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5008A -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천성 면역 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천성 면역 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5008A
KR20200145008A KR1020190073352A KR20190073352A KR20200145008A KR 20200145008 A KR20200145008 A KR 20200145008A KR 1020190073352 A KR1020190073352 A KR 1020190073352A KR 20190073352 A KR20190073352 A KR 20190073352A KR 20200145008 A KR20200145008 A KR 20200145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red ginseng
ginseng extract
macroph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3712B1 (ko
Inventor
박우정
유상권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73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712B1/ko
Publication of KR20200145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5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Immu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n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천성 면역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천성 면역 증진용 조성물을 대식세포에 처리한 결과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대표적인 국소 단백질인 TNF-α, IL-1β 및 IL-6 등과 같은 사이토카인의 발현과 산화질소(NO)의 생성량 및 대식세포의 식세포작용 효과를 증가시켜 선천성 면역 능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천성 면역 증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innate immunity including Codium fragile extraction and red ginseng extract}
본 발명은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천성 면역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면역기능은 외부의 병원성 인자들로부터 자기를 보호하기 위한 일종의 자기방어 시스템으로 이러한 면역기능이 떨어질 경우 인체는 다양한 질병에 노출될 수 있다. 면역반응은 항원에 대한 특이성에 따라 선천성 면역반응과 후천성 면역반응으로 구분되는데, 선천성 면역반응은 주로 탐식세포들(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항원 특이적인 반응을 수반하지 않는다.
선천성 면역반응에서 대식세포는 감염원을 인식하는 초기의 면역세포로서 인체의 비특이적 방어체계인 내재면역뿐만 아니라 특이적 방어체계인 적응면역 등 다양한 숙주 반응에 관여하여 숙주방어와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대표적인 국소 단백질인 TNF-α, IL-1β 및 IL-6 등과 같은 사이토카인은 세포의 성장 및 분화, 염증뿐만 아니라 면역반응 등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특히 TNF-α는 미성숙 면역세포의 표면에 단백질 혹은 보조자극인자의 발현을 촉진하여 성숙된 형태의 세포로 전환시켜 암세포의 세포 용해를 유도함으로써 직접적으로 항암 작용을 나타내기도 하며, 또한 항원에 오염된 세포의 살해능력을 증진시켜 초기 면역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IL-6는 면역반응 및 조혈작용을 조절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으로서 B림프구 및 T림프구를 자극하여 항체생성을 증진하고 세포분화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과 협동하여 상승작용을 나타내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다.
한편, NO는 혈관의 항상성 유지, 신경전달 등과 같은 생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과량의 NO는 정상세포를 공격하고 염증을 유도하여 독성을 갖는 염증질환의 매개인자로 알려져 있으나 활성화된 면역세포에서 분비되는 적절한 양의 NO는 면역신호 전달자로서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암세포에 대한 독성 및 외부 병원체로부터의 저항성을 증강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TNF-α및 IL-6와 같은 사이토카인의 발현과 NO 수준을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것은 대식세포의 활성화를 통한 면역조절에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면역기능이 저하되면, 천식, 계절성 또는 통년성 비염, 알러지성 비염, 결막염,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 적혈구의 용혈, 급성 사구체 신염, 감기, 만성 피로 및 암 등 다양한 면역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면역질환은 치료보다 예방이 중요한데, 현재 시판되고 있는 치료제는 예방을 위하여 복용하기에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부작용의 가능성이 있는 면역증강제의 복용 없이, 면역기능 장애를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었다.
