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0667B1 - 용기 및 패키지 - Google Patents

용기 및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0667B1
KR102090667B1 KR1020197003485A KR20197003485A KR102090667B1 KR 102090667 B1 KR102090667 B1 KR 102090667B1 KR 1020197003485 A KR1020197003485 A KR 1020197003485A KR 20197003485 A KR20197003485 A KR 20197003485A KR 102090667 B1 KR102090667 B1 KR 102090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ntainer
cover
inner stopper
fl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0155A (ko
Inventor
이사무 사토
다카후미 사노
나오유키 모토자와
가즈야 히가시
도모후미 가네코
Original Assignee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센주긴조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0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3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 B65D41/045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engaging a threaded ring clamped on the external periphery of the neck o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65D43/0231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6Removable lids or covers having a peripheral channel embracing the rim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means for keeping contents in position, e.g. resili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 B65D81/268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the absorber being enclosed in a small pack, e.g. bag, included 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15Upper closure of the 41-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93Memb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5/00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수납된 금속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 및 패키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용기가 제공된다. 이 용기는, 측벽부와 저벽부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평판부와 용기 본체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측부를 가지는 덮개와, 덮개의 내부에 배치되는 평판상의 내측 마개부를 가진다. 용기 본체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을 가진다. 덮개의 측부는, 그 내주면에 2조 이상의 나사 홈을 가진다. 덮개는, 나사산에 대해서 나사 홈을 나사 결합함으로써, 용기 본체에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외주에 마련되는 복수의 계지부를 가진다. 나사 홈은, 계지부의 수와 동수의 조수를 가진다. 내측 마개부는, 계지부의 각각이 나사 홈의 각각의 내부에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 덮개의 내부에 보지된다.

Description

용기 및 패키지
본 발명은, 용기 및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소형화로부터, 전자기기에 이용되는 전자부품도 매우 소형으로 되고 있다. 또한, 이 전자부품은, 다수의 기능을 구비한 다기능 부품으로 되고 있다. 다기능 부품으로서는 BGA(Ball Grid Array)나 CSP(Chip Size Package) 등이 있으며, 이들의 다기능 부품에는 다수의 전극이 설치되어 있다. 다기능 부품을 프린트 기판에 실장할 때에는, 전극과 프린트 기판의 랜드를 납땜한다.
또한, QFP(Quad Flat Package)나 SOIC(Small Outlined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전자부품에서는, 내부에 다수의 전극을 가지는 베어 칩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전극이 전자부품의 기판과 납땜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납땜 시에, 많은 설치 개소나 매우 작은 전극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땜납을 공급하는 것에는, 많은 수고가 든다. 또한, 미소한 납땜부에 각각 정확하게 땜납을 공급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다기능 부품이나 베어 칩에 관한 납땜에 있어서는, 미리 전극에 땜납을 부착시켜 땜납 범프를 형성해 두고, 납땜 시에 이 땜납 범프를 용융함으로써 납땜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땜납 범프의 형성에는, 솔더 페이스트를 사용하는 방법이나, 땜납볼을 사용하는 방법 등이 이용된다. 종래에는 비용이 저렴한 솔더 페이스트를 사용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형성되는 범프가 30∼200㎛로 미소한 것이 요구되도록 된 것이나, 땜납볼에 의한 범프의 쪽이 실장의 높이를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요구되는 범프 높이와 같은 직경인 땜납볼을 사용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게 되었다. 특히, BGA나 CSP의 외부 단자용의 전극이나 부품 내부의 베어 칩 접합용의 전극에는, 실장의 높이의 확보가 중요하여, 땜납볼의 사용이 없어서는 안된다.
땜납볼을 다수의 전극에 탑재할 때에는, 땜납볼보다 조금 작은 직경을 가지는 구멍이 형성된 팔렛트 상에 땜납볼을 투입하여 팔렛트를 요동함으로써, 팔렛트의 구멍에 땜납볼을 정렬시킨다. 이어서, 땜납볼 탑재 헤드에 땜납볼이 탑재된다. 그 때문에, 땜납볼의 애스펙트비가 크고, 입경에 오차가 있으면, 전극에의 탑재가 불가능하게 되어버린다. 엄밀한 땜납량이 확보되고, 실장의 높이가 확보되기 위해서는, 땜납볼 1개씩의 입경에 오차가 없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또한, 땜납볼이 미소하게 됨에 따라, 땜납 전량에 대한 땜납볼의 표면적의 비율이 증가하게 되므로, 땜납볼의 표면이 산화하여 황변이 생기기 쉬워진다. 황변은, 땜납볼이 대기중에 노출되어, 땜납볼 중의 Sn이 대기중의 산소에 의해 산화되는 것에 기인한다. Sn의 산화막이 황색이기 때문에, 산화막이 두꺼워지면 땜납볼 전체가 황색으로 변색되어 보인다.
