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751A -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 - Google Patents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751A
KR20180078751A KR1020160183838A KR20160183838A KR20180078751A KR 20180078751 A KR20180078751 A KR 20180078751A KR 1020160183838 A KR1020160183838 A KR 1020160183838A KR 20160183838 A KR20160183838 A KR 20160183838A KR 20180078751 A KR20180078751 A KR 20180078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ircular
protruding
block
ad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1542B1 (ko
Inventor
고영호
Original Assignee
(주)나비북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비북스 filed Critical (주)나비북스
Priority to KR1020160183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542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18Throwing or slinging toys, e.g. flying disc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62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with clip or snap mechanisms

Abstract

본 발명은 구형 또는 반구형 블록을 별도로 제조하고 흡착부재를 별도로 제조한 다음, 블록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흡착부재를 블록에 조립식으로 간단히 장착함에 따라, 조립만으로 흡착 완구블록을 간단히 제조할 수 있는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고 원형 개방부를 가지는 반구체를 포함하고, 상기 원형 개방부에는 원형판이 조립수단의 의해 조립되고, 상기 반구체에는 하나 이상의 조립홀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홀에는 흡착부재가 관통 장착되는 반구형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Vacuum suction toy block with spherical}
본 발명은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형 또는 반구형 블록을 별도로 제조하고 흡착부재를 별도로 제조한 다음, 블록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흡착부재를 블록에 조립식으로 간단히 장착함에 따라, 조립만으로 흡착 완구블록을 간단히 제조할 수 있는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구블록은 미취할 아이들의 인지발달을 도모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놀이 도구이다. 이러한, 완구블록은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자력을 이용하여 블록들을 서로 접착시키는 자석 완구블록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리고 근래에서 블록들을 서로 흡착식으로 붙이는 흡착식 완구블록이 알려져 있다.
이에, 먼저 종래의 흡착식 완구블록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39011호의 "어린이 학습교구용 흡착 조립식 블록"(이하, "종래의 흡착 조립식 블록"이라 한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흡착 조립식 블록은 플라스틱재로 된 조립 몸체의 일단에 흡착가능하며 플렉시블한 연질의 실리콘재로 된 흡착방향전환부재가 고정되어, 상기 흡착 방향전환부재가 타 흡착대상 조립 몸체의 흡착대상 측면 또는 타 흡착대상 조립 몸체에 고정된 흡착 방향전환부재에 흡착 연결되어 연장 조립되는 어린이 학습교구용 흡착 조립식 블록으로, 상기 조립 몸체는 일정 길이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흡착 방향전환부재는 상기 조립 몸체의 일단에 일체로 고정되어 자유자재로 구부려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연장된 플렉시블한 방향전환 지지기둥과, 상기 방향전환 지지기둥의 단부에 일체로 사출 형성되어 중심부분이 가장자리에 비교하여 점차적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진공흡착오목부를 갖는 접시형상의 흡착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립 몸체는 원형 또는 사각 또는 육각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에는 상기 흡착 방향전환부재의 방향전환 지지기둥의 내측단이 일체로 이중사출 또는 열융착 성형시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요입홈이 형성된 것이다.
아울러 상기 흡착 방향전환부재는 상기 조립 몸체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연질의 산토플랜 재료로 이중사출 또는 열융착 성형된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흡착 조립식 블록은 조립 몸체의 양단에 이중사출이나 열융착을 통해 흡착 방향전환부재를 고정함으로써, 이중사출이나 열융착에 따른 공정으로 인하여 흡착 조립식 블록의 제조 단가가 올라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흡착 조립식 블록은 조립 몸체의 단부에 구비된 흡착 방향전환부재는 조립 몸체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유동되는 플렉시블한 지지기둥를 가진다.
