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813B1 - 용접 시스템의 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용접 시스템의 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813B1
KR102084813B1 KR1020157003629A KR20157003629A KR102084813B1 KR 102084813 B1 KR102084813 B1 KR 102084813B1 KR 1020157003629 A KR1020157003629 A KR 1020157003629A KR 20157003629 A KR20157003629 A KR 20157003629A KR 102084813 B1 KR102084813 B1 KR 102084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using
welding
welding system
ca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3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4765A (ko
Inventor
마이클 앨런 새먼즈
Original Assignee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54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1Pro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24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3Combined coupling means, e.g. gas, electricity, water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1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the cable clamping being achieved by mounting the separate part on the housing of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07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stre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3Boxes split longitudinally in main cable dir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33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means urging the conductors to follow a non-straight l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83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bolts operating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conductors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는 제1 쉘(16)과 제2 쉘(18)을 포함하는 하우징(12)을 갖는 케이블 관리 시스템(10)을 포함한다. 제1 쉘(16)과 제2 쉘(18)은 하우징의 단부에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cabling)는 개구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개구의 에지는 제1 및 제2 쉘이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 둘레에서 함께 커플링될 때에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의 둘레를 둘러싼다. 크래들(28)은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의 용접 케이블을 수용한다. 케이블 클램프(30)는 용접 케이블이 크래들 내에 배치되고 케이블 클램프가 결합될 때에 용접 케이블과 결합하고 크래들과 협동하여 용접 케이블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Description

용접 시스템의 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WELDING SYSTEM CABLE MANAGEMENT}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2년 9월 7일자로 출원되었고 발명의 명칭이 "용접 케이블 보호 시스템(WELD CABLE PROTECTION SYSTEM)"이며 그 전체가 모든 목적을 위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미국 가출원 제61/698,103호의 우선권과 이익을 청구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전반적으로 용접 시스템 분야,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 시스템의 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접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용접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케이블을 포함한다. 이들 케이블은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cabling)로서 지칭될 수 있다. 이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는 함께 그룹화되어 용접 시스템용 연결 코드(umbilical cord)로서 지칭될 수 있는 것을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결 코드를 형성하는 것 등의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는 통상적으로 제어 케이블과 용접 케이블을 포함한다. 그러나,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는 용접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예컨대, 전력 공급원과 와이어 공급기) 간에 연결을 제공하기 위해 임의의 갯수의 상이한 타입의 케이블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는 용접 케이블, 제어 케이블(통신 케이블), 가스 호스, 물 호스, 또는 용접 작업에 사용되는 다른 요소 등의 상호 연결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용접 시스템의 작동 중에,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는 용접 프로세스 및 관련 환경 조건으로 인해 흔히 가혹한 환경에 노출된다. 더욱이, 케이블류는 케이블류에 의해 함께 커플링되는 시스템 구성요소들의 움직임과 관련된 물리적 응력 및 변형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다. 용접 환경과 시스템 구성요소들의 움직임 중에 인가된 응력으로 인해 케이블류가 손상될 수 있다. 사실상, 특정한 케이블의 경우에 다른 케이블보다 덜 견고하기 때문에 특히 손상되기 쉬울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의 신뢰성은 케이블의 내구성에 좌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용접 시스템용의 케이블 관리를 개선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손상으로부터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의 보호와, 유지 보수 및 수리를 위해 케이블류에 대한 용이한 엑세스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의 일부가 하우징에 의해 수용되도록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 둘레에서 함께 커플링하도록 구성되는 제1 쉘과 제2 쉘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갖는 케이블 관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제1 쉘과 제2 쉘은 하우징의 단부에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는 개구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개구의 에지는 제1 및 제2 쉘이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 둘레에서 함께 커플링될 때에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의 둘레를 둘러싼다. 크래들(cradle)은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의 용접 케이블을 수용한다. 케이블 클램프는 용접 케이블이 크래들 내에 배치되고 케이블 클램프가 결합될 때에 용접 케이블과 결합하고 크래들과 협동하여 용접 케이블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본 개시의 이점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동일한 참조 번호가 동일한 부분을 가리키는 도면을 참조하면 명백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보호 케이블 외피를 포함하는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사시도로서, 하우징은 개방되어 있고 보호 케이블 외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하우징 및 보호 케이블 외피의 사시도로서, 하우징은 폐쇄되어 있고 보호 케이블 외피와 커플링되어 있으며,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라 조개-쉘 구성을 포함하는 하우징의 사시도로서, 케이블 클램프 및 크래들 조립체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클램핑 계획을 설명하기 위해 크래들과 케이블 클램프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용접 케이블의 다양한 단면도를 포함하며,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상방을 향하는 리브형 측면을 갖는 도 3의 케이블 클램프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라 상방을 향하는 평탄한 측면을 갖는 도 3의 케이블 클램프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클램프의 강철 코어와 외부 보호층을 보여주는 도 3의 케이블 클램프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U자형 브래킷을 포함하는 회전 가능한 케이블 클램프와 커플링된 하우징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케이블 클램프로서 기능하는 U자형 브래킷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힌지형 케이블 클램프와 커플링된 하우징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의 제1 쉘과 제2 쉘 사이의 힌지가 힌지형 케이블 클램프와 힌지 핀을 공유하도록 U자형 브래킷을 갖는 힌지형 케이블 클램프와 커플링된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의 제1 쉘과 제2 쉘 사이의 힌지가 힌지형 케이블 클램프와 힌지 핀을 공유하도록 플라스틱 스트랩을 포함하는 힌지형 케이블 클램프와 커플링된 하우징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라 슬롯을 포함하고 케이블 클램프의 키 본체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 클램프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롯을 포함하는 하우징의 사시도로서, 케이블 클램프는 본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 둘레에서 커플링할 수 있는 2개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라 J-후크 구조를 포함하는 케이블 클램프와 커플링된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실시예에 따라 강철 코어와, J-후크의 아암의 일부를 형성하는 오버몰드를 도시하는 도 15의 J-후크 구조의 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보호 케이블 외피를 포함하는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사시도로서, 하우징은 플러그와 외부 쉘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보호 케이블 외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도 18은 본 실시예에 따라 내부에 배치되는 용접 케이블을 포함하는 도 17의 하우징의 단면도이며,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과 보호 케이블 외피를 포함하는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사시도로서, 하우징은 플러그와 외부 쉘을 포함하고 하우징은 보호 케이블 외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도 20은 본 실시예에 따라 용접 케이블과 내부에 배치된 다른 케이블을 포함하는 도 19의 하우징의 단면도이며,
도 21 및 도 22는 본 실시예에 따라 내부에 배치된 케이블류를 포함하고 상이한 개구 배향을 갖는 하우징의 단면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용접 시스템과 관련된 특징부에 대한 개선을 포함한다. 현재, 용접 시스템의 제어 케이블 또는 통신 케이블이 용접 시스템의 사용 중에 특히 손상되기 쉽다는 것이 알려졌다. 또한, 수리 또는 유지 보수가 요구될 때에 용접 시스템과 관련된 케이블류에 대한 보다 용이한 엑세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이 알려졌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케이블 보호를 제공하고 용접 시스템의 케이블(예컨대, 연결 코드를 형성하는 케이블류)에 대한 엑세스를 용이하게 하는 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포함한다. 예컨대, 본 실시예는 분리 가능한 하우징(예컨대, 조개-쉘 하우징)과 케이블 결합 특징부를 포함하고, 하우징과 케이블 결합 특징부는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 둘레의 보호 장벽, 케이블류에 관한 응력 관리, 및 하우징 내의 케이블류에 대한 손쉬운 엑세스를 제공하도록 협동하여 기능한다.
