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791B1 - 차량 시동과 연동된 슬라이딩형 도어트림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 시동과 연동된 슬라이딩형 도어트림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791B1
KR102089791B1 KR1020200007580A KR20200007580A KR102089791B1 KR 102089791 B1 KR102089791 B1 KR 102089791B1 KR 1020200007580 A KR1020200007580 A KR 1020200007580A KR 20200007580 A KR20200007580 A KR 20200007580A KR 102089791 B1 KR102089791 B1 KR 102089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door
sliding
door trim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998A (ko
Inventor
지영훈
Original Assignee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7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791B1/ko
Publication of KR20200012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7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electrical control means, e.g.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동과 연동된 슬라이딩형 도어트림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암레스트부와 기능부로 구성된 도어트림 암레스트에서 암레스트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암레스트부의 슬라이딩 작동을 자동화함으로써 차량의 시동을 걸면 암레스트부가 자동으로 도어의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기능부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도어트림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시동과 연동된 슬라이딩형 도어트림 암레스트{SLIDING DOOR TRIM ARMREST LINKED WITH VEHICLE STARTING}
본 발명은 슬라이딩이 가능한 도어트림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암레스트부와 기능부로 구성된 도어트림 암레스트에서 암레스트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하여, 암레스트부를 도어의 내측으로 슬라이딩시켜 기능부를 덮으면 기능부의 폭에 해당하는 만큼만 내측공간으로 돌출되어 차량의 실내공간을 확충할 수 있으며, 암레스트부를 도어의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기능부가 돌출되어 사용이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도어트림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패널에는 도어트림을 부설하여 외관을 개선함과 동시에 소음의 실내유입을 억제하며, 또한, 도어트림에는 암레스트, 풀 핸들 등을 필수적으로 구비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증진하고 있다.
도어트림의 암레스트는 사이드 도어에 부착되어 있으며 도어 개폐에 쓰이는 손잡이, 수납공간, 사이드도어 윈도우글라스의 승강스위치 등과 일체구조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도어트림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 도어트림 암레스트는 차량의 도어트림(10)의 내측에 차량의 주행방향과 평행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 도어트림 암레스트는 운전자 및 탑승자가 차량에 탑승했을 때 팔을 올려놓을 수도 있으며, 차량의 도어 개폐를 위한 손잡이 및 각종 편의장치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트림에 설치되는 암레스트는 고정된 형상을 갖는 사출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시나 미사용 시나 똑같은 체적의 실내의 공간을 점유하게 되어 승객의 활동에 지장을 주며, 암레스트에 수납공간 및 각종 스위치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승객이 암레스트에 팔을 올려놓을 경우 승객의 팔이 수납공간에 빠지거나 각종 스위치에 걸리는 등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슬라이딩이 가능한 도어트림 암레스트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241856호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암레스트부와 기능부로 구성된 도어트림 암레스트에서 암레스트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하여, 암레스트부를 도어의 내측으로 슬라이딩시켜 기능부를 덮으면 기능부의 폭에 해당하는 만큼만 내측공간으로 돌출되어 차량의 실내공간을 확충할 수 있으며, 암레스트부를 도어의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기능부가 노출되어 사용이 가능한 슬라이딩 가능한 도어트림 암레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이 가능한 도어트림 암레스트는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부; 및 박막형 스위치, 휴대폰 무선충전 시스템 및 수납공간이 형성된 기능부;를 포함하며, 상기 암레스트부는 도어의 내측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능부는 상기 암레스트부의 슬라이딩에 의해 덮여지거나 실내공간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량의 도어를 열면 상기 암레스트부가 자동으로 도어의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기능부를 덮음으로써 실내공간을 최대화시키고, 상기 차량의 시동을 걸면 상기 암레스트부가 자동으로 도어의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기능부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이 가능한 도어트림 암레스트는 암레스트부와 기능부로 구성된 도어트림 암레스트에서 암레스트부를 도어의 내측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하여, 기능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암레스트부를 도어의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기능부를 덮으면 기능부의 폭에 해당하는 만큼만 도어트림 외부로 노출되어 차량의 실내공간을 확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암레스트부를 도어의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기능부가 노출되어 사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기능부의 폭에 암레스트부의 폭이 더해져 승객이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암레스트부는 별도의 구성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매끄러운 면을 제공하기 때문에 승객이 암레스트부에 팔을 올려놓을 때 우수한 촉감을 제공하여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암레스트부가 도어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는 기능부를 덮어 가려주기 때문에, 비가 오는 날에 창문을 열어 빗물이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더라도 기능부에 직접적으로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능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암레스트부를 