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8851B1 - 건축용 외장재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외장재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8851B1
KR960008851B1 KR1019930017948A KR930017948A KR960008851B1 KR 960008851 B1 KR960008851 B1 KR 960008851B1 KR 1019930017948 A KR1019930017948 A KR 1019930017948A KR 930017948 A KR930017948 A KR 930017948A KR 960008851 B1 KR960008851 B1 KR 960008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nd
bending
mold
bending line
exterio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7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888A (ko
Inventor
박철환
Original Assignee
박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36308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6000885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박철환 filed Critical 박철환
Priority to KR1019930017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8851B1/ko
Publication of KR950008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8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8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05Edge deburring or smoot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2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 B21D19/04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shaped as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건축용 외장재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제1도 내지 제3도는 종래의 제1실시예의 건축용 외장재의 성형공정도, 사시도 및 설치상태도.
제4도는 종래의 제2실시예의 건축용 외장재의 전개도 및 성형상태의 요부 발췌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외장재의 성형공정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마감로울러의 설치상태도.
제7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장치의 요부인 마감로울러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해 성형된 외장재의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해 성형된 다른 실시예의 외장재 전개도 및 요부 발췌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c : 건축용 외장재 19 : 절개부
18 : ㄱ자형 또는자형 절개홈 20 : 금형
30 : 마감로울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을 보호하면서 장식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건축용 외장재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공을 용이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꺽여진 부분을 성형함에 있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네모서리부에 형성되는 절개부를 용접작업을 취하지 않고서도 외장재의 각 모서리부를 마감처리(코오킹처리)시에 건물의 누수가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절곡성형에 따른 불량률이 극소화될 수 있도록 한 건축용 외장재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외장재는 임의의 크기를 갖고 제작되어서 건축물의 외벽에 단위체로써 다수매 연접하여 부착시켜 외벽표면의 보호 및 장식효과를 제공하는 목적을 갖는 바, 이러한 건축용 외장재는 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 외장재의 가장자리에는 그 가장자리에 따라 짧은 꺽여진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건축용 외장재의 제조공정을 제1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정방형의 강판(100)을 준비하고 이의 내부에 정방형의 제1절곡선(101), 제2절곡선(102)을 설정하는 작업을 취한 후 상기 강판(100)의 네모서리를 제1절곡선(101)까지 직각절개하여서 절개부(103)를 갖는 전개도(100a)를 준비한 다음, 상기 전개도(100a)에 설정된 제1절곡선(101), 제2절곡선(102)을 별도의 성형장치에 의해서 절곡성형작업에 의한 장식표면부(104), 상기 장식표면부(104)로부터 직각방향으로 후측에 절곡된 폭이 좁은 측면부분(105)과, 상기 각 측면부분(105)으로부터 대략 직각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장식표면부(104)와 평행인 면을 가진 뻗어나온 부분(106)을 형성하여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단위체인 건축용 외장재를 성형하여 오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하여 성형된 건축용 외장재는 상기 전개도(100a)에서 절개된 절개부(103)가 상기 제1절곡선(101)까지 절개되어서 장식표면부(104), 측면부분(105)을 형성하기 위한 절곡형성 작업시에 상기 제1절곡선(106)까지 연장되는 절개홈(107)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건축용 외장재는 다수매 연접하는 상태로 시공시에 네모서리에 절개형성된 절개홈(107)에서 누수발생문제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오고 있는바, 제3도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시공작업에 입각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건축용 외장재의 한쪽의 뻗어나온 부분(106)과 다른 쪽의 건축용 외장재의 뻗어나온 부분(106)을 상호 겹치게 하여 이 겹쳐진 부분을 리벳, 볼트작업 등의 결착수단을 채용하여 외벽에 부착시킨 다음 상호의 연결부분 즉, 각 외장재의 측면부분(105)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코오킹(200)을 끼워넣는 마감처리작업을 행하여 누수의 방지와 건축용 외벽에 외관처리작업을 행하게 되나 상기 각 건축용 외장재의 네모서리에 형성된 1자형 절개홈(107)이 제1절곡선(101)까지 연장되어서 연결되면서 각 꼭지점을 형성하고 있게 되어서 이 꼭지점에서의 누수가 발생된다.
