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1084B1 -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084B1
KR102091084B1 KR1020180011538A KR20180011538A KR102091084B1 KR 102091084 B1 KR102091084 B1 KR 102091084B1 KR 1020180011538 A KR1020180011538 A KR 1020180011538A KR 20180011538 A KR20180011538 A KR 20180011538A KR 102091084 B1 KR102091084 B1 KR 102091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ells
present
leaf
moloch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0198A (ko
Inventor
박호영
최인욱
박용곤
하상근
최희돈
최상윤
오미진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80090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몰로키아 잎 추출물의 면역증진 용도를 규명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강용 식품 조성물 및 면역증강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몰로키아 잎 추출물은 산화질소의 생성을 증가시키고 사이토카인인 TNF-a 또는 IL-6의 생성을 증가시켜 대식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 면역증진 효과를 유도할 수 있으며, 자연살해세포 활성을 증가시키고, 비장 및 흉선의 중량을 증가시키며 백혈구수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어 면역증진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약학적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몰로키아 잎 추출물은 세포 독성을 유발시키지 않아 체내 안정하므로 면역증진을 위한 식품용 조성물로도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Molokia leaf for immune activity}
본 발명은 몰로키아 잎 추출물의 면역증강 용도를 규명한 것으로,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면역계는 자연저항, 비특이성 면역체계 및 특이성 면역체계로 구분할 수 있다. 자연저항(1차 방어선)이란 미생물을 위시한 모든 침입자들을 그들의 종류에 관계없이 막아내는 해부생리학적 요소들을 말하며, 비특이적 면역(2차 방어선)은 자연저항을 돌파하여 체내로 들어온 침입자들을 제거하는 식세포로 구성된 방어체계를, 그리고 특이성 면역계(3차 방어선)는 림프구들로 구성된 면역체계를 말하는데, 이중 특이성 면역계는 기억능 및 자기와 비자기를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고도로 발달한 면역체계이다.
또한, 백혈구는 2차 또는 3차 방어선을 구성하여 1차 방어선을 돌파하여 체내에 들어온 이물을 담당하게 되며, 세균, 바이러스 감염 또는 염증 반응 시, 대식세포 및 림프구 활성의 조절은 의약품의 치료 효과 결정에 있어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대식세포(Macrophage)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세포로 산화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cytokine)과 일산화산소(NO)를 생성하여 면역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대식세포에서 리포 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 사이토카인, TNF-α와 같은 자극에 의해 발현되는 iNOS는 장시간 동안 다량의 NO를 생산하여, NFκB 활성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의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superoxide anion, O2-),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와 같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species; ROS) 및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산은 비특이적 면역에 있어서 중요한 세포독성 및 세포활성억제기작이다.
또한, 대식세포는 항원을 제시하거나(antigen-presenting), 종양을 없애거나(tumoricidal) 미생물세포를 죽이는(microbicidal) 세포로서, 세포매개(cell-mediated) 또는 체액성 면역(humoral immunity)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조절세포로,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생산되는 NO는 비특이적 숙주방어기작인 대식작용을 하고, 세균 및 암세포의 증식억제 활성을 보인다. 뿐만 아니라 대식세포는 많은 라이소솜을 가지고 있고 이들은 산성가수분해효소와 과산화효소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유리면 과 플라스틱 표면에 강하게 부착하는 성질이 있으며 미생물이나 종양세포 등을 활발하게 탐식한다. 상기 세포는 IFN-γ등의 사이토카인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보체성분, 인터페론, 인터루킨-1 및 종양괴사인자 같은 사이토카인을 생산하며 T-세포로부터 생산되는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에 의해 기능이 증강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전 세계적으로 면역력 증강을 통해 건강을 증진시키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최근에는 합성화합물에 대한 부작용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어 천연물로부터 면역증강을 효과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소재의 개발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한편, 몰로키아(MOLOKIA, CORCHORUS OLITORIUS L.)는 이집트가 원산지인 피나무과 식물로 어린잎을 수확하여 식용으로 사용하는 녹황색의 야채이다. 