도어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접점이 닫히게 되는 전기접점을 도어트림 암레스트에 형성하여, 암레스트부를 도어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기능부에 불이 들어와 발광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암레스트부의 슬라이딩 작동을 자동화함으로써 차량의 도어를 열면 암레스트부가 자동으로 도어의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기능부를 덮음으로써 실내공간을 최대화시켜 탑승을 편하게 할 수 있고, 차량의 시동을 걸면 암레스트부가 자동으로 도어의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즉시 기능부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준비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암레스트부를 도어의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기능부를 덮으면 기능부에 형성된 박막형 스위치부, 휴대폰 무선충전 시스템, 수납공간이 도어트림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단지 별도의 구성이 형성되지 않은 암레스트부만 도어트림 외부의 실내공간으로 노출되어 심플한 디자인적 심미감을 높여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도어트림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이 가능한 도어트림 암레스트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이 가능한 도어트림 암레스트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이 가능한 도어트림 암레스트가 슬라이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이 가능한 도어트림 암레스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이 가능한 도어트림 암레스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이 가능한 도어트림 암레스트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이 가능한 도어트림 암레스트가 슬라이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이 가능한 도어트림 암레스트(이하 '암레스트'라 함)는 차량의 도어트림(100)에 암레스트부(210) 및 기능부(22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암레스트부(210)는 차량 도어의 내측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된다.
암레스트부(210)는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하고 안락한 느낌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단면에 별도의 구성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매끄러운 면을 제공하기 때문에 승객이 팔을 올려놓을 때 승객의 팔에 걸리는 구성들이 없어 승객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암레스트부(210)를 도어의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기능부(220)를 덮으면 암레스트부(210)만 도어트림(100) 외부의 차량 실내공간에 노출되어 심플한 디자인적 심미감을 높여줄 수 있다.
기능부(220)는 암레스트부(210)의 슬라이딩에 의해 덮여지거나 실내공간에 노출될 수 있으며, 각종 스위치가 형성된 박막형 스위치(221), 스마트폰의 무선충전이 가능한 휴대폰 무선충전 시스템(222) 및 다양한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납공간(2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박막형 스위치(221)는 표면에 도전성 잉크로 인쇄된 접점인 전극판이 간격 유지판에 의해 오프(off)되어 있다가 접점부분을 가압하면 이격되어 있던 두 개의 접점이 서로 접촉되면서 온(on)되는 구성으로, 도어의 창문을 개폐하기 위한 스위치, 차량 좌석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 등 다양한 기능을 갖는 스위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박막형 스위치부(221)는 이미 공지된 구성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이 가능한 도어트림 암레스트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평상시에는 암레스트부(210)가 도어의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기능부(220)를 덮고 있는 상태로 기능부(220)의 폭에 해당하는 만큼만 암레스트부(210)가 도어트림(100) 외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레스트(200)를 포함하는 도어트림(100) 전체의 폭이 작아져 차량의 실내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수납공간과 각종 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별도의 구성이 기능부(220)에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암레스트부(210)에는 별도의 구성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기능부(220)가 암레스트부(210)에 의해 덮인 상태에서는 수납공간, 각종 스위치 등의 별도의 구성이 도어트림(100)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아 심플한 디자인적 심미감을 높여줄 수 있으며, 암레스트부(210)는 별도의 구성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매끄러운 면을 제공하기 때문에 승객이 암레스트부(210)에 팔을 올려놓을 때 우수한 촉감을 제공하여 승객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암레스트부(210)가 도어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는 기능부(220)를 덮어 가려주기 때문에 비가 오는 날에 창문을 열어 빗물이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더라도 기능부(220)의 각종 구성들에 직접적으로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기존의 도어트림에 설치되는 암레스트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형상을 갖는 사출물로써 사용 시나 미사용 시나 똑같은 체적의 차량 실내 공간을 점유하게 되어 승객의 활동에 지장을 주며, 암레스트(20)에 수납공간(22) 및 각종 스위치(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항시 실내공간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내부가 번잡해보이고, 내부공간으로 빗물이 유입될 경우 암레스트(20)에 형성된 각종 스위치(21)에 직접적으로 떨어져 고장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승객이 암레스트(20)에 팔을 올려놓을 경우 승객의 팔이 수납공간(22)에 빠지거나 각종 스위치(21)에 걸리는 등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암레스트(200)는 암레스트부(210)와 기능부(220)로 구성된 도어트림 암레스트(200)에서 암레스트부(210)를 차량 도어의 내측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하여, 기능부(22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암레스트부(210)를 도어의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기능부(220)를 덮으면 기능부(220)의 폭에 해당하는 만큼만 암레스트부(210)가 도어트림(100) 외부로 돌출되어 차량의 실내공간을 확충할 수 있다.