이를 위하여,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로부터 면역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성분을 발굴하고, 이를 이용하여 면역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제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감염원을 인식하는 초기의 면역세포로서 인체의 비특이적 방어체계인 내재면역뿐만 아니라 특이적 방어체계인 적응면역 등 다양한 숙주 반응에 관여하여 숙주방어와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대식세포를 사용하여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대표적인 국소 단백질인 TNF-α, IL-1β 및 IL-6 등과 같은 사이토카인의 발현과 NO 수준을 증가시켜 면역능력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확인함에 따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10-185955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선천성 면역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천성 면역 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천성 면역 증진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청각 추출물(Codium fragile)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천성 면역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각 추출물(Codium fragile)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천성 면역 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청각 추출물(Codium fragile)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천성 면역 증진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천성 면역 증진용 조성물을 대식세포에 처리한 결과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대표적인 국소 단백질인 TNF-α, IL-1β 및 IL-6 등과 같은 사이토카인의 발현과 산화질소(NO)의 생성량 및 대식세포의 식세포작용 효과를 증가시켜 선천성 면역 능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복막 대식세포에서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의 혼합 사용에 따른 A) 복막 대식세포의 증식 및 B) 복막 대식세포에서 NO생성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복막 대식세포에서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의 혼합 사용에 따른 식세포작용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복막 대식세포에서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의 혼합 사용에 따른 면역 관련 유전자(A. iNOS, B. IL-1β, C. IL-6, D. COX-2, E. TNF-α, F. IFN-γ, 및 G. TLR-4)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선천성 면역 증진용 조성물
본 발명은 청각 추출물(Codium fragile)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천성 면역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홍삼 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 청각 추출물을 25 내지 10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홍삼 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 청각 추출물을 40 내지 6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청각 추출물은 청각 추출물 유래 음이온 고분자(Anionic macromolecul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식세포는 포식 용해소체(Phagolysosome)에서 살균 분자를 생산하여 포식된 미생물을 사멸하는 역할과 함께 감염에 대비한 방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의 대부분은 선천면역의 사이토카인들에 의해 매개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대식세포에 처리한 결과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대표적인 국소 단백질인 TNF-α, IL-1β 및 IL-6 등과 같은 사이토카인의 발현과 산화질소(NO)의 생성량 및 대식세포의 식세포작용 효과를 증가시켜 선천성 면역 능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도 1 내지 3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면역기능 저하로 기인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면역기능 저하로 기인되는 질환은 감염성 질환, 염증성 질환, 알러지 질환 및 만성피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천성 면역 증진용 건강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본 발명은 청각 추출물(Codium fragile)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천성 면역 증진용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청각 추출물(Codium fragile) 및 홍삼 추출물을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청각 추출물(Codium fragile) 및 홍삼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추출물(Codium fragile) 및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청각 추출물(Codium fragile) 및 홍삼 추출물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중의 상기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유지를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청각 추출물(Codium fragile) 및 홍삼 추출물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 청각 추출물(Codium fragile) 및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라이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청각 추출물(Codium fragile) 및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청각 추출물(Codium fragile) 및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준비예 1> 동물준비
6주된 수컷 BANB/c 마우스(체중 21-23g)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 마우스는 Central Lab. Animal Inc. (South Korea)에서 구해서 사용하였다. 모든 쥐에서 표준 실험실 식이 요법과 물을 먹였으며, 실험 시작 전 일주일간 특정 병원균이 없는 상태로 유지하였다. 실험 절차는 강릉 원주 대학교 동물 실험 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진행하였다.
<준비예 2> 재료준비
홍삼은 한국인삼공사(South Korea)에서 구입한 6년근 홍삼에서 추출한 상업적 홍삼 시럽을 사용하였다. Cyclophosphamide (CY), levamisole (LVS; an immunostimulant), neutral red solution (0.09% mass fraction of solute) 및 Griess reagent는 Sigma-Aldrich (USA)에서 구입하였다. EZ-Cytox Cell Viability Assay Kit는 Daeil Labservice (South Korea)에서 구입하였다. Tri reagent®는 Molecular Research Center, Inc. (USA)에서 구입했다. 대용량 cDNA reverse transcription kit는 Applied Biosystems (USA)에서 구입했다. SYBR®Premix Ex Taq™ Ⅱ는 Takara Bio Inc. (Japan)에서 구입했다.
<제조예 1> 청각 추출물 유래 음이온 고분자(crude macromolecule)
청각 추출물 유래 음이온 고분자(Anionic macromolecule of C. fragile, CFAM)는 분쇄된 청각 샘플을 실온에서 밤새 일정한 기계적 교반하에 80% 에탄올 중에 현탁시켰다. 원심 분리 후, 침전물을 에탄올로 재세척하고, 아세톤으로 헹군 뒤, 원심분리하고,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바이오매스를 증류수로 추출하고, 상등액을 원심분리하여 수집하였다. 상등액을 농축시키고 99% 에탄올로 침전시켰다. 침전물은 나일론막(0.45-μm pore size; Whatman International, Maidstone, UK)으로 용액을 여과하여 얻은 후 99% 에탄올 및 아세톤으로 세척한 후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침전물을 증류수에 재용해하고 sevag 등이 보고한 방법으로 탈단백질을 수행하고, 청각 추출물 유래 음이온 고분자를 수득하고 CFAM이라 약칭하였다.
