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963B1 - 에멀젼 조성물을 활용한 발수 성능 미세구조체 제조 - Google Patents

에멀젼 조성물을 활용한 발수 성능 미세구조체 제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963B1
KR102087963B1 KR1020180149862A KR20180149862A KR102087963B1 KR 102087963 B1 KR102087963 B1 KR 102087963B1 KR 1020180149862 A KR1020180149862 A KR 1020180149862A KR 20180149862 A KR20180149862 A KR 20180149862A KR 102087963 B1 KR102087963 B1 KR 102087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ulsion
emulsion composition
water
weight
st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근
김정훈
장봉준
문수영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49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1/00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star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4Starch derivatives, e.g. crosslinked deriva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수성 전분을 함유하는 에멀전 조성물 및 이를 활용한 미세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노 또는 마이크로사이즈 에멀젼 입자를 가지는 에멀전 조성물 및 이를 활용한 항진균 및 살충 효과를 가지는 미세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에멀젼 조성물을 활용한 발수 성능 미세구조체 제조{Micro-Sized Biodegradable Structure and its Preparation Method using Emulsion Composition}
본 발명은 발수성 전분을 함유하는 에멀전 조성물 및 이를 활용한 미세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노 또는 마이크로사이즈 에멀젼 입자를 가지는 에멀전 조성물 및 이를 활용한 항진균 및 살충 효과를 가지는 미세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물성 오일 및 추출물은 수 천년 동안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어 오면서 항균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예로 에센셜 오일 자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공기 중에 산화되어 불안정한 특성이 있으며, 오일 자체로 특정 식품에 위해한 문제점을 가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에멀젼화 방법이 알려져 있지만 여전히 환경친화적이지 않아 자연에 장기적으로 남아 있거나 또는 분해되지 않아 비친화적이며, 동시에 에멀젼의 안정성이 부족하며, 장기 보관 시에 에멀젼의 크기가 증가되어 살균이나 살충하는 데에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더욱 환경 친화적인 물질을 사용해 오일을 적용하여 장기 저장안정성이 향상된 에멀젼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 2018-78751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발수성 전분을 함유하는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활용한 미세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나노 또는 마이크로사이즈 개질 전분 에멀젼 입자를 가지는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란계 전구체로 개질된 발수성 전분을 함유하여 식물성 오일을 부분적으로 캡슐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란계 전구체로 개질된 발수성 전분을 함유하는 분산성이 개선된 에멀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수성 개질 전분을 함유하는 환경 친화적이며, 항진균 및 살충 효과를 가지는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활용한 미세구조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 조성물은 발수성 개질 전분, 식물성오일 및 유화제를 함유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조성물에 있어, 상기 발수성 개질 전분은 수접촉각이 110도 이상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조성물에 있어, 상기 에멀젼 조성물 내 에멀젼 입자의 평균입경이 0.01 내지 2마이크론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조성물에 있어,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물 70 중량% 내지 99 중량%와 수접촉각이 110도 이상인 발수성 개질 전분 1 중량% 내지 30 중량%를 교반하여 분산한 수분산액에 식물성 오일을 50 중량% 내지 약 90 중량%와 1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유화제를 교반하여 유화된 에멀전을 혼합하고, 호모믹서 또는 아토마이저로 나노 또는 마이크로 크기로 에멀젼화하여 제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멀젼 조성물에 있어, 상기 발수성 개질 전분은 오르가노실록산과 전분의 반응에 의해 개질된 실란개질 전분인 것인 나노 또는 마이크로 크기의 에멀젼화하여 제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항진균용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식물성 오일 50 중량% 내지 약 90 중량%와 1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유화제를 블렌딩하여 유화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물 70 중량% 내지 99 중량%와 발수성 개질 전분 1 중량% 내지 30 중량%를 교반한 분산액의 제조단계,