이에 대해서, 미소 땜납볼을 수용하는 용기를 통기성 재료로 구성하고, 이 용기의 외부에 배치되는 탈산소 건조제를 용기와 함께 파우치 부재 내에 수납하여 기밀 상태로 봉지(封止)하는 미소 땜납볼의 보존용 패키지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에 의하면, 땜납볼 표면의 산화 및 황변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국 특허 제4868267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땜납볼 용기에 있어서, 작은 입경(예를 들면, 0.1㎜ 이하)의 땜납볼을 수납하는 경우, 땜납볼 용기의 용기 본체의 가장자리와 덮개재의 사이의 미소한 간극에 땜납볼이 끼일 우려가 있다. 상기 간극에 땜납볼이 끼이면, 예를 들면 땜납볼 용기를 반송하고 있을 때에 덮개재가 용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대해서 움직이는 것에 의해, 땜납볼이 찌부러져, 땜납볼의 진구도(眞球度)가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땜납볼 용기에 있어서, 땜납볼이 대전하였을 경우, 용기 본체로부터 땜납볼을 취출할 때에, 금속 입자가 용기 본체의 내면 및 개구단면에 정전 흡착될 우려가 있다. 땜납볼이 개구단면에 정전 흡착되면, 덮개 부재를 다시 용기 본체에 부착할 때에, 덮개 부재와 용기 본체의 개구단면의 사이에 땜납볼이 끼워져, 덮개 부재를 닫는 것이 곤란하게 되며, 땜납볼이 변형된다.
또한, 구리 볼, 구리핵 볼, 구리 칼럼 등을 수용하는 용기도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금속도 마찬가지로 대전하였을 경우, 용기의 개구단면에 정전 흡착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금속은, 땜납에 비하여 높은 강도를 가지므로, 덮개 부재와 용기 본체의 개구단면의 사이에 끼워져서 변형될 가능성은 낮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금속이어도 다소의 변형의 가능성은 존재하므로, 덮개재와 용기 본체의 개구단면의 사이에, 이들의 금속이 끼워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 목적의 하나는, 수납된 금속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 및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목적의 하나는, 용기 본체의 개구단면에 금속 입자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 및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형태에 의하면, 용기가 제공된다. 이 용기는, 측벽부와 저벽부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평판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측부를 가지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내부에 배치되는 평판상의 내측 마개부를 가진다. 상기 용기 본체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을 가진다. 상기 덮개의 상기 측부는, 그 내주면에 2조(條) 이상의 나사 홈을 가진다. 상기 덮개는, 상기 나사산에 대해서 상기 나사 홈을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에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측 마개부는, 내측 마개부 본체와, 상기 내측 마개부 본체의 외주부에 마련되는 계지(係止)부를 가진다. 상기 나사 홈은, 상기 계지부의 수와 동수의 조수(條數)를 가진다. 상기 내측 마개부는, 상기 계지부의 각각이 상기 나사 홈의 각각의 내부에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덮개의 내부에 보지(保持)된다.
제 2 형태에 의하면, 제 1 형태의 용기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용기 본체의 내면 및 개구단면이 도전성을 가진다.
제 3 형태에 의하면, 용기가 제공된다. 이 용기는, 측벽부와 저벽부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평판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측부를 가지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내부에 배치되는 평판상의 내측 마개부를 가진다. 상기 용기 본체는, 개구단면을 가진다. 적어도 상기 용기 본체의 내면 및 상기 개구단면이 도전성을 가진다.
제 4 형태에 의하면, 제 3 형태의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을 가지고, 상기 덮개의 상기 측부는, 그 내주면에 2조 이상의 나사 홈을 가지고, 상기 덮개는, 상기 나사산에 대해서 상기 나사 홈을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에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측 마개부는, 내측 마개부 본체와, 상기 내측 마개부 본체의 외주부에 마련되는 계지부를 가진다. 상기 나사 홈은, 상기 계지부의 수와 동수의 조수를 가진다. 상기 내측 마개부는, 상기 계지부의 각각이 상기 나사 홈의 각각의 내부에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덮개의 내부에 보지된다.
제 5 형태에 의하면, 제 1로부터 제 4 형태의 어느 용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상기 측부의 내면은, 상기 평판부를 향하여 내경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구배를 가진다.
제 6 형태에 의하면, 제 1로부터 제 5 형태의 어느 용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상기 평판부는, 고리형의 돌조부를 가지고, 상기 돌조부는, 그 선단에 평탄부를 가지고, 상기 계지부의 각각을 상기 나사 홈을 따라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내측 마개부 본체가 상기 평탄부에 접촉하면서 또한 상기 계지부가 상기 나사 홈 내부와 접촉하여, 상기 계지부가 상기 나사 홈의 내부에 고정된다.
제 7 형태에 의하면, 제 1로부터 제 6 형태 중 어느 용기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내측 마개부가 도전성을 가진다.
제 8 형태에 의하면, 제 1로부터 제 7 형태의 어느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저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용기 본체 내측의 코너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 9 형태에 의하면, 제 1로부터 제 8 형태의 어느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저벽부의 내측면은, 평탄하게 형성된다.