몰로키아는 장 운동을 촉진하여 변비를 개선하고,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저해함으로서 고혈압 및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칼슘, 식이섬유, 비타민 A, B1, B2, C등의 미네랄과 베타카로틴(β-CAROTENE)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노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몰로키아가 면역증진 작용이 있음을 보고한 예가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73774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몰로키아 잎 추출물이 면역증강 효과가 있음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강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연살해세포의 활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강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몰로키아 잎에 물을 첨가하여 수득한 열수 추출물; 또는 상기 열수 추출물에 주정을 첨가하고 침전시킨 후, 침전물을 동결건조시켜 수득한 고분자 분획물을 포함하는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몰로키아 잎 추출물은 대식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산화질소의 생성을 증가시키며, 사이토카인인 TNF-a 또는 IL-6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몰로키아 잎 추출물은 자연살해세포(NK cell)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비장 및 흉선의 중량을 증가시키며, 백혈구 수 증진을 통해 면역증진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몰로키아 잎에 물을 첨가하여 수득한 열수 추출물; 또는 상기 열수 추출물에 주정을 첨가하고 침전시킨 후, 침전물을 동결건조시켜 수득한 고분자 분획물을 포함하는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몰로키아 잎 추출물은 대식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산화질소의 생성을 증가시키며, 사이토카인인 TNF-a 또는 IL-6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몰로키아 잎 추출물은 자연살해세포(NK cell)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비장 및 흉선의 중량을 증가시키며, 백혈구 수 증진을 통해 면역증진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연살해세포의 활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몰로키아 잎에 물을 첨가하여 수득한 열수 추출물; 또는 상기 열수 추출물에 주정을 첨가하고 침전시킨 후, 침전물을 동결건조시켜 수득한 고분자 분획물을 포함하는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몰로키아 잎추출물은 산화질소의 생성을 증가시키고 사이토카인인 TNF-a 또는 IL-6의 생성을 증가시켜 대식세포의 활성을 증가시켜 면역증진 효과를 유도할 수 있으며, 자연살해세포 활성을 증가시키고, 비장 및 흉선의 중량을 증가시키며 백혈구수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어 궁극적으로 면역증진을 필요로 하는 질환의 약학적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몰로키아 잎추출물은 세포 독성을 유발시키지 않아 체내 안정하므로 면역증진을 위한 식품용 조성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몰로키아 부위별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산화질소 생성량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whloe: 전체, leaf: 잎, root: 뿌리).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몰로키아 잎의 열수추출물에 대한 세포 독성 여부를 MTT 분석을 통해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몰로키아 잎의 주정추출물에 대한 세포 독성 여부를 MTT 분석을 통해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몰로키아 잎의 열수추출물에 대한 처리 농도별 산화질소 생성정도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몰로키아 잎의 주정추출물에 대한 처리 농도별 산화질소 생성정도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몰로키아 잎의 열수추출물 처리 농도별 TNF-a 사이토카인의 생성정도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몰로키아 잎의 주정추출물 처리 농도별 TNF-a 사이토카인의 생성정도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몰로키아 잎의 열수추출물 처리 농도별 IL-6 사이토카인의 생성정도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b는 몰로키아 잎의 주정추출물 처리 농도별 IL-6 사이토카인의 생성정도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몰로키아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군, 면역억제제 투여 마우스 군 및 면역증강 보조제를 투여한 마우스 군의 비장과 흉선의 중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7은 몰로키아 추출물을 투여한 마우스군, 면역억제제 투여 마우스 군 및 면역증강 보조제를 투여한 마우스 군의 총 백혈수 수치를 분석한 결과이다.
도 8은 몰로키아 추출물 처리에 따른 NK 세포활성도 및 그란자임(granzyme) 생산정도를 분석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강용 식품 조성물 및 면역증강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몰로키아는 최근 우리나라에 보급된 다소 생소한 열대성 녹황색 야채로서, 건강에 유익한 많은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원산지인 이집트에서는 야채의 왕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몰로키아의 효능에 관한 연구가 최근에 보고되고 있는데, 그 내용을 보면 몰로키아는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한 야채이며, 다른 야채와 비교해서 총 카로틴 및 비타민 A가 풍부하고, 비타민 B1, B2 및 C의 함유량도 많아 비타민 야채라 할 수 있다. 또한 무기질의 칼슘, 인, 철, 칼륨의 함유량도 평균적으로 풍부하고, 특히 칼슘은 시금치보다 대략 8배 정도가 많다고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몰로키아가 면역증진 효과가 있음이 연구된 바가 없었으나, 본 발명자들이 몰로키아의 면역증진 기능을 최초로 규명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몰로키아 부위별 면역증진 효능을 분석한 결과, 다른 부위에 비해 몰로키아의 잎 부위가 가장 우수한 면역증진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몰로키아 잎 추출물에 대한 면역활성과 관련된 효능을 분석하기 위해 대식세포 활성화 여부를 분석하였다.
