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811B1 - 금속 천장재 - Google Patents

금속 천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811B1
KR102085811B1 KR1020190028388A KR20190028388A KR102085811B1 KR 102085811 B1 KR102085811 B1 KR 102085811B1 KR 1020190028388 A KR1020190028388 A KR 1020190028388A KR 20190028388 A KR20190028388 A KR 20190028388A KR 102085811 B1 KR102085811 B1 KR 102085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bent
ceiling material
fixing parts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정
Original Assignee
디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8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45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by means of screws, bolts or clamping strips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103/00Material constitution of slabs, sheets or the like
    • E04B2103/06Material constitution of slabs, sheets or the like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금속 천장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속 천장재는, 천장 형성을 위한 천장재 설치용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천장재에 있어서, 측단부의 일부가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천장재 패널, 및 상기 천장재 패널의 측단부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들은,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공, 및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들이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을 통해 상기 천장재 설치용 구조물과 볼트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속 천장재{Metal ceiling fixture}
본 발명은 금속 천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 형성을 위한 종래의 텍스천장재 등 시공에 사용되는 기존의 경량철골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금속 천장재에서, 천장재 패널에 직접 볼트 체결시 발생할 수 있는 천장재 패널의 휘어짐이나 우그러짐 등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면서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반적으로 실내 공간의 천장을 형성하는 텍스 천장재를 대신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흡음 기능도 탁월하고 디자인까지 상대적으로 우수한 금속 천장재를 이용하여 천장을 형성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금속 천장재의 설치를 위한 종래의 방식으로는 천장재 설치용 클립 등을 구비하여 천장재 판넬을 끼우는 방식이 있는데, 이러한 방식은 결합력이 볼트를 사용한 방식에 비해 약하므로 지진 발생시 천장재가 이탈, 낙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위험이 있다. 또한 기존의 텍스 천장재 설치를 위한 경량철골구조와 별도로 설치용 클립 구조를 포함한 새로운 설비가 필요하여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그렇다고 금속 천장재를 기존의 텍스 천장재와 마찬가지로 천장재 패널과 천장재 설치용 M바에 직접 볼트를 체결하는 경우에는, 볼트 체결시 가해지는 힘에 따라 천장재 패널 자체에 휘거나 우그러지는 손상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비록 설치 자체는 클립 방식에 비해 견고할 수 있지만, 시공 후 손상된 천장재 패널로 인해 외관상 좋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천장재 설치를 수행하는 작업자가 천장재 패널이 손상되지 않도록 볼트를 수동으로 조여야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작업 효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경량철골과 천장재 설치용 M바에 직접 볼트를 이용하여 천장재를 설치하여 지진이나 진동, 충격에 강인할 수 있으면서도 공구 사용에 제한을 받지 않아 작업 효율을 높이고, 특히 볼트 체결시 천장재 패널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등록번호 10-1548905, "이탈방지를 강화한 금속천장재 고정장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금속 재질의 천장재 판넬에 절곡이 가능한 고정부를 형성하고, 고정부를 통해 볼트 체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금속 천장재의 견고하고 용이한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속 천장재는, 천장 형성을 위한 천장재 설치용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천장재에 있어서, 측단부의 일부가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천장재 패널, 및 상기 천장재 패널의 측단부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들은,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공, 및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들이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을 통해 상기 천장재 설치용 구조물과 볼트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천장재 패널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재 패널은,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공들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들은,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들이 절곡되는 경우, 각각 대응되는 체결공들과 소정 범위 내에서 중심이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들은, 각각 대응되는 체결공들에 비해 넓은 직경을 가지되, 적어도 상기 볼트가 완전히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들은, 상기 절곡부가 나머지 부분에 비해 좁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들은, 절곡된 경우 단면이 상기 체결공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가 뒤집어진 요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금속 재질의 천장재 판넬에 절곡이 가능한 고정부를 형성하고, 고정부를 통해 볼트 체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금속 천장재의 견고하고 용이한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속 천장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속 천장재의 고정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속 천장재의 설치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금속 천장재의 설치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속 천장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속 천장재의 고정부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속 천장재(1)는 천장재 판넬(100) 및 상기 천장재 판넬(100)의 측단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부(1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110)들은 상기 천장재 판넬(100)로부터 연장형성되거나, 구현 예에 따라 별도로 마련되어 상기 천장재 판넬(100)의 측면의 필요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천장재 판넬(100)이 평면으로 펼쳐진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천장재 판넬(100)은 각 측단부의 일부가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천장재 판넬(100)은 도면에 점선으로 도시된 측단부(130)의 일부가 절곡되어, 단면이 각진 ∪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천장재 판넬(100)의 측단부(130)뿐 아니라 상기 천장재 판넬(100)의 상단부, 하단부 역시 도면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단부(13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길이만큼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천장재 판넬(100)의 측단부(130) 및/또는 상기 상단부, 하단부는 각각 상기 천장재 판넬(100)에 대하여 대략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110)들 역시 절곡된 상기 측단부(130)와 같이 상기 천장재 판넬(10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예컨대, 약 90도)를 이루고 있을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어떠한 구성요소들이 서로 약 90도의 각도 또는 직각을 이루고 있다고 함은, 반드시 수치상 정확한 90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범위 내에서 직각에 가깝도록 각도를 이루고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재 판넬(100)에는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120)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20)들은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110)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110)들을 설명하면,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110)들은 상기 천장재 판넬(100)과의 연결부위에 상기 천장재 판넬(100)의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는 