결국, 이러한 누수의 방지를 위해서는 상기 꼭지점 부위의 절개홈(107)을 용접작업을 취한 후 가능했던 것으로, 이러한 용접작용은 단위체로 이루는 각 건축용 외장재의 시공작업에 따른 작업공수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고, 특히 용접열에 의한 장식표면부(104)의 열팽창으로 변형이 발생되고, 이러한 변형은 결국 건축용 외장재의 평탄도 및 외관에 심한 영향을 끼치게 되어 울퉁불퉁해지거나 비틀림 변형으로 장식효과를 근본 목적으로 하는 외장재로써의 수용가치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건축용 외장재에 있어서는 단순히 직각절개된 절개부(107)를 갖는 전개도(100a) 상태에서 절곡성형에 의하여 직각형성된 모서리부의 가압에 의한 라운딩 성형이 어렵고, 이곳의 라운딩처리를 위하여 강압적인 수단을 채택할 경우에는 직각형성된 모서리부의 성형외관이 겹치거나 찌그러질 수 밖에 없어서 외적미려감을 제공하기 위한 모서리부의 라운딩성형이 오히려 불량품의 외장재로 될 수밖에 없어서 라운딩성형작업을 채택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근래에는 이와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제4도의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91-20310호에서와 같이 전개도(100a)의 네모서리에 절개되는 상기 절개부(103)가 상기 제1절곡선(101)과 제2절곡선(102) 사이내에 위치되어 양측으로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절개홈(201,201)을 갖는형상의 절개부(200)를 형성하되 상기 제1절곡선(101), 제2절곡선(102)의 모서리는 상기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절개홈(201,201)과 같은 라운드형상으로 절곡성형에 의한 상기 측면부분(105)의 각모서리에서 상기 절개부(200)가 T형 홈(203)을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장식표면부(104), 측면부분(105), 뻗어나온 부분(105)을 형성하고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에 있어서는 상기 장식표면부(104)와 측면부분(105)을 연접하는 제1절곡선(101)에서 어느정도 이격된 상태로 네모서리에 상기 T형 홈(203)이 형성되어서 마감처리에 따른 상기 제1도의 기술과 같이 꼭지점부위의 용접작업이 필요없게 되나, 상기 제1절곡선(101), 제2절곡선(102)에 의한 네모서리의 라운드 절곡성형과정에서 상기 제1절곡선(101)의 라운드 모서리와 상기 양방의 절개홈(201)(201)을 연결하는 라운드부와의 반경차이로 프레스에 의한 동시성형(라운드성형 및 절곡성형)에는 상기 절개홈(201)(201)에 의한 반경차이를 흡수가 어느정도는 이뤄지나 강압적이고 급격한 성형에 따른 절곡부(200)의 측면부분(105)의 모서리 라운드면이 울어 평탄도 및 외적미려감을 제공할 수 없고 또한 상기 양방의 절개홈(201)(201)의 깊이와 상기 뻗어나온 부분(105)의 절단단부와의 깊이(L)차가 커서 상기 절개홈(201)(201)의 폭방향으로 벌어지는 문제점으로 절곡부분이 울어 결국 불량률이 많이 발생하여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결국, 이러한 불량품은 재활용이 불가하여 고가의 자재손실로 직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지적되었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을 보호하면서 장식효과를 표출하는 건축용 외장재로써 성형된 모서리부의 용접수단을 채택하지 않고 시공시에 곧바로 코킹처리를 행하여도 누수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절곡성형에 따른 불량률이 극소화될 수 있어 자재낭비가 최대한 방지되고 절곡부분의 평탄도 유지가 최대화되어 시공작업의 공수를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건축용 외장재의 성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외벽을 보호하면서 장식효과를 표출하는 건축물 외장재로써 외적미려감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인 모서리부의 라운딩 성형작업에도 평탄도가 변형이 오질 않고 용이하게 성형작업을 행하는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특징적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성형방법에 대하여 제4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의 성형공정에서 적용하는 바와 같이, 단위체인 정방형의 강판(10)을 구비하고 이것의 내부에 절곡을 위한 예비수단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정방형의 제1절곡선(11), 제2절곡선(12)을 설정하는 통상의 작업공정과 상기 작업공정에 의한 강판(10)의 네모서리의 각각에는 상기 제1절곡선(11)과 제2절곡선(12) 사이의 이격된 위치내에 일측으로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절개홈(19a)을 갖되 상기 절개홈(19a)의 깊이가 뻗어 나온 부분(17)을 형성하는 단부면과 근접깊이(l)차로 형성된형상의 절개부(19)를 형성한 전개도(10a)를 구비하는 공정과, 상기 작업공정에 의해 전개도(10a)가 제1절곡선(11), 제2절곡선(12)의 절곡성형작업으로 장식표면부(15), 측면부분(16), 뻗어나온 부분(17)이 형성된 외장재(10b)를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절곡공정중에 의한 외장재(10b)의 네모서리의 상기 절개부(19)의 내측에 금형(20)을 위치시킨 후 상기 금형(10)의 라운드 모서리면(20a)의 형상에 상응되는 호상으로 라운드지게 파여진 가압로울러수단(30)을 가압이동시킴에 의한 상기 절개부(19)를 금형(20)의 라운드 모서리면(20a)과 같이 성형되면서 ㄱ자형 절개홈(18)을 성형하여 완제품인 건축용 외장재(10c)를 성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인 성형장치를 첨부한 실시예 도면에 따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장치는 제6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형의 강판(10)을 절곡시켜서 장식표면부(15), 측면부분(16), 뻗어나온 