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381A -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3381A
KR20110133381A KR1020100053081A KR20100053081A KR20110133381A KR 20110133381 A KR20110133381 A KR 20110133381A KR 1020100053081 A KR1020100053081 A KR 1020100053081A KR 20100053081 A KR20100053081 A KR 20100053081A KR 20110133381 A KR20110133381 A KR 20110133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glycoprotein
chopi
extract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2824B1 (ko
Inventor
임계택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53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824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8Zanthoxylum, e.g.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4/00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 Y10S424/81Drug, bio-affecting and body treating compositions involving autoimmunity, allergy, immediate hypersensitivity, delayed hypersensitivity, immunosuppression, immunotolerance, or aner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혈중 IL-4, IgE 및 히스타민의 생성량을 감소시키고, 비만세포의 탈과립과 세포내 Ca2+의 유동 및 알레르기 관련 단백질들(p38 MAPK, NF-κB 및 COX-2)의 활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당단백질을 함유함으로써 부작용 없이 알레르기를 치료, 억제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약학 또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Composition having anti-allergic activity containing Zanthoxylum piperitum DC fruit extract or glycoprotein isolated from its extract}
본 발명은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알레르기(allergy)의 치료, 억제 또는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천식, 알레르기 비결막염, 면역성 피부과민반응(anaphylaxis) 및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알레르기는 일정한 외부의 알레르기 유발 물질과 접하게 되면 일어나는 즉각적인 반응으로 알려져 있다. 과민성 반응(anaphylactic reaction)은 히스타민과 같은 감염성 매개체에 의해 유발되기도 한다.
비만 세포는 알레르기의 주요인이 되는 면역 세포이다. 비만 세포의 표면에는 Immunoglobulin E (IgE) 형태의 항체가 붙을 수 있는 표면 인자가 있다. 기질에 붙은 후 비교적 바로 떨어지는 다른 항체와 달리 IgE는 비만 세포에 붙으면 거의 떨어지지 않는다. 이 때, IgE에 붙는 물질(즉, 알레르겐, 항원)이 인체 내로 들어 와서 IgE와 결합을 하게 되면 그 IgE와 결합하고 있는 비만 세포가 활성화가 된다. 이렇게 활성화된 비만 세포는 신경 전달 물질인 히스타민을 외부로 분비하여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시킨다.
알레르기 반응은 티-보조(T-helper, Th2) 유형 면역 반응, 즉 인터루킨-4 (interleukin-4, IL-4) 및 IgE의 활성화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진 바 있다. 또한, N-메틸-p-메톡시페네틸아민과 포름알데히드의 축합에 의해 얻어진 고분자인 compound 48/80이 히스타민의 분비를 촉진시킨다는 것과 비만 세포의 탈과립(degranulation)을 촉진시킨다는 것이 밝혀져 있다. 또한, 비만 세포는 비면역성 자극이 가해진 후에 히스타민 및 β-hexosaminidase의 분비, 세포내 Ca2+의 유동(mobilization), 미토젠-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아제 (MAPKs), 핵산 인자 (NF-κB) 및 싸이클로옥시지나아제 (COX-2)의 활성화를 유발한다고 상정되어 왔다.
그 동안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시킬 수 있는 여러 방안들이 제안되어 왔다. 지금까지 개발된 알레르기 치료제는 대부분 면역억제제와 항히스타민제 등인데, 이들은 알레르기 증상을 일시적으로 완화시켜줄 수는 있으나 여러 가지 부작용을 수반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천연물로부터 알레르기를 치료, 완화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신 물질을 찾으려는 여러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그 동안의 수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천연 재료에서 분리된 물질이 알레르기 치료제로 사용 중이거나 임상 시험을 수행 중인 예는 소수에 불과하다.
초피나무 (Zanthoxylum piperitum DC)는 운향과 (Rutaceae)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근연 식물로는 왕초피나무(Zanthoxylum coreanum), 개산초나무 (Zanthoxylum planispinum), 산초나무 (Zanthoxylum schinifolium) 등이 있으며, 주로 한국을 중심으로 중국 본토와 일본 남부 지역에 걸쳐 자생하는 식물이다.
