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6931B1 -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 - Google Patents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6931B1
KR101326931B1 KR1020110129569A KR20110129569A KR101326931B1 KR 101326931 B1 KR101326931 B1 KR 101326931B1 KR 1020110129569 A KR1020110129569 A KR 1020110129569A KR 20110129569 A KR20110129569 A KR 20110129569A KR 101326931 B1 KR101326931 B1 KR 101326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freshwater
seawater
tibia
salin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3185A (ko
Inventor
정권하
김의택
강만갑
김승식
Original Assignee
정권하
김승식
강만갑
김의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권하, 김승식, 강만갑, 김의택 filed Critical 정권하
Priority to KR1020110129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6931B1/ko
Publication of KR20130063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6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6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상용 해수어와 담수어를 동일수조에서 다양하게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은,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가 각각의 체내삼투압이 서로 유사한 점에 착안하여 상기 해수 경골어류와 상기 담수 경골어류를 각 체내 삼투압 한계치에 근접하도록 해수와 담수에서 각각 순치하여 순치 적응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해수 경골어류와 상기 담수 경골어류가 동일수조 내에서 생존가능하여 합사 사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Method for breeding a saltwater teleost and a freshwater teleost together in the same water tank}
본 발명은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서로 다른 생태의 경골어류를 동일수조에서 사육하므로 수조의 경제적 이용과 더불어 제한된 전시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관상용 해수어와 담수어를 동일수조에서 다양하게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어류 사육방법에 의하면 해수와 담수에 모두 살 수 있는 광염성 어류와 달리 순수 해수어는 삼투압에 의한 체내 생체 수분 및 이온성분 흐름이 순수 담수어의 흐름과 달라서 동일 수질에서 순수 담수어와 함께 사육하는 것이 어려웠다.
순수 해수에 사는 경골어류는 해수를 마셔 물을 섭취하고 아가미로 염류를 배출시킴으로써 체액의 삼투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순수 담수에 사는 경골어류는 신장에서 오줌과 함께 물을 배설하고 아가미를 통해 염류를 섭취함으로써 삼투압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때문이다.(도 7과 도 8 참조)
참고로, 상기 도 7은 순수 해수에 사는 해수 경골어류의 삼투압 순환도이고, 도 8은 순수 담수에 사는 담수 경골어류의 삼투압 순환도이다.
상기 도 7과 도 8은 'Delta State Universty'의 홈페이지(http://www.deltastate.edu/)에서 발췌한 자료이다.
단, 양식에서 필요로 하는 경우 광염성 어류의 삼투압 조절능력을 활용하여 광염성 해수어를 담수에 순치하여 적응시키고 광염성 담수어를 해수에서 순치하여 적응시킨 경우는 있었으나 삼투압 조절 능력이 제한적인 순수 해수어와 담수어의 경우 담수나 해수로의 접근에 한계가 있어 동일수질에서 사육을 기대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생태의 경골어류를 동일수조에서 사육하므로 수조의 경제적 이용과 더불어 제한된 전시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며 관상용 해수와 담수어를 동일수조에서 다양하게 전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은,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가 각각의 체내삼투압이 서로 유사한 점에 착안하여 상기 해수 경골어류와 상기 담수 경골어류를 각 체내 삼투압 한계치에 근접하도록 해수와 담수에서 각각 순치하여 순치 적응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해수 경골어류와 상기 담수 경골어류가 동일수조 내에서 생존가능하여 합사 사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해수 경골어류 및 상기 담수 경골어류의 각 체내 삼투압 한계치는 280mOsm/L ∼ 300mOsm/L 의 범위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일수조 내의 수질성분은 염도가 7.3~7.8퍼밀, pH 가 7.5~7.9, 온도가 25~28(℃)로 각각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해수 경골어류와 상기 담수 경골어류를 해수와 담수에서의 순치 적응을 위해 상기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관상용 담수 경골어류의 순치적응도에 따라 각각 3등급으로 구분하며, 상기 구분과정에서 해수어는 종별로, 담수어는 서식환경의 기준이 되는 pH로 구분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해수 경골어류는, 