<준비예 3> 면역억제 마우스 유도
1주간 순응시킨 후, 마우스(n=5)를 무작위로 8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두 군은 식염수를 경구투여하였고, 정상군과 CY군으로 나누었다. 다른그룹은 홍삼 추출물 100mg/kg BW 투여하거나(Ginseng으로 명명), 홍삼 추출물 100mg/kg BW 및 CFAM 25 mg/kg BW를 투여하거나(Tr.1으로 명명), 홍삼 추출물 100mg/kg BW 및 CFAM 50 mg/kg BW를 투여하거나(Tr.2으로 명명), 홍삼 추출물 100mg/kg BW 및 CFAM 75 mg/kg BW를 투여하거나(Tr.3으로 명명), 홍삼 추출물 100mg/kg BW 및 CFAM 100 mg/kg BW를 투여하였다(Tr.4로 명명). Levamisole (LVS)는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되었으며, 40 mg/kg BW의 농도로 경구투여하였다. 모든 그룹은 10일 동안 하루에 한번씩 치료를 받았다. 투여 4일 내지 6일째, 마우스(정상군 제외)에 CY (80 mg/kg BW)를 복강 내 주사하고, 모든 생쥐를 치료 요법의 완료 후 24시간 동안 희생시켰다.
<준비예 4> 복막 대식세포 준비
복막 대 식세포는 Ray and Dittel 방법을 사용하여 준비하였다. 3 % FCS가 보충된 ice-cold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을 각 마우스의 복강 내로 주입하였다. 복막강(peritoneal cavity)을 가볍게 마사지한 후, 주사 된 PBS를 수집하고 원심 분리하였다. 세포 펠렛을 RPMI-1640 배지에 재현 탁시킨 다음 세포를 37 ℃5 % CO2의 가습 분위기에서 배양하였다. 1 시간 배양한 후, 접착 세포를 수집하고 추가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복막 대식세포 증식 및 일산화 질소(NO) 생산 분석
복막 대식세포를 96-웰플래이트에 접종하고 5% CO2의 가습 분위기에서 37℃로 배양했다. 24시간 배양 후, 배양배지를 폐기하고 세포를 1 μg/mL의 lipopolysaccharides (LPS)로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Griess 시약을 사용하여 배양 배지에서의 NO 생산을 측정하였다. EZ-Cytox Cell Viability Assay kit를 사용하여 대식세포의 증식을 측정하였다. 대식세포 증식률은 다음 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식 1]
Figure pat00001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의 혼합 처리가 대식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대식세포 증식 및 NO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식세포에 홍삼 추출물을 단독처리할 경우, CY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대식세포 증식(도 1a) 및 NO 생산(도 1b)을 유의하게 향상시킨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의 혼합 사용의 경우, 홍삼 추출물을 단독 처리하는 경우보다 대식세포 증식과 산화 질소 생산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표 1참조). 따라서, 상기 결과로 인해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CY유발 면역 억제 마우스에서 복막 대식세포 증식과 NO 생성을 유의하게 향상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대식세포증식(%) NO 생성(%)
Normal 100 100
CY 50 50
홍삼추출물 단독(Ginseng) 68 78
홍삼추출물(100mg/kg)+청각 추출물(25mg/kg) (Th1) 100 125
홍삼추출물(100mg/kg)+청각 추출물(50mg/kg) (Th2) 118 165
홍삼추출물(100mg/kg)+청각 추출물(75mg/kg) (Th3) 115 145
홍삼추출물(100mg/kg)+청각 추출물(100mg/kg) (Th4) 90 85
Levamisole(LVS) 110 125
<실험예 2> 복강 대식세포 식세포작용 분석
복강 대식세포의 식세포작용을 평가하기 위해 이전에 설명한대로 뉴트랄-레드 업테이크 법(neutral-red uptake method)을 사용했다. 간략하게, 세포를 1.5 × 105 cells/well의 밀도로 3 중으로 접종하고, 완전한 RPMI-1640 배지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무혈청 RPMI-1640 배지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다음날, 모든 비부착성 세포를 PBS로 세척하여 제거한 다음, 6 μg / mL의 LPS를 웰에 첨가 하였다. 4 시간 인큐베이션 한 후, 세포를 PBS로 2 회 세척한 후 neutral red 용액 200 μL (용질의 질량 분율 0.09 %)를 각 웰에 첨가하였다.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30 분 동안 배양한 다음 세포를 세척하여 과도한 염료를 제거하였다. 대식세포의 식세포작용은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 [흡광도 (A), 540 nm]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식세포 비율은 다음 공식을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식 2]
Figure pat00002
식세포작용(phagocytosis)은 식세포가 주위로부터 물질을 섭취하는 한 가지 수단으로 세포 표면에서 ligand와 수용체 간의 결합이 촉발인자로 작용하여 세포막이 입자의 주위를 둘러싸고 함몰하여 식포(phagosme)을 형성한다. 이 식포는 식세포의 lysosome과 합쳐져 phagolysosome을 형성하고 lysosome의 가수분해 효소에 의해 섭취되 입자는 저분자로 분해된다.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미생물은 대부분 대식세포에 의해 탐식되며 이는 감염증에 대한 중요한 생체 방어 수단이다.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의 혼합 사용에 대한 대식세포에서 식세포작용 효과를 확인한 결과, 도 2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Y의 처리는 정상 마우스에 비해 복막 대식세포의 식세포작용을 현저하게 감소시켰으며, 홍삼 추출물 단독 사용에 비해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혼합 사용할 경우, 면역 억제 마우스에서 복막 대식세포의 식세포작용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정상 쥐와 비슷하거나 그 이상으로 식세포작용의 회복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및 표 2참조).
