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406B1 - 송어 및 연어류의 해수순치 및 양식 방법 - Google Patents

송어 및 연어류의 해수순치 및 양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406B1
KR100979406B1 KR1020100021696A KR20100021696A KR100979406B1 KR 100979406 B1 KR100979406 B1 KR 100979406B1 KR 1020100021696 A KR1020100021696 A KR 1020100021696A KR 20100021696 A KR20100021696 A KR 20100021696A KR 100979406 B1 KR100979406 B1 KR 100979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salinity
fish
trou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한
전영호
황인호
진판동
이정호
김은희
신관호
권승배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100021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수에서 부화하여 성장한 어류의 치어를 낮은 염도에서 높은 염도로 적응시켜 해수에서 양식이 가능하게 하는 해수 순치 및 양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수 순치 및 양식 방법은 송어 및 연어류의 치어를 사육조 내로 이동시키고, 상기 사육조 내의 용수의 염도를 연속적으로 증가시켜 해수에 상응하는 염도에서 생존 가능하도록 적응시키는 해수적응단계와, 상기 해수적응단계를 거친 어류를 해수에서 양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송어 및 연어류의 해수순치 및 양식 방법 {Sea water acclimation and culture method of rainbow trout and salmon}
본 발명은 송어 및 연어류의 해수 순치 및 양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담수에서 부화하여 성장한 어류의 치어를 낮은 염도에서 높은 염도로 적응시켜 해수에서의 양식을 가능하게 하는 해수 순치 및 양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삼투압 조절 능력을 이용하여 양식이 가능한 어류는 연어, 송어, 무지개송어, 산천어, 철갑상어 등으로 연어, 송어, 철갑상어는 담수에서 태어나 해수로 이동하여 성장한 뒤, 산란을 위하여 태어난 곳으로 다시 돌아오는 습성이 있으며 무지개송어와 산천어는 담수에서 자라는 송어의 일종이라고 알려져 있다.
연어(魚, chum salmon/keta salmon, Oncorhynchus keta)는 연어목 연어과의 회귀성 어류이다.
연어의 몸은 긴 원통 모양이며 옆으로 다소 납작하다. 송어와 생김새가 비슷하지만 송어보다 몸의 폭이 좁다. 머리가 원뿔 모양이고 주둥이가 나와 있으며 이빨은 뾰족하다. 송어나 산천어처럼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 사이에는 기름지느러미가 붙어 있다. 몸 빛깔은 등 쪽이 어두운 청색이고 배 쪽이 은백색을 띠지만, 산란기가 되어서 강으로 거슬러 올라오면 몸 색깔이 더욱 진해지고 몸 옆면에 붉은 빛의 불규칙한 무늬가 나타난다.
다 자란 연어는 북태평양의 수심 0~250m인 지역에서 생활하며 주로 갑각류나 작은 물고기 등을 먹고 산다. 산란기가 다가오면 자신이 태어난 강으로 거슬러 올라가고, 암컷과 수컷 모두 몸 색깔이 변하여 혼인색을 띠며 이때부터는 먹이를 먹지 않는다. 이 시기의 수컷은 턱이 길어져서 구부러지고, 이빨이 강해지며 등이 볼록하게 솟는다. 수심이 3m 이내이고 유속이 20cm/s 정도인 강 상류의 물이 맑고 자갈이 깔려 있는 곳에서 산란이 이루어지는데, 암컷과 수컷은 크기 1m, 깊이 40cm 정도의 웅덩이를 파서 알을 낳을 곳을 마련한다. 암컷은 2~3회에 걸쳐 700~7,000개의 알을 낳으며, 동시에 수컷이 알을 수정시킨다. 알 낳기를 마친 암컷은 꼬리를 이용해 모래로 알을 덮는다. 짝짓기를 마친 암컷과 수컷은 또 다른 상대를 만나 짝을 짓기도 하며, 짝짓기가 완전히 끝나서야 죽는다. 수정된 알은 8~10℃에서 약 60일이 지나면 부화하며 이듬해 봄이 오면 바다로 내려가 생활한다. 보통 3~5년이 지나면 성숙하여 짝짓기할 수 있으며 최대 6년까지 사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송어(松魚, cherry salmon/masou salmon, Oncorhynchus masou)는 시마연어라고도 한다. 몸길이 약 60cm이다. 몸은 연어보다 몸이 굵고 둥글며 약간 옆으로 납작하다. 주둥이는 연어보다 무딘 편이고, 비늘은 둥근 비늘(원린)이다.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 사이에 기름지느러미가 있고 꼬리지느러미는 얕게 갈라져 있다.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는 모양이 비슷하고 수직선상에 거의 나란히 붙어 있다. 측선(옆줄)은 완전하고 몸 양쪽 옆면의 거의 중앙부에 곧게 달려 있다.
몸 빛깔은 성어의 경우 등 쪽이 짙은 남빛이고 배 쪽은 은백색이며, 옆구리에는 작은 암갈색 반점이 있다. 유어는 어두운 녹황색 바탕에 측선에서 등 언저리까지에는 엷은 회색에 가까운 은색을 띤다. 눈 둘레는 검은 빛을 띠며 눈알에는 검은 반점이 흩어져 있다. 유어의 가슴지느러미·배지느러미·뒷지느러미는 엷은 오렌지색으로 지느러미의 연조는 흑회색이다.
산란기는 9∼10월이며 암컷과 수컷이 다같이 검은 갈색으로 변하고 수컷은 주둥이가 길어져 구부러지며 몸의 양쪽 옆면에는 복숭아색의 불규칙한 구름무늬가 나타난다. 산란기가 되면 암컷과 수컷이 다같이 바다에서 강으로 올라온다. 물이 맑고 자갈이 깔린 여울에서 수컷이 웅덩이를 파고 산란과 방정을 한 뒤에 암컷이 자갈로 알을 덮는다. 부화한 알은 약 1년 반에서 2년 동안 강에서 살다가 9∼10월에 바다로 내려가고 3∼4년이 지나 강으로 되돌아와 산란 후 모두 죽는다. 바다로 내려가지 않고 강에 남아서 성숙한 것을 산천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강 상류의 물이 맑은 곳에 서식하며, 주로 곤충을 먹지만 작은 어류·갑각류도 먹는다. 무리를 이루어 다니며 고급 식용어로 알려져 있다. 오호츠크해·동해 등 북서태평양에 분포한다.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는 연어목 연어과의 민물고기로, 산란기에 붉은색의 무지개빛을 띄어 무지개송어라고 불리며 원산지가 북아메리카 알래스카에서 캘리포니아까지이다. 국내에는 1965년 1월 3일 정석조 씨가 미국 캘리포니아의 국립양식장에서 알 1만개를 들여온 것이 시초이다. 도입자의 이름을 따서 석조송어라고도 한다. 몸길이는 약 80cm이다. 입의 크기는 보통으로 아주 작은 이빨을 가지고 있으며 창자는 짧고 곧게 뻗어 있다.