제 10 형태에 의하면, 패키지가 제공된다. 이 패키지는, 제 1로부터 제 9 형태의 어느 용기를 받아들이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한 보지 부재와, 상기 용기의 외부에 배치되는 탈산소 건조제와, 상기 용기와, 상기 보지 부재와, 상기 탈산소 건조제를 수용하여 밀폐 상태로 봉지된 비통기성의 파우치 부재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된 금속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 및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본체의 개구단면에 금속 입자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 및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덮개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덮개의 부분 확대측 단면도이다.
도 5는 용기 본체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내측 마개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내측 마개부의 측면도이다.
도 8a는 내측 마개부를 덮개에 보지시키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b는 내측 마개부를 덮개에 보지시키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c는 내측 마개부를 덮개에 보지시키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내측 마개부가 덮개의 내부에 보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개로 폐지(閉止)한 상태의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개로 폐지한 상태의 돌조부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밀폐 전의 패키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밀폐 후의 패키지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용기 및 패키지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또는 상당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용기는, 땜납볼뿐만 아니라, 구리 볼, 구리 칼럼, 구리핵 볼 등의 임의의 금속종이면서 또한 임의의 형상의 금속 입자를 수용할 수 있지만,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땜납볼을 수용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용기의 사시도이다. 용기(10)는, 바닥이 있는 원통상의 용기 본체(20)와, 용기 본체(20)의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개구부를 폐지하기 위한 덮개(40)를 가진다. 용기 본체(20)는, 땜납볼 등의 금속 입자를 수용가능한 내부 공간을 가지며, 덮개(40)는 개구부를 폐지함으로써 이 내부 공간을 폐지한다. 덮개(40)는, 그 외주면에, 스트레이트 널(Straight Knurl)(44)을 가진다. 스트레이트 널(44)은, 덮개(40)를 용기 본체(20)에 나사 결합하기 위하여 이용자가 덮개(40)를 잡아서 돌릴 때에, 이용자의 손과 덮개(40)의 마찰력을 향상시킨다. 덮개(40)는, 용기 본체(20)의 내부 공간을 완전하게는 밀폐하지 않는다. 이하, 용기(10)를 구성하는 용기 본체(20)와, 덮개(40)와, 덮개(40)의 내부에 마련되는 내측 마개부의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나타낸 덮개(4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덮개(40)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덮개(40)의 저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나타내는 덮개(40)의 부분(A1)의 확대측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서는, 덮개(40)는 도전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덮개(40)는,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며, 또는 도전성 재료로 표면이 피복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40)는, 도 1에 나타낸 용기 본체(20)의 개구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평판부(41)와, 용기 본체(20)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는 측부(42)를 가진다. 측부(42)는, 평판부(41)의 외주부로부터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대략 원통상의 부재이다.
측부(42)의 내주면에는, 4조의 나사 홈(43)이 형성된다. 덮개(40)는, 용기 본체(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4조의 나사산(28)(도 5 참조)에 대해서 나사 홈(43)을 나사 결합함으로써, 용기 본체(20)의 개구부를 폐지하도록 구성된다. 나사 홈(43)의 조수는 4조로는 한정되지 않으며, 2조 이상의 임의의 조수를 채용할 수 있지만, 제조상의 관점에서는 2조에서 4조가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부(41)는, 그 외주를 따라 고리형으로 마련되는 돌조부(45)를 가진다. 돌조부(45)는, 그 선단에 평탄부(45a)를 가진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돌조부(45)는, 덮개(40)를 용기 본체(20)에 나사 결합하였을 때에, 용기 본체(20)의 개구단면(24)(도 5 참조)과 함께 내측 마개부를 끼우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40)의 측부(42)의 내면은, 평판부(41)를 향하여 그 내경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구배(G1)를 가진다. 구배(G1)는, 약 1° 이상 약 2°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배(G1)는 약 1°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나사 홈(43)의 내경도, 평판부(41)를 향하여 서서히 작아진다.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낸 용기 본체(2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용기 본체(20)의 측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0)는, 원형 평판상의 저벽부(21)와, 저벽부(21)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연장하는 대략 원통상의 측벽부(22)를 가진다. 측벽부(22)의 단부는, 개구부(23)를 형성하는 개구단면(24)을 구성한다. 측벽부(22)의 축방향 길이는, 저벽부(21)의 직경(외경)보다도 크게 되도록 구성된다.
용기 본체(20)는, 측벽부(22)의 외주면에 4조의 나사산(28)과, 이에 대응하는 나사 홈(25)을 가진다. 측벽부(22)의 외주면의 나사산(28)보다도 저벽부(21)측에는, 플랜지(26)와, 플랜지(26)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리브(27)가 형성된다.