상기 유화에멀젼과 상기 분산액을 혼합하고, 호모지나이저 또는 아토마이저로 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항진균용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에멀젼 조성물 내 에멀젼 입자의 평균입경이 0.01 내지 2마이크론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 항진균용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 상기 발수성 개질 전분은 오르가노실록산과 전분의 반응에 의해 개질된 실란개질 전분인 것인 나노 또는 마이크로 크기의 에멀젼화하여 제조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개질된 발수성 전분과 식물성 오일을 사용한 에멀젼 조성물은 친환경적인 물질이며 또한 에멀젼의 저장안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발수성이 우수한 개질 전분은 유화제와 작용하여 에멀젼의 분산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살진균 효과 및 장기 저장에 의해서도 훼손되지 않는 효과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활용한 미세구조체는 인체에 자극성이 없고, 피부촉감도 좋아서 농작물 등에 살포할 때, 작업자의 이물감을 느끼지도 않아서 좋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수성 개질전분, 식물성오일 및 유화제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O/W 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발수성 개질전분은 식물 오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캡슐화하는 것으로, 이를 그 자체로 또는 물로 희석하여 사용함으로써, 채소나 가축 등에 분사하여 살진균 및 방충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라서, 물 함량이 5 중량% 이하인 에멀젼 조성물을 개시한다, 상기 조성물은 식물성오일 0.05 중량% 내지 50 중량%, 발수성 개질 전분 30 중량% 내지 약 90 중량% 및 1 중량% 내지 25 중량% 양의 유화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발수성 개질 전분은 수접촉각이 110도 이상 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그 예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란화합물을 염기성 촉매의 존재 하에서 반응시켜 제조되는 수접촉각이 110도 이상인 특성을 나타내는 발수성 전분일 수 있다.
[화학식 1]
(R1O)xSi(R2)y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C10의 알킬이고, 상기 R2는 C1~C10의 알킬 및 C6~C20의 아릴에서 선택되고, 상기 아릴은 C1~C10의 알킬이 더 치환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x는 1 ~ 4이고, x+y는 4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환경 친화적이고, 향균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수-중-유 에멀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멀젼의 유상을 식물, 예를 들어, 카놀라유, 대두유, 티몰, 카르바크롤(carvacrol) 등으로부터 유래된 식물 오일을 포함한다. 식물 오일은 저장 동안 그리고 이것이 목적하는 응용에 사용되기 전에, 에멀젼으로부터 침출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오일의 장기간 안정성 및 항균 효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저장안정성이 우수한 에멀젼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식물성 오일을 에멀젼 내에서 효과적으로 고정화하여 조기 방출을 억제할 수 있는 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고, 필요할 경우,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을 물로 추가 희석하여 사용하여도 특별히 희석된 에멀젼을 장기 보관하지 않은 한, 사용기간 내에서는 안정한 에멀젼 형태를 유지하므로, 사용에서도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 조성물은 발수성 개질 전분, 식물성오일 및 유화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에멀젼에서 발수성 개질 전분은 매우 중요하다. 상기 발수성 개질 전분을 사용하는 경우, 에멀젼이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발수성 개질 전분은 오르가노실록산과 전분의 반응에 의해 개질된 실란개질 전분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수성 개질 전분은 다양한 방법으로 개질할 수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수접촉각이 110도 이상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데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오르가노실록산화합물을 염기성 촉매의 존재 하에서 반응시켜 제조되는 수접촉각이 110도 이상인 특성을 나타내는 발수성 전분일 수 있다.
[화학식 1]
(R1O)xSi(R2)y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C1~C10의 알킬이고, 상기 R2는 C1~C10의 알킬 및 C6~C20의 아릴에서 선택되고, 상기 아릴은 C1~C10의 알킬이 더 치환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x는 1 ~ 4이고, x+y는 4이다.)
제조방법의 일 예로서는 전분과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을 에탄올에 투입하고, pH 11로 조절한 후, 20시간 정도 교반하고 중화한 후 무게 변화가 없을 때까지 건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제조방법으로는 일본특허공개공보 소59-179501A 등에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조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발수성 개질 전분은 발수성이지만, 일반적으로 수성 환경에 놓일 때 분산(예를 들어, 분산이나 물리적 형태 변화)되기 시작한다. 이 성분은 목적하는 항균 활성물질을 방출하도록 하며 또한 에멀젼의 안정화에 기여한다.