따라서 종래의 흡착 조립식 블록들을 흡착 방향전환부재들의 흡착을 통해 수직으로 세워 적층할 경우에는 상부에 위치된 흡착 조립식 블록이 플렉시블한 지지기둥으로 인하여 휘어져 적층됨으로써, 흡착 조립식 블록들을 수직 방향의 직선으로 적층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39011호의 "어린이 학습교구용 흡착 조립식 블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형 또는 반구형 블록을 별도로 제조하고 흡착부재를 별도로 제조한 다음, 구형 또는 반구형 블록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흡착부재를 블록에 조립식으로 간단히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만으로 흡착 완구블록을 간단히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착부재를 블록에 견고하게 장착함으로써, 아이들의 흡착 완구블록을 가지고 노는 과정에서 흡착부재를 손으로 잡고 당기더라도 흡착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착부재를 구성하는 흡착구만을 블록의 외부에서 돌출되게 함으로써, 구형 또는 반구형 블록들을 수직으로 세워 적층하는 과정에서 상부에 위치된 블록들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형 또는 반구형의 블록의 외부에서 흡착체가 고정된 원형 고정링을 블록에 삽입하는 과정만을 통해 흡착부재를 보다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형 블록을 양측으로 분할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은 내부가 비어 있고 원형 개방부를 가지는 반구체를 포함하고, 상기 원형 개방부에는 원형판이 조립수단에 의해 조립되고, 상기 반구체에는 하나 이상의 조립홀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홀에는 흡착부재가 관통 장착되는 반구형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의 상기 반구형 블록이 두 개가 구비되어 두 개의 반구형 블록의 원형판이 서로 밀착되고, 하나의 상기 반구형 블록을 구성하는 원형판의 중앙에는 관통 조립홀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반구형 블록을 구성하는 원형판의 중앙에는 상기 관통 조립홀에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며 둘레에는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외주면의 외측에는 상기 관통 조립홀에 관통된 상태에서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삽입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의 상기 흡착부재(2)는 상기 조립홀에 관통 삽입되어 고정되고 중앙에는 흡착부재 장착홀이 형성되는 원형 고정링과, 상기 조립홀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관통축부를 포함하고 관통축부의 외측에는 흡착구가 형성되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흡착체와, 상기 관통축부의 내측 돌출부를 고정하는 이탈 방지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구형 또는 반구형 블록을 별도로 제조하고 흡착부재를 별도로 제조한 다음, 블록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흡착부재를 블록에 조립식으로 간단히 장착함에 따라, 조립만으로 흡착 완구블록을 간단히 제조함으로써 흡착 완구블록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이들의 흡착 완구블록을 가지고 노는 과정에서 흡착부재를 손으로 잡고 당기더라도 흡착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구성이 좀 더 향상된 흡착 완구블록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착부재를 구성하는 흡착구만을 블록의 외부에서 돌출되게 함에 따라, 블록들을 수직으로 세워 적층하는 과정에서 상부에 위치된 블록들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아이들에게 재미를 더 줄 수 있는 흡착 완구블록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형 또는 반구형의 블록의 외부에서 흡착체가 고정된 원형 고정링을 블록에 삽입하는 과정만을 통해 흡착부재를 보다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조립 생산성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형 블록을 양측으로 분할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이들에게 재미를 더 줄 수 있는 흡착 완구블록을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흡착부재를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 1c는 흡착부재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d는 흡착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e는 완구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이탈 방지수단을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을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두 개의 원형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c는 두 개의 원형판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저면도이며,
도 4c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은 내부가 비어 있고 원형 개방부를 가지는 반구체(11)를 포함하고, 상기 원형 개방부에는 원형판(12)이 조립수단(15)에 의해 조립되고, 상기 반구체(11)에는 하나 이상의 조립홀(111)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홀(111)에는 흡착부재(2)가 관통 장착되는 반구형 블록(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반구체(11)의 외면에는 무늬가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여러가지 모양이 인쇄될 수 있다.
