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648B1 - 슬래브 가설장치 - Google Patents

슬래브 가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648B1
KR102089648B1 KR1020190106542A KR20190106542A KR102089648B1 KR 102089648 B1 KR102089648 B1 KR 102089648B1 KR 1020190106542 A KR1020190106542 A KR 1020190106542A KR 20190106542 A KR20190106542 A KR 20190106542A KR 102089648 B1 KR102089648 B1 KR 102089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frame
pair
front fram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하
에스원건설 주식회사
위드인 주식회사
서하건설 주식회사
케이원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하, 에스원건설 주식회사, 위드인 주식회사, 서하건설 주식회사, 케이원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하
Priority to KR1020190106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6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40Devic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or placing units of linings or supporting units for tunnels or galleri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21D11/105Transport or application of concrete specially adapted for the lining of tunnels or galleries ; Backfilling the space between main building element and the surrounding rock, e.g. with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4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브 가설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내(예컨대, 지하차도의 내부 또는 터널의 풍도슬래브 가설지점 혹은 터널의 중간슬래브 가설지점 등)에서 크레인 등에 의해 슬래브 가설용 브래킷 위에 최초 거치된 후 4곳의 지지점에 설치된 이동장치에 의해 이동하면서 슬래브 하차와 인양 및 거치를 모두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장치로 슬래브 하차와 인양 및 거치를 모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슬래브 가설 시 경제성과 운용성을 증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래브 가설장치{Slab construction device}
본 발명은 슬래브 가설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실내에서 활용되는 슬래브 가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래브는 교량, 터널, 건축물 등 다양한 구조물에 적용되는 구조적 필수 요소이다.
슬래브를 원하는 위치에 가설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현장 제작 가설 방식 또는 공장제작, 운반 후 가설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데, 이때 가설 방식은 다양한 형태의 크레인을 사용하여 시공하고 있다.
한편, 건축물의 경우 주로 슬래브의 실외 가설이 가능하고 높이의 제약이 크지 않은 환경이므로 트레일러(혹은 이동대차)로 슬래브를 운반한 후 타워크레인, 일반크레인 등의 가설장비를 용량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조물 내부(예컨대 지하차도의 내부 슬래브)(도 1의 a 참조) 또는 터널의 풍도슬래브(도 1의 b 참조) 혹은 터널의 중간슬래브(도 1의 c 참조) 등과 같이 슬래브를 실내에서 가설하는 경우 높이, 폭 등의 제약에 의해 크레인 가설시 어려움이 따른다.
도 1에서는 PC슬래브(precast slab)를 가설하는 방식을 예시하고 있으며, 이 경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래브를 가설하기 위해 기존 크레인을 활용(도 2의 a 참조)하거나 백호우(Back Hoe)의 삽 부분을 변경하여 활용(도 2의 b 참조)하는데, 슬래브를 실은 트레일러(혹은 이동대차)에 의한 슬래브의 현장 반입 후 크레인 또는 백호우 등으로 슬래브를 들어 올리는 과정과 최종 목적 위치 거치 과정에 의해 실내에서의 슬래브 가설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슬래브를 가설하기 위해 크레인 등을 활용하는 경우 하기의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단점이 있다.
구분 장점 단점



운용



- 차량(트레일러, 크레인, 백호우 등)이 많아 임대 용이
- 크레인 팔(ARM)이 수평에 가까운 형태로 가설되어 장치에 무리가 가는 형태임.
- 중량 대비 큰 용량의 크레인을 적용해야 함(5TON 가설시 약 50TON 크레인 소요)
- 장비 운전자의 능력에 따른 가설 속도의 차이 발생


경제성


- 소규모 공사의 경우 장비의 구입이 아닌 임대에 의한 방식 적용 가능
- 가설 기간이 길어질 경우 고가의 장비 임대비 발생
- 전체 공사비 중 크레인 임대비의 비중이 과다
- 대형 공사의 경우 과다한 공사비 책정



가설 공간



- 현장까지 자가 진입 가능
- 크레인이 지하차도 도로면(하면) 또는 터널에 정차 또는 고정되어 있어야 하므로 트레일러, 트럭 기타 공사용 차량의 운행에 간섭 및 방해가 됨.