초피 열매는 한방서를 통해 해독작용, 진통완화, 구충작용 등과 건위약으로서의 용도가 밝혀져 있으나 그 이외의 약리 작용 및 주성분에 대하여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민간에서 전해지는 초피의 효능으로, 일부 지방에서 옻이 올라 가려울 때나 뱃속이 허하고 찰 때 초피를 달인 물을 마시거나 그 물로 씻으면 약효가 있다고 알려져 있고, 치통이 있을 때 초피 가루를 밀가루에 버무려 불에 구운 후 이를 아픈 이에 물고 있으면 약효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관련된 항알레르기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천연 재료인 초피 열매에서 유래하는 항알레르기성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연 재료인 초피 열매에서 유래하는 항알레르기성 물질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건강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에서 분리된 당단백질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에서 분리된 당단백질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의 억제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또는 식품 조성물은 compound 48/80에 의해 유도된, 혈중 IL-4, IgE 및 히스타민의 생성량을 감소시키고, 비만세포의 탈과립과 세포내 Ca2+의 유동 및 알레르기 관련 단백질들(p38 MAPK, NF-κB 및 COX-2)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부작용 없이 알레르기를 치료, 억제 또는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compound 48/80이 처리된 생쥐의 혈액에서 IL-4 및 IgE 생성량에 대한 초피 열매 당단백질의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compound 48/80이 처리된 생쥐의 혈액에서 히스타민 유리에 대한 초피 열매 당단백질의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에서 compound 48/80에 의해 유도된 세포 독성과 비만세포의 탈과립 및 세포내 Ca2+의 유동에 대한 초피 열매 당단백질의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에서 compound 48/80에 의해 유도된 p38 MAPK의 활성에 대한 초피 열매 당단백질의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에서 compound 48/80에 의해 유도된 NF-κB 활성에 대한 초피 열매 당단백질의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에서 compound 48/80에 의해 유도된 COX-2 활성에 대한 초피 열매 당단백질의 효과를 보여주는 도이다.
본 발명은 혈중 IL-4, IgE 및 히스타민의 생성량을 감소시키고, 비만세포의 탈과립과 세포내 Ca2+의 유동 및 알레르기 관련 단백질들(p38 MAPK, NF-κB 및 COX-2)의 활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당단백질을 함유함으로써 부작용 없이 알레르기를 치료, 억제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약학 또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당단백질을 항알레르기를 위한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초피 열매는 특정의 초피에서 얻어진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3-5mm 정도로서 잘 익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을 위해서는 초피 열매를 조각으로 작게 분쇄하는 것이 좋다.
초피 열매로부터 추출물을 얻는 방법은 특정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40-120℃의 물에 초피 열매를 넣고 끓이는 열수 추출 방법, 에탄올 또는 아세톤 등에 초피 열매를 넣고 상온에서 1-5일 동안 방치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초피 열매를 끓여서 유효 성분을 추출할 때에는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추출 용매로는 특정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물, C1-C6 알코올, C5-C7 알칸,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에테르, 벤젠, 메틸렌클로라이드, 싸이클로헥산 등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용매가 사용될 수 있다. 추출 용매의 양은 초피 열매 건중량의 1-20배일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된 물질은 여과지 등을 이용한 여과, 정제, 농축 등의 단계를 거쳐 본원의 초피 열매 추출물로 제조될 수 있다.
초피 열매 추출물은 초피 열매 당단백질을 포함한다. 초피 열매 당단백질은 분자량이 19 내지 29kDa이고, 당이 전체 중량의 13 내지 23%, 단백질이 전체 중량의 77 내지 87%를 차지한다.
