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611B1 - 앰플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앰플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611B1
KR101622611B1 KR1020150043472A KR20150043472A KR101622611B1 KR 101622611 B1 KR101622611 B1 KR 101622611B1 KR 1020150043472 A KR1020150043472 A KR 1020150043472A KR 20150043472 A KR20150043472 A KR 20150043472A KR 101622611 B1 KR101622611 B1 KR 101622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fixed
surface portion
fixed cap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3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창
Original Assignee
(주)티피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피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티피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043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6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61J1/06Ampoules or carp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이 저장되는 앰플용기(10)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부(11)에 결합되는 앰플용기 뚜껑(1)에 있어서,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되, 내측에 결합돌기(110)가 돌출형성되는 탈거캡(100);과,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그 상부가 상기 탈거캡(100)의 내측에 삽입되되, 상부에는 상기 탈거캡(100)의 결합돌기(110)가 삽입되도록 결합공(211)이 타공형성되는 절취부(210)를 포함하는 고정캡(200);으로 구성되되, 상기 절취부(210)는, 상기 결합공(211)의 둘레에 상기 결합돌기(110)가 용접으로 인해 접합되는 접합면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접합면부(212)의 둘레에 이격되어 타공형성되되, 상기 접합면부(212)와 상기 고정캡(200)의 상부가 임시로 연결되도록 다수의 임시연결돌기(213a)가 구성되는 절취타공부(213)가 형성되어, 상기 탈거캡(100)을 고정캡(200)으로부터 제거하게 되면, 상기 탈거캡(100)과 결합된 상기 접합면부(212)가 임시연결돌기(213a)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앰플용기 뚜껑{Ampoules container Cap}
본 발명은 앰플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내용물이 저장되는 앰플용기(10)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부(11)에 결합되는 앰플용기 뚜껑(1)에 있어서,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되, 내측에 결합돌기(110)가 돌출형성되는 탈거캡(100);과,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그 상부가 상기 탈거캡(100)의 내측에 삽입되되, 상부에는 상기 탈거캡(100)의 결합돌기(110)가 삽입되도록 결합공(211)이 타공형성되는 절취부(210)를 포함하는 고정캡(200);으로 구성되되, 상기 절취부(210)는, 상기 결합공(211)의 둘레에 상기 결합돌기(110)가 용접으로 인해 접합되는 접합면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접합면부(212)의 둘레에 이격되어 타공형성되되, 상기 접합면부(212)와 상기 고정캡(200)의 상부가 임시로 연결되도록 다수의 임시연결돌기(213a)가 구성되는 절취타공부(213)가 형성되어, 상기 탈거캡(100)을 고정캡(200)으로부터 제거하게 되면, 상기 탈거캡(100)과 결합된 상기 접합면부(212)가 임시연결돌기(213a)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앰플용기는 주사액이나 내복용 물약 또는 기타 약액 등을 포함하여 멸균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일종의 보관 용기를 말한다.
이러한 앰플용기는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의 변질 및 누액을 예방하고, 외부로부터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밀봉처리되며,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앰플용기는 사용의 목적에 따라 음료 등에 쓰이는 유리제인 붕규산 유리로 구성될 수 있고, 무색투명한 것과 광선의 영향을 적게 하기 위해 산화철 등을 가한 갈색 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앰플용기는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한 후 상부의 유리를 열로 녹여 봉하기도 하고, 별도의 캡을 구비하여 밀봉처리하기도 한다.
