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620B1 -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 - Google Patents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620B1
KR101252620B1 KR1020120095869A KR20120095869A KR101252620B1 KR 101252620 B1 KR101252620 B1 KR 101252620B1 KR 1020120095869 A KR1020120095869 A KR 1020120095869A KR 20120095869 A KR20120095869 A KR 20120095869A KR 101252620 B1 KR101252620 B1 KR 101252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salmon
buoyancy
water
tr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주
Original Assignee
김동주
주식회사 동해에스티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주, 주식회사 동해에스티에프 filed Critical 김동주
Priority to KR1020120095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는, 담수 또는 해수를 담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수상 또는 수중에서 이동시킬 수 있게 형성된 선체; 상기 공간부에 연결되어 담수를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된 담수 주입부; 상기 선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간부에 해수를 입출시킬 수 있게 형성된 수문; 상기 선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선체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게 형성되는 가변부력체; 및 상기 가변부력체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되는 부력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APPARATUS FOR ADAPTATION AND TRANSFER OF SALMON OR TROUT FOR AQUACULTIVATION}
본 발명은 바다에 설치된 양식장에서 양식될 연어 또는 송어를 순치시키고 이들을 육지와 양식장 사이를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어(salmon) 또는 송어(trout) 양식은 연어 또는 송어를 통제될 수 있는 환경하에서 생육시키고 수확하는 것을 말한다. 양식 연어는 상업적인 어로 활동에 의하여 잡은 자연산 연어와 구분되나, 인공적으로 부화시킨 치어를 방류한 후 자연 상태에서 성장하도록 하는 것은 품종이나 회유 지역을 어느 정도 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순수 자연산이라고 보기 어려운 점도 있다.
송어의 경우 양식법이 성공하여 부분적으로 육상양식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성어의 크기도 큰 연어는 육상양식이 극히 어렵고 주로 바다에서의 양식법이 제안되고 있다. 연어 및 송어는 냉수성 어종으로서 바다 양식의 경우 국내에서는 동해안 지역의 외해(원해)의 수중에서만 양식이 가능하다.
연어 및 송어는 담수 및 해수성 어종으로서 부화 및 치어 단계에서는 담수에서 자라고, 성장 단계에서는 해수에서 자란다. 일반적으로 어류는 환경수의 염분변화에 적응하기 위하여 삼투압 조절 메카니즘을 갖는다. 연어 또는 송어가 담수에서 해수로 또는 해수에서 담수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순치(馴致) 기간을 거치는데, 이러한 순치기간은 이들 어류의 삼투압 조절 메카니즘에 의한 적응이 일정 시간동안 점진적으로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어 또는 송어의 양식을 위하여 부화된 치어를 수중 양식장으로 이송하는 경우 역시, 일정 기간 동안 순치를 시켜야 한다. 이때 치어에게 무리한 방법으로 이동시키거나 순치를 하게 되면 스트레스에 의해 폐사되거나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수중 양식장에서 일정상태로 성장된 연어 또는 송어는 수확하게 되는데, 활어 또는 선어로 수확하여 연안부두로 옮기기 위해서는 적절한 이동 방식이 강구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부화된 치어를 수중 양식장으로 순치시키면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송된 치어를 수중 양식장에 입식시키는 경우 또는 수확시 수중 양식장으로부터 장치로 옮기는 것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를 제시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는, 담수 또는 해수를 담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수상 또는 수중에서 이동시킬 수 있게 형성된 선체; 상기 공간부에 연결되어 담수를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된 담수 주입부; 상기 선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간부에 해수를 입출시킬 수 있게 형성된 수문; 상기 선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선체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게 형성되는 가변부력체; 및 상기 가변부력체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되는 부력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는, 상기 선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선체에 고정부력을 제공하는 고정부력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력체는 공기를 밀폐시킨 통체 또는 발포수지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가변부력체는 내부에 공기 또는 해수를 담을 수 있는 밀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력조절부는, 상기 가변부력체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밸브; 및 상기 