몸 표면에 연어에서와 같은 담적색의 넓은 가로줄이 8∼12개 정도가 치어 때에는 있으나 성장함에 따라 불투명해지고 1년 이상이 되면 없어진다. 이것을 팔마크(parr mark)라고 한다. 자랄 때에는 몸표면에 1개의 적자색 줄이 머리 부분에서 꼬리 기부(origin:기관 또는 부속기관이 몸통과 연결되는 부위 중 가장 앞 쪽 끝 지점)까지 생긴다. 몸의 등쪽에서 옆면까지는 약간 노란색을 띤 녹청색이며 배쪽을 제외하고 몸통에 검은 점이 흩어져 있다.
무지개송어도 냉수성 물고기로 우리나라에 도입된 종은 일생 동안 강에서만 서식하며 강 상류나 산 속의 호수에 서식한다. 주된 먹이는 수생곤충, 부유생물, 작은 연체류와 갑각류 및 작은 물고기 등이다. 산란기는 자연에 서식하는 경우에는 봄에, 우리나라에 도입된 무지개송어는 일반적으로 봄·가을 두 시기가 있으며, 우리나라에 도입된 양식종 무지개송어는 10월~3월에 산란하고 북미의 자연산 송어는 봄(4~6월)에 산란한다. 최근에는 광주기 조절 등을 통하여 산란기간을 앞당기거나 늦추기도 한다. 다른 물고기에 비해서 성장이 빠르고 번식력이 강하며 맛도 좋아 양식 대상 물고기로 인기가 있다. 수명은 7~8년 정도이나 현재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무지개송어는 일생을 담수에서 보내는 종으로 그 수명은 3~5년으로 알려져 있다. 캐나다, 미국, 남아메리카, 일본,·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남아프리카 등지에 분포하는 국제적인 어류이다.
산천어는 주로 한국, 일본, 알래스카 등지에 분포하는 연어과의 담수어로, 몸은 송어보다 작은 편으로 몸의 길이는 40cm 정도이며 등 쪽은 짙은 청색, 옆구리는 엷은 적갈색에 타원형의 얼룩무늬가 있다.
송어와 산천어의 관계를 보면 송어의 산란기는 9월 내지 10월로, 송어 암컷이 산란장을 찾아 바다에서 계곡의 상류로 거슬러 오르기 시작하면 산천어 수컷이 떼를 지어 마중 나와 암컷의 뒤를 따라 계곡의 상류로 이동하게 되고, 송어 암컷이 자갈을 파고 산란을 하면 산천어 수컷이 그 위에 정액을 사정하여 수정시키게 되고, 산란을 끝낸 송어 암컷은 대부분 죽게 된다. 수정후 부화된 치어들은 계곡 언저리에서 겨울을 지낸 뒤 다음해 봄에 하류으로 내려간다. 다만 수컷들은 계곡에 머물게 되고 암컷들은 가을철 바다로 내려가 성어가 될 때까지 자라게 된다.
자연상태에서의 산천어는 대부분이 수컷이고 인공양식 상태에서는 암수가 공존하는 관계로 학자에 따라 송어의 육봉형 수컷이 산천어라고 보기도 한다.
철갑상어(Acipenser sinensis)는 철갑상어목 철갑상어과의 바닷물고기로 보통 민물에서 태어나 바다에서 평균 10년 내지 15년을 성장한 뒤 연어처럼 태어난 강으로 돌아와 산란을 한 후 다시 바다로 내려가 일생을 보낸다. 몸은 긴 원통 모양이고 주둥이가 길며 뾰죽하다. 몸은 5개의 세로줄이 있는 판 모양의 단단한 비늘로 싸여 있다. 입은 아래쪽에 있고 수염이 4개 있다. 성어의 양쪽 턱에는 이가 없다. 각 골판줄 사이의 피부는 드러나 있다.
철갑상어는 북회귀선 이북에 널리 분포돼 있으며 주로 러시아 카스피해를 중심으로 살고 있는데, 그 알은 세계 3대 진미의 하나인 캐비아(caviar)로 가공되고, 어육은 복어풍회, 샤브샤브, 마리네풍, 일식, 양식, 중식요리로 다양하게 이용되며. 머리, 내장, 연골, 껍질, 뱃살 등도 스프 등의 조리에 쓰인다. 또한 철갑상어는 백색어류로 육질은 씹는 맛이 좋고, 보존성 또한 매우 뛰어나며, 담수어 특유의 흙냄새 같은 해감내가 전혀 없고 저지방이며 고단백이고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고도 불포화지방산이 다른 담수어에 비해 많이 함유돼 있어,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아 고가의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야생 철갑상어는 27종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는데 자원이 급격히 감소하여 멸종위기 어종으로 지정됨에 따라 철갑상어 포획이 금지 내지는 규제 받고 있어 자연산 캐비어의 가격이 급등함에 따라 미국, 일본, 이탈리아, 중국, 이란 등 세계 각국이 철갑상어 양식 붐을 이루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96년 3월 특정 야생동식물 보호어종으로 지정되어 현재 포획이 금지되고 있다.
최근 들어 멸종위기에 처한 철갑상어를 보존하고 새로운 양식 어종개발을 통해 어육과 캐비아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미국, 러시아, 프랑스, 일본 등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철갑상어의 양식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으며 철갑상어의 종 확보와 사육, 부화 및 기초시험을 실시하는 등 많은 투자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양식 어종의 다양화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캐비아의 국내생산을 위해 정부와 지방 자치단체 및 민간 등에서 연구활동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해수적응단계를 이용하여 어류의 해수순치를 하는데, 해수적응단계는 어류의 치어를 사육조 내로 이동시키고 어류의 삼투압 조절능력을 이용하여 사육조 내의 용수의 염도를 연속적으로 증가시켜 해수에 상응하는 염도에서 생존가능하도록 적응시키는 단계이다. 해수순치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어류들이 체액의 삼투질 염도를 거의 일정하게 조절하는 삼투압 조절능력을 가지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담수 어류의 경우는 체액이 환경수보다 염도가 높아 수분이 아가미, 소화기관, 표피 등을 통해 계속해서 체내로 침투한다. 이에 적정량의 체내 수분유지를 위해 신장에서 묽은 오줌을 만들어 대량으로 체외방출을 하여 체내 수분을 유지하게 된다. 이 때 오줌과 함께 배출되는 Na+ 등의 1가 이온은 신장과 방광 등의 조직 상피에서 흡수하고, 먹이 등에 포함된 염류는 장내 상피세포에서 흡수한다. 또한 아가미의 새 변에 담수형의 염류세포가 있어 액포상의 proton ATPase 효소의 작용으로 염류를 흡수하여 체액의 염도를 유지한다.