- 특히 폭이 좁은 지하공간의 경우 차량 교행이 불가하여 한 쪽 방향으로 작업해야하므로 슬래브 운반용 트레일러의 회차가 불가한 경우 발생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슬래브를 가설하기 위해 크레인 등을 활용하는 경우, 결론적으로 경제적 혹은 운용적인 측면에서 전용 가설 장치의 필요성이 크다.
(특허문헌 1) KR10-1230049 B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예컨대, 지하차도의 내부 또는 터널의 풍도슬래브 가설지점 혹은 터널의 중간슬래브 가설지점 등)에서 크레인 등에 의해 슬래브 가설용 브래킷 위에 최초 거치된 후 4곳의 지지점에 설치된 이동장치에 의해 이동하면서 슬래브 하차와 인양 및 거치를 모두 수행하는 슬래브 가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가설장치는, 직선부의 양측 단부에 슬래브가 가설되는 구조물의 벽체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되는 한 쌍의 슬래브 가설용 브래킷 위 혹은 상기 브래킷 위에 기 가설된 슬래브 위의 지지점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가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전방 프레임과; 상기 전방 프레임과 나란하게 이격되어 있고 직선부의 양측 단부에 상기 브래킷 위 혹은 상기 브래킷 위에 기 가설된 슬래브 위의 지지점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가 각각 연장되어 있는 후방 프레임; 상기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을 정해진 간격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연결 프레임; 상기 전방 프레임의 양측 경사부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지점에 안착된 상태에서 유선 혹은 무선 방식의 조정기에 의해 조정되어 상기 브래킷 위에 가설되는 슬래브의 일측 단면과 해당 슬래브가 가설되는 구조물의 벽체 사이에 형성되는 이동로를 따라 상기 전방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한 쌍의 전방 이동장치; 상기 후방 프레임의 양측 경사부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지점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정기에 의해 조정되어 상기 이동로를 따라 상기 후방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한 쌍의 후방 이동장치; 및 상기 연결 프레임에 설치되어 케이블에 연결한 슬래브의 하차와 상기 브래킷 위로의 슬래브 인양 및 거치를 수행하는 슬래브 가설 윈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은 한 쌍의 슬래브 가설용 브래킷의 폭에 맞춰 슬래브를 가설하도록 각각 직선부의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이동로가 곡선부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전방 프레임의 길이 보다 상기 후방 프레임의 길이를 더 작게 함으로써 상기 전방 프레임에 설치된 한 쌍의 이동장치는 상기 브래킷 위에서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이동하게 하고 상기 후방 프레임에 설치된 한 쌍의 후방 이동장치는 상기 브래킷 위에 기 가설된 슬래브 위에서 이동하게 하여 해당 곡선부에서 슬래브 가설 시 상기 이동장치가 지지되는 4개의 지지점에서 곡선부를 따라 이동 시 벽체와의 간섭을 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 사이의 간격은 상기 연결프레임에 의해 좁혀지거나 넓혀지도록 조절되고 상기 이동로가 곡선부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전방 프레임에 설치된 한 쌍의 이동장치와 상기 후방 프레임에 설치된 한 쌍의 후방 이동장치가 지지되는 4개의 지지점에서 곡선부를 따라 이동 시 벽체와의 간섭을 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일측 단부가 상기 전방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 단부가 상기 후방 프레임에 착탈되거나, 일측 단부가 상기 후방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 단부가 상기 전방 프레임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의 타측 단부는 상기 후방 프레임의 직선부에서 연직으로 형성된 후방 고리 프레임 혹은 상기 전방 프레임의 직선부에서 연직으로 형성된 전방 고리 프레임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의 타측 단부는 상기 후방 고리 프레임 혹은 상기 전방 고리 프레임에 삽입되어 핀 결합하여 장착되거나, 핀 결합 해제 후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방 이동장치와 한 쌍의 후방 이동장치는 상기 지지점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정기에 의해 조정되어 상기 이동로를 따라 모터 구동 방식으로 회전체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방 이동장치와 한 쌍의 후방 이동장치는 상기 이동로를 따라 상기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도중에 상기 회전체와 상기 슬래브가 가설되는 구조물의 벽체와의 충돌 및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체 주변에 배치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가설 윈치는 차량(예컨대, 트레일러 등)으로 운반된 슬래브의 상면에 배치되어 슬래브를 고정하는 슬래브 고정기와 연결된 케이블을 권취하거나 회전시킴으로써 슬래브의 하차와 상기 브래킷 위로의 슬래브 인양 및 거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가설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방 이동장치와 한 쌍의 후방 이동장치에 의해 상기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이 경사면(예컨대, 경사도 10°이상의 경사면)을 따라 올라가면서 이동하기 어려운 경우 상기 전방 프레임에 연결된 풀링 케이블을 권취하여 상기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이 경사면을 따라 올라가면서 이동하게 하는 풀링 윈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장치로 슬래브 하차와 인양 및 거치를 모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슬래브 가설 시 경제성과 운용성을 증대할 수 있다.