대식세포의 활성화 효과는 NO의 생성능과 사이토카인의 생성능을 통해 확이하였는데, NO의 생성 촉진 효과는 대식세포 활성화의 지표로서, 대식세포에서 생성되는 NO는 침입한 병원체를 없애고 기본적인 숙주 방어체계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Th 세포의 분화단계 중 ThO 상태에서 Thl과 Th2로 나누어질 때, Th1로의 분화를 돕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백혈구의 활성 중 암세포, 기생충 또는 박테리아를 살해하는 세포독성 활성은 NO를 유리시킴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기관지 염증에 NO가 T-cell과 내피세포간의 면역조절(immunomodulating)을 하며 강력한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이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TNF-a 및 IL-6와 같은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증가시켜 면역증진 효과를 유도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몰로키아의 잎에 대한 물 추출물 및 상기 물 추출물에 주정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다당 성분이 포함된 침전물을 함유한 주정추출물을 대식세포에 처리한 후, 산화질소 및 사이토카인의 생성 변화를 분석한 결과, 몰로키아 잎추출물의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대식세포에서 산화질소 및 사이토카인(TNF-a 및 IL-6)의 생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동물 실험을 통해 몰로키아의 잎추출물이 비장 및 흉선의 중량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면역장기 지수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에 따라, 본 발명의 몰로키아 잎추출물이 면역계 주요 장기의 활성에 있어서 면역 증강제로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몰로키아 잎추출물을 자연살해세포(NK) 세포를 활성화 시키는 작용이 있는데, 자연살해세포(NK; natural killer cell)는 선천면역세포 중의 하나로 암세포 또는 외부 침입 물질에 대해 선택적으로 세포 독성을 보이는 세포이다. 자연살해세포는 다른 면역세포와 달리 암세포 등 외부 침입 물질을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바로 제거할 수 있는데 이는 자연살해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면역수용체를 통해 외부 물질과 정상세포를 구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자연살해세포는 IFN-γ나 TNF-α 같은 시토카인(cytokine) 생성을 통해 염증 및 면역반응을 조절 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자연살해세포는 수지상 세포, 대식세포(macrophage), T세포와의 직접적 상호작용 및 시토카인을 통한 간접적 상호작용을 통해 면역반응을 조절하는데도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몰로키아 잎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자연살해세포(NK) 세포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또한 면역억제제를 처리하여 면역이 억제된 상태에서 몰로키아 잎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도 NK 세포의 활성이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몰로키아 잎 추출물은 자연살해세포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연살해세포의 활성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자연살해세포(NK세포; natural killer cell)는 암이나 바이러스 감염이 된 세포를 파괴함으로서 선천성 면역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면역세포이다(J. Immunol., 136: 3910-3915, 1986; Melanoma Res., 13: 349-356, 2003; Lung Cancer, 35: 23-28, 2002). 또한, 자극(stimulation)을 통해 사이토카인(cytokine)을 분비하여 다른 면역 체계(immune system)를 동원(recruiting)함으로서 간접적인 면역반응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NK 세포의 파괴능은 림포카인 활성세포(lymphokine activated killer cell, LAK) 및 종양침윤림프구(tumor infiltration lymphocytes, TIL)를 이용하여 고형암(solid tumor) 치료에 이용하거나, 공여자 임파구 주입(donor lymphocyte infusion)을 통한 면역치료법(Tilden. A. B. et al., J. Immunol., 136: 3910-3915, 1986; Bordignon C, et al., Hematologia 84: 1110-1149, 1999)을 수행함으로써, 골수이식이나 장기 이식시 발생하는 거부반응을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세포치료 요법으로 응용이 시도되고 있다. 또한, NK 세포의 활성 결함은 유방암(Konjevic G, et al., Breast Cancer Res. Treat., 66: 255-263, 2001), 흑색종암(RyukeY, et al., Melanoma Res., 13: 349-356, 2003), 폐암(Villegas FR, et al., Lung Cancer, 35: 23-28, 2002) 등 다양한 암 질환과 관련되어 있음이 보고되어 상기와 같은 질환들을 치료하기 위해 NK 세포 치료법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 NK cell)는 정상인 혈액 내에 약 10~15% 가량 존재하며, 비자기(nonself)와 반응할 때 높은 살해능을 가진다. 각종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세균 침투, 혹은 비정상 세포의 생성에 있어, NK 세포는 비특이적으로 즉각적 반응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러나, 체내에 존재하는 NK 세포수는 그다지 많지 않기 때문에, 치료적 효과를 보이기 위해 필요한 유효 세포수를 증식시킬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고, 또한 NK 세포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본원발명에 따른 몰로키아 잎 추출물은 NK 세포를 효과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고 나아가 본 발명의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NK 세포에 처리하여 활성화된 NK 세포는 세포치료제로서도 사용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몰로키아 잎 추출물은 NK 세포 기능저하와 관련된 질환의 개선 및 치료를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NK 세포 기능저하와 관련된 질환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면역질환 및 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암으로는 혈액암, 간암, 폐암, 신장암, 소아신경암, 피부암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몰로키아 잎 추출물이 백혈구의 수치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백혈구는 