앰플용기에 사용되는 캡은 사용의 효율성과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구성되고 있으며, 이러한 캡의 일실시예 중 하기 특허문헌 1의 “티어오프타입의 캡을 구비한 바이알 밀봉 구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3955호)”에서는 캡은 하면 중심부에 형성된 원형 고정부가 알루미늄 재질의 슬리브의 절취부위에 형성된 결합구멍에 삽입되어 끝단이 압착가공되어 있고, 다수개의 절단선이 형성되어, 상기 캡과 슬리브가 서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어, 캡을 벗기는 방향에 관계없이 캡 및 슬리브를 용이하게 분리시켜 약병 내의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것이 특징으로서, 슬리브의 절단선을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하여 임의의 방향을 캡을 잡아당기더라고 슬리브가 쉽게 찢어져 캡을 바이알 약병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바이알용기 캡 및 바이알용기 캡 제거기”슬리브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조상 가루 등의 이물질이 발생되어 비위생적이고, 운반 또는 취급시 재질상 쉽게 찌그러지거나 변형되어 상품성을 저하시키며, 캡을 잡아당겨 슬리브를 찢게 되면 날카로운 절단선 부위가 노출되어 상해를 입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이알용기 상부에 형성된 약병입구에 캡을 결합하게 되면, 캡의 구조상 약병입구의 하부만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외력에 의해 캡이 유동가능하게 됨으로써, 밀봉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395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앰플용기에 고정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고정캡에 절취 가능하게 형성되는 절취부를 구성하고, 절취부에 탈거캡을 결합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아 상품성을 확보할 수 있고, 탈거캡이 제거되더라도 절취부 주변에 날카로운 요소가 존재하지 않아 안전성을 확보한 앰플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캡의 내측 둘레에 앰플용기의 배출부 상, 하 둘레를 고정시키는 제1, 2 고정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앰플용기의 배출부에 고정캡이 결합 시, 고정캡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긴밀한 밀봉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앰플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용물이 저장되는 앰플용기(10)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부(11)에 결합되는 앰플용기 뚜껑(1)에 있어서,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되, 내측에 결합돌기(110)가 돌출형성되는 탈거캡(100);과,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그 상부가 상기 탈거캡(100)의 내측에 삽입되되, 상부에는 상기 탈거캡(100)의 결합돌기(110)가 삽입되도록 결합공(211)이 타공형성되는 절취부(210)를 포함하는 고정캡(200);으로 구성되되, 상기 절취부(210)는, 상기 결합공(211)의 둘레에 상기 결합돌기(110)가 용접으로 인해 접합되는 접합면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접합면부(212)의 둘레에 이격되어 타공형성되되, 상기 접합면부(212)와 상기 고정캡(200)의 상부가 임시로 연결되도록 다수의 임시연결돌기(213a)가 구성되는 절취타공부(213)가 형성되어, 상기 탈거캡(100)을 고정캡(200)으로부터 제거하게 되면, 상기 탈거캡(100)과 결합된 상기 접합면부(212)가 임시연결돌기(213a)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합면부(212) 내, 외측에는 상기 결합돌기(110) 용접시 열로 인하여 상기 접합면부(212)가 상기 고정캡(200)의 상부면(200a)에 접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나 이상의 접합방지홈(21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캡(200)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앰플용기(10)의 배출부(11)가 상기 고정캡(200)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캡(20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출부(11)의 상, 하 둘레에 고정되는 제1, 2 고정돌기(230, 230`)가 형성되고, 상기 탈거캡(100)의 외측 둘레에는 인체의 손톱 또는 캡제거도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삽입되도록 제거띠홈(120)이 함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앰플용기에 고정되는 고정캡에 절취 가능하게 형성되는 절취부를 구성하고, 절취부에 탈거캡을 결합함으로써, 별도의 캡 제거기가 필요없이 탈거캡의 제거만으로도 손쉽게 개봉이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캡의 내측 둘레에 앰플용기의 배출부 상, 하 둘레를 고정시키는 제1, 2 고정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앰플용기의 배출부에 고정캡이 결합 시, 고정캡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긴밀한 밀봉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앰플용기 뚜껑과 앰플용기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앰플용기 뚜껑을 분해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앰플용기 뚜껑의 단면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앰플용기 뚜껑의 구성 중 탈거캡과 고정캡이 결합되는 모습과 탈거캡이 고정캡으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보인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앰플용기 뚜껑의 구성 중 고정캡을 평면에서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앰플용기 뚜껑과 앰플용기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앰플용기 뚜껑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앰플용기(10)는 주사액이나 물약을 담는 일반적인 앰플이 아닌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는 용기(바이알 등)을 표현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앰플용기 뚜껑은 크게, 탈거캡(100)과 고정캡(200)으로 구성된다.
먼저, 탈거캡(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탈거캡(100)은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된 일종의 덮개로서, 후술할 고정캡(200)에 탈거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탈거캡(100)의 내측에는 결합돌기(110)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결합돌기(110)는 후술할 절취부(210)의 결합공(211)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탈거캡(100)과 고정캡(200)의 결합을 가이드한다.
다음으로, 고정캡(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고정캡(200)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된 일종의 덮개가이드부재로서, 상기 탈거캡(100)과 결합되고, 절취부(210), 제1, 2 고정돌기(220, 220`)로 구성된다.
상기 절취부(210)는 상기 탈거캡(100)과 결합되어 상기 탈거캡(100) 개봉 시, 상기 고정캡(200)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앰플용기(10)의 배출부(11)를 개방하는 구성요소로서, 결합공(211), 접합면부(212), 절취타공부(213), 임시연결돌기(213a)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공(211)는 상기 결합돌기(110)가 삽입고정되는 일종의 통공으로서, 상기 탈거캡(100)과 고정캡(200)의 결합을 가이드한다.