도 1은 슬래브를 실내에서 가설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2는 슬래브를 가설하기 위해 크레인 또는 백호우(Back Hoe)를 활용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가설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의 이동로가 곡선부에 형성되는 경우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의 각각 직선부의 길이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사시도.
도 7은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의 이동로가 곡률이 심한 곡선부에 형성되는 경우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7의 후방 프레임이 전방 프레임 측으로 이동하여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연결프레임에 의해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경사 터널 내부에서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이 경사면을 따라 올라가면서 이동하게 하는 풀링 윈치를 사용하는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가설장치의 슬래프 가설 작동을 설명하는 실시예.
도 11은 트레일러로 운반된 슬래브를 크레인으로 인양하는 작동을 설명하는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가설장치를 활용하여 실내에서 슬래브를 가설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실시예.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슬래브 가설 과정 중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의 각각 직선부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전방 프레임과 후방 프레임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슬래브를 가설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가설장치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기술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기술분야에 대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가설장치(100)는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20), 적어도 1개 이상의 연결 프레임(130), 한 쌍의 전방 이동장치(140), 한 쌍의 후방 이동장치(150), 슬래브 가설 윈치(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방 프레임(110)은 직선부(111)의 양측 단부에 슬래브(200)가 가설되는 구조물의 벽체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되는 한 쌍의 슬래브 가설용 브래킷(300) 위 혹은 상기 브래킷(300) 위에 기 가설된 슬래브(200) 위의 지지점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112)가 각각 연장되어 있다.
상기 후방 프레임(120)은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나란하게 이격되어 있고 직선부(121)의 양측 단부에 상기 브래킷(300) 위 혹은 상기 브래킷(300) 위에 기 가설된 슬래브(200) 위의 지지점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122)가 각각 연장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20)은 한 쌍의 슬래브 가설용 브래킷(300)의 폭에 맞춰 슬래브(200)를 가설하도록 각각 직선부(111,121)의 길이가 조절된다.
도 3의 확대도에서는 서로 내경이 다른 프레임을 삽입 혹은 인출하여 핀 결합 혹은 핀 결합 해제함으로써 길이 조절을 하는 직선부(111,121)를 예시하고 있으며, 해당 직선부(111,121)의 길이 조절 방식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이동로가 곡선부에 형성되는 경우,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길이 보다 상기 후방 프레임(120)의 길이를 더 작게 함으로써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설치된 한 쌍의 이동장치(140)는 상기 브래킷(300) 위에서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이동하게 하고 상기 후방 프레임(120)에 설치된 한 쌍의 후방 이동장치(150)는 상기 브래킷(300) 위에 기 가설된 슬래브(200) 위에서 이동하게 하여 해당 곡선부에서 슬래브(200) 가설 시 상기 이동장치(140,150)가 지지되는 4개의 지지점에서 곡선부를 따라 이동 시 벽체와의 간섭을 배제한다.