앞서 종래기술에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체내에 들어온 이물을 담당하게 되며, 세균, 바이러스 감염 또는 염증 반응 시 식세포 작용을 유도하여 면역방어 기능을 유도한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몰로키아 잎 추출물이 면역증진 작용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강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몰로키아 잎추출물은 건조시킨 몰로키아의 잎을 통상적인 추출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건조된 몰로키아 잎에 물, 메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첨가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및 환류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추출액은 여지로 감압 여과한 다음, 여과액을 농축하여 동결건조한 후 본 발명의 몰로키아 잎추출물로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몰로키아 잎 추출물은 몰로키아 잎에 물을 첨가하여 수득한 열수 추출물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수득한 열수 추출물에 다시 주정을 첨가하고 침전시킨 후, 침전물을 동결건조시켜 수득한 고분자 분획물, 즉 다당류 성분을 포함하는 분획물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몰로키아 잎 추출물은 몰로키아 잎 중량 대비 4~20배 부피의 물을 첨가하고 60~100℃의 온도에서 3~8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여 수득한 몰로키아 잎의 열수 추출물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열수 추출물이 다시 80%의 주정을 첨가하여 12~24시간 침전시켜 침전된 몰로키아 잎 유래 고분자 다당 성분 분획물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몰로키아 잎 추출물은 몰로키아 잎 중량 대비 15~20배 부피의 물을 첨가하고 75~8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여 수득한 몰로키아 잎의 열수 추출물이거나 상기 열수 추출물에 다시 80%의 주정을 첨가하여 12시간 침전시켜 침전된 몰로키아 잎 유래 다당 성분 분획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몰로키아 잎 유래 다당 성분 분획물을 주정 추출물이라고 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몰로키아 잎 중량 대비 15~20배 부피의 물을 첨가하고 75~8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여 몰로키아 잎의 물 추출물을 수득하였고 또한, 상기 몰로키아 잎의 물 추출물에 주정을 첨가하고 20~24시간 동안 침전시킨 후 침전물을 동결건조시켜 수득한 주정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주정추출물에는 몰로키아 잎으로부터 추출된 다당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험 결과에 의하면 몰로키아 잎의 열수 추출물 및 다당성분을 함유한 주정추출물 모두 면역증진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열수 추출물에 비해 주정추출물이 더 우수한 면역증진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연살해세포의 활성 촉진능도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면역력 증강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몰로키아 추출물의 제조
<1-1> 몰로키아 부위별 추출물에 대한 면역증진 효과분석
본 발명자들은 몰로키아 추출물의 면역증진 효능 분석을 위해, 먼저 몰로키아의 각 부위, 즉 몰로키아(Corchorus olitorius) 뿌리와 줄기, 잎을 포함하는 전체(Whole)와 잎(Leaf), 뿌리(Root) 건조분쇄물 100 g에 대해 20배 부피에 해당 하는 물을 가하고 8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여 몰로키아 열수 추출 물을 수득하였다. 이후 추출물을 여과한 후,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농축 한 다음, 72시간 동안 동결건조 하여 최종 몰로키아의 물 추출물(MWE; Moroheiya water extract)을 수득하였고, 각 부위별 추출물에 대한 산화질소 생성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몰로키아 부위별 추출물을 각각 5, 10 μg/mL의 농도로 RAW 264.7 세포에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몰로키아의 다른 부위에 비해 잎 추출물이 가장 높은 산화질소 생성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뿌리는 산화질소 생성능이 잎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몰로키아 부위 중에서 잎이 면역력 증진에 주요한 기능을 부여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하기 실험에서는 몰로키아 잎에 대한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여 분석하였다.
<1-2> 몰로키아 잎의 열수추출물(MWE) 제조
몰로키아(Corchorus olitorius)는 여주, 포천, 홍천 세 곳에서 자란 원료를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제공받은 몰로키아의 부위 중에서 잎을 50℃ 건조 오븐에서 건조하고 분쇄기를 이용하여 0.5 mm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이후 몰로키아 잎 100 g에 대해 20배 부피에 해당하는 물을 가하고 8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여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후 추출물을 여과한 후,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농축 한 다음, 72시간 동안 동결건조 하여 최종 몰로키아 잎의 물 추출물을 수득하였고, 하기에서 MWE(Moroheiya water extract)로 기재하였다.
<1-3> 다당 성분을 함유한 몰로키아 잎의 주정추출물(MPF) 제조
몰로키아(Corchorus olitorius)는 맑은들(주)로부터 제공받아 사용하였으며, 제공받은 몰로키아의 부위 중에서 잎을 50℃ 건조 오븐에서 건조하고 분쇄기를 이용하여 0.5 mm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이후 몰로키아 잎 100 g에 대해 20배 부피에 해당하는 물을 가하고 8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여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후 추출물을 여과한 후,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를 이용하여 1/10이 되도록 감압농축 한 다음, 감압농축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에 다시 80%의 주정을 첨가하여 24시간 침전시킨 후 침전물을 동결건조하여 몰로키아 잎의 주정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물은 고분자 다당을 주요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어 하기에서 MPF (Moroheiya polysaccharide fraction)로 기재하였다.