상기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초피 열매 당단백질은 알레르기의 치료, 억제 또는 예방에 효과가 있다. 알레르기는 특정 유형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IL-4, IgE 또는 히스타민에 의해 매개된 알레르기나 비만세포의 탈과립, 세포 내 Ca2+의 유동, 또는 p38 MAPK, NF-κB 및 COX-2와 관련된 알레르기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초피 열매 당단백질 이외에 동일 또는 유사한 약효가 있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또한, 투여를 위해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스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가 첨가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비경구 투여(예컨대,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의 일일 투여량은 10-2,000 ㎎/㎏, 바람직하게는 50-500 ㎎/㎏일 수 있으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초피 열매 당단백질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억제 또는 예방 효과가 있는 식품 조성물(건강식품)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초피 열매 당단백질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는 본 발명의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초피 열매 당단백질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1 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다만,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첨가량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 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다. 예컨대,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 스낵, 과자,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등을 포함하는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건강식품에 포함될 수 있는 첨가제로는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싸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등의 탄수화물;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각종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초피 열매 당단백질 100 중량부에 대해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청구범위가 제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 예
1. 초피 열매 당단백질 추출 및 그 성분
초피 열매로부터 당단백질을 분리하는 과정은 본 발명자가 종래 발표한 논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행되었다(Lee SJ, Lim KT. Glycoprotein of Zanthoxylum piperitum DC has a hepatoprotective effect via anti-oxidative character in vivo and in vitro. Toxicology in Vitro 2008;22:376-85).
초피 열매를 조각으로 분쇄하고, 상기 초피 열매 조각을 99% 에탄올에 담가 4℃에서 3달 동안 암실에서 침지시켰다.
이어서, 상기 에탄올 추출물을 여과 종이(filter paper)를 이용하여 거른 후, 회전농축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농축하였다.
이어서, 상기 농축된 용액을 동결 건조기(freeze-dryer)를 이용하여 동결 건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동경 건조시켜 얻은 에탄올 추출물을 증류수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80% 암모늄 설페이트(ammonium sulfate)를 이용하여 상기 용액에 포함된 단백질을 침지시켰고, 투석막(dialysis membrane)을 이용하여 4℃의 20mM 트리스 버퍼(Tris byffer)(pH7.4)에서 하루 동안 투석하였다.
이어서, 상기 투석 후, 투석막 내용물을 동결 건조기로 건조시키고, -70℃의 온도에서 보존하여 초피 열매 당단백질로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초피 열매 당단백질은 성분 분석 결과, 분자량은 19 내지 29kDa, 정확하게는 24kDa이었고, 당이 13 내지 23중량%, 정확하게는 18중량%, 단백질이 77내지 87중량%, 정확하게는 82중량%인 것을 확인하였다.
2. 초피 열매 당단백질의 알레르기 억제 효과
(1) 생쥐에 compound 48/80을 처리한 후 초피 열매 당단백질 투여가 미치는 효과 분석
생쥐의 치명적인 충격에 의한 죽음이 compound 48/80을 처리한 후 관찰되는 반면, 초피 열매 당단백질의 투여는 compound 48/80에 의해 야기된 죽음을 감소시켰다(표 1 참조).
위와 같은 현상은 초피 열매 당단백질이 알레르기 유발 물질인 compound 48/80에 의해 유도된 죽음으로부터 생쥐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2) compound 48/80이 처리된 생쥐에서 초피 열매 당단백질이 혈중 IL-4 및 IgE 생성량에 미치는 효과.
도 1과 같이, compound 48/80을 처리 한 직후에는 생쥐의 혈중 IL-4 및 IgE 생성량에 대한 현저한 증가가 관찰된 반면, 초피 열매 당단백질을 투여한 후에는 compound 48/80에 의해 증가된 혈중 IL-4 및 IgE 생성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즉, compound 48/80을 처리한 생쥐에서 혈중 IL-4 및 IgE 농도가 대조군 혈중 농도에 비해 2.24pg/ml 및 222.15ng/ml 증가한 반면, 20mg/kg 초피 열매 당단백질의 투여는 compound 48/80에 의해 증가된 혈중 IL-4 및 IgE 농도를 각각 1.37pg/ml 및 135 ng/ml 감소시켰다.
(3) compound 48/80이 처리된 생쥐에서 초피 열매 당단백질이 혈중 히스타민 유리에 미치는 효과
도 2와 같이, 생쥐의 혈중 히스타민 유리에 대한 현저한 증가가 compound 48/80을 처리한 후 관찰되어진 반면, 초피 열매 당단백질의 투여는 compound 48/80에 의해 증가된 혈중 히스타민 유리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즉, compound 48/80을 처리한 생쥐에서 혈중 히스타민 유리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한 반면, 10 및 20mg/kg 초피 열매 당단백질의 투여는 compound 48/80에 의해 증가된 혈중 히스타민을 각각 0.20 및 0.25배 만큼 감소시킨 것이다.