해수 어류의 경우는 체액이 환경수보다 염도가 낮기 때문에 생리적인 탈수현상을 막기 위해 다량의 해수를 체내로 유입시켜 장에서 수분을 흡수한다. 과잉 유입된 Na+ 등의 1가 이온은 아가미 새 변의 해수형 염류세포를 통해 밖으로 배출하고 오줌은 극소량으로 배출하여 체내 수분을 유지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체내 삼투압을 조절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해수 어류와 담수 어류의 삼투압 조절기능이 정반대의 현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가미 새 변의 염류세포의 종류와 신진대사 체계의 역할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며, 예를 들어 어류와 같이 해수와 담수를 왕래하며 서식하는 회귀성(回歸性) 어류와 소하성(溯河性) 어류는 담수와 해수 등의 환경수 변화에 따라 아가미 새 변의 염류세포가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면서 체내 신진대사체계의 기능도 변환되어 삼투압 조절 능력을 갖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삼투압 조절은 단시간 내에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회귀성 어류와 소하성 어류가 강과 바다를 오갈 때 담수와 해수가 합쳐지는 기수구역에서 염도변화에 따르는 원만한 적응을 위해 보통 7일 내지 15일간 머무르며 삼투압 조절을 통해 교차 적응을 한 후 해수나 담수로 진입하게 된다.
해상어류양식에 있어서 남해안의 주요 양식품종으로 저수온에 비교적 강한 어종인 조피볼락이 많이 양식되고 있다. 또한 저수온에 약하지만 비교적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는 돔류를 양식하는 어가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저수온에 약한 어류들은 겨울철 저수온기에 대량폐사가 빈번하게 발생, 많은 양식어가들이 겨울철 양식을 기피함에 따라 11월부터 익년 5월까지 많은 어장에서 가두리양식장을 비워두고 있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겨울철에 비어있는 유휴 가두리양식장을 이용하여 냉수성 어류를 순치 양식하여 경제성 및 성장, 생존율, 성분 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현장 실용화 조건을 검증하여 침체에 빠져있는 가두리 양식의 경쟁력 강화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렇게 해수순치된 어류들은 기존 담수에서 양식한 어류와 달리 해수 어류만을 취급하는 업체에서도 별도의 담수 어류용 장비 및 시설을 구입하지 않고도 기존에 사용하던 해수 어류용 장비 및 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820041호(발명의 명칭 “삼투압 조절능력을 이용한 어류의 양식방법”)가 언급될 수 있으며, 이 특허문헌에는 염도의 상승을 일정시간마다 3.4퍼밀씩 단계적으로 높인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 염도를 3.4퍼밀씩 주기적으로 상승시키게 되면 많은 치어들이 그 변화된 상황에 적응하지 못하고 절명하게 된다(본 발명의 실시예 참조). 이 외, 한국공개특허 제 2009-111066호(발명의 명칭 “철갑상어의 해수순치 방법 및 이의 유통방법”)가 있으나 이 역시 치어의 순응성에 있어서 원하는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또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04-105908호(발명의 명칭 “국립수산과학원 제 1호 로티퍼 스트레인 및 그의 해수순치 배양 방법”)는 어류 사료로서의 동물플랑크톤인 로티퍼 스트레인의 해수순치에 관련된 기술로 이 역시 염도 상승은 불연속적인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송어 및 연어류를 해수순치하여 양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어 및 연어류의 해상양식기술을 개발하여 양식어가의 수익을 높이고 식품안전성이 확보된 양식수산물을 생산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송어 및 연어류의 해수순치 및 양식 방법은,
담수에서 자란 어류의 치어를 용존산소량이 8㎎/ℓ 이상으로 유지되고 담수 및 해수가 혼합된 5퍼밀 이하의 사육조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5퍼밀 이하의 사육조의 염도를 30퍼밀로 연속적으로 염도를 증가시키는 어류의 해수적응단계; 및
상기 해수적응단계를 거친 어류를 해상가두리에서 양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용존산소량은 가장 적절하게는 10~11㎎/ℓ이 좋다. 용존산소량이 5㎎/ℓ 이하로 내려가면 호흡곤란을 일으킨다(냉수성어류의양식 : 김인배 부경대 명예교수).
본 발명에 따른 양식방법에 양식되는 어류로는 담수어류와 해수어류의 삼투압 조절능력을 둘 다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어류가 적합하며, 이들의 예로 철갑상어, 연어, 송어, 산천어 및 무지개송어가 적합하다.
상기 해수적응단계는,
어류의 치어를 5퍼밀 이하의 담수 및 해수가 혼합된 사육조에 입식하는 단계;
이 후, 2~6시간 동안 염도 농도를 연속적으로 10퍼밀까지 상승시키는 단계; 이 후, 22~26시간 동안 염도를 연속적으로 16퍼밀까지 상승시키는 단계; 이 후, 18~22시간 동안 염도를 연속적으로 24퍼밀까지 상승시키는 단계; 이 후, 3~5일 동안 염도를 24퍼밀로 유지하는 단계; 이 후, 12~24시간 동안 염도를 연속적으로 30퍼밀까지 상승시키는 단계; 이 후, 3~5일 동안 염도를 30퍼밀로 유지하는 단계; 이 후, 해수순치된 어류를 해상가두리로 이동 입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염도의 조절은 담수와 해수를 혼합시켜 연속적으로 사육조 내에 혼합하여 용수의 염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를 위해 혼합수조에 담수와 해수의 투입량 조절로 염도를 상승시키고 이 용수를 사육조(순치용 수조)에 지속적으로 분사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순치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수량은 혼합조로 다시 유입되어 사육조로 분사되는 순환식이 병행될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상기 해수적응단계에서 사용되는 장치로는, 치어가 사육되는 제 1 사육조; 해수와 담수가 혼합되어 채워져 있으며, 상기 제 1 사육조에 상기 해수와 담수의 혼합물이 공급되게 하는 구성을 갖는 혼합조; 상기 혼합조로부터의 상기 해수와 담수의 혼합물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며 상기 혼합조로 담수 풍부 유입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하는 구성을 갖는 제 2 사육조를 포함하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사육조에서의 염도는 상기 혼합조로부터의 해수와 담수의 혼합물의 연속적인 유출입에 의해 조절되며(도 3 및 도 5 참조) 상기 두 개의 사육조의 용도는 동일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혼합조의 담수와 해수의 혼합수는 펌프에 의해 제 1 및 제 2 사육조에 강제 주입되고, 제 1 및 제 2 사육조에 있는 사육수는 제 1 및 제 2 사육조의 수위차에 의하여 사이폰호스를 통하여 상기 혼합조로 유입된다. 즉, 혼합조에는 해수+담수+1사육조용수+2사육조용수가 혼합되는 과정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는데 1, 2사육조의 용수가 혼합조로 들어옴으로 인해 급격한 염분의 변동이나 수질의 변화를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조절이 될 수 있게 한다.