<실시예 2>
몰로키아 잎추출물의 세포독성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이 세포에 대한 독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in vitro 내에서 세포독성 여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murine macrophage 세포주인 Raw 264.7 세포를 KCLB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는데, 세포배양용 플라스크(flask)에 세포를 분주한 후, DMEM 배지에 10% FBS(fetal bovine serum) 및 1% penicillin-streptomycin (10,000U/ml)을 첨가하고 37℃, 5% CO2 95% 습도조건이 유지되는 배양기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세포독성 평가는 MTT 분석법을 사용하였는데 상기 방법은 대사 과정이 온전한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의 탈수소효소가 노란색 수용성 tetrazoliumsal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를 비수용성의 짙은 자주색 MTT formazan 결정으로 환원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적절한 파장 (주로 500-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독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면역반응의 지표로서 LPS (serotype: E.coli 055 : B5, Sigma Co.,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였으며, 반응의 정도는 세포 증식의 증가 혹은 감소로 측정하였다. RAW 264.7 세포를 1×105 cells/well의 농도로 96well에 분주 후 24시간 동안 배양 후,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을 각각 0.5, 1, 5, 10 μg/mL의 농도와 LPS 1 μg/mL의 농도로 처리하고 20시간 배양 후 0.5 mg/mL 농도의 MTT를 넣고 4시간 동안 37°C 배양기에서 반응시킨 후 DMSO(dimethyl sulfoxide)를 넣어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세포독성은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Cell viability (%) = sample 흡광도 / control 흡광도 × 100
분석 결과,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군을 100 %로 보았을 때 몰로키아 잎의 열수 추출물(MWE)을 0.5, 1, 5, 10 μg/mL 농도별로 처리한 군에서 세포 생존율은 각각 108.5±6.8 %, 108.2±0.8 %, 106.5±3.6 %, 95.0±4.9 %로 나타나, 본 발명의 추출물은 세포 독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몰로키아 잎의 주정추출물(MPF)을 0.5, 1, 5, 10 μg/mL 농도별로 처리한 군에서 세포 생존율은 각각 112.7±7.2 %, 98.7±8.3 %, 105.8±6.6 %, 95.4±8.2 %로 모두 9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몰로키아 잎의 열수추출물 및 주정추출물 모두 세포 독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b 참조).
<실시예 3>
몰로키아 잎추출물의 산화질소(NO) 및 사이토카인 생성능 분석
<3-1> 산화질소 생성능 분석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한 세포실험군을 대상으로 세포 상등액을 수집한 후, 세포 상등액으로 면역세포 활성에 의해 분비되는 물질 중 NO(Nitric Oxide)의 양을 확인하였다. 염증성 매개 물질에 노출된 세포에 의해서 생성된 NO의 생성은 생체 방어와 자유기에 의해 유발된 조직 손상에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염증성 질환이 발병하게 되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O 활성도는 대사산물인 nitrate (NO3 -)와 nitrite (NO2 -)의 생성농도를 Griess 반응을 통해 확인하였는데, 구체적으로 RAW 264.7 세포를 1×105 cells/well의 농도로 96well에 분주 후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본 발명의 추출물을 0.5, 1, 5, 10 μg/mL의 농도로 처리하고 LPS는 1 μg/mL의 농도로 처리한 다음 37°C, 5% CO2의 조건에서 20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세포 상등액과 세포 상등액을 동량에 해당하는 griess 시약을 첨가하여 15분 반응시키고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odium nitrite (NaNO2)로 표준곡선을 작성하여 NO 함량을 정량하였다.
분석 결과, 0.5, 1, 5, 10 μg/mL의 농도로 RAW 264.7 세포에 몰로키아 잎의 열수추출물 및 주정추출물을 각각 처리할 경우,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이 증가되었고, LPS로 활성화된 세포의 경우 NO 함량이 11.89±2.2 μM수준을 나타낸 반면, 몰로키아 잎의 열수추출물을 0.5, 1, 5, 10 μg/mL 처리 시에는 각각 9.53±1.5 μM, 11.66±1.0 μM, 13.85±6.2 μM, 19.64±3.7 μM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도 3a 참조), 주정추출물을 0.5, 1, 5, 10 μg/mL 처리하였을 때 각각 16.91±3.0 μM, 19.17±3.6 μM, 21.00±2.7 μM, 20.71±1.8 μM으로 LPS를 처리한 군에 비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3b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몰로키아 잎추출물은 대식세포를 스스로 활성화시킴으로써 NO 생성을 증가시켜 외부 항원으로부터 자극받지 않아도 체내에서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초기에 생체 방어에 유리한 작용을 해서 면역 기능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열수추출물에 비해서 다당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주정추출물이 더 효과적으로 NO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3-2> 사이토카인(TNF-α, IL-6) 생성능 분석
TNF(tumor necrosis factor)-α는 염증성 매개물질 중, 전구 염증성 사이토카인 중의 하나로 많은 감염성 질환 또는 자가면역성 질환에서 강력한 면역 매개 물질로 여겨지고 있는데, 이는 대식세포, 활성화 T세포, 비만세포에서 생산되며 중성구, 림프구, 단핵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IL(interleukin)-6는 조혈작용과 면역반응을 조절하는데 관여하며 다른 사이토카인과 협동하여 상승작용을 나타내는 등 다양한 작용을 하며, 특정한 외부 물질 침입 시, 항체를 생성하는 B세포를 자극하여 면역글로불린의 합성을 촉진시킨다. 이에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이 NO 생성 증진 이외에도 TNF-α, IL-6의 생성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세포 상등액을 이용하여 Commercial competitive enzyme immunoassay kit (R&D system, Minneapolis, USA) 분석을 통해 TNF-α와 IL-6 등의 cytokine의 양을 측정하였다.