하우징은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 둘레에서 함께 커플링하거나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조개-쉘 배향 또는 플러그와 외부 쉘 배향의) 2개의 쉘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과 커플링되거나 일체형일 수 있는 결합 특징부는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의 용접 케이블을 포획하도록 서로 결합하게 설계된다. 결합 특징부(예컨대, 크래들 및 케이블 클램프)에 의한 (통상적으로,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의 다른 케이블보다 보다 견고한) 용접 케이블의 포획은 하우징에 관한 용접 케이블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케이블류의 움직임과 관련된 응력(예컨대, 케이블류에 의해 커플링된 시스템 구성요소들을 움직일 때에 케이블류가 걸려서 생기는 응력)을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의 일부이기도 하지만 본질적으로 하우징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보다 취약한 케이블(예컨대, 제어 케이블)보다는 용접 케이블 및 하우징에 집중시킨다. 이는 수리를 더 적게 필요로 하는 보다 견고한 신뢰성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나, 케이블류에 엑세스하는 것이 요망되면, 하우징을 간단하게 개방시킴으로써 분리 가능한 하우징이 사용자에게 케이블류에 대한 손쉬운 엑세스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예컨대 케이블류를 하우징으로부터 제거하는 일 없이 그리고 하우징을 통해 케이블을 요리조리 빼내는 일 없이 케이블류의 수리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전통적인 시스템에 비해 용접 시스템의 조립 및 유지 보수 절차를 단순화시킨다.
본 실시예는 또한 연결 시스템의 일부(예컨대, 보호 외부층)가 되도록 하우징과 그리고 케이블류 둘레에 커플링하도록 설계되는 보호 재킷 또는 외피를 포함한다. 하우징과 보호 재킷은 함께 또는 별개로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 케이블 외피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지 않는 케이블류의 보호 외부층으로서 기능한다. 이 재킷의 목적은 케이블류를 포함하는 상호 연결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모두 수용하고 보호하는 것이다. 이 재킷의 다른 목적은 시스템을 최소의 노력으로 조립하고 유지 보수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재킷은 원형 연속성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그 길이를 따라 분할된다. 이 분리는 구성요소들(예컨대, 케이블류)이 설치 전에 평탄한 자세로 재킷의 상단부 상에 놓일 수 있도록 재킷이 평탄하게 놓이게 한다. 시스템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재킷의 상단부 상에 있다면, 재킷은 하나 이상의 파스너(예컨대, 못, 스크류, 볼트, 핀 등)에 의해 관형 방식으로 폐쇄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 테이프(예컨대, 후크와 루프를 갖는 직물의 대향 피스들)와 지퍼의 조합이 파스너로서 함께 기능할 수 있다. 지퍼는 조립 속도에 일조할 수 있고, 체결 테이프는 지퍼를 용접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의 케이블류(예컨대, 용접 케이블, 제어 케이블, 가스 호스, 물 호스)를 보호하고 묶는 기능을 하는 케이블 관리 시스템(10)의 사시도이다. 케이블 관리 시스템(10)은 가혹한 용접 환경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고, 용접 시스템이 사용 중일 때에 케이블이 걸리거나 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케이블 관리 시스템(10) 내의 케이블에 인가되는 응력의 집중을 제어함으로써 용접 시스템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케이블 관리 시스템(10)은 함께 커플링하도록 설계 또는 구성되는 하우징(12)과 보호 케이블 외피(14)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접 시스템은 용접 시스템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연결시키는 다수의 케이블과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관리 시스템(10)은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로서 지칭될 수 있는 다수의 그러한 케이블과 호스를 수용하고 경로 설정하도록 설계된다. 도 1의 예시된 실시예의 케이블 관리 시스템(10)은 하우징(12)과 보호 케이블 외피(14)를 포함하고, 다른 실시예에서, 케이블 관리 시스템(10)은 단순히 하우징(12) 또는 보호 케이블 외피(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12)은 힌지(20)를 중심으로 한 조개-쉘 구조로 제1 쉘(16)과 제2 쉘(18)을 포함한다. 제1 쉘(16)과 제2 쉘(18)은 또한 하우징(12)이 제1 쉘(16)과 제2 쉘(18)을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를 중심으로 함께 고정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폐쇄될 때에 정렬하도록 구성되는 결합 특징부(22)들을 또한 포함한다. 따라서, 하우징(12)은 용접 환경의 가혹한 조건으로부터 용접 시스템의 연결 구성요소 또는 케이블류를 보호할 수 있고 미립자가 케이블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결합 특징부(22)는 하우징(12)으로부터 연장되고 하우징과 일체형인 탭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쉘(16)은 제1 쉘(16)과 제2 쉘(18)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배향(24)으로 회전될 때에 제2 쉘(18)의 탭과 일렬로 정렬하는 탭을 포함한다. 결합 특징부(22)가 서로 정렬되어 인접해 있다면, 하나 이상의 파스너(26)가 결합 특징부들을 함께 고정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의해 예시된 실시예에서, 파스너(26)는 스크류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이한 파스너(26)와 상이한 결합 특징부(22)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 특징부(22)는 파스너(26)로서 기능하는 밴드 클램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리세스를 하우징(12)의 외부에 형성하도록 서로 합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개-쉘 하우징(12)은 제1 쉘(16)과 제2 쉘(18)을 각각의 에지를 따라 커플링하는 힌지(20)를 포함한다. 하우징(12)의 이 에지는 힌지형 에지로서 지칭될 수 있다. 제2 쉘(18)에 대한 제1 쉘(16)의 안정적인 고정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각의 제1 쉘(16)과 제2 쉘(18) 상의 힌지형 에지에 대향하는 결합 특징부(2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결합 특징부(22)는 다양한 지점에(예컨대, 에지를 따라, 중앙을 따라, 그리고 하우징(12)의 외주 둘레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힌지(20)를 중심으로 제1 및 제2 쉘(16, 18) 중 하나를 회전시킴으로써 하우징(12)을 개방시키는 능력은 하우징(12) 내의 구성요소들(예컨대,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에 대한 신속하고도 간단한 엑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하우징(12)은 강성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고 플라스틱, 금속, 금속 합금, 다른 적절한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의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쉘(16, 18)이 폐쇄 형태에 있을 때에 제1 및 제2 쉘(16, 18)의 기하학적 형태와 하우징(12)의 관련된 내부 용적은 하우징이 변형 없이 복수 개의 케이블류를 밀폐시키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용접 케이블을 하우징(12)에 본질적으로 커플링시키는 방식으로, 용접 케이블을 변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접 케이블은 통상적으로 견고한 케이블로서 고려되고 하우징(12)을 이용하여 케이블류의 움직임과 관련된 응력이 용접 케이블에 집중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사실상, 하우징(12)은 하우징(12) 내에 배치되는 케이블류의 움직임과 관련된 응력이 케이블류의 덜 견고한 구성요소가 아니라 용접 케이블과 하우징(12) 상에 집중되도록 용접 케이블과 결합하여 용접 케이블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함께 기능하는 크래들(28)과 케이블 클램프(3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힘을 용접 케이블에 전달함으로써, 보다 취약한 제어 케이블이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용접 시스템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크래들(28)은 제2 쉘(18)과 일체형이고 케이블 클램프(30)는 하우징(12)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별개의 구성요소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크래들(28) 및/또는 케이블 클램프(30)는 하우징(12)의 일체형 구성요소 또는 하우징(12)과 협동(예컨대, 커플링)할 수 있는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크래들(28) 또는 케이블 클램프(30)가 제1 또는 제2 쉘(16, 18) 중 하나와 일체형일 때에, 특징부들은 몰딩 프로세스를 통해 단일 피스로서 제조될 수 있다. 크래들 및 케이블 클램프의 기하학적 형태는 용접 케이블을 수용하고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슬롯, 노치, 트렌치, 채널, 리세스 등과 유사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크래들(28)은 제2 쉘(18)로부터 하우징(12)이 폐쇄 형태(24; 도 2)로 있을 때에 하우징(12)의 내부 용적이 되는 것으로 연장된다. 케이블 클램프(30)는 양면을 이용할 수 있는 브래킷(32)을 포함하고 양측에 비대칭 연장부(34)를 포함한다. 연장부(34)의 비대칭은 브래킷(32)이 원하는 커플링 효과에 따라 상이한 배향으로 설치되게 한다. 예컨대, 연장부(34)는 비교적 작은 용접 케이블을 고정시키도록 크래들(28)을 향해 더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의 예시된 실시예에서, 브래킷의 상부측 상의 연장부(34)는 브래킷의 하부측 상의 연장부(34)보다 짧다. 따라서, 케이블 클램프(30)가 도 1에 예시된 배향으로 설치되면, 반대 배향으로 설치되는 것보다 비교적 작은 용접 케이블을 보다 양호하게 고정하도록 된다.