상기 연결 프리임(130)은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20)을 정해진 간격으로 연결한다. 도 3에서는 중앙 연결 프레임을 기준으로 좌우에 2개의 연결 프레임이 더 배치된 상태를 예시한다.
상기 연결 프레임(130)은 일측 단부가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 단부가 상기 후방 프레임(120)에 착탈되거나, 일측 단부가 상기 후방 프레임(120)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 단부가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착탈된다.
상기 연결 프레임(130)의 타측 단부는 상기 후방 프레임(120)의 직선부(121)에서 연직으로 형성된 후방 고리 프레임(123) 혹은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직선부(111)에서 연직으로 형성된 전방 고리 프레임(미도시)에 착탈된다.
상기 연결 프레임(130)의 타측 단부는 상기 후방 고리 프레임(123) 혹은 상기 전방 고리 프레임(미도시)에 삽입되어 핀 결합하여 장착되거나, 핀 결합 해제 후 이탈된다.
도 3의 확대도에서는 상기 연결 프레임(130)의 타측 단부와 핀 결합 혹은 핀 결합 해제가 가능한 상기 후반 고리 프레임(123)을 예시하고 있으며, 미도시한 전방 고리 프레임은 상기 후반 고리 프레임(123)과 동일한 구성으로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직선부(111)에서 연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20)의 이동로가 곡률이 심한 곡선부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설치된 한 쌍의 이동장치(140)와 상기 후방 프레임(120)에 설치된 한 쌍의 후방 이동장치(150)가 지지되는 4개의 지지점에서 곡선부를 따라 이동 시 벽체와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간섭 발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130)에 의해 도 7에 나타낸 상기 후방 프레임(120)이 전방 프레임(110)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20) 사이의 간격이 상기 연결프레임(130)에 의해 좁혀지거나 넓혀지도록 조절되면, 상기 이동로가 곡선부에 형성되더라도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설치된 한 쌍의 이동장치(140)와 상기 후방 프레임(120)에 설치된 한 쌍의 후방 이동장치(150)가 지지되는 4개의 지지점에서 곡선부를 따라 이동 시 벽체와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전방 이동장치(140)는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양측 경사부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지점에 안착된 상태에서 유선 혹은 무선 방식의 조정기에 의해 조정되어 상기 브래킷(300) 위에 가설되는 슬래브(200)의 일측 단면과 해당 슬래브(200)가 가설되는 구조물의 벽체 사이에 형성되는 이동로를 따라 상기 전방 프레임(110)을 이동시킨다.
상기 한 쌍의 후방 이동장치(150)는 상기 후방 프레임(120)의 양측 경사부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지점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정기에 의해 조정되어 상기 이동로를 따라 상기 후방 프레임(120)을 이동시킨다.
상기 한 쌍의 전방 이동장치(140)와 한 쌍의 후방 이동장치(150)는 상기 지지점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정기에 의해 조정되어 상기 이동로를 따라 모터 구동 방식으로 회전체(141,151)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20)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5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전방 이동장치(140)와 한 쌍의 후방 이동장치(150)는 상기 이동로를 따라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20)을 이동시키는 도중에 상기 회전체(141,151)와 상기 슬래브(200)가 가설되는 구조물의 벽체와의 충돌 및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체(141,151) 주변에 배치되는 완충부재(142,15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의 (a)는 도 4의 A-A 단면도이며, 상기 전방 이동장치(140)의 회전체(141)에서 벽체와의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회전체(141,151)와 상기 슬래브(200)가 가설되는 구조물의 벽체와의 직접적인 충돌 및 간섭을 방지하는 완충부재(142)를 예시한다.