앞서 실험에 사용한 세포들을 대상으로 Anti-mouse TNF-α로 precoating된 96 well에 배양액 또는 표준시료와 TNF-α conjμgate를 각각 50 ul씩 첨가하여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세척 버퍼로 4회 세척한 후 기질 용액 100 μl를 첨가하여 30분 간 빛을 차단한 조건 하에서 반응 시킨 다음, 정지 용액 100 μl를 처리하고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IL-6의 경우도 상기 방법과 동일하게 실험에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TNF-α의 생성은 LPS를 단독으로 처리 시 4864.1±91.6 pg/mL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TNF-α를 생성하였으며, MWE를 0.5, 1, 5, 10 μg/mL 농도로 처리 시 각각 2606.1±37.3, 2407.5±259.1, 3677.2±191.2, 3965.5±191.2 pg/mL으로 나타났고, LPS를 처리한 음성대조군에 비해 다소 낮은 수준이지만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IL-6 생성을 측정한 결과 LPS를 단독으로 처리 시 7190.6±96.3 pg/mL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TNF-α를 생성하였으며, MWE를 0.5, 1, 5, 10 μg/mL 농도로 처리 시 각각 3064.6±124.7, 5771.3±126.7, 6948.3±84.5, 7480.2±183.4 pg/mL으로 나타나 농도 의존적으로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켜 IL-6의 생성을 촉진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a 참조).
도 4b에는 몰로키아 잎의 주정추출물 처리에 따른 결과를 나타내고 있는데, LPS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 4864.1±91.6 pg/mL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TNF-α를 생성하였으며, 주정추출물을 0.5, 1, 5, 10 μg/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 2401.2±167.2, 2845.8±37.9, 3124.6±89.3, 3716.4±159.9 pg/mL으로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으나, LPS를 처리한 군에 비해 다소 낮은 수준이지만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IL-6 생성을 측정한 결과 LPS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 7190.6±96.3 pg/mL로 정상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IL-6를 생성하였으며, 특히 MPF 10 μg/mL의 농도에서 LPS를 처리한 것과 비슷한 수준으로 생성하였다. MPF를 0.5, 1, 5, 10 μg/mL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각각 2443.3±46.7, 5791.9±176.8, 6456.2±212.9, 7571.7±138.1 pg/mL으로 나타나 농도 의존적으로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켜 IL-6의 생성을 촉진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b 참조).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숙주의 방어기구 일부로서 면역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외부물질 침입을 가장 먼저 인지하는 대식세포를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이 효과적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대식세포의 활성화는 산화질소 생성증가 및 사이토카인(TNF-α및 IL-6)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고, 특히 열수추출물에 비해 주정추출물이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몰로키아 잎의 추출물은 대식세포의 활성 촉진으로 인해 암세포와 각종 유해균의 성장을 억제시킬 수 있으며,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통해 산화질소 및 사이토카인(TNF-α 및 IP-6)의 생성을 증가시켜 외부 항원으로부터 자극받지 않아도 체내에서 면역반응이 일어나는 초기에 생체 방어에 유리한 작용하여 면역반응을 증강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몰로키아 잎추출물 처리에 의한 면역억제 동물모델에서 비장 및 흉선 중량변화 측정
몰로키아 잎추출물의 면역증강 효과를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확인하였으며, 실험을 위해 사용한 동물들은 무균 환경에서 사육된 6주령의 암컷 Balb/c 마우스를 (주)새론바이오에서 구입하여 고형 사료와 물을 자유로이 공급하면서 실험 전 약 1주간 순화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마우스 사육조건은 온도 22±2°C , 습도는 40-60%로 유지하였고, 명암 주기 (Light and dark cycle)는 12시간 간격으로 조절하였다. 상기 조건으로 사육한 정상 마우스 군을 다음과 같이 5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동물모델군 비고
정상군(Nor) 정상마우스 실험군
CTX군 면역억제제인 cyclophosphamide을 처리한 마우스 군
CFX군 면역강화보조제인 북미산 산삼성분 CFX(cold-fx)처리한 마우스 군
MWE 50mg/kg군 본 발명의 몰로키아 잎추출물 50mg/kg 처리한 마우스 군(4주간 경구투여)
MWE 100mg/kg군 본 발명의 몰로키아 잎추출물 100mg/kg 처리한 마우스 군(4주간 경구투여)
즉, 상기 기술된 조건 하에서 마우스들을 사육한 후, 실험 종료 1주일 전 정상군은 매일 1회씩 7일간 생리식염수를 복강 투여하였고, 면역억제 모델군 (model control군)을 비롯하여 양성대조군 (CFX군) 및 MWE군은 면역억제제인 CTX 100 mg/kg을 복강 주사하여 면역력을 억제한 후, CTX 및 몰로키아 잎추출물을 각각 경구 투여하였다. 마지막 투여 후, 24시간이 경과한 다음, 마우스의 혈액을 채취한 후 비장세포의 증식능과 사이토카인, 말초혈액 중 백혈구를 측정하기 위해서 각 동물의 비장가 흉선을 적출하였다. 이후 무균적으로 비장과 흉선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한 뒤, 실험동물 체중의 차이에 따른 변이를 없애고 이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적출한 비장과 흉선의 무게와 마우스의 체중을 바탕으로 아래의 공식에 따라 비장 및 흉선 지수를 계산하였다.