상기 발수성 개질 전분은 여전히 생분해성이고, 통상의 전분인 옥수수, 찰옥수수, 밀, 수수, 벼 및 찹쌀 감자, 고구마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수성으로 개질된 것의 경우, 수 민감성을 완화하기 때문에 원인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에멀젼의 안정성을 높이고, 특히 추가 물을 이용하여 상기 에멀젼 조성물을 희석하는 경우에도 여전히 에멀젼의 안정성을 유지하여 입자의 뭉침이나 상분리 등의 현상이 나타나지 않아 좋다.
다음 본 발명의 식물성 오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물 오일은 식물로부터 추출된 오일로서 예를 들면, 대두유, 카놀라유, 허브, 이니스 오일, 로즈마리 오일, 윈터그린 오일, 라벤더 오일, 페퍼민트 오일, 발삼 오일, 멘톨 및 옥메아 오리가눔 오일 등 식물성 오일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다음 본 발명의 유화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화제는 특히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예를 들어, 거래명 트윈(TWEEN)하에 판매됨)가 식물 오일 및 발수성 개질 전분을 특별히 안정화하는 것임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와 쯔비터이온형(zwitterionic) 유화제를 1: 0:1 내지 0.5중량비로 혼합하여 조합함으로서, 특별히 에멀젼의 안정화가 더욱 증진되어 더욱 선호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쯔비터이온성(zwitterionic) 유화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레시틴,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도데실 베타인, 포스파티딜콜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성분들 외이에도 필요에 의해서, 다양한 첨가제를 에멀젼 조성물에 혼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멀젼은 장기간에 걸쳐서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서 보존제 또는 보존제계를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보존제에는 예를 들어, 알칸올, 디나트륨 EDTA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 EDTA 염, EDTA 지방산 컨주게이트(conjugate), 이소티아졸리논, 벤조산 에스테르 (파라벤) (예를 들어,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부틸파라벤, 에틸파라벤, 이소프로필파라벤, 이소부틸파라벤, 벤질파라벤, 나트륨 메틸파라벤, 및 나트륨 프로필파라벤), 벤조산, 프로필렌 글리콜, 소르베이트, 우레아 유도체 (예를 들어, 디아졸린디닐 우레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보존제에는 수톤 랩스(Sutton Labs)에 의해서 판매되는 것, 예컨대 "게르말(Germall) 115" (아미다졸리디닐 우레아), "게르말 II"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및 "게르말 플러스(Germall Plus)" (디아졸리디닐 우레아 및 요오도프로피닐 부틸카르보네이트)가 포함된다. 다른 적합한 보존제는 롬 앤 하스(Rohm & Haas)로부터 입수가능한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및 메틸이소티아졸리논의 혼합물인 카톤(Kathon) CG ; 마크스타트(Mackstat) H 66 (맥인타이어 그룹(McIntyre Group)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소재)로부터 입수가능함)이다.
또 다른 예로는 산화방지제; 착색제, 방향제, 증점제 등을 더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항진균용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식물성 오일 50 중량% 내지 약 90 중량%와 1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유화제를 블렌딩하여 유화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물 70 중량% 내지 99 중량%와 발수성 개질 전분 1 중량% 내지 30 중량%를 교반한 분산액의 제조단계, 상기 유화에멀젼과 상기 분산액을 혼합하고, 호모지나이저 또는 아토마이저로 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에멀젼 조성물 내 에멀젼 입자의 평균입경이 0.01 내지 2마이크론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발수성 개질 전분은 오르가노실록산과 전분의 반응에 의해 개질된 실란개질 전분인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이 제조방법 및 그의 희석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예를 들어, 식물 오일과 유화제를 먼저 블렌딩하여 에멀젼을 형성한다. 이때, 식물성 오일은 50 중량% 내지 약 90 중량%와 1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유화제를 블렌딩하여 유화된 에멀젼을 생산한다.