절곡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절곡부(112)는 상기 천장재 판넬(100)의 내측방향으로 약 90도의 각도만큼 절곡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110)들이 상기 천장재 판넬(100)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경우, 상기 금속 천장재(1)는 ㄷ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절곡부(112)는 작업자가 필요한 각도만큼 절곡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나, 작업 편의나 천장재 설치 후 외관을 위해서는 가급적 90도에 가깝도록 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110)들은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110)들은 볼트(10)를 이용하여 상기 천장재 판넬(100)을 천장재 고정설치를 위한 구조물(예컨대, M바)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볼트로 천장재를 구조물(예컨대, M바)에 고정할 때, 상기 천장재 판넬(100)에 볼트 체결을 위한 체결공을 형성하고, 천장재 판넬(100)에 볼트를 직접 체결하여 구조물(예컨대, M바)에 고정결합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볼트 체결시 상기 천장재 판넬(100)이 휘거나 우그러질 수 있어 시공완료 후 외관상 좋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천장재 판넬(100)에 볼트 체결시 천장재 판넬(100)에 손상이 가지 않을 정도로만 볼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일일이 신경을 써야하므로 작업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110)들이 상기 천장재 판넬(100)의 내측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고정부(110)에 형성되는 상기 체결공(111)을 통해 볼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작업방식과 같이 볼트를 체결하더라도 천장재 판넬(100)의 손상(휘어짐, 우그러짐 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1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정부(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일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부(112) 부분이 나머지 부분에 비해 좁게 형성되어 절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천장재 판넬(100)에 형성된 관통공(120)들은,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110)들이 절곡되었을 때 상기 체결공(111)과 그 위치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110)들이 절곡되면서 상기 금속 천장재(1)가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때, ㄷ자 형상의 상측은 상기 고정부(110)이며, ㄷ자 형상의 하측은 상기 천장재 판넬(100)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재 판넬(100)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120)을 통해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부(110)에 형성된 체결공(111)을 통해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금속 천장재(1)의 설치를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통공(120)은 적어도 볼트 머리가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20)은 볼트와 직접 맞물려 볼트와 체결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상기 천장재 판넬(10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상기 고정부(110)의 체결공(111)으로 볼트를 용이하게 체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110)가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금속 천장재(1)를 정면으로 바라본다면, 상기 관통공(120) 및 상기 체결공(111)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동심원과 유사한 형태로 보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110)가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111)과 상기 관통공(120)의 중심이 각각 서로 가급적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제 금속 천장재(1)의 제조나 현장에서 작업시 상기 고정부(110)의 절곡 정도에 따라 상기 체결공(111)과 상기 관통공(120)의 중심이 다소 어긋날 수는 있지만, 적어도 상기 관통공(120)을 지나 상기 체결공(111)이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관통공(120)을 통해 상기 체결공(111)으로의 볼트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천장재 판넬(100)을 설치하는 경우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속 천장재의 설치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속 천장재(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측단부(130)가 절곡되어 있고, 상기 측단부(130)로부터 상기 고정부(110)가 절곡부(112)를 통해 상기 천장재 판넬(100)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고정부(110)가 절곡되어 있는 경우, 상기 천장재 판넬(100)에 형성된 관통공(120)과 상기 고정부(110)에 형성된 체결공(111)은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10)가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천장재 판넬(100)의 관통공(120)을 통해 볼트(10)가 삽입, 관통되고, 이에 대응되는 고정부(110)의 체결공(111)을 통해 볼트(10)가 천장재 설치용 구조물 예컨대, M바(20)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천장재 설치용 구조물이 M바(20)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110)는 절곡되었을 때 상기 볼트(10)와 체결되는 부분 즉, 체결공(111)이 형성된 위치 부분이, 절곡된 상기 천장재 판넬(100)의 측단부(130) 높이에 비해 보다 가까운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가 도 4에 도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금속 천장재의 설치 예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10)가 절곡되어 있는 경우 체결공(111)이 형성된 일부가 뒤집어진 요철(요홈)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고정부(110)의 형상 자체가 일측이 소정 면적만큼의 요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고정부(110)의 전체적인 형상은 도 2에서 설명한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하면서, 상기 체결공(111)이 서로 직경이 다른 동심원을 이루도록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고정부(110)가 절곡되는 경우 상기 체결공(111)의 위치가 상기 천장재 판넬(100)과 보다 가깝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볼트(10)의 체결을 보다 용이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금속재질의 천장재를 설치함에 있어 볼트 체결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지진이나 진동, 충격에 천장재의 이탈이나 낙하를 보다 강인하게 방지하면서도, 볼트 체결시 발생할 수 있는 천장재 판넬(100)의 손상 또한 절곡되는 고정부(110)를 통해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이 뛰어나면서도 작업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천장 형성을 위한 천장재 설치용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는 천장재에 있어서,
    측단부의 일부가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천장재 패널; 및
    상기 천장재 패널의 측단부에 상기 천장재 패널과 별도로 소정 간격으로 상기 측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절곡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절곡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고정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들은,
    볼트가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공; 및
    하단 일부가 나머지 부분에 비해 좁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들이 절곡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을 통해 상기 천장재 설치용 구조물과 볼트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천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천장재 패널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천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재 패널은,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공들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공들은,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들이 절곡되는 경우, 각각 대응되는 체결공들과 소정 범위 내에서 중심이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천장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들은,
    각각 대응되는 체결공들에 비해 넓은 직경을 가지되, 적어도 상기 볼트가 완전히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천장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들은,
    절곡된 경우 단면이 상기 체결공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가 뒤집어진 요철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천장재.