비장 또는 흉선 지수 = 비장 또는 흉선 무게(mg) / 마우스 체중(g)
분석 결과, 비장의 무게는 정상군에 비하여 CTX군이 18.5 % 감소하였으며, CTX군에 비하여 CFX군, 50-MWE, 100-MWE군은 각각 36.9, 32.5, 41.4 %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흉선의 무게는 정상군에 비하여 CTX군이 51.3 % 감소하였으며, CTX군에 비하여 CFX군, 50-MWE, 100-MWE군은 각각 46.8, 53.4, 63.7 %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6 참조).
비장은 혈액을 여과할 뿐 아니라 2차 림프조직으로 작용하며 혈액 속 항원을 제거하고 B 세포와 T 세포를 활성화 시키는 중요한 장기이며 따라서 비장세포수의 변화는 림프구의 변화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비장과 흉선의 무게가 증가하는 현상은 비특이적인 면역반응 및 특이적 면역반응의 증가에 있어 중요한 지표로 인식되고 있음을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몰로키아 잎추출물이 비장과 흉선의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작용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몰로키아 잎추출물이 면역계 주요 장기의 활성변화에 있어서 면역증강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몰로키아 잎추출물 처리에 의한 총 백혈구 수 변화분석
세균 또는 외상 신호로 인해 다양한 세포와 혈장내의 단백질 보체계가 활성되면 전염증성 사이토카인과 케모카인이 생성되고, 백혈구와 내피세포에서의 부착 물질들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몰로키아 잎추출물 처리에 따른 동물 모델에서 백혈구 수에 미치는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에서 실험한 동물 마우스를 대상으로 에테르 마취 하에 개복하고 간문맥으로부터 채혈을 한 후, 면역지표로써 혈중 대표인자인 백혈구를 녹십자 의료재단에 의뢰하여 분석하였다.
한편, 다량의 CTX 투여는 면역억제에 의한 백혈구 및 호중구 수 감소를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CTX 100 mg/kg으로 면역억제 마우스 모델을 만들고 CFX 및 MWE를 경구 투여한 후 혈액중의 백혈구 수를 녹십자 의료재단에 분석 의뢰하여 측정한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CTX군의 백혈구 수는 정상군에 비해 37.6 % 감소되었고, CTX군에 비하여 CFX군은 23.6 %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50-MWE 및 100-MWE는 각각 37.3 %, 44.0 %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추출물은 CTX에 의해 저하된 백혈구 수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어, 면역활성의 회복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몰로키아 잎추출물 처리에 의한 NK 세포활성 분석
NK(Natural killer) 세포의 세포독성은 NK세포에 의해 파괴된 종양세포 YAC-1 (NK-sensitive cell line)로부터 유리된 lactate dehydrogenase (LDH)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NK세포 활성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100 mg/kg 용량으로 몰로키아 잎추출물을 2주간 식이한 마우스의 비장을 적출하여 이용하였다. 96 well plate에 각 well 당 1×103 cells/well씩 분주한 후 effector 세포로 이용하였다. Target 세포는 YAC-1 세포를 이용하였으며 effector 세포와 target 세포의 비율을 12.5:1, 25:1, 50:1로 조정하고 6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900 g로 10분간 원심분리 후 상등액과 lactate dehydrogenase (LDH) 용액(Pierce Biotechnology)과 혼합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680 nm 흡광도에서 측정하여 계산하고 YAC-1 세포의 사멸 정도를 NK cell activity (%)로 나타내었다. NK cell 활성과 동시에 활성화된 NK 세포가 배출하는 물질인 granzyme B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NK cell cytotoxic activity (%) = [(effector cell spontaneous release target cell spontaneous release) / (target cell maximum release target spontaneous release)] × 100
CTX의 투여에 의한 YAC-1 세포의 살해활성 및 granzyme 생산을 조사한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처리한 군은 NK세포의 활성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는데, 세포의 비율이 25:1일 경우 정상군에 비해 약 5배, 50:1인 경우 약 2배 높은 활성을 보이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또한 NK 세포 활성과 동시에 NK 세포가 활성화 시 배출하는 물질인 granzyme B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12.5:1, 25:1, 50:1의 세포농도에서 정상군에 비하여 각각 45.2, 40.8, 25.5 %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8 참조).