용기(10)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금속 입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금속 입자가 대전하였을 경우, 용기(10)로부터 금속 입자를 취출할 때에, 금속 입자가 용기(10)의 내면 및 개구단면(24)에 정전 흡착될 우려가 있다. 특히, 개구단면(24)에 금속 입자가 정전 흡착되면, 덮개(40)를 다시 용기 본체(20)에 부착할 때에, 덮개(40)와 용기 본체(20)의 사이에 금속 입자가 끼워져, 덮개(40)를 닫는 것이 곤란해지며, 금속 입자가 변형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본체(20)는 도전성을 가진다. 예를 들면, 용기 본체(20)는,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며, 또는 도전성 재료로 표면이 피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용기 본체(20)의 내면 및 개구단면(24)이 도전성을 가진다. 예를 들면, 용기 본체(20)의 내면 및 개구단면(24)에 도전성 재료가 피복된다. 또한, 이 도전성 재료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금속 입자의 정전기를 용기 본체(20)로 방출할 수 있어, 금속 입자가 용기 본체의 내면 및 개구단면(24)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본체(20)의 저벽부(21)의 내측면, 즉 용기 본체(20)의 내부측의 면은, 평탄하게 형성된다. 또한 저벽부(21)와 측벽부(22)에 의해 형성되는 용기 본체(20) 내측의 코너부(29)는, 라운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저벽부(21)와 측벽부(22)의 접속부의 내측면은, 만곡하도록 형성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단면에 있어서 코너부(29)의 곡률 반경은, 예를 들면 4㎜이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20)의 내면에 도전성 재료를 균일하게 피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용기 본체(20)의 내면에 액체의 도전성 재료를 스핀 코팅하는 경우, 용기 본체(20)의 저벽부(21)가 평탄하므로, 저벽부(21)의 내측면에 균일하게 도전성 재료가 피복된다. 또한, 코너부(29)가 라운드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도전성 재료를 스핀 코팅할 때에, 도전성 재료가 만곡한 코너부(29)를 따라 도전성 재료를 균일하게 펼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20)의 내면에 도전성 재료를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스핀코트에 한하지 않고, 스프레이나 롤 코터를 사용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낸 용기(10)가 가지는 내측 마개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내측 마개부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내측 마개부의 측면도이다. 내측 마개부(50)는, 도 1로부터 도 4에 나타낸 덮개(40)의 내부에 배치되는 평판상의 부재이며, 덮개(40)와 함께 용기 본체(20)의 개구부(23)(도 5 참조)를 폐지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내측 마개부(50)는 도전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마개부(50)는, 도전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며, 또는 도전성 재료로 표면이 피복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마개부(50)는, 대략 원형 평판상의 내측 마개부 본체(51)와, 내측 마개부 본체(51)의 외주부에 등(等)간격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계지부(52)를 가진다. 계지부(52)는, 예를 들면,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의 돌기물이다. 계지부(52)는, 도 2 등에 나타낸 덮개(40)의 나사 홈(43)의 조수와 같은 수만큼, 내측 마개부(50)에 마련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계지부(52)가 내측 마개부 본체(51)에 마련된다. 내측 마개부 본체(51)는, 예를 들면 약 1.3㎜의 두께를 가지며, 계지부(52)는 예를 들면 약 0.7㎜의 두께를 가진다. 내측 마개부(50)는, 도 2로부터 도 4에 나타낸 덮개(40)의 4조의 나사 홈(43)의 내부에 4개의 계지부(52)를 끼워 넣는 것에 의해, 덮개(40)의 내부에 계지되어서 보지된다.
도 8a에서 도 8c는, 내측 마개부(50)를 덮개(40)에 보지시키는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내측 마개부(50)를 덮개(40)의 내부에 위치시킨다. 이 때, 내측 마개부(50)의 계지부(52)의 각각을, 나사 홈(43) 각각의 선단에 삽입한다. 이어서, 내측 마개부(50)를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내측 마개부(50)의 계지부(52)의 각각은, 나사 홈(43)을 따라, 덮개(40)의 내부를 향하여, 즉 평판부(4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8b 참조). 내측 마개부(50)를 둘레방향으로 계속 더 회전시키면, 내측 마개부(50)는, 돌조부(45)의 평탄부(45a)와 접촉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여기에서, 내측 마개부(50)는, 덮개(40)의 나사 홈(43)의 조수와 동수의 계지부(52)를 가지며, 계지부(52)의 각각이, 나사 홈(43)의 각각의 내부에 끼워 넣어진다. 이에 의해, 내측 마개부(50)는, 덮개(40)의 평판부(41)와 항상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덮개(40)의 내부에 보지된다. 이에 의해, 덮개(40)를 용기 본체(20)에 부착하였을 때에, 내측 마개부(50)를 용기 본체(20)의 개구단면(24)(도 5)에 대해서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측 마개부(50)가 돌조부(45)의 평탄부(45a)와 접촉함으로써, 내측 마개부 본체(51)의 평판부(41)에 접근하는 방향에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 상태에서 내측 마개부(50)를 둘레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계지부(52)만이 나사 홈(43)을 따라 평판부(4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계지부(52)가 나사 홈(43)의 내부(나사 홈(43)의 측면부)와 접촉하는 것과 함께 계지부(52)가 나사 홈(43)을 따라 변형한다. 바꿔 말하면, 내측 마개부 본체(51)가 평탄부(45a)에 접촉하면서 또한 계지부(52)가 나사 홈(43) 내부와 접촉함으로써, 내측 마개부 본체(51)에는 평탄부(45a)에 의해 평판부(41)로부터 덮개(40)의 개구를 향하는 방향(도 8a-도 8c에 있어서 하방향)의 응력이 가해지고, 계지부(52)에는 나사 홈(43)에 의해 덮개(40)의 개구로부터 평판부(41)를 향하는 방향(도 8a-도 8c에 있어서 상방향)의 응력이 가해진다. 이에 의해, 계지부(52)와 나사 홈(43)의 내부의 사이에서 마찰이 생기며, 내측 마개부(50)의 계지부(52)가 나사 홈(43)의 내부에 고정된다.