도 5의 (b)는 도 4의 B-B 단면도이며, 상기 후방 이동장치(150)의 회전체(151)가 기 가설된 슬래브(200) 위의 이동로를 따라 이동하는 도중에 벽체와의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회전체(151)와 상기 슬래브(200)가 가설되는 구조물의 벽체와의 직접적인 충돌 및 간섭을 방지하는 완충부재(152)를 예시한다.
상기 슬래브 가설 윈치(160)는 상기 연결 프레임(130)에 설치되어 케이블(161)에 연결한 슬래브(200)의 하차와 상기 브래킷(300) 위로의 슬래브(200) 인양 및 거치를 수행한다.
상기 슬래브 가설 윈치(160)는 차량으로 운반된 슬래브(200)의 상면에 배치되어 슬래브(200)를 고정하는 슬래브 고정기(170)와 연결된 케이블(161)을 권취하거나 회전시킴으로써 슬래브(200)의 하차와 상기 브래킷(300) 위로의 슬래브(200) 인양 및 거치를 수행한다.
상기 슬래브 고정기(17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이치 빔(171)과 해당 에이치 빔(171)의 4개 모서리 부분과 슬래브(200)의 4개 모서리 부분을 연결구(예컨대, 아이볼트, 케이블 고정 클립 등)를 활용하여 1대1 대응으로 연결하는 케이블(17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다른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도 9는 경사 터널 내부에서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20)이 경사면을 따라 올라가면서 이동하게 하는 풀링 윈치(180)를 사용하는 실시예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가설장치(100)는 상기 한 쌍의 전방 이동장치(140)와 한 쌍의 후방 이동장치(150)에 의해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20)이 경사면(예컨대, 경사도 10°이상의 경사면)을 따라 올라가면서 이동하기 어려운 경우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연결된 풀링 케이블(181)을 권취하여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20)이 경사면을 따라 올라가면서 이동하게 하는 풀링 윈치(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서는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설치된 풀링 윈치(180)가 경사 터널의 일측에 고정된 풀링 케이블(181)을 권취하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으나, 반대로 경사 터널의 일측에 풀링 윈치(180)를 고정하고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연결된 풀링 케이블(181)을 권취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가설장치(100)는 슬래브(200) 하차와 인양 및 거치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래브 가설장치(100)는 트레일러에 의해 운반된 슬래브(200)를 하차할 수 있다.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래브 가설장치(100)는 트레일러에서 슬래브(200)를 하차한 다음 해당 슬래브(200)가 가설되는 구조물의 벽체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되는 한 쌍의 슬래브 가설용 브래킷(300) 위로 인양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래브 가설장치(100)는 상기 브래킷(300) 위로 인양하여 회전시킨 슬래브(200)의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브래킷(300) 위에 걸려 안착되게 하여 해당 슬래브(200)를 브래킷(300) 위에 거치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일러로 운반된 슬래브를 크레인으로 인용하여 가설하는 경우에는 크레인의 켄틸레버 형태 리프팅 팔(ARM) 길이 구조로 인하여 예컨대, 5톤의 슬래브를 들어 올릴 때 50톤 용량의 크레인이 필요하게 된다. 이것을 크레인 용량의 증가 뿐만 아니라 기계의 장시간 사용 시 크레인 수평 팔에 무리를 야기시킨다.
하지만,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가설장치(100)가 슬래브(200)를 수직으로 인양하면 기존 크레인으로 슬래브를 인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볼 때 100%의 인양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 가설장치(100)를 이용한 슬래브 가설 과정을 도 12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의 1단계에서는 상기 슬래브 가설장치(100)가 실내(예컨대, 지하차도의 내부 또는 터널의 풍도슬래브 가설지점 혹은 터널의 중간슬래브 가설지점 등)에서 크레인 또는 백호우 등에 의해 슬래브(200) 가설용 브래킷(300) 위에 최초 거치된다.