식세포작용(%)
Normal 100
CY 65
홍삼 추출물 단독(Ginseng) 105
홍삼 추출물(100mg/kg)+청각 추출물(25mg/kg) (Th1) 115
홍삼 추출물(100mg/kg)+청각 추출물(50mg/kg) (Th2) 135
홍삼 추출물(100mg/kg)+청각 추출물(75mg/kg) (Th3) 117
홍삼 추출물(100mg/kg)+청각 추출물(100mg/kg) (Th4) 108
levamisole(LVS) 110
<실험예 3> 면역 관련 유전자 발현 분석
Tri reagent®를 사용하여 LPS로 자극한 복막 대식세포로부터 총 RNA를 분리하였다. RNA를 100 % 이소프로판올로 침전시키고 75 % EtOH로 세척하였다. 분리 후 RNA를 nuclease가 없는 물에 재현 탁하고 나노 포토 미터 (Implen, Germany)를 사용하여 농도를 측정했습니다. 제작자의 지시에 따라 High Capacity cDNA Reverse Transcription kit를 사용하여 추출한 RNA로부터 cDNA를 합성했다.
복막 대식세포에서의 면역 관련 유전자 발현의 정량화는 QuantStudio™3 FlexReal-Time PCR System (ThermoFisher Scientific, USA)과 SYBR®Premix Ex Taq™ II에서 수행되었다. 각 면역 관련 유전자의 특이 프라이머 쌍을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상대 유전자 발현은 2-ΔΔCT방법과 β-actin을 기준 유전자로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Gene Accession No. Oligonucleotide Sequence
IL-1β NM_008361.4 Forward: GGGCCTCAAAGGAAAGAATC
Reverse: TACCAGTTGGGGAACTCTGC
IL-6 NM_031168.2 Forward: AGTTGCCTTCTTGGGACTGA
Reverse: CAGAATTGCCATTGCACAAC
IFN-γ NM_008337.3 Forward: CTCAAGTGGCATAGATGT
Reverse: GAGATAATCTGGCTCTGCAGGATT
TNF-α D84199.2 Forward: ATGAGCACAGAAAGCATGATC
Reverse: TACAGGCTTGTCACTCGAATT
TLR-4 NM_021297.3 Forward: CGCTCTGGCATCATCTTCAT
Reverse: GTTGCCGTTTCTTGTTCTTCC
COX-2 NM_011198.4 Forward: AGAAGGAAATGGCTGCAGAA
Reverse: GCTCGGCTTCCAGTATTGAG
iNOS BC062378.1 Forward: TTCCAGAATCCCTGGACAAG
Reverse: TGGTCAAACTCTTGGGGTTC
β-actin NM_007393.5 Forward: CCACAGCTGAGAGGAAATC
Reverse: AAGGAAGGCTGGAAAAGAGC
대식세포는 식세포작용, 항원제시 및 사이토카인 분비를 일으킴으로써 병원균에 대한 타고난 적응 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세포는 iNOS를 조절하여 NO를 생산하며, NO는 잘 알려진 염증 매개인자이다. 또한 TNF-α, IL-1β와 같은 프로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한다. 분비된 사이토카인은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및 항 종양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항원 방어에 중요하다.
대식세포막에 존재하는 Toll-like receptor (TLR)는 병원성미생물의 침입 시에 활성화되어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수용체 단백질이며 특히 TLR4의 경우 LPS와 같은 특이적 리간드를 인식한 후 MAPKs 및 NF-κB 등과 같은 세포내부의 신호전달경로 활성화를 통해 다양한 전사인자들의 활성화 및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효과적인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Y로 처리된 마우스에서는 IL-1β, IL-6, TNF-α, IFN-γ, COX-2, iNOS 및 TLR-4를 포함한 복막 대식세포에서 면역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현저하게 억제하였으나, 홍삼 추출물 단독 사용에 비해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혼합 사용할 경우 면역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특히, Tr. 2 (100 mg/kg BW의 홍삼에 50 mg/kg BW의 청각 추출물 혼합)로 처리한 복막 대식세포는 홍삼추출물 또는 청각 추출물 단독 처리보다 높은 발현을 보였다.