케이블 클램프(30)와 크래들(28)을 이용하여 용접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본 실시예는 케이블 클램프(30)와 크래들(28)을 용접 케이블을 중심으로 함께 압박하는 특징부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크래들(28)은 케이블 클램프(30)의 결합 특징부(42)와 정렬하여 도 1의 스크류를 포함하는 파스너(44)를 통해 케이블 클램프(30)를 크래들(28)에 고정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설계되는 결합 특징부(4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이한 고정 메카니즘 및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케이블 클램프(30)와 크래들(28)은 하우징(10)이 폐쇄 배향(24)에 있을 때에 용접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해 협동하도록 서로에 관해 [예컨대, 하우징(10)의 일체형 구성요소로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케이블 클램프(30) 및/또는 크래들(28)은 크래들(28)과 케이블 클램프(30) 사이에 용접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서가 아니라) 케이블 관리 시스템(10)의 상이한 특징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파스너 또는 스크류(44)는 용접 케이블 둘레에서 크래들(28)과 케이블 클램프(30)의 결합을 강화시키도록 조여질 수 있다.
도 1에 의해 예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12)은 다른 특징부에 대한 하우징(12)의 커플링을 용이하게 하는 기하학적 특징부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2 쉘(18)은 전력 공급원 또는 와이어 공급기 등의 용접 시스템 구성요소에 대한 하우징(12)의 커플링을 용이하게 하는 결합 특징부(48; 예컨대, 장착판을 관통하는 홀)를 포함하는 장착판(46)을 포함한다. 장착판(46)은 하우징(12)의 길이에 대해 수직 배향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는 하우징(12)의 길이에 대해 평행 배향이고 하우징(12)의 다른 부분에 커플링되거나 일체형인 하나 이상의 장착판을 포함한다. 또한, 결합 특징부(48)는 홀로서 예시되어 있지만, 결합 특징부(48)는 연장부, 스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은 통로 또는 개구를 제공하는 기하학적 특징부를 포함하는데, 이 통로 또는 개구를 통해 케이블류가 하우징(12) 밖으로 연장되거나 하우징(12) 내로의 엑세스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장착판(46)은 하우징(12)의 내부 용적에 대한 엑세스 또는 케이블류가 하우징(12) 밖으로 연장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도록 하우징이 폐쇄 배향(25)에 있을 때에 제1 쉘(16)의 대응하는 곡선부 또는 리세스(52)와 협동하는 개구(50)를 포함한다. 하우징(12)이 폐쇄 배향에 있을 때에, 개구(50)의 에지는 제1 및 제2 쉘(16, 18)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형성된다. 이 개구(50)는 케이블류가 하우징(12) 밖으로 연장되게 하거나 커플링 특징부가 하우징(12) 내의 케이블류와 커플링하도록 하우징(12) 내로 연장되게 할 수 있다.
도 1의 하우징(12)의 각 단부는 개구와 커플링 특징부를 제공하는 기하학적 특징부를 포함한다. 장착판(46)과의 단부가 개구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쉘(16, 18)이 함께 커플링되어 케이블류가 연장될 수 있는 다른 개구(58)의 에지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쉘(16, 18)이 결합될 때에, 실질적으로 원형 개구(58)가 형성된다. 사실상, 커플링된 제1 및 제2 쉘(16, 18)은 개구(58)를 포함하는 포트 구조체(60)로서 지칭될 수 있는 것을 형성한다. 더욱이, 포트 구조체(60)는 이 포트 구조체(60)의 외주를 따른 채널(62)을 포함하는데, 이 채널은 보호 케이블 외피(14)에 대한 하우징(12)의 커플링을 용이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보호 케이블 외피(14)는 채널(62)의 한쪽 또는 양쪽 립(64) 위를 지날 수 있어, 밴드 클램프(66)가 보호 케이블 외피(14)와 하우징(12) 둘레에 그리고 채널(62) 내에 커플링되어 하우징(12)과 보호 케이블 외피(14)를 함께 고정시킬 수 있다. 보호 케이블 외피(14)는 포트 구조체(6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원위 단부(70)에 슬릿(68)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호 케이블 외피(14)는 임의의 타입의 클램프, 억지 끼워맞춤, 접착제, 기타 방법,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하우징(12)에 커플링될 수 있다. 전술한 방식으로의 보호 케이블 외피(14)와 하우징(12)의 결합은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 둘레에서의 실질적인 시일을 제공할 수 있고, 이는 용접 환경으로부터의 추가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보호 케이블 외피(14)와 하우징(12)은 도 2에서 밴드 클램프(66)에 의해 함께 커플링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보호 케이블 외피(14)를 케이블류 둘레에 그리고 하우징(12)과 커플링함으로써, 보호 케이블 외피(14)는 케이블류의 움직임과 관련된 응력을 부분적으로 흡수하고 응력을 하우징(12)에도 물론 전달할 수 있다. 보호 케이블 외피(14)는 또한 용접 시스템의 구성요소들 사이(예컨대, 전력 공급원과 와이어 공급기 사이)의 길이를 따라 구조화된 배열로 연결 구성요소들 또는 케이블류를 폐쇄함으로써 추가 보호 및 접근성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호 케이블 외피(14)는 하우징(12) 외측의 케이블류를 환경 조건으로부터 보호하고 수리, 유지 보수, 설치 등을 위한 접근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보호 케이블 외피(14)는 두꺼운 천, 고무, 가요성 플라스틱, 다른 적절한 재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케이블 외피(14)의 재료는 내부 케이블류를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특별한 용접 환경을 위해 특별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류에 엑세스할 수 있도록, 보호 케이블 외피(14)의 재료는 그 단면의 원형 연속성을 분리시키는 슬릿(80)(예컨대, 선형 분리 또는 나선형 분리)을 그 축방향을 따라 포함할 수 있다. 슬릿(80)은 보호 케이블 외피(14)이 조립 목적을 위해 평탄하게 놓이게 할 수 있다. 보호 케이블 외피(14)는 슬릿(80)을 폐쇄하도록, 지퍼(82), 체결 테이프(예컨대, 후크와 루프 재료)(84), 버튼, 스냅, 끈, 죔쇠, 클램프, 기타 방법,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합할 수 있다. 그러한 폐쇄 방법은 슬릿(80)을 따라 타이트한 시일을 제공하고 미립자 및/또는 열이 케이블류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거된 시스템 구성요소들과 방법은 용접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및/또는 조립 중에 보호 케이블 외피(14) 내의 케이블류에 대한 용이한 엑세스(예컨대, 공구를 필요로 하는 일 없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케이블 관리 시스템(10)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에 의해 예시된 실시예에서, 하우징(10)은 힌지(20)를 중심으로 한 조개-쉘 구조로 제1 및 제2 쉘(16, 18)을 포함한다. 또한, 도 3에 예시된 실시예는 제2 쉘(18)의 일체형 구성요소로서의 크래들(28)과, 크래들(28)과 커플링되도록 구성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로서의 케이블 클램프(30)를 포함한다. 도 3의 크래들(28)과 케이블 클램프(30)는 도 1의 대응 부품에 대해 상이한 기하학적 특징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3에 의해 예시된 실시예는 도 1에 의해 예시된 실시예에 대해 상이한 클램핑 계획을 제공한다.
