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317B1 -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및 양식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및 양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317B1
KR102084317B1 KR1020180087634A KR20180087634A KR102084317B1 KR 102084317 B1 KR102084317 B1 KR 102084317B1 KR 1020180087634 A KR1020180087634 A KR 1020180087634A KR 20180087634 A KR20180087634 A KR 20180087634A KR 102084317 B1 KR102084317 B1 KR 102084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ut
tank
water
breeding
tribu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383A (ko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바숑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바숑, 김정훈 filed Critical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바숑
Priority to KR1020180087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317B1/ko
Publication of KR20200012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7Hatching, e.g. incub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 Y02P60/6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송어류의 종묘를 입수하여 부화시킨 유생을 양육한 후 5퍼밀 이하의 육상수조로 입식시켜 7개월 동안 어체중 50g까지 사육시키는 육상수조 사육단계(가); 상기 (가)단계를 거친 양식 송어를 활어 수조가 탑재된 이송수단에 입식시켜 해안에 설치된 순치용 양식수조로 이송시키는 이송단계(나); 상기 (나)상기 (나)단계를 거친 양식송어를 송어 순치용 양식장의 초기 순치용 수조에 입식시키고 수온 15~17℃, 염도 10퍼밀(‰)의 사육수에서 10시간 동안 순치시키는 초기 순치용 수조 입식단계(다); 상기 (다)단계의 초기 순치용 수조의 이동 수문을 개방하여 양식송어를 지류식 순치용 수조로 이송시킨 후, 각 순치공간에서 12시간동안 순치시키는 지류식 순치용 수조 입식단계(라); 상기 (라)단계를 거친 양식송어를 복합 양식수조 수문을 개방하여 복합 양식수조로 이동시킨 후 사육하는 단계(마); 상기 (마)단계를 거친 양식 송어를 해상 가두리로 이송시키거나 출하하는 해상 가두리 이송 및 출하단계(바)로 이루어지는 양식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대량의 양식 송어를 순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사율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및 양식방법 {Sea water acclimation and culture method of a trout}
본 발명은 담수에서 종묘 양식된 송어를 해수에서 양식하기 위한 양식송어 순치 및 양식방법에 관한 것으로, 육상 수조에서 일정한 어체중(魚體重)으로 사육된 양식 송어를 수송거리에 따라 알맞은 염도 조건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된 양식 송어를 초기 순치용 수조, 지류식 순치용 수조, 복합 양식수조에 순차적으로 순치 및 사육시킴으로써 해수에 적응된 양식송어를 제공할 수 있는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및 양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나무 마디의 색과 비슷하다고 하여 불리게 된 송어(松魚, cherry salmon/masou salmon, Oncorhynchus masou)는 연어목 연어과에 속하는 냉수성 물고기로 등과 꼬리지느러미에는 흑색 반점이 있고 어체가 연어와 비슷하나 연어보다 몸이 굵고 둥글며, 약간 옆으로 납작한데다 주둥이는 무딘 편이다.
몸 빛깔은 성어의 경우 등 쪽이 짙은 남빛이고 배 쪽은 은백색이며, 옆구리에는 작은 암갈색 반점이 있다. 유어는 어두운 녹황색 바탕에 측선에서 등 언저리까지에는 엷은 회색에 가까운 은색을 띤다. 눈 둘레는 검은 빛을 띠며 눈알에는 검은 반점이 흩어져 있다. 유어의 가슴지느러미, 배지느러미, 뒷지느러미에는 엷은 오랜지색으로 지느러미의 연조는 흑회색이다.
송어는 무지개 송어, 홍송어, 산천어 등이 알려져 있다. 토종 송어는 일명 시마연어(바다송어, 참송어)로 불리나 양식되지 않고 거의 바다에서 생활하며 동해안의 정치망에서 어획되기도 한다. 국내 송어양식은 1965년 미국 캘리포니아의 Henrycline Schmit로부터 무지개 송어 발안란(Eyed Egg, 發案卵) 1만개를 수입하여 강원도 평창에서 시작하였다. 1982년에는 국내 최초로 송어 양식용 배합사료가 개발됨에 따라 생산량이 100톤을 상회하였으며 1980년 말에는 충주댐, 대청댐, 소양강댐 등에서 댐 가두리양식이 성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IMF에 의한 경기침체, 수질환경 규제 강화, 양식 적지의 제약, 생산성 하락, 어병에 의한 대량폐사와 종묘생산 기피 등으로 송어 양식은 침체되었고 특히, 1970년대 내수면자원개발종합계획에 따라 댐이나 호수 등에서 대규모로 성행하던 가두리양식어업 면허가 1999년 전면 금지되었다.