(4)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에서 초피 열매 당단백질이 compound 48/80에 의해 유도된 세포독성과 비만세포의 탈과립 및 세포내 Ca2+ 유동에 미치는 효과
도 3과 같이,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에 5㎍/ml compound 48/80만 처리 및 초피 열매 당단백질(25, 50 및 100㎍/ml)과 5㎍/ml compound 48/80을 함께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을 때, 세포 생존율은 대조군과 비교해 볼 때 특별히 변화된 것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compound 48/80과 초피 열매 당단백질이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에서 세포 독성 효과를 전혀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에서 β-hexosaminidase와 히스타민의 유리 및 세포내 Ca2+ 유동의 현저한 증가가 compound 48/80을 처리한 후 관찰되어진 반면, 초피 열매 당단백질의 처리는 compound 48/80에 의해 증가된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의 β-hexosaminidase와 히스타민의 유리 및 세포내 Ca2+ 유동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즉, compound 48/80을 처리한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에서 β-hexosaminidase, 히스타민의 유리 및 세포내 Ca2+ 유동이 대조군에 비해 각각 0.9배 및 0.52배 만큼 증가한 반면, 100㎍/ml 초피 열매 당단백질의 처리는 compound 48/80에 의해 증가된 β-hexosaminidase 유리를 0.91배 만큼, 히스타민의 유리를 0.35배 만큼, 그리고 세포내 Ca2+ 유동을 0.33배 만큼 감소시켰다(compound 48/80을 처리한 구와 비교 했을 때).
(5)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에서 초피 열매 당단백질이 compound 48/80에 의해 유도된 p38 MAPK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
도 4와 같이, 초피 열매 당단백질은 compound 48/80이 처리된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에서 p38 MAPK의 활성도에 영향을 끼친다.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에서 p38 MAPK의 활성도의 현저한 증가가 compound 48/80을 처리한 후 관찰되어진 반면, 초피 열매 당단백질의 처리는 compound 48/80에 의해 증가된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의 p38 MAPK 활성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즉, compound 48/80을 처리한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에서 p38 MAPK 활성도가 대조군에 비해 1.28배 증가한 반면, compound 48/80을 처리한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에 25, 50 및 100㎍/ml 초피 열매 당단백질의 처리는 compound 48/80에 의해 증가된 p38 MAPK 활성도를 각각 1.0, 1.2 및 1.9배 만큼 감소시켰다(compound 48/80을 처리한 구와 비교 했을 때).
(6)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에서 초피 열매 당단백질이 compound 48/80에 의해 유도된 NF-kB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
도 5와 같이, 초피 열매 당단백질은 compound 48/80이 처리된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에서 NF-kB의 활성도에 영향을 끼친다.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에서 NF-kB(p50, p65)의 활성도의 현저한 증가가 compound 48/80을 처리한 후 관찰된 반면, 초피 열매 당단백질의 처리는 compound 48/80에 의해 증가된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의 NF-kB(p50, p65) 활성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즉, compound 48/80을 처리한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에서 NF-kB(p50, p65) 활성도가 대조군에 비해 각각 2.22 및 3.49배 증가한 반면, compound 48/80을 처리한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에 25, 50 및 100㎍/ml 초피 열매 당단백질의 처리는 compound 48/80에 의해 증가된 p50 활성도를 각각 1.0, 1.7 및 4.3배 만큼, 그리고 p65 활성도를 각각 1.1, 1.2 및 4.2배 만큼 감소시켰다(compound 48/80을 처리한 구와 비교 했을 때).