가변부력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해수가 유출입될 수 있게 형성된 해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는, 상기 선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대상물에 연결될 수 있는 어도(魚道)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어도부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는 주름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는, 상기 선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간부에 있는 치어를 상기 어도부로 몰기 위한 몰이망(網)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몰이망은 상기 선체의 내측면 일측으로부터 타측면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수문은 상이한 높이를 갖도록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는, 상기 선체를 견인할 수 있도록 일측에 설치된 견인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에 의하면, 이동성이 있는 선체에 순치 시설을 적용한 것으로서, 치어에 줄 수 있는 급격한 염도 변화나 충격 또는 스트레스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장치에 의하여 순치 및 이송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순치단계와 이송단계에 드는 각종 장비나 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몰이망이나 어도는 양식 어류의 취급이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크게 개선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100)를 개념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순치 및 이송장치(100)를 이용하여 순치 및 이송의 과정을 보인 작동 상태도들로서,
도 2는 순치 및 이송 장치(100)에 부력을 제공하여 수면으로 부상시킨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순치 및 이송 장치(100)에 담수를 주입하고 치어를 옮겨 실은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수문(142)을 일정 조건하에서 개방하여 치어를 순치시키고 있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순치 및 이송 장치(100)를 이송시키고 있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순치 및 이송 장치(100)에 의해 이송된 치어를 양식장(C)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상태를 보인 각각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100)를 개념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의하면,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100)는 전체적으로 수상 또는 수중에서 이송이 가능한 형태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순치 및 이송장치(100)는 선체(110), 가변부력체(120), 공기밸브(121), 해수밸브(122), 담수주입부(130) 및 수문(141,142)을 구비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외에도, 순치 및 이송장치(100)는 어도부(160), 고정부력체(170) 및 인양연결부(19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이들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선체(110)는 담수 또는 해수를 담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박스 형태로 되어 있다. 선체(110)의 공간부는 연어 또는 송어의 치어나 수확시 성어를 옮기기 위한 공간으로서, 순치 과정에서 담수와 해수가 섞이기도 한다. 이러한 선체(110)는 바지선이나 임의로 건조된 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기관을 가짐으로써 스스로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선체(110)의 상부에는 위에서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그물 등과 같은 부재에 의해 밀폐시킬 수 있다.
선체(110)의 하부에는 가변부력체(120)가 구비되어 있다. 가변부력체(120)는 선체(110)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선체(110)의 바닥면 또는 측면이나 다른 부위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변부력체(120)는 내부에 공기 또는 해수를 담을 수 있는 밀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변부력체(120)에는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밸브(121)와, 해수가 유출입되기 위한 해수밸브(122)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밸브(121)와 해수밸브(122)는 가변부력체(120)의 부력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부력조절부'라 불릴 수 있다. 공기밸브(121)는 가변부력체(120)에 부력을 형성하기 위하여 공기가 주입되는 것이며, 해수밸브(122)는 공기밸브(121)를 통하여 공기가 주입될 시 개방함으로써 내부에 채워져 있는 해수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반대로 가변부력체(120)의 부력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경우, 공기밸브(121)를 열면 자연적으로 공기가 공기밸브(12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열려진 해수밸브(122)를 통하여 해수가 가변부력체(120)에 채워지게 된다.
담수주입부(130)는 치어를 순치시키기 위하여, 담수 탱크 등으로부터 담수가 공급되는 공급관로 역할을 한다. 순치를 위하여 담수주입부(130)는 개방되어 선체(110)의 공간부에 담수를 채우며, 순치가 완료된 담수주입부(130)는 폐쇄된다.
