 (ko) 2018-03-26 2018-03-26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400A KR20190112400A (ko) 2019-10-07
KR102091264B1 true KR102091264B1 (ko) 2020-03-19

Family

ID=68422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338A KR102091264B1 (ko) 2018-03-26 2018-03-26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2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3460A (ja) * 2000-10-06 2002-04-16 Ohbayashi Corp 浸出液処理水の最終処分方法
JP2003181445A (ja) * 2001-12-19 2003-07-02 Ohbayashi Corp 浸出水処理水の最終処分方法
JP2003181446A (ja) * 2001-12-19 2003-07-02 Ohbayashi Corp 浸出水処理水の最終処分方法
JP2003300061A (ja) * 2002-04-09 2003-10-21 Ohbayashi Corp 廃棄物処分場における浸出水の最終処分施設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839A (ko) 2010-12-30 2012-07-10 김영기 침출수 증발방식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3460A (ja) * 2000-10-06 2002-04-16 Ohbayashi Corp 浸出液処理水の最終処分方法
JP2003181445A (ja) * 2001-12-19 2003-07-02 Ohbayashi Corp 浸出水処理水の最終処分方法
JP2003181446A (ja) * 2001-12-19 2003-07-02 Ohbayashi Corp 浸出水処理水の最終処分方法
JP2003300061A (ja) * 2002-04-09 2003-10-21 Ohbayashi Corp 廃棄物処分場における浸出水の最終処分施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400A (ko) 201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39555T3 (es) Dispositivo de secado de productos tales como particularmente lodos de estaciones depuradoras.
CN102807395A (zh) 一种生活垃圾生物堆肥成套装置及方法
JP3952768B2 (ja) 処理水の最終処分方法
CN203333455U (zh) 一种多层温室型热风联合太阳能污泥干化棚
JPH01242186A (ja) 蒸発散式排水処理装置
US10730808B2 (en) Self-deodorizing composting system
KR102091264B1 (ko) 침출수 증발 건조 설비
CN202107604U (zh) 一种污泥资源化处理装置
KR101224524B1 (ko) 저에너지 소비형 악취 제거기능을 갖춘 공공하수시설용 생물반응조의 보온덮개 시스템
CN101454248B (zh) 卫生间人类排泄物干燥装置
CN207121434U (zh) 一种可除臭的农村污水处理装置
CN102512947A (zh) 一种合建式节能除臭装置
KR19980064935A (ko) 리싸이클 공조 시스템을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CN211847221U (zh) 一种土壤氨气吸附装置
CN205472957U (zh) 一种生物滤床除臭系统
CN209362224U (zh) 一种脱除恶臭气体的生物滤池
CN201059848Y (zh) 一种新型的太阳能干燥房
CN203144261U (zh) 污泥干化处理系统
CN202744466U (zh) 一种生活垃圾生物堆肥成套装置
JP3885579B2 (ja) 浸出水処理水の最終処分方法
CN202724969U (zh) 臭气处理装置
KR101383917B1 (ko) 나무 칩을 이용한 탈취 시스템
KR20120007111A (ko) 수직형 작물재배시설
CN202499815U (zh) 一种生活垃圾生物干化反应器
KR200229825Y1 (ko) 바이오세라믹 담체 및 토착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