염도 30퍼밀에서 시작하여 12~36시간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 시간간격마다 해수순치 1등급은 14단계, 해수순치 2등급은 14단계 그리고 해수순치 3등급은 10단계로 염도를 하강시켜 최종 염도 7.5퍼밀 수조에서 합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담수 경골어류의 경우, 염도 0퍼밀에서 시작하여 7~24시간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 시간간격마다 담수순치 1등급은 10단계, 담수순치 2등급은 7단계 그리고 담수순치 3등급은 7단계로 염도를 상승시켜 최종 염도 약 7.5퍼밀 수조에서 합사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해수어와 담수어 순치의 경우, 각 순치단계마다 25%의 기존 해수 및 담수를 방류하고 주어진 염도의 염수를 투입하여 서서히 염도가 약 7.5퍼밀에 접근하도록 순치하며, 상기 25% 환수는 환수에 의한 수질의 기타성분 등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수질 충격 또는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환수 최대량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상기 해수나 담수 적응을 위한 순치단계에서 삼투압 한계치인 7.5퍼밀 근방에 이르면 순치염도 간격을 좁혀서 순치에 의한 염도 변화에 의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해수어와 담수어 순치의 경우 각 순치단계마다 25%의 기존 해수 및 담수를 방류하고, 주어진 염도의 염수를 투입하여 서서히 염도가 7.5퍼밀에 접근하도록 순치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해수 경골어류의 해수순치 1등급에 속하는 어종은 엔젤류 어종(Angelfish), 버터플라이류 어종(Butterflyfish), 크라운류 어종(Anemonefish)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해수 경골어류의 해수순치 2등급에 속하는 어종은 파일피쉬류 어종(Filefish), 고비류 어종(Goby), 레쓰류 어종(Wrass), 도티백류 어종 (Dottyback) , 카디날류 어종(Cardinalfish) 중 어느 하나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해수 경골어류의 해수순치 3등급에 속하는 어종은 서전류 어종(Surgeonfish), 담셀류 어종(Damselfish), 라이온피쉬류 어종(Lionfish), 복어류 어종(Puffer), 그루퍼류 어종(Grouper), 스네퍼류 어종(Snapper), 레빗류 어종(Rabbitfish), 트리거류 어종(Triggerfish) 중 어느 하나가 되게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담수 경골어류의 담수순치 1등급에 속하는 어종은 약산성(Weakly Acid) 수질 사육 어종이 되도록 하며, 상기 담수 경골어류의 담수순치 2등급에 속하는 어종은 중성(Neutral) 수질 사육 어종이 되게 하며, 상기 담수 경골어류의 담수순치 3등급에 속하는 어종은 약알칼리(Weakly Alkaline) 수질 사육 어종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각 삼투압한계치에 근접하도록 해수와 담수에서 동일수질의 합사 수조에 적응, 순치함에 의해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1년 이상의 장기 사육이 가능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생태특성에 근거하여 그 순치적응시간을 달리하므로 장기 합사 사육이 잘 이루어지고, 어류의 종별 순치 적응을 실시함으로써 다양한 관상용 어류 전시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동일수조에서 다양한 해수, 담수어를 활용하므로 수조의 고부가가치 창출로 인한 관상어 활용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엔젤류 어종(Angelfish), 버터플라이류 어종(Butterflyfish), 크라운류 어종(Anemonefish)에 해당하는 주요어종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파일피쉬류 어종(Filefish), 고비류 어종(Goby), 레쓰류 어종(Wrass), 도티백류 어종 (Dottyback), 카디날류 어종(Cardinalfish)에 해당하는 주요어종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서전류 어종(Surgeonfish), 담셀류 어종(Damselfish), 라이온피쉬류 어종(Lionfish), 복어류 어종(Puffer), 그루퍼류 어종(Grouper), 스네퍼류 어종(Snapper), 레빗류 어종(Rabbitfish), 트리거류 어종(Triggerfish) 에 해당하는 주요어종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약산성(Weakly Acid) 수질 사육 어종에 해당하는 주요어종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중성(Neutral) 수질 사육 어종에 해당하는 주요어종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약알칼리(Weakly Alkaline) 수질 사육 어종에 해당하는 주요어종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순수 해수에 사는 해수 경골어류의 삼투압 순환도,
도 8은 순수 담수에 사는 담수 경골어류의 삼투압 순환도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상용 해수 및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내의 사육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합사 사육을 위한 순치방법으로 다음의 정한 순치등급별 순치적응방법에 따라 다양한 시간 적응방법으로 순치하고 동일수질 수조에 생존 가능하도록 적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 관상용 경골어류별 해수어 순치등급별 순치단계와 담수어 순치등급별 순치단계를 제공한다.