이와 같은 악재들로 침체기에 있었던 송어 양식은 2008년 최초로 시도된 해수 송어양식을 실시하여 재도약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무지개송어 외에도 시마연어와 황금송어 등 그 종을 점차 늘려가고 있다.
송어는 냉수성으로 차고 깨끗한 1급수의 물에서만 서식한다. 부화 후 강에서 서식하다가 바다에 내려가 살다가 어미가 되어 강으로 되돌아와 알을 낳고 일생을 마치게 된다. 본래 연어류는 해수에 대한 생리적 적응 기능을 갖고 있어 일정기간 순치과정을 거쳐 바다에서도 육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특성으로 해수를 이용한 송어 양식도 자연히 가능하게 되었으나 해수 송어양식의 실시를 위해 해수순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해수 순치과정은 어류 치어를 사육조 내로 이동시키고 어류의 삼투압 조절능력을 이용하여 사육조 내의 용수의 염도를 연속적으로 증가시켜 해수에 상응하는 염도에서 생존 가능하도록 적응시키는 과정이다.
담수 어류의 경우에는 체액이 환경수보다 염도가 높아 수분이 아가미, 소화기관, 표피 등을 통해 계속해서 체내로 침투하고 이에 적정량의 체내 수분유지를 위해 신장에서 묽은 오줌을 만들어 대량으로 체외방출을 하여 체내 수분을 유지하게 된다. 이 때 오줌과 함께 배출되는 Na+ 등의 1가 이온은 신장과 방광 등의 조직 상피에서 흡수하고, 먹이 등에 포함된 염류는 장내 상피세포에서 흡수한다. 또한 아가미의 새 변에 담수형의 염류세포가 있어 액포상의 proton ATPase 효소의 작용으로 염류를 흡수하여 체액의 염도를 유지한다. 해수 어류의 경우는 체액이 환경수보다 염도가 낮기 때문에 생리적인 탈수현상을 막기 위해 다량의 해수를 체내로 유입시켜 장에서 수분을 흡수한다.
연어류에 속하는 송어는 생물학적으로 담수(freshwater)에서 부화하여 치어로 성장 후 스몰트(Smolt) 시기가 되면 기수(Brackish water)에서 점차 염도를 해수순치과정(Seawater domestication)을 겪는다. 따라서 육상수조에서 담수를 육상 또는 바다공간에 설치된 순치장에서 기수를, 그리고 바다 가두리에서 해수를 공급해야한다.
담수에 익숙해져 있는 송어를 바다로 이동시키는 것은 어체에 상당히 부담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어체는 건강하면서 환경의 변화에 견딜 수 있는 상태로 사육한 후 해수로 이동시키는 것이 적절한데 이와 같은 상태는 수정 후 담수(육상)에서 길러져 1년 정도 경과하면, 체중이 200~350g 정도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통상적인 내수면 양식장에서는 200g 전후의 중간 육성어를 구입해 일정 기간 해수순치한 후 해상 가두리나 육상 수조식 양식장에 입식시키고 6~7개월 동안 양성하여 평균 2kg 크기의 성어로 출하시킨다. 출하 크기는 900g~3kg까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지역별 수온, 입식크기, 출하시기 등의 차이 때문이며 양식 기술의 차이도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상기 담수에서 해수로 순치하는 과정 중 폐사율이 크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979406호(발명의 명칭 “송어 및 연어류의 해수순치 및 양식방법”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5214호(“유수를 이용한 무지개 송어의 양식방법”을 언급할 수 있으나, 상기 선행문헌에서는 순치과정에만 초점이 맞춰있을 뿐 담수 및 육상 양식장에서 이송 시부터 순치과정까지의 과정은 생략되어 실무에 적용시키기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송어의 습성에 맞춰 적응화 과정 중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내용은 개시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0979406호에는 담수에서 부화하여 성장한 어류의 치어를 낮은 염도에서 높은 염도로 적응시켜 해수에서 양식이 가능하게 하는 해수 순치 및 양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해수 순치 및 양식 방법은 송어 및 연어류의 치어를 사육조 내로 이동시키고, 상기 사육조 내의 용수의 염도를 연속적으로 증가시켜 해수에 상응하는 염도에서 생존 가능하도록 적응시키는 해수적응단계와, 상기 해수적응단계를 거친 어류를 해수에서 양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어 및 연어류의 해수순치 및 양식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5214호에는 무지게 송어를 양식하기 위해 수조를 사용하지 않으며, 무지개 송어 치어를 담수양식장에서 순치에 적합한 염도에 적응할 수 있는 크기로 성장시킨 후, 염도 12‰ ~ 25‰ (퍼밀) 수역에 해당되는 강 하구 또는 통수로 수역의 가두리에 옮겨서 순치한 뒤, 가두리를 무지개 송어가 담긴 채로 바다(해수)로 옮겨 2개월 양식하여 생존율 93% 이상을 달성하도록 하는 유수를 이용한 무지개 송어의 양식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252620호에는 담수 또는 해수를 담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수상 또는 수중에서 이동시킬 수 있게 형성된 선체; 상기 공간부에 연결되어 담수를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된 담수 주입부; 상기 선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간부에 해수를 입출시킬 수 있게 형성된 수문; 상기 선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선체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게 형성되는 가변부력체; 및 상기 가변부력체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되는 부력조절부를 포함하는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번호 제10-1752177호에는 담수에서 양식한 송어과 어류의 암컷 치어를 제조 