상기 방법으로 사용 용수를 유수식으로 관리하면서, 지속적이고 완만하게 염분을 상승시켜 순치용 무지개송어가 염도의 상승에 쉽게 적응할 수 있다.
또한 충분한 산소공급을 위해 액화산소, 에어블로아를 활용한 폭기, 순환모터를 사용한 공기용해장치 등을 설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설비로 인해 순치대상 어류의 염도 상승 이외의 요인에 의한 스트레스가 제거될 수 있다.
순치 전 어류 치어 상태는 철갑상어의 경우는 부화 11주, 송어류나 연어류는 200g 내외가 적절하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삼투압 조절능력을 이용한 어류의 양식방법에 의하면, 담수에서 부화하여 성장한 어류를 해수순치를 위한 사육조에서, 저염도부터 해수염도에 상응하는 고염도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염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어류가 해수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적응시켜 양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존의 어류 양식의 경우 겨울철 월동을 위하여 에너지 소비형 가온이나 생리기능저하를 유도하는 절식위주의 양식을 시도하였는데, 본 발명은 냉수성 어류인 연어, 철갑상어, 송어, 산천어 및 무지개송어를 해상가두리 양식에 성공하여 기후친화적 양식에 성공하였다. 이로써 동절기 유휴가두리를 활용할 수 있는 확실한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동절기 어류생산의 기근과 어류의 월동문제, 동절기 휴업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의 어류양식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의 하절기 중심의 어류양식은 태풍, 적조 등 자연재해로 몸살을 앓아 왔으나 동절기 중심의 해상 어류양식 시스템 실현으로 자연재해 없는 어류양식 모델을 제시하여 피해복구로 소진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더구나 상기 어류들은 해상가두리 뿐만 아니라 육상양식장에서도 충분히 양식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타 어종일 경우 가온비 등 생산비의 부담이 크지만 무지개송어는 가온이 전혀 필요 없는 냉수성 어류인 장점이 있으며, 지하해수가 개발된 육상양식장의 경우 연중 양식이 가능하다. 특히 무지개송어의 경우 현재 담수에서 양식을 하는 주요 품종이나 유전적으로 해수에 순치 가능한 품종으로, 여러 실험적 논문에서도 그 가능성이 확인 및 검증되었을 뿐만 아니라 담수에서보다 해수에 순치하여 사육하였을 때 성장이 월등하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며, 또한 냉수성 어류인 점을 감안하여 볼 때 겨울철 남해안 빈 가두리 양식장에서 양식을 할 경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두리 양식어가의 경영개선에 크게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기호성 때문에 담수어를 기피하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추어 해수에서 생산함으로써 기호성을 해결하고, 값싼 중국산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는 국내산 활어 양식산업의 경쟁력 제고에도 크게 기여하고 담수사육의 백점충과 바이러스로 인한 피해도 해결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어류의 해상가두리산업이 정착 및 발전할 경우 이를 활용한 통조림이나 훈제 및 염가공품의 개발과 이를 위한 가공산업의 발달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산지가공공장이 위치한 어촌지역의 고용창출과 소득향상에도 기여함은 물론 송어의 대중식품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어 및 연어류의 해수순치 및 양식 방법의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어 및 연어류의 해수적응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해수적응단계에서 사용되는 순치용 장치의 평면도 및 사육용수 운용시스템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5는 수위차를 이용한 재사육수의 혼합조 유입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실시예 1. 무지개송어의 해수 순치>
해수순치로는 평균무게가 204g, 평균길이 25.4cm인 무지개송어 치어 2000미를 사용하였다.
해수순치는 담수와 해수의 투입량 조절로 염도를 상승시킨 용수를 사육조(순치용 수조)에 지속적으로 분사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순치하였는데 일부수량은 혼합조로 다시 유입되어 사육조로 분사되는 순환식이 병행되었다.
순치용 사육시설은 육상의 기존 넙치양식장 팔각형 사육조(8m x 8m) 3개를 각각 담수 및 해수 혼합용 수조 1개, 사육용 수조(순치용 수조) 2개로 사용하여 해수순치를 실시하였다.
혼합조의 담수와 해수의 희석을 위하여 에어스톤 16개를 이용한 에어레이션을 지속적으로 하였으며 사육조에는 순환펌프를 각 1개씩 설치하여 수조내 사육수를 순환시키며 액화산소를 주입하여 용존산소량을 8㎎/ℓ 이상으로 유지하였다. 혼합조에서 사육조로의 주수는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수면위에 직사하는 방식을 취하여 수면으로부터 산소가 녹아들어갈 수 있도록 조치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사육조내의 수위가 올라가고 혼합조의 수위가 내려가면 수위차에 의하여 사이폰호스를 통해 사육수의 일부가 혼합조로 다시 들어오게 하여 사육조와 혼합조간의 염도차를 최소화하였다(도 3 내지 도 6 참조).
순치 최초단계로 5퍼밀의 염도에서 순치를 시작하여 이후 담수 주입량은 고정시킨 상태에서 해수주입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여 4시간 동안 10.6퍼밀까지 연속적으로 염도를 상승시켰으며, 동일한 방식으로 24시간 동안 16.4퍼밀로 상승시켰다. 계속해서 30시간 동안 24퍼밀로 상승시키고 이후, 4일간 24퍼밀의 염도를 유지하였다. 이후에는 18시간 동안 30퍼밀로 높인 후 4일 동안 유지시켜 사육한 후, 소조시를 이용 해상가두리에 선박을 이용하여 순치된 어류를 입식하였는데 이로 인한 해수 순치기간은 총 11일이었다(도 1 및 도 2 참조)
순치기간 동안 약 3일째부터 염세포 발달에 의한 아가미부분과 그 아래 복부쪽으로 붉은색의 염세포 띠가 관찰되었다.
해상가두리는 도양읍 화도지선의 가두리를 15m×15m×4m를 1조를 임차하여 사용하였으며, 가두리 1조를 4칸으로 구획하여 3칸에 수용하여 양성하였다.