따라서, 상기 실험예 1 내지 3의 결과로 인해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복막 대식세포의 증식, 복막 대식세포 NO 생성, 복막 대식세포의 식세포작용 및 대식세포 면역 관련 유전자 발현을 통해 CY로 유도된 면역 억제 마우스에서 청각 추출물 또는 홍삼 추출물 단독 사용에 비해 면역 반응을 증진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통계분석
Statistix 8.1 Statistics Software (Statistix, Florida, USA)를 사용하여 모든 결과의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또한 일원분산 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그 후, Tukey post-hoc 테스트를 사용하여 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청각 추출물(Codium fragile)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천성 면역 증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홍삼 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 청각 추출물을 25 내지 10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홍삼 추출물 100 중량부 기준 청각 추출물을 40 내지 6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각 추출물은 청각 추출물 유래 음이온 고분자(Anionic macromolecu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대식세포의 식세포작용(phagocytosis)을 증가시키거나, NO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대식세포의 증식능(proliferative activity)을 증가시키거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면역기능 저하로 기인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기능 저하로 기인되는 질환은 감염성 질환, 염증성 질환, 알러지 질환 및 만성피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청각 추출물(Codium fragile)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천성 면역 증진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형태의 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1. 청각 추출물(Codium fragile)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천성 면역 증진용 건강식품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식품은 각종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 유제품, 스프, 이온음료, 음료수, 알코올 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20190073352A 2019-06-20 2019-06-20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천성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2243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352A KR102243712B1 (ko) 2019-06-20 2019-06-20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천성 면역 증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352A KR102243712B1 (ko) 2019-06-20 2019-06-20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천성 면역 증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008A true KR20200145008A (ko) 2020-12-30
KR102243712B1 KR102243712B1 (ko) 2021-04-23

Family

ID=74087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352A KR102243712B1 (ko) 2019-06-20 2019-06-20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천성 면역 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7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44017A (zh) * 2022-11-07 2023-03-28 安徽农业大学 一种提高免疫力的黄大茶多糖组合物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7741A (ko) * 2014-04-10 2015-10-2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청각 유래 면역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59552B1 (ko) 2015-03-05 2018-05-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강황 분말을 함유하는 발효유 및 이를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7741A (ko) * 2014-04-10 2015-10-2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청각 유래 면역 증진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59552B1 (ko) 2015-03-05 2018-05-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강황 분말을 함유하는 발효유 및 이를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44017A (zh) * 2022-11-07 2023-03-28 安徽农业大学 一种提高免疫力的黄大茶多糖组合物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712B1 (ko) 2021-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693B1 (ko)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RU2671209C2 (ru) Lactobacillus rhamnosus rht-3201, конъюгированные с полисахаридным полимерным связующим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ли лечения атопических заболеваний
KR101705548B1 (ko) 아피오스 추출물 또는 아피오스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CN107205461A (zh) 用于提高免疫机能的经酵素处理的人参源多糖组分及制备
KR102263698B1 (ko) 아토피 피부염 완화 또는 개선 효과를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lrcc5195 균주 및 이소말토올리고당 복합체
KR102243712B1 (ko)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천성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2294288B1 (ko)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연잎 유래 효소 다당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36094B1 (ko) 피부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5367228B2 (ja) 腸管免疫賦活化剤及び抗アレルギー剤
KR102247809B1 (ko) 청각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후천성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20160043167A (ko) 활성아민 함유 봉독의 분리 방법 및 그의 식품 조성물
KR20190043317A (ko)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101418745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시알엔비-22를 이용한 발효인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18748B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시알엔비-에이3을 이용한 발효인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69077A (ko) 셀러리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85627A (ko) 쌍별귀뚜라미 및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CN101291679A (zh) 包含猕猴桃属植物的组合物及其使用方法
KR20190060631A (ko) 감태 추출물과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200056702A (ko) 홍삼 및 유산균 발효액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6839B1 (ko) 녹용 및 가시오갈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5756270B2 (ja) がんペプチドワクチン療法効果向上剤
KR20180090197A (ko) 메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101471287B1 (ko) 스피룰리나 맥시마 유래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45734B1 (ko) 참송이 버섯 유래 변성 베타글루칸을 함유하는 항암용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조성물
KR101989980B1 (ko) 청귤 추출박 또는 청피 유래의 항암 또는 면역활성 다당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