수문(141,142)은 선체(110)의 공간부에 해수를 입출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이러한 수문(141,142)은 치어의 순치시 내부에 채워진 담수에 대하여 외부에 둘러싸여 있는 해수가 유입되기 위한 관문 역할을 한다. 순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문(141,142)은 개도가 통제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며, 순치가 완료된 후에는 개방됨으로써 선체(110)의 공간부가 주위의 해수와 동일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수문(141,142)은 상이한 높이를 갖도록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과 같이, 선체(110)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1수문(141)과 선체(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수문(142)을 갖는 형태가 가능하며, 이 경우, 먼저 제2수문(142)의 개도를 조절하여 선체(110) 내에 해수가 조금씩 유입되도록 하고, 순치가 완료되면 제2수문(142)과 제1수문(141)을 완전히 개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수문(141,142)은 선체(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서도 복수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1수문(141)의 갯수(N1) 및 제2수문(142)의 갯수(N2)는 복수의 위치에 있는 복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어도부(160)는 양식장(C)에 도착한 순치 및 이송장치(100)의 선체(110) 내에 들어 있는 치어가 양식장(C)으로 옮겨가기 위한 관로이다. 이러한 어도부(160)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는 주름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순치 및 이송장치(100)에 어도부(160)가 포함됨으로써 양식 어류의 이송 과정이 더욱 간편해질 수 있다.
고정부력체(170)는 선체(110)에 고정부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고정부력체(170)는 선체(110)에 대항 임의의 위치 또는 복수의 개소(N3)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공기를 밀폐시킨 통체 또는 발포수지폼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력체(170)는 가변부력체(120)의 부력을 제거한 경우 순치 및 이송장치(100)가 수상 또는 수중의 일정 깊이에 유지될 수 있는 정도의 부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몰이망(180)은 선체(110)의 공간부에 있는 치어(S)를 어도부(160)로 몰 수 있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몰이망(180)은 그물 형태로 구성하되, 선체(110)의 내측면 일측으로부터 타측면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인양연결부(190)는 순치 및 이송장치(100)가 다른 기관배 등에 의하여 예인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인양연결부(190)는 또한 정박시 부두 또는 다른 기관배에 연결되기 위한 계류 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순치 및 이송장치(100)를 이용하여 순치 및 이송의 과정을 보인 작동 상태도들로서, 도 2는 순치 및 이송 장치(100)에 부력을 제공하여 수면으로 부상시킨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순치 및 이송 장치(100)에 담수를 주입하고 치어를 옮겨 실은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4는 수문(142)을 일정 조건하에서 개방하여 치어를 순치시키고 있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순치 및 이송 장치(100)를 이송시키고 있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순치 및 이송 장치(100)에 의해 이송된 치어를 양식장(C)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상태를 보인 각각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순치 및 이송장치(100)의 사용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순치 및 이송장치(100)에 제공하기 위해, 공기밸브(121)에 압축공기통(A)을 연결한 후 공기를 불어 넣으면, 가변부력체(120) 내에 있는 해수는 해수밸브(122)를 통하여 바다로 배출된다. 공기방울이 해수밸브(122)를 통하여 나오게 되면 가변부력체(120) 내에는 공기로 채워진 것이므로 이때 공기밸브(121)를 잠근다. 부력을 가진 순치 및 이송장치(100)는 수면 위로 뜨게 된다.
다음으로, 도 3과 같이, 담수호스(F)를 담수주입부(130)에 연결하여 담수를 선체(110)의 공간부에 채우고, 순치시킬 치어(S)를 넣는다. 이렇게 되면, 순치 및 이송장치(100)에 넣어진 치어(S)의 순치 준비가 된다.
담수가 채워진 후, 도 4와 같이, 상부에 있는 제2수문(142)을 열어 해수가 선체(110)의 공간부로 유입되게 한다. 수문(142)을 점점 낮추면 많은 양의 해수가 유입된다. 이러한 제2수문(142)의 개도 조절은 선체(110)의 공간부에 채워진 담수와 해수의 혼합물의 염도에 따라 점진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일차로 개방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경과한 후에는 추가 개방을 시킴으로써 염도를 높이고 다음 일정 시간동안 순치시키는 과정을 거친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다음과 같은 순치의 과정을 거치도록 할 수 있다.