즉, 해수어 순치등급과 담수어 순치등급은 순치적응도에 따라 각각 3등급으로 나누었다.
해수어는 종별 서식 환경과 수질변화가 적은 바다에서 서식하므로 종별로 분류하여 순치등급을 나누었고, 담수어는 지역별, 지리적, 기후별로 다양한 담수환경에서 살고 있어 같은 종이라 하더라도 세부종별 순치난이도가 다르므로 서식환경의 pH에 따른 순치난이도로 설정하였다. 평균 염도의 물은 약알칼리에 가까우므로 담수어 순치등급은 약산성의 어종을 순치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설정하여 순치등급을 나눈다.
해수 경골어류의 경우 염도 30퍼밀에서 시작하여 12~36시간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 시간간격마다 해수순치 1등급은 14단계, 해수순치 2등급은 14단계 그리고 해수순치 3등급은 10단계로 염도를 하강시켜 최종 염도 7.5퍼밀 수조에서 합사될 수 있도록 한다.
담수 경골어류의 경우 염도 0퍼밀에서 시작하여 7~24시간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 시간간격마다 담수순치 1등급은 10단계, 담수순치 2등급은 7단계 그리고 담수순치 3등급은 7단계로 염도를 상승시켜 최종 염도 7.5퍼밀 수조에서 합사될 수 있도록 한다.
해수어와 담수어 순치의 경우 각 순치단계마다 25%의 기존 해수 및 담수를 방류하고 주어진 염도의 염수를 투입하여 서서히 염도가 7.5퍼밀에 접근하도록 순치한다. 25% 환수는, 즉 각 순치단계마다 기존 해수 및 담수의 25%를 방류하고 새로운 해수 및 담수의 25%를 재공급하는 환수에 의한 수질의 기타성분 등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수질 충격 또는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환수 최대량으로 설정한 것이다.
따라서 더욱 환수에 의한 스트레스를 줄이려면 매회 환수량을 줄여 순치하면 좋으나 그만큼 잦은 환수를 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스트레스가 따른다. 그러므로 이를 고려해 순치 어종에 따른 환수량과 환수횟수의 최적 조건을 찾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며 장기적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해수나 담수 적응을 위한 순치단계에서 삼투압 한계치인 7.5퍼밀 근방에 이르면 순치염도 간격을 좁혀서 순치에 의한 염도 변화에 의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한다.
일반적으로 삼투압 조절능력을 가지고 있는 회귀성 어류와 소하성 어류가 강과 바다를 오갈 때 해수와 담수가 만나는 기수구역에서 염도변화에 따른 원만한 적응을 위해 보통 7일에서 15일간 머무르며 삼투압 조절을 통해 교차 적응을 한 후 해수나 담수로 진입하게 된다.
본 방법의 경우 해수어가 담수로, 담수어가 해수로 진입하는 것은 아니나 한계치에 이르는 염도를 경험하게 되므로 생존확률과 적응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고난이도 해수순치 1등급의 경우 15일을 최소 순치기간으로 정하여 순치한다.
각 순치단계별 환수소요시간은 약 1~2시간에 걸쳐 실시한다.
이하에서 도면에 언급된 어종은 최소 단일개체에 대해 최소 5개체 이상 6개월 이상 사육된 어종을 기준으로 작성된 것이며 각 어종은 성어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순치 시작시의 해당 어종이 안정화된 수조에서 시작한다.
<1> 해수 경골어류의 순치등급별 순치과정은 다음의 정한 순치등급별로 순치하여 적응시킨다.
1) 해수순치 1등급(순치소요시간 : 최소 약 15일)
본 등급에 속한 어종은 엔젤류 어종(Angelfish), 버터플라이류 어종(Butterflyfish), 크라운류 어종(Anemonefish)으로서, 현 등급에 속한 주요 대표 어종은 도 1과 같다.