다음으로는 물 70 중량% 내지 99 중량%와 수접촉각이 110도 이상인 발수성 개질 전분 1 중량% 내지 30 중량%를 교반하여 분산한 수분산액을 제조한다.
상기 에멀젼과 수분산액의 혼합비율을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에멀젼 100중량부에 대하여 수분산액 10 내지 1000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에멀젼의 안정성을 훼손하지 않아서 좋다.
상기 에멜전을 상기 수분산액에 첨가하여 교반하고 난 후, 상온에서 5000 rpm의 호모지나이저(homogenizer)로 6시간 동안 교반 및 충돌시켜 나노사이즈 또는 마이크로사이즈의 에멀젼 입자를 가지는 에멀젼 조성물로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멀젼 입자의 크기는 0.01 내지 2마이크론, 좋게는 0.05 내지 1마이크론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항균 및 항진균 효과에 더욱 좋다.
또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사용할 때, 추가로 물을 투입하여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살진균 및 살충용으로 분사하여 사용하는 경우 물을 1배 내지 10배로 추가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생성된 에멀젼은 일반적으로 연속성 수상 내에 분산된 불연속성 유상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에멀젼은 살진균이나 살충제로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기도 하고, 그대로 로션, 크림, 젤리, 리니먼트(liniment), 연고, 샐브(salve), 오일, 폼(foam), 겔, 필름, 워시(wash), 코팅, 액체, 캡슐, 정제, 농축물 등으로 투입될 수 있다. 이들은 피부, 점막, 예컨대 입, 콧구멍, 복부, 질 등, 상처 부위, 수술 부위 등에서 미생물 또는 바이러스 집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멀젼은 부직포나 섬유질 웹에 코팅하여 상처부위나 살진균 및 살충하는 용도에 접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에멀젼 조성물을 이용하여 억제될 수 있는 미생물의 예에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시아노박테리아(cyanobacteria) 및 마이코박테리아(Mycobacteria) 와 같은 세균, 곰팡이 및 효모와 같은 진균류, 바이러스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 조성물 또는 이들의 물로 희석된 에멀젼 조성물은 사멸되는 율이 90 내지 99.999%까지 사멸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핀다.
[제조예] 발수성 개질전분의 제조
교반기, 온도계, 콘덴서를 부착한 250ℓ반응기에 상온에서 옥수수전분 20kg을 투입한다. 여기에 메틸트리메톡시실란 8kg을 에탄올 8kg과 혼합하여 투입한다. 상온에서 60분 동안 50 rpm으로 격렬하게 교반한 뒤, NaOH 수용액을 투입하여 pH를 11로 조절하였다. 이후, 50 ℃에서 20시간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뒤 중화하고 필터링하여 용액을 제거하고, 얻어진 고형분은 70 ℃로 설정된 건조기 넣어 무게 변화가 없을 때까지 건조하였다. 제조된 수지의 수접촉각은 117° 였다.
[실시예 1]
대두유 50중량%, 유화제로서 트윈80(twin 80) 50중량%를 혼합하여 교반한 에멀전을 제조한 후, 이어서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발수성 전분분말 20중량%와 물 80중량%를 혼합하여 격렬하게 교반하여 분산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분산용액에 상기 에멀젼을 투입하고, 30분동안 격력하게 기계적 교반을 한 후, 상온에서 5000 rpm의 호모지나이저(homogenizer)(T.K. Homomoxer Mark II model 2.5)를 사용하여 로 6시간 동안 교반 및 충돌시켜 평균입경이 0.85마이크론의 나노사이즈의 에멀젼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에멀젼 조성물은 상온에서 1년 동안 상분리나 뭉침 현상이 없이 안전하게 상을 유지하였다.