및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치어를 해수에 순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송어의 순치 과정에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를 때, 무지개 송어와 같은 송어과 어류의 단계적 해수순치에 있어서 폐사율이 낮은 양식 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양식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양식업자의 운용비용의 감축에 기여할 수 있는 송어과 어류의 해수순치 과정에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해수 송어 양식의 순치과정에서 육상 양식장에서 순치가 실시되는 해안의 순치 양식장에서 양식 송어 이송 시에 이송 스트레스로 인한 폐사 발생과 대량 양식 송어의 순치 및 사육이 불가능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육상 양식장에서 양식 송어의 이송방법과 양식수조에서 순치과정 및 사육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송어, 산천어, 무지개 송어, 홍송어, 황금송어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어류의 종묘를 입수하여 부화시킨 유생을 양육한 후 5퍼밀 이하의 육상수조로 입식시켜 7개월 동안 어체중 50g까지 사육시키는 육상수조 사육단계(가); 상기 (가)단계를 거친 양식 송어를 활어 수조가 탑재된 이송수단에 입식시켜 해안에 설치된 순치용 양식수조로 이송시키되, 이송수단 내 활어 수조의 사육수는 이송시간이 5시간 이상인 경우 염도 5~6퍼밀(‰)로 조절하고, 1~3시간의 이송시간인 경우에는 염도 8퍼밀(‰)로 조절하는 이송단계(나); 상기 (나)상기 (나)단계를 거친 양식송어를 송어 순치용 양식장의 초기 순치용 수조에 입식시키고 수온 15~17℃, 염도 10퍼밀(‰)의 사육수에서 10시간 동안 순치시키는 초기 순치용 수조 입식단계(다); 상기 (다)단계의 초기 순치용 수조의 이동 수문을 개방하여 순치가 완료된 양식송어를 지류식 순치용 수조로 이송시킨 후, 상기 지류식 순치용 수조에는 제1차 내지 제5차 순치공간이 형성되며 각 순치공간에서 12시간동안 순치시키는 지류식 순치용 수조 입식단계(라); 상기 (라)단계를 거친 양식송어를 복합 양식수조 수문을 개방하여 복합 양식수조로 이동시킨 후 사육하는 단계(마); 상기 (마)단계를 거친 양식 송어를 해상 가두리로 이송시키거나 출하하는 해상 가두리 이송 및 출하단계(바)로 이루어진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및 양식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육상 양식장에서 순치용 수조로 이동시킬 경우 이송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로형태로 형성된 지류식 순치용 수조를 통과하여 해수 순치되어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대량의 민물 양식 송어를 해수에 적응할수 있도록 순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폐사율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및 양식방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송어 순치용 양식장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송어 순치용 양식장의 정면 절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지류식 순치용 수조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및 양식방법과 관련한 구체적인 구성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해수 순치과정은 어류의 치어를 사육조 내로 이동시키고 어류의 삼투압 조절능력을 이용하여 사육조 내의 용수의 염도를 연속적으로 증가시켜 해수에 상응하는 염도에서 생존 가능하도록 적응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및 양식방법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및 양식 방법은 송어, 산천어, 무지개 송어, 홍송어, 황금송어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어류의 종묘를 입수하여 부화시킨 유생을 양육한 후 5퍼밀(‰) 이하의 육상수조로 입식시켜 7개월 동안 어체중 50g까지 사육시키는 육상수조 사육단계(가); 상기 (가)단계를 거친 양식 송어를 활어 수조가 탑재된 이송수단에 입식시켜 해안에 설치된 순치용 양식수조로 이송시키되, 이송수단 내 활어 수조의 사육수는 이송시간이 5시간 이상인 경우, 염도 5~6퍼밀(‰)로 조절하고, 1~3시간의 이송시간인 경우에는 염도 8퍼밀(‰)로 조절하는 이송단계(나); 상기 (나)단계를 거친 양식송어를 송어 순치용 양식장의 초기 순치용 수조에 입식시키고 수온 15~17℃, 염도 10퍼밀(‰)의 사육수에서 10시간 동안 순치시키는 초기 순치용 수조 입식단계(다); 상기 (다)단계의 초기 순치용 수조의 이동 수문을 개방하여 순치가 완료된 양식송어를 지류식 순치용 수조로 이송시킨 후, 상기 지류식 순치용 수조에는 제1차 내지 제5차 순치공간이 형성되며 각각의 순치공간에서 12시간씩 순치시키는 지류식 순치용 수조 입식단계(라); 상기 (라)단계를 거친 양식송어를 복합 양식수조 수문을 개방하여 복합 양식수조로 이동시킨 후 사육하는 복합 양식수조 입식단계(마); 상기 (마)단계를 거친 양식 송어를 해상 가두리로 이송시키거나 출하하는 해상 가두리 이송 및 출하단계(바)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및 양식방법과 관련하여 각 단계별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육상수조 사육단계
본 발명의 육상수조 사육단계(가)는 송어, 산천어, 무지개 송어, 홍송어, 황금송어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어류의 종묘를 입수하여 부화시킨 유생을 사육하고, 5퍼밀(‰) 이하의 육상수조로 입식시켜 7개월 동안 어체중 50g까지 사육시키는 단계이다.