다양하고 상이한 클램핑 계획이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라 채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다양하고 상이한 클램핑 계획을 채용하는 크래들(28)과 케이블 클램프(30)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용접 케이블(100)을 예시한다. 제1 클램핑 계획(102)에서, 크래들(28)과 케이블 클램프(30)의 직접 대향하는 벽, 치형부 또는 리브(104)가 용접 케이블(100)의 외부를 변형시켜 파지 결합을 생성한다. 이는 용접 케이블 둘레의 외피를 변형시키거나 약간 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클램핑 계획(110)은 제1 클램핑 계획(102)과 유사하지만, 직접 대향하는 구조가 아니라 오프셋 구조의 치형부 또는 리브(104)를 포함한다. 제3 클램핑 계획(114)은 크래들(28)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경계 바로 외측에서 케이블 클램프(30)와 정렬되는 벽, 치형부, 또는 리브(104)를 포함한다. 이 제3 클램핑 계획은 용접 케이블(100)의 외피의 변형 및 잠재적으로 약간의 천공을 유발하고 또한 용접 케이블(100)의 고정시키도록 용접 케이블(100)의 약간의 굽힘을 유발할 수 있다. 제4 클램핑 계획(120)은 제3 클램핑 계획(114)과 유사한 구조를 포함하고, 벽, 치형부, 또는 리브(104)가 케이블 클램프(30)의 경계의 약간 더 외측으로 정렬된다. 이는 제3 클램핑 계획(114)과 관련된 변형 정도 없이 용접 케이블(100)이 클램핑 계획에 합치하게 한다. 이들은 단순히 예시적이고 다른 계획이 또한 본 실시예에 따라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다시, 도 3에 예시된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면, 도 3의 크래들(28)은 하우징(12)의 내부 용적 내로 연장되고 측벽(132)에 의해 경계를 이루는 [요소(104)와 같은] 일련의 벽(130)을 포함한다. 이들은 용접 케이블과 결합하여 하우징(12)에 대한 용접 케이블의 움직임에 저항하도록 케이블 클램프(30)[예컨대, 케이블 클램프(30)의 리브]와 협동한다. 더욱이, 벽(130, 132)은 크래들(28)을 획정하고 크래들(28)에 인접한 용적은 (고정된 용접 케이블과는 대조적으로) 하우징(12)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케이블류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케이블 클램프(30)의 사시도를 포함하는 도 5 및 도 6에 가장 잘 예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클램프(30)는 양면을 이용할 수 있고 상이한 크기의 용접 케이블과 커플링하도록 비대칭의 기하학적 특징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예시된 리세스형 리브(140)는 보다 큰 용접 케이블을 수용하는 기능을 할 수 있고, 도 6에 예시된 평탄한 표면(142)은 보다 작은 용접 케이블과 결합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리브(140)가 또한 케이블 클램프(30)를 강화시키는 것과 관련된 구조적 목적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그러나, 케이블 클램프(30)의 다른 특징이 강도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7은 플라스틱 코팅(146)이 둘레에 배치되는 강철 코어(144)를 예시하는 도 3의 케이블 클램프의 단면도를 제공한다. 다수의 상이한 재료를 대표할 수 있는 강철 코어(144)는 케이블 클램프(30)를 강화시키고 용접 케이블에 대해 타이트하게 압박될 때에 케이블 클램프(30)의 변형에 저항할 수 있다. 다수의 상이한 코팅 재료를 대표할 수 있는 플라스틱 코팅(146)과 관련하여, 플라스틱 코팅은 타이트하게 결합될 때에 용접 케이블의 손상에 저항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8은 힌지(2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제1 및 제2 쉘(16, 18)의 조개-쉘 구조를 갖는 하우징(12)을 포함하는 케이블 관리 시스템(10)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크래들(28)은 도 3에 예시된 실시예와 같은 벽(130, 131)을 포함한다. 도 8은 도 8에서 참조 번호 300으로 지시한, 크래들(28) 근처의 용적을 보다 잘 예시한다. 이 용적(300)은 하우징의 내부 용적 내의 제한되지 않은 용적(300)일 수 있다. 이 용적(300)은 크래들(28)과 케이블 클램프(30)에 의해 결합되는 것과 대조적으로 하우징(12) 내에서 본질적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케이블류를 수용하게 설계된다. 도 8은 또한 이전에 논의된 실시예에 비해 케이블 클램프(30)의 상이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사실상, 도 8의 케이블 클램프(30)는 크래들(28) 내에 용접 케이블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가 케이블 클램프(30)를 제2 연결점(304)에 보다 쉽게 고정시키게 하도록 제1 연결점(302) 둘레에서 회전될 수 있는 금속 브래킷을 포함한다. 도 8의 케이블 클램프(30)는 또한 실질적으로 U자형이기 때문에 상이하다. 이는 도 8의 케이블 클램프(30)의 단면도인 도 9에 보다 잘 도시되어 있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 U자형 금속 브래킷은 양면을 이용할 수 있고 작거나 큰 용접 케이블과 결합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케이블 클램프(30)가 도 8에 도시된 배향으로 사용될 때에, 보다 작은 용접 케이블과 커플링할 수 있고, 거꾸로 된 경우에는 보다 큰 용접 케이블을 수용하게 된다.
