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954B1 - 용기 뚜껑의 에코 패킹 - Google Patents

용기 뚜껑의 에코 패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954B1
KR102580954B1 KR1020210047581A KR20210047581A KR102580954B1 KR 102580954 B1 KR102580954 B1 KR 102580954B1 KR 1020210047581 A KR1020210047581 A KR 1020210047581A KR 20210047581 A KR20210047581 A KR 20210047581A KR 102580954 B1 KR102580954 B1 KR 102580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acking
container
gripp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1440A (ko
Inventor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이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성 filed Critical 이재성
Priority to KR1020210047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954B1/ko
Publication of KR20220141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1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9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1Springs, elastic 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to locate the articles by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3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separate sealing elements
    • B65D41/045Dis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스, 음료, 화장품 등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의 뚜껑에 결합되는 패킹의 결합이 용이하고, 뚜껑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간편하게 뚜껑으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패킹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의 개구부 외주연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나사 결합되어 개구부를 차단하는 뚜껑; 상기 뚜껑에 삽입 결합되되, 상기 뚜껑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직경과 동일 또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패킹; 및 상기 패킹의 외측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돌출 형성되되, 뚜껑에 형성되는 나사의 골에 끼움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패킹을 뚜껑에 간편하게 결합 가능하면서도, 뚜껑에 결합된 패킹이 저절로 빠질 염려가 없게 되며, 뚜껑의 재활용을 위해 뚜껑에 결합된 패킹을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자원절약 및 생활환경의 보호에도 기여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용기 뚜껑의 에코 패킹{Eco packing of lid of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 뚜껑의 에코 패킹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스, 음료, 화장품 등의 용액이 수용되는 용기의 뚜껑 속에, 패킹의 결합이 용이하고 뚜껑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간편하게 뚜껑으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에코 패킹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소스나 음료 또는 화장품 등의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는 금속제나 유리제 또는 플라스틱제로 만들어지는데, 이러한 용기에는 개폐가 가능한 뚜껑이 나사 결합되고, 뚜껑 속에는 내용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밀폐 차단하기 위한 패킹이 끼워져 결합된다.
따라서, 뚜껑의 결합 시 패킹이 용기의 개구부 상면 입구를 막아 용기 속의 내용물이 산패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용물이 용기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패킹은 용기의 입구를 차단하기 용이하도록 뚜껑과 달리 탄성을 가지는 스치로폼 등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형태의 뚜껑에 패킹을 끼운 후 빠지지가 않도록 하기 위해 패킹의 지름을 나사산의 직경보다 크게 제작하게 되며, 이렇게 제작된 패킹은 뚜껑 속에 끼움 결합하기가 쉽지 않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기계를 이용하여 순간적인 고압의 힘으로 가압하여 삽입하기도 한다. 또는, 삽입이 용이하도록 패킹의 직경을 나사산의 직경보다 작게 제작한 후, 뚜껑의 내측면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하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환경 보전 및 자원의 재활용을 위해 용기와 뚜껑을 분리 배출하고 있는데, 뚜껑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뚜껑에 결합되거나 부착된 패킹을 제거하고 배출하여야 한다. 그러나, 뚜껑 내주연에 형성된 나사의 골에 삽입된 패킹을 빼내기가 쉽지 않고, 접착제로 부착된 경우에도 뚜껑 깊숙히 부착된 패킹을 제거하기가 불편하고 쉽지 않아 그대로 배출하는 경우가 많고, 이런 이유로 뚜껑의 재활용율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3926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발명으로서, 뚜껑에 패킹을 간편하게 삽입 결합 가능하면서도, 결합된 패킹이 뚜껑으로부터 저절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데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뚜껑에 패킹을 결합 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결합함으로써, 패킹이 분리된 뚜껑에 이물질이 남지 않도록 하여 재활용율을 높이는데 다른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뚜껑에 결합된 패킹을 뚜껑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뚜껑의 재활용율을 높이도록 하는데 다른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의 개구부 외주연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나사 결합되어 개구부를 차단하는 뚜껑; 상기 뚜껑에 삽입 결합되되, 상기 뚜껑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직경과 동일 또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패킹; 및 상기 패킹의 외측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돌출 형성되되, 뚜껑에 형성되는 나사의 골에 끼움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킹의 중앙부에는 파지부가 더 구비되되, 일측부를 제외한 외측부분에 절취가 용이하도록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지부의 일측 끝단에는 파지부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패킹을 관통하는 파지공이 더 형성되며, 상기 파지공은 손가락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반원형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패킹의 일측면에는 보조판이 더 부착되어, 상기 파지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패킹을 뚜껑에 간편하게 결합하여 내용물의 밀폐가 가능하면서도, 뚜껑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패킹이 저절로 빠질 염려가 없게 된다.