<비교예 1. 염도의 불연속 상승>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양식 조건에서 무지개송어를 양식하되 해수적응단계의 염도 상승을 연속적으로 하지 않고 불연속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최초 5퍼밀의 염도에서 순치를 시작하여 4시간 동안 유지하다가 즉시 10퍼밀까지 염도를 즉시 상승시켰으며, 10퍼밀의 염도를 24시간 동안 유지하다가 이후 바로 염도를 16퍼밀로 상승시켰다. 계속해서 30시간 동안 16퍼밀을 유지하다가 이후 즉시 24퍼밀로 염도를 상승시켰다. 이후, 4일 18시간 동안 24퍼밀의 염도를 유지하였다. 이후 30퍼밀로 염도를 즉시 높인 후 4일 동안 유지시켜 사육한 후, 소조시를 이용 해상가두리에 선박을 이용하여 순치된 어류를 입식하였는데 이로 인한 해수 순치기간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총 11일이었다.
<비교예 2. 말기 해수순치>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양식 조건에서 무지개송어를 양식하되 해수 적응단계를 중량이 200g 전후의 상태가 아닌 800g 전후의 상태까지 담수에서 양식한 이후 수행하였다.
<비교예 3. 염도의 불연속 상승 및 말기 해수순치>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양식 조건에서 무지개송어를 양식하되 해수 적응단계를 중량이 200g 전후의 상태가 아닌 800g 전후의 상태까지 담수에서 양식한 이후 수행하였고, 해수적응단계를 2일 간격으로 5퍼밀씩 염도의 변화를 계단식으로 상승시켰다.
<비교예 4. 담수 양식 송어>
무지개송어를 양식하되 담수에서만 양식하였다. 해수순치 및 해수양식 조건 이외의 기타 양식 조건은 실시예와 동일하였다.
<실험예 1. 무지개송어의 성장도 및 폐사율 비교>
먼저 각 양식조건에서의 무지개송어의 성장도 및 폐사율을 비교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의 내용을 확인하면 본 발명의 방법대로 해수순치된 무지개송어가 다른 조건에서 양식된 무지개송어보다 길이가 더 길고, 중량이 더 나갔으며, 총 폐사율도 낮았다.
종류 길이(cm) 중 량(g) 총 폐사율(%)
실시예 1 49.8 1,216 15.0
비교예 1 47.5 1,099 30.5
비교예 2 48.4 1,115 19.3
비교예 3 47.2 1,054 25.5
비교예 4 46.9 1,005 23.5
<실험예 2. 무지개송어 성분 분석>
순치 방법에 따른 송어의 성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각각의 순치 조건에서의 송어를 전남대학교 기자재관리단에 의뢰하여 수행하였다.
2-1. 유리아미노산 분석
유리아미노산 분석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Taurine 성분은 실시예 1의 무지개송어가 약 41mg/100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Glutamic acid, Lysine, Ammomia, Arginine, Histidine과 Carnosine 성분도 높았다.
Urea, Sarcocine, β-alanine, Ornitine 성분은 비교예 4의 무지개송어가 가장 높았으며,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실시예 1의 무지개송어가 460 mg/100g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1의 무지개송어에서 가장 많은 양을 함유한 유리아미노산은 Carnosine으로 약 133mg/100g를 함유하고 있었다.
성분(mg/100g)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Phsphoserine 0.516 0.603 0.612 0.622 0.632
Taurine 41.055 35.623 32.342 31.52 30.499
Phosphoethanolamine 0.270 1.234 1.634 1.723 1.852
Urea 23.804 56.345 98.455 99.345 118.732
Aspartic acid 1.511 3.423 4.278 4.345 4.562
Hydroxyproline 0.000 0.000 0.000 0.000 0.000
Threonine 5.030 5.342 5.454 5.423 5.653
serine 5.082 7.345 10.345 10.234 11.095
Asparagine 0.408 0.234 0.123 0.125 0.000
Glutamic acid 9.944 7.345 4.434 4.452 4.761
Sarcocine 0.000 21.234 84.234 83.234 97.800
α-aminoadipic acid 0.000 0.234 0.833 0.844 0.899
Proline 3.322 4.123 4.234 4.522 4.722
Glycine 37.662 32.234 12.234 12.033 12.159
Alanine 10.685 11.335 12.341 12.234 12.397
Citrulline 2.988 2.754 2.032 1.994 1.821
α-aminobutyric acid 0.000 0.000 0.000 0.000 0.000
Valine 6.272 5.345 2.495 2.403 2.390
Cystine 0.000 0.134 0.204 0.205 0.213
Cysthathionine 0.000 0.000 0.000 0.000 0.000
Methionine 0.198 0.423 1.234 1.255 1.263
Isoleucine 2.339 2.004 1.234 1.236 1.135
Leucine 6.084 4.234 2.645 2.345 2.189
Tyrosine 4.172 3.545 1.634 1.345 1.164
phenylalanine 4.787 4.234 1.993 2.021 1.699
Homocystine 0.000 0.000 0.000 0.000 0.000
β-alanine 0.025 0.125 12.354 12.532 13.356
β-aminoisobutyric acid 2.063 1.686 0.112 0.152 0.000
γ-amino-n-butyric acid 0.037 0.021 0.000 0.000 0.000
Histidine 108.458 64.234 2.425 2.435 1.678
3-methylhistidine 1.764 1.534 0.113 0.135 0.000
1-methylhistidine 0.000 0.000 0.000 0.000 0.000
Carnosine 133.574 87.345 0.434 0.634 0.107
Anserine 0.027 0.342 0.511 0.512 0.054
Ornitine 0.423 0.775 2.123 2.125 2.262
Lysine 11.051 8.234 5.001 5.123 4.974
Ammomia 33.851 20.123 13.234 12.423 11.337
Ethanolamine 0.035 0.056 0.123 0.111 0.126
Arginine 2.937 2.234 0.102 0.012 0.000
Total 460.373 410.212 366.345 374.345 351.532
2-2. 무기질 성분 분석
무기질 성분 분석의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조건
무기질 성분(mg/100g)
Ca Fe K Mg Mn Cu Na Zn
실시예 1 9.2 ND 550.7 70.7 ND ND 37.4 0.16
비교예 1 12.4 ND 525.2 67.2 ND ND 45.7 0.21
비교예 2 21.6 ND 520.2 64.9 ND ND 43.6 0.23
비교예 3 24.5 ND 519.3 65.3 ND ND 52.7 0.25
비교예 4 39.3 ND 517.1 64.3 ND ND 56.4 0.29
무기질 성분 분석의 결과, 비교예 4의 무지개송어가 Ca 성분의 함량이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K 성분은 실시예 1의 무지개송어가 다른 것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외 Mg, Na, Zn 성분은 근소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무지개송어의 무기질 성분은 전체적으로, 가장 많은 성분은 K 성분으로 Na 성분의 10배 이상이었다. 다음으로는 Mg 성분, Na 성분, Ca 성분 순이었다. 또, Zn 성분이 가장 양이 적게 나타났다.