도 12의 2단계에서는 상기 슬래브 가설장치(100)의 슬래브 가설 윈치(160)가 지하차도의 내부 또는 터널 등의 실내로 진입한 트레일러로 운반된 슬래브(200)의 상면에 배치된 상기 슬래브 고정기(170)와 연결된 케이블(161)로 슬래브(200)를 고정하여 인양을 준비한다.
도 12의 3단계에서는 상기 슬래브 가설 윈치(160)가 상기 슬래브 고정기(170)와 연결된 케이블(161)을 권취하여 슬래브(200)를 수직 인양하여 트레일러로부터 하차시킨다.
도 12의 4단계에서는 상기 슬래브 가설 윈치(160)가 수직 인양한 슬래브(200)를 회전시켜 상기한 한 쌍의 슬래브(200) 가설용 브래킷(300)의 폭 방향으로 위치를 변경한다.
도 12의 5단계에서는 상기 슬래브 가설 윈치(160)가 상기 한 쌍의 브래킷(300) 위로 인양하여 회전시킨 슬래브(200)의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브래킷(300) 위에 걸려 안착되게 하여 해당 슬래브(200)를 브래킷(300) 위에 거치한다.
도 12의 6단계에서는 상기한 1단계 내지 5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슬래브 가설 작업을 완료한다.
한편,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래브 가설 작업이 수행되는 도중에, 상기 슬래브 가설 장치(100)의 이동로가 곡선부에 형성되는 경우, 도 13에서 7단계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20)의 각각 직선부(111,121)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도 13에서 8단계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130)을 착탈하는 작업을 통해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슬래브(200)를 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13에 나타낸 7단계 혹은 8단계는 상기한 1단계 내지 6단계가 수행된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고, 상기한 1단계 내지 6단계가 수행되는 도중에 수행될 수도 있다.
100: 슬래브 가설장치 110: 전방 프레임
111: 직선부 112: 경사부
120: 후방 프레임 121: 직선부
122: 경사부 123: 고리 프레임
130: 연결 프레임 140: 전방 이동장치
141: 회전체 142: 완충부재
150: 후방 이동장치 151: 회전체
152: 완충부재 160: 슬래브 가설 윈치
161: 케이블 170: 슬래브 고정기
171: 에이치 빔 172: 케이블
180: 풀링 윈치 181: 풀링 케이블
200: 슬래브 300: 브래킷

Claims (10)

  1. 직선부(111)의 양측 단부에 슬래브(200)가 가설되는 구조물의 벽체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되는 한 쌍의 슬래브 가설용 브래킷(300) 위 혹은 상기 브래킷(300) 위에 기 가설된 슬래브(200) 위의 지지점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112)가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전방 프레임(110)과;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나란하게 이격되어 있고 직선부(121)의 양측 단부에 상기 브래킷(300) 위 혹은 상기 브래킷(300) 위에 기 가설된 슬래브(200) 위의 지지점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122)가 각각 연장되어 있는 후방 프레임(120);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20)을 정해진 간격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연결 프레임(130);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양측 경사부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지점에 안착된 상태에서 유선 혹은 무선 방식의 조정기에 의해 조정되어 상기 브래킷(300) 위에 가설되는 슬래브(200)의 일측 단면과 해당 슬래브(200)가 가설되는 구조물의 벽체 사이에 형성되는 이동로를 따라 상기 전방 프레임(110)을 이동시키는 한 쌍의 전방 이동장치(140);
    상기 후방 프레임(120)의 양측 경사부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지점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정기에 의해 조정되어 상기 이동로를 따라 상기 후방 프레임(120)을 이동시키는 한 쌍의 후방 이동장치(150);
    상기 연결 프레임(130)에 설치되어 케이블(161)에 연결한 슬래브(200)의 하차와 상기 브래킷(300) 위로의 슬래브(200) 인양 및 거치를 수행하는 슬래브 가설 윈치(160);
    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20)은 한 쌍의 슬래브 가설용 브래킷(300)의 폭에 맞춰 슬래브(200)를 가설하도록 각각 직선부(111,121)의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이동로가 곡선부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길이 보다 상기 후방 프레임(120)의 길이를 더 작게 함으로써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설치된 한 쌍의 이동장치(140)는 상기 브래킷(300) 위에서 상기 이동로를 따라 이동하게 하고 상기 후방 프레임(120)에 설치된 한 쌍의 후방 이동장치(150)는 상기 브래킷(300) 위에 기 가설된 슬래브(200) 위에서 이동하게 하여 해당 곡선부에서 슬래브(200) 가설 시 상기 이동장치(140,150)가 지지되는 4개의 지지점에서 곡선부를 따라 이동 시 벽체와의 간섭을 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가설장치.