도 9는, 내측 마개부(50)가 덮개(40)의 내부에 보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덮개(40)의 측부(42)의 내면은, 평판부(41)를 향하여 그 내경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구배(G1)(도 2 참조)를 가진다. 이 때문에, 도 9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마개부(50)가 덮개(40)의 개구 부근에 위치할 때에는, 나사 홈(43)과 내측 마개부(50)의 계지부(52)의 사이에는 직경 방향(도면 중 좌우 방향)의 소정의 간극이 존재한다. 한편, 도 9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내측 마개부(50)와 같이, 내측 마개부(50)가 돌조부(45) 부근에 위치할 때에는, 내측 마개부(50)의 계지부(52)는 나사 홈(43)의 홈바닥부와 접촉하며, 나사 홈(43)과 내측 마개부(50)의 사이에 마찰력이 생긴다. 이에 의해, 내측 마개부(50)의 계지부(52)는, 나사 홈(43)의 내부에 끼워 넣어져서 보지 또는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마개부(50)를 덮개(40)의 내부에 보지하기 위하여, (ⅰ) 덮개(40)의 측부(42)의 내면이, 평판부(41)를 향하여 그 내경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구배(G1)(도 2 참조)를 가지면서, 또한 (ⅱ) 내측 마개부 본체(51)를 평탄부(45a)에 접촉시키면서 또한 계지부(52)를 나사 홈(43) 내부(나사 홈(43)의 측면부)와 접촉시킨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ⅰ)과 (ⅱ) 중 어느 일방의 특징을 가지도록 덮개(40)를 구성하여도 되고, 그 경우에도, 나사 홈(43)의 내부에 내측 마개부(50)를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ⅰ)과 (ⅱ)의 특징의 양방을 가지도록 덮개(40)를 구성함으로써, 내측 마개부(50)를 나사 홈(43)의 내부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0은, 용기 본체(20)의 개구부(23)를 덮개(40)로 폐지한 상태의 용기(10)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11은, 용기 본체(20)의 개구부(23)를 덮개(40)로 폐지한 상태의 돌조부(45)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40)는, 용기 본체(20)의 나사산(28)에 대해서 덮개(40)의 나사 홈(43)을 나사 결합함으로써, 용기 본체(20)를 폐지한다. 이 때, 덮개(40)의 내부에 보지된 내측 마개부(50)는, 돌조부(45)와 용기 본체(20)의 개구단면(24)의 사이에 끼워진다. 또한 덮개(40)를 용기 본체(20)에 대해서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해, 내측 마개부(50)에는, 돌조부(45)의 평탄부(45a)와 개구단면(24)의 내주연부(24a)에 의해 응력이 가해진다. 이에 의해, 용기 본체(20)의 개구단면(24)이 내측 마개부(50)에 의해 조밀하게 폐지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조부(45)의 평탄부(45a)의 내주 직경이 개구단면(24)의 내주연부(24a)의 내경보다도 작게 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내측 마개부(50)에는, 돌조부(45)의 평탄부(45a)와 개구단면(24)의 내주연부(24a)에 의하여 응력이 가해진다. 이에 의해, 내측 마개부(50)에는 개구단면(24)의 내주연부(24a)를 따라 응력이 선형상으로 집중하여 가해지므로, 용기 본체(20)의 개구단면(24)을 보다 조밀하게 폐지할 수 있다.