2-3. 구성아미노산 성분 분석
구성아미노산 성분의 분석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구성아미노산(mg/100g)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Aspatic acid 1481.5 1409.3 1395.2 1354.6 1303.2
Threonine 729.6 634.4 534.5 522.4 496.5
Serine 527.6 498.6 453.6 396.4 351.6
Glutamic acid 2235.3 2145.6 2034. 2011.4 1918.5
Proline 514.8 502.7 495.8 480.5 468.5
Glycine 759.7 735.6 714.6 694.6 660.2
Alanine 935.1 915.5 892.4 865.7 820.2
Cystine 67.8 53.5 45.8 41.3 36.0
Valine 945.3 904.8 855.6 822.4 778.8
Methionine 556.4 531.7 553.4 442.5 415.5
Isoleucine 794.9 763.6 732.3 718.7 692.6
Leucine 1225.0 1205.6 1109.2 1094.5 1071.4
Tyrosine 489.1 475.5 465.7 458.4 433.6
Phenylalanine 693.5 663.4 639.9 611.7 589.3
Histidine 815.3 795.7 721.8 693.4 670.9
Lysine 1497.5 1455.5 1411.9 1355.3 1308.8
Ammonia 788.1 763.8 745.6 716.7 720.6
Arginine 875.4 854.7 832.7 794.9 750.5
Total 15931.9 15083.7 14084.9 13958.5 13486.6
구성아미노산 성분분석을 검사한 결과, 18개 전 항목에서 실시예 1의 무지개송어가 다른 조건의 무지개송어보다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구성아미노산 총량도 실시예 1의 무지개송어가 15,931mg/100g으로 다른 조건의 무지개송어보다 높았다.
2-4. 일반성분 분석
무지개송어의 전체적인 일반성분분석은 표 5에 나타내었다.

조건
일반성분분석 (%)
수분 회분 지방 단백질 탄수화물
실시예 1 74.954 1.135 6.615 17.296 0.000
비교예 1 75.675 1.122 4.345 17.114 0.000
비교예 2 76.345 1.131 5.456 16.996 0.000
비교예 3 77.756 1.117 4.211 16.901 0.000
비교예 4 78.202 1.106 3.852 16.839 0.000
일반성분 분석결과 수분 회분 단백질 모두 큰 차가 나지 않았지만 지방성분에서 실시예 1의 무지개송어가 가장 높았다. 무지개송어의 전체적 성분은 수분이 가장 많은 약 75~78%를 나타내었으며, 다음이 단백질로 17% 전후, 지방이 약 4~7%를 나타내었다.
2-5. 지방산 분석
지방산 분석은 표 6에 나타내었다.
Fatty acid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Butyric Acid Methyl Ester(C4:0) 0.000 0.000 0.000 0.000 0.000
Caproic Acid Methyl Ester(C6:0) 0.000 0.000 0.000 0.000 0.000
Capric acid (C10:0) 0.000 0.000 0.000 0.000 0.000
Undecanoic acid (C11:0) 0.000 0.000 0.000 0.000 0.000
Lauric acid (C12:0) 0.000 0.000 0.000 0.000 0.000
Tridecanoic acid (C13:0) 0.000 0.000 0.000 0.000 0.000
Myristic acid (C14:0)) 4.054 3.685 3.556 3.220 3.110
Pentadecanoic acid (C15:0) 0.000 0.099 0.133 0.145 0.158
Palmitic acid (C16:0) 22.677 21.543 21.003 20.945 20.010
Heptadecanoic acid (C17:0) 0.273 0.270 0.269 0.268 0.266
Stearic acid (C18:0) 6.038 5.876 5.454 5.345 5.262
Arachidic acid (C20:0) 0.000 0.134 0.199 0.210 0.222
Heneicosanoic acid (C21:0) 0.000 0.000 0.000 0.000 0.000
Behenic acid (C22:0) 0.000 0.000 0.000 0.000 0.000
Tricosanoic acid (C23:0) 0.906 0.912 0.924 0.928 0.934
Lignoceric acid (C24:0) 0.000 0.000 0.000 0.000 0.000
Saturates 33.949 32.534 30.623 30.463 29.962
Myristoleic acid (C14:1) 0.000 0.000 0.000 0.000 0.000
cis-10-Pentadecenoic acid (C15:1) 0.000 0.000 0.000 0.000 0.000
Palmitoleic acid (C16:1) 7.461 7.087 6.545 6.023 5.031
cis-10-Heptadecenoic acid (C17:1) 0.378 0.359 0.346 0.328 0.311
Elaidic acid (C18:1n9t) 0.000 0.000 0.000 0.000 0.000
Oleic acid (C18:1n9c) 23.061 22.034 21.345 20.345 19.180
cis-11-Eicosenoic acid (C20:1) 1.890 1.745 1.612 1.534 1.507
Erucic acid (C22:1n9) 0.549 0.455 0.394 0.399 0.365
Nervonic acid (C24:1) 0.247 0.213 0.201 0.195 0.171
Monoenes 33.585 30.4 29.534 29.343 26.565
Linolelaidic acid (C18:2n6t) 0.000 0.000 0.000 0.000 0.000
Linoleic acid (C18:2n6c) 8.735 12.421 14.234 15.113 15.800
cis-11,14-Eicosadienoic acid (C20:2) 0.974 1.234 1.256 1.297 1.312
cis-13.16-Docosadienoic acid (C22:2) 0.678 0.712 0.723 0.733 0.734
r-Linolenic acid (C18:3n6) 0.000 0.164 0.168 0.177 0.192
Linolenic acid (C18:3n3) 0.931 1.434 1.443 1.456 1.660
cis-8,11,14-Eicosatrienoic acid(C20:3n6) 0.266 0.345 0.401 0.407 0.419
cis-11,14-Eicosatienoic acid (C20:3n3) 0.000 0.000 0.000 0.000 0.000
Arachidonic acid (C20:4n6) 0.000 0.000 0.000 0.000 0.000
EPA (C20:5n3) 4.438 5.012 5.024 5.044 5.058
DHA (C22:6n3) 16.445 17.945 18.113 18.295 18.299
Polyenes 32.466 39.234 40.121 41.23 43.474
지방산 성분분석 결과 Polyenes의 비율은 비교예 4의 무지개송어에서 43%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실시예 1의 무지개송어는 Saturates가 약 34%, Monoenes 약 34%, Polyenes 약32% 순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무지개송어의 지방산은 Saturates 성분 중에서 Palmitic acid(C16:0)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Monoenes 성분 중에서는 Oleic acid (C18:1n9c)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Polyenes 성분 중에서는 DHA (C22:6n3) 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실험예 3. 관능검사>
본 관능검사는 각각 실시예 1 및 비교예 1~4의 무지개송어의 회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나이를 제한하지 않는 남녀노소 150여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교정도는 5:아주좋음, 4:좋음, 3:보통, 2:나쁨, 1:아주나쁨으로 선택하게 하여, 그 평균값을 하기 표 7로 정리하였다.