(1) 염도 30퍼밀에서 시작시 7.5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는 24.4 퍼밀로 형성됨)
(2) 24~36시간 후 염도 24.4퍼밀에서 7.5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는 20.2 퍼밀로 형성됨)
(3) 24~36시간 후 염도 20.2퍼밀에서 7.5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는 17.0 퍼밀로 형성됨)
(4) 24~36시간 후 염도 17.0퍼밀에서 7.5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는 14.6 퍼밀로 형성됨)
(5) 24~36시간 후 염도 14.6퍼밀에서 7.5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는 12.8 퍼밀로 형성됨)
(6) 24~36시간 후 염도 12.8퍼밀에서 7.5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는 11.5 퍼밀로 형성됨)
(7) 24~36시간 후 염도 11.5퍼밀에서 7.5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는 10.5 퍼밀로 형성됨)
(8) 24~36시간 후 염도 10.5퍼밀에서 7.0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는 9.6 퍼밀로 형성됨)
(9) 24~36시간 후 염도 9.6퍼밀에서 7.0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는 9.0 퍼밀로 형성됨)
(10) 24~36시간 후 염도 9.0퍼밀에서 7.0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는 8.5 퍼밀로 형성됨)
(11) 24~36시간 후 염도 8.5퍼밀에서 7.0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는 8.1 퍼밀로 형성됨)
(12) 24~36시간 후 염도 8.1퍼밀에서 7.0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는 7.9 퍼밀로 형성됨)
(13) 24~36시간 후 염도 7.9퍼밀에서 7.0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는 7.7 퍼밀로 형성됨)
(14) 24~36시간 후 염도 7.7퍼밀에서 7.0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는 7.5 퍼밀로 형성됨)
순치를 위한 각 환수는 상기 위 내용에 표기된 바와 같이 24~36시간 후에 실시하되 각 환수시마다 환수소요시간은 약 1~2시간에 걸쳐 하고 총 14회의 환수를 통해 순치적응시킨다.
총 14회 환수 중 전반 7회는 7.5퍼밀 염수로 환수하고 후반 7회는 7.0퍼밀 염수로 환수하여 최종 7.5퍼밀에서 순치종료하고 합사한다.
2) 해수순치 2등급(순치소요시간 : 최소 약 10일)
본 등급에 속하는 어종은 파일피쉬류 어종(Filefish), 고비류 어종(Goby), 레쓰류 어종(Wrass), 도티백류 어종 (Dottyback) , 카디날류 어종(Cardinalfish)으로, 본 등급에 속한 주요 대표어종은 도 2와 같다.
(1) 염도 30퍼밀에서 시작시 7.5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 24.4 퍼밀)
(2) 18~24시간 후 염도 24.4퍼밀에서 7.5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 20.2 퍼밀)
(3) 18~24시간 후 염도 20.2퍼밀에서 7.5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 17.0 퍼밀)
(4) 18~24시간 후 염도 17.0퍼밀에서 7.0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 14.5 퍼밀)
(5) 18~24시간 후 염도 14.5퍼밀에서 7.0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 12.6 퍼밀)
(6) 18~24시간 후 염도 12.6퍼밀에서 7.0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 11.2 퍼밀)
(7) 18~24시간 후 염도 11.2퍼밀에서 7.0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 10.2 퍼밀)
(8) 18~24시간 후 염도 10.2퍼밀에서 7.0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 9.4 퍼밀)
(9) 18~24시간 후 염도 9.4퍼밀에서 7.0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 8.8 퍼밀)
(10) 18~24시간 후 염도 8.8퍼밀에서 7.0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 8.4 퍼밀)
(11) 18~24시간 후 염도 8.4퍼밀에서 7.0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 8.1 퍼밀)
(12) 18~24시간 후 염도 8.1퍼밀에서 7.0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 7.9 퍼밀)
(13) 18~24시간 후 염도 7.9퍼밀에서 7.0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 7.7 퍼밀)
(14) 18~24시간 후 염도 7.7퍼밀에서 7.0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 7.5 퍼밀)
순치를 위한 각 환수는 상기 표기된 바와 같이 18~24시간 후에 실시하되 각 환수시마다 환수소요시간은 약 1~2시간에 걸쳐 하고 총 14회의 환수를 통해 순치적응시킨다.