부분(17)을 갖는 건축용 외장재의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가 갖는 측면부분(16)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갖으며 라운드 모서리면(20a)을 형성한 금형(20)과, 상기 금형(20)상에서 통상의 유압프레스에 연결된 유압축(31)에서형으로 설치된 가이드대(32)에 축착되어서 가압이동에 의한 상기 금형(20)의 라운드 모서리면(20a)과 상승하는 호상의 라운드홈(30a)을 형성한 마감로울러(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마감로울러(30)는 외장재(10c)를 성형함에 있어서 외장재에 형성된 측면부분(16)의 높이에 따라서 그 적용을달리한 형태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마감로울러(30)의 호상의 라운드홈(30a)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한 건축용 외장재(10c)는 측면부분(16)의 높이가 25mm-30mm로 비교적 낮으므로 제7도와 같이 마감로울러(30)를 절반으로 해서 형성할 수 있고, 건축용 외장재(10c)의 시공사양에 따른 측면부분(16)의 높이를 높이게 할 경우에는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로울러(30)에 라운드홈에 교차되는 상태로 일측 또는 양측에 V형 홈(30b)를 대칭형성하여서 상기 외장재(10c)의 외경이동거리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건축용 외장재(10c)를 성형함에 있어서,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ㄱ자형 절개홈(18)을 형성하는 절개부(19)를 반대방향으로 형성한 전개도(10a)를 상기와 같은 성형방법을 의하여 절곡후 마감로울러(30)에 의한자형 절개홈(18)을 갖도록 성형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서 제조된 건축용 외장재(10c)는 절개부(19)에 의한 장식표면부(15)의 제1절곡선(11)에서 연결되어 절곡되어진 각 측면부분(16)과, 이에 의거 형성된 네모서리부에서 성형에 의해서 형성되는 ㄱ자형 또는자형 절개홈(18)이 상기 장식표면부(15)와 측면부분(17)을 연접하는 제1절곡선(11)에서 어느 정도 이격되어서 형성되어서 용접수단을 채택하지 않고 곧바로 코오킹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용 외장재를 성형함에 있어서 모서리부의 절개홈에 용접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절개홈이 외장재의 장식표면부에서 약간 하측으로 측면부분에 성형되므로 외장재 상호 연결설치할 때 각 건축용 외장재가 장식표면부에서 약간 하측으로 측면부분에 성형되므로 외장재 상호 연결설치할 때 각 건축용 외장재가 겹쳐져 형성되는 측면부분 사이의 공간부에 곧바로 코오킹처리로서 누수의 방지효과를 동시에 마감처리 작업이 가능함을 물론 외장재의 단계별 절곡성형에서 문제되었던 평탄도 불량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여서 제품양산능력을 구유하고 외장재를 성형시키게 되므로 표면에 도장된 도장재를 벗기지 않고 동일한 평탄도를 그대로 유지하여 설치에 따른 제품의 신뢰도가 주대화되며, 더욱 이 모서리부의 라운딩처리를 행할 수 있어 외벽에 시공설치시에 보다 상층된 외적미려감을 추구할 수 있는 미려한 외장재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단위체인 정방형의 강판(10)을 구비하고 이것을 내부에 절곡을 위한 예비수단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정방형의 제1절곡선(11), 제2절곡선(12)을 설정하는 통상의 작업공정을 구비하되, 상기 강판(10)의 네모서리의 각각에는 상기 제1절곡선과 제2절곡선 사이의 이격된 위치내에 양측으로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절개홈(19a)을 갖되 상기 절개홈(19a)의 깊이가 뻗어나온 부분(17)을 형성하는 단부면과 근접깊이(l)차로 형성된또는형상의 절개부(19)를 형성한 전개도(10a)를 구비하는 공정과, 상기 전개도(10a)가 상기 제1절곡선과, 제2절곡선의 절곡성형작업으로 통상의 장식표면부(15), 측면부분(16), 뻗어나온 부분(17)이 형성된 외장재(10b)를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외장재(10b)의 상기 절개부(19)의 내측에 금형(20)을 위치시킨 후 상기 금형의 라운드 모서리면(20a)의 형상에 상응되는 호상으로 라운드지게 파여진 가압로울러수단(30)을 가압이동시킴에 의한 상기 절개부(19)를 금형(20)의 라운드 모서리면(20a)과 같이 성형되면서 ㄱ자형 절개홈 또는형 절개홈(18)이 라운드지게 성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성형방법.
  2. 정방형의 강판(10)을 절곡시켜서 장식표면부(15), 측면부분(16), 뻗어나온 부분(17)을 건축용 외장재의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가 갖는 측면부분(16)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갖으며 라운드 모서리면(20a)를 형성한 금형(20)과 통상의 유압프레스에 연결된 유압축(31)에서형으로 가이드대(32)에 축착되어서 가압이동에 의한 상기 금형(20)의 라운드 모서리면(20a)과 상응하는 호상의 라운드홈(30a)을 형성한 마감로울러(30)를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성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로울러(30)는 호상의 라운드홈(30a)이 절반만 있도록 마감로울러를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성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로울러(7)는 호상의 라운드홈(30a)에 교차되는 상태로 일측 또는 양측에 대칭되어서 V형 홈(30b)이 형성되도록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재의 성형장치.
KR1019930017948A 1993-09-08 1993-09-08 건축용 외장재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KR960008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7948A KR960008851B1 (ko) 1993-09-08 1993-09-08 건축용 외장재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7948A KR960008851B1 (ko) 1993-09-08 1993-09-08 건축용 외장재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888A KR950008888A (ko) 1995-04-19
KR960008851B1 true KR960008851B1 (ko) 1996-07-05