또한, 뚜껑의 재활용을 위해 뚜껑에 결합된 패킹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뚜껑과 패킹의 결합 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뚜껑의 재활용 시 접착제를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 필요없게 되므로, 자원절약 및 생활환경의 보호에도 기여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과 패킹을 분리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의 패킹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과 패킹을 분리하여 도시한 측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에 패킹이 삽입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에 패킹이 결합된 뚜껑을 체결한 상태의 일부 절결 측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뚜껑에 결합되는 패킹에서 파지부를 절취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예시도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서와 같이, 소스, 음료, 또는 화장품 등의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10)와, 이 용기(10)에 결합되는 뚜껑(100) 및 뚜껑(100)에 삽입 결합되는 패킹(200), 그리고 파지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용기(10)의 개구부(11)에는 개구부(11)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해 뚜껑(100)을 결합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의 개구부(11) 외주연에 나사(12)가 형성되고, 뚜껑(100)의 내주연에도 나사(110)가 형성되어 서로 나사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00)의 속에는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개구부(11)를 통해 흘러나오지 않도록 개구부(11)의 입구를 밀폐시키기 위한 패킹(200)이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패킹(200)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탄성을 가지는 스치로폼 등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킹(200)의 직경은 뚜껑(100)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나사(110)의 산(111)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뚜껑(100)에 패킹(200)을 삽입 시 삽입이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패킹(200)의 외측에는 적어도 2개 이상(도면에서는 3개)의 돌기부(21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210)는 나사(110)의 산(111)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으로 되어 최 후단의 골(112)에 끼움 결합된다. 따라서, 뚜껑(100)에 삽입된 패킹(200)은 돌기부(210)에 뚜껑(100)의 나사(110)에 형성되는 골(112)에 걸린 상태가 되어 빠지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패킹(200)의 중도부에는 파지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파지부(300)는 평상시에는 패킹(200)과 동일면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필요시 절취 후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일측부분을 제외한 외측부분에 절취선(3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킹(200)에는 파지부(300)의 타측부분과 접하며, 패킹(20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파지공(40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파지공(400)은 패킹(200)으로부터 파지부(300)를 절취시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파지공(40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손가락으로 파지부(300)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패킹(200)의 일측면에는 보조판(500)이 더 결합될 수 있다. 보조판(500)은 양면 테이프에 의해 간단히 접착될 수도 있다. 보조판(500)은 패킹(200)에 관통 형성된 파지공(400)을 통해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뚜껑(100)에 먼저 패킹(200)을 삽입 결합시키는 바, 패킹(200)은 뚜껑(100)의 나사 산(1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쉽게 뚜껑(100) 속으로 삽입 결합이 가능하다. 물론, 패킹(200)의 외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210)가 나사의 산(111)에 걸리기는 하지만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약간의 절곡이 되면서 쉽게 삽입 결합이 이루어진다.
뚜껑(100)의 내측 끝까지 삽입된 패킹(200)은 외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210)가 나사의 골(112)에 끼워진 상태가 되고, 산(111)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용기(10)에 뚜껑(100)을 나사 결합시키게 되면, 뚜껑(100) 속에 결합된 패킹(200)이 용기(10)의 개구부(11)에 접하면서 밀착 차단하여 밀폐시키게 되고,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이 흘러나오지 않게 차단하는 것은 물론,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산폐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패킹(200)에는 절취선(210)과 파지공(400)이 형성되어 있으나, 보조판(500)이 이를 차단하여 패킹(200)의 역할을 보조하게 된다.
그리고, 용기(1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의 사용을 위해 뚜껑(100)을 용기(10)로부터 개방을 하여도 뚜껑(100)으로부터 패킹(200)이 빠지지 않고 그대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용기(10)의 내용물을 다 사용한 후에는 용기(10)와 뚜껑(200)을 폐기하게 되는데, 뚜껑(200)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뚜껑(200)에 결합된 패킹(300)은 별도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패킹(300)에 형성된 파지공(400)을 통해 파지부(300)를 잡고 일측으로 당기게 되면, 파지부(300)의 일측부분을 제외하고 외측에 형성된 절취선(310)이 절취 되면서 파지부(300)의 파지가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파지부(300)를 뚜껑(100)의 외측으로 당기게 되면 패킹(200)의 돌기부(210)가 나사의 골(112)에서 빠지면서 뚜껑(100)으로부터 패킹(200)이 쉽게 분리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아주 간단한 구성의 개선에 따라 뚜껑(100)으로부터 패킹(200)을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패킹(200)이 분리된 뚜껑(100)은 재활용이 용이하게 되어 자원의 순환 및 생활환경을 보호하는데 일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뚜껑 200 : 패킹
210 : 돌기부 300 : 파지부
310 : 절취선 400 : 파지공
500 : 보조판