조건 육질 상태
실시예 1 4.5 4.7
비교예 1 3.4 3.3
비교예 2 2.6 2.4
비교예 3 2.5 2.4
비교예 4 2.8 2.7
5:아주좋음, 4:좋음, 3:보통, 2:나쁨, 1:아주나쁨
평가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무지개송어의 회가 맛과 육질상태 면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또한 평가자들의 의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방법대로 양식된 무지개송어가 육질의 씹힘 맛이나 고유의 향이 좋았다고 하였으며, 바다 내음이나 청정자연 이미지 등도 좋았다고 하였다.

Claims (4)

  1. 담수에서 자란 철갑상어, 연어, 송어, 산천어 및 무지개송어 중에서 선택된 어류의 치어를 에어블로어에 의한 폭기에 의해 용존산소량이 10㎎/ℓ 내지 11㎎/ℓ로 유지되고 담수와 해수의 혼합량 조절에 의해 염도가 5퍼밀 이하로 조절된 제1 및 제2 사육조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사육조와 수위 차를 갖는 별도의 혼합조에서 담수와 해수를 혼합한 후 한편으로는 그 혼합물을 상기 제1 및 제2 사육조에 분사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사육조로부터의 용수를 각 수위 차에 의해 상기 혼합조로 순환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물의 연속적인 유출입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사육조의 염도를 30퍼밀로 연속상승시켜 상기 치어가 해수에 적응되게 하는 해수적응단계; 및
    상기 해수적응단계를 거친 어류를 해상가두리에서 양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의 해수순치 및 양식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수적응단계는,
    5퍼밀 이하의 사육조의 염도를 10퍼밀까지 2~6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상승시키는 단계;
    22~26시간 동안 염도를 연속적으로 16퍼밀까지 상승시키는 단계;
    18~22시간 동안 염도를 연속적으로 24퍼밀까지 상승시키는 단계;
    3~5일 동안 염도를 24퍼밀로 유지하는 단계;
    12~24시간 동안 염도를 연속적으로 30퍼밀까지 상승시키는 단계; 및
    3~5일 동안 염도를 30퍼밀로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어 및 연어류의 해수순치 및 양식 방법.
  4. 치어가 사육되는 제 1 사육조;
    해수와 담수가 혼합되어 채워져 있으며, 상기 제 1 사육조에 상기 해수와 담수의 혼합물이 공급되게 하는 구성을 갖는 혼합조;
    상기 혼합조로부터의 상기 해수와 담수의 혼합물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며 상기 혼합조로 담수 풍부 유입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되게 하는 구성을 갖는 제 2 사육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사육조에서의 염도는 상기 혼합조로부터의 해수와 담수의 혼합물의 연속적인 유출입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치용 장치.
KR1020100021696A 2010-03-11 2010-03-11 송어 및 연어류의 해수순치 및 양식 방법 KR100979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696A KR100979406B1 (ko) 2010-03-11 2010-03-11 송어 및 연어류의 해수순치 및 양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696A KR100979406B1 (ko) 2010-03-11 2010-03-11 송어 및 연어류의 해수순치 및 양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9406B1 true KR100979406B1 (ko) 2010-09-01

Family

ID=4300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696A KR100979406B1 (ko) 2010-03-11 2010-03-11 송어 및 연어류의 해수순치 및 양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406B1 (ko)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620B1 (ko) * 2012-08-30 2013-04-11 김동주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
CN103190369A (zh) * 2013-04-10 2013-07-10 上海海洋大学 海洋牧场鲷科鱼类驯化方法
KR101302202B1 (ko) 2011-03-24 2013-08-30 전라남도 살아있는 멸치 순치 및 사육 방법
CN103270987A (zh) * 2013-06-04 2013-09-04 山东省海水养殖研究所 一种斑点鳟的苗种培育方法
CN103348941A (zh) * 2013-06-28 2013-10-16 镇江水中仙渔业发展有限公司 一种鲟鱼的养殖方法
KR101326931B1 (ko) 2011-12-06 2013-11-20 정권하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
KR101347539B1 (ko) * 2013-07-05 2014-01-03 전라남도 반건조 송어 또는 송어 굴비의 제조방법
CN104206335A (zh) * 2014-09-23 2014-12-17 苏州市相城区新时代特种水产养殖场 肉味鲜美的虹鳟鱼养殖方法
KR20140147914A (ko) * 2013-06-19 2014-12-31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민물뱀장어 양식을 위한 수조장치
CN105028269A (zh) * 2015-06-25 2015-11-11 遵义绥阳县芙蓉江鲟鱼繁养有限公司 一种鲟鱼的育苗方法
CN105104247A (zh) * 2015-07-29 2015-12-02 通威股份有限公司 高白鲑育苗培育转食方法
KR101752177B1 (ko) * 2015-01-30 2017-06-29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송어과 어류의 해수순치 과정에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
WO2017183739A1 (ko) * 2016-04-19 2017-10-26 배대강 완전해수에서 양식가능한 틸라피아와 그 육종방법
CN110432188A (zh) * 2019-06-11 2019-11-12 青岛博鲁泽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虹鳟海水驯化方法
KR102060915B1 (ko) * 2019-03-20 2019-12-30 강원도(한해성수산자원센터장) 대서양연어의 해수 순치 및 육상 해수양식 방법
KR20200012383A (ko) 2018-07-27 2020-02-05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바숑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및 양식방법
KR20200012389A (ko) 2018-07-27 2020-02-05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바숑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양식장
KR20200024475A (ko) 2018-08-28 2020-03-09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바숑 지류식 송어순치 양식장을 이용한 친환경 복합양식방법
KR20200070679A (ko) 2018-12-10 2020-06-18 박병연 대왕바리(Epinephelus lanceolatus)의 담수순화 및 양식방법
KR102319352B1 (ko) * 2021-02-03 2021-10-29 바이오메디팜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첨연어의 수컷화 비율을 높이는 비호르몬적 방법
KR102331532B1 (ko) * 2021-04-09 2021-12-01 손중호 송어의 해수순치 과정에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
WO2022211138A1 (ko) *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노아바이오텍 송어의 해수순치 과정에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
