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790Y1 - 이중 캡 - Google Patents

이중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790Y1
KR200367790Y1 KR20-2004-0022782U KR20040022782U KR200367790Y1 KR 200367790 Y1 KR200367790 Y1 KR 200367790Y1 KR 20040022782 U KR20040022782 U KR 20040022782U KR 200367790 Y1 KR200367790 Y1 KR 200367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ontainer
cap
fastening portion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7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유덕
Original Assignee
장유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유덕 filed Critical 장유덕
Priority to KR20-2004-00227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7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7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 용기상부 마개의 윗면에 배출구 및 마개를 추가로 구성한 것으로, 내용물의 대량 유출을 위해서는 기존과 같이 하부마개(200)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취하고, 소량의 유출 또는 빨대 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부마개(400)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취할 수 있도록 이중으로 마개를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캡{Double Cap}
일반적으로 종래의 캡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2의 하부마개(200)와 같이 캡의 내면상부에 용기배출구(100)의 끝단과 밀착되는 밀착편(205)이 형성되고, 내면중단에는 용기체결부(101)와 맞물려 체결하기 위한 마개체결부(20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절취홀(204)와 네로브릿지(203)로 연결되는 걸림편(20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면에는 마찰을 높여주기 위한 세로홈(206)이 형성되어진다.
상기와 같은 마개구조에서는 용기배출구(100)의 면적이 넓어 내용물의 유실 또는오염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으며, 용기에 체결된 캡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힘이 요구되어 상대적으로 약한 어린이나 여성 등이 쉽게 개봉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쉽게 캡을 용기에서 분리하는 동시에 내용물의 유출 및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고안이다. 이에 기존 캡의 윗면에 기존 배출구 및 캡보다 작은 크기로 제2의 배출구 및 캡을 구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들여 개방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직접 음용 하거나 빨대 등을 이용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도1 : 이중 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 : 이중 캡의 단면도
도3 : 빨대가 삽입된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용기배출구, 101,301:용기체결부, 102,302:걸림턱, 200:하부마개, 201,401:마개체결부, 202,402:걸림편, 203,403:네로브릿지, 204,404:절취홀, 205,405:밀착편, 206,406:세로홈, 300:마개배출구, 400:상부마개, 500:빨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용기의 상부에 체결되는 캡의 상부에 배출구를 형성하고, 그 위에 다시 캡을 형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1과 같이 하부마개(200)와 상부마개(400)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2와 같이 용기 상부에 형성된 용기배출구(100)는 외주면을 따라 용기체결부(101)와 걸림턱(102)이 형성되고, 이와 결합되는 하부마개(200)의 내면상단으로 밀착편(205)이 삽입되고, 중단에 마개체결부(201)가 형성되며, 그 하단으로 원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의 절취홀(204)과 네로브릿지(203)가 형성되며, 네로브릿지(203)와 연결되는 걸림편(202)이 일체로 형성되어지는 기존의 캡에서, 하부마개(200)의 윗면에 용기체결부(301)와 걸림턱(302)을 갖는 마개배출구(300)를 추가로 형성하고, 이와 결합되는 상부마개(400)를 형성한 것으로, 상부마개(400)는 하부마개(200)와 같이 내면상단에는 밀착편(405)이 삽입되고, 중단에 마개체결부(401)가 형성되며, 그 하단으로 마개의 원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의 절취홀(404)과 네로브릿지(403)가 형성되며, 네로브릿지(403)와 연결되는 걸림편(402)이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마찰을 높이기 위한 세로홈(406)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바탕으로 작동을 살펴보면, 도2에서 상부마개(400)를 개방하기 위해 상부마개(400)를 회전하면 마개체결부(401)는 용기체결부(301)를 따라 회전하며, 하부의 걸림편(402)은 마개배출구(300)의 걸림턱(302)에 걸려 위로 향하지 못하고 네로브릿지(403)가 파괴되면서 개방되는 구조이다. 내용물의 대량 유출을 위해서는 기존과 같이 하부마개(200)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취하며, 소량의 유출 또는 도3과 같이 빨대 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부마개(400)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취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하부마개 보다 상대적으로 상부마개를 용기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어린이나 여성 등이 쉽게 개방이 가능하며, 외기에 노출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적어 내용물의 유실 또는 오염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용기의 상부에 끼워지는 캡에 있어서,
    용기배출구(100)는 외주면을 따라 용기체결부(101)와 걸림턱(102)이 형성되고, 이와 결합되는 하부마개(200) 내면상단으로 밀착편(205)이 삽입되고, 중단으로 마개체결부(201)가 형성되며, 그 하단으로 원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의 절취홀(204)과 네로브릿지(203)가 형성되며, 네로브릿지(203)와 연결되는 걸림편(202)이 일체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세로홈(206)이 형성된 캡에 있어서,
    하부마개(200)의 윗면에 용기배출구(100)보다 작은 크기의 용기체결부(301)와 걸림턱(302)을 갖는 마개배출구(300)를 형성하고, 이와 결합되는 상부마개(400)를 형성한 것으로, 상부마개(400) 내면상단에는 밀착편(405)이 삽입되고, 그 중단으로 마개체결부(401)가 형성되며, 그 하단으로 마개의 원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의 절취홀(404)과 네로브릿지(403)가 형성되며, 그 하단으로 네로브릿지(403)와 연결되는 걸림편(402)이 일체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세로홈(40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캡.
KR20-2004-0022782U 2004-08-10 2004-08-10 이중 캡 KR2003677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782U KR200367790Y1 (ko) 2004-08-10 2004-08-10 이중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782U KR200367790Y1 (ko) 2004-08-10 2004-08-10 이중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790Y1 true KR200367790Y1 (ko) 2004-11-17

Family

ID=49441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782U KR200367790Y1 (ko) 2004-08-10 2004-08-10 이중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7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101B1 (ko) 용기 마개 및 용기 마개용 시트재 천공구
KR100807212B1 (ko) 연결부재가 구비된 마개 분실방지 용기
JP2008546609A (ja) 一体形注ぎ口装置および内部ストロー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自立パウチ
AU2008292545A1 (en) Discharge cap for bottle-like container
CA2532401C (en) Travel mug
US20080093381A1 (en) Dispensing Cap
KR200367790Y1 (ko) 이중 캡
KR200419676Y1 (ko) 액상 식품용 용기 뚜껑
JP4276726B2 (ja) プッシュプルキャップ
KR100840983B1 (ko) 마개홀더를 구비한 용기
KR200384803Y1 (ko) 개방이 용이한 용기 뚜껑
KR100299117B1 (ko) 다용도 병의 속 마개
KR200190169Y1 (ko) 덮개의 개폐가 편리하고 빨대가 부착된 마개
KR20030015167A (ko) 액체용기 마개
KR100526153B1 (ko) 액체 용기용 마개
KR200201763Y1 (ko) 음료캔 음용구조
CN218173207U (zh) 一种具备回流功能的五组合拉环盖
JP6052766B2 (ja) 液注出容器のキャップ
KR200357765Y1 (ko) 캔따개
KR200213456Y1 (ko) 앵글밸브용 디스크.
KR200301586Y1 (ko) 액체용기 마개
KR100914339B1 (ko) 컵뚜껑 조립체
KR200347208Y1 (ko) 액체 용기용 마개
KR200301401Y1 (ko) 음료용 병구와 병마개
KR200182085Y1 (ko) 빨대를 구비하는 음료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