총 14회 환수 중 전반 3회는 7.5퍼밀 염수로 환수하고 후반 11회는 7.0퍼밀 염수로 환수하여 최종 7.5퍼밀에서 순치종료하고 합사한다.
2) 해수순치 3등급(순치소요시간 : 최소 약 5일)
본 등급에 속한 어종은 서전류 어종(Surgeonfish), 담셀류 어종(Damselfish), 라이온피쉬류 어종(Lionfish), 복어류 어종(Puffer), 그루퍼류 어종(Grouper), 스네퍼류 어종(Snapper), 레빗류 어종(Rabbitfish), 트리거류 어종(Triggerfish)으로서, 현 등급에 속한 주요 대표어종은 도 3과 같다.
(1) 염도 30퍼밀에서 시작시 7.5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 24.4퍼밀)
(2) 12~18시간 후 염도 24.4퍼밀에서 7.5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 20.2 퍼밀)
(3) 12~18시간 후 염도 20.2퍼밀에서 7.0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 16.9 퍼밀)
(4) 12~18시간 후 염도 16.9퍼밀에서 7.0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 14.4 퍼밀)
(5) 12~18시간 후 염도 14.4퍼밀에서 6.5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 12.4 퍼밀)
(6) 12~18시간 후 염도 12.4퍼밀에서 6.5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 10.9 퍼밀)
(7) 12~18시간 후 염도 10.9퍼밀에서 6.0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 9.7 퍼밀)
(8) 12~18시간 후 염도 9.7퍼밀에서 6.0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 8.8 퍼밀)
(9) 12~18시간 후 염도 8.8퍼밀에서 6.0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 8.1 퍼밀)
(10) 12~18시간 후 염도 8.1퍼밀에서 6.0퍼밀 염수로 25%환수(염도 7.6 퍼밀)
순치를 위한 각 환수는 상기 표기된 바와 같이 12~18시간 후에 실시하되 각 환수시마다 환수소요시간은 약 1~2시간에 걸쳐 하고 총 10회의 환수를 통해 순치적응시킨다.
총 10회 환수 중 초기 2회는 7.5퍼밀 염수로 환수하고 그 후 2회는 7.0퍼밀, 다음 2회는 6.5퍼밀, 마지막 후반부 4회는 6.0퍼밀로 환수하여 최종 7.6퍼밀에서 순치종료하고 합사한다.
<2> 담수 경골어류의 순치등급별 순치과정은 다음의 정한 순치등급별로 순치하여 적응시킨다.
1) 담수순치 1등급(순치소요시간 : 최소 약 5일)
(약산성(Weakly Acid) 수질 사육 어종)
현 등급에 속한 주요대표어종은 도 4와 같다.
(1) 염도 0퍼밀에서 시작시 7.5퍼밀 염수로 25%환수 : 염도 1.9 퍼밀
(2) 12~24시간 후 염도 1.9퍼밀에서 7.5퍼밀 염수로 25%환수: 염도 3.3 퍼밀
(3) 12~24시간 후 염도 3.3퍼밀에서 7.5퍼밀 염수로 25%환수: 염도 4.4 퍼밀
(4) 12~24시간 후 염도 4.4퍼밀에서 7.5퍼밀 염수로 25%환수: 염도 5.2 퍼밀
(5) 12~24시간 후 염도 5.2퍼밀에서 7.5퍼밀 염수로 25%환수: 염도 5.8 퍼밀
(6) 12~24시간 후 염도 5.8퍼밀에서 7.5퍼밀 염수로 25%환수: 염도 6.2 퍼밀
(7) 12~24시간 후 염도 6.2퍼밀에서 8.0퍼밀 염수로 25%환수: 염도 6.7 퍼밀
(8) 12~24시간 후 염도 6.7퍼밀에서 8.0퍼밀 염수로 25%환수: 염도 7.0 퍼밀
(9) 12~24시간 후 염도 7.0퍼밀에서 8.0퍼밀 염수로 25%환수: 염도 7.3 퍼밀
(10) 12~24시간 후 염도 7.3퍼밀에서 8.0퍼밀 염수로 25%환수: 염도 7.5 퍼밀
순치를 위한 각 환수는 상기 표기된 바와 같이 12~24시간 후에 실시하되 각 환수시마다 환수소요시간은 약 1~2시간에 걸쳐 하고 총 10회 이상 환수를 통해 순치적응시킨다.