KR102563229B1 (ko) * 2022-02-16 2023-08-03 이장원 해수 적응력, 사료 효율 및 성장률 제고를 위한 스틸헤드송어의 해수 순치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066A (ko) * 2008-04-21 2009-10-26 김태호 철갑상어의 해수순치 방법 및 이의 유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1066A (ko) * 2008-04-21 2009-10-26 김태호 철갑상어의 해수순치 방법 및 이의 유통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quaculture Research, 1997, Vol.28, Pages 205-214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202B1 (ko) 2011-03-24 2013-08-30 전라남도 살아있는 멸치 순치 및 사육 방법
KR101326931B1 (ko) 2011-12-06 2013-11-20 정권하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
KR101252620B1 (ko) * 2012-08-30 2013-04-11 김동주 연어 또는 송어 양식을 위한 이동형 해상 순치장치
CN103190369A (zh) * 2013-04-10 2013-07-10 上海海洋大学 海洋牧场鲷科鱼类驯化方法
CN103270987A (zh) * 2013-06-04 2013-09-04 山东省海水养殖研究所 一种斑点鳟的苗种培育方法
KR101587860B1 (ko) 2013-06-19 2016-01-22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민물뱀장어 양식을 위한 수조장치
KR20140147914A (ko) * 2013-06-19 2014-12-31 구골홀딩스 주식회사 민물뱀장어 양식을 위한 수조장치
CN103348941A (zh) * 2013-06-28 2013-10-16 镇江水中仙渔业发展有限公司 一种鲟鱼的养殖方法
KR101347539B1 (ko) * 2013-07-05 2014-01-03 전라남도 반건조 송어 또는 송어 굴비의 제조방법
CN104206335A (zh) * 2014-09-23 2014-12-17 苏州市相城区新时代特种水产养殖场 肉味鲜美的虹鳟鱼养殖方法
KR101752177B1 (ko) * 2015-01-30 2017-06-29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송어과 어류의 해수순치 과정에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
CN105028269A (zh) * 2015-06-25 2015-11-11 遵义绥阳县芙蓉江鲟鱼繁养有限公司 一种鲟鱼的育苗方法
CN105104247A (zh) * 2015-07-29 2015-12-02 通威股份有限公司 高白鲑育苗培育转食方法
WO2017183739A1 (ko) * 2016-04-19 2017-10-26 배대강 완전해수에서 양식가능한 틸라피아와 그 육종방법
KR20200012383A (ko) 2018-07-27 2020-02-05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바숑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및 양식방법
KR20200012389A (ko) 2018-07-27 2020-02-05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바숑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양식장
KR102084317B1 (ko) * 2018-07-27 2020-03-03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바숑 친환경 지류식 송어 순치 및 양식방법
KR102102047B1 (ko) * 2018-08-28 2020-04-17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바숑 지류식 송어순치 양식장을 이용한 친환경 복합양식방법
KR20200024475A (ko) 2018-08-28 2020-03-09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바숑 지류식 송어순치 양식장을 이용한 친환경 복합양식방법
KR20200070679A (ko) 2018-12-10 2020-06-18 박병연 대왕바리(Epinephelus lanceolatus)의 담수순화 및 양식방법
KR102060915B1 (ko) * 2019-03-20 2019-12-30 강원도(한해성수산자원센터장) 대서양연어의 해수 순치 및 육상 해수양식 방법
CN110432188A (zh) * 2019-06-11 2019-11-12 青岛博鲁泽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虹鳟海水驯化方法
CN110432188B (zh) * 2019-06-11 2022-07-22 青岛博鲁泽海洋科技有限公司 一种虹鳟海水驯化方法
KR102319352B1 (ko) * 2021-02-03 2021-10-29 바이오메디팜 어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첨연어의 수컷화 비율을 높이는 비호르몬적 방법
WO2022211138A1 (ko) * 2021-03-29 2022-10-06 주식회사 노아바이오텍 송어의 해수순치 과정에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
KR102331532B1 (ko) * 2021-04-09 2021-12-01 손중호 송어의 해수순치 과정에서 폐사율을 감소시키는 방법
KR102563229B1 (ko) * 2022-02-16 2023-08-03 이장원 해수 적응력, 사료 효율 및 성장률 제고를 위한 스틸헤드송어의 해수 순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406B1 (ko) 송어 및 연어류의 해수순치 및 양식 방법
Shulʹman et al. The biochemical ecology of marine fishes
KR100820041B1 (ko) 삼투압 조절능력을 이용한 어류의 양식방법
Lam Siganids: their biology and mariculture potential
Bais Fish scenario in India with emphasis on Indian major carps
CN102318576B (zh) 松江鲈鱼全程海水繁育方法
Leu et al. Induced spawning and larval rearing of captive yellowfin porgy, Acanthopagrus latus (Houttuyn)
CN104542407B (zh) 一种泥鳅苗种二级培育的方法
CN107079843B (zh) 乌苏里白鲑苗种培育方法
Watanabe Species profile: black sea bass
CN105557584A (zh) 一种松江鲈鱼全海水苗种繁育及室内工厂化养殖方法
CN112616739A (zh) 一种盐田虾养殖有效防治桃拉综合征方法
Mims et al. Production of paddlefish
Biswas et al. Induced breeding and seed production of Pabda: a species with potential for aquaculture diversification in northeast India
CN110741983A (zh) 一种裂峡鲃的人工繁殖方法
Ohs et al. Species profile: pigfish, Orthopristis chrysoptera.
Watanabe et al. Marine finfish aquaculture
CN108770741A (zh) 一种东星斑的孵化方法
Hesni et al.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survival and moulting of the narrow-clawed crayfish, Astacus leptodactylus Eschscholtz, 1823 (Decapoda, Astacidea).
Lazo et al. Drum-fish or croakers (family: Sciaenidae)
KR101476032B1 (ko) 고등어의 성숙유도를 이용한 인공종묘 생산방법
Jobling et al. The temperate basses (Family: moronidae)
Maricchiolo et al. Report of spontaneous spawning of captive red scorpionfish, Scorpaena scrofa (Linnaeus, 1758) with special attention on capture and broodstock management
Holt et al. Advances in cobia research in Texas
Bohórquez‐Cruz et al. Early development and Juvenile Culture Technique of Speckled Flounder, Paralichthys woolmani (Jordan & Williams, 1897) under ambient sea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