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824B1 - 용기용 캡 - Google Patents

용기용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824B1
KR102313824B1 KR1020210032796A KR20210032796A KR102313824B1 KR 102313824 B1 KR102313824 B1 KR 102313824B1 KR 1020210032796 A KR1020210032796 A KR 1020210032796A KR 20210032796 A KR20210032796 A KR 20210032796A KR 102313824 B1 KR102313824 B1 KR 102313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ember
cap
container
cover par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준
이범권
경종현
김은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Priority to KR1020210032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8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frangible closures
    • B65D47/103Membranes with a tear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용기용 캡은 용기로부터 캡 오픈을 위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제1 캡 부재, 및 상기 제1 캡 부재의 저면 외곽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부에 의해 제1 캡 부재가 오픈시 상기 제1 캡 부재에 결합된 상태로 함께 오픈이 되는 제2 캡 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용기용 캡은 제1 캡 부재와 제2 캡 부재 간의 상하로 결합시 외곽에서 융착하여 융착부위가 넓어지도록 하고 손잡이부를 형성하여 오프너를 이용하지 않고 적은 힘으로 손쉽게 제1 캡 부재와 제2 캡 부재를 동시에 오픈시킬 수 있어 개방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기용 캡 {CAP FOR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용 캡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용 캡의 개방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용기용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는 개방된 입구에 결합되어 개방 가능한 용기캡이 구비되며, 용기캡은 최초 개봉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끔 밀봉되어 있다. 이러한 밀봉 캡은 임의 개봉으로 용기에 담겨 진 내용물이 변질되는 등 내용물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 주사액이나 내복용 물약 또는 기타 약액 등을 포함하여 멸균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용기는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의 변질 및 누액을 예방하고, 외부로부터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밀봉처리되며,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용기는 사용의 목적에 따라 음료 등에 쓰이는 유리제인 붕규산 유리로 구성될 수 있고, 무색투명한 것과 광선의 영향을 적게 하기 위해 산화철 등을 가한 갈색 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한 후 상부의 유리를 열로 녹여 봉하기도 하고, 별도의 캡을 구비하여 밀봉처리하기도 한다.
용기에 사용되는 캡은 사용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구성되고 있으며, 이러한 캡의 일예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은 일반적인 용기용 캡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하도록 공간을 갖는 용기(10), 용기(10)의 개방부를 밀폐하는 고무전(20) 및 고무전(20)의 외측을 감싸는 캡(30)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캡(30)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캡(30)의 상부 층을 이루고 있는 커버(31)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커버(31)의 하부 층을 이루고 있는 슬리브(32)로 구성되며, 커버(31)의 중앙 부위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결합부(33)에 의하여 서로 고정 결합이 되어 있다. 또한, 슬리브(32)의 표면에는 커버(31)를 벗겨낼 때 절취가 용이하도록 절취선(3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무전(20)의 외측에 캡(30)을 씌우고 개방부 주위에 위치하는 슬리브(32)의 하단부를 클램핑 처리하여 밀봉한 다음 내용물을 멸균처리하게 된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용기용 캡의 개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 용기용 캡(30)은 손가락 또는 도구(오프너)를 통해 커버(31)를 오픈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31)가 슬리브(32)로부터 분리되면서 1차적으로 오픈된다. 이때, 슬리브(32)의 절취선(34)이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33)를 통해 커버(31)의 중앙부위에 고정 결합된 상태로 슬리브(32)로부터 분리된다. 그런 다음, 슬리브(32)를 완전히 찢어내면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전(20)이 외부로 완전 노출된다.