  2. 직선부(111)의 양측 단부에 슬래브(200)가 가설되는 구조물의 벽체에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되는 한 쌍의 슬래브 가설용 브래킷(300) 위 혹은 상기 브래킷(300) 위에 기 가설된 슬래브(200) 위의 지지점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112)가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전방 프레임(110)과;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나란하게 이격되어 있고 직선부(121)의 양측 단부에 상기 브래킷(300) 위 혹은 상기 브래킷(300) 위에 기 가설된 슬래브(200) 위의 지지점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122)가 각각 연장되어 있는 후방 프레임(120);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20)을 정해진 간격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연결 프레임(130);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양측 경사부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지점에 안착된 상태에서 유선 혹은 무선 방식의 조정기에 의해 조정되어 상기 브래킷(300) 위에 가설되는 슬래브(200)의 일측 단면과 해당 슬래브(200)가 가설되는 구조물의 벽체 사이에 형성되는 이동로를 따라 상기 전방 프레임(110)을 이동시키는 한 쌍의 전방 이동장치(140);
    상기 후방 프레임(120)의 양측 경사부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지점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정기에 의해 조정되어 상기 이동로를 따라 상기 후방 프레임(120)을 이동시키는 한 쌍의 후방 이동장치(150);
    상기 연결 프레임(130)에 설치되어 케이블(161)에 연결한 슬래브(200)의 하차와 상기 브래킷(300) 위로의 슬래브(200) 인양 및 거치를 수행하는 슬래브 가설 윈치(160);
    로 구성되고,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20) 사이의 간격은 상기 연결프레임(130)에 의해 좁혀지거나 넓혀지도록 조절되고 상기 이동로가 곡선부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설치된 한 쌍의 이동장치(140)와 상기 후방 프레임(120)에 설치된 한 쌍의 후방 이동장치(150)가 지지되는 4개의 지지점에서 곡선부를 따라 이동 시 벽체와의 간섭을 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가설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130)은 일측 단부가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 단부가 상기 후방 프레임(120)에 착탈되거나, 일측 단부가 상기 후방 프레임(120)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측 단부가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가설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130)의 타측 단부는 상기 후방 프레임(120)의 직선부(121)에서 연직으로 형성된 후방 고리 프레임(123) 혹은 상기 전방 프레임(110)의 직선부(111)에서 연직으로 형성된 전방 고리 프레임(미도시)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가설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130)의 타측 단부는 상기 후방 고리 프레임(123) 혹은 상기 전방 고리 프레임에 삽입되어 핀 결합하여 장착되거나, 핀 결합 해제 후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가설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방 이동장치(140)와 한 쌍의 후방 이동장치(150)는 상기 지지점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정기에 의해 조정되어 상기 이동로를 따라 모터 구동 방식으로 회전체(141,151)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20)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가설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방 이동장치(140)와 한 쌍의 후방 이동장치(150)는 상기 이동로를 따라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20)을 이동시키는 도중에 상기 회전체(141,151)와 상기 슬래브(200)가 가설되는 구조물의 벽체와의 충돌 및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체(141,151) 주변에 배치되는 완충부재(142,15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가설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가설 윈치(160)는 차량으로 운반된 슬래브(200)의 상면에 배치되어 슬래브(200)를 고정하는 슬래브 고정기(170)와 연결된 케이블(161)을 권취하거나 회전시킴으로써 슬래브(200)의 하차와 상기 브래킷(300) 위로의 슬래브(200) 인양 및 거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가설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방 이동장치(140)와 한 쌍의 후방 이동장치(150)에 의해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20)이 경사면을 따라 올라가면서 이동하기 어려운 경우 상기 전방 프레임(110)에 연결된 풀링 케이블(181)을 권취하여 상기 전방 프레임(110)과 후방 프레임(120)이 경사면을 따라 올라가면서 이동하게 하는 풀링 윈치(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가설장치.