내측 마개부(50)는, 덮개(40)의 평판부(41)와 항상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덮개(40)의 내부에 보지되므로, 덮개(40)를 용기 본체(20)에 부착하였을 때에, 내측 마개부(50)를 용기 본체(20)의 개구단면(24)에 대해서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으며, 용기 본체(20)의 개구단면(24)의 내주연부(24a)와의 간극을 균일하게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작은 입경(예를 들면, 0.76㎜ 이하)의 금속 입자가 용기(10)에 수납되는 경우에도, 용기 본체(20)의 내주연부(24a)와 내측 마개부(50)의 사이에 금속 입자가 끼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용기(10)의 반송 중에, 금속 입자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용기(10)에서는, 내측 마개부(50)가 덮개(40)의 나사 홈(43)에 의해, 덮개(40)의 내부에 보지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문에, 용기(10)를 개폐하였을 때에도, 덮개(40)로부터 내측 마개부(50)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용기(10)에서는, 내측 마개부(50)가 도전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의해, 용기(10)에 수납되는 금속 입자가 대전하여도, 내측 마개부(50)에는, 금속 입자가 부착되지 않는다. 또한, 용기 본체(20) 및 덮개(40)도 도전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용기(10)를 기울게 하는 등 하여, 금속 입자가 굴러 대전하여도, 내측 마개부(50), 용기 본체(20) 및 덮개(40)를 개재하여 금속 입자로부터 제전된다. 본 실시형태의 내측 마개부(50), 용기 본체(20) 및 덮개(40)는, 카본을 함유한 수지 등의 도전성 수지를 이용하여도 되고, 도전성의 도료를 도포하여, 도전성을 가지게 하여도 된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기(10) 내의 금속 입자를 팔렛트 등에 옮길 때에, 금속 입자가 정전기에 의해 용기 본체(20), 덮개(40), 및 내측 마개부(50)에 부착되어, 비산(飛散)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용기(10)에서는, 용기 본체(20)의 축방향 길이가 저벽부(21)의 직경보다도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용자가 용기(10)의 용기 본체(20)를 잡기 쉬워진다. 이용자가 용기(10)의 용기 본체(20)를 잡기 쉬워지는 것에 의해, 이용자의 손이 용기(10)와 접촉하는 면적이 커지므로, 금속 입자의 정전기가 이용자의 손을 개재하여 방전되기 쉬워진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패키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밀폐 전의 패키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13은, 밀폐 후의 패키지의 종단면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키지(60)는, 도 1 또는 도 11에 있어서 설명한 용기(10)와, 용기(10)를 보지하기 위한 보지 부재(62)와, 탈산소 건조제(63)와, 용기(10)와 보지 부재(62)와 탈산소 건조제(63)를 수용하여 밀폐 상태로 봉지하기 위한 파우치 부재(64)를 가진다.
보지 부재(62)는, 평판상의 판부재(65)와, 용기(10)를 받아들이기 위한 수용부(61)와, 탈산소 건조제(63)를 배치하기 위한 오목부(66)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지 부재(62)는, 4개의 용기(10)를 보지하기 위하여 4개의 수용부(61)를 가진다. 복수의 용기(10)는, 보지 부재(62)의 수용부(61)에 각각 수용됨으로써, 서로의 상대 위치가 유지된다. 오목부(66)는, 탈산소 건조제(63)가 수용부(61)에 수용된 각각의 보지 부재(62)와 대략 등거리 떨어진 장소에 위치하도록, 4개의 수용부(61)의 대략 중심에 마련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부(61)의 각각의 하부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완충용 팽출부(膨出部)(67)가 형성된다. 이 경우의 외부로부터의 충격은, 예를 들면 패키지(60)가 낙하하는 것에 의한 충격이다.
용기(10)를 포장할 때에는, 우선, 용기(10)에 땜납볼 등의 금속 입자를 넣는다. 그 후, 용기(10)를 보지 부재(62)의 수용부(61)에 수용하고, 오목부(66)에 탈산소 건조제(63)를 배치한다. 또한, 탈산소 건조제(63)가 오목부(66)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오목부(66)에 탈산소 건조제(63)를 누르는 누름 부재 등을 마련하여도 된다.
이어서, 용기(10), 보지 부재(62), 및 탈산소 건조제(63)를, 파우치 부재(64)에 넣는다. 파우치 부재(64)의 단부를 밀폐함으로써,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10), 보지 부재(62), 및 탈산소 건조제(63)가 밀폐 상태로 봉지된다.
또한, 파우치 부재(64)는, 비통기성의 재료로 구성된다. 파우치 부재(64)에 사용되는 재료로서, 산소 투과도 및 수증기 투과도가 충분하게 낮은 것이 채용된다. 산소 투과도에 대해서는, 온도 23℃, 습도 0%, 기압 1㎫의 환경하에서, 1㎡당의 시트를 하루에 투과하는 산소량이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증기 투과도에 대해서는, 온도 40℃, 상대습도 90%의 환경하에서, 1㎡당의 시트를 하루에 투과하는 수분량이 1그램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우치 부재(64)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시트 재료로 작성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통기성 재료로 작성된 파우치 부재(64)에 알루미늄 등으로 코팅함으로써, 파우치 부재(64)에 비통기성을 부여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탈산소 건조제(63)란, 탈산소 기능을 가지면서, 또한, 수분도 흡수함으로써, 산소와 수분을 원인으로 하는 대상물의 산화를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탈산소 건조제로서는, 예를 들면 시판품으로서는 RP제(미쓰비시가스화학주식회사 제품의 상품명)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용기(10)의 덮개(40)는, 용기 본체(20)의 내부 공간을 완전하게는 밀폐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용기(10)가 파우치 부재(64) 내에 탈산소 건조제(63)와 함께 수납됨으로써, 용기(10)의 내부 분위기의 산소 및 수분을 탈산소 건조제(63)가 흡수하여, 금속 입자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지 부재(62)가 보지하는 용기(10)의 수는 4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수용부(61)의 수를 증감함으로써, 보지 부재(62)가 보지가능한 용기(10)의 수를 적절히 증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보지 부재(62)가 보지하는 용기(10)의 수가 보다 많아지는 경우에는, 탈산소 건조제(63)의 수를 늘려도 된다.