또한, 암레스트부(210)에는 별도의 구성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암레스트부(210)를 도어의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기능부(220)를 덮으면 승객이 돌출된 암레스트부(210)에 팔을 올려놓을 때 우수한 촉감을 제공하여 승객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능부(220)에 형성된 박막형 스위치(221), 휴대폰 무선충전 시스템(222), 수납공간(223)이 실내공간에 노출되지 않고, 단지 별도의 구성이 형성되지 않은 암레스트부(210)만 도어트림(100) 외부의 실내공간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심플한 디자인적 심미감을 높여줄 수 있다.
이후, 기능부(220)의 박막형 스위치(221), 휴대폰 무선충전 시스템(222), 수납공간(223)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암레스트부(210)를 도어의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기능부(220)가 도어트림(100) 외부의 실내공간으로 노출되어 기능부(220)의 각종 구성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기능부(220)의 폭에 암레스트부(210)의 폭이 더해져 승객이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능부(220)를 노출시키기 위해 암레스트부(210)를 도어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접점이 닫히게 되는 전기접점(미도시)을 도어트림 암레스트(200)에 형성하여, 암레스트부(210)를 도어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기능부(220)에 불이 들어와 발광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암레스트부(210)의 슬라이딩 작동을 자동화함으로써 차량의 도어를 열면 암레스트부(210)가 자동으로 도어의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기능부(220)를 덮음으로써 실내공간을 최대화시키고, 차량의 시동을 걸면 암레스트부(210)가 자동으로 도어의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기능부(220)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이 가능한 도어트림 암레스트는 암레스트부와 기능부로 구성된 도어트림 암레스트에서 암레스트부를 도어의 내측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하여, 기능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암레스트부를 도어의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기능부를 덮으면 기능부의 폭에 해당하는 만큼만 도어트림 외부로 노출되어 차량의 실내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암레스트부를 도어의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기능부가 노출되어 사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기능부의 폭에 암레스트부의 폭이 더해져 승객이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암레스트부는 별도의 구성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매끄러운 면을 제공하기 때문에 승객이 암레스트부에 팔을 올려놓을 때 우수한 촉감을 제공하여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암레스트부가 도어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는 기능부를 덮어 가려주기 때문에, 비가 오는 날에 창문을 열어 빗물이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더라도 기능부에 직접적으로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능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암레스트부를 도어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접점이 닫히게 되는 전기접점을 도어트림 암레스트에 형성하여, 암레스트부를 도어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기능부에 불이 들어와 발광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암레스트부의 슬라이딩 작동을 자동화함으로써 차량의 도어를 열면 암레스트부가 자동으로 도어의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기능부를 덮음으로써 실내공간을 최대화시키고, 차량의 시동을 걸면 암레스트부가 자동으로 도어의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기능부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암레스트부를 도어의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기능부를 덮으면 기능부에 형성된 박막형 스위치부, 휴대폰 무선충전 시스템, 수납공간이 도어트림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단지 별도의 구성이 형성되지 않은 암레스트부만 도어트림 외부의 실내공간으로 노출되어 심플한 디자인적 심미감을 높여줄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도어트림
200 : 암레스트
210 : 암레스트부
220 : 기능부
221 : 박막형 스위치
222 : 휴대폰 무선충전 시스템
223 : 수납공간
<종래기술>
10 : 도어트림
20 : 암레스트
21 : 각종 스위치
22 : 수납공간

Claims (1)

  1. 차량에 탑승한 승객이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부; 및
    박막형 스위치, 휴대폰 무선충전 시스템 및 수납공간이 형성된 기능부;를 포함하며,
    상기 암레스트부는 도어의 내측방향 및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기능부에 형성된 상기 박막형 스위치, 휴대폰 무선충전 시스템 및 수납공간이 상기 암레스트부의 슬라이딩에 의해 전부 덮여지거나 실내공간에 노출되며,
    상기 암레스트부가 도어 내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는 상기 기능부에 형성된 상기 박막형 스위치, 휴대폰 무선충전 시스템 및 수납공간을 전부 덮어 가려줌으로써 빗물이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기능부에 형성된 상기 박막형 스위치, 휴대폰 무선충전 시스템 및 수납공간에 직접적으로 빗물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전기적으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기능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암레스트부를 도어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전기접점이 닫히면서 상기 기능부에 불이 들어와 발광하고,
    차량의 시동을 걸면 상기 암레스트부가 자동으로 도어의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기능부를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과 연동된 슬라이딩형 도어트림 암레스트.