상기 실험 결과를 통해 12.5:1의 세포농도에서 MWE의 NK 세포 활성이 가장 높았음을 알 수 있었고, 본 발명의 추출물이 NK 세포활성을 유도하여 면역을 활성화 시키고 각종 질환으로부터 체내 방어기작을 활성화 시켜 건강을 유지 및 향상시킬 수 있는 용도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강용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추출물은 몰로키아 잎에 물을 첨가하여 수득한 열수 추출물; 또는 상기 열수 추출물에 주정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침전물을 포함하는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증강용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로키아 잎 추출물은 대식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산화질소의 생성을 증가시키며, 사이토카인인 TNF-a 또는 IL-6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증강용 식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로키아 잎 추출물은 자연살해세포(NK cell)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비장 및 흉선의 중량을 증가시키며, 백혈구 수 증진을 통해 면역증진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증강용 식품 조성물.
  6.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강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추출물은 몰로키아 잎에 물을 첨가하여 수득한 열수 추출물; 또는 상기 열수 추출물에 주정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침전물을 포함하는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기능 증강용 약학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몰로키아 잎 추출물은 대식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산화질소의 생성을 증가시키며, 사이토카인인 TNF-a 또는 IL-6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용 약학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몰로키아 잎 추출물은 자연살해세포(NK cell)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비장 및 흉선의 중량을 증가시키며, 백혈구 수 증진을 통해 면역증진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용 약학 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11538A 2017-02-02 2018-01-30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20910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15099 2017-02-02
KR1020170015099 2017-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198A KR20180090198A (ko) 2018-08-10
KR102091084B1 true KR102091084B1 (ko) 2020-03-19

Family

ID=63229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538A KR102091084B1 (ko) 2017-02-02 2018-01-30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0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7963B1 (ko) 2021-02-10 2024-05-23 주식회사 바이오의생명공학연구소 가지꼭두서니 잎, 레몬 그라스 및 야생참마의 아임계 추출물의 면역 증강용 약제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1667A1 (ko) * 2018-10-05 2020-04-09 한국식품연구원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또는 장내 염증, 장누수증후군, 비만 또는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33749B1 (ko) * 2019-04-03 2021-03-30 한국식품연구원 몰로키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염증 또는 장누수증후군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48434B1 (ko) * 2018-12-18 2019-11-25 한국식품연구원 무청 고분자 분획물을 포함하는 장내 균총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327B1 (ko) * 2013-07-24 2013-10-07 주식회사 에스씨해미 몰로키아가 함유된 생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생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955A (ko) * 2008-04-25 2009-10-2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염증 활성을 갖는 몰로키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KR101701124B1 (ko) 2014-12-17 2017-02-13 케일럽 멀티랩 (주) 모로헤이야, 대황, 황련 및 당귀 생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327B1 (ko) * 2013-07-24 2013-10-07 주식회사 에스씨해미 몰로키아가 함유된 생김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생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7963B1 (ko) 2021-02-10 2024-05-23 주식회사 바이오의생명공학연구소 가지꼭두서니 잎, 레몬 그라스 및 야생참마의 아임계 추출물의 면역 증강용 약제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198A (ko) 2018-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693B1 (ko)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82106B1 (ko) 이리도이드 고함유 노니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제조방법, 면역증진 활성물질 고함유 노니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제조방법 및 노니 열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20120007275A (ko) 식물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090009513A (ko) 방사선 조사에 의한 저 분자량의 베타글루칸의 제조 방법및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제조된 저 분자량의 베타글루칸
KR102091084B1 (ko) 몰로키아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705548B1 (ko)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170121866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추출물, 그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분리된 코디세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45031B1 (ko)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조성물
KR101829637B1 (ko) 참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치료 부작용에 따른 소화기능장애, 백혈구 감소증 및 골수부전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1736B1 (ko) 코디세핀-단백질 분해 효소 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활성 증강용 조성물
JP5409439B2 (ja) コウゾ抽出物を含む免疫機能強化用組成物
KR101039110B1 (ko) 닥나무 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조성물
KR100871399B1 (ko) 면역 활성 증강용 동충하초 액체배양물로부터 얻어지는균체내 다당체와 균체외 다당체 및 그 생산 최적 배양조건
KR100921909B1 (ko) 조혈모세포 증식을 갖는 더덕의 부탄올 분획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20110133381A (ko)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KR102046878B1 (ko) 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915715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당근박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0657B1 (ko) 잣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20220020147A (ko) 상황버섯균사체 추출물 또는 상황버섯균사체 추출물 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1905009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케일박 유래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051179A (ko) 밀리타리스동충하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면역증진용 약학조성물
KR20120008366A (ko) 오미자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장염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29213B1 (ko) 면역 증강 활성을 갖는 잎새 버섯의 액체배양물로부터분리한 세포외 생체고분자
KR20200145008A (ko)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천성 면역 증진용 조성물
CN101291679A (zh) 包含猕猴桃属植物的组合物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