도 10은 케이블 관리 시스템(10)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는 도 8에 예시된 실시예와 훨씬 유사하다. 도 8에 예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케이블 클램프(30)는 실질적으로 U자형 단면을 포함한다. 그러나, 제1 연결점(302) 둘레에서 회전하기 보다는, 케이블 클램프(30)는 케이블 관리 시스템(10)의 다른 특징부와의 회전 가능한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용접 케이블을 하우징(12) 내에 고정시키도록 하우징(12) 내에 설치될 수 있는 힌지(402)와 힌지판(404)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케이블 클램프(30)는 힌지판(404)의 결합 특징부(406), 케이블 클램프(30)의 브래킷부(410)의 결합 특징부(408), 및 파스너(44)를 통해 하우징(1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의 케이블 클램프는 또한 상이한 크기의 용접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역전되거나 거꾸로 될 수 있다. 예컨대, 참조 번호 412는 도 10의 하우징(12) 내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 클램프(30)의 역전된 버전을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클램프(30)는 하우징(12)과 동일한 힌지(20)를 공유할 수 있다. 사실상,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20)의 힌지 핀(414)은 제1 및 제2 쉘(16, 18)의 배럴(416) 및 케이블 클램프(30)의 배럴(418)을 통과할 수 있다. 도 11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케이블 클램프(30)는 힌지 핀(414)과 배럴(418)의 커플링을 용이하게 하도록 브래킷부(410)로부터 연장되는 목부(420)를 포함한다. 그러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클램프(30)는 상이한 형상 및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2에 예시된 케이블 클램프(30)는 배럴(418)이 일체형으로 되어 있고 브래킷부(410)를 위한 둥근 기하학적 형태를 갖는 플라스틱 스트랩을 포함한다.
도 8 및 도 10-12는 케이블 클램프(30)와 관련된 피벗 또는 힌지 특징부를 갖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그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피벗 또는 힌지 작용은 케이블 클램프(30)로부터 용접 케이블로 효율적인 힘 전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피벗 및 힌지 특징부는 크래들(28)에 대한 효율적인 엑세스를 가능하게 하고, 이는 유지 보수, 설치, 수리 등을 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가 또한 효율적인 힘 전달 및 효율적인 엑세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의 예가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와 유사한 케이블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를 에시한다. 그러나, 도 12의 실시예와 같은 힌지 메카니즘을 포함하기 보다는, 도 13의 케이블 클램프(30)는 키 본체(502)를 포함하고 하우징(12)은 키 본체(502)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슬롯(504)을 포함한다. 키 본체(502)는 제1 및 제2 쉘(16, 18)을 폐쇄 형태로 위치 설정하는 것이 키 본체(502)를 슬롯(504) 내에 포획하도록 하우징(12)의 내부 용적의 상단부로 연장하는 크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 쉘(16)은 하우징(12)이 폐쇄될 때에 키 본체(502)가 슬롯(504) 밖으로 활주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클램프(30)는 용접 케이블(100) 둘레에 고정되어 용접 케이블(100)과 마찰 결합을 생성하고 크래들(28)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케이블 클램프(30)는 용접 케이블(100) 또는 용접 케이블(100)을 조이도록 파스너(44)를 통해 함께 결합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구성요소 둘레를 래핑하도록 구성되는 단일 피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에서, 케이블 클램프(30)는 용접 케이블(100) 둘레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되는 2개의 별개의 브래킷(550)을 포함한다. 일단 함께 커플링되면, 브래킷(550)은 용접 케이블(100) 및 조립된 브래킷(550)을 수용하도록 설계되는 슬롯(552)을 포함하는 크래들(28) 내로 활주될 수 있다. 슬롯(552)의 경계는 브래킷(550)과 결합하고 슬롯(552)이 브래킷(550)과 결합되어 있는 동안에 브래킷이 하우징(12)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브래킷(550)이 용접 케이블(100)을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용접 케이블(100)은 또한 하우징(12)에 대해 이동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방지된다[브래킷(550)에 대해 약간의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550)은 하우징(12)의 폐쇄로 인해 브래킷(550)이 슬롯(552)과 결합 해제하게 활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크기가 정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이한 특징부가 브래킷(550)을 슬롯(552) 내에 유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공구를 이용하는 일 없이 케이블 클램프(30)를 크래들(28)에 대해 조임으로써 용접 케이블을 하우징(12) 내에 고정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케이블 관리 시스템(10)은 용접 케이블을 케이블 클램프(30)와 크래들(28) 사이에 도구 없이 고정시키는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는 도 15에 예시되어 있고, 하우징(12)은 도 12의 하우징과 유사하다. 그러나, 도 15의 실시예에서, 케이블 클램프(30)는 J-후크를 형성하는 특징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클램프(30)는 서로를 가로질러(예컨대, 실질적으로 수직) J-후크 형상을 형성하도록 조합되는 목부(602)와 아암부(604)를 포함한다.
아암부(604)는 용접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개방 배향에서 크래들(28)의 벽(606)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용접 케이블이 크래들(28) 내에 배치되면, 아암부(604)는 용접 케이블과 크래들(28) 위에서 (화살표 607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어 케이블 클램프(30)와 크래들(28) 사이에서 용접 케이블의 결합을 개시할 수 있다. 목부(602)는 크래들(28)의 벽(606)을 따라 제2 쉘(18) 내에 형성되는 배럴(608)을 통해 연장된다. 케이블 클램프(30)의 J-후크 구성의 단면도인 도 16에 명백하게 예시된 바와 같이, 목부(602)와 아암부(604)는 만곡된 단일의 강철 인서트(612)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아암부(604)는 용접 케이블을 보호하도록 오버몰딩된 재료(예컨대, 플라스틱)(613)를 포함할 수 있고, 목부(602)는 나사부(614)를 포함하여 아암(604)을 당겨서 용접 케이블과 접촉하게 하고 나사부(614)와 결합하는 너트(618)를 (화살표 619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선회시킴으로써 케이블 클램프(30)와 크래들(28) 사이에서 용접 케이블의 결합을 조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너트(618)는 하우징(12) 외측에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너트는 하우징(12) 내의 리세스에 암나사로서 가공되어 있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는 하우징(12)의 조개-쉘 형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도 17에 예시된 케이블 관리 시스템(10)은 플러그와 외부 쉘 구조의 제1 및 제2 쉘(16, 18)을 포함한다. 사실상, 제1 쉘(16)은 외부 쉘(802)을 포함하고 제2 쉘(18)은 플러그(804)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플러그(804)는 플러그(804)의 길이를 따라 개방 채널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 개의 크래들(28)을 포함한다. 따라서, 플러그(804)는 구체적으로 특정한 갯수의 케이블을 유지하고 크래들(28)의 개방 채널을 통해 플러그(804)의 둘레를 따라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플러그(804)는 용접 케이블을 위한 단일 크래들과 복수 개의 추가 케이블을 위한 큰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용접 케이블은 참조 번호 808로 나타낸 최하부 크래들(28) 내로 활주될 수 있다. 이 특별한 크래들(808)은 예시된 실시예에서 외부 쉘(802)와 일체형인 램프 클램프(812)인 케이블 클램프(30)와 정렬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램프 클램프(812)는 외부 쉘(802)의 내벽(814)을 따라 치형 릿지를 포함한다. 램프 클램프(812)의 기어이(816)는 하우징(12)에 대한 용접 케이블의 움직임에 저항하기 위해 용접 케이블과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플러그(804) 내에 설치되는 용접 케이블(100)을 도시하는 도 18에 제공되는 단면도에 의해 더 잘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8은 플러그(804)와 외부 쉘(802)을 모두 커플링되지 않은 형태(822)와 커플링된 형태(824)로 도시한다. 