그러나, 용기의 사용시에 커버(31)를 잡아당겨 슬리브(32)를 찢어 캡(30)을 개방하는 데 있어 커버(31)의 오픈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길 경우 슬리브(32)와 완전 분리되어 커버(31)만 쏙 빠지게 되어 캡(30)을 개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럴 경우, 별도 도구를 사용하여 슬리브(32)를 찢어서 캡(30)을 개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또한, 커버(31)를 잡아당겨 슬리브(32)를 찢게 되면 날카로운 절취선 부위가 노출되어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2611(2016.05.13)호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5320(2014.03.11)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용기용 캡의 개방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용기용 캡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플라스틱 캡 부재와 알루미늄 캡 부재 간의 융착 부위가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플라스틱 캡 부재의 오픈시 알루미늄 캡 부재가 동시에 오픈되어 적은 힘으로 손쉽게 용기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용기용 캡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플라스틱 캡 부재에 손잡이부를 형성하여 손잡이부를 통해 오프너 기능을 수행하여 도구(오프너)를 이용하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캡을 쉽게 개방할 수 있는 용기용 캡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용기용 캡은 용기로부터 캡 오픈을 위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제1 캡 부재, 및 상기 제1 캡 부재의 저면 외곽에 결합 고정되고 상기 손잡이부에 의해 제1 캡 부재가 오픈시 상기 제1 캡 부재에 결합된 상태로 함께 오픈이 되는 제2 캡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캡 부재는 상기 용기의 입구에 삽입된 고무전의 상부를 커버하고 저면에 상기 제2 캡 부재가 결합 고정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를 중심으로 외측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커버부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파지 및 분리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연결 부위를 회동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상기 커버부의 저면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주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개방된 단면이 'ㄴ'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캡 부재의 상단이 걸림 결합되고 융착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제2 캡 부재는 측벽의 상단 및 하단 각각의 내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단의 걸림턱은 상기 제1 캡 부재의 결합홈에 걸림되어 고정되고 하단의 걸림턱은 상기 용기의 목부에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캡 부재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캡 부재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되 융착 면적을 최대화하도록 상기 제1 캡 부재의 저면 외곽에서 융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캡 부재는 상기 손잡이부를 통해 상기 제1 캡 부재를 잡아당길 때 융착된 부위가 함께 당겨져 찢어지지 않고 상기 제1 캡 부재와 동시에 상기 용기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캡은 용기용 캡의 개방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캡은 플라스틱 캡 부재와 알루미늄 캡 부재 간의 융착 부위가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플라스틱 캡 부재의 오픈시 알루미늄 캡 부재가 동시에 오픈되어 적은 힘으로 손쉽게 용기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캡은 플라스틱 캡 부재에 손잡이부를 형성하여 손잡이부를 통해 오프너 기능을 수행하여 도구(오프너)를 이용하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캡을 쉽게 개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용기용 캡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용기용 캡의 개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캡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용기에서 캡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는 용기용 캡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6b는 도 3에 있는 용기용 캡에서 손잡이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캡의 개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캡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있는 용기에서 캡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있는 용기용 캡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용기(100)는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바이알 병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용기(100)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용기(100)는 형상 및 재질이 특정될 필요는 없다. 용기(100)는 단부에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입구에는 고무전(300)을 통해 용기용 캡(200)이 밀봉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용기용 캡(200)은 제1 캡 부재(210)와 제2 캡 부재(23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캡 부재(2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용기용 캡(200)의 상부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캡 부재(210)는 커버부(211), 손잡이부(213) 및 힌지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11)는 용기(100)의 입구에 삽입된 고무전(30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부(211)는 저면에 제2 캡 부재(230)가 결합 고정되도록 결합홈(21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커버부(211)는 직경이 고무전(30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고, 결합홈(217)은 커버부(211)의 저면 외곽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217)은 커버부(211)의 저면에 중심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주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개방된 대략 단면이 'ㄴ'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홈(217)은 제2 캡 부재(230)가 홈에 걸려 결합될 수 있고 융착에 의해 일체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결합홈(217)은 커버부(211)의 저면 외곽에 형성되어 제1 캡 부재(210)와 제2 캡 부재(230) 사이의 융착 부위를 넓힐 수 있다. 이때, 결합홈(217)은 커버부(211)의 저면 최외곽에 형성될수록 제1 캡 부재(210)와 제2 캡 부재(230) 사이의 융착 부위가 넓어질 수 있다. 제1 캡 부재(210)는 결합홈(217)에 의해 커버부(211)의 저면 외곽에 제2 캡 부재(230)가 융착됨에 따라 제1 캡 부재(210)의 오픈을 위해 커버부(211)에 가해지는 외력이 융착 부위에 그대로 전달되어 제1 캡 부재(210)와 제2 캡 부재(230)가 동시에 상부로 당겨질 수 있다. 제1 캡 부재(210)와 제2 캡 부재(230) 사이의 융착 부위가 넓을수록 캡 오픈 과정에서 제1 캡 부재(2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2 캡 부재(230)에 쉽게 전달될 수 있다.