상기 흡착부재(2)는 반구형 블록(1)에 형성된 조립홀(111)에 관통 장착되어 다수의 반구형 블록(1)들이나 다른 형상의 블록들을 흡착을 통해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흡착부재(2)는 상기 조립홀(111)에 관통 삽입되어 고정되고 중앙에는 흡착부재 장착홀(211)이 형성되는 원형 고정링(21)과, 상기 흡착부재 장착홀(211)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관통축부(221)를 포함하고 관통축부(221)의 외측에는 흡착구(222)가 형성되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흡착체(2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흡착부재(2)는 관통축부(221)의 내측 돌출부를 고정하여 흡착체(22)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고정수단(23)을 더 포함하는데, 그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원형 고정링(21)은 상기 조립홀(111)에 억지끼워맞춤을 통해 고정될 수 있고, 또는, 접착제를 통해 부착 고정될 수 있으며, 원형 고정링(21)이 내측면의 둘레에 상기 조립홀(111)에 걸리는 다수의 걸림부를 형성하여 조립홀(111)에 걸리게 고정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탈 방지 고정수단(2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체(22)의 외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축부(221)의 내측 돌출부에 관통축부(22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되는 관통홀(231)과, 상기 관통홀(231)에 양측이 돌출되게 관통되어 상기 원형 고정링(21)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이탈방지축(23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이탈 방지 고정수단(23)을 통해, 아이들의 흡착 완구블록을 가지고 노는 과정에서 흡착부재(2)를 손으로 잡고 당기더라도 흡착부재(2)가 블록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착구(2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 고정링(21)의 외부로 유동없이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축부(221)의 외측에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내측면이 상기 원형 고정링(2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확장부(223)와, 상기 확장부(223)의 외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외측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흡착부(22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흡착부(224)는 진공 흡착을 통해 흡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립수단(14)은 반구체(11)와 원형판(12)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원형판(12)의 상면 둘레에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축(151)과, 상기 반구체(11)의 내부 둘레에 상기 돌출축(151)에 삽입 고정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돌출 삽입관(15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흡착부재(2)를 구성하는 흡착구(222)만을 반구형 블록(1)의 외부에서 유동없이 돌출되게 함에 따라, 반구형 블록(1)들을 수직으로 세워 적층하는 과정에서 상부에 위치된 반구형 블록(1)들이 경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아이들에게 재미를 더 줄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형판(12)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조립홀(111)의 내측에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조립홀(111)의 직경보다 직경이 작은 반원형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반원형부(122)에는 함몰홈(123)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재(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착 완구블록은 상기 조립홀(111)의 바로 상부인 상기 반구체(11)의 내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판(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원형 고정링(21)의 내측면의 둘레에는 상기 원형 고정링(21)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함몰홈(123)과 걸림판(125)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다수의 걸림부(212)가 더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212)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판과, 돌출판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함몰홈(123)과 걸림판(125)에 걸리는 걸림턱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반구형 블록(1)의 외부에서 흡착체(22)가 고정된 원형 고정링(21)을 블록에 삽입하는 과정만을 통해 흡착부재(2)를 보다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흡착부재(2)의 조립 생산성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흡착 완구블록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착 완구블록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흡착구(222)를 서로 부착함으로써, 여러 형상의 입체 형상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반구형 