총 10회 환수 중 전반 6회는 7.5퍼밀 염수로 환수하고 후반 4회는 8.0퍼밀 염수로 환수하여 최종 7.5퍼밀에서 순치종료하고 합사한다.
2) 담수순치 2등급(순치소요시간 : 최소 약 3일)
(중성(Neutral) 수질 사육 어종)
현 등급에 속한 주요 대표어종은 도 5와 같다.
(1) 염도 0퍼밀에서 시작시 8.5퍼밀 염수로 25%환수 : 염도 2.1 퍼밀
(2) 12~18시간 후 염도 2.1퍼밀에서 8.5퍼밀 염수로 25%환수: 염도 3.7 퍼밀
(3) 12~18시간 후 염도 3.7퍼밀에서 8.5퍼밀 염수로 25%환수: 염도 4.9 퍼밀
(4) 12~18시간 후 염도 4.9퍼밀에서 8.5퍼밀 염수로 25%환수: 염도 5.8 퍼밀
(5) 12~18시간 후 염도 5.7퍼밀에서 8.5퍼밀 염수로 25%환수: 염도 6.5 퍼밀
(6) 12~18시간 후 염도 6.5퍼밀에서 8.5퍼밀 염수로 25%환수: 염도 7.0 퍼밀
(7) 12~18시간 후 염도 7.0퍼밀에서 8.5퍼밀 염수로 25%환수: 염도 7.4 퍼밀
순치를 위한 각 환수는 상기 표기된 바와 같이 12~18시간 후에 실시하되 각 환수시마다 환수소요시간은 약 1~2시간에 걸쳐 하고 총 7회 이상 환수를 통해 순치적응시킨다.
매회 환수시마다 8.5퍼밀 염수로 순치하고 최종 7.4퍼밀에서 순치종료하고 합사한다.
3) 담수순치 3등급(순치소요시간 : 최소 약 2일)
(약알칼리(Weakly Alkaline) 수질 사육 어종)
현 등급에 속한 주요대표어종은 도 6과 같다.
(1) 염도 0퍼밀에서 시작시 8.5퍼밀 염수로 25%환수 : 염도 2.1 퍼밀
(2) 7~18시간 후 염도 2.1퍼밀에서 8.5퍼밀 염수로 25%환수: 염도 3.7 퍼밀
(3) 7~18시간 후 염도 3.7퍼밀에서 8.5퍼밀 염수로 25%환수: 염도 4.9 퍼밀
(4) 7~18시간 후 염도 4.9퍼밀에서 8.5퍼밀 염수로 25%환수: 염도 5.8 퍼밀
(5) 7~18시간 후 염도 5.7퍼밀에서 8.5퍼밀 염수로 25%환수: 염도 6.5 퍼밀
(6) 7~18시간 후 염도 6.5퍼밀에서 8.5퍼밀 염수로 25%환수: 염도 7.0 퍼밀
(7) 7~18시간 후 염도 7.0퍼밀에서 8.5퍼밀 염수로 25%환수: 염도 7.4 퍼밀
순치를 위한 각 환수는 상기 표기된 바와 같이 7~18시간 후에 실시하되 각 환수시마다 환수소요시간은 약 1~2시간에 걸쳐 하고 총 7회 이상 환수를 통해 순치적응시킨다. 매회 환수시마다 8.5퍼밀 염수로 순치하고 최종 7.4퍼밀에서 순치종료하고 합사한다.