커플링된 형태에서, 램프 클램프(812)는 용접 케이블(100)과 결합되고 플러그(804)와 외부 쉘(802)의 마찰 끼워맞춤에 의해 용접 케이블(100)을 향하여 압박된다. 사실상, 플러그(804)는 가요성 재료(예컨대, 고무)로 제조되고 외부 쉘(802)은 보다 강성의 재료(예컨대, 플라스틱)로 제조되거나 또는 결합시에 2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압력을 조장하는 재료들의 다른 몇몇의 조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용접 케이블(100)과 램프 클램프(812) 간의 결합은 (다수의 잠재적인 파스너를 대표하는) 밴드 클램프(66)를 외부 쉘(802) 둘레에 적용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다. 외부 쉘(802)과 플러그(804)는 밴드 클램프(66)에 의한 외부 쉘(802)과 플러그(804)의 압박을 용이하게 하는 재료와 기하학적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예시된 실시예에서, 외부 쉘(802)은 외부 쉘(802)의 축선 둘레에서의 가요성 및 축방향 압박을 조장하는 간극(830)과 리빙 힌지(832)를 포함한다. 밴드 클램프(66)가 설치될 때에, 이들 특징부는 외부 쉘(802)과 플러그(804)를 함께 추가 압박하고 램프 클램프(812)를 용접 케이블(100)과의 확실한 결합으로 압박할 수 있다. 동일한 밴드 클램프(66)가 보호 케이블 외피(14)를 하우징(12)의 포트 구조체(60)에 고정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도 19는 도 17 및 도 18에 예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케이블 관리 시스템(10)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그러나, 도 19에 의해 예시된 실시예에서, 케이블 클램프(30)는 램프 클램프(812) 대신에 나사식 인서트(88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램프 클램프(812)와 나사식 인서트(880)는 함께 채용될 수 있다. 나사식 인서트(880)는 도 20에 보다 잘 예시된 바와 같이 나사식 인서트(880)가 설치될 때에 플러그(804)의 둘레가 용접 케이블(100)과의 결합 상태로 외측을 향해 압박되도록 플러그(804)의 나사식 리셉터클(882)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0에 의해 제공되는 단면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나사식 인서트(880)의 기하학적 형태는 절두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나사식 인서트(880)가 나사식 리셉터클(882) 내로 더 전진함에 따라, (고무 등의 가요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 플러그(804)가 더 변형되고 용접 케이블(100)과 플러그 내에 배치된 다른 케이블류(890)의 결합이 더 타이트하게 된다.
보호 케이블 외피(14)의 슬릿(80) 및 하우징(12)에 대한 용이한 엑세스(예컨대, 힌지식 엑세스)는 케이블 관리 시스템(10)과 용접 시스템의 조립 전에 모든 케이블류가 설치되게 할 수 있다. 설치 프로세스는 하우징(12)을 힌지(20)를 중심으로 개방하고 크래들(28)을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용접 케이블(100)은 크래들(28)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케이블 클램프(30)는 용접 케이블 위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 클램프(30)가 양면을 이용할 수 있거나 달리 조절될 수 있다면, 적절한 결합을 용이하게 하도록 용접 케이블(100)의 크기를 기초로 하여 조절될 수 있다. 게다가, 임의의 다른 케이블류(예컨대, 제어 케이블, 가스 호스, 물 호스 등) 또는 다른 자유로운 부동 연결 구성요소가 하우징(1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1 및 도 2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어 케이블(902)은 크래들(28)의 외측에서 하우징(12) 내에 그리고 용적(300) 내에 다른 케이블류(904)와 함께 배치되어, 하우징(12)에 대해 본질적으로 자유로운 부동을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용접 케이블(100)이 크래들(28)과 케이블 클램프(30)를 통해 하우징(10)에 대해 고정될 수 있어, 용접 케이블의 움직임이 하우징(12)에 대해 제한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1 및 도 22는 상이한 개방 배향을 갖지만 크래들(28) 내에서 케이블 클램프(30)에 의해 결합되는 용접 케이블(100)을 모두 포함하고 제어 케이블(902)과 다른 케이블류(904)가 용적(300) 내에 있고 본질적으로 자유롭게 부동하는 하우징(12)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하우징(12)의 제1 및 제2 쉘(16, 18)은 파스너(26)를 통해 비힌지식 에지를 따라 결합되고 밀봉될 수 있다. 이는 실제로 하우징(12)을 밀봉하고 용접 케이블(100)을 크래들(28)과 케이블 클램프(30) 사이에 고정시키는 이중 목적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케이블류가 하우징(12)을 빠져나가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케이블 관리 시스템(10) 내에서 용접 시스템의 케이블류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동시에 또는 하우징(12) 내에 케이블류의 설치에 관한 전술한 프로세스와 관계없이, 보호 케이블 외피(14)의 길이가 케이블류를 유지하도록 측정될 수 있다. 이 측정은 보호 케이블 외피(14)가 하우징(12)의 입구[예컨대, 포트 구조체(60)]와 오버랩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측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밀봉되지 않은(예컨대, 평탄한) 배향에서, 보호 케이블 외피(14)는 케이블류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호 케이블 외피(14)는 케이블류가 보호 케이블 외피(14)의 원형 연속체 내에 밀폐되도록 그 슬릿(80)을 따라 밀봉될 수 있다. 밀봉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폐쇄 모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밀봉된(예컨대, 관형) 보호 케이블 외피(14)의 단부는 포트 구조체(60) 또는 다른 입구 위에 배치될 수 있어, 보호 케이블 외피(14)는 하우징(12)과 오버랩된다. 밴드 클램프(66) 또는 다른 클램핑 특징부는 보호 케이블 외피(14)를 하우징(12)에 커플링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 클램프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확실한 시일을 제공하여 케이블류의 오염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확실한 시일을 제공하도록 제2, 제3, 제4 또는 다른 폐쇄 모드가 보호 재킷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해 다수의 이점이 달성된다. 예컨대, 본 실시예는 통상적인 용접 시스템에서 제어 케이블 또는 다른 덜 견고한 케이블에 대한 변형을 관리함으로써 원격 와이어 공급기/제어 박스에 의한 일상적인 용접 작업에 신뢰성을 제공한다. 이는 응력/변형의 대부분을 일부 케이블보다 더 견고한 용접 케이블로 전달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제어 케이블 또는 다른 덜 견고한 케이블의 고장률이 감소된다. 또한, 단일 연결부로 결합되는 모든 케이블류의 경우, 작업 환경 내에서 케이블이 장애물에 "걸릴" 가능성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장비에 대한 손상 가능성을 더 제한한다. 다른 예로서, 본 실시예는 용이하고 효율적인 엑세스를 제공한다. 사실상, 본 실시예의 관점에서, 최종 조립 전에 변형 경감 특징부 또는 보호 재킷을 통해 구성요소, 용접 케이블, 제어 케이블, 가스 호스, 물 호스를 나사 체결할 필요는 없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형 및 대안적인 형태가 가능할 수 있지만, 특정한 실시예를 도면 및 표에 일례로 나타내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시예는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오히려, 본 개시는 아래의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변형, 균등물, 및 대안을 포함한다. 또한, 개별적인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고 있지만, 본 개시는 모든 조합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10: 케이블 관리 시스템 12: 하우징
14: 보호 케이블 외피 16: 제1 쉘
18: 제2 쉘 22, 40, 42: 결합 특징부
26: 파스너 28: 크래들
30: 케이블 클램프 32: 브래킷
50: 개구 60: 포트 구조체

Claims (20)

  1. 용접 시스템으로서,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cabling)의 일부가 하우징에 의해 수용되도록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 둘레에서 함께 커플링하도록 구성되는 제1 쉘과 제2 쉘을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쉘은 하우징의 단부에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는 상기 개구를 통해 연장될 수 있고, 개구의 에지는 제1 및 제2 쉘이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 둘레에서 함께 커플링될 때에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의 둘레를 둘러싸는 것인 하우징;
    상기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의 용접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크래들(cradle); 및