용기(10)를 사용할 때에는, 도 13에 나타낸 패키지(60)의 파우치 부재(64)의 일부를 찢어, 보지 부재(62)를 파우치 부재(64)로부터 취출한다. 용기(10)의 덮개(40)를 벗겨서, 안의 금속 입자를 팔렛트 상에 공급한다. 사용하지 않은 용기(10)는, 보지 부재(62) 내에 수용한 채 미사용의 새로운 탈산소 건조제(63)와 함께 파우치 부재(64) 내로 되돌린다. 파우치 부재(64)를 찢은 부분은 열압착 등, 확실한 봉지를 행하여 외기가 침입하지 않도록 막아 둔다. 하나의 용기(10) 내의 금속 입자의 전부를 다 쓰지 않은 경우에는, 그 용기(10)를 덮개(40)로 닫고, 보지 부재(62)로 되돌려서 파우치 부재(64) 내에 수납하고, 파우치 부재(64)를 재봉지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상기 서술한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변경, 개량될 수 있는 것과 함께,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서술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할 수 있는 범위, 또는, 효과의 적어도 일부를 가지는 범위에 있어서, 특허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에 기재된 각 구성요소의 임의의 조합, 또는 생략이 가능하다.
10…용기
20…용기 본체
21…저벽부
22…측벽부
23…개구부
24…개구단면
24a…내주연부
28…나사산
29…코너부
40…덮개
41…평판부
42…측부
43…나사 홈
45…돌조부
45a…평탄부
50…내측 마개부
51…내측 마개부 본체
52…계지부
60…패키지
61…수용부
62…보지 부재
63…탈산소 건조제
64…파우치 부재
G1…구배

Claims (10)

  1. 측벽부와 저벽부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평판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측부를 가지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내부에 배치되는 평판상의 내측 마개부를 가지고,
    상기 용기 본체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을 가지고,
    상기 덮개의 상기 측부는, 그 내주면에 2조 이상의 나사 홈을 가지며,
    상기 덮개는, 상기 나사산에 대해서 상기 나사 홈을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에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측 마개부는, 내측 마개부 본체와, 상기 내측 마개부 본체의 외주부에 마련되는 계지부를 가지고,
    상기 나사 홈은, 상기 계지부의 수와 동수의 조수를 가지고,
    상기 내측 마개부는, 상기 계지부의 각각이 상기 나사 홈의 각각의 내부에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덮개의 내부에 보지되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용기 본체의 내면 및 개구단면이 도전성을 가지는 용기.
  3. 측벽부와 저벽부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평판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측부를 가지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내부에 배치되는 평판상의 내측 마개부를 가지고
    상기 용기 본체는, 개구단면을 가지며,
    적어도 상기 용기 본체의 내면 및 상기 개구단면이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용기 본체는, 그 외주면에 나사산을 가지고,
    상기 덮개의 상기 측부는, 그 내주면에 2조 이상의 나사 홈을 가지며,
    상기 덮개는, 상기 나사산에 대해서 상기 나사 홈을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에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측 마개부는, 내측 마개부 본체와, 상기 내측 마개부 본체의 외주부에 마련되는 계지부를 가지고,
    상기 나사 홈은, 상기 계지부의 수와 동수의 조수를 가지고,
    상기 내측 마개부는, 상기 계지부의 각각이 상기 나사 홈의 각각의 내부에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덮개의 내부에 보지되는, 용기.
  4. 측벽부와 저벽부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평판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측부를 가지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내부에 배치되는 평판상의 내측 마개부를 가지고,
    상기 용기 본체는, 개구단면을 가지며,
    적어도 상기 용기 본체의 내면 및 상기 개구단면이 도전성을 가지며,
    상기 덮개의 상기 측부는, 그 내주면에 2조 이상의 나사 홈을 가지며,
    상기 덮개의 상기 평판부는, 고리형의 돌조부를 가지며,
    상기 돌조부는, 그 선단에 평탄부를 가지고,
    상기 내측 마개부는, 내측 마개부 본체와, 상기 내측 마개부 본체의 외주부에 마련되는 계지부를 가지고,
    상기 나사 홈은, 상기 계지부의 수와 동수의 조수를 가지고,
    상기 계지부의 각각을 상기 나사 홈을 따라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내측 마개부 본체가 상기 평탄부에 접촉하면서 또한 상기 계지부가 상기 나사 홈 내부와 접촉하여, 상기 계지부가 상기 나사 홈의 내부에 고정되는,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상기 측부의 내면은, 상기 평판부를 향하여 내경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구배를 가지는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내측 마개부가 도전성을 가지는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벽부와 상기 측벽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상기 용기 본체 내측의 코너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되어 있는,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벽부의 내측면은, 평탄하게 형성되는, 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기를 받아들이기 위한 수용부를 구비한 보지 부재와,
    상기 용기의 외부에 배치되는 탈산소 건조제와,
    상기 용기와, 상기 보지 부재와, 상기 탈산소 건조제를 수용하여 밀폐 상태로 봉지된 비통기성의 파우치 부재를 가지는 패키지.