Claims (5)

  1.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의 개구부 외주연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나사 결합되어 개구부를 차단하는 뚜껑;
    상기 뚜껑에 삽입 결합되되, 상기 뚜껑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직경과 동일 또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패킹; 및
    상기 패킹의 외측으로 적어도 2개 이상 돌출 형성되되, 뚜껑에 형성되는 나사의 골에 끼움 결합되도록 돌출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킹의 중앙부에는 파지부가 더 구비되되, 일측부를 제외한 외측부분에 절취가 용이하도록 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의 일측 끝단에는 파지부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패킹을 관통하는 파지공이 더 형성되며,
    상기 패킹의 일측면에는 보조판이 더 부착되어, 상기 파지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의 에코 패킹.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공은 손가락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반원형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뚜껑의 에코 패킹.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47581A 2021-04-13 2021-04-13 용기 뚜껑의 에코 패킹 KR102580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581A KR102580954B1 (ko) 2021-04-13 2021-04-13 용기 뚜껑의 에코 패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581A KR102580954B1 (ko) 2021-04-13 2021-04-13 용기 뚜껑의 에코 패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440A KR20220141440A (ko) 2022-10-20
KR102580954B1 true KR102580954B1 (ko) 2023-09-19

Family

ID=83804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581A KR102580954B1 (ko) 2021-04-13 2021-04-13 용기 뚜껑의 에코 패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95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8541Y2 (ja) * 1989-12-18 1995-11-08 株式会社柴崎製作所 隠し表示付きキャップ
CN109415151B (zh) * 2016-07-08 2020-07-31 千住金属工业株式会社 容器及封装
KR20180039262A (ko) 2016-10-08 2018-04-18 이정석 일체형 크림타입 화장품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1440A (ko) 2022-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9631Y1 (ko) 수동식 드롭퍼
KR102580954B1 (ko) 용기 뚜껑의 에코 패킹
BR9913714A (pt) Montagem de fechamento de dispensador, kit para dispensar fluido de um recipiente, e, processo de dispensar um fluido
JP2007030945A (ja) キャップ
JP2011105336A (ja) 液体収納容器のキャップ
JP3008219B2 (ja) 薬液容器の二重中栓
JP2008230626A (ja) 包装チューブ
KR200324202Y1 (ko) 용기의 마개조립체
JP4739049B2 (ja) 樹脂製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製キャップ付容器
KR200353214Y1 (ko) 이쑤시개와 면봉의 통과 뚜껑
CN211870180U (zh) 一种防伪型千秋盖
KR102313824B1 (ko) 용기용 캡
KR102291620B1 (ko) 용기용 캡
US11286090B2 (en) Bottle cap
KR200280817Y1 (ko) 포장용 용기
KR200264766Y1 (ko) 액체보관용기의 출입부 밀폐막 제거구조
CN206923976U (zh) 一种可以更换照片的双体塑料水杯
KR100743529B1 (ko) 속병마개 따개 장치가 일체화된 겉병마개 및 이러한겉병마개를 구비하는 병
JP2007216986A (ja) 樹脂製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製キャップ付容器
KR200367790Y1 (ko) 이중 캡
CN206891766U (zh) 一种样品采样盒
TWM577411U (zh) Integrated wide mouth cap with disposable break inside stopper
KR200228291Y1 (ko) 용기 뚜껑
KR200380055Y1 (ko) 위험성 폐기물용 밀폐용기
TWM569734U (zh) Cup cover structure improv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