손잡이부(213)는 커버부(211)를 중심으로 외측에 형성되고 일측이 커버부(211)에 연결되어 커버부(211)와 일측이 연결된 상태에서 파지 및 분리되어 캡 오프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부(213)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내측에 커버부(211)를 중심으로 링(ring)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면이 커버부(211) 보다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측면이 커버부(211)의 걸림홈(217)에 결합 고정되는 제2 캡 부재(230) 보다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손잡이부(213)는 용기용 캡(200)의 오프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힌지부(215)는 커버부(211)와 손잡이부(213)의 연결 부위를 힌지 결합하여 손잡이부(213)가 커버부(211)의 일측에 결합된 상태로 분리 및 파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힌지부(215)는 제1 캡 부재(210)의 사출 과정에서 커버부(211)와 손잡이부(213) 간의 연결 부위에 접이선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힌지부(215)는 커버부(211)에 손잡이부(213) 가 회동 가능하게 맞물림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캡 부재(23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 캡 부재(2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용기용 캡(200)의 하부 층을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캡 부재(230)는 대략 단면이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용기(100)의 목부(110)에 결합 고정되고 타단은 제1 캡 부재(210)의 결합홈(217)에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제2 캡 부재(230)는 용기(100)와 제1 캡 부재(210) 사이에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측벽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걸림턱(231,23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캡 부재(230)는 열 융착에 의해 서로 다른 재질의 용기(100) 및 플라스틱 재질의 제1 캡 부재(210)와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융착 방법은 열 융착에 한정되지 않고 초음파 융착, 회전 융착, 진동 융착 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융착 부위는 제1 캡 부재(210)의 커버부(211) 저면의 최외곽에서 제2 캡 부재(230)가 결합 고정될수록 넓어질 수 있다. 융착 부위가 넓어질수록 용기용 캡(200)의 오픈 과정에서 제1 캡 부재(2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2 캡 부재(230)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캡 부재(230)는 제1 캡 부재(210)와 융착되는 해당 부위에 수지가 함침되는 복수의 홀들을 더 포함하여 제1 캡 부재(210)와의 사이에 고정 결합력을 보다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캡 부재(230)는 손잡이부(213)에 의해 제1 캡 부재(210)의 커버부(211)가 잡아당겨질 때 힘이 그대로 전달되어 융착된 부위가 함께 당겨져 찢어지지 않고 용기(100)로부터 이탈되어 용기용 캡(200)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루미늄 재질의 제2 캡 부재(230)는 찢어지는 단면이 생기지 않아 용기용 캡(200)의 개방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캡 부재(230)는 제1 캡 부재(210)의 저면 외곽의 둘레를 따라 융착됨에 따라 절취선을 형성하지 않아도 적은 힘으로 제1 캡 부재(210)를 따라 함께 그리고 동시에 오픈될 수 있다.
고무전(300)는 용기(100)의 입구에 삽입되어 용기(100)를 밀폐할 수 있다. 고무전(300)는 제1 캡 부재(2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측면부가 제2 캡 부재(230)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도 6a 및 6b는 도 3에 있는 용기용 캡에서 손잡이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용기용 캡(200)은 플라스틱 재질의 제1 캡 부재(210)와 알루미늄 재질의 제2 캡 부재(230)의 이중 캡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캡 부재(210)와 제2 캡 부재(230)는 제1 캡 부재(210)의 저면 외곽에서 제2 캡 부재(230)가 걸림 결합되고 융착에 의해 일체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캡 부재(210)는 커버부(211)를 통해 제2 캡 부재(230)의 개방된 중심에 의해 노출된 고무전(300)의 외측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1 캡 부재(210)는 손잡이부(213)를 통해 제2 캡 부재(230)의 외측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손잡이부(213)는 힌지부(215)를 통해 커버부(211)의 일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 및 파지되어 용기(100)로부터 용기용 캡(200)을 개방하기 위한 오프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캡 부재(210)는 손잡이부(213)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힌지부(215)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부로 밀어 올릴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부(213)를 오픈방향으로 당기면 힌지부(215)를 통해 연결된 커버부(211)가 손잡이부(213)를 따라 잡아당겨지면서 커버부(211)의 저면에 융착된 제2 캡 부재(230)가 함께 잡아당겨져 용기용 캡(200)의 전체가 개방되게 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캡의 개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캡(200)은 플라스틱 재질의 제1 캡 부재(210)와 알루미늄 재질의 제2 캡 부재(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캡 부재(210)는 제2 캡 부재(230)에 결합되어 제2 캡 부재(230)의 상단 외측을 커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캡 부재(210)는 커버부(211)의 저면 외곽에서 결합홈(217)이 돌출되어 제2 캡 부재(230)의 상단이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제2 캡 부재(230)의 상단이 걸림 결합된 결합홈(217)은 열 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 등을 통해 일체화될 수 있다. 융착 방법은 열 융착이나 초음파 융착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회전 융착 또는 진동 융착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캡 부재(210)는 저면 외곽에 제2 캡 부재(230)와 결합되어 제2 캡 부재(230)의 상단 외측을 긴밀하게 커버할 수 있다. 제1 캡 부재(210)는 캡 오프너 기능을 갖는 손잡이부(213)를 포함하여 도구를 이용하지 않고 손잡이부(213)를 잡아당겨 캡을 쉽게 오픈할 수 있다.