KR1020200007580A 2020-01-20 2020-01-20 차량 시동과 연동된 슬라이딩형 도어트림 암레스트 KR102089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580A KR102089791B1 (ko) 2020-01-20 2020-01-20 차량 시동과 연동된 슬라이딩형 도어트림 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580A KR102089791B1 (ko) 2020-01-20 2020-01-20 차량 시동과 연동된 슬라이딩형 도어트림 암레스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200A Division KR102070840B1 (ko) 2018-07-05 2018-07-05 슬라이딩이 가능한 도어트림 암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998A KR20200012998A (ko) 2020-02-05
KR102089791B1 true KR102089791B1 (ko) 2020-03-16

Family

ID=69514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580A KR102089791B1 (ko) 2020-01-20 2020-01-20 차량 시동과 연동된 슬라이딩형 도어트림 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7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5211A (zh) * 2020-11-06 2022-05-06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隐藏式车门饰板及汽车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71338A (ja) * 2015-10-08 2017-04-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トリム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765B1 (ko) * 2003-07-11 2005-10-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포켓의 구조
KR20150041010A (ko) * 2012-08-02 2015-04-15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차량 도어 팔걸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71338A (ja) * 2015-10-08 2017-04-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トリム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998A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28819B2 (ja) ドアトリム用ユニットパネル
US6833517B2 (en) Multiple switch device
US11701954B2 (en) Integrated vehicle cover
US20120230047A1 (en) Low profile switching and lighting integration within an interior vehicle component
JPH0924791A (ja) 運転者用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に使用するカバー
KR102089791B1 (ko) 차량 시동과 연동된 슬라이딩형 도어트림 암레스트
KR102089790B1 (ko) 도어 개방과 연동된 슬라이딩형 도어트림 암레스트
US20050241930A1 (en) Layered switch assembly
EP3475122B1 (en) Trim part comprising a decorative element comprising a lighting portion
CN113226828A (zh) 用于车辆的车顶控制台
KR102070840B1 (ko) 슬라이딩이 가능한 도어트림 암레스트
CN213635749U (zh) 主电动车窗开关总成
RU2413634C2 (ru) Панель двери со встроенной функцией блока зеркала заднего обзора
CN207790275U (zh) 一种汽车遮光板组件
CN205086775U (zh) 汽车遮阳板的外接式照明装置
KR101837411B1 (ko) 커스터마이즈 패드가 구비된 차량용 도어
CN216976637U (zh) 实现触摸开关控制功能的汽车内饰顶灯装置
EP0351468A1 (en) Vehicle accessory assembly with sliding door for mounting on a visor or other interior panel
JP2007505463A (ja) 電気スイッチモジュール
CN211684949U (zh) 乘用车前排顶部控制模块
KR200314204Y1 (ko)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구조
CN218702841U (zh) 一种车辆及车辆通信系统
KR0120840Y1 (ko) 조명장치가 내장된 자동차의 리어 배너티미러
CN2698652Y (zh) 出租车物品遗忘提示器
JPS5939065Y2 (ja) 自動車の電動サンル−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