송어 종묘는 자연 산란된 난보다 인위적으로 난을 수득하고 일반적으로 3~4년생의 친어에서 수득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인공수정한 후 부화시킨다. 송어 종묘는 상기 기재된 종외에도 암컷의 것만이 정상적인 암컷의 난을 성전환 시킨 xxx염색체를 가진 암컷의 정충과 수정시킨 단성(monosex) 또는 삼배체(triploid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정란은 통상적인 부화용기에서 부화를 실시하고, 상기 부화된 유생은 유생양육 용기 및 수조에 옮겨 사육시킨다. 유생 양육수조는 유리섬유 수조 또는 콘크리트 수조에서 양육시키고 대략 50%의 유생이 유영단계에 진입하면 자동 급이기를 이용하여 초기사료를 공급한다.
상기 송어 치어의 체장이 8~10cm(kg당 250미)가 되면 담수가 담긴 육상수조로 이송시킨 후, 송어 체중이 50g으로 성장 할 때까지 사육시킨다. 육상수조에 이송된 송어는 본 발명의 도라지 추출물 동물사료 첨가제 및 사료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도라지 추출물 송어사료 첨가제는 도라지 줄기와 잎을 포함하는 도라지 지상부를 물로 1차 세척하고, 공기방울 세척기로 2회 세척하였다. 다음, 초고압 분사노즐 세척기로 2회 세척한 후 탈수기로 탈수하였다. 준비된 도라지 지상부 10kg에 정제수 10kg을 추가한 후 1.5㎏/㎠ 압력하에 100℃에서 10시간 동안 가열하여 도라지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도라지 송어사료는 송어사료(제품명:골드송어 5호, 수협사료) 10㎏을 트레이에 넓게 펼치고 상기 추출된 도라지추출물 3 리터를 1차 분무한다. 상기 단계에서 도라지추출물을 1차 분무한 송어사료를 1~2시간 실온에서 1차 건조한다. 상기 단계에서 건조한 송어사료에 다시 상기 추출된 도라지추출물 3 리터를 2차 분무한다. 상기 단계에서 도라지추출물을 2차 분무한 송어사료를 1~2시간 실온에서 2차 건조하여 도라지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도라지 송어 사료를 하루 2번 아침, 저녁으로 급이 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라지추출물 양식사료 첨가제의 급여로 양식어의 면역력이 크게 개선되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항생제를 남용하지 않고도 질병이 크게 예방되어 폐사율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도라지추출물 동물사료 첨가제를 섭취한 양식어의 고기 및 껍질에서 사포닌 성분이 검출되어 사람이 그 양식어을 섭취하면 자연스럽게 사포닌 성분이 흡수되므로 면역력 개선 등 건강 증진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양식된 송어의 껍질을 벗긴 송어와 껍질을 벗기지 않은 송어로부터 사포닌 함량을 검사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험방법은 껍질 벗긴 송어와 벗기지 않은 송어를 160g씩 나누고, 믹서기를 이용하여 잘게 분쇄한다. 삼각 플라스크에 시료를 넣고 물 1L로 정용한 다음 리비히 냉각관을 설치하고 전기레인지를 이용하여 100℃로 가열하여 각 추출물을 얻는다. 각 추출물을 80mesh 체를 이용하여 1차 여과를 하고, 감압여과기를 이용하여 2차 여과를 한다(필터페이퍼 No.2(5㎛) 이용). 그 여과된 추출물로부터 사포닌 함량을 검사하였다.