Family

ID=19363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7948A KR960008851B1 (ko) 1993-09-08 1993-09-08 건축용 외장재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88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811B1 (ko) * 2019-03-12 2020-03-06 디판 주식회사 금속 천장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811B1 (ko) * 2019-03-12 2020-03-06 디판 주식회사 금속 천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888A (ko) 199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1554A (en) Method of bending a laminated building panel and a corner produced thereby
US4876837A (en) Corner bead structure
KR100841227B1 (ko) 엘시디 모듈용 하우징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하우징
KR960008851B1 (ko) 건축용 외장재의 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CN101041982B (zh) 双曲面金属幕墙的装配方法
EP2197603A2 (en) Sheet of material with fluid-resistant bend controlling displacements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5943899A (en) Method of processing corners of metal panel
EP1474256B1 (en) Sheetmetal forming method
CN113982160B (zh) 一种四企口无损夹芯板包角工艺及金属幕墙防水结构
KR101046062B1 (ko) 서보모터와 차동장치를 이용한 조립식 단열 메탈 판넬 연속 제조장치
KR100889580B1 (ko) 건축용 금속패널
KR19990075039A (ko) 금속패널 제조용 금형기와 이를 이용하여 금속패널을 제조하는방법과 장치
CN110080500A (zh) 一种踢脚线的装配式阳角安装结构及安装方法
KR100287109B1 (ko) 건축용 외장재의 제조방법
CN111636602A (zh) 一种金属幕墙板的折边结构及工艺
KR960005572Y1 (ko) 건축용 외장재
JP2001150052A (ja) プレス機による追い抜き加工方法
JPH06218439A (ja) 金属パネルの製造方法
CN103790288A (zh) 瓜皮型金属屋面板的成型方法
CN203610449U (zh) 折弯装置
CN220184510U (zh) 一种劈开砖集成干挂装置
KR100207333B1 (ko) 건축용외장재의 모서리부 라운딩 성형장치
KR101245007B1 (ko) 다각형 파이프와 이형 파이프 성형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작되는 파이프
CN111069335A (zh) 一种压花扁钢管的生产方法
US20220258224A1 (en) Flange forming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a flange on a sheet metal part to reduce surface distor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61128

Effective date: 1997120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IN ENTIRETY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51013

Effective date: 20060627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1220

Effective date: 2006062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60721

Effective date: 20070118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0216

Effective date: 2007051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0517

Effective date: 200804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