상기 에멸젼 조성물에 무게대비 5배의 물로 희석한 후 살진균 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생육저해환 측정 실험에 사용된 진균 Rhizopus nigricans, 효모 Sacharomyces cerev-isiae를 34 ℃에서 30 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새 액체 배지에 1백금이량을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면봉을 이용하여 균 배양용 한천평판배지에 균 희석액을 고르게 도말하고 8 mm Paper disc(Advantec, Japan) 위에 상기 에멀젼 조성물을 35 μl씩 분주한 다음 37 ℃의 incubator에서 24 시간 배양하여 Paper disc 주위에 생성된 생육저해환(Clear zone, mm)의 직경으로 살진균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생육저해환의 직경이 20mm 및 18mm로서 매우 우수한 살균능력을 보여주었다.
또한 3개월 후 동일한 실험을 한 결과 상기 직경에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비교예 1]
상기 제조예의 발수성 개질 전분을 채택하지 않고 옥수수전분을 그대로 사용하여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에멀젼조성물의 1개월 후에 에멀젼이 응집되는 현상을 보여 장기 저장성이 낮음을 알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희석한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한 직후, 생육저해환의 직경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실시예 1과 별다는 차이가 없었지만, 3개월 보관 후 생육저해환 직경을 관찰한 결과 30 내지 50% 정도 감소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발수성 개질 전분을 채택하지 않고, 이를 물로 대체하여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 에멀젼조성물의 4개월 후에 에멀젼이 응집되는 현상을 보여 장기 저장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희석한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한 직후, 생육저해환의 직경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실시예 1과 별다른 차이가 없었지만, 3개월 보관 후 생육저해환 직경을 관찰한 결과 20 내지 40% 정도 감소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표1에서 생육저해환의 지름이 작을수록 향진균 특성은 저하되며, 특정 균주에 대한 생육저해환이 없으면 그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이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질 전분을 함유하는 오일 에멀젼 조성물은 에멀젼의 안정성이 향상되고, 장기 보관 후에도 동일한 살진균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8)

  1. 수접촉각이 110도 이상인 실란 개질 발수성 전분, 식물성오일 및 유화제를 함유하는 에멀젼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 내 에멀젼 입자의 평균입경이 0.01 내지 2마이크론인 에멀젼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물 70 중량% 내지 99 중량%와 수접촉각이 110도 이상인 실란 개질 발수성 전분 1 중량% 내지 30 중량%를 교반하여 분산한 수분산액에 식물성 오일을 50 중량% 내지 90 중량%와 1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유화제를 교반하여 유화된 에멀전을 혼합하고, 호모믹서 또는 아토마이저로 나노 또는 마이크로 크기로 에멀젼화하여 제조되는 것인 에멀젼 조성물.
  5.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4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 개질 발수성 전분은 오르가노실록산과 전분의 반응에 의해 개질된 실란개질 전분인 것인 에멀젼 조성물.