시 료 사포닌 함량(mg/g)
껍질을 벗긴 송어 0.44
껍질을 벗기지 않은 송어 1.60
(나) 이송단계
본 발명의 이송단계(나)는 상기 (가)단계를 거친 양식 송어를 활어 수조가 탑재된 이송수단에 입식시켜 해안에 설치된 순치용 양식수조로 이송시키되, 이송수단 내 활어 수조의 사육수는 이송시간이 5시간 이상인 경우 염도 5~6퍼밀(‰)로 조절하고, 1~3시간의 이송시간인 경우에는 염도 8퍼밀(‰)로 조절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나)단계의 입식되는 양식 송어는 어체중 50g이상인 것이 적절하다. 50g이하의 양식송어는 순치 스트레스를 이기기 어렵고 50~100g의 양식송어가 담수에서 성장하는 기간이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보다 단기간·고성장을 위해서는 50~100g의 양식송어를 순치를 위해 이송시키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이송단계는 순치과정 전 송어의 사육이 이루어지는 내수면 육상 양식장에서 해상양식장으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사육수 염도를 조절함으로써 이송 스트레스 및 순치단계에서 폐사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 초기 순치용 수조 입식단계
본 발명의 초기 순치용 수조 입식단계(다)는 상기 (나)단계를 거친 양식송어를 송어 순치용 양식장의 초기 순치용 수조에 입식시키고 수온 15~17℃, 염도 6 내지 10퍼밀(‰)의 사육수에서 10시간 동안 순치시키는 단계이다.
초기순치용 수조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의 사육수 염도는 이동시간에 따라 정해지며 이송시간이 5시간 이상인 경우, 염도 5~6퍼밀(‰)로, 1~3시간의 이송시간인 경우에는 염도 8퍼밀(‰)로 조절하여 초기 순치용 수조로 이송된다. 따라서 이송거리에 따라 초기 순치용 수조의 염도는 6 내지 10퍼밀(‰)로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송어 순치용 양식장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송어 순치용 양식장은 해수의 채수가 용이하도록 해안가에 초기 순치용 수조(10)가 설치되고; 상기 초기 순치용 수조의 좌,우 어느 한 측면에는 복합 양식수조(30)가 하나 이상 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초기 순치용 수조 및 복합 양식수조와 연결되어 회류식 수로 형태로 이루어진 지류식 순치용 수조(20)가 설치되며; 바다에서 채수된 해수 수온을 조절하여 7~17℃의 사육수를 상기 수조들에 공급할 수 있도록 사육수온을 조절하는 수온조절장치(40)가 설치되며; 상기 수조에서 배수된 사육수를 정화하여 재공급할 수 있는 순환여과장치(50)가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온조절장치(4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가 냉동되도록 운전시키는 운전조작부가 갖추어져 있으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등의 재질로 형성된 사육수 공급 파이프가 연장 설치된다. 상기 사육수 공급 파이프의 일단 입수부는 해양에서 채수된 사육수가 입수되고 케이스를 관통하여 외부 설치된 출수부에는 냉각된 사육수가 출수되며, 상기 사육수 이동 동력을 제공하는 펌프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사육수 공급파이프의 출수부는 순치용 수조, 지류식 순치용 수조, 복합 양식수조와 연결되어 냉각된 사육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지름 7cm로 형성된 사육수 공급파이프에 채수된 해수 5000ton을 공급하고, 입수속도는 1마력, 출수 속도는 2마력의 동력을 제공하면 입수 수온은 23℃이고 출수 수온은 6~7℃로 냉각이 가능하며 기존의 피쉬펌프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초기 순치용 수조(10)는 다각형의 수조바닥과 일정높이의 수조외벽이 둘러싸며 상부가 개구되고 사육수와 양식 송어가 입식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수조바닥에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수조 개구부에는 사육수 공급장치 및 양식장용 수차가 설치되며 수조외벽 일 측면에는 제1차 순치용 수조에서 일정시간동안 순치가 완료된 양식송어가 지류식 순치용 수조로 개폐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수문(11)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배수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바닥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배수구 형성위치를 향하여 약 4°의 경사가 형성되어 수류에 의해 양식 노폐물과 같은 슬러지가 배수되기 용이하다. 배수구는 배수파이프와 연결되고 배수파이프는 순환여과장치(50) 또는 외부와 연결되어 순환여과장치에서 배수된 슬러지는 정화되어 재공급되거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기 순치용 수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초기 순치용 수조에 수온 15~17℃의 염도 10퍼밀(‰)의 사육수를 수심 1.2 내지 1.8m로 채우고 (나)단계에서 이송된 양식송어를 입식시킨다. 상기 사육수온은 어병발생이 방지되는 적정수온으로 특히 대량폐사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사육수온이 20℃가 넘지 않도록 조절한다.