  10. 삭제
KR1020190106542A 2019-08-29 2019-08-29 슬래브 가설장치 KR102089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542A KR102089648B1 (ko) 2019-08-29 2019-08-29 슬래브 가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542A KR102089648B1 (ko) 2019-08-29 2019-08-29 슬래브 가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648B1 true KR102089648B1 (ko) 2020-03-16

Family

ID=69948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542A KR102089648B1 (ko) 2019-08-29 2019-08-29 슬래브 가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6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01211A (zh) * 2021-01-18 2021-06-04 广东水电二局股份有限公司 一种改进型二次灌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049B1 (ko) 2012-06-21 2013-02-05 지윤희 거푸집 및 레일을 이용한 교량의 상부슬래브 압출가설용 압출가설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20170109476A (ko) * 2016-03-21 2017-09-29 주식회사 홍지 풍도슬래브 인양 및 거치용 대차 및 이를 이용한 풍도슬래브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049B1 (ko) 2012-06-21 2013-02-05 지윤희 거푸집 및 레일을 이용한 교량의 상부슬래브 압출가설용 압출가설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20170109476A (ko) * 2016-03-21 2017-09-29 주식회사 홍지 풍도슬래브 인양 및 거치용 대차 및 이를 이용한 풍도슬래브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01211A (zh) * 2021-01-18 2021-06-04 广东水电二局股份有限公司 一种改进型二次灌浆装置
CN112901211B (zh) * 2021-01-18 2021-12-14 广东水电二局股份有限公司 一种二次灌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21166B2 (ja) 床版架設装置
JP5051591B2 (ja) 床版用プレキャストpc板架設装置及びその架設方法
JP4504910B2 (ja) 台車及びそれを用いた仮桟橋の架設方法
JP7193172B2 (ja) 床版架設機
JP5507383B2 (ja) 重量物架設機および重量物の架設方法
JPH0841828A (ja) 橋桁架設装置
US3970200A (en) Gantry
KR102089648B1 (ko) 슬래브 가설장치
JP5184248B2 (ja) 立体交差の施工方法
KR20170109476A (ko) 풍도슬래브 인양 및 거치용 대차 및 이를 이용한 풍도슬래브의 시공방법
JP5793062B2 (ja) トンネル施工装置、及び、トンネルの施工方法
JP2001248161A (ja) 法面への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据え付け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据え付け用の台車ならびに装置
KR101077092B1 (ko) 기존 도로의 교통 원활을 위한 트롤리를 이용하여 거더를 시공하는 방법
CN104552191A (zh) 车辆换向翻转平台
JP5027015B2 (ja) ケーブル搬送装置
JP2007321399A (ja) 線路上空構造物の構築方法及びその装置
CN111270577A (zh) 一种适用地铁地下线狭小空间和高架线跨线轨排组装机及其施工方法
CN110005437A (zh) 用于隧道内的中隔墙、其安装设备和安装方法
JP4518230B2 (ja) トンネル内での重量物設置方法
JP2768279B2 (ja) 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工法用架設ガーダー
KR102348001B1 (ko) 주행형 pc 거더 운반용 대차
JP6718392B2 (ja) コンクリート版の吊降し撤去方法
JP2023004626A (ja) 鉄道線路の敷設方法
JP2022103586A (ja) 型枠設置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型枠設置方法
CN117738466A (zh) 一种轮胎式混凝土自动布料装置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