제2 캡 부재(230)는 측벽의 상단 및 하단 각각의 내측면에 걸림턱(231,23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캡 부재(230)는 용기(100)의 개방된 입구를 밀폐하는 고무전 (300)의 외측에 씌어지고 상단 걸림턱(231)이 제1 캡 부재(210)의 결합홈(217)에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고, 하단 걸림턱(233)이 용기(100)의 목부(110)에 걸림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캡 부재(230)는 측벽의 상단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231)이 제1 캡 부재(210)의 커버부(211) 저면 외곽에 형성된 결합홈(217)에 걸릴 수 있다.
제2 캡 부재(230)는 또한, 측벽의 하단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233)이 용기(100)의 목부(110)에 걸림되기 위해서 제2 캡 부재(230)의 내면보다 돌출되는 구조로 갖기 때문에 용기(100)의 외측에 끼워질 때 알루미늄 재질의 탄성력을 발휘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턱들(231,233)은 측벽의 내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력을 높이기 위해 걸림턱이 복수개로 분할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용기용 캡(200)은 용기(100)의 개방된 입구를 밀폐하는 고무전(300)의 외측에 씌워진다. 그리고, 제2 캡 부재(230)의 하단 걸림턱(233)이 용기(100)의 목부(11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걸려 고정됨으로써 용기(100)를 밀폐시킨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00)에 용기용 캡(200)이 밀폐 결합된 상태에서 용기(100)에 담긴 내용물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먼저 제1 캡 부재(210)의 손잡이부(213)를 상부로 밀어올리면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213)가 커버부(211)에 일측이 연결된 상태로 분리될 수 있고 분리된 손잡이부(213)를 잡아당기면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캡 부재(210)를 따라 제2 캡 부재(230)가 일체로 분리될 수 있고,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캡 부재(210)와 제2 캡 부재(230)가 동시에 오픈되어 고무전(30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용 캡은 플라스틱 재질의 제1 캡 부재에 오프너 기능을 갖는 손잡이부를 형성하고 저면 외곽에 알루미늄 재질의 제2 캡 부재를 융착하여 융착 부위를 넓힘으로써 제2 캡 부재에 절취선을 형성하지 않고 도구(오프너)를 이용하지 않아도 손잡이부를 통해 제1 캡 부재가 당겨질 때 융착된 제2 캡 부재가 함께 당겨져 찢어지지 않고 용기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캡의 개방 편의성 및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용기
110: 목부
200: 용기용 캡
210: 제1 캡 부재
211: 커버부 213: 손잡이부
215: 힌지부 217: 결합홈
230: 제2 캡 부재
231,233: 걸림턱
300: 고무전

Claims (6)

  1. 용기의 입구에 삽입된 고무전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 및 상기 용기로부터 캡 오픈을 위해 상기 커버부를 중심으로 외측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커버부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파지 및 분리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캡 부재; 및
    상기 제1 캡 부재의 저면 외곽에서 융착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캡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부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상기 커버부를 중심으로 링(ring)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캡 부재는
    상기 손잡이부를 통해 상기 제1 캡 부재를 잡아당겨 오픈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캡 부재에 가해지는 외력이 융착 부위에 전달되어 찢어지지 않고 상기 제1 캡 부재를 따라 상기 용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 부재는
    상기 커버부의 저면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주변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개방된 단면이 'ㄴ'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캡 부재의 상단이 걸림 결합되고 융착에 의해 일체화되는 결합홈;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연결 부위를 회동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캡 부재는
    측벽의 상단 및 하단 각각의 내측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단의 걸림턱은 상기 제1 캡 부재의 결합홈에 걸림되어 고정되고 하단의 걸림턱은 상기 용기의 목부에 걸림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캡.