본 발명의 초기 순치용 수조에 양식장용 수차의 설치는 필수적이다. 본 발명의 양식작용 수차의 실시예로서 프레임과 모터가 설치되고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샤프트 축의 일측 또는 양측에 복수의 날개편이 형성된 프로펠러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펠러는 사육수조 내의 사육수 표면에 위치하여 회전날개가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면서 수면에 기포를 발생시키고 사육수가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켜 대기중의 산소가 물에 빠르게 용해시켜 사육수 내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키는 한편, 회류하는 습성이 있는 송어에게 일정 방향으로 수류를 형성하여 스트레스를 감소시킨다. 수차 하부에는 개폐장치가 형성되어 송어가 염분농도가 다른 지류식 수조 공간을 이동할 때 개폐하여 이동시킨다.
(라) 지류식 순치용 수조 입식단계
본 발명의 지류식 순치용 수조 입식단계(라)는 상기 (다)단계의 초기 순치용 수조의 이동 수문을 개방하여 순치가 완료된 양식송어를 지류식 순치용 수조로 이송시킨다. 제 1차 내지 제5차 순치공간은 수심 깊이 1.2 내지 1.8m로 이루어진다.
초기 순치용 수조와 지류식 순치용 수조는 이동 수문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초기 순치용 수조에서 염도 10퍼밀(‰)로 10시간 정도로 염수에 적응된 양식 송어는 이동수문과 제1수문(22a)이 설치되어 형성된 제1순치 공간으로 이동되어 12시간 동안 순치될 수 있다. 제1수문에는 개방 시에 양식송어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에는 양식장용 수차가 설치되어 제1공간에는 일정 방향으로 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초기 순치용 수조의 염도와 제1 순치공간에 양식 송어를 순치하는 동안 사육수는 염도 10퍼밀(‰)로 유지시킨다.
제1수문과 제2수문(22b)이 설치되어 형성되는 공간은 제2 순치공간으로 염도 15퍼밀(‰)의 사육수를 공급하여 12시간 동안 순치하며, 제2수문과 제3수문(22c)이 설치되어 형성된 사이 공간은 제3순치공간으로 염도 20퍼밀(‰)의 사육수를 공급하여 12시간 동안 순치한다. 제3수문과 제 4수문(22d)이 설치되어 형성된 사이공간은 제4순치공간으로 염도 25퍼밀(‰)의 사육수를 공급하며, 제4수문과 제5수문(22e)이 설치되어 형성된 사이공간은 제5순치공간으로 염도 33퍼밀(‰)의 해수를 공급하여 각각의 염도조건에서 12시간 동안 순치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지류식 순치용 수조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지류식 순치용 수조(20)는 다각형의 수조바닥을 일정 높이의 수조외벽이 둘러싸며 사육수 및 양식송어가 입식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수조외벽의 어느 한 측면부는 초기 순치용 수조와 복합 양식수조가 수문을 매개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순치용 수조 및 복합 양식수조가 설치된 방향과 평행하게 일정 간격을 형성하며 지류식 순치용 수조의 입식공간에는 하나 이상의 격벽(21)이 설치되며, 상기 격벽에 의해 형성된 사이공간에는 제1 내지 제5수문이 설치되어 지류식 순치용 수조의 입식공간은 평면에서 지그재그 형상을 띄는 수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격벽에는 제1 내지 제5 수문이 설치되어 지류식 순치용 수조는 제 1내지 제5 순치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각 수문에는 양식장용 수차가 설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5 순치공간에는 일정한 방향으로 수류가 지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차하부에는 수문개폐장치가 형성되어 순치한 송어가 이동시 개폐되므로 각각의 수문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는 순치공간은 서로 다른 염도값을 갖는다.
초기 순치용 수조와 지류식 순치용 수조는 이동 수문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다)단계를 거친 양식 송어는 이동수문과 제1수문(22a)이 설치되어 형성된 제1순치 공간에서 12시간동안 순치될 수 있다. 제1수문에는 개방 시에 양식송어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에는 양식장용 수차가 설치되어 제1공간에는 일정 방향으로 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류식 순치용 수조의 수심은 초기 순치용 수조의 사육수 수심과 동일하게 1.2m의 수심으로 사육수를 공급하였다.