블록(1)과 흡착부재(2)를 별도로 각각 제조한 다음, 반구형 블록(1)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흡착부재(2)를 반구형 블록(1)에 형성된 조립홀(111)에 조립식으로 간단히 장착함에 따라, 조립만으로 흡착 완구블록을 간단히 제조함으로써 흡착 완구블록을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이탈 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구면을 가지는 흡착 완구블록을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의 이탈 방지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축부(221)의 내측 돌출부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수평홈(233)과, 상,하부에는 상기 수평홈(233)에 삽입되는 상,하부 스프링봉(234a)(234b)이 형성되고 상,하 스프링봉(234a)(234b)의 양측에는 상,하부 스프링봉(234a)(234b)을 서로 연결하는 반원형봉(234c)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 고정링(21)의 내측에 밀착되는 스프링 고정링(234)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다른 실시예의 이탈 방지 고정수단(23)을 통해, 아이들이 흡착 완구블록을 가지고 노는 과정에서 흡착부재(2)를 손으로 잡고 당기더라도 흡착부재(2)가 블록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흡착 완구블록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흡착 완구블록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흡착 완구블록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흡착 완구블록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흡착 완구블록을 구성하는 반구형 블록(1)이 두 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두 개의 반구형 블록(1)의 원형판(12)이 서로 밀착되게 구성되어 구형상의 구면을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흡착 완구블록은 두 개의 반구형 블록(1)을 서로 회전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두 개의 반구형 블록(1) 중 하나의 상기 반구형 블록(1)을 구성하는 원형판(12)의 중앙에는 관통 조립홀(13)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반구형 블록(1)을 구성하는 원형판(12)의 중앙에는 상기 조립홀(111)에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고정되는 삽입관(14)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관(14)은 관통 조립홀(13)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둘레에는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절개부(141)가 형성되고 외주면의 외측에는 상기 관통 조립홀(13)에 관통된 상태에서 걸리는 걸림턱(142)이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구면을 가진 흡착식 완구블록은 흡착 완구블록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흡착구(222)를 서로 부착함으로써, 여러 형상의 입체 형상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구면을 가진 흡착식 완구블록은 두 개의 반구체(11)를 회전이 가능하게 서로 연결함으로써, 두 개의 반구체(11)을 회전시키는 놀이도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흡착 완구블록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흡착 완구블록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은 상기 원형판(12)의 중앙에는 조립홀(12a)이 더 형성되고, 상기 조립홀(12a)에는 흡착부재(2)가 관통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부재(2)는 상기 조립홀(12a)에 관통 삽입되어 고정되고 중앙에는 흡착부재 장착홀(211)이 형성되는 원형 고정링(21)과, 상기 흡착부재 장착홀(211)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관통축부(221)를 포함하고 관통축부(221)의 외측에는 흡착구(222)가 형성되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흡착체(22)와, 상기 관통축부(221)의 내측 돌출부를 고정하는 이탈 방지 고정수단(2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립홀(12a)의 내측 둘레에는 원통형 돌출턱이 더 형성되고, 상기 원형 고정링(21)의 내측면의 둘레에는 상기 원통형 돌출턱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다수의 걸림부(212)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걸림부(212)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판과, 돌출판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돌출턱에 걸리는 걸림턱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 방지 고정수단(2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제의 외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축부(221)의 내측 돌출부에 관통축부(22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되는 관통홀(231)과, 상기 관통홀(231)에 양측이 돌출되게 관통되어 상기 원형고정링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이탈방지축(23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의 이탈 방지 고정수단(2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축부(221)의 내측 돌출부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수평홈(233)과, 상,하부에는 상기 수평홈(233)에 삽입되는 상,하부 스프링봉(234a)(234b)이 형성되고 상,하부 스프링봉(234a)(234b)의 양측에는 상,하부 스프링봉(234a)(234b)을 서로 연결하는 반원형봉(234c)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 고정링(21)의 내측에 밀착되는 스프링 고정링(234)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면을 가지는 흡착 완구블록은 반구체(11)가 상부에 위치되게 다수의 블록들을 수직으로 세울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반구형 블록