  10. 삭제
KR1020197003485A 2016-07-08 2017-07-05 용기 및 패키지 KR1020906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35876 2016-07-08
JP2016135876 2016-07-08
JPJP-P-2016-135877 2016-07-08
JP2016135877 2016-07-08
PCT/JP2017/024590 WO2018008668A1 (ja) 2016-07-08 2017-07-05 容器及びパッケー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521A Division KR20190104253A (ko) 2016-07-08 2017-07-05 용기 및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155A KR20190020155A (ko) 2019-02-27
KR102090667B1 true KR102090667B1 (ko) 2020-03-18

Family

ID=609127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521A KR20190104253A (ko) 2016-07-08 2017-07-05 용기 및 패키지
KR1020197003485A KR102090667B1 (ko) 2016-07-08 2017-07-05 용기 및 패키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521A KR20190104253A (ko) 2016-07-08 2017-07-05 용기 및 패키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781026B2 (ko)
EP (1) EP3470349B1 (ko)
JP (1) JP6418475B2 (ko)
KR (2) KR20190104253A (ko)
CN (1) CN109415151B (ko)
PH (1) PH12019500031B1 (ko)
PT (1) PT3470349T (ko)
SG (1) SG11201811845SA (ko)
TW (1) TWI657016B (ko)
WO (1) WO20180086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954B1 (ko) * 2021-04-13 2023-09-19 이재성 용기 뚜껑의 에코 패킹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8267B2 (ja) * 2008-12-01 2012-02-01 千住金属工業株式会社 微小はんだボールの保存用パッケージ体および保存方法
JP2013505176A (ja) * 2009-09-23 2013-02-14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誘導シールディスク
JP2013103764A (ja) * 2011-11-11 2013-05-30 Kosei Honma 密封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68267A (ko) 1971-12-17 1973-09-18
JPH0231406Y2 (ko) * 1985-03-28 1990-08-24
DE69032336T2 (de) * 1989-02-16 1998-09-24 Fuji Photo Film Co Ltd Behälter für photographische Filmpatronen
US5265747A (en) 1992-07-28 1993-11-30 Owens-Illinois Closure Inc. Plastic beverage closure
CA2101196C (en) * 1992-07-28 2005-06-14 James L. Gregory Plastic beverage closure
US5551608A (en) * 1995-06-20 1996-09-03 Phoenix Closures, Inc. Closure assembly with tabbed liner
US5927530A (en) 1998-05-21 1999-07-27 Phoenix Closures, Inc. Angled tab closure liner
US7182986B1 (en) 1998-07-09 2007-02-27 Kuraray Co., Ltd. Container cap
JP2002240814A (ja) * 2001-02-15 2002-08-28 Yoshino Kogyosho Co Ltd 帯電防止性に優れた合成樹脂製容器
JP3994146B2 (ja) * 2001-12-18 2007-10-1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容器本体およびプリフォームの金型装置
US6425492B1 (en) * 2002-01-28 2002-07-30 Phoenix Closures, Inc. Tabbed liner
DE602005015576D1 (de) * 2005-08-05 2009-09-03 Unilever Nv Spenderkappe für Sprühvorrichtung
ITRN20120005A1 (it) * 2012-01-20 2013-07-21 Polykap S R L Guarnizione discoidale per elementi di chiusura internamente provvisti di risalti.
TWM522615U (zh) * 2016-02-18 2016-06-01 Yih Tai Galss Ind Co Ltd 化妝品容器結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8267B2 (ja) * 2008-12-01 2012-02-01 千住金属工業株式会社 微小はんだボールの保存用パッケージ体および保存方法
JP2013505176A (ja) * 2009-09-23 2013-02-14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誘導シールディスク
JP2013103764A (ja) * 2011-11-11 2013-05-30 Kosei Honma 密封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00262A1 (en) 2019-10-03
TWI657016B (zh) 2019-04-21
EP3470349A4 (en) 2019-09-11
KR20190020155A (ko) 2019-02-27
CN109415151A (zh) 2019-03-01
PH12019500031A1 (en) 2019-10-21
KR20190104253A (ko) 2019-09-06
EP3470349A1 (en) 2019-04-17
JP6418475B2 (ja) 2018-11-07
PT3470349T (pt) 2022-11-15
CN109415151B (zh) 2020-07-31
JPWO2018008668A1 (ja) 2018-10-18
SG11201811845SA (en) 2019-01-30
US10781026B2 (en) 2020-09-22
TW201806829A (zh) 2018-03-01
PH12019500031B1 (en) 2019-10-21
EP3470349B1 (en) 2022-10-12
WO2018008668A1 (ja)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9825B (zh) 微小銲錫球之保存用密封盒
KR102090667B1 (ko) 용기 및 패키지
TWI597218B (zh) 容器、包裝、及封閉容器的方法
US11131568B2 (en) Sensor packag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lid structure
JP6108191B6 (ja) 容器、パッケージ、及び容器を閉止する方法
US6352153B1 (en) Solder ball container
KR100716546B1 (ko) 솔더볼용 용기
JP4158158B2 (ja) はんだボール用容器
JP7040475B2 (ja) 蓄電素子
JP2009023687A (ja) ガラスペースト包装袋およびガラスペースト包装体
JPH0645179A (ja) コンデンサ用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91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830

Effective date: 202001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