* Osm/L : osmol per litre of solution(seawater or freshwater)

Claims (15)

  1.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가 각각의 체내삼투압이 서로 유사한 점에 착안하여 상기 해수 경골어류와 상기 담수 경골어류를 각 체내 삼투압 한계치에 근접하도록 해수와 담수에서 각각 순치하여 순치 적응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해수 경골어류와 상기 담수 경골어류가 동일수조 내에서 생존가능하여 합사 사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해수 경골어류와 상기 담수 경골어류를 해수와 담수에서의 순치 적응을 위해 상기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순치적응도에 따라 각각 3등급으로 구분하며, 상기 구분과정에서 해수어는 종별로, 상기 담수어는 서식환경의 기준이 되는 pH로 구분하고,
    상기 해수 경골어류는, 염도 30퍼밀에서 시작하여 12~36시간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 시간간격마다 해수순치 1등급은 14단계, 해수순치 2등급은 14단계 그리고 해수순치 3등급은 10단계로 염도를 하강시켜 최종 염도 7.5퍼밀 수조에서 합사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담수 경골어류의 경우, 염도 0퍼밀에서 시작하여 7~24시간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 시간간격마다 담수순치 1등급은 10단계, 담수순치 2등급은 7단계 그리고 담수순치 3등급은 7단계로 염도를 상승시켜 최종 염도 7.5퍼밀 수조에서 합사될 수 있도록 하는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수 경골어류 및 상기 담수 경골어류의 각 체내 삼투압 한계치는 280mOsm/L ∼ 300mOsm/L 인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일수조 내의 수질성분은 염도가 7.3~7.8퍼밀, pH 가 7.5~7.9, 온도가 25~28(℃)로 각각 형성되는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수어와 담수어 순치의 경우, 각 순치단계마다 25%의 기존 해수 및 담수를 방류하고 주어진 염도의 염수를 투입하여 서서히 염도가 7.5퍼밀에 접근하도록 순치하며, 상기 각 순치단계마다 기존 해수 및 담수의 25%를 방류하고 새로운 해수 및 담수의 25%를 재공급하는 환수에 의한 수질의 기타성분 등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수질 충격 또는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환수 최대량으로 설정한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수나 담수 적응을 위한 순치단계에서 삼투압 한계치인 7.5퍼밀 근방에 이르면 순치염도 간격을 좁혀서 순치에 의한 염도 변화에 의한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수어와 담수어 순치의 경우 각 순치단계마다 25%의 기존 해수 및 담수를 방류하고, 주어진 염도의 염수를 투입하여 서서히 염도가 7.5퍼밀에 접근하도록 순치하는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수 경골어류의 해수순치 1등급에 속하는 어종은 엔젤류 어종, 버터플라이류 어종, 크라운류 어종 중 어느 하나인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수 경골어류의 해수순치 2등급에 속하는 어종은 파일피쉬류 어종, 고비류 어종, 레쓰류 어종, 도티백류 어종, 카디날류 어종 중 어느 하나인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수 경골어류의 해수순치 3등급에 속하는 어종은 서전류 어종, 담셀류 어종, 라이온피쉬류 어종, 복어류 어종, 그루퍼류 어종, 스네퍼류 어종, 레빗류 어종, 트리거류 어종 중 어느 하나인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담수 경골어류의 담수순치 1등급에 속하는 어종은 약산성(Weakly Acid) 수질 사육 어종인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담수 경골어류의 담수순치 2등급에 속하는 어종은 중성(Neutral) 수질 사육 어종인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담수 경골어류의 담수순치 3등급에 속하는 어종은 약알칼리(Weakly Alkaline) 수질 사육 어종인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
KR1020110129569A 2011-12-06 2011-12-06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 KR101326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569A KR101326931B1 (ko) 2011-12-06 2011-12-06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569A KR101326931B1 (ko) 2011-12-06 2011-12-06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185A KR20130063185A (ko) 2013-06-14
KR101326931B1 true KR101326931B1 (ko) 2013-11-20

Family

ID=48860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569A KR101326931B1 (ko) 2011-12-06 2011-12-06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693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61223A (zh) * 2016-01-04 2016-09-28 青岛蟹生活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海水暂养淡水蟹的方法
CN108684585A (zh) * 2018-08-08 2018-10-23 三门县琴海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草鱼咸水化养殖方法
CN108684586A (zh) * 2018-08-08 2018-10-23 三门县琴海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白鲢鱼咸水化养殖方法
CN109006591A (zh) * 2018-08-08 2018-12-18 三门县琴海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鮰鱼咸水化养殖方法