    케이블 클램프로서, 용접 케이블이 크래들 내에 배치되고 케이블 클램프가 결합될 때에 용접 케이블과 결합하고 크래들과 협동하여 용접 케이블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 클램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쉘은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쉘은 상기 플러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외부 쉘을 포함하며, 상기 크래들은 플러그의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개방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클램프는 외부 쉘로부터 연장되는 램프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나사식 인서트를 위한 리셉터클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는 크래들이 램프 클램프를 향해 변형되도록 나사식 인서트의 삽입시에 구부러지도록 구성되는 것인, 용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쉘의 에지를 제2 쉘의 에지에 커플링하는 힌지를 포함하는 것인 용접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쉘의 외측 둘레와 결합하고 외부 쉘이 플러그 둘레에 커플링되어 있는 동안에 외부 쉘을 플러그 내로 압박하도록 구성되는 밴드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인 용접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밴드 클램프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의 립부(lip portion)를 포함하는 것인 용접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은 하우징과 일체형이고, 상기 하우징은 크래들과 인접한 하우징의 용적 내에서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의 복수 개의 케이블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인 용접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클램프는 하우징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하우징의 대응하는 결합 특징부와 커플링하도록 구성되는 결합 특징부를 포함하는 것인 용접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클램프는 하우징의 힌지를 통해 하우징과 커플링되고, 상기 케이블 클램프는 용접 케이블과 결합하는 결합 형태와 용접 케이블의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하는 분리 형태 사이에서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용접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클램프는, 케이블 클램프의 제1 면을 크래들을 향해 위치 설정하는 것이 케이블 클램프의 제2 면을 크래들을 향해 위치 설정하는 것보다 크래들과 케이블 클램프 사이에 더 작은 공간을 생성하도록 양면을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인 용접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용접 시스템의 전력 공급원 또는 와이어 공급기와 커플링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의 장착판에 인접한 제1 개구와, 보호 케이블 외피와 하우징의 커플링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의 포트 구조체를 관통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것인 용접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포트 구조체 둘레에서 하우징과 커플링하도록 구성되는 보호 케이블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케이블 외피는 이 보호 케이블 외피의 길이를 따라 있는 지퍼와, 하우징 밖으로 연장되는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의 일부 둘레에 보호 케이블 외피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체결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인 용접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보호 케이블 외피를 마찰 결합 방식으로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해 보호 케이블 외피와 하우징의 포트 구조체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밴드 클램프를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케이블은 크래들을 통해 연장되고, 용접 케이블이 크래들과 케이블 클램프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압박되도록 크래들과 케이블 클램프 사이에 결합되는 것인 용접 시스템.
  15. 용접 시스템용 케이블 관리 시스템으로서,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의 일부가 하우징으로 둘러싸이고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의 일부가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 밖으로 연장되도록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 둘레에 위치 설정되고 함께 커플링되도록 구성되는 제1 쉘 및 제2 쉘을 포함하는 하우징;
    제1 및 제2 쉘이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 둘레에 함께 커플링될 때에 제1 및 제2 쉘을 함께 고정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서로 정렬되도록 구성되는 제1 쉘의 제1 결합 특징부 및 제2 쉘의 제2 결합 특징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용적 내에 배치되고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의 용접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크래들;
    상기 크래들과 협동하여 하우징 내에서 용접 케이블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 클램프;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용적 내의 제한되지 않은 용적으로서, 크래들에 인접하고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의 추가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제한되지 않은 용적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쉘은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쉘은 상기 플러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외부 쉘을 포함하며, 상기 크래들은 플러그의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개방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클램프는 외부 쉘로부터 연장되는 램프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는 나사식 인서트를 위한 리셉터클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는 크래들이 램프 클램프를 향해 변형되도록 나사식 인서트의 삽입시에 구부러지도록 구성되는 것인, 용접 시스템용 케이블 관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쉘과 제2 쉘은 힌지에 의해 일 측부에서 함께 커플링되고, 상기 제1 및 제2 결합 특징부는 상기 힌지와 대향하는 제1 및 제2 쉘의 각각의 측부에 위치 설정되는 것인 용접 시스템용 케이블 관리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클램프는, 용접 케이블 둘레에 고정되어 상기 용접 케이블과 마찰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크래들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용접 시스템용 케이블 관리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길이에 관하여 수직 또는 평행 배향으로 하우징의 일부로부터 연장되고 용접 시스템의 전력 공급원 또는 와이어 공급기와 커플링되도록 구성되는 장착판을 더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용 케이블 관리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포트 구조체 둘레에서 하우징과 커플링되도록 구성되는 보호 케이블 외피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케이블 외피는 이 보호 케이블 외피의 길이를 따라 있는 지퍼와, 하우징 밖으로 연장되는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의 일부 둘레에 보호 케이블 외피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체결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인 용접 시스템용 케이블 관리 시스템.
  20. 제1항에 따른 용접 시스템에 의해 용접 시스템의 케이블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의 일부가 하우징으로 둘러싸이고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의 일부가 하우징 밖으로 연장되도록 제1 쉘을 제2 쉘과 커플링시켜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 둘레에 하우징을 형성하는 것;
    상기 하우징의 내부 용적 내의 크래들이 용접 시스템 케이블류의 용접 케이블을 유지하게 하는 것;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용적 내의 케이블 클램프가 크래들과 협동하여 용접 케이블과 결합하고 용접 케이블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하는 것
    을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의 케이블을 관리하는 방법.