상기 접합면부(212)는 상기 결합공(211) 둘레에 상기 결합돌기(110)가 접합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접합면부(212)는 상기 결합돌기(110)가 결합공(2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기(110)을 용접(예컨대, 열용접, 초음파용접 등임.)하게 되고, 용접으로 인해 용해상태가 된 상기 결합돌기(110)에 압력을 가해 상기 접합면부(212)의 하부에 밀착되어 굳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탈거캡(100)과 고정캡(200)이 결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접합면부(212) 내, 외측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나 이상의 접합방지홈(212a)이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결합돌기(110)를 접합면부(212)에 접합을 하는 용접을 함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110) 용접시 열로 인하여 상기 접합면부(212)에도 열이 가해지면서 상기 접합면부(212)가 상기 절취타공부(213) 방향으로 재질변형되어 상기 고정캡(200)의 상부면(200a)에 접합됨으로써, 상기 탈거캡(100) 제거 시 많은 힘이 소모되어 효율성이 저하된다.
그러나, 상기 접합방지홈(212a)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결합돌기(110) 용접시 열로 인하여 상기 접합면부(212)에도 열이 가해지더라고 상기 접합면부(212)가공간으로 이루어진 상기 접합방지홈(212a)으로 재질변형됨으로써, 상기 고정캡(200)의 상부면(200a)에 접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절취타공부(213)는 상기 접합면부(212)의 둘레에 원형의 띠형상으로 타공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상기 절취타공부(213)에는 상기 접합면부(212)와 상기 고정캡(200)의 상부가 임시로 연결되는 다수의 임시연결돌기(213a)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탈거캡(100)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탈거캡(100)이 고정캡(20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해 주고, 상기 탈거캡(100)을 제거할 경우에는 점연결로 인해 적은 힘으로도 상기 탈거캡(100)을 고정캡(2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해 준다.
상기 제1, 2 고정돌기(220, 220`)는 상기 고정캡(200)의 내측 둘레에 돌출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앰플용기(10)의 배출부(11)가 상기 고정캡(200)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부(11)의 상, 하 둘레를 고정시킴으로서, 상기 고정캡(20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제1 고정돌기(220)는 상기 제2 고정돌기(220`)보다 더 돌출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캡(200)이 배출부(11)에 보다 더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로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탈거캡(100)의 외측 둘레에는 함몰형성되는 제거띠홈(120)이 구성됨으로써, 인체의 손톱 또는 캡제거도구(예컨대, 오프너, 니퍼 등)를 삽입하여 손쉽게 상기 탈거캡(100)을 개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탈거캡과 고정캡이 결합되는 과정과 탈거캡이 고정캡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탈거캡과 고정캡이 결합되는 과정은 도 4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탈거캡(100)과 고정캡(200)이 각각 별도로 구비된 상태에서 도 4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탈거캡(100)의 결합돌기(110)를 상기 고정캡(200)의 결합공(211)에 삽입시킨다.
이후, 도 4의 (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결합공(211)에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110)에 용접을 실행하면 상기 결합돌기(110)는 용해상태가 된다.
용해된 상태의 상기 결합돌기(110)를 프레스기구 등을 이용하여 압착하게 되면, 상기 접합면부(212)의 하단에 상기 결합돌기(110)가 밀착되어 굳어짐으로써, 상기 접합면부(212)와 결합돌기(110)는 접합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탈거캡(100)과 고정캡(200)은 결합하게 된다.