11 : 반구체, 111 : 조립홀,
12 : 원형판, 121 : 돌출부재,
125 : 걸림판, 13 : 관통 조립홀
14 : 삽입관, 141 : 절개부,
142 : 걸림턱, 15 : 조립수단,
151 : 돌출축, 152 : 돌출 삽입관
2 : 흡착부재
21 : 원형 고정링, 211 : 흡착부재 장착홀,
212 : 걸림부, 22 : 흡착체,
221 : 관통축부, 222 : 흡착구,
223 : 확장부, 224 : 흡착부
23 : 이탈 방지 고정수단

Claims (9)

  1. 내부가 비어 있고 원형 개방부를 가지는 반구체(11)를 포함하고, 상기 원형 개방부에는 원형판(12)이 조립수단에 의해 조립되고, 상기 반구체(11)에는 하나 이상의 조립홀(111)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홀(111)에는 흡착부재(2)가 관통 장착되는 반구형 블록(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 블록(1)이 두 개가 구비되어 두 개의 반구형 블록(1)의 원형판(12)이 서로 밀착되고,
    하나의 상기 반구형 블록(1)을 구성하는 원형판(12)의 중앙에는 관통 조립홀(13)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반구형 블록(1)을 구성하는 원형판(12)의 중앙에는 상기 관통 조립홀(13)에 회전이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며 둘레에는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절개부(141)가 형성되고 외주면의 외측에는 상기 관통 조립홀(13)에 관통된 상태에서 걸리는 걸림턱(142)이 형성되는 삽입관(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면을 가지는 흡착 완구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2)는
    상기 조립홀(111)에 관통 삽입되어 고정되고 중앙에는 흡착부재 장착홀(211)이 형성되는 원형 고정링(21)과,
    상기 흡착부재 장착홀(211)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관통축부(221)를 포함하고 관통축부(221)의 외측에는 흡착구(222)가 형성되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흡착체(22)와,
    상기 관통축부(221)의 내측 돌출부를 고정하는 이탈 방지 고정수단(2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면을 가지는 흡착 완구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완구블록은
    상기 원형판(12)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조립홀(111)의 내측에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조립홀(111)의 직경보다 작은 반원형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반원형부(122)에는 함몰홈(123)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재(121)와;
    상기 조립홀(111)의 바로 상부인 상기 반구체(11)의 내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판(12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형 고정링(21)의 내측면의 둘레에는 상기 함몰홈(123)과 상기 걸림판(125)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다수의 걸림부(21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면을 가지는 흡착 완구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판(12)의 중앙에는 조립홀(12a)이 더 형성되고,
    상기 조립홀(12a)에는 흡착부재(2)가 관통 장착되며,
    상기 흡착부재(2)는 상기 조립홀(12a)에 관통 삽입되어 고정되고 중앙에는 흡착부재 장착홀(211)이 형성되는 원형 고정링(21)과, 상기 흡착부재 장착홀(211)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내측으로 돌출되는 관통축부(221)를 포함하고 관통축부(221)의 외측에는 흡착구(222)가 형성되는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흡착체(22)와, 상기 관통축부(221)의 내측 돌출부를 고정하는 이탈 방지 고정수단(23),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홀(12a)의 내측 둘레에는 원통형 돌출턱이 더 형성되며,
    상기 원형 고정링(21)의 내측면의 둘레에는 상기 원통형 돌출턱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리는 다수의 걸림부(212)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구(222)는
    상기 관통축부(221)의 외측에 외경이 확장되게 형성되어 내측면이 상기 원형 고정링(2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확장부(223)와,
    상기 확장부(223)의 외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외측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흡착부(2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 고정수단(23)은 상기 관통축부(221)의 내측 돌출부에 관통축부(22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되는 관통홀(231)과, 상기 관통홀(231)에 삽입되어 양측이 돌출되어 상기 원형 고정링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이탈방지축(2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