KR1020157003629A 2012-09-07 2013-09-06 용접 시스템의 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848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98103P 2012-09-07 2012-09-07
US61/698,103 2012-09-07
US13/839,638 2013-03-15
US13/839,638 US9833858B2 (en) 2012-09-07 2013-03-15 System and method for welding system cable management
PCT/US2013/058589 WO2014039876A1 (en) 2012-09-07 2013-09-06 System and method for welding system cable manag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765A KR20150054765A (ko) 2015-05-20
KR102084813B1 true KR102084813B1 (ko) 2020-03-04

Family

ID=50232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3629A KR102084813B1 (ko) 2012-09-07 2013-09-06 용접 시스템의 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833858B2 (ko)
EP (1) EP2892683A1 (ko)
JP (1) JP2015532890A (ko)
KR (1) KR102084813B1 (ko)
CN (1) CN104540630B (ko)
AU (1) AU2013312356B2 (ko)
BR (1) BR112015002240A2 (ko)
CA (1) CA2878249A1 (ko)
IN (1) IN2014DN11146A (ko)
MX (1) MX342332B (ko)
WO (1) WO20140398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9257B2 (en) * 2012-06-11 2016-08-30 Abba Daddy Llc Tangle-prevention sleeve for headphone/earphone wire
US9277939B2 (en) * 2012-09-28 2016-03-08 Warsaw Orthopedic, Inc. Spinal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DE102014006061B4 (de) * 2014-04-25 2019-01-17 Jenny Science Ag Elektrisch leitendes Gehäuse mit Kabelzugentlastung und Schirmanbindung
AT516299B1 (de) * 2014-10-02 2016-08-15 Jannach Helmut Passstück
US10906119B2 (en) * 2014-12-18 2021-02-02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via a welding cable
EP3057182B1 (en) * 2015-02-12 2019-04-03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with pre-assembled conduit adapter
US9825395B2 (en) * 2015-05-14 2017-11-2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Protective cover for a connector
CN107925199B (zh) * 2015-08-07 2020-12-08 泛达公司 Rj45插头
US9673559B1 (en) * 2016-06-20 2017-06-06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multi-piece backshell
DE202017102147U1 (de) * 2017-04-10 2017-05-05 Igus Gmbh Leitungsdurchführung, insbesondere Zugentlastung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DE102017121459B4 (de) * 2017-09-15 2024-03-14 Auto-Kabel Management Gmbh Kabelabdichtung sowie Anordnung mit einem Gehäuse
US10290970B1 (en) * 2018-02-08 2019-05-14 Delphi Technologies, Llc Connector with strain relief device
CA3091919C (en) * 2018-02-26 2023-01-24 Illinois Tool Works Inc. Welding torch with strain relief clasp coupling a strain relief to a connector and clamping a sleeve again the connector
TWM583120U (zh) * 2018-10-19 2019-09-01 進聯工業股份有限公司 用於開關接線裝置之保護套改良結構
US11112034B2 (en) * 2019-06-18 2021-09-07 Globalmedia Group, Llc Cable keeper
JP7322599B2 (ja) * 2019-08-28 2023-08-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20210384715A1 (en) * 2020-06-09 2021-12-09 Michael M. Bogart Utility junction box
US20220060010A1 (en) * 2020-08-20 2022-02-24 Taylor James Moore Cable Pass Through System
US11942771B2 (en) * 2021-01-13 2024-03-2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Power distribution box with an engagement feature for overcoming a cantilevered force of a bend in a wire bundle
DE202022101591U1 (de) 2022-03-25 2023-06-28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Kabelanschlussvorrichtung und damit ausgebildete 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29547A (en) * 1970-02-09 1971-12-21 Tweco Prod Inc Semiautomatic welding apparatus
US4295005A (en) 1979-10-17 1981-10-13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Cable splice closure
DE3833714A1 (de) 1987-12-23 1989-07-13 Gte Prod Corp Vorrichtung zum haltern optischer faserkabel
US5136134A (en) 1990-10-31 1992-08-04 Cajon Company Orbital welding apparatus
JPH0629006U (ja) * 1992-09-14 1994-04-15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
JP3081760B2 (ja) * 1993-11-10 2000-08-28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保護カバー
IT234539Y1 (it) * 1994-05-20 2000-03-09 Trafimet Spa Torcia per saldatura a filo continuo con dispositivo di attacco del cavo a giunto sferico
US5571427A (en) * 1995-04-03 1996-11-05 Weldcraft Products, Inc. Torch head and cable assembly for a welding device
JP3223100B2 (ja) * 1996-03-01 2001-10-29 矢崎総業株式会社 圧接コネクタのカバー構造
US6078023A (en) * 1998-04-27 2000-06-20 Jones; Glen A. Liquid-cooled welding torch assembly
US6533472B1 (en) * 1999-10-19 2003-03-18 Alcoa Fujikura Limited Optical fiber splice closure assembly
FR2820555B1 (fr) * 2001-02-06 2003-04-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 Passage de cable etanche et modulaire a positionnement de cable facilite et manchon equipe d'un tel passage
US6523584B1 (en) * 2001-05-03 2003-02-25 Richard B. Rehrig Protective cable cover for welding torches
DE10155414A1 (de) 2001-11-10 2003-05-22 Wieland Electric Gmbh Zugentlastung
US6797923B2 (en) 2002-05-08 2004-09-28 Illinois Tool Works Inc. Welding cable insulation method and apparatus
US7511245B2 (en) * 2005-09-12 2009-03-31 Nelson Stud Welding, Inc. Stud welding apparatus with composite cable
ITFI20070151A1 (it) 2007-07-10 2009-01-11 Steab S P A Scatola di protezione per connessioni elettriche.
JP5201186B2 (ja) * 2010-09-16 2013-06-05 株式会社安川電機 ロボット
DE202012002162U1 (de) 2012-02-29 2012-05-08 Translas B.V. Kupplungseinrichtung zum Verbinden eines Schweißgerätes mit einem Schweißbrenner sowie erster und zweiter Kupplungsteil einer solchen 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40630A (zh) 2015-04-22
US20140069904A1 (en) 2014-03-13
CN104540630B (zh) 2018-05-08
BR112015002240A2 (pt) 2017-07-04
MX2015000422A (es) 2015-03-12
EP2892683A1 (en) 2015-07-15
AU2013312356A1 (en) 2015-02-05
KR20150054765A (ko) 2015-05-20
JP2015532890A (ja) 2015-11-16
US9833858B2 (en) 2017-12-05
AU2013312356B2 (en) 2016-05-12
MX342332B (es) 2016-09-26
CA2878249A1 (en) 2014-03-13
WO2014039876A1 (en) 2014-03-13
IN2014DN11146A (ko) 2015-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4813B1 (ko) 용접 시스템의 케이블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3783847B2 (ja) 電線カバー
EP2241766B1 (en) Band clamp
KR20130123386A (ko) 전기 커넥터용 회전식 구조 백쉘
US20170030486A1 (en) Captivating clamp
US20080179469A1 (en) Cable connector
JP5778574B2 (ja) 電線カバー付きコネクタ
JP2007519424A5 (ko)
US5872335A (en) 90 degree sealing nut
US11933436B2 (en) Clamp assembly
JP2004127813A (ja) コネクタ
KR100824341B1 (ko) 케이블 고정구
US20130000072A1 (en) Clamping assembly
CN215923148U (zh) 扎带
JP3685387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CA2584541A1 (en) Gasket package
JP5452159B2 (ja) 配線ボックス
JP3633662B2 (ja) 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におけるケーブル把持具
CN210156860U (zh) 一种卡箍式接线盒
JP2014023380A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及びプロテクタ付きワイヤーハーネス
JP7322599B2 (ja) コネクタ
KR101331816B1 (ko) 주름관의 연결구 체결구조
JP5894951B2 (ja) 収容ケース
CN216111580U (zh) 一种线扎结构、空调器和家用电器
JP5677483B2 (ja) 収容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