(마) 복합 양식수조 입식단계
본 발명의 복합 양식수조 입식단계(마)는 상기 (라)단계를 거친 양식 송어를 복합 양식수조 수문(31)을 개방하여 복합 양식수조(30)로 이동시킨 후 사육하는 단계이다. 일실시예로서 초기 체중 50g의 양식송어의 경우 상기 (마)단계는 약30일간 체중 100g으로 사육시킨 후 후술할 해상 가두리로 이동시켜 사육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복합 양식수조(30)는 다각형의 수조바닥을 수조외벽이 둘러싸며 형성되고 수조외벽 어느 한 측면에는 복합 양식수조 수문(31)이 형성되어 상기 지류식 순치용 수조와 연결되고 제5 순치공간의 양식송어가 이동가능하다.
복합양식수조의 수조 바닥에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배수된 사육수는 순환여과장치로 이동하여 정화 후 사육수조로 재공급되거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복합양식수조의 사육수 염도는 33퍼밀(‰)의 해수를 사육수로이용하고 수심은 1.2 내지 3.6m로 공급한다. 상기 복합양식수조의 사육수가 이루는 수심은 1.2m로 형성하는 경우는 단순히 해수 순치된 송어를 복합양식수조에서 보관하는 역할을 하며, 수심을 3.6m 이상으로 공급하는 것은 이종생물의 복합양식을 실시하기 위함이다. 즉, 통상적으로 송어는 수심 1~2m에서 서식하고 1m 이상의 수심에는 해삼과 같은 저서생물이 서식함으로 복합양식이 가능하도록 한다. 해삼과 같이 이종생물 사육이 가능한 양식생물을 함께 입식시킴으로써 송어 양식에서 발생하는 양식찌꺼기를 해삼이 섭이하여 사료값 절감 및 고성장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바) 해상 가두리 이송 및 출하단계
본 발명의 해상 가두리 이송 및 출하단계(바)는 상기 (마)단계를 거친 양식 송어를 해상 가두리로 이송시키거나 출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송어 순치용 양식장은 이동수문이 형성되는 배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하나 이상 열을 형성하는 출하수조(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되는 일정거리는 통상적인 활어 이송차량의 폭으로 차량통로(70)를 형성하며, 상기 차량통로를 이송수단이 이동하면서 상기 복합 양식수조의 양식생물의 적재가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및 양식방법은 순치 개체수를 1000kg 이상 실시할 수 없었던 기존의 방법에 비해 대량순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순치 스트레스로 인한 폐사율이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본발명에서 양식된 송어를 충청남도수산관리소에 의뢰하여 어병검사한 결과 세균성 및 곰팡이성 질병, 기생충성 질병, 바이러스성 질병 등의 검사항목에 대하여 전염병 원인체가 검출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검사항목 검 사 결 과
세균성, 곰팡이성 질병 불검출
기생충성 질병 불검출
바이러스성질병 유행성조혈기괴사증(EHN) 불검출
유행성궤양증후군(EUS) 불검출
자이로닥틸루스증(Gyrodactylosis) 불검출
전염성연이빈혈증(ISA) 불검출
바이러스성출혈성패혈증(VHS) 불검출
본 발명은 친환경적으로 양식송어의 대량 순치가 가능한 사육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송어 양식 산업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어 양식 기반확대 및 수산분야 의 발전은 물론, 양식 기술의 국제경쟁력 제고로 어업인 소득증대에 기여 가능함으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10: 초기 순치용 수조 11: 이동수문
20: 지류식 순치용 수조 21: 격벽
22a: 제1수문 22b: 제2수문
22c: 제3수문 22d: 제4수문
22e: 제5수문
30: 복합 양식수조 31: 복합양식수조 수문
40: 수온조절장치 50: 순환여과장치
60: 출하수조 70: 차량통로

Claims (3)

  1. 송어류의 종묘를 5퍼밀 이하의 육상수조로 입식시켜 7개월 동안 어체중 50g까지 사육시키는 육상수조 사육단계(가); 상기 (가)단계를 거친 양식 송어를 활어 수조가 탑재된 이송수단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단계(나); 상기 (나)단계를 거친 양식송어를 초기 순치용 수조에 입식시키고 수온 15~17℃, 염도 6 내지 10퍼밀(‰)의 사육수에서 10시간 동안 순치시키는 초기 순치용 수조 입식단계(다);
    상기 초기 순치용 수조는 다각형의 수조바닥과 일정 높이의 수조외벽이 둘러싸며 상부가 개구되고 사육수와 양식 송어가 입식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초기 순치용 수조의 좌, 우 어느 한 측면에는 복합 양식수조가 하나 이상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설치되며, 초기 순치용 수조와 복합 양식수조의 외벽 어느 한 측면에는 지류식 순치용 수조로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한 이동 수문이 형성되어 회류 수로를 갖는 지류식 순치용 수조와 연결되고; 상기 수조에 공급되는 사육수의 수온을 조절하는 수온조절장치와 상기 수조에서 배수된 사육수를 정화하여 재공급할 수 있는 순환여과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다)단계의 초기 순치용 수조에서 순치가 완료된 양식송어를 회류형 수로가 형성된 지류식 순치용 수조로 이송시켜 순치시키는 지류식 순치용 수조 입식단계(라); 상기 (라)단계를 거친 양식송어를 복합 양식수조로 이동시켜 사육하는 단계(마); 상기 (마)단계를 거친 양식 송어를 해상 가두리로 이송시키거나 출하하는 해상 가두리 이송 및 출하단계(바)로 이루어지는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및 양식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이송수단의 활어 수조의 사육수는 이송시간이 5시간 이상인 경우 염도 5~6퍼밀(‰)로 조절하고, 1~3시간의 이송시간인 경우에는 염도 8퍼밀(‰)로 조절하여 이송하는 것인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및 양식방법