순치 기간 담수 중량% 해수 중량 %
1-2일 75 25
3-4일 50 50
5-6일 25 75
순치가 완료되면, 도 5와 같이, 제2수문(142)을 완전히 하방으로 개방시키는 한편, 제1수문(141)도 완전히 상방으로 개방시켜 선체(110) 내로 주변 해수가 완전히 유입되도록 한다. 공기밸브(121)를 완전히 열어 가변부력체(120)에 해수가 채워지도록 하게 되면, 선체(110)도 그만큼 가라앉게 되므로 수문(142)의 개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수문(141,142)의 개방과 함께 담수 유입도 중단시킨다. 이때 순치 및 이송장치(100)의 전체 부력은 고정부력체(170)의 부력에 의존하게 된다. 이어서, 인양연결부(190)를 이용하여 순치 및 이송장치(100)를 외해의 양식장(C)으로 이송한다.
도 6과 같이, 양식장(C)에 순치 및 이송장치(100)가 도착하면, 어도부(160)를 양식장(C)의 출입구와 연통시키고 순치된 치어(S)가 양식장(C)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몰이망(180)을 이용하여 어도부(160) 쪽으로 이동시키면 치어(S)는 자연스럽게 어도부(160)를 따라 양식장(C)으로 이동한다. 이송이 완료되면, 순치 및 이송장치(100)는 양식장(C)으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치어에 대한 사육이 완료되어 수확기가 되면, 반대로, 순치 및 이송장치(100)를 양식장(C)에 연결하여 성어가 어도부(160)를 따라 선체(110)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성어인 연어 또는 송어는 활어의 상태로 이송되는 것이며, 이들을 잡기 위해 도구의 사용이 최소화되면서도 많은 양의 성어를 한꺼번에 이송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선어의 형태로 출하하는 경우, 순치 및 이송장치(100)에 얼음물과 해수를 담아 신선도를 유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는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
110: 선체 120: 가변부력체
121: 공기밸브 122: 해수밸브
130: 담수주입부 141: 제1수문
142: 제2수문 160: 어도부
170: 고정부력체 180: 몰이망
190: 인양연결부

Claims (10)

  1. 담수 또는 해수를 담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해안에서 양식장까지의 수상 또는 수중에서 이동시킬 수 있게 형성된 선체;
    상기 공간부에 연결되어 담수를 공급할 수 있게 형성된 담수 주입부;
    상기 선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공간부에 상기 수상 또는 수중의 해수가 입출될 수 있게 형성된 수문;
    상기 선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선체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게 형성되는 가변부력체; 및
    상기 가변부력체의 부력을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되는 부력조절부를 포함하는,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선체에 고정부력을 제공하는 고정부력체를 더 포함하는,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력체는 공기를 밀폐시킨 통체 또는 발포수지폼에 의해 형성된,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력체는 내부에 공기 또는 해수를 담을 수 있는 밀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력조절부는,
    상기 가변부력체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밸브; 및
    상기 가변부력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해수가 유출입될 수 있게 형성된 해수 밸브를 포함하는,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대상물에 연결될 수 있는 어도(魚道)부를 더 포함하는,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도부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는 주름망 형태로 형성된,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공간부에 있는 치어를 상기 어도부로 몰기 위한 몰이망(網)을 더 포함하는,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몰이망은 상기 선체의 내측면 일측으로부터 타측면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은 상이한 높이를 갖도록 복수 개로 설치된,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를 견인할 수 있도록 일측에 설치된 견인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


KR1020120095869A 2012-08-30 2012-08-30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 KR101252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869A KR101252620B1 (ko) 2012-08-30 2012-08-30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869A KR101252620B1 (ko) 2012-08-30 2012-08-30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2620B1 true KR101252620B1 (ko) 2013-04-11