도 4의 (d)는 상기 탈거캡(100)이 고정캡(200)으로부터 분리되는 모습을 보인 것으로서, 상기 탈거캡(100)을 잡고 상방향으로 당기거나,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탈거캡(100)의 일측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임시연결돌기(213a)와 접합면부(212)의 맞닿은 점연결된 면에 힘이 가해서 상기 접합면부(212)가 임시연결돌기(213a)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접합면부(212)와 결합된 상기 탈거캡(100)이 고정캡(200)으로부터 분리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앰플용기 뚜껑
10: 용기 11: 배출부
100: 탈거캡 110: 결합돌기
120: 제거띠홈
200: 고정캡 200a: 고정캡 상부면
210: 절취부 211: 결합공
212: 접합면부 212a: 접합방지홈
213: 절취타공부 213a: 임시연결돌기
220, 220`: 제1, 2 고정돌기

Claims (3)

  1. 삭제
  2. 내용물이 저장되는 앰플용기(10)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부(11)에 결합되는 앰플용기 뚜껑(1)에 있어서,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되, 내측에 결합돌기(110)가 돌출형성되는 탈거캡(100);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그 상부가 상기 탈거캡(100)의 내측에 삽입되되, 상부에는 상기 탈거캡(100)의 결합돌기(110)가 삽입되도록 결합공(211)이 타공형성되는 절취부(210)를 포함하는 고정캡(200);으로 구성되되,
    상기 절취부(210)는,
    상기 결합공(211)의 둘레에 상기 결합돌기(110)가 용접으로 인해 접합되는 접합면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접합면부(212)의 둘레에 이격되어 타공형성되되, 상기 접합면부(212)와 상기 고정캡(200)의 상부가 임시로 연결되도록 다수의 임시연결돌기(213a)가 구성되는 절취타공부(213)가 형성되어,
    상기 탈거캡(100)을 고정캡(200)으로부터 제거하게 되면, 상기 탈거캡(100)과 결합된 상기 접합면부(212)가 임시연결돌기(213a)로부터 분리되되,
    상기 접합면부(212) 내, 외측에는 상기 결합돌기(110) 용접시 열로 인하여 상기 접합면부(212)가 상기 고정캡(200)의 상부면(200a)에 접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나 이상의 접합방지홈(21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용기 뚜껑(1).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200)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앰플용기(10)의 배출부(11)가 상기 고정캡(200)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캡(20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출부(11)의 상, 하 둘레에 고정되는 제1, 2 고정돌기(220, 220`)가 형성되고,
    상기 탈거캡(100)의 외측 둘레에는 인체의 손톱 또는 캡제거도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삽입되도록 제거띠홈(120)이 함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플용기 뚜껑(1).
KR1020150043472A 2015-03-27 2015-03-27 앰플용기 뚜껑 KR101622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472A KR101622611B1 (ko) 2015-03-27 2015-03-27 앰플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3472A KR101622611B1 (ko) 2015-03-27 2015-03-27 앰플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611B1 true KR101622611B1 (ko) 2016-05-20

Family

ID=56103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3472A KR101622611B1 (ko) 2015-03-27 2015-03-27 앰플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6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620B1 (ko) 2021-03-11 2021-08-20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용기용 캡
KR102313824B1 (ko) 2021-03-12 2021-10-19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용기용 캡
KR102327329B1 (ko) 2021-03-11 2021-11-17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용기용 캡
KR102340023B1 (ko) 2021-03-19 2021-12-20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용기용 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320B1 (ko) * 2012-07-26 2014-03-18 알텍인터내셔날 주식회사 바이알 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320B1 (ko) * 2012-07-26 2014-03-18 알텍인터내셔날 주식회사 바이알 캡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620B1 (ko) 2021-03-11 2021-08-20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용기용 캡
KR102327329B1 (ko) 2021-03-11 2021-11-17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용기용 캡
KR102313824B1 (ko) 2021-03-12 2021-10-19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용기용 캡
KR102340023B1 (ko) 2021-03-19 2021-12-20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용기용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611B1 (ko) 앰플용기 뚜껑
RU2594549C2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с переходником
US10098814B2 (en) Sealing arrangement and container associated with same
RU243879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дельного хранения субстанции, предпочтительно медицинского ил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ого действующего вещества, и жидкости и для смешивания их перед отпуском
WO2017080522A1 (zh) 混药器、硬双接口及输液软袋
WO2015002099A1 (ja) 容器
JP6083706B2 (ja) 容器及びシールバー
US20090264834A1 (en) Rigid double-port tube with medicine dispensing nozzle for the big transfusion soft bag
WO2015002104A1 (ja) 容器
JP5173947B2 (ja) 易引裂き性包装
WO2015002105A1 (ja) 容器
JP2009280243A (ja) 紙容器溶着用上蓋付き注出栓
KR100655892B1 (ko) 용기마개 및 그 제조공정
JP2004250020A (ja) 原料の収容室を備えたキャップ及び容器の封止機構
US11981484B2 (en) Labelling arrangement for a multi-part container,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 labelling arrangement to a multi-part container
ITTO20120506A1 (it) Cappuccio per un flacone atto alla conservazione di sostanze da mantenersi separate fino alla loro applicazione.
JP2001278320A (ja) キャップ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薬剤容器
JP5309308B2 (ja) 注出具
KR102515690B1 (ko) 의료용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용의 밀봉 캡
RU2524637C2 (ru) Медицинский коннектор и его сгибаемая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крышка
JP2014069810A (ja) 容器用のキャップ
JP2016166022A (ja) 分別廃棄性が向上したヒンジキャップ
JP2000313484A (ja) 開封時2液混合容器
WO2016101337A1 (zh) 一种笔式注射器针头的新型包装及其使用方法
US20160200487A1 (en) Break-off spout, pouch having a break-off spout, production method for pouch having a break-off spout, food or beverage in pouch having a break-off spou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