KR102060915B1 (ko) * 2019-03-20 2019-12-30 강원도(한해성수산자원센터장) 대서양연어의 해수 순치 및 육상 해수양식 방법
CN111165399A (zh) * 2020-01-19 2020-05-19 海南晨海水产有限公司 一种高效的蓝子鱼的室外生态池塘人工育苗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853B1 (ko) 2002-05-24 2004-12-1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성돔의 담수양식 방법
KR100820041B1 (ko) * 2007-08-03 2008-04-08 김종철 삼투압 조절능력을 이용한 어류의 양식방법
KR100979406B1 (ko) 2010-03-11 2010-09-01 전라남도 송어 및 연어류의 해수순치 및 양식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853B1 (ko) 2002-05-24 2004-12-1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성돔의 담수양식 방법
KR100820041B1 (ko) * 2007-08-03 2008-04-08 김종철 삼투압 조절능력을 이용한 어류의 양식방법
KR100979406B1 (ko) 2010-03-11 2010-09-01 전라남도 송어 및 연어류의 해수순치 및 양식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장영진, 최철영. 담수순화 감성돔의 삼투압조절 및 번식 가능성에 대한 연구. 특정기초연구 보고서. 한국과학재단. 2007.11.8. *
장영진, 최철영. 담수순화 감성돔의 삼투압조절 및 번식 가능성에 대한 연구. 특정기초연구 보고서. 한국과학재단. 2007.11.8.*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61223A (zh) * 2016-01-04 2016-09-28 青岛蟹生活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海水暂养淡水蟹的方法
CN108684585A (zh) * 2018-08-08 2018-10-23 三门县琴海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草鱼咸水化养殖方法
CN108684586A (zh) * 2018-08-08 2018-10-23 三门县琴海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白鲢鱼咸水化养殖方法
CN109006591A (zh) * 2018-08-08 2018-12-18 三门县琴海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鮰鱼咸水化养殖方法
KR102060915B1 (ko) * 2019-03-20 2019-12-30 강원도(한해성수산자원센터장) 대서양연어의 해수 순치 및 육상 해수양식 방법
CN111165399A (zh) * 2020-01-19 2020-05-19 海南晨海水产有限公司 一种高效的蓝子鱼的室外生态池塘人工育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185A (ko) 201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6931B1 (ko) 관상용 해수 경골어류와 담수 경골어류의 동일수조 내에서의 합사 사육방법
Ficke et al. Potential impacts of global climate change on freshwater fisheries
Potter et al.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biota and fisheries of estuaries
Petr et al. The impact on fish stocks of river regulation in Central Asia and Kazakhstan
Cowan et al. Estuarine nekton
CN104604759A (zh) 一种草鱼的养殖方法
Degerman et al. Human impact on the fish diversity in the four largest lakes of Sweden
CN104396809A (zh) 一种草鱼的养殖方法
CN104206335A (zh) 肉味鲜美的虹鳟鱼养殖方法
CN105104268A (zh) 一种淡水鱼的养殖方法
Amara Seasonal ichthyodiversity and growth patterns of juvenile flatfish on a nursery ground in the Southern Bight of the North Sea (France)
Swales A review of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Walbaum) in lake and reservoir systems
Jonsson et al. Climatic effects on Atlantic salmon and brown trout
CN105123578A (zh) 一种海参和金乌贼池塘混养方法
Shakirova et al.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fauna of the Kuibyshev reservoir
Jellyman et al. Freshwater fisheries of Australasia
Schroeder et al. An essay on the potential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fisheries in Patos Lagoon, Brazil
CN106376494A (zh) 一种鲍鱼室内人工养殖方法
Karimzadeh Study of the natural and fishing mortality and exploitation rates of bigeye kilka(Clupeonella grimmi) in the southeast part of the Caspian Sea(Babolsar)
Dankwa et al. Environmental flow requirements and impacts of the Akosombo and Kpong dams on the fish and fisheries of the Lower Volta River, Ghana
BALIK Comparatively Evaluation of the Sprat (Sprattus sprattus) Fisheries in the Whole of the Black Sea and in the Turkish Coast of the Black Sea
Feindel et al. Climate change and marine aquaculture in Atlantic Canada and Quebec
CN103651221A (zh) 一种抚仙四须鲃的驯养管理技术
CN108834973A (zh) 一种河蟹的养殖方法
Kareem et al. Effect of different stocking density on nutrient utilization, growth performance and survival of African Catfish (Clarias gariepinus, Burchell, 1822) fry in recirculato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