Family

ID=48442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869A KR101252620B1 (ko) 2012-08-30 2012-08-30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6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3425A (zh) * 2013-11-06 2014-02-19 中国长江三峡集团公司中华鲟研究所 野生长鳍吻鮈陆基池塘网箱驯养方法
KR20200012383A (ko) 2018-07-27 2020-02-05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바숑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및 양식방법
KR20200012389A (ko) 2018-07-27 2020-02-05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바숑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양식장
KR20200045317A (ko) 2018-10-22 2020-05-04 윤숙 활어용 운반선
CN112913725A (zh) * 2021-01-25 2021-06-08 上海海洋大学 一种黑鲷鱼的野化训练装置及野化训练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312A (ko) * 1998-04-11 1998-07-06 배평암 침하식 어류 가두리 양식장치
KR20040051742A (ko) * 2002-12-11 2004-06-19 성낙술 가두리 양식장
KR20070083802A (ko) * 2004-10-29 2007-08-24 오션 팜 테크놀러지즈 인코포레이티드 어류 양식용 격납 펜
KR100979406B1 (ko) * 2010-03-11 2010-09-01 전라남도 송어 및 연어류의 해수순치 및 양식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312A (ko) * 1998-04-11 1998-07-06 배평암 침하식 어류 가두리 양식장치
KR20040051742A (ko) * 2002-12-11 2004-06-19 성낙술 가두리 양식장
KR20070083802A (ko) * 2004-10-29 2007-08-24 오션 팜 테크놀러지즈 인코포레이티드 어류 양식용 격납 펜
KR100979406B1 (ko) * 2010-03-11 2010-09-01 전라남도 송어 및 연어류의 해수순치 및 양식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3425A (zh) * 2013-11-06 2014-02-19 中国长江三峡集团公司中华鲟研究所 野生长鳍吻鮈陆基池塘网箱驯养方法
KR20200012383A (ko) 2018-07-27 2020-02-05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바숑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및 양식방법
KR20200012389A (ko) 2018-07-27 2020-02-05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바숑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양식장
KR20200045317A (ko) 2018-10-22 2020-05-04 윤숙 활어용 운반선
CN112913725A (zh) * 2021-01-25 2021-06-08 上海海洋大学 一种黑鲷鱼的野化训练装置及野化训练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2442B2 (en) Apparatus for shellfish aquaculture
KR101252620B1 (ko)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
CN100394846C (zh) 综合海产养殖系统
ES2962341T3 (es) Sistema y método para la acuicultura usando criaderos flotantes de contención cerrada
CN102939924B (zh) 一种拟目乌贼人工育苗的方法
CN102318575B (zh) 一种利用网箱养殖江豚的方法
CN210017492U (zh) 养殖工船或养殖平台用立体分层养殖装置
CN112021240A (zh) 一种双体可移动养殖工船
US82308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migratory fish
CN105994084B (zh) 一种流动水域中使用的养鱼装置及其构成的养殖系统
CN104938442A (zh) 一种大水面捕捞方法
KR20200092089A (ko) 먹이 급이가 용이한 외해 중층 가두리 양식장
US20010029694A1 (en) Fish trap habitat system
CN102293168A (zh) 单浮管可潜浮式集约化海珍品养殖装置
CN107114287A (zh) 鲑鱼类水中养殖装置
AU2015202133B2 (en) An artificial reef structure
CN210017491U (zh) 一种养殖工船或养殖平台用立体分层养殖装置
CN101146441A (zh) 新型鱼笼
CN101836610B (zh) 浮筏培育重壳青蟹的方法
AU2008264237A1 (en) Aquaculture growing platforms
CN101755695B (zh) 浮筏培育软壳蟹的方法
KR101723422B1 (ko) 연어류의 수중 양식 장치
CN213074049U (zh) 大小网衣套网网箱
KR101725614B1 (ko) 축제식 양식장에서 복합양식을 위한 조개류 양식 장치
JP2004305042A (ja) ヒラメ・カレイ等の底層魚類の海底養殖方法とその給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