  6. 식물성 오일 50 중량% 내지 90 중량%와 1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유화제를 블렌딩하여 유화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물 70 중량% 내지 99 중량%와 수접촉각이 110도 이상인 실란 개질 발수성 전분 1 중량% 내지 30 중량%를 교반한 분산액의 제조단계,
    상기 유화에멀젼과 상기 분산액을 혼합하고, 호모지나이저 또는 아토마이저로 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항균 항진균용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 조성물 내 에멀젼 입자의 평균입경이 0.01 내지 2마이크론인 항균 항진균용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 개질 발수성 전분은 오르가노실록산과 전분의 반응에 의해 개질된 실란개질 전분인 것인 나노 또는 마이크로 크기의 에멀젼화하여 제조되는 것인 항균 항진균용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80149862A 2018-11-28 2018-11-28 에멀젼 조성물을 활용한 발수 성능 미세구조체 제조 KR102087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862A KR102087963B1 (ko) 2018-11-28 2018-11-28 에멀젼 조성물을 활용한 발수 성능 미세구조체 제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862A KR102087963B1 (ko) 2018-11-28 2018-11-28 에멀젼 조성물을 활용한 발수 성능 미세구조체 제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963B1 true KR102087963B1 (ko) 2020-03-12

Family

ID=69802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862A KR102087963B1 (ko) 2018-11-28 2018-11-28 에멀젼 조성물을 활용한 발수 성능 미세구조체 제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96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319B1 (ko) * 1989-03-03 1993-02-25 내쇼날 스타치 앤드 케미칼 코포레이숀 유기실록산 함유 다당류
KR20090089392A (ko) * 2006-12-12 2009-08-21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다중 에멀젼 조성물
KR20120050592A (ko) * 2010-11-11 2012-05-21 (주)우리앤바이오 식물성 정유를 이용한 식물 병해 방제용 나노에멀션 조성물과 나노에멀션 예비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42317B1 (ko) * 2014-08-27 2016-07-25 대상 주식회사 발수성 전분의 제조방법
KR20180060146A (ko) * 2016-11-28 2018-06-07 김공수 식물 추출물의 마이크로에멀젼 및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하는 친환경 식물병해방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078751A (ko) 2016-12-30 2018-07-10 (주)나비북스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319B1 (ko) * 1989-03-03 1993-02-25 내쇼날 스타치 앤드 케미칼 코포레이숀 유기실록산 함유 다당류
KR20090089392A (ko) * 2006-12-12 2009-08-21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다중 에멀젼 조성물
KR20120050592A (ko) * 2010-11-11 2012-05-21 (주)우리앤바이오 식물성 정유를 이용한 식물 병해 방제용 나노에멀션 조성물과 나노에멀션 예비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42317B1 (ko) * 2014-08-27 2016-07-25 대상 주식회사 발수성 전분의 제조방법
KR20180060146A (ko) * 2016-11-28 2018-06-07 김공수 식물 추출물의 마이크로에멀젼 및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하는 친환경 식물병해방제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80078751A (ko) 2016-12-30 2018-07-10 (주)나비북스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12018067437B1 (pt) Produto de consumo repelente de inseto e método não terapêutico para repelir insetos ou acarídeos
Shah et al. Nanotechnology and insecticidal formulations
CN105557747A (zh) 一种稳定型农药微囊悬浮剂
JPH0412242B2 (ko)
CN102413684B (zh) 含有农药、防腐剂和未支化1,2-链烷二醇的组合物
WO2010103021A1 (de) Zusammensetzung umfassend pestizid und benzotriazol uv-absorber
JP4590149B2 (ja) 水分散性デンプンに基づく物理的形態が変更された農業用剤
JP2013526492A (ja) アルコキシ化オリゴグリセロールエステルを含むバイオサイド組成物
CN106070343B (zh) 一种含有丁香酚与芥末精油的复配组合物及应用
JP2011518777A (ja) 界面活性剤組成物
KR102087963B1 (ko) 에멀젼 조성물을 활용한 발수 성능 미세구조체 제조
JP5057791B2 (ja) 水田用除草剤
CN110495420B (zh) 一种用于防治家禽红螨的方法
TWI739727B (zh) 減少臭味之擬除蟲菊酯-有機硫代磷酸鹽調配物
KR101983021B1 (ko) 살진균/살충용 나노 에멀젼 조성물
CN1593141A (zh) 苯磺隆与氯氟吡氧乙酸混合除草制剂
CN103283766A (zh) 一种杀虫防病的悬浮种衣剂
JPWO2012115070A1 (ja) 農業用薬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5827768B2 (ja) 高濃度微量散布用殺虫組成物
US2505681A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relieving itch and killing acaridae
CN105638653A (zh) 一种45%2甲4氯异辛酯微囊悬浮剂
JP2016145177A (ja) 農園芸用乳剤およびその調製方法
KR101625599B1 (ko) 오이 흰가루병 및 오이 노균병 방제를 위한 친환경 방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651544A (zh) 一种丙溴磷和乙螨唑的杀螨组合物及配方实例
CN103766358B (zh) 防治虫害的农药悬浮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