  5. 삭제
  6. 삭제
KR1020210032796A 2021-03-12 2021-03-12 용기용 캡 KR102313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796A KR102313824B1 (ko) 2021-03-12 2021-03-12 용기용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796A KR102313824B1 (ko) 2021-03-12 2021-03-12 용기용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824B1 true KR102313824B1 (ko) 2021-10-19

Family

ID=78228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796A KR102313824B1 (ko) 2021-03-12 2021-03-12 용기용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82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0824A (ja) * 1996-09-04 2001-01-23 ザ ウエスト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瓶用の再閉自在の蓋
JP2007008517A (ja) * 2005-06-30 2007-01-18 Fujirebio Inc バイアル用キャップ
US20110068106A1 (en) * 2003-10-24 2011-03-24 Zukor Kenneth S Processing Cap Assembly for Isolating Contents of a Container
KR20140014750A (ko) * 2012-07-26 2014-02-06 알텍인터내셔날 주식회사 바이알 캡 및 바이알의 제조방법
KR101375320B1 (ko) 2012-07-26 2014-03-18 알텍인터내셔날 주식회사 바이알 캡
JP3200354U (ja) * 2015-07-29 2015-10-15 石田プレス工業株式会社 薬用瓶の蓋
KR101622611B1 (ko) 2015-03-27 2016-05-20 (주)티피에스코리아 앰플용기 뚜껑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0824A (ja) * 1996-09-04 2001-01-23 ザ ウエスト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瓶用の再閉自在の蓋
US20110068106A1 (en) * 2003-10-24 2011-03-24 Zukor Kenneth S Processing Cap Assembly for Isolating Contents of a Container
JP2007008517A (ja) * 2005-06-30 2007-01-18 Fujirebio Inc バイアル用キャップ
KR20140014750A (ko) * 2012-07-26 2014-02-06 알텍인터내셔날 주식회사 바이알 캡 및 바이알의 제조방법
KR101375320B1 (ko) 2012-07-26 2014-03-18 알텍인터내셔날 주식회사 바이알 캡
KR101622611B1 (ko) 2015-03-27 2016-05-20 (주)티피에스코리아 앰플용기 뚜껑
JP3200354U (ja) * 2015-07-29 2015-10-15 石田プレス工業株式会社 薬用瓶の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8830B2 (en) Method of opening an ampoule
JP2019534218A (ja) 多目的エコキャップ
JPH1179225A (ja) 容器の密閉式キャップ構造
US20210101728A1 (en) Tamper-evident closure
JP2015081092A (ja) ヒンジキャップ
JP4458561B2 (ja) 密封装置
US4569456A (en) Sealed container with replaceable plug insert
US6158622A (en) Closure to be attached to a container
KR102313824B1 (ko) 용기용 캡
KR102327329B1 (ko) 용기용 캡
KR102340023B1 (ko) 용기용 캡
KR102291620B1 (ko) 용기용 캡
RU192738U1 (ru) Крышка в сборе для вливания
JP2000255616A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H08324612A (ja) 液体収納容器
JP4516660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H0721564U (ja) バイアルの密封閉鎖具
KR200324202Y1 (ko) 용기의 마개조립체
JPH09124065A (ja) 分別廃棄容易な合成樹脂製容器蓋
JP3043467U (ja) 容器分別用打栓蓋
KR200207555Y1 (ko) 상부의 캡부가 열리는 부정사용 방지용 약병마개
JP4778806B2 (ja) 樹脂製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製キャップ付容器
KR200244521Y1 (ko) 이중개폐가능한캡
JP4739049B2 (ja) 樹脂製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製キャップ付容器
KR200208820Y1 (ko) 재사용 방지용 병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