  8.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 고정수단(23)은 상기 관통축부(221)의 내측 돌출부의 상,하부에 형성되는 수평홈(233)과, 상,하부에는 상기 수평홈(233)에 삽입되는 상,하부 스프링봉(234a)(234b)이 형성되고 상,하부 스프링봉(234a)(234b)의 양측에는 상,하부 스프링봉(234a)(234b)을 서로 연결하는 반원형봉(234c)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 고정링(21)의 내측에 밀착되는 스프링 고정링(2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15)은
    상기 원형판(12)의 상면 둘레에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축(151)과,
    상기 반구체(11)의 내부 둘레에 상기 돌출축에 삽입 고정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돌출 삽입관(15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
KR1020160183838A 2016-12-30 2016-12-30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 KR101981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838A KR101981542B1 (ko) 2016-12-30 2016-12-30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838A KR101981542B1 (ko) 2016-12-30 2016-12-30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751A true KR20180078751A (ko) 2018-07-10
KR101981542B1 KR101981542B1 (ko) 2019-08-28

Family

ID=62915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838A KR101981542B1 (ko) 2016-12-30 2016-12-30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5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963B1 (ko) 2018-11-28 2020-03-12 한국화학연구원 에멀젼 조성물을 활용한 발수 성능 미세구조체 제조
KR20200063679A (ko) 2018-11-28 2020-06-05 한국화학연구원 발수 전분을 이용한 발포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184B1 (ko) * 1990-12-22 1993-10-15 김남규 자전공
CN2592247Y (zh) * 2002-12-18 2003-12-17 陆庭波 玩具飞碟发射器带吸盘的飞碟
KR101039011B1 (ko) 2009-06-26 2011-06-03 (주)성민전자 어린이 학습교구용 흡착 조립식 블록
CN203736857U (zh) * 2013-12-09 2014-07-30 深圳市西仁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吸盘玩具
CN205549590U (zh) * 2016-04-29 2016-09-07 永康市酷汇工贸有限公司 吸盘式架构玩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184B1 (ko) * 1990-12-22 1993-10-15 김남규 자전공
CN2592247Y (zh) * 2002-12-18 2003-12-17 陆庭波 玩具飞碟发射器带吸盘的飞碟
KR101039011B1 (ko) 2009-06-26 2011-06-03 (주)성민전자 어린이 학습교구용 흡착 조립식 블록
CN203736857U (zh) * 2013-12-09 2014-07-30 深圳市西仁博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吸盘玩具
CN205549590U (zh) * 2016-04-29 2016-09-07 永康市酷汇工贸有限公司 吸盘式架构玩具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쇼핑몰(2016.05.31.) *
중국실용신안등록공보 002592247호 (2003.12.17.) *
중국실용신안등록공보 002592247호(2003.12.17.)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963B1 (ko) 2018-11-28 2020-03-12 한국화학연구원 에멀젼 조성물을 활용한 발수 성능 미세구조체 제조
KR20200063679A (ko) 2018-11-28 2020-06-05 한국화학연구원 발수 전분을 이용한 발포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542B1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294B1 (ko) 완구 블록, 완구 블록 연결 요소 및 완구 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완구 블록 요소
KR100954429B1 (ko) 자석완구의 자석 장착구조
KR20180095077A (ko) 완구트랙용 연결부재와 완구트랙
KR101377026B1 (ko) 조립식 완구
US20150104992A1 (en) Plaything
JP2010540001A (ja) 組立玩具用チューブ連結体
KR20180078751A (ko) 구면을 가진 흡착 완구블록
WO2007021090A1 (en) Wooden block set
US20120184174A1 (en) Tube connector for assembly toy
WO2006095940A1 (en) Panel structure for magnetic toys
KR20100011328U (ko) 탈것용 조립식 완구 블록 세트
JP3210316U (ja) 溶着性ビーズ玩具用ジョイント部材
KR200389109Y1 (ko) 자성체를 이용하는 유희용구세트
KR101039011B1 (ko) 어린이 학습교구용 흡착 조립식 블록
US10286331B2 (en) Fusible toy bead joint member
KR101892183B1 (ko) 흡착 완구블록
JP2018201743A (ja) 構造体構成部材の連結構造。
KR200371786Y1 (ko) 교육용 롤러코스터
KR101250530B1 (ko) 블록교구
KR200397271Y1 (ko) 패널형 자석놀이완구
JP3175375U (ja) 組み合わせ式積木
KR101471635B1 (ko) 빨대를 이용한 조립 완구
KR20110028698A (ko) 조립 완구
CN108379856B (zh) 一种活动连接件及其具有该活动连接件的玩具
AU2017100137A4 (en) Toy Constru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