KR1020190028388A 2019-03-12 2019-03-12 금속 천장재 KR102085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388A KR102085811B1 (ko) 2019-03-12 2019-03-12 금속 천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388A KR102085811B1 (ko) 2019-03-12 2019-03-12 금속 천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811B1 true KR102085811B1 (ko) 2020-03-06

Family

ID=69802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388A KR102085811B1 (ko) 2019-03-12 2019-03-12 금속 천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81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8851B1 (ko) * 1993-09-08 1996-07-05 박철환 건축용 외장재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KR200368280Y1 (ko) * 2004-09-06 2004-11-18 아이케이스틸 주식회사 볼트은폐식 외장패널
KR101548905B1 (ko) 2015-05-26 2015-09-01 김미성 이탈방지를 강화한 금속천장재 고정장치
KR101558865B1 (ko) * 2014-06-12 2015-10-13 주식회사 세보메탈 건축물 외장용 금속패널 및 금속패널 고정 시스템
KR20160060466A (ko) * 2014-11-20 2016-05-30 주식회사 에코스틸 천장판 및 천장판 제조방법
KR20180002398U (ko) * 2017-01-31 2018-08-08 주식회사 성광 금속재 천장패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8851B1 (ko) * 1993-09-08 1996-07-05 박철환 건축용 외장재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KR200368280Y1 (ko) * 2004-09-06 2004-11-18 아이케이스틸 주식회사 볼트은폐식 외장패널
KR101558865B1 (ko) * 2014-06-12 2015-10-13 주식회사 세보메탈 건축물 외장용 금속패널 및 금속패널 고정 시스템
KR20160060466A (ko) * 2014-11-20 2016-05-30 주식회사 에코스틸 천장판 및 천장판 제조방법
KR101548905B1 (ko) 2015-05-26 2015-09-01 김미성 이탈방지를 강화한 금속천장재 고정장치
KR20180002398U (ko) * 2017-01-31 2018-08-08 주식회사 성광 금속재 천장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6706B2 (en) Flat roof solar sensor structures and clamp
JP2013224574A5 (ko)
KR102085811B1 (ko) 금속 천장재
JP2006219879A (ja) ルーバー材の取付構造
JP6725330B2 (ja) 取付金具及び柵のビーム取付構造
JP7323920B2 (ja) 天井設置金具
KR20150003683U (ko) 와이어로프용 조이너
KR100647219B1 (ko) 건축공사용 안전펜스의 후크볼트
JP6666677B2 (ja) 耐火被覆材及び耐火被覆材を備えた柱
JP2018188913A (ja) 遮音パネルの補強金具及び遮音パネルの補強方法
JP2014058862A (ja) フェンス
JP2013159971A (ja) ソーラーパネルの取付金具
KR102291060B1 (ko) 창틀 고정형 안전망 브라켓 조립체
JP3204834U (ja) コラム切梁用親綱支柱の取付け構造
KR101810073B1 (ko) 메시 고정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메시 펜스 시공방법
JP2015151671A (ja) 押縁保持構造
JP2021101070A (ja) 環境ネット取付け部材
JP5760211B1 (ja) C形鋼用取付具
JP4431554B2 (ja) 形鋼用蛍光灯器具取付け金具
JP5427059B2 (ja) コーナ用壁パネルの取付方法及び取付構造
KR20180120503A (ko) H-빔을 이용한 방음 터널에서의 빔 결합형 루프 판넬 고정장치
JP5685332B1 (ja) 建築物用ブレース接合金具
JP5426818B2 (ja) フロアパネル固定金具
JP6801380B2 (ja) ポストと横架部材との連結構造
JP6887273B2 (ja) 改修用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