KR1020180087634A 2018-07-27 2018-07-27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및 양식방법 KR102084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634A KR102084317B1 (ko) 2018-07-27 2018-07-27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및 양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634A KR102084317B1 (ko) 2018-07-27 2018-07-27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및 양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383A KR20200012383A (ko) 2020-02-05
KR102084317B1 true KR102084317B1 (ko) 2020-03-03

Family

ID=69514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634A KR102084317B1 (ko) 2018-07-27 2018-07-27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및 양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3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8558A (ja) * 2006-12-13 2008-07-03 Wha Corp 陸上鮪養殖システム
KR100979406B1 (ko) * 2010-03-11 2010-09-01 전라남도 송어 및 연어류의 해수순치 및 양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620B1 (ko) 2012-08-30 2013-04-11 김동주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
KR20150055214A (ko) 2013-11-12 2015-05-21 김석춘 유수를 이용한 무지개 송어의 양식 방법
KR101752177B1 (ko) 2015-01-30 2017-06-29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송어과 어류의 해수순치 과정에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
KR20180023497A (ko) * 2016-08-26 2018-03-07 주식회사 제이 엔 에스 텍 무지개송어의 단기간 해수 순치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8558A (ja) * 2006-12-13 2008-07-03 Wha Corp 陸上鮪養殖システム
KR100979406B1 (ko) * 2010-03-11 2010-09-01 전라남도 송어 및 연어류의 해수순치 및 양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383A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0497A (zh) 漂浮和潜水的封闭式水产养殖以及饲养鱼类的方法
CN102318576B (zh) 松江鲈鱼全程海水繁育方法
JP2003505049A (ja) 甲殻類の幼生養殖方法および装置
CN109452203A (zh) 一种许氏平鲉深水网箱大规格苗种培育方法
Jory et al. Marine shrimp
CN107079843B (zh) 乌苏里白鲑苗种培育方法
CN105557584A (zh) 一种松江鲈鱼全海水苗种繁育及室内工厂化养殖方法
WO2017199927A2 (ja) 良質な海洋環境を創出して海洋生態系の持続的保持を可能とする水生生物生産インフラシステム及び水生生物生産方法
CN112616739A (zh) 一种盐田虾养殖有效防治桃拉综合征方法
KR102084317B1 (ko)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및 양식방법
CN105325321A (zh) 一种金头鲷养殖技术
KR102102047B1 (ko) 지류식 송어순치 양식장을 이용한 친환경 복합양식방법
KR102084318B1 (ko)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양식장
CN111820156B (zh) 一种四指马鲅池塘连续大量集卵的方法
Hernández-Barraza et al. Productivity of polycultured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and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in a recirculating system
Debnath et al. Ompok bimaculatus (Bloch, 1794), an emerging species for diversification of aquaculture in Tripura, North-Eastern India
Nabhitabhata et al. Performance of simple large-scale cephalopod culture system in Thailand
KR102068908B1 (ko) 도라지 지상부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송어 양식용 사료첨가제
CN102613113A (zh) 人工繁育珊瑚礁鱼类小丑鱼的增色方法
Holt et al. Advances in cobia research in Texas
CN110833052A (zh) 一种绿鳍马面鲀北育南养技术
Yousif et al. Spawning and hatching performance of the silvery black porgy Sparidentex hasta under hypersaline conditions
CN103975874B (zh) 一种沙塘鳢的网箱生态藻相集约化养殖方法
Ingram et al. Murray cod aquaculture—current information and current status
TWI754568B (zh) 漁電共生養殖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