(7)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에서 초피 열매 당단백질이 compound 48/80에 의해 유도된 COX-2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
도 6과 같이, 초피 열매 당단백질은 compound 48/80이 처리된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에서 COX-2의 활성도에 영향을 끼친다.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에서 COX-2의 활성도의 현저한 증가가 compound 48/80을 처리 한 후 관찰된 반면, 초피 열매 당단백질의 처리는 compound 48/80에 의해 증가된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의 COX-2 활성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즉, compound 48/80을 처리한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에서 COX-2 활성도가 대조군에 비해 2.33배 증가한 반면, compound 48/80을 처리한 초대 배양된 인간 비만세포에 25, 50 및 100㎍/ml 초피 열매 당단백질의 처리는 compound 48/80에 의해 증가된 COX-2 활성도를 각각 1.1, 5.9 및 5.6배 만큼 감소시켰다(compound 48/80을 처리한 구와 비교 했을 때).
본 발명은 천연물에서 분리된 부작용 없는 천연 물질을 포함하는 약학 또는 식품 조성물(건강식품)을 제공함으로서 알레르기의 치료, 억제 및 예방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6)

  1.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알레르기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당단백질은 분자량이 19 내지 29kDa인 알레르기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당단백질은 당이 13 내지 23중량% 포함되고 단백질이 77 내지 87중량% 포함된 것인 알레르기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4.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이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알레르기의 억제 또는 예방용 건강식품.
  5. 청구항 4에 있어서, 당단백질은 분자량이 19 내지 29kDa인 알레르기의 억제 또는 예방용 건강식품.
  6. 청구항 4에 있어서, 당단백질은 당이 13 내지 23중량% 포함되고 단백질이 77 내지 87중량% 포함된 것인 알레르기의 억제 또는 예방용 건강식품.
KR1020100053081A 2010-06-04 2010-06-04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KR101182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081A KR101182824B1 (ko) 2010-06-04 2010-06-04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081A KR101182824B1 (ko) 2010-06-04 2010-06-04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381A true KR20110133381A (ko) 2011-12-12
KR101182824B1 KR101182824B1 (ko) 2012-09-13

Family

ID=4550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081A KR101182824B1 (ko) 2010-06-04 2010-06-04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8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146A (ko) * 2017-01-12 2018-07-20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39377A (ko) * 2018-10-05 2020-04-16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왕초피나무 유래 정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11030A (ko) * 2021-07-13 2023-01-20 박남수 진달래, 망개 및 초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51226A1 (en) 2020-05-13 2023-03-22 Mecox Curemed Co., Ltd.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20210139180A (ko) 2020-05-13 2021-11-22 메콕스큐어메드 주식회사 초피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6276A (ja) * 1996-07-17 1998-02-10 Noevir Co Ltd 抗アレルギー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抗アレルギー性化粧料並びに食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3146A (ko) * 2017-01-12 2018-07-20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천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39377A (ko) * 2018-10-05 2020-04-16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왕초피나무 유래 정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11030A (ko) * 2021-07-13 2023-01-20 박남수 진달래, 망개 및 초피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2824B1 (ko) 201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3898B1 (en) Eurycoma longifolia extract and its use in enhancing and/or stimulating immune system
KR101613693B1 (ko)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4462B1 (ko)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7371416B2 (en) Method for preparing processed ginseng to obtain increased amount of ginsenoside RG5
KR101182824B1 (ko) 초피 열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항알레르기성 조성물
TW201542213A (zh) 肥胖抑制組成物
KR101302222B1 (ko) 아토피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식물성 혼합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WO2006137122A1 (ja) 抗エイズ剤
KR101934794B1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57333A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JP2018516987A (ja) 阿魏茸の水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代謝性疾患の予防及び治療用薬学的組成物又は健康機能性食品
KR102150927B1 (ko)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20210002378A (ko) 송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KR101680013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44890B1 (ko) 고욤나무 잎 메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569089B1 (ko)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141191B1 (ko) 알레르기 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조성물 및 약학조성물
KR20190119020A (ko) 지칭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176394B1 (ko) 타히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2624173B1 (ko) 산양삼 및 산돌배 추출물 또는 그 분획물을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1904819B1 (ko) 여주와 마늘을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Jis-1로 발효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9242A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901711B2 (ja)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およびその利用
KR20230008956